KR101993363B1 - 마누카 허니와 제올라이트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마누카 허니와 제올라이트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3363B1
KR101993363B1 KR1020180109047A KR20180109047A KR101993363B1 KR 101993363 B1 KR101993363 B1 KR 101993363B1 KR 1020180109047 A KR1020180109047 A KR 1020180109047A KR 20180109047 A KR20180109047 A KR 20180109047A KR 101993363 B1 KR101993363 B1 KR 101993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eolite
cosmetic composition
weight
parts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9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윤우
Original Assignee
고윤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윤우 filed Critical 고윤우
Priority to KR1020180109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33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3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3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61K8/988Honey; Royal jelly, Propol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6Alumi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1Preparation or application process involves irradi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보습이 탁월하고, 미세먼지와 중금속 흡착력을 가져 노폐물 제거가 뛰어나고, 피부 주기의 순환을 촉진하여 피부 상태를 개선하며, 세공 용적을 높여 흡착 표면적을 높이고, pH를 낮춰 피부 자극성이 거의 없는 마누카 허니와 제올라이트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장료 조성물로서, 마누카 허니와, 제올라이트, 및 화장품 원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누카 허니와 제올라이트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되며,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제올라이트 미세분말 또는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세라믹 분말을 마련하는 분말 마련 단계; 마누카 허니를 마련하는 마누카허니 마련 단계; 및 상기 마련된 분말 3중량부 내지 약 10중량부와, 마누카허니 2중량부 내지 5중량부 및 화장품 원료를 잔부로 하여 혼합하는 조성원료 혼합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올라이트 미세분말 또는 세라믹 분말은 감마선을 조사하여 처리된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누카 허니와 제올라이트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마누카 허니와 제올라이트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FUNCTIONAL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MANUKA HONEY AND ZEOLITE COMPON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 보습이 탁월하고, 미세먼지와 중금속 흡착력을 가져 노폐물 제거가 뛰어나고, 피부 주기의 순환을 촉진하여 피부 상태를 개선하며, 세공 용적을 높여 흡착 표면적을 높이고, pH를 낮춰 피부 자극성이 거의 없는 마누카 허니와 제올라이트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부 마사지는 손으로 피부를 문지르거나 쓰다듬어 피부의 신진대사와 혈액순환을 활달하게 하는 것이며, 마사지 시에는 피부 온도가 높아지면서 모공이 열리게 되므로 모공 속의 오래된 미세 먼지, 피지 노폐물, 또는 노화된 각질 세포를 제거하여 청결한 피부로 만들어 주고 피부를 유연하게 하여 피부 거칠어짐을 방지하여 준다.
제올라이트 등의 세공성 토양구성광물을 흡착제로 사용하여 모공 속의 미세 먼지, 피지, 노폐물 등을 제거하기 위한 화장료 조성물이 종래 개발된 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659456에는 초미세먼지 차단용 기능성 크림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개특허는 맥반석, 제올라이트, 일라이트, 버미큘라이트 중 어느 1종 이상으로 선택되는 팽창성 광물입자를 포함하는 기능성 크림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659456에는 맥반석, 제올라이트, 일라이트, 버미큘라이트 등의 토양구성 광물은 세공을 가져 흡착제로 이용가치가 있지만, 그 세공에는 수분함량이 높고 미생물이 존재할 가능성이 커 화장료 조성물의 재료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또한, 이들 토양구성광물은 약한 알칼리성을 띄고 있어 피부에 오래 적용해 있을 때 오히려 피부 자극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
한편, 화장료 조성물이 사용되는 대표적인 제품으로는 클렌져가 있는데, 클렌져는 단순한 클렌징 기능에서 벗어나, 인체의 피부에 사용되는 만큼 보다 탁월한 기능을 갖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659456(2016.09.23. 공고) (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7-0006549(2007.01.11. 공개) (문헌 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124457(2011.11.17. 공개) (문헌 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9670739(2010.07.01. 공고)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피부 보습이 탁월하고, 미세먼지와 중금속 흡착력을 가져 노폐물 제거가 뛰어나고, 피부 주기의 순환을 촉진하여 피부 상태를 개선할 수 있는 마누카 허니와 제올라이트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공 용적을 높여 흡착 표면적을 높이고, 내부 세공의 미생물을 제거하고 pH를 낮춰 피부자극성이 거의 없으며 수분공급 성능이 뛰어난 마누카 허니와 제올라이트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누카 허니와 제올라이트 성분이 갖는 기능에 더불어, 보조 기능성 물질의 성분을 통해 항균, 항여드름, 피지조절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어 피부 건강에 더욱 도움을 줄 수 있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화장료 조성물로서, 마누카 허니와, 제올라이트, 및 화장품 원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누카 허니와 제올라이트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마누카 허니는 2중량% 내지 5중량%이고, 상기 제올라이트는 3중량% 내지 10중량%이며, 화장품 원료 85중량% 내지 95중량%로 하는 조성 비율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올라이트는 0.3㎛ ~ 0.6㎛의 크기로 분쇄된 분말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제올라이트는 감마선을 조사하여 처리된 것이고, 미생물 함량이 0 내지 50CFU/g이며, pH가 