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3046B1 - 날개프레임이 구비된 에어하우스 - Google Patents

날개프레임이 구비된 에어하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3046B1
KR101993046B1 KR1020170109857A KR20170109857A KR101993046B1 KR 101993046 B1 KR101993046 B1 KR 101993046B1 KR 1020170109857 A KR1020170109857 A KR 1020170109857A KR 20170109857 A KR20170109857 A KR 20170109857A KR 101993046 B1 KR101993046 B1 KR 101993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ouse
wing frame
vinyl
house vi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9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3701A (ko
Inventor
정종상
주영철
Original Assignee
정종상
주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종상, 주영철 filed Critical 정종상
Priority to KR1020170109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3046B1/ko
Publication of KR20190023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3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3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3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07Greenhouses of flexible synthetic material
    • A01G9/1415Greenhouses of flexible synthetic material with double or multiple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69Greenhouses with double or multiple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1/3211Structures with a vertical rotation axis or the like, e.g. semi-spherical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2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inflatable, e.g. shaped, strengthened or supported by fluid press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날개프레임이 구비된 에어하우스에 관한 것으로서, 하우스 출입시설인 출입하우징 설치부위에서 하우스 비닐의 연결부위 조절이 가능한 날개프레임을 구성시킴으로서 보다 안정적인 하우스 비닐 연결상태가 유지되어짐과 함께 내부 공기압의 외부 누출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일정 공기압이 공급되어 돔형상을 유지하는 하우스 비닐(100)과; 상기 하우스 비닐(100) 내부로 출입이 가능하도록 일측에 연결 구성되는 출입하우징(300)과; 상기 출입하우징(300)의 양측에 구성되어 하우스 비닐(100)과의 연결이 이루어지는 날개프레임(30)과; 상기 날개프레임(30)의 지지력 보강을 위해 출입하우징(300) 일측에 연결 구성되는 보강대(36)와; 상기 날개프레임(30)의 일단부와 연결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지면에 고정 설치되어 하우스 비닐(100)을 고정시키는 고정프레임(10);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날개프레임이 구비된 에어하우스{AIR HOUSE STRUCTURE HAVING WING FRAME}
본 발명은 에어하우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하우스의 출입구 연결부위에 별도의 날개프레임을 구성하여 에어하우스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하우스는 비닐하우스를 단독 또는 이중으로 설치하여 내부에 일정 공기압을 유지시킴으로서, 내부 공기 압력에 의해 하우스 형태가 유지되어짐과 함께 외부 환경으로 인한 파손발생이 방지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농작물 재배시설이다.
이러한 에어하우스의 종래 일 예로 특허등록 제1752268호에서는 2중 에어하우스에 관련된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에어하우스는 출입실이 설치되는 일측 부위에서 내,외부막을 이루는 비닐과 연결작업이 용이하지 않고, 연결부위에서 틈새가 발생되어짐에 따른 내부공기의 외부 누출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에어하우스의 출입구 설치 부위에서 별도의 날개부 프레임을 구성시킴으로서 비닐과의 연결작업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짐과 함께 안정적인 연결상태가 유지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에어하우스는, 내부에 일정 공기압이 공급되어 돔형상을 유지하는 하우스 비닐과; 상기 하우스 비닐 내부로 출입이 가능하도록 일측에 연결 구성되는 출입하우징과; 상기 출입하우징의 양측에 구성되어 하우스 비닐과의 연결이 이루어지는 날개프레임과; 상기 날개프레임의 지지력 보강을 위해 출입하우징 일측에 연결 구성되는 보강대와; 상기 날개프레임의 일단부와 연결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지면에 고정 설치되어 하우스 비닐을 고정시키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에어 하우스는, 출입시설인 출입하우징 설치부위에서 하우스 비닐의 연결부위 조절이 가능한 날개프레임이 구성됨으로서 보다 안정적인 하우스 비닐 연결상태가 유지되어짐과 함께 내부 공기압의 외부 누출이 방지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하우스의 평면 개략 구조도.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 에어하우스의 출입하우징의 정면 구조도.
도 4는 도 3의 B-B부 단면 구조도.
도 5는 도 1의 C-C부 단면 구조도.
