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2619B1 - 이동식 소방호스 받침대 - Google Patents

이동식 소방호스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2619B1
KR101992619B1 KR1020190024692A KR20190024692A KR101992619B1 KR 101992619 B1 KR101992619 B1 KR 101992619B1 KR 1020190024692 A KR1020190024692 A KR 1020190024692A KR 20190024692 A KR20190024692 A KR 20190024692A KR 101992619 B1 KR101992619 B1 KR 101992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fixing
mounting
plat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4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천화
Original Assignee
(주)지여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여이앤씨 filed Critical (주)지여이앤씨
Priority to KR1020190024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26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2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2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3/00Hose accessories
    • A62C33/04Supports or clamps for fire hos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호스를 편리하게 연결하여 화재가 발생된 지점으로 물의 분사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한 이동식 소방호스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그 특징적인 구성은, 상면 테두리의 길이 방향으로 소방호스가 거치되는 복수개의 거치홈이 형성되고, 길이 방향 양단에는 손잡이가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와 인접한 양측 테두리 부위 하단에는 체결공이 형성된 삽입홈이 내측 중심부를 향하여 절곡되게 형성되고, 상기 거치홈과 대향되는 하면 테두리 중심부에는 바 형상의 체결돌기를 갖는 체결홈이 형성된 거치판; 상기 체결공과 대응되는 수평공이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수평공에 삽입되어 체결공에 체결되는 조절손잡이를 통하여 상기 삽입홈의 일면에 결합되는 수직바와, 상기 수직바의 하단을 연결하는 막대 형상으로 상면 테두리 중심부에는 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과 대향되는 하면 테두리 중심부에는 고정돌기가 구비된 수평바로 구성되어 상기 거치판의 하단을 지지하게 연결되는 설치대; 상기 거치판과 설치대의 중심부위를 상하 연결하는 막대 형상으로 길이 방향 상단에는 상기 체결돌기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과 대향되는 하단 부위는 상기 연결홈에 삽입되는 연결바; 상기 연결바의 하단을 지지하는 판 형상으로, 상면 길이 방향으로는 상기 수평바의 하단이 안착되는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면 지지홈의 중심 부위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고정공이 형성되며, 하단에는 복수개의 바퀴가 구비된 이동판;을 포함하고, 상기 거치판의 상면에는 상기 거치홈에 거치된 소방호스의 외측을 감싸도록 거치홈과 인접한 위치에 힌지 결합되는 복수개의 고정고리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Description

이동식 소방호스 받침대{A stand for a fire hose}
본 발명은 소방호스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소방호스를 편리하게 연결하여 화재가 발생 된 지점으로 물의 분사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한 소방호스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소방호스란, 소방차에 저장된 물을 이송하여 화재가 발생 된 지점으로 물을 분사할 수 있는 기구를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소방호스는 소방차와 연결된 소방호스로 물의 분사를 이룰 수 있는 관창을 연결하여 구성하는 것이 보통으로, 소방호스와 연결된 관창을 소방관이 파지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 된 지점으로 물의 분사를 이루는 것이다.
위와 같은 소방호스는 화재가 발생 된 지점으로 물의 분사를 용이하게 이루기 위하여 견고하면서도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고, 소방호스에 연결되는 관창은 견고한 금속재로 형성되는 것이다.