7 내지 7.2이며, 수분함량이 5중량% 내지 1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화장료 조성물로서, 마누카 허니와, 규소와 게르마늄의 비율인 Si/Ge 비가 중량비로 5.0 내지 6.0인 게르마늄실리케이트 제올라이트와 장석 및 석영으로 이루어진 세라믹 분말, 및 화장품 원료를 포함하고, 상기 마누카 허니는 2중량% 내지 5중량%이고, 상기 세라믹 분말은 3중량% 내지 10중량%이며, 화장품 원료를 85중량% 내지 95중량%로 하는 조성 비율로 이루어지고, 상기 세라믹 분말은 감마선을 조사하여 처리된 것이고, 미생물 함량이 0 내지 50CFU/g이며, pH가 7 내지 7.2이며, 수분함량이 5 내지 15%이며, 상기 세라믹 분말은 총 중량 기준으로, 게르마늄실리케이트 제올라이트 40중량% 내지 75중량%, 장석 10중량% 내지 30중량%, 및 석영 15중량% 내지 30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누카 허니와 제올라이트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원료는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며, 상기 계면활성제는 솔비탄올리베이트(sorbitan olivate), 데실글루코사이드(Decyl Glucoside), 미리스틱애씨드(Myristic Acid)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천연 계면활성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은 라벤더 추출물, 오라가노잎 추출물, 스피어민트 추출물, 살비아잎 추출물, 베르가못잎 추출물, 마카뿌리 추출물 및 참마뿌리 추출물 중 적어도 하나의 부가기능 추출물과, 하이드롤라이즈드 콜라겐 및 베타글루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기능성 물질, 및 마카다미아씨 오일 및 비즈왁스 중 적어도 하나의 수분유지 기능성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있어서, 상기 부가기능 추출물은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의 100중량부에 대하여 3중량부 내지 7중량부로 혼합되며, 상기 보조 기능성 물질은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의 100중량부에 대하여 2중량부 내지 4중량부로 혼합되며, 상기 수분유지 기능성물질은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의 100중량부에 대하여 2중량부 내지 4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르면,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제올라이트 미세분말 또는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세라믹 분말을 마련하는 분말 마련 단계; 마누카 허니를 마련하는 마누카허니 마련 단계; 및 상기 마련된 분말 3중량% 내지 약 10중량%와, 마누카허니 2중량% 내지 5중량% 및 화장품 원료를 85중량% 내지 95중량%로 하여 혼합하는 조성원료 혼합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올라이트 미세분말 또는 세라믹 분말은 감마선을 조사하여 처리된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누카 허니와 제올라이트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있어서, 상기 분말 마련 단계에서 제올라이트 분말은 0.3㎛ ~ 0.6㎛의 크기로 분쇄된 분말로 마련되고, 상기 제올라이트 분말 또는 세라믹 분말은 pH가 7 내지 7.2이고, 상기 조성원료 혼합단계 이전에서의 수분함량이 5% 내지 15%이며, 상기 조성원료 혼합 단계는 솔비탄올리베이트(sorbitan olivate), 데실글루코사이드(Decyl Glucoside), 미리스틱애씨드(Myristic Acid)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천연 계면활성제가 혼합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누카 허니와 제올라이트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있어서, 상기 조성원료 혼합 단계는 라벤더추출물, 오라가노잎 추출물, 스피어민트 추출물, 살비아잎 추출물, 베르가못잎 추출물, 마카뿌리 추출물 및 참마뿌리 추출물 중 적어도 하나의 부가기능 추출물과, 하이드롤라이즈드 콜라겐 및 베타글루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기능성 물질, 및 마카다미아씨 오일 및 비즈왁스 중 적어도 하나의 수분유지 기능성 물질 중 적어도 하나가 혼합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있어서, 상기 부가기능 추출물은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의 100중량부에 대하여 3중량부 내지 7중량부로 혼합되며, 상기 보조 기능성 물질은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의 100중량부에 대하여 2중량부 내지 4중량부로 혼합되며, 상기 수분유지 기능성물질은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의 100중량부에 대하여 2중량부 내지 4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마누카 허니와 제올라이트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마누카 허니와 제올라이트 성분이 갖는 탁월한 기능으로 피부를 촉촉하고 생기 넘치게 가꿀 수 있으며, 피부 수렴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민감한 피부 진정, 노폐물 제거 및 탁월한 피부 보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세공 용적을 높여 흡착 표면적을 높이고, 내부 세공의 미생물을 제거하고 pH를 낮춰 피부자극성이 거의 없으며 수분공급 성능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보조 기능성물질의 성분을 통해 피부진정, 피부회복, 항산화, 피부활력, 모공케어, 피지조절, 생기부여, 피부 결케어, 피부 윤기 및 항염을 도모할 수 있어 피부 건강에 더욱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누카 허니와 제올라이트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누카 허니와 제올라이트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예시에 따른 조성을 나타내는 표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마누카 허니와 제올라이트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마누카 허니와 제올라이트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누카 허니와 제올라이트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은, 마누카 허니와 제올라이트 분말 및 및 화장품 원료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마누카 허니와 제올라이트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은, 마누카 허니는 약 2중량% 내지 5중량%이고, 제올라이트 분말은 약 3중량% 내지 약 10중량%이며, 화장품 원료를 잔부(약 85 중량% 내지 약 95 중량%)로 하는 조성 비율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누카 허니는 차나무의 일종인 마누카 나무에서 생산되는 단일향의 꿀로 항균활성이 탁월하며 당성분에 의한 높은 삼투압, pH안정성이 항균활성을 돕고, 자극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기능을 갖는다. 특히, 비타민B 복합체인 B1, B2, B6, 판토텐산 등이 함유되어 건강한 피부로 가꾸는데 도움을 주고, 피부 컨디셔닝 역할을 하여 생기 있고 활력 있는 피부로 케어해 주며, 피부 주기의 순환을 촉진하는데 관여하여 피부 상태를 개선하고 건강하게 가꾸는데 도움을 준다.
