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5785B1 - 건축물 화재 진화용 소방용 소화용수 분사노즐 클램핑장치 - Google Patents

건축물 화재 진화용 소방용 소화용수 분사노즐 클램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5785B1
KR102475785B1 KR1020210162870A KR20210162870A KR102475785B1 KR 102475785 B1 KR102475785 B1 KR 102475785B1 KR 1020210162870 A KR1020210162870 A KR 1020210162870A KR 20210162870 A KR20210162870 A KR 20210162870A KR 102475785 B1 KR102475785 B1 KR 102475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groove
fire extinguishing
fire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2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길현옥
Original Assignee
(주)이림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림기술단 filed Critical (주)이림기술단
Priority to KR1020210162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57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5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5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3/00Hose accessories
    • A62C33/04Supports or clamps for fire ho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체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건축물의 화재 진화시 사용되는 분사노즐을 고정 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 화재 진화용 소방용 소화용수 분사노즐 클램핑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특징적인 구성은, 건축물의 벽체와 대응되는 부위에 볼트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결합공이 형성되며, 개방된 전면의 내측 중심 부위에는 보관홈이 형성되고, 상기 보관홈의 내측에는 물품수납함이 구비되며, 전면 테두리 부위와 인접한 내측면에는 복수개의 연결홈이 형성된 고정바가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고, 개방된 전면 테두리 부위에는 복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된 설치함과, 상기 체결공과 대응되는 부위에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에 결합되는 볼트를 통하여 상기 설치함의 전면을 가리도록 결합되는 덮개판과, 상기 물품수납함의 내측에 보관되어 사용시 인출되며, 장형의 바 형상으로, 일단에는 상기 연결홈에 탈착 결합되는 연결돌기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면에는 연결고리가 구비된 연결바와, 상기 물품수납함의 내측에 보관되어 사용시 인출되며, 일측 테두리 부위에는 상기 삽입홈에 탈착 결합되는 삽입돌기가 구비되고, 상면에는 분사노즐의 하단이 안착 결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며, 외측 테두리 부위에는 복수개의 고정고리가 구비되고, 상기 안착홈과 인접한 상면에는 고정공이 형성된 노즐지지판과, 상기 노즐지지판에 안착 결합된 분사노즐의 상부를 감싸 고정 시키도록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노즐지지판의 상면에 힌지를 통하여 회전되게 결합되고 타단에는 상기 고정공과 대응되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에 체결되는 볼트를 통하여 상기 안착홈에 거치된 분사노즐의 상부를 감싸 고정시키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건축물 화재 진화용 소방용 소화용수 분사노즐 클램핑장치{Fire extinguishing water spray nozzle clamping structure for building fire extinguishing}
본 발명은 건축물 화재 진화용 소방용 소화용수 분사노즐 클램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벽체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건축물의 화재 진화시 사용되는 분사노즐을 고정 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 화재 진화용 소방용 소화용수 분사노즐 클램핑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 되는 경우에는 건축물에 구비된 각종 소방기구를 사용하여 화재를 진압하거나, 소방차에 구비된 소방시설을 사용하여 화재를 진압하게 된다.
이때, 건축물에 구비된 소방기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소화기와 같이, 편리하게 휴대하여 사용을 이룰 수 있는 휴대용 소화기구가 있으며, 건축물에 구비된 소화전의 소방호스와 분사노즐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소방호스의 단부에 구비된 분사노즐을 이용하여 화재가 발생된 지점으로 소화용수를 분사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건축물에 발생 된 화재가 크게 번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소화기와 같은 휴대용 소화기구를 사용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지만, 건축물에 발생 된 화재가 크게 번진 경우에는 소화전에 구비된 소방호스를 인출하여 사용하거나, 소방차에 구비된 소방호스를 이용하여야만 화재의 진압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이, 소방호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소화용수를 소방호스를 통하여 공급받아 소방호스의 단부에 구비된 분사노즐을 통하여 화재가 발생 된 지점으로 소화용수를 분사함으로써, 건축물에 발생 된 화재를 용이하게 진압할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건축물에 구비된 종래의 소방설비는 문헌(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 되는 경우, 외부에서 공급되는 소화용수를 이송시킬 수 있는 소방호스와 분사노즐을 인출하여 화재가 발생 된 지점으로 물을 분사할 수 있게 구성된다.
