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882Y1 - 낚시받침틀 - Google Patents

낚시받침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882Y1
KR200479882Y1 KR2020140005096U KR20140005096U KR200479882Y1 KR 200479882 Y1 KR200479882 Y1 KR 200479882Y1 KR 2020140005096 U KR2020140005096 U KR 2020140005096U KR 20140005096 U KR20140005096 U KR 20140005096U KR 200479882 Y1 KR200479882 Y1 KR 2004798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frame
fishing rod
pedestal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50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0161U (ko
Inventor
정태영
Original Assignee
정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태영 filed Critical 정태영
Priority to KR20201400050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882Y1/ko
Publication of KR201600001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1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8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88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낚시좌대 등에 간단히 설치하여 낚시대를 받치는 받침대를 용이하게 탈착, 결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낚시좌대 등을 이용한 매우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낚시를 즐길 수 있도록 한 낚시받침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프레임(1) 상에 형성되어 낚시받침대(10)를 탈착, 설치하는 여러개의 탈착공(2,2')과; 상기 탈착공(2,2')이 구비된 프레임(1)상에 형성되고 체결볼트(4,4')가 결합되어 프레임(1)을 낚시좌대(100)의 설치공(101,101')에 고정, 설치하는 체결공(3,3')과; 상기 낚시받침대(10)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1)의 탈착공(2,2')에 탈착, 결합되는 체결편(11)과; 상기 탈착공(2,2')에 결합된 체결편(11)을 프레임(1)에 고정시키는 체결볼트(12)로 낚시받침틀을 구성한 것에 요지가 있다.

Description

낚시받침틀{TACKLE FOR FISHING}
본 고안은 낚시받침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낚시좌대 등에 간단히 설치하여 낚시대를 받치는 받침대를 용이하게 탈착, 결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낚시좌대 등을 이용한 매우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낚시를 즐길 수 있도록 한 낚시받침틀에 관한 것이다.
저수지 등의 낚시에서 보다 편안하고 효과적으로 낚시를 즐길 수 있도록 낚시좌대가 구비되며, 이러한 낚시좌대는 참고문헌 1 내지 4 등에서와 같이 다양하게 알려져 있다.
참고문헌1에는 알루미늄 소재의 좌판 두개를 맞대어 접쇠로 연결하고 펼친 후 좌판을 지지하는 네 귀에 고정이 가능한 고정 조임틀을 구비하여 높낮이가 조절되는 다리를 부착한 조립 및 분해가 단순하여 누구나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낚시좌대가 게재되어 있고, 참고문헌2에는 낚시용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가 구비된 보조판이 좌판과 함께 절첩되고 지지대 및 클램프의 분리가 용이하여 설치 및 휴대가 간편한 낚시용 좌대가 게재되어 있다.
또, 참고문헌3에는 낚시좌대에 각종 부품을 넣고 가방과 같이 접어서 휴대할 수 있고 다리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좌대 사방 모서리에 결합하도록 구성한 휴대용 낚시좌대가 게재되어 있으며, 참고문헌4에는 알루미늄 소재된 받침판을 힌지부재에 의해 상호 절첩가능하게 하고, 사방 모서리에는 가이드관에 다리를 삽입하여 높낮이조절이 이루어지는 접이식 좌대가 게재되어 있다.
그리고 본 출원인 역시 휴대성과 사용성을 향상시킨 낚시좌대를 선등록 고안한 바 있다. (참고문헌13: 실용신안등록 제20-0459267호)
상기한 예들을 포함한 낚시좌대에는 낚싯대를 받치기 위한 받침대가 결합되는 낚시받침틀이 장착되는 데, 낚싯대를 받치는 받침대가 결합되는 낚시받침틀은 전술한 낚시좌대는 물론 후술하는 낚시바침대 지지장치(일명, 섭다리) 등, 다양한 낚시장비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참고문헌5에 낚시받침대가 설치되는 프레임을 지지하는 수평부재와 수직부재 및 다수의 프레임고정장치로 이루어져 전후 기울기를 쉽게 조절할 수 있고 분리 결합을 용이하게 한 낚시받침대 지지장치가 게재되어 있으며, 참고문헌6에는 좌우설치각도가 조절되고 길이가 신축되며 상하각도가 조절되는 세로지지대 및 거치대가 조립형으로 구성되어 여러 개의 받침대를 효과적으로 장치할 수 있는 낚시 받침틀이 게재되어 있다.