예컨대, 종래의 소방호스는 문헌(1)에서와 같이, 소방호스에 관창이 연결되는 형태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소방호스는 소방관이 관창을 파지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 된 지점으로 물의 분사방향을 맞추며 사용하는 것으로, 소방호스로 전달되는 물의 압력으로 인하여 소방관이 심한 피로감을 느낄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화재의 진압을 위하여 1~2명의 소방관이 화재현장으로 출동하는 경우에는 화재에 사용되는 소방기구의 운용을 1~2명의 소방관이 수행하여야 함은 물론이고, 화재가 발생 된 지점의 정리와, 사람의 접근 등을 방지하는 작업까지 동시에 진행해야 함으로써, 화재 발생지점으로 소방호스의 물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분사하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소방호스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소방호스의 물을 화재 발생 지점으로 분사할 수 있는 구성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종래에는 문헌(2)에서와 같은 형태의 받침대 등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문헌(2)와 같은 받침대는 지면의 고정된 위치에만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화재 발생지점으로 신속하게 운반하여 용이한 사용을 이루기는 어렵고, 소방관의 선택에 따라 물의 분사를 최적으로 이룰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며 사용하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 등록번호 제20-0465572(2013.02.20) (2) 대한민국 등록실용 등록번호 제20-0480960(2016.07.22)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화재가 발생 된 지점으로 신속하게 운반하여 소방호스의 거치를 이루며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분리, 결합 가능한 구성을 통하여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고, 화재 현장으로 신속하게 운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소방호스를 연결한 후에도 지면에 고정된 상태로 사용하거나, 소방호스가 연결된 부위를 소방관이 파지하여 다양한 형태로 거치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재 발생 지점의 상황 변화에 따라 유연할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넷째, 분리, 결합 가능한 구성을 통하여 사용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이 손상되는 경우에도 지속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어 화재 진압과정이 방해받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다섯째, 분리, 결합 가능한 구성을 통하여 사용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이 손상되는 경우에는 손상된 부위만을 교체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하여, 불필요한 유지비용 등이 발생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면 테두리의 길이 방향으로 소방호스가 거치되는 복수개의 거치홈이 형성되고, 길이 방향 양단에는 손잡이가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와 인접한 양측 테두리 부위 하단에는 체결공이 형성된 삽입홈이 내측 중심부를 향하여 절곡되게 형성되고, 상기 거치홈과 대향되는 하면 테두리 중심부에는 바 형상의 체결돌기를 갖는 체결홈이 형성된 거치판; 상기 체결공과 대응되는 수평공이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수평공에 삽입되어 체결공에 체결되는 조절손잡이를 통하여 상기 삽입홈의 일면에 결합되는 수직바와, 상기 수직바의 하단을 연결하는 막대 형상으로 상면 테두리 중심부에는 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과 대향되는 하면 테두리 중심부에는 고정돌기가 구비된 수평바로 구성되어 상기 거치판의 하단을 지지하게 연결되는 설치대; 상기 거치판과 설치대의 중심부위를 상하 연결하는 막대 형상으로 길이 방향 상단에는 상기 체결돌기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과 대향되는 하단 부위는 상기 연결홈에 삽입되는 연결바; 상기 연결바의 하단을 지지하는 판 형상으로, 상면 길이 방향으로는 상기 수평바의 하단이 안착되는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면 지지홈의 중심 부위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고정공이 형성되며, 하단에는 복수개의 바퀴가 구비된 이동판;을 포함하고, 상기 거치판의 상면에는 상기 거치홈에 거치된 소방호스의 외측을 감싸도록 거치홈과 인접한 위치에 힌지 결합되는 복수개의 고정고리가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거치홈은 상기 거치판의 전면 부위에 형성되는 제1거치홈과, 상기 제1거치홈 보다 내경이 작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거치홈과 연결되게 거치판의 후면 부위에 형성되는 제2거치홈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고리는 상기 제1거치홈과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고리 형상으로, 상기 제1거치홈과 인접한 위치에 일단이 힌지로 체결되고, 타단에 형성된 설치공으로 삽입되는 볼트를 통하여 상기 힌지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된 거치판의 고정공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거치홈에 거치되는 소방호스의 전면 부위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제1고정고리와, 상기 제2거치홈과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고리 형상으로, 상기 제2거치홈과 인접한 위치에 일단이 힌지로 체결되고, 타단에 형성된 설치공으로 삽입되는 볼트를 통하여 상기 힌지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된 거치판의 고정공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거치홈에 거치되는 소방호스의 후면 부위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제2고정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판은 상기 수직바의 상단이 밀착되는 부위에 상단공이 더 형성되고, 상기 수직바는 상기 상단공과 밀착되는 부위에 하단공이 더 형성되며, 상기 상단공과 하단공에는 고정바가 더 체결되어 상기 거치판과 설치대의 결합 위치가 고정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판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볼트공을 갖는 안착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에는 바닥고정판이 더 결합되며, 상기 바닥고정판은 상기 안착홈과 대응되는 판 형상으로 상기 볼트공과 대응되는 복수개의 삽입공이 형성된 결합판과, 상기 결합판의 전면으로 'ㄱ'자 형상의 지지바로 연결되어 이동판이 설치된 지면의 상부에 밀착되게 위치되는 밀착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의 하단에는 복수개의 결합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는 사각형의 박스 형상으로 상면에는 상기 결합홈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지면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고정핀이 구비된 위치고정구가 더 설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화재가 발생 된 지점으로 신속하게 운반하여 소방호스의 거치를 이루며 사용할 수 있다.