그러나 소방호스를 통하여 이송되는 물을 분사노즐로 분사하며 화재 진압을 이루는 경우에는, 소방호스를 통하여 이송되는 물의 압력으로 인하여 분사노즐이 흔들림으로써, 소화용수의 용이한 분사를 이루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 될 수 있었고, 분사노즐이 소화용수의 분사압력으로 흔들려 사용자의 머리나 신체를 가격 하는 문제가 발생 될 수 있었던 것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36968호(2020.07.16)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건축물에 구비된 소화전의 소방호스를 사용하거나 소방차의 소방호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소방호스의 분사노즐을 편리하게 고정 시켜 분사노즐이 소화용수의 분사압력에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소화용수의 분사압력으로 인하여 분사노즐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분사노즐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머리나 신체가 가격 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사용을 이루지 않는 경우에는 건축물의 벽체 내부에 보관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사용을 이루고자 하는 경우에만 설치함의 내측에서 인출하여 사용을 이루도록 구성함으로써, 보관은 물론이고 사용상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넷째, 결합, 분리 가능한 구성을 통하여 사용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이 손상되는 경우에도 손상된 부위를 교체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유지할 수 있어 화재와 같은 긴급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대처를 이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체와 대응되는 부위에 볼트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결합공이 형성되며, 개방된 전면의 내측 중심 부위에는 보관홈이 형성되고, 상기 보관홈의 내측에는 물품수납함이 구비되며, 전면 테두리 부위와 인접한 내측면에는 복수개의 연결홈이 형성된 고정바가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고, 개방된 전면 테두리 부위에는 복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된 설치함과, 상기 체결공과 대응되는 부위에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에 결합되는 볼트를 통하여 상기 설치함의 전면을 가리도록 결합되는 덮개판과, 상기 물품수납함의 내측에 보관되어 사용시 인출되며, 장형의 바 형상으로, 일단에는 상기 연결홈에 탈착 결합되는 연결돌기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면에는 연결고리가 구비된 연결바와, 상기 물품수납함의 내측에 보관되어 사용시 인출되며, 일측 테두리 부위에는 상기 삽입홈에 탈착 결합되는 삽입돌기가 구비되고, 상면에는 분사노즐의 하단이 안착 결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며, 외측 테두리 부위에는 복수개의 고정고리가 구비되고, 상기 안착홈과 인접한 상면에는 고정공이 형성된 노즐지지판과, 상기 노즐지지판에 안착 결합된 분사노즐의 상부를 감싸 고정 시키도록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노즐지지판의 상면에 힌지를 통하여 회전되게 결합되고 타단에는 상기 고정공과 대응되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에 체결되는 볼트를 통하여 상기 안착홈에 거치된 분사노즐의 상부를 감싸 고정시키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설치함의 전면 테두리 부위에는 복수개의 지지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물품수납함의 내측에는 사용시 인출되며, 상기 지지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설치고리와, 상기 설치고리와 상기 연결고리 및 고정고리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탄성줄이 더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건축물에 구비된 소화전의 소방호스를 사용하거나 소방차의 소방호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소방호스의 분사노즐을 편리하게 고정 시켜 분사노즐이 소화용수의 분사압력에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다.