다음으로, 상기 제올라이트는 0.3㎛ ~ 0.6㎛의 크기로 분쇄된 분말의 것이 사용되며, 0.5㎛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제올라이트(제올라이트 분말)는 감마선을 조사하여 처리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감마선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60 Co 또는 137 Cs에서 방출되는 감마선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올라이트는 60 Co 또는 137 Cs에서 방출되는 감마선을 흡수선량 기준으로 약 1k 내지 약 50k로 조사하여 처리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올라이트의 감마선 흡수선량은, 예를 들어, 약 1k 내지 약 50k, 약 1k 내지 약 40k, 약 1k 내지 약 30k, 약 1k 내지 약 20k, 약 1k 내지 약 10k, 약 10k 내지 약 50k, 약 20k 내지 약 50k, 약 30k 내지 약 50k, 약 40k 내지 약 50k, 또는 약 10k 내지 약 30k일 수 있다. 감마선 처리 시간은, 예를 들어, 약 10분 내지 약 120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올라이트는 미생물 함량이 0 CFU/g 내지 약 50 CFU/g인 것일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하기 위한 제올라이트 분말은 100 CFU/g 이하로 미생물을 포함하는 것이 적합한데, 상기한 감마선 처리에 의해 제올라이트 분말의 미생물 저하 효과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올라이트 분말은 pH가 약 7 내지 약 7.2인 것일 수 있는데, 이러한 제올라이트 분말은 감마선 처리에 의해서 pH가 저하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올라이트 분말은 화장품 원료와 혼합되기 전의 수분함량이 약 5중량% 내지 약 1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올라이트 분말은 세공을 가져 물을 흡수하는 성질을 가지는데, 화장품 원료와 혼합되면 물을 흡수하여 세공에 물을 머금은 상태가 될 수 있다. 화장품 원료와 혼합되어 세공에 물을 머금은 상태의 제올라이트 분말은 피부에 적용하여 롤링하게 되면 세공에서 피부로 물을 내놓고, 피부에 존재하는 미세먼지, 피지, 또는 각질을 세공이 흡착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마누카 허니와 제올라이트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제올라이트 분말 대신에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세라믹 분말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세라믹 분말은 부피 가중평균직경이 약 0.1 내지 약 10인 세라믹 분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라믹 분말은 또한 감마선을 조사하여 처리된 것일 수 있는데, 상기 감마선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60 Co 또는 137 Cs에서 방출되는 감마선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세라믹 분말은 60 Co 또는 137 Cs에서 방출되는 감마선을 흡수선량 기준으로 약 1k 내지 약 50k로 조사하여 처리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세라믹 분말의 감마선 흡수선량은, 예를 들어, 약 1k 내지 약 50k, 약 1k 내지 약 40k, 약 1k 내지 약 30k, 약 1k 내지 약 20k, 약 1k 내지 약 10k, 약 10k 내지 약 50k, 약 20k 내지 약 50k, 약 30k 내지 약 50k, 약 40k 내지 약 50k, 또는 약 10k 내지 약 30k일 수 있다. 감마선 처리 시간은, 예를 들어, 약 10분 내지 약 120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서, 상기 세라믹 분말은 규소와 게르마늄의 비율인 Si/Ge비가 중량비로 1: 5.0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5.3 내지 5.5인 게르마늄실리케이트 제올라이트, 장석, 및 석영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게르마늄실리케이트 제올라이트의 Si/Ge 비가 5.0 미만이면 세공의 크기가 너무 작은 미세세공의 비율이 높아져 먼지, 피지, 또는 각질 등이 세공 입구를 통과하지 못할 가능성이 커지고, 6.0 초과이면 중형세공의 비율이 너무 높아져 전체 표면적이 감소함으로써 흡착 면적이 감소로 인해 화장료 조성물의 주요 성능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세라믹 분말은 미생물 함량이 약 0 CFU/g 내지 약 50 CFU/g인 것일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하기 위한 세라믹 분말은 100 CFU/g 이하로 미생물을 포함하는 것이 적합하다. 세라믹 분말에 포함된 장석, 석영 등은 미생물 함량이 높아 화장료 조성물의 재료로 부적합할 수 있으며, 이러한 미생물로 인해 게르마늄실리케이트 제올라이트의 세공이 막혀 흡착력과 직결되는 게르마늄실리케이트 제올라이트의 표면적이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세라믹 분말은 감마선 처리하여 미생물 함량을 저하시킨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한 감마선 처리에 의해 세라믹 분말의 미생물 저하 효과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세라믹 분말은 pH가 약 7 내지 약 7.2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세라믹 분말은 감마선 처리에 의해서 pH가 저하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세라믹 분말은 총 중량 기준으로, 게르마늄실리케이트 제올라이트 약 40중량% 내지 약 75중량%, 장석 약 10중량% 내지 약 30중량%, 및 석영 약 15중량% 내지 약 30중량%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세라믹 분말은, 상기 장석 외에 장석이 변질되어 생성된 점토 광물인 스멕타이트(smectite)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기 석영 외에 오팔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세라믹 분말은 화장품 원료와 혼합되기 전의 수분함량이 약 5중량% 내지 약 1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세라믹 분말은 세공을 가져 물을 흡수하는 성질을 가지는데, 화장품 원료와 혼합되면 물을 흡수하여 세공에 물을 머금은 상태가 될 수 있다. 