또, 참고문헌7에는 좌우측으로 자유롭게 회전되어 낚시대 고정구의 좌우 위치조정을 용이하게 하고 측면 받침대 및 수직받침대를 힌지부를 통해 접어서 간편하게 휴대,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기능성을 갖춘 낚시 받침대 지지장치가 게재되어 있고, 참고문헌8에 낚시 받침대를 설치하기 위한 복수의 안착대가 마련된 본체와 본체의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절곡레그와 지지레그를 구비시켜 본체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낚시 받침대 고정장치가 게재되어 있다.
상기 참고문헌들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낚시좌대 등에 탈착 결합되어 받침대를 설치하는 낚시받침틀은 위 참고문헌들에 도시 및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받침대를 탈착하는 구조가 간단하지 않고 부피가 큰 등의 단점으로 사용성이 간편하지 않고, 낚시좌대는 물론 낚싯대 지지장치 등에 손쉽게 탈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호환성을 제공하지 못하는 등의 단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낚시좌대 등의 낚시받침틀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받침대 역시 문제점을 갖고 있는 데 이를 간략히 살펴본다.
낚시좌대의 받침틀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종래 받침대는; 전방에 낚싯대를 앞쪽에서 지지하는 앞받침대를 결합하고, 뒷쪽에는 낚싯대 손잡이부분을 걸쳐놓는 뒷받침대(일명 뒷꽂이)를 결합하여 사용하게 되는 데, 낚시대를 전방에서 받치기 위한 앞받침대는 부피가 클 뿐만 아니라 받침틀에 장착하여 사용하기 번거로운 등의 여러 문제가 있다.
이에 낚시받침틀의 구조를 개선하여 보다 간편한 사용성을 제공하기 위한 여러 구조의 받침틀이 아래의 참고문헌 등에서와 같이 제시되었다.
참고문헌9에, 낚시대가 걸쳐지는 다수의 거치수단이 설치되는 프레임을 지면에 고정하는 지지수단의 구조를 개선하여 거치구단을 프레임에 결합, 분리가 용이하하도록 한 낚시대용 받침대가 개시되어 있고, 참고문헌10에, 메인본체와 보조본체가 힌지로 접을 수 있게 거치구를 구성하고 여기에 다수의 낚시받침대를 결합한 낚시받침대용 거치구가 개시되어 있다.
또, 참고문헌11에, 메인 프레임으로부터 간단히 펼쳐지도록 하거나 스프링 핀을 간단히 눌러 접혀지도록 하여 접고 전개하는 간단한 조작성과 휴대성 및 운반의 편의를 제공하는 낚시받침틀이 개시되어 있으며, 참고문헌12에, 상,하 및 전,후로 관통되는 지주결합공과 상하 결합공에 지주를 수평과 수직으로 끼워서 고정하여 낚시대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한 낚시받침대 거치구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기존 받침틀 이들 역시 구조가 간단하지 않고 탈착설치가 쉽지 않는 등의 불편을 개선하지 못하였고, 기존의 받침틀은 낚시대를 거치시키기 위한 앞받침대를 사용해야 하는 등의 여러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앞받침대가 없는 간단한 구조로 낚시대를 거치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 구조와 사용성을 매우 편리하게 개선한 낚시받침대를 선등록고안하였다.(참고문헌14: 실용신안등록 제20-0465317호)
(참고문헌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8-0004068호, 2008.09.24. (참고문헌2)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8-0003845호, 2008.09.11. (참고문헌3)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88-0021107호, 1988.12.23. (참고문헌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52012호, 2010.05.19. (참고문헌5)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43793호, 2009.05.07. (참고문헌6)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60986호, 2010.06.07. (참고문헌7)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29916호, 2011.03.23. (참고문헌8)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4006호, 2009.04.29. (참고문헌9)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35306호, 2009.04.049. (참고문헌10)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97970호, 2012.09.05. (참고문헌1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47489호, 2012.05.21. (참고문헌1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10-0174249호, 2000.03.15. (참고문헌1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9267호, 2012.03.23. (참고문헌14)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6850호, 2012.10.05.