둘째, 소화용수의 분사압력으로 인하여 분사노즐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분사노즐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머리나 신체가 가격 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사용을 이루지 않는 경우에는 건축물의 벽체 내부에 보관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사용을 이루고자 하는 경우에만 설치함의 내측에서 인출하여 사용을 이루도록 구성함으로써, 보관은 물론이고 사용상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넷째, 결합, 분리 가능한 구성을 통하여 사용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이 손상되는 경우에도 손상된 부위를 교체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유지할 수 있어 화재와 같은 긴급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대처를 이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건축물 화재 진화용 소방용 소화용수 분사노즐 클램핑장치가 건축물의 벽체에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건축물 화재 진화용 소방용 소화용수 분사노즐 클램핑장치가 건축물의 벽체에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다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건축물 화재 진화용 소방용 소화용수 분사노즐 클램핑장치가 건축물의 벽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건축물 화재 진화용 소방용 소화용수 분사노즐 클램핑장치가 건축물의 벽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다른 사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체(1)와 대응되는 부위에 볼트(P)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결합공(11)이 형성되며, 개방된 전면의 내측 중심 부위에는 보관홈(12)이 형성되고, 상기 보관홈(12)의 내측에는 물품수납함(13)이 구비되며, 전면 테두리 부위와 인접한 내측면에는 복수개의 연결홈(14a)이 형성된 고정바(14)가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고, 개방된 전면 테두리 부위에는 복수개의 체결공(15)이 형성된 설치함(10)과, 상기 체결공(15)과 대응되는 부위에 복수개의 관통공(21)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21)에 결합되는 볼트(P)를 통하여 상기 설치함(10)의 전면을 가리도록 결합되는 덮개판(20)과, 상기 물품수납함(13)의 내측에 보관되어 사용시 인출되며, 장형의 바 형상으로, 일단에는 상기 연결홈(14a)에 탈착 결합되는 연결돌기(31)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삽입홈(32)이 형성되며 상면에는 연결고리(33)가 구비된 연결바(30)와, 상기 물품수납함(13)의 내측에 보관되어 사용시 인출되며, 일측 테두리 부위에는 상기 삽입홈(32)에 탈착 결합되는 삽입돌기(41)가 구비되고, 상면에는 분사노즐(2)의 하단이 안착 결합되는 안착홈(42)이 형성되며, 외측 테두리 부위에는 복수개의 고정고리(43)가 구비되고, 상기 안착홈(42)과 인접한 상면에는 고정공(44)이 형성된 노즐지지판(40)과, 상기 노즐지지판(40)에 안착 결합된 분사노즐(2)의 상부를 감싸 고정시키도록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노즐지지판(40)의 상면에 힌지(h)를 통하여 회전되게 결합되고 타단에는 상기 고정공(44)과 대응되는 삽입공(51)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51)에 체결되는 볼트(P)를 통하여 상기 안착홈(42)에 거치된 분사노즐(2)의 상부를 감싸 고정시키는 고정브라켓(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설치함(10)은 도 1 내지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전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건축물의 벽체(1)에 설치되는 경우, 벽체(1)와 대응되는 부위에 복수개 형성된 결합공(11)에 체결되는 볼트(P)를 통하여 벽체(1)의 전면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설치함(10)은 전면이 개방된 상태에서 내측 중심 부위에 보관홈(12)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보관홈(12)의 내측으로는 물품수납함(13)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물품수납함(13)은 도 1 내지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연결바(30), 노즐지지판(40), 고정브라켓(50)이 수납될 수 있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바(30), 