화장품 원료와 혼합되어 세공에 물을 머금은 상태의 세라믹 분말은 피부에 적용하여 롤링하게 되면 세공에서 피부로 물을 내놓고, 피부에 존재하는 미세먼지, 피지, 또는 각질을 세공이 흡착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화장품 원료는 정제수, 유지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활성제, 킬레이팅제, 안료, 자외선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방지제, pH조절제, 알코올, 및 향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계면활성제에 있어서 솔비탄올리베이트(sorbitan olivate), 데실글루코사이드(Decyl Glucoside), 미리스틱애씨드(Myristic Acid)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천연 계면활성제가 적용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마누카 허니와 제올라이트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은, 라벤더(꽃/잎/줄기) 추출물, 오라가노잎 추출물, 스피어민트 추출물, 살비아잎 추출물, 베르가못잎 추출물, 마카뿌리 추출물 및 참마뿌리 추출물 중 적어도 하나의 부가기능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라벤더(꽃/잎/줄기)는 피부진정과 피부회복에 기여하고, 오레가노(잎)는 항산화와 피부 활력에 좋으며, 스피어민트(잎)는 모공 케어와 피지 조절에 기여한다. 또한, 실비아(잎)는 피부에 생기를 부여하고 피부 결을 케어하며, 베르가못(잎)은 피부에 윤기를 주고 항염에 기여하고, 마카뿌리는 거친 피부결을 부드럽게 유연화시키는데 도움을 주고 생기 있고 피부 관리에 도움을 주며, 참마뿌리는 자극받은 피부를 개선, 예방해 주고 흔적 관리에 도움을 주고, 참마의 점액질 성분인 무틴과 사포닌 성분이 피부를 보호하며 천연 보습막을 형성하여 피부를 촉촉하고 매끄럽게 관리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러한 부가기능 추출물은 상기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의 100중량부에 대하여 약 3중량부 내지 7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상기 부가기능 추출물을 마련함에 있어 해당 구성요소에 따라 최적의 추출방법, 예를 들면 초음파 추출 방법, 초임계 추출 방법 등을 통해 추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초음파 추출물이라 함은 건조 분쇄한 추출 대상물을 초음파 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추출하여 제조된 추출물을 의미한다. 또한, 초임계 추출이라 함은 건조하여 파쇄한 추출 대상물과 보조용매로 에탄올(99.5%) 500~700mL를 초임계 유체 추출 반응기(Natex, Autstria)에 넣고 반응기 내의 온도가 65℃, 압력이 450 bar, S/F 비(supercritical fluid ㎏/Feed ㎏) 35가 되는 조건하에서 추출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마누카 허니와 제올라이트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은, 하이드롤라이즈드 콜라겐 및 베타글루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기능성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보조 기능성 물질은 상기한 부가기능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이나 부가기능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보조 기능성 물질에서 하이드롤라이즈드 콜라겐은 인간피부에서 발견되는 콜라겐과 동일한 성질을 지니고 있어 인체 흡수율이 탁월하고, 피부 탄력 개선과 주름 개선의 효과가 있으며, 상기 베타글루칸은 풍부한 영양 성분을 피부에 전달해주고 수분을 보유하여 촉촉하고 탄력있는 피부 관리에 도움을 주며 예민해진 피부를 편안하게 진정시키고, 피부 컨디셔닝 및 면역력 향상에 관여하여 건강한 피부 관리에 도움을 준다.
상기 보조 기능성 물질(제1 기능성 물질)은 상기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부가기능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이나 부가기능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의 100중량부에 대하여 약 2중량부 내지 4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마누카 허니와 제올라이트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은, 마카다미아씨 오일 및 비즈왁스 중 적어도 하나의 수분유지 기능성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카다미아씨 오일은 피부의 수분 증발을 차단하는 장벽 기능을 하고, 비즈왁스는 피부에 보호막을 형성하여 수분이 날아가지 않도록 한다.