둘째, 분리, 결합 가능한 구성을 통하여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고, 화재 현장으로 신속하게 운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셋째, 소방호스를 연결한 후에도 지면에 고정된 상태로 사용하거나, 소방호스가 연결된 부위를 소방관이 파지하여 다양한 형태로 거치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재 발생 지점의 상황 변화에 따라 유연할 사용을 이룰 수 있다.
넷째, 분리, 결합 가능한 구성을 통하여 사용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이 손상되는 경우에도 지속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어 화재 진압과정이 방해받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다.
다섯째, 분리, 결합 가능한 구성을 통하여 사용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이 손상되는 경우에는 손상된 부위만을 교체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하여, 불필요한 유지비용 등이 발생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이동식 소방호스 받침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이동식 소방호스 받침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다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이동식 소방호스 받침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이동식 소방호스 받침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다른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이동식 소방호스 받침대의 사용 상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소방호스가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인 소방호스 받침대의 다른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인 소방호스 받침대의 다른 결합 상태를 도시한 요부 발췌 확대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이동판에 바닥고정판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설치대의 하단에 위치고정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발췌 확대 단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인 이동식 소방호스 받침대의 설명에 있어서, 전방은 거치판에 결합되는 소방호스의 분사 부위 방향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는 부위를 전방이라고 명명하고, 후방은 거치판에 결합되는 소방호스의 분사 부위와 대향되는 방향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는 부위를 후방이라고 명명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상면 테두리의 길이 방향으로 소방호스(1)가 거치되는 복수개의 거치홈(11)이 형성되고, 길이 방향 양단에는 손잡이(12)가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12)와 인접한 양측 테두리 부위 하단에는 체결공(13a)이 형성된 삽입홈(13)이 내측 중심부를 향하여 절곡되게 형성되고, 상기 거치홈(11)과 대향되는 하면 테두리 중심부에는 바 형상의 체결돌기(14)를 갖는 체결홈(15)이 형성된 거치판(10); 상기 체결공(13a)과 대응되는 수평공(21a)이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수평공(21a)에 삽입되어 체결공(13a)에 체결되는 조절손잡이(23)를 통하여 상기 삽입홈(13)의 일면에 결합되는 수직바(21)와, 상기 수직바(21)의 하단을 연결하는 막대 형상으로 상면 테두리 중심부에는 연결홈(22a)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22a)과 대향되는 하면 테두리 중심부에는 고정돌기(22b)가 구비된 수평바(22)로 구성되어 상기 거치판(10)의 하단을 지지하게 연결되는 설치대(20); 상기 거치판(10)과 설치대(20)의 중심부위를 상하 연결하는 막대 형상으로 길이 방향 상단에는 상기 체결돌기(14)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안착홈(31)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31)과 대향되는 하단 부위는 상기 연결홈(22a)에 삽입되는 연결바(30); 상기 연결바(30)의 하단을 지지하는 판 형상으로, 상면 길이 방향으로는 상기 수평바(22)의 하단이 안착되는 지지홈(41)이 형성되고, 상면 지지홈(41)의 중심 부위에는 상기 고정돌기(22b)가 삽입되는 고정공(42)이 형성되며, 하단에는 복수개의 바퀴(43)가 구비된 이동판(40);을 포함하고, 상기 거치판(10)의 상면에는 상기 거치홈(11)에 거치된 소방호스(1)의 외측을 감싸도록 거치홈(11)과 인접한 위치에 힌지(h) 결합되는 복수개의 고정고리(50)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거치판(10)은 상면으로 복수개의 소방호스(1)를 거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도 1 내지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 테두리 길이 방향으로 소방호스(1)가 거치되는 복수개의 거치홈(11)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거치홈(11)은 상기 거치판(10)의 상면으로 반원형의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거치판(10)의 전면 부위에 형성되는 제1거치홈(11a)과, 상기 제1거치홈(11a) 보다 내경이 작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거치홈(11a)과 연결을 이루도록 상기 거치판(10)의 후면 부위에 형성되는 제2거치홈(11b)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거치홈(11)을 이루는 제1거치홈(11a)으로 소방호스(1)와 연결된 분사기구의 전면 부위가 밀착되도록 하고, 상기 제2거치홈(11b)에는 소방호스(1)와 연결된 분사기구의 후면 부위가 밀착되도록 하여, 소방호스(1)의 전면으로 물이 분사되는 경우에도 거치홈(11a)에 밀착되게 결합된 소방호스가 거치홈(11a)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소방호스(1)는 도 1, 도 5, 도 6, 도 7에서와 같이, 분사기구나 관창이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말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거치판(10)의 상면에는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거치홈(11)과 인접한 위치에 힌지(h)를 통하여 고정고리(50)가 결합 구성된다.