노즐지지판(40), 고정브라켓(50)은 상기 물품수납함(13)에 수납을 이룬 상태에서 보관을 이루다, 사용을 이루고자 하는 경우에는 물품수납함(13)의 외측으로 인출되어 사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설치함(10)의 전면 테두리 부위와 인접한 내측면에는 고정바(14)가 구비되어 구성되며, 상기 고정바(14)는 전면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연결홈(14a)이 형성되어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연결바(30)의 일단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공(15)은 상기 설치함(10)의 전면 테두리 부위에 복수개 형성되어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덮개판(20)이 용이하게 결합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덮개판(20)은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설치함(10)의 개방된 전면을 가리도록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체결공(15)과 대응되는 부위에 볼트(P)가 결합 될 수 있는 복수개의 관통공(21)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인 건축물 화재 진화용 소방용 소화용수 분사노즐 클램핑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설치함(10)의 물품수납함(13)으로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연결바(30), 노즐지지판(40), 고정브라켓(50)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덮개판(20)이 설치함(10)의 전면에 결합을 이루도록 하여, 연결바(30), 노즐지지판(40), 고정브라켓(50)이 외부로 노출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보관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바(30)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물품수납함(13)의 내측에서 보관된 상태를 이루다가, 사용을 이루고자 하는 경우, 물품수납함(13)의 외측으로 인출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장형의 바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바(30)의 일단에는 상기 연결홈(14a)에 탈착 결합되는 연결돌기(31)가 구비되어 구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삽입홈(32)이 형성되어 구성되며, 상면에는 연결고리(33)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연결돌기(31)가 상기 고정바(14)의 연결홈(14a)에 결합되어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설치함(10)의 전면에 수평 방향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것이며, 이러한 경우에도 상기 연결홈(14a)에 결합되는 위치를 조절하여 연결바(30)의 설치 위치를 조절하며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노즐지지판(40)은 상기 물품수납함(13)의 내측에 보관된 상태에서, 사용을 이루고자 하는 경우, 물품수납함(13)의 외측으로 인출하여 상기 고정바(14)에 일단이 연결된 연결바(30)의 타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노즐지지판(40)은 상기 삽입홈(32)에 탈착 결합되는 삽입돌기(41)가 일측 테두리 부위에 구비되어 구성되고, 상면에는 분사노즐(2)의 하단이 안착 결합되는 안착홈(42)이 형성되어 구성되며, 외측 테두리 부위에는 복수개의 고정고리(43)가 구비되어 구성되고, 상기 안착홈(42)과 인접한 상면에는 고정공(44)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즉, 상기 연결바(30)가 설치함(10)의 고정바(14)에 일단이 연결된 상태에서 연결바(30)의 삽입홈(32)으로 상기 삽입돌기(41)가 결합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도 3 및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결바(30)의 단부에 노즐지지판(40)이 결합을 이루는 것이며, 이와 같이 결합 된 상태에서는 상기 안착홈(42)으로 분사노즐(2)의 하단이 안착 결합되게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50)은 상기 노즐지지판(40)의 상부에 결합되어 노즐지지판(40)의 안착홈(42)에 하단이 안착 결합된 분사노즐(2)의 상부를 감싸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고정브라켓(50)은 일단이 힌지(h)를 통하여 상기 노즐지지판(40)의 상면에 회전되게 결합되어 상기 힌지(h)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고정공(44)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삽입공(51)이 