상기 수분유지 기능성물질은 상기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부가기능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이나 부가기능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의 100중량부에 대하여 약 2중량부 내지 4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마누카 허니와 제올라이트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누카 허니와 제올라이트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누카 허니와 제올라이트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올라이트 미세분말을 마련하는 제올라이트 분말 마련 단계(S100); 마누카 허니를 마련하는 마누카허니 마련 단계(S200); 및 상기 마련된 제올라이트 분말 약 3중량부 내지 약 10중량부와, 마누카허니 약 2중량부 내지 5중량부 및 화장품 원료를 잔부로 하여 혼합하는 조성원료 혼합 단계(S300);를 포함한다.
상기 제올라이트 분말 마련 단계(S100)는 0.3㎛ ~ 0.6㎛의 크기로 분쇄된 분말로 마련되며, 0.5㎛인 분말로 마련되는 것이 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제올라이트 분말은 제올라이트 파쇄물을 분쇄하여 마련되는데, 이때 제올라이트 파쇄물 또는 제올라이트 분말(이하, "제올라이트"로 통칭함)에 감사선을 조사한 후 분쇄하여 마련되는 제올라이트 감마선 처리단계(S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올라이트 감마선 처리 단계(S110)에서 감마선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60 Co 또는 137 Cs에서 방출되는 감마선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올라이트 감마선 처리 단계(S110)에서 제올라이트는 60 Co 또는 137 Cs에서 방출되는 감마선을 흡수선량 기준으로 약 1k 내지 약 50k로 조사하여 처리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올라이트의 감마선 흡수선량은, 예를 들어, 약 1k 내지 약 50k, 약 1k 내지 약 40k, 약 1k 내지 약 30k, 약 1k 내지 약 20k, 약 1k 내지 약 10k, 약 10k 내지 약 50k, 약 20k 내지 약 50k, 약 30k 내지 약 50k, 약 40k 내지 약 50k, 또는 약 10k 내지 약 30k일 수 있다. 감마선 처리 시간은, 예를 들어, 약 10분 내지 약 120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올라이트 분말 마련 단계(S100)에서 제올라이트는 미생물 함량이 0 CFU/g 내지 약 50 CFU/g인 것일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하기 위한 제올라이트 분말은 100 CFU/g 이하로 미생물을 포함하는 것이 적합한데, 상기한 감마선 처리에 의해 제올라이트 분말의 미생물 저하 효과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올라이트 분말 마련 단계(S110)에서 제올라이트는 pH가 약 7 내지 약 7.2인 것으로 마련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제올라이트는 상기한 감마선 처리에 의해서 pH가 저하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올라이트 분말은 조성원료 혼합단계(S300) 이전에서의 수분함량이 약 5중량% 내지 약 1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올라이트는 세공을 가져 물을 흡수하는 성질을 가지는데, 화장품 원료와 혼합되면 물을 흡수하여 세공에 물을 머금은 상태가 될 수 있다. 화장품 원료와 혼합되어 세공에 물을 머금은 상태의 제올라이트 분말은 피부에 적용하여 롤링하게 되면 세공에서 피부로 물을 내놓고, 피부에 존재하는 미세먼지, 피지, 또는 각질을 세공이 흡착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제올라이트 대신에, 세라믹 분말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세라믹 분말로 마련되는 경우, 세라믹 분말이 규소와 게르마늄의 비율인 Si/Ge 비가 중량비로 5.0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5.3 내지 5.5인 게르마늄실리케이트 제올라이트, 장석, 및 석영으로 이루어진 것이 되도록 마련된다.
이때, 상기 게르마늄실리케이트 제올라이트의 Si/Ge 비가 5.0 미만이면 세공의 크기가 너무 작은 미세세공의 비율이 높아져 먼지, 피지, 또는 각질 등이 세공 입구를 통과하지 못할 가능성이 커지고, 6.0 초과이면 중형세공의 비율이 너무 높아져 전체 표면적이 감소함으로써 흡착 면적이 감소로 인해 화장료 조성물의 주요 성능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세라믹 분말은 총 중량 기준으로, 게르마늄실리케이트 제올라이트 약 40중량% 내지 약 75중량%, 장석 약 10중량% 내지 약 30중량%, 및 석영 약 15중량% 내지 약 30중량%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세라믹 분말은 장석 외에 장석이 변질되어 생성된 점토 광물인 스멕타이트(smectite)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기 석영 외에 오팔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마누카허니 마련 단계(S200)에서 마련되는 마누카허니는 차나무의 일종인 마누카 나무에서 생산되는 것으로부터 마련된다.