도 6은 도 5의 D부 상세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하우스 비닐과 매립비닐의 연결부 상세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하우스 비닐과 매립비닐의 연결부 분리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고정프레임 설치부 절단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의 요부 단면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하우스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9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서의 에어 하우스는 내부 하우스 비닐(100)과 외부 하우스 비닐(200)이 돔형상을 유지하도록 송풍덕트(110,210)를 통해 내부에 일정 공기압이 공급되어지는 2중의 에어 하우스 형태를 이루게 되는데, 양측에는 내부로 작업자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함과 함께 기계실이 구비되는 출입하우징(300)이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의 출입하우징(300)에는 내,외부 하우스 비닐(100,200)과의 연결이 이루어지는 날개프레임(30)이 연결 구성되는데, 날개프레임(30)의 지지력 보강을 위해 출입하우징(300) 일측에는 보강대(36)가 연결 구성되고, 각각의 날개프레임(30) 일단부에는 지면에 고정 설치되어 하우스 비닐(100)을 고정시키는 고정프레임(10)이 연결 구성된다.
또한, 날개프레임(30)은 일정 각도의 경사를 이루어 일단부가 출입하우징(300)의 상단부에 연결 구성되고, 타단부는 지면에 설치된 고정프레임(10)과 연결이 이루어지며, 상기 보강대(36)는 수평 형태를 이루는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구성된다. 이때, 보강대(36)가 설치된 날개프레임(30)의 하부공간을 차폐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판넬 또는 비닐을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날개프레임(30)은 일측이 개방된 "ㄷ"형상의 단면 구조를 이루되, 상기 개방 부위에는 하우스 비닐(100)의 하단부가 인입되고, 상기 인입된 하우스 비닐(100)의 고정을 위해 날개프레임(30) 내에는 가압파이프(35)가 삽입 구성되며, 상기 날개프레임(30)에 형성된 볼트공(31)에는 가압파이프(35)에 가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가압조절볼트(32)가 체결 구성된다.
한편, 내,외부 하우스 비닐(100,200)의 지면 고정을 위해 지면에 설치가 이루어지는 고정프레임(10)은 하부에 일정 높이를 이루는 지지프레임(20)이 결합되고, 상기 고정프레임(10)에는 내부 공기압이 토양의 공극을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토양에 일정 깊이(h)로 매립되어지는 매립비닐(400)이 연결되어지게 되는데, 매립비닐(400)의 상단부는 상기 고정프레임(10)으로 연장 구비되고, 고정프레임(10) 내에는 가압파이프(15)가 인입되어 하우스 비닐(100)과 매립비닐(400)을 함께 가압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고정프레임(10)에 형성된 볼트공(11)에는 가압조절볼트(12)가 체결되어 가압파이프(15)에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프레임(10)은 가압파이프(15)의 인입이 가능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안착홈(10a)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10a)의 입구측에는 인입된 가압파이프(15)의 이탈 방지를 위한 이탈방지턱(13)이 돌출 구비되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310은 출입문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 에어 하우스의 설치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에어 하우스의 시공을 위해서는 외부 하우스비닐(100)이 설치될 위치를 따라서 미리 땅을 파서 매립비닐(400)의 일부가 일정 깊이(h)로 매립되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지면 평탄화작업을 실시한 후 고정프레임(10) 및 지지프레임(20)을 지면에 앙카볼트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이후, 외부 하우스비닐(100)을 연결하는 작업을 실시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고정프레임(10) 내에서 하우스비닐(100)과 매립비닐(400)이 일정구간 겹쳐지는 가운데 가압파이프(15)를 고정프레임(10) 내에 인입하여 가압조절볼트(12)를 가압시킴으로서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하우스비닐(100)과 매립비닐(400)이 가압력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 가압파이프(15)는 가압조절볼트(12)에 의해 가압이 이루어짐과 함께 이탈방지턱(13)에 의해 고정프레임(10)으로 부터 이탈이 원천적으로 방지됨으로서, 안정적인 비닐 연결상태가 유지되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외부 하우스비닐(100)은 출입하우징(300) 주변의 날개프레임(30)에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이때에는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가압파이프(35)가 하우스 비닐(100)의 하단부와 함께 날개프레임(30)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압조절볼트(32)에 