상기 고정고리(50)는 도 1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거치홈(11)과 인접한 위치에 힌지(h)로 회전되게 결합되어 거치홈(11)에 거치되는 소방호스(1)의 상면을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설명한 바와 같이, 거치홈(11)과 인접한 위치에 힌지(h)로 설치되는 상기 고정고리(50)는, 상기 제1거치홈(11a)과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제1거치홈(11a)과 인접한 위치에 일단이 힌지(h)로 체결되고, 타단에 형성된 설치공(51a)에 삽입되는 볼트(P)를 통하여 상기 힌지(h)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된 거치판(10)의 고정공(16)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거치홈(11a)에 거치되는 소방호스(1)의 전면 부위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제1고정고리(51)와, 상기 제2거치홈(11b)과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고리 형상으로, 상기 제2거치홈(11b)과 인접한 위치에 일단이 힌지(h)로 체결되고, 타단에 형성된 설치공(52a)으로 삽입되는 볼트(P)를 통하여 상기 힌지(h)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된 거치판(10)의 고정공(16)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거치홈(11b)에 거치되는 소방호스(1)의 후면 부위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제2고정리(52)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1고정고리(51)는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고리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하되, 내경이 상기 제1거치홈(11a)의 내경과 대응되게 형성함으로써,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제1거치홈(11a)에 거치된 소방호스(1)의 전면을 용이하게 감싸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제2고정고리(52)는 상기 제1고정고리(51)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거치판(10)의 제2거치홈(11b)과 인접한 위치에 힌지(h)로 회전되게 설치되는 것이며, 내경이 상기 제2거치홈(11b)의 내경과 대응되도록 형성하여 제2거치홈(11b)에 거치를 이룬 소방호스(1)의 후면을 용이하게 감싸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거치홈(11a)과 제2거치홈(11b)에 거치된 소방호스(1)의 상면을 상기 제1고정고리(51)와 제2고정고리(52)로 감싸도록 한 후에는 상기 제1고정고리(51)의 설치공(51a)과 제2고정고리(52)의 설치공(52a)으로 볼트(P)를 체결함으로써, 도 4 및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거치홈(11a)과 제2거치홈(11b)에 거치되는 소방호스(1)의 상부를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대(20)는 도 1 내지 도 5에서 나타내 바와 같이, 상기 거치판(10)의 하단에 수직 방향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거치판(10)의 체결공(13a)으로 수평공(21a)을 밀착시킨 후, 상기 수평공(21a)에 삽입되어 체결공(13a)에 체결되도록 조절손잡이(23)를 결합하여 도시한 도 2에서와 같이, 거치판(10)의 하단에 설치대의 수직바(21)가 연결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수직바(21)는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거치판(10)의 삽입홈(13)으로 수직바(21)의 상단이 밀착되게 결합을 이루는 것이며, 상기 거치판(10)의 양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수직바(21)가 거치판(10)의 삽입홈(13)에 마주보는 방향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가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조절손잡이(23)를 조절하여, 거치판(10)과 지지바(21)가 견고하게 결합 된 상태를 이루도록 하거나, 상기 거치판(10)과 지지바(21)의 연결 부위를 중심으로 상기 거치판(10)의 회전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상기 거치판(10)의 거치홈(11)에 거치를 이룬 소방호스(1)의 분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설치대(20)의 수평바(22)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직바(21)의 하단을 연결하게 구성되는 것으로, 도 1 내지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평바(22)의 상면 테두리 중심부에는 연결홈(22a)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22a)과 대향되는 하면 테두리 중심부에는 고정돌기(22b)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연결홈(22a)은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연결바(30)의 하단이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고정돌기(22b)는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이동판(40)의 고정공(42)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바(30)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길이 방향의 상단에 형성된 안착홈(31)이 거치판(10)의 체결돌기(14)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것이며, 하단은 설치대(20)의 연결홈(22a)에 삽입되도록 결합된다.