본 고안은 매우 간단한 구조로 제작하여 낚시좌대는 물론 낚시대 지지장치 등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낚시대를 받치는 낚시받침대를 용이하게 탈착,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낚시받침틀을 제공하고자 한다.
즉, 본 고안은 낚시받침대를 탈착하는 탈착공이 구비되어 낚시받침대를 간편하게 탈착, 설치할 수 있는 받침틀을 구성하고, 상기 받침틀은 낚시좌대, 낚시받침대 지지장치 등에 간단히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또, 본 고안은 본 출원인이 선등록 고안한 간편한 소부피 구조의 낚시받침대(참고문헌14:실용신안등록 제20-0465317호)를 활용하여 더욱 간편한 구조로 낚시받침대를 구성하고, 이를 낚시받침틀에 용이하게 탈착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소부피로 휴대 및 이동성이 용이하고 신속하고 간편하게 채비를 준비하여 낚시를 즐길 수 있게 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해결을 위한 본 고안은;
[청구항1]에 기재된 고안에 따르면; 체결공에 체결볼트를 결합하여 낚시좌대의 설치공에 고정, 설치하는 프레임 상에 탈착공을 형성하여 낚시받침대의 체결편을 탈착, 설치할 수 있도록 한 낚시받침틀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탈착공은; 낚시받침대의 체결편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공과, 상기 결합공에 연통되어 형성되고 결합공을 통해 결합된 체결편이 고정되는 고정공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2]에 기재된 고안에 따르면;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전후에 보강부를 절곡 형성하여 구성하고, 상기 프레임의 탈착공은; 후방 보강부에 낚시받침대의 체결편이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프레임 상면에 상기 보강부의 결합공에 연통되어 낚시받침대의 체결편이 고정되는 고정공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3]에 기재된 고안에 따르면;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평판형으로 프레임을 구성하고, 상기 프레임의 탈착공은; 상부로부터 낚시받침대의 체결편이 삽입되는 결합공과, 상기 결합공에 나란히 형성되어 결합공으로부터 결합된 낚시받침대의 체결편이 고정되는 고정공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로 제작이 용이하면서 휴대, 사용성이 매우 편리한 낚시받침틀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하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낚시좌대는 물론 일명, 섭다리 등의 낚시대 지지장치 등에 매우 간편하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낚시받침대를 용이하게 탈착,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어 간편하고 신속하게 채비를 준비하여 낚시를 즐길 수 있다.
본 고안은, 낚시받침대를 앞받침대가 없는 간편하고 작은 부피의 낚시받침대를 낚시받침틀에 탈착, 설치하는 것만으로 편리하게 채비 준비를 완료할 수 있어 낚시장비의 소부피화로 휴대, 이동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제작이 용이한 간단한 구조의 낚시받침틀을 제공하고, 또 낚시받침대를 낚시받침틀에 손쉽고 신속하게 탈착,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어 낚시의 효율성을 제고할 뿐만 아니라 낚시의 간편화와 낚시장비의 소부피화 등으로 이동성과 휴대성을 극대화하여 매우 우수한 사용편이성을 제공할 수 있는 등의 많은 이익과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요부 발췌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 발췌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을 낚시좌대에 설치, 사용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사용상태를 보인 결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을 낚시받침대 지지장치에 설치, 사용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중 낚시받침대의 발췌 사시도
본 고안은, 낚시좌대는 물론 낚시대 지지장치 등에 간단히 결합하여 낚싯대를 받치기 위한 낚시받침대를 신속, 용이하게 탈착, 설치할 수 있는 낚시받침틀을 구성한 것에 요지가 있다.