의한 가압 고정이 이루어짐으로서 출입하우징(300) 주변에서도 외부 하우스비닐(100)의 연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외부 하우스비닐(100) 시공이 이루어지면 송풍덕트(110)를 통해 고압의 공기가 내부로 공급되어짐으로서 돔형상의 구조물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하우스 비닐(100)의 부분적인 주름이나 구김이 발생한 부위에서는 가압파이프(15,35)를 풀어서 해당 부분을 당겨준 후 다시 가압파이프(15,35)에 의한 가압 고정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후, 계속하여 내부 하우스비닐(200)을 시공한 후 동일한 방식으로 송풍덕트(210)를 통해 공기가 공급되어지면 2중 구조의 에어 하우스가 완성되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시공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에어 하우스는 내부 공기압의 외부 누출이 매립비닐(400)에 의해 차단되어짐으로서 안정적인 하우스 관리가 가능하게 되며, 언제든지 외부 하우스 비닐(100)을 당기거나 풀어줄 수 있게 됨으로서 주름이나 구김 발생이 방지되어질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이러한 외부 하우스 비닐(100) 조절기능은 출입하우징(300) 주변에서도 날개프레임(30)에 의해 이루어지게 됨으로서, 전체적인 에어 하우스의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가압조절볼트(12)의 선단부에는 하우스 비닐(100)의 보호를 위한 고무패드(12a)가 구성되고, 가압파이프(15) 내에는 탄성스프링(16)이 내장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가압조절볼트(12)를 이용하여 가압파이프(15)를 가압하는 과정에서 눌려지는 하우스 비닐(100)과의 접촉부위에 고무패드(12a)가 위치되어짐으로서 비닐 파손이 방지되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압파이프(15) 내에 탄성스프링(16)이 구성됨으로서 가압파이프(15)의 자체적인 탄성 가압력이 증대되어지게 되고, 이에 따른 가압파이프(15) 하부에서 눌려지는 하우스비닐(100) 및 매립비닐(400)에 대한 가압력이 증대되어지는 이점을 나타낸다.
10 : 고정프레임 11,31 : 볼트공
12,32 : 가압조절볼트 13,33 : 이탈방지턱
15,35 : 가압파이프 20 : 지지프레임
30 : 날개프레임 36 : 보강대
100 : 하우스비닐(외부) 110,210 : 송풍덕트
200 : 하우스비닐(내부) 300 : 출입하우징
400 : 매립비닐

Claims (5)

  1. 내부에 일정 공기압이 공급되어 돔형상을 유지하는 하우스 비닐(100)과;
    상기 하우스 비닐(100) 내부로 출입이 가능하도록 일측에 연결 구성되는 출입하우징(300)과;
    상기 출입하우징(300)의 양측에 구성되어 하우스 비닐(100)과의 연결이 이루어지는 날개프레임(30)과;
    상기 날개프레임(30)의 지지력 보강을 위해 출입하우징(300) 일측에 연결 구성되는 보강대(36)와;
    상기 날개프레임(30)의 일단부와 연결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지면에 고정 설치되어 하우스 비닐(100)을 고정시키는 고정프레임(10);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고,
    상기 고정프레임(10) 하부에는 일정 높이를 이루는 지지프레임(20)이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프레임(10)에는 토양에 일정 깊이(h)로 매립되어진 매립비닐(400)의 상단부가 연장 구비되며, 상기 고정프레임(10)에는 하우스 비닐(100)과 매립비닐(400)을 동시에 가압 고정시키기 위한 가압파이프(15)가 삽입 구성되고, 상기 고정프레임(10)에 형성된 볼트공(11)에는 가압파이프(15)에 가압력을 조절하는 가압조절볼트(12)가 체결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프레임이 구비된 에어하우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날개프레임(30)은 일정 각도의 경사를 이루어 일단부가 출입하우징(300)의 상단부에 연결 구성되고, 타단부는 지면에 설치된 고정프레임(10)과 연결이 이루어지며, 상기 보강대(36)는 수평 형태를 이루는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프레임이 구비된 에어하우스.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날개프레임(30)은 일측이 개방된 "ㄷ"형상의 단면 구조를 이루되, 상기 개방 부위에는 하우스 비닐(100)의 하단부가 인입되고, 상기 인입된 하우스 비닐(100)의 고정을 위해 날개프레임(30) 내에는 가압파이프(35)가 삽입 구성되며, 상기 날개프레임(30)에 형성된 볼트공(31)에는 가압파이프(35)에 가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가압조절볼트(32)가 체결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프레임이 구비된 에어하우스.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10)은 가압파이프(15)의 인입이 가능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안착홈(10a)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10a)의 입구측에는 인입된 가압파이프(15)의 이탈 방지를 위한 이탈방지턱(13)이 돌출 구비되며, 상기 가압조절볼트(12)의 선단부에는 하우스 비닐(100)의 보호를 위한 고무패드(12a)가 구성되고, 가압파이프(15) 내에는 탄성스프링(16)이 내장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프레임이 구비된 에어하우스.