위와 같은 구성은,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설치대(20)와 연결된 거치판(10)의 위치를 사용자가 조절하는 경우에, 안착홈(31)의 내측에 결합되는 체결돌기(14)가 안착홈(31)의 내측에서 회전을 이룰 수 있도록 결합하여, 거치판(10)의 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거치판(10)의 하단을 상기 연결바(30)로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동판(40)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바(30)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상면 길이 방향에 형성된 지지홈(41)으로 수평바(22)의 하단이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결합되게 구성되는 것이며, 이러한 결합을 이루는 경우에도 설치대(20)를 이루는 수평바(22)의 하단에 형성된 고정돌기(22b)가 상기 지지홈(41)의 중심 부위에 형성되는 고정공(42)에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이동판(40)의 상부로 설치대(20)가 견고한 결합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거치판(10)은 상기 수직바(21)의 상단이 밀착되는 부위에 상단공(17)이 더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수직바(21)는 상기 상단공(17)과 밀착되는 부위에 하단공(21b)이 더 형성되어 구성되며, 상기 상단공(17)과 하단공(21b)에는 고정바(60)가 더 체결되어 상기 거치판(10)과 설치대(20)의 결합 위치가 고정되게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도시한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거치판(10)에 형성된 상단공(17)으로 고정바(60)의 상단을 결합한 후에, 상기 고정바(60)의 하단이 수직바(21)의 하단공(21b)에 결합되도록 하여 거치판(10)과 설치대(20)가 고정된 상태로 결합되게 구성되는 것이다.
이는 즉, 사용자가 상기 거치판(10)과 설치대(20)의 결합을 조절하여, 도 7에서와 같이, 설치대(20)에 결합된 거치판(10)의 결합 위치를 조절하며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바(60)의 구성을 통하여 설치대(20)와 결합을 이룬 거치판(10)의 결합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며 사용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10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이동판(40)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볼트공(18a)을 갖는 안착홈(18)이 더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안착홈에는 바닥고정판(70)이 더 결합되어 구성되며, 상기 바닥고정판(70)은 상기 안착홈(18)과 대응되는 판 형상으로 상기 볼트공(18a)과 대응되는 복수개의 삽입공(71a)이 형성된 결합판(71)과, 상기 결합판(71)의 전면으로 'ㄱ'자 형상의 지지바(72)로 연결되어 이동판(40)이 설치된 지면(G)의 상부에 밀착되게 위치되는 밀착판(7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이동판(40)의 안착홈(18)으로 바닥고정판(70)의 결합판(71)을 삽입하고, 상기 결합판(71)의 삽입공(71a)으로 볼트(P)를 체결하여 상기 안착홈(18)의 볼트공(18a)으로 볼트(P)가 체결되게 구성함으로써, 상기 안착홈(18)의 내측으로 바닥고정판(70)의 결합판(71)을 고정시키고, 상기 결합판(71)과 지지바(72)를 통하여 연결된 밀착판(72)을 이동판(40)이 설치된 지면(G)의 상부에 밀착되게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이동판(40)이 거치판(10)의 거치홈(11)에 거치되는 소방호스(1)의 분사압력으로 인하여 설치된 위치를 벗어나거나,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는 즉, 사용자가 거치판(10)에 구비된 손잡이(12)를 파지하여 거치홈(11)에 거치된 소방호스(1)의 분사압력에 대응하며 거치판(10)의 위치를 조절하는 경우에도, 상기 바닥고정판(70)의 구성을 통하여 이동판(40)의 위치가 고정됨으로써, 소방호스(1)의 분사 위치를 더욱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22b)의 하단에는 복수개의 결합홈(22b-1)이 더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결합홈(22b-1)에는 사각형의 박스 형상으로 상면에는 상기 결합홈(22b-1)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결합돌기(81)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지면(G)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고정핀(82)이 