계속해서, 상기 조성원료 혼합 단계(S400)에서 혼합되는 화장품 원료는 정제수, 유지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활성제, 킬레이팅제, 안료, 자외선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방지제, pH조절제, 알코올, 및 향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마누카 허니와 제올라이트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상기 조성원료 혼합 단계(S400)에서 라벤더(꽃/잎/줄기) 추출물, 오라가노잎 추출물, 스피어민트 추출물, 살비아잎 추출물, 베르가못잎 추출물, 마카뿌리 추출물 및 참마뿌리 추출물 중 적어도 하나의 부가기능 추출물을 더 혼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가기능 추출물은 상기한 혼합물의 100중량부에 대하여 약 3중량부 내지 7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가기능 추출물을 마련함에 있어 해당 구성요소에 따라 최적의 추출방법, 예를 들면 초음파 추출 방법, 초임계 추출 방법 등을 통해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누카 허니와 제올라이트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상기 조성원료 혼합 단계(S400)에서 하이드롤라이즈드 콜라겐 및 베타글루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기능성 물질을 더 혼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보조 기능성 물질은 상기한 부가기능 추출물이 혼합되는 혼합물이나 부가기능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는 혼합물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보조 기능성 물질은 상기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부가기능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이나 부가기능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은 혼합물)의 100중량부에 대하여 약 2중량부 내지 4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마누카 허니와 제올라이트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마카다미아씨 오일 및 비즈왁스 중 적어도 하나의 수분유지 기능성 물질을 더 혼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분유지 기능성물질은 상기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부가기능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이나 부가기능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의 100중량부에 대하여 약 2중량부 내지 4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실시 예 및 비교 예의 제조 >
실시 예 및 비교 예: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제조
입경을 달리하는(각각 실시 예: 0.5㎛, 비교 예1: 4㎛, 비교 예2: 7㎛) 제올라이트 파쇄물에 60 Co를 이용하여 시간당 30 k의 감마선을 30분 동안 조사하여 감마선 처리된 제올라이트 파쇄물을 제조하였다.
감마선 처리된 제올라이트 파쇄물을 해머밀로 분쇄하여 각각 입경을 달리하는 제올라이트 분말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누카 허니와 제올라이트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예시에 따른 조성을 나타내는 표이다.
<배합과정>
온도조절, 교반, 호모 공정이 가능한 진공 유화 교반조에 정제수를 투입하여 70 내지 90℃로 가온한 후, 여기에 글리세린, 미리스틱에씨드 및 팔미틱에 씨드를 첨가하고 제올라이트 분말을 투입하여 균일화하여 제올라이트 분말상을 제조하였다.
별도로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와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올라이트 분말상을 10rpm 내지 40rpm의 패들 믹서 및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2,500rpm 내지 3,500rpm의 회전속도로 교반을 유지한 상태에서, 여기에 별도로 준비된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와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의 혼합물을 투입하였으며, 상기 온도와 교반 속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별도로 정제수에 용해시켜 둔 pH조절제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를 투입하여 pH가 9 내지 10이 되게 반응시켰다.
pH가 안정화되면 35까지 냉각시키고, 비즈왁스, 스테아릭에씨드, 컨디셔닝제, 폴리소르베이트20, 킬레이팅제, 피이지-14M 및 방부제를 순차적으로 각각 투입하여 균일화하였다. 여기에, 향료를 투입하여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 예 1: pH 측정
실시 예 1에 사용된 제올라이트 분말의 pH를, KS I ISO 10390:2005에 의거하여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pH는 감마선 처리 전후의 세라믹 분말에 대해 각각 측정되었다.
pH
감마선 처리 전 7.87
감마선 처리 후 7.12
표 1을 참조하면, 감마선 처리 후 제올라이트 분말의 pH가 약 10% 정도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감마선 처리에 의해 제올라이트 분말의 pH가 감소함에 따라, 물의 pH에 가까운 중성상태를 갖게 된 것으로 확인이 되며, 이에 따라, 피부 자극성이 저감되어, 3중량%(즉, 3만ppm) 이상 많은 양의 제올라이트 분말을 사용하여도 피부자극이 거의 없다.
실험 예 2: 미생물 함량 측정
실시 예 1에 사용된 제올라이트 분말의 세공 내부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함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미생물 집락수 측정 시험을 실시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미생물 집락수 측정 시험에 앞서 감마선 처리 전후의 제올라이트 분말 10g을 25℃에서 채취하여 검체로 사용하였다. 각각의 검체 10g을 증류수 100ml로 희석하여 검체 희석액을 제조한 후, 제조된 검체 희석액 0.1ml를 TSA(trypticase soy agar) 고체 배지를 포함하는 패트리디쉬에 접종하고 32.52.5의 배양온도에서 5일 동안 배양하였다(도말 평판법). 표 2에서 TNTC 는 too numerous to count의 약자로 집락이 너무 많아 셀 수 없는 정도를 의미한다.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하기 위한 적합/부적합 판정의 기준은 100CFU/g으로, g당 집락형성단위가 100CFU/g 이하일 경우를 적합으로 판정하고, g당 집락형성단위가 100CFU/g을 초과할 경우를 부적합으로 판정하였다.