KR1020170109857A 2017-08-30 2017-08-30 날개프레임이 구비된 에어하우스 KR101993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857A KR101993046B1 (ko) 2017-08-30 2017-08-30 날개프레임이 구비된 에어하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857A KR101993046B1 (ko) 2017-08-30 2017-08-30 날개프레임이 구비된 에어하우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701A KR20190023701A (ko) 2019-03-08
KR101993046B1 true KR101993046B1 (ko) 2019-06-25

Family

ID=65800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9857A KR101993046B1 (ko) 2017-08-30 2017-08-30 날개프레임이 구비된 에어하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304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68544A1 (en) 2002-09-13 2005-12-08 Maffei James A Plant protection device and method
JP2012207385A (ja) * 2011-03-29 2012-10-25 Toyota Home Kk 建物の間仕切壁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通気制御システム
KR101364671B1 (ko) 2013-08-30 2014-02-19 충주시 에어 그린하우스
KR101458517B1 (ko) * 2014-03-07 2014-11-07 에어하우스(주) 에어 비닐 하우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4031A (ja) * 1983-10-27 1985-05-27 田崎 英治 エア−テントハウス
KR20140112763A (ko) * 2013-03-14 2014-09-24 (주)에스에스생활과학 버블 하우스 조립체
KR20160090592A (ko) * 2015-01-22 2016-08-01 안덕기 비닐하우스의 비닐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68544A1 (en) 2002-09-13 2005-12-08 Maffei James A Plant protection device and method
JP2012207385A (ja) * 2011-03-29 2012-10-25 Toyota Home Kk 建物の間仕切壁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通気制御システム
KR101364671B1 (ko) 2013-08-30 2014-02-19 충주시 에어 그린하우스
KR101458517B1 (ko) * 2014-03-07 2014-11-07 에어하우스(주) 에어 비닐 하우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701A (ko) 2019-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0259B1 (ko) 비닐 조절이 용이한 에어 하우스
KR101931524B1 (ko) 에어돔
CN106030014B (zh) 连接装置及具有该连接装置的淋浴门组件
KR101993046B1 (ko) 날개프레임이 구비된 에어하우스
KR100820369B1 (ko) 장력보강수단이 구비된 막구조물
US20200003434A1 (en)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CN102678133B (zh) 掘进设备进入接收井时的止水装置及方法
KR101601076B1 (ko) 토압에 강한 지중 매립용 철제 밸브실
KR101619698B1 (ko) 거푸집의 간격 폭에 맞게 길이를 가변되게 조절하여 설치가 되는 관통슬리브
JP6470946B2 (ja) 開口部の防水装置
US20090193739A1 (en) Modular Basement Finishing System
KR102184952B1 (ko) 건축물용 창틀 고정장치
KR101857230B1 (ko)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KR101668582B1 (ko) 좌변기의 배수관 소음 방지장치
KR101909629B1 (ko) 내재해형 에어 그린하우스
JP5792547B2 (ja) 浴室ユニットの洗い場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2331871B1 (ko) 건축 통신케이블 보호용 맨홀
KR100935550B1 (ko) 확인기능을 가지는 스프링클러 설비의 알람밸브 조립체
CN210217733U (zh) 防止盾构机栽头的装置
CN213638466U (zh) 一种电力建设用的电气设备保护箱
CN108397203B (zh) 盾构区间连接通道顶管出洞整体式密封舱及其施工方法
KR101420654B1 (ko) 인발지지력이 향상된 석션파일
JP6991502B2 (ja) 止水装置
JP6159141B2 (ja) 配線引き込み構造および配線引き込み方法
CN219841134U (zh) 燃气自闭阀暗埋阀门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