낚시받침틀은 프레임상에 낚시받침대를 탈착, 설치하기 위한 탈착공이 형성된다. 상기 탈착공은 여러 개의 낚시받침대를 설치할 수 있도록 다수개로 구성되고, 낚시좌대, 낚시대 지지장치 등에 결합하기 위한 설치공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낚시받침대를 탈착하는 탈착공과, 낚시좌대 등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공이 형성되는 프레임은 절곡형, 평판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어 낚시받침틀을 구성하고, 상기 낚시받침틀의 탈착공에 탈착, 결합되는 낚시받침대에는 탈착공에 탈착되는 체결편과 낚시받침대를 낚시받침틀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볼트가 구비된다.
상기 낚시받침대는 가장 바람직한 예로 앞받침대가 일체로 형성된 낚시받침대로 구성한다.
상기 낚시받침대는 지주대 상단에 뒤받침대가 형성되고, 전방으로 앞받침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앞받침대는 조절손잡이 상하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지주대 하부에는 좌우로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대가 설치된다. 이러한 낚시받침대는 본 출원인의 선등록 고안(실용신안등록 제20-0465317호)과 동일하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낚시받침대 하단에 프레임의 탈착공에 결합되는 체결편을 형성하고 체결볼트를 결합하여 낚시받침대를 구성한다.
또, 상기 낚시받침대는 앞받침대와 뒷받침대가 결합되는 통상의 낚시받침대로 실시할 수 있는 데, 상기 낚시받침대 하부에 역시 프레임의 탈착공에 결합되는 체결편을 형성하고, 체결볼트로 고정시키도록 낚시받침대를 구성한다.
이하에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내용을 첨부 도면과 함께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요부 발췌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 발췌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을 낚시좌대에 설치,사용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사용상태를 보인 결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을 낚시받침대 지지장치에 설치,사용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낚시좌대(100) 또는 낚싯대 지지장치(200) 등에 설치하여 낚시받침대(10)를 탈착, 설치하는 낚시받침틀을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는 것으로, 일례로서, 도 3은 낚시좌대(100)에, 도 5는 낚시받침대 지지장치(200)에 설치한 예를 도시하였다.
낚시받침틀은 프레임(1) 상에 낚시받침대(10)를 탈착, 설치하기 위한 여러개의 탈착공(2,2')이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1)상의 탈착공(2,2')은 낚시받침대(10)의 체결편(11)이 결합되는 결합공(21)과, 결합공(21)에 연통되어 결합공(21)을 통해 결합된 체결편(11)이 고정되는 고정공(2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편(11)이 형성되는 낚시받침대(10)에 대해서는 후술에서 다시 상세히 언급될 것이다.
상기 프레임(1)은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전후에 보강부(6,6')가 절곡 형성된 대략 (ㄷ)형의 절곡형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나 도 6, 7에서와 같이 평판형의 프레임(1A) 등으로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절곡형 프레임(1)의 경우 탈착공(2,2')은 낚시받침대(10)의 체결편(11)이 결합되는 결합공(21)을 후방 보강부(6)에 형성하고, 상기 후방 보강부(6)의 결합공(21)에 연통되고 낚시받침대(10)의 체결편(11)이 결합되는 결합공(22)을 프레임(1) 상면에 형성한다.
도시한 예와 같이 탈착공(2,2')의 결합공(21)은 낚시받침대(10)의 체결편(11)을 삽입할 수 있도록 체결편(11)의 크기 보다 크게 형성하여 체결편(11)을 결합공(21)을 통해 프레임(1) 내에 결합할 수 있게 한다.
또 낚시받침대(10)를 고정하는 고정공(22)은, 상기 결합공(21)을 통해 결합된 체결편(11)이 이탈하지 않고 결합되도록 체결편(11)보다 작게 형성하고, 낚시받침대(10)의 지주대(13)가 수용되는 크기로 형성하여 상기 결합공(21)을 통해 결합된 체결편(11)을 고정공(22)측으로 밀어넣어 낚시받침대(10)가 체결편(11)에 의해 낚시받침틀의 고정공(22)에 고정되게 하고, 체결볼트(12)로 프레임(1)상에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이에 대해서는 낚시받침대(10)의 구성과 함께 후술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낚시받침대(10)의 체결편(11)이 결합, 고정되는 결합공(21)과 고정공(22)으로 이루어져 프레임(1)상에 구비되는 탈착공(2,2')은 도시한 예와 같이 여러 개의 낚시받침대(10)를 설치할 수 있도록 프레임(1) 상에 일렬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한다.