검체
구분
결과 (CFU/g) 판정
세균 진균
검체 1 감마선 처리 전 제올라이트 분말 TNTC TNTC 부적합
검체 2 감마선 처리 전 제올라이트 분말 TNTC TNTC 부적합
검체 3 감마선 처리 전 제올라이트 분말 TNTC TNTC 부적합
검체 4 감마선 처리 후 제올라이트 분말 40 10 적합
검체 5 감마선 처리 후 제올라이트 분말 40 0 적합
검체 6 감마선 처리 후 제올라이트 분말 10 0 적합
검체 7 감마선 처리 후 제올라이트 분말 0 30 적합
검체 8 감마선 처리 후 제올라이트 분말 0 0 적합
검체 9 감마선 처리 후 제올라이트 분말 0 0 적합
표 2를 참조하면, 실시 예에 사용된 제올라이트 분말의 세공 내부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함량은 감마선 처리 전후에 큰 차이를 보였다. 감마선 처리 후 제올라이트 분말의 g당 집락형성단위는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감마선 처리에 의해 대략적으로 g당 집락형성단위가 50CFU/g 이하로 확인되었고, 감마선 처리에 의해 제올라이트 분말의 세공 내부가 깨끗이 정리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실험 예 3: 은나노분말 흡착 성능 측정
실시 예 1, 비교 예 1 및 비교 예 2에 사용된 제올라이트 분말의 피부각질, 먼지 등의 흡착 성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은나노 분말을 5g을 정제수에 분산시키고 원자흡수분광법에 의해 농도(A)를 측정한 후에, 여기에 정제수 중량대비 10%의 제올라이트 분말을 첨가하고 20분간 교반한 후에 다시 농도(B)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 예1 비교 예1 비교 예2
흡착도((B)/(A)) 0.48 0.82 0.73
표 4를 참조하면, 실시 예 1에 사용된 제올라이트 분말의 경우, 흡착도가 0.48로서 제올라이트 분말에 의한 흡착 전후에 농도가 큰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비하여, 비교 예 1 및 비교 예 2의 경우 각각 0.82, 0.73으로서 실시 예 1에 비하여 흡착 전후의 농도 변화가 현저히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마누카 허니와 제올라이트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마누카 허니와 제올라이트 성분이 갖는 탁월한 기능으로 피부를 촉촉하고 생기 넘치게 가꿀 수 있으며, 피부 수렴에도 도움을 줄 수 있고, 민감한 피부 진정, 노폐물 제거 및 탁월한 피부 보습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세공 용적을 높여 흡착 표면적을 높이고, 내부 세공의 미생물을 제거하고 pH를 낮춰 피부자극성이 거의 없으며 수분공급 성능이 뛰어나며, 보조 기능성물질의 성분을 통해 피부진정, 피부회복, 항산화, 피부활력, 모공케어, 피지조절, 생기부여, 피부 결케어, 피부 윤기 및 항염을 도모할 수 있어 피부 건강에 더욱 도움을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S100: 제올라이트 분말 마련 단계
S110: 제올라이트 감마선 처리 단계
S200: 마누카허니 마련 단계
S300: 조성원료 혼합 단계

Claims (11)

  1. 화장료 조성물로서,
    마누카 허니와, 제올라이트, 및 화장품 원료의 기본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마누카 허니는 2중량% 내지 5중량%이고, 상기 제올라이트는 3중량% 내지 10중량%이며, 화장품 원료는 85중량% 내지 95중량%로 하는 조성 비율을 포함하고,
    상기 제올라이트는 0.3㎛ ~ 0.6㎛의 크기로 분쇄된 분말이고,
    상기 화장품 원료는 솔비탄올리베이트(sorbitan olivate), 데실글루코사이드(Decyl Glucoside), 미리스틱애씨드(Myristic Acid)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천연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오라가노잎 추출물, 스피어민트 추출물, 살비아잎 추출물, 베르가못잎 추출물, 마카뿌리 추출물 및 참마뿌리 추출물 중 적어도 하나의 부가기능 추출물과, 하이드롤라이즈드 콜라겐 및 베타글루칸의 보조 기능성 물질, 및 마카다미아씨 오일 및 비즈왁스의 수분유지 기능성 물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올라이트는 감마선을 조사하여 처리된 것이고, 미생물 함량이 0 내지 50CFU/g이며, pH가 7 내지 7.2이며, 수분함량이 5중량% 내지 15중량%이고,
    상기 부가기능 추출물은 상기 기본 화장료 조성물의 100중량부에 대하여 3중량부 내지 7중량부로 혼합되며,
    상기 보조 기능성 물질은 상기 기본 화장료 조성물의 100중량부에 대하여 2중량부 내지 4중량부로 혼합되며,
    상기 수분유지 기능성물질은 상기 기본 화장료 조성물의 100중량부에 대하여 2중량부 내지 4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누카 허니와 제올라이트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화장료 조성물로서,
    마누카 허니와, 규소와 게르마늄의 비율인 Si/Ge 비가 중량비로 5.0 내지 6.0인 게르마늄실리케이트 제올라이트와 장석 및 석영을 포함하는 세라믹 분말, 및 화장품 원료의 기본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마누카 허니는 2중량% 내지 5중량%이고, 상기 세라믹 분말은 3중량% 내지 10중량%이며, 화장품 원료 85중량% 내지 95중량%로 하는 조성 비율을 포함하고,
    상기 세라믹 분말은 감마선을 조사하여 처리된 것이고, 미생물 함량이 0 내지 50CFU/g이며, pH가 7 내지 7.2이며, 수분함량이 5중량% 내지 15중량%이며,
    상기 세라믹 분말은 총 중량 기준으로, 게르마늄실리케이트 제올라이트 40중량% 내지 75중량%, 장석 10중량% 내지 30중량%, 및 석영 15중량% 내지 30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화장품 원료는 솔비탄올리베이트(sorbitan olivate), 데실글루코사이드(Decyl Glucoside), 미리스틱애씨드(Myristic Acid)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천연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오라가노잎 추출물, 스피어민트 추출물, 살비아잎 추출물, 베르가못잎 추출물, 마카뿌리 추출물 및 참마뿌리 추출물 중 적어도 하나의 부가기능 추출물과, 하이드롤라이즈드 콜라겐 및 베타글루칸의 보조 기능성 물질, 및 마카다미아씨 오일 및 비즈왁스의 수분유지 기능성 물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부가기능 추출물은 상기 기본 화장료 조성물의 100중량부에 대하여 3중량부 내지 7중량부로 혼합되고,
    상기 보조 기능성 물질은 상기 기본 화장료 조성물의 100중량부에 대하여 2중량부 내지 4중량부로 혼합되며,