형성되어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삽입공(51)에 체결되는 볼트(P)가 고정공(44)에 결합되도록 하여, 노즐지지판(40)의 안착홈(42)에 결합된 분사노즐(2)의 상부를 감싸도록 고정브라켓(50)을 위치시키는 경우, 노즐지지판(40)과 고정브라켓(40)의 결합을 통하여 분사노즐(2)의 결합 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더하여, 상기 설치함(10)의 전면 테두리 부위에는 복수개의 지지홈(16)이 더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물품수납함(13)의 내측에는 사용시 인출되며, 상기 지지홈(16)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설치고리(61)와, 상기 설치고리(61)와 상기 연결고리(33) 및 고정고리(43)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탄성줄(62)이 더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도 3 및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설치함(10)의 물품수납함(13)에서 연결바(30), 노즐지지판(40), 고정브라켓(50)을 인출하여 설치하는 경우, 상기 물품수납함(13)의 내측에 보관되어 있던 설치고리(61)를 인출하여 상기 설치함(16)의 지지홈(16)에 복수개 설치한 후, 상기 설치고리(61)에 일단이 연결되는 탄성줄(62)을 상기 연결고리(33) 및 고정고리(43)에 연결 설치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노즐지지판(40)과 고정브라켓(50)을 통하여 고정 설치된 분사노즐(2)을 통하여 화재가 발생 된 지점으로 소화용수를 분사하는 경우에도 상기 탄성줄(62)을 통하여 연결바(30), 노즐지지판(40), 고정브라켓(50)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며 더욱 안정적인 분사노즐(2)의 사용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벽체 2: 분사노즐
3: 소방호스 10: 설치함
11: 결합공 12: 보관홈
13: 물품수납함 14: 고정바
14a: 연결홈 15: 체결공
16: 지지홈 20: 덮개판
21: 관통공 30: 연결바
31: 연결돌기 32: 삽입홈
33: 연결고리 40: 노즐지지판
41: 삽입돌기 42: 안착홈
43: 고정고리 44: 고정공
50: 고정브라켓 51: 삽입공
61: 설치고리 62: 탄성줄
P: 볼트

Claims (2)

  1. 건축물의 벽체(1)와 대응되는 부위에 볼트(P)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결합공(11)이 형성되며, 개방된 전면의 내측 중심 부위에는 보관홈(12)이 형성되고, 상기 보관홈(12)의 내측에는 물품수납함(13)이 구비되며, 전면 테두리 부위와 인접한 내측면에는 복수개의 연결홈(14a)이 형성된 고정바(14)가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고, 개방된 전면 테두리 부위에는 복수개의 체결공(15)이 형성된 설치함(10)과,
    상기 체결공(15)과 대응되는 부위에 복수개의 관통공(21)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21)에 결합되는 볼트(P)를 통하여 상기 설치함(10)의 전면을 가리도록 결합되는 덮개판(20)과,
    상기 물품수납함(13)의 내측에 보관되어 사용시 인출되며, 장형의 바 형상으로, 일단에는 상기 연결홈(14a)에 탈착 결합되는 연결돌기(31)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삽입홈(32)이 형성되며 상면에는 연결고리(33)가 구비된 연결바(30)와,
    상기 물품수납함(13)의 내측에 보관되어 사용시 인출되며, 일측 테두리 부위에는 상기 삽입홈(32)에 탈착 결합되는 삽입돌기(41)가 구비되고, 상면에는 분사노즐(2)의 하단이 안착 결합되는 안착홈(42)이 형성되며, 외측 테두리 부위에는 복수개의 고정고리(43)가 구비되고, 상기 안착홈(42)과 인접한 상면에는 고정공(44)이 형성된 노즐지지판(40)과,
    상기 노즐지지판(40)에 안착 결합된 분사노즐(2)의 상부를 감싸 고정시키도록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노즐지지판(40)의 상면에 힌지(h)를 통하여 회전되게 결합되고 타단에는 상기 고정공(44)과 대응되는 삽입공(51)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51)에 체결되는 볼트(P)를 통하여 상기 안착홈(42)에 거치된 분사노즐(2)의 상부를 감싸 고정시키는 고정브라켓(50)을 포함하며,
    상기 설치함(10)의 전면 테두리 부위에는 복수개의 지지홈(16)이 더 형성되고,
    상기 물품수납함(13)의 내측에는 사용시 인출되며, 상기 지지홈(16)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설치고리(61)와, 상기 설치고리(61)와 상기 연결고리(33) 및 고정고리(43)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탄성줄(62)이 더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화재 진화용 소방용 소화용수 분사노즐 클램핑장치.