구비된 위치고정구(80)가 더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고정돌기(22b)의 하단으로 고정핀(82)이 구비된 위치고정구(80)를 설치함으로써, 지면(G)의 상부에 이동판(40)이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거치판(10)의 거치홈(11)에 결합된 소방호스(1)를 통하여 화재가 발생 된 지점으로 물을 분사하는 경우에도, 이동판(40)의 설치 위치를 고정하며 용이한 사용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더하여, 도 8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설치대(20)와 연결된 거치판(10)을 분리하여 철제구조물(2)의 상단에 거치판(10)의 체결홈(15)이 밀착되도록 거치시키며 사용을 이룰 수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소방호스 10: 거치판
11: 거치홈 11a: 제1거치홈
11b: 제2거치홈 12: 손잡이
13: 삽입홈 13a: 체결공
14: 체결돌기 15: 체결홈
16: 고정공 17: 상단공
18: 안착홈 18a: 볼트공
20: 설치대 21: 수직바
21a: 수평공 21b: 하단공
22: 수평바 22a: 연결홈
22b: 고정돌기 22b-1: 결합홈
23: 조절손잡이 30: 연결바
31: 안착홈 40: 이동판
41: 지지홈 42: 고정공
43: 바퀴 50: 고정고리
51: 제1고정고리 51a,52a: 설치공
52: 제2고정고리 60: 고정바
70: 바닥고정판 71: 결합판
71a: 삽입공 72: 지지바
73: 밀착판 80: 위치고정구
81: 결합돌기 82: 고정핀

Claims (5)

  1. 상면 테두리의 길이 방향으로 소방호스(1)가 거치되는 복수개의 거치홈(11)이 형성되고, 길이 방향 양단에는 손잡이(12)가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12)와 인접한 양측 테두리 부위 하단에는 체결공(13a)이 형성된 삽입홈(13)이 내측 중심부를 향하여 절곡되게 형성되고, 상기 거치홈(11)과 대향되는 하면 테두리 중심부에는 바 형상의 체결돌기(14)를 갖는 체결홈(15)이 형성된 거치판(10);
    상기 체결공(13a)과 대응되는 수평공(21a)이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수평공(21a)에 삽입되어 체결공(13a)에 체결되는 조절손잡이(23)를 통하여 상기 삽입홈(13)의 일면에 결합되는 수직바(21)와, 상기 수직바(21)의 하단을 연결하는 막대 형상으로 상면 테두리 중심부에는 연결홈(22a)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22a)과 대향되는 하면 테두리 중심부에는 고정돌기(22b)가 구비된 수평바(22)로 구성되어 상기 거치판(10)의 하단을 지지하게 연결되는 설치대(20);
    상기 거치판(10)과 설치대(20)의 중심부위를 상하 연결하는 막대 형상으로 길이 방향 상단에는 상기 체결돌기(14)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안착홈(31)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31)과 대향되는 하단 부위는 상기 연결홈(22a)에 삽입되는 연결바(30);
    상기 연결바(30)의 하단을 지지하는 판 형상으로, 상면 길이 방향으로는 상기 수평바(22)의 하단이 안착되는 지지홈(41)이 형성되고, 상면 지지홈(41)의 중심 부위에는 상기 고정돌기(22b)가 삽입되는 고정공(42)이 형성되며, 하단에는 복수개의 바퀴(43)가 구비된 이동판(40);을 포함하고,
    상기 거치판(10)의 상면에는 상기 거치홈(11)에 거치된 소방호스(1)의 외측을 감싸도록 거치홈(11)과 인접한 위치에 힌지(h) 결합되는 복수개의 고정고리(50)가 결합되어 구성되되,
    상기 거치홈(11)은
    상기 거치판(10)의 전면 부위에 형성되는 제1거치홈(11a)과,
    상기 제1거치홈(11a) 보다 내경이 작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거치홈(11a)과 연결되게 거치판(10)의 후면 부위에 형성되는 제2거치홈(11b)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고리(50)는
    상기 제1거치홈(11a)과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고리 형상으로, 상기 제1거치홈(11a)과 인접한 위치에 일단이 힌지(h)로 체결되고, 타단에 형성된 설치공(51a)으로 삽입되는 볼트(P)를 통하여 상기 힌지(h)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된 거치판(10)의 고정공(16)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거치홈(11a)에 거치되는 소방호스(1)의 전면 부위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제1고정고리(51)와,