상기 탈착공(2,2')이 형성되는 프레임(1)은 도시된 곡선형은 물론 직선형 등으로 다양하게 실할 수 있다.
또, 상기 프레임(1)은, 전후로 보강부가 형성된 절곡형 프레임(1)으로 실시하거나 도 6, 7과 같이 평판형 프레임 등으로 실시할 수 있다.
도 6와 같이 평판형 프레임(1A)으로 낚시받침틀을 구성한 경우에는 탈착공(2A,2A')의 결합공(21A)과 고정공(22A)이 나란히 형성되어 결합공(21A) 상부로부터 낚시받침대(10)의 체결편(11)이 삽입되고, 이후 고정공(22A) 측으로 이동되어 고정공(22A) 내로 지주대(13)가 삽입되며 고정공(22A) 하부에는 체결편(11)이 결합되어 낚시받침대(10)가 프레임(1A)의 탈착공(2A,2A')에 고정, 설치된다.
또 도 7과 같이 상기 평판형 프레임(1A)은 길이방향으로 단턱부(23)를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즉, 탈착공(2A,2A')을 이루는 결합공(21A)과 고정공(22A)이 만나는 부분에 단이지게 단턱부(23)를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이 평판형 프레임(1A)에 길이방향으로 단턱부(23)를 형성하면 프레임(1A)의 휨강도(길이방향)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휨강도 보강을 위한 단턱부(23)는 보강리브, 힘살 등을 프레임(1A) 상하면에 돌출 형성하는 등으로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한 프레임(1)(1A)에는 낚시좌대(200), 낚시받침대 지지장치(300) 등에 설치할 수 있는 체결공(3,3')을 형성한다.
상기 체결공(3,3')은 낚시좌대(100), 낚시받침대 지지장치(200)의 설치공(101,101')(201,201')에 바로 체결볼트(4,4')로 결합하여 설치하거나 도시한 예와 같이 연결브라켓(5,5')의 양 연결공(51,51')을 프레임(1)(1A)의 체결공(3,3')과 낚시좌대(200), 낚시받침대 지지장치(300)의 설치공(201,301)에 체결볼트(4,4')로 체결하여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연결브라켓(5,5')을 사용한 경우에는 낚시받침틀을 전방으로 다소 멀리 설치할 수 있는 이익이 있다.
상기와 같이 낚시좌대(200), 낚시받침대 지지장치(300)에 설치되는 프레임(1)(1A)의 탈착공(2,2')(2A,2A')에 탈착 결합되어 설치되는 낚시받침대(10)에 대해 첨부도면 도 8을 통해 살펴본다.
상기 낚시받침대(10)는 지주대(13) 상단에 뒤받침대(14)가 형성되고, 전방으로 앞받침대(15)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앞받침대(15)는 조절손잡이(16)로 상하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다.
또, 지주대(13) 하부에는 좌우로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대(17)가 설치되고, 조절대(17)에는 체결볼트(12)가 결합된다.
상기한 낚시받침대(10)는 본 출원인의 선등록 고안(실용신안등록 제20-0465317호)과 동일하다.
본 고안에 의한 상기 낚시받침대(10)는, 지주대(13) 하부로 탈착공(2,2')(2A,2A')에 결합되는 체결편(11)을 일체로 형성하고, 체결편(11) 상부로 프레임(1)(1A')을 수용하는(프레임의 두께를 수용하는) 상하 간격을 두고 조절대(17)가 형성된다.