    상기 수분유지 기능성물질은 상기 기본 화장료 조성물의 100중량부에 대하여 2중량부 내지 4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누카 허니와 제올라이트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80109047A 2018-09-12 2018-09-12 마누카 허니와 제올라이트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93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047A KR101993363B1 (ko) 2018-09-12 2018-09-12 마누카 허니와 제올라이트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047A KR101993363B1 (ko) 2018-09-12 2018-09-12 마누카 허니와 제올라이트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3363B1 true KR101993363B1 (ko) 2019-06-26

Family

ID=67105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9047A KR101993363B1 (ko) 2018-09-12 2018-09-12 마누카 허니와 제올라이트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33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97759A (zh) * 2020-03-26 2020-06-19 广州睿森生物科技有限公司 控油收敛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化妆品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7482A (ko) * 2001-09-28 2003-04-07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유효 성분으로서 마누카 벌꿀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화장품 조성물
KR20070006549A (ko) 2006-01-31 2007-01-11 (주) 삼신사 화장료 조성물
KR20110124457A (ko) 2010-05-11 2011-11-17 유영옥 기능성 세라믹 입자 콜로이드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1659456B1 (ko) 2014-09-11 2016-09-23 조영태 초미세먼지 차단용 기능성 크림
JP2016222612A (ja) * 2015-06-01 2016-12-28 昭和電工株式会社 化粧料または皮膚外用剤
KR20180017248A (ko) * 2016-08-08 2018-02-21 주식회사 제무 피부 노폐물 제거용 제올라이트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7482A (ko) * 2001-09-28 2003-04-07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유효 성분으로서 마누카 벌꿀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화장품 조성물
KR20070006549A (ko) 2006-01-31 2007-01-11 (주) 삼신사 화장료 조성물
KR20110124457A (ko) 2010-05-11 2011-11-17 유영옥 기능성 세라믹 입자 콜로이드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1659456B1 (ko) 2014-09-11 2016-09-23 조영태 초미세먼지 차단용 기능성 크림
JP2016222612A (ja) * 2015-06-01 2016-12-28 昭和電工株式会社 化粧料または皮膚外用剤
KR20180017248A (ko) * 2016-08-08 2018-02-21 주식회사 제무 피부 노폐물 제거용 제올라이트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97759A (zh) * 2020-03-26 2020-06-19 广州睿森生物科技有限公司 控油收敛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化妆品
CN111297759B (zh) * 2020-03-26 2022-07-22 广州睿森生物科技有限公司 控油收敛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化妆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5778B1 (ko) 나노 산화아연이 함유된 항균 비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항균비누
CN104800121B (zh) 一种含有软玉的日用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7375164A (zh) 天然植物功效性唇膏
DE102017010930A1 (de) Topische Zubereitungen
KR20150045049A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3350204A (zh) 一种物理与化学结合的控油舒缓摇摇爽肤水及其制备方法
KR101854342B1 (ko) 초미세먼지 차단, 흡수 제거용 마스크 팩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마스크 팩
CN104845765A (zh) 一种洁面皂及其制造方法
KR101993363B1 (ko) 마누카 허니와 제올라이트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847478B1 (ko) 금 또는 은 나노입자 및 까마중 추출물의 중합체를유효성분으로 함유한 기능성 비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53309A (ko) 식물 추출물 및 천연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천연 샴푸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901974B1 (ko) 로즈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1797338A (zh) 一种具有祛痘消炎功能的中药面膜粉及其制备方法
KR101681258B1 (ko) 식물 추출물 및 천연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천연 샴푸 조성물
KR20180017249A (ko) 마사지 크림용 제올라이트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6333918A (zh) 凹凸棒晒后修护面霜
KR100860272B1 (ko) 선학초로부터 유효성분의 추출ㆍ정제방법 및 그 추출물을함유한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생약 조성물
CN101642424A (zh) 凹凸棒孕妇防晒霜
KR20180017248A (ko) 피부 노폐물 제거용 제올라이트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RU2320317C2 (ru) Набор косметических масок
RU2696879C1 (ru) Косметическая маска для ухода за кожей
KR20220113860A (ko) 미용소금과 제올라이트 성분을 함유하는 자가 발열 두피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1281818A (zh) 一种具有抑菌止痒功能的复方精油及其纳米化方法、应用
JP3563327B2 (ja) 抗菌剤及び防腐剤
KR20180001950A (ko) 편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파우더 젤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