    상기 제2거치홈(11b)과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고리 형상으로, 상기 제2거치홈(11b)과 인접한 위치에 일단이 힌지(h)로 체결되고, 타단에 형성된 설치공(52a)으로 삽입되는 볼트(P)를 통하여 상기 힌지(h)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된 거치판(10)의 고정공(16)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거치홈(11b)에 거치되는 소방호스(1)의 후면 부위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제2고정리(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소방호스 받침대.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판(10)은
    상기 수직바(21)의 상단이 밀착되는 부위에 상단공(17)이 더 형성되고,
    상기 수직바(21)는 상기 상단공(17)과 밀착되는 부위에 하단공(21b)이 더 형성되며,
    상기 상단공(17)과 하단공(21b)에는 고정바(60)가 더 체결되어 상기 거치판(10)과 설치대(20)의 결합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소방호스 받침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40)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볼트공(18a)을 갖는 안착홈(18)이 더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에는 바닥고정판(70)이 더 결합되며,
    상기 바닥고정판(70)은
    상기 안착홈(18)과 대응되는 판 형상으로 상기 볼트공(18a)과 대응되는 복수개의 삽입공(71a)이 형성된 결합판(71)과,
    상기 결합판(71)의 전면으로 'ㄱ'자 형상의 지지바(72)로 연결되어 이동판(40)이 설치된 지면의 상부에 밀착되게 위치되는 밀착판(7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소방호스 받침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22b)의 하단에는 복수개의 결합홈(22b-1)이 더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22b-1)에는
    사각형의 박스 형상으로 상면에는 상기 결합홈(22b-1)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결합돌기(81)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지면(G)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고정핀(82)이 구비된 위치고정구(80)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소방호스 받침대.
KR1020190024692A 2019-03-04 2019-03-04 이동식 소방호스 받침대 KR101992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692A KR101992619B1 (ko) 2019-03-04 2019-03-04 이동식 소방호스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692A KR101992619B1 (ko) 2019-03-04 2019-03-04 이동식 소방호스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2619B1 true KR101992619B1 (ko) 2019-06-25

Family

ID=67065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4692A KR101992619B1 (ko) 2019-03-04 2019-03-04 이동식 소방호스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2619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1116B1 (ko) * 2019-10-10 2020-03-19 주식회사 우진하이텍 소방호스용 방수포 거치대
KR102126198B1 (ko) * 2020-05-19 2020-06-24 주식회사 한국나이스기술단 건축물 소방용 매립형 관창 클램핑 장치
KR102219605B1 (ko) * 2020-12-27 2021-02-23 심태선 소방호스 지지용 삼각대
KR102303996B1 (ko) * 2021-02-01 2021-09-27 (주)이룸이앤씨 비상용 소화전
KR102361095B1 (ko) * 2021-08-10 2022-02-15 주식회사 삼진탑엔지니어링 건축물 화재 진화용 소방용 소화용수 분사노즐 클램핑장치
KR102372206B1 (ko) 2020-12-10 2022-03-10 박미주 호스 고정장치
KR102429197B1 (ko) * 2022-04-29 2022-08-05 (주)지여이앤씨 건축물의 소방용 소화용수 분사노즐 클램핑장치
KR102475785B1 (ko) * 2021-11-24 2022-12-08 (주)이림기술단 건축물 화재 진화용 소방용 소화용수 분사노즐 클램핑장치
KR20230027554A (ko) * 2021-08-19 2023-02-28 이영훈 호스거치대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53U (ja) * 1982-06-23 1984-01-05 東燃石油化学株式会社 消火ノズル用架台