  2. 삭제
KR1020210162870A 2021-11-24 2021-11-24 건축물 화재 진화용 소방용 소화용수 분사노즐 클램핑장치 KR102475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870A KR102475785B1 (ko) 2021-11-24 2021-11-24 건축물 화재 진화용 소방용 소화용수 분사노즐 클램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870A KR102475785B1 (ko) 2021-11-24 2021-11-24 건축물 화재 진화용 소방용 소화용수 분사노즐 클램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5785B1 true KR102475785B1 (ko) 2022-12-08

Family

ID=84437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2870A KR102475785B1 (ko) 2021-11-24 2021-11-24 건축물 화재 진화용 소방용 소화용수 분사노즐 클램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57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8634B1 (ko) 2023-01-18 2023-12-01 조병우 건축물 화재진화용 소방용 소화용수 분사노즐 클램핑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7195B1 (ko) * 2016-04-28 2016-09-19 (주)유원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소방용 관창 클램핑 장치
KR101992619B1 (ko) * 2019-03-04 2019-06-25 (주)지여이앤씨 이동식 소방호스 받침대
KR102136968B1 (ko) 2020-03-11 2020-07-22 박성동 실내용 소화전
KR102268572B1 (ko) * 2021-01-18 2021-06-24 주식회사 청림이앤씨 건축물의 절첩형 소방 관창 클램핑장치
KR102303993B1 (ko) * 2021-02-01 2021-09-27 (주)이룸이앤씨 건축물 배수파이프의 화재확산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7195B1 (ko) * 2016-04-28 2016-09-19 (주)유원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소방용 관창 클램핑 장치
KR101992619B1 (ko) * 2019-03-04 2019-06-25 (주)지여이앤씨 이동식 소방호스 받침대
KR102136968B1 (ko) 2020-03-11 2020-07-22 박성동 실내용 소화전
KR102268572B1 (ko) * 2021-01-18 2021-06-24 주식회사 청림이앤씨 건축물의 절첩형 소방 관창 클램핑장치
KR102303993B1 (ko) * 2021-02-01 2021-09-27 (주)이룸이앤씨 건축물 배수파이프의 화재확산 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8634B1 (ko) 2023-01-18 2023-12-01 조병우 건축물 화재진화용 소방용 소화용수 분사노즐 클램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2619B1 (ko) 이동식 소방호스 받침대
KR102475785B1 (ko) 건축물 화재 진화용 소방용 소화용수 분사노즐 클램핑장치
KR102429197B1 (ko) 건축물의 소방용 소화용수 분사노즐 클램핑장치
KR101709676B1 (ko) 소방호스 걸이대
KR102361095B1 (ko) 건축물 화재 진화용 소방용 소화용수 분사노즐 클램핑장치
KR102487692B1 (ko) 건축물 화재 진화용 소방용 소화용수 분사노즐 클램핑장치
KR102484759B1 (ko) 건축물의 화재 진화용 소방용 소화용수 분사노즐 클램핑장치
KR20200055359A (ko) 드라이 팬턴트 조립체
KR200480960Y1 (ko) 소방호스 소방수 분사 테스트용 받침대
US729988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tinguishing fires in a multi-floored building
US2371959A (en) Fire hose safety bracket
JP3215058U (ja) 消火器運搬用リュックサック
KR101805786B1 (ko) 탈부착이 용이한 소화전 호스릴
KR101735747B1 (ko) 건축물의 소방용 관창 클램핑 장치
KR101713236B1 (ko) 소방 분사장치와 시스템
CN109663248B (zh) 一种船舶消防员装备存放机构
JP2001120679A (ja) 消防ホースキャリヤ
JPH07275388A (ja) 手動消火ガス噴射器
US11224774B1 (en) Configurable support for an autonomous firefighting tower
KR102624262B1 (ko) 건축물 화재 진화용 소방용 소화용수 분사노즐 클램핑장치
KR20100006829U (ko) 선박용 포말방사기
KR101045660B1 (ko) 화재진압용 소방장치
KR101908883B1 (ko) 소방호스 리프팅용 걸이구
KR102671923B1 (ko) 건축물 화재 진화용 소방용 소화용수 분사노즐 클램핑장치
KR102641995B1 (ko) 소방 호스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