JPH09220294A (ja) * 1996-02-16 1997-08-26 Idemitsu Kosan Co Ltd 消火用ホースカー
KR200436120Y1 (ko) * 2006-09-30 2007-05-31 최상봉 소방호스 거치용 유, 무인방수대
KR200465572Y1 (ko) 2011-10-28 2013-02-26 박찬규 소방용 관창
KR200480960Y1 (ko) 2015-04-06 2016-08-01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소방호스 소방수 분사 테스트용 받침대
KR20170029267A (ko) * 2015-09-07 2017-03-15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간이 방수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53U (ja) * 1982-06-23 1984-01-05 東燃石油化学株式会社 消火ノズル用架台
JPH09220294A (ja) * 1996-02-16 1997-08-26 Idemitsu Kosan Co Ltd 消火用ホースカー
KR200436120Y1 (ko) * 2006-09-30 2007-05-31 최상봉 소방호스 거치용 유, 무인방수대
KR200465572Y1 (ko) 2011-10-28 2013-02-26 박찬규 소방용 관창
KR200480960Y1 (ko) 2015-04-06 2016-08-01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소방호스 소방수 분사 테스트용 받침대
KR20170029267A (ko) * 2015-09-07 2017-03-15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간이 방수포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1116B1 (ko) * 2019-10-10 2020-03-19 주식회사 우진하이텍 소방호스용 방수포 거치대
KR102126198B1 (ko) * 2020-05-19 2020-06-24 주식회사 한국나이스기술단 건축물 소방용 매립형 관창 클램핑 장치
KR102372206B1 (ko) 2020-12-10 2022-03-10 박미주 호스 고정장치
KR102219605B1 (ko) * 2020-12-27 2021-02-23 심태선 소방호스 지지용 삼각대
KR102303996B1 (ko) * 2021-02-01 2021-09-27 (주)이룸이앤씨 비상용 소화전
KR102361095B1 (ko) * 2021-08-10 2022-02-15 주식회사 삼진탑엔지니어링 건축물 화재 진화용 소방용 소화용수 분사노즐 클램핑장치
KR20230027554A (ko) * 2021-08-19 2023-02-28 이영훈 호스거치대
KR102589360B1 (ko) * 2021-08-19 2023-10-16 이영훈 호스거치대
KR102475785B1 (ko) * 2021-11-24 2022-12-08 (주)이림기술단 건축물 화재 진화용 소방용 소화용수 분사노즐 클램핑장치
KR102429197B1 (ko) * 2022-04-29 2022-08-05 (주)지여이앤씨 건축물의 소방용 소화용수 분사노즐 클램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2619B1 (ko) 이동식 소방호스 받침대
EP2839862B1 (en) Bracket for fixing fire protection sprinkler
US7065914B1 (en) Stock arm monopod
US20060208139A1 (en) Video monitor mount
US10751558B2 (en) Universal nozzle connector with an adjustable mount
US20080197249A1 (en) Video monitor mount
US20110278336A1 (en) Pivoting hitch-mounted cargo carrier
KR200479882Y1 (ko) 낚시받침틀
KR102487692B1 (ko) 건축물 화재 진화용 소방용 소화용수 분사노즐 클램핑장치
KR102361095B1 (ko) 건축물 화재 진화용 소방용 소화용수 분사노즐 클램핑장치
US6267308B1 (en) Curb cleaner nozzle assembly
KR102484759B1 (ko) 건축물의 화재 진화용 소방용 소화용수 분사노즐 클램핑장치
KR102475785B1 (ko) 건축물 화재 진화용 소방용 소화용수 분사노즐 클램핑장치
KR101447138B1 (ko) 이동식 분무기
KR101746112B1 (ko) 지게형 농약 분무장치
KR200446087Y1 (ko) 이동식 겸용 배부식 분무기
JP2001120679A (ja) 消防ホースキャリヤ
KR200445262Y1 (ko) 농약살포용 호스 안내구
JP2008083106A (ja) 壁面取付け機能を備えた薄型表示装置および薄型表示装置を支持する支持装置。
CN209846474U (zh) 一种多功能置物架
KR102089168B1 (ko) 낚시 받침대 고정장치
CN109663248B (zh) 一种船舶消防员装备存放机构
CN215031953U (zh) 一种疏通车
CN217190258U (zh) 一种可以旋转的雾化喷头
KR200249323Y1 (ko) 낚시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