또, 상기 조절대(17)는 고정공(22)(22A)보다 크게 형성되어, 고정공(22)(22A) 상부의 프레임(1)(1A) 상면에서 낚시받침대(10)가 지지되록 하고, 상기 조절대(17)의 체결볼트(12)는 고정공(22)(22A)에 지지고정된 체결편(11)에 나사결합되어 체결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고정공(22)(22A)에 지지고정된 체결편(11)에 체결되는 체결볼트(12)는 조절대(17)에 결합되어 고정공(22)(22A)을 통해 체결편(11)에 나사체결됨으로써 고정공(22)(22A)을 사이에 두고 조절대(17)와 체결편(11)사이에 낚시받침대(10)를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체결볼트(12)에 의해 프레임(1)(1A)의 탈착공(2,2')(2A,2A')에 결합되는 체결편(11)은, 절곡형 프레임(1)의 경우 후방에서 전방으로, 평판형 프레임(1A)의 경우 상부에서 전방으로 각각 슬라이드 결합되어 탈착공(2,2')(2A,2A')에 탈착, 설치된다.
절곡형 프레임(1)의 경우, 후방 보강부(6)의 결합공(21)을 통해 체결편(11)을 삽입하여 고정공(22)으로 슬라이드이동시켜 결합한 후 체결볼트(12)를 고정공(22)을 통해 체결편(11)에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그리고 평판형 프레임(1A)의 경우에는 결합공(21A)로부터 체결편(11)을 삽입한 다음 고정공(22A)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결합하고 체결볼트(12)를 고정공(22A)을 통해 체결편(11)에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한편 상기 낚시받침대는 도 8과 같이 낚시대를 전방에서 거치하기 위한 전방거치부(73)와, 뒷받침대가 설치디는 후방거치부(74)로 구성된 통상의 낚시받침대(70)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한 낚시받침대(70)의 경우 역시 하부에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체결편(71)을 설치하고 체결볼트(72)로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간편하게 낚시받침틀의 프레임(1)(1A)에 탈착하여 설치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첨부도면에 사용한 주요 부호에 대해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1, 1A:프레임 2,2':탈착공
21,21A:결합공 22,22A:고정공
3,3':체결공 4,4':체결볼트
5,5':연결브라켓 6,6':보강부
10:낚시받침대
11:체결편 12:체결볼트
13:지주대 14:앞받침대
15;뒤받침대 16:조절손잡이
17:조절대
70:낚시받침대 71:체결편
72:체결볼트 73:전방 거치부
74:후방 거치부
100:낚시좌대 200:낚시대 지지장치
101,101', 201,201': 설치공

Claims (5)

  1. 체결공(3,3')에 체결볼트(4,4')를 결합하여 낚시좌대(100)의 설치공(101,101')에 고정, 설치하는 프레임(1) 상에 탈착공(2,2')을 형성하여 낚시받침대(10)의 체결편(11)을 탈착, 설치할 수 있도록 한 낚시받침틀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의 탈착공(2,2')은;
    낚시받침대(10)의 체결편(11)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공(21)과,
    상기 결합공(21)에 연통되어 형성되고 결합공(21)을 통해 결합된 체결편(11)이 고정되는 고정공(22)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낚시받침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은 전후에 보강부(6,6')를 절곡 형성하여 구성하고,
    상기 프레임(1)의 탈착공(2,2')은;
    후방 보강부(6)에 낚시받침대(10)의 체결편(11)이 결합되는 결합공(21)이 형성되고, 프레임(1) 상면에 상기 보강부(6)의 결합공(21)에 연통되어 낚시받침대(10)의 체결편(11)이 고정되는 고정공(22)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받침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은 평판형으로 프레임(1A)을 구성하고,
    상기 프레임(1A)의 탈착공(2A,2A')은;
    상부로부터 낚시받침대(10)의 체결편(11)이 삽입되는 결합공(21A)과, 상기 결합공(21A)에 나란히 형성되어 결합공(21A)으로부터 결합된 낚시받침대(10)의 체결편(11)이 고정되는 고정공(22A)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받침틀.
  4. 삭제
  5. 삭제
KR2020140005096U 2014-07-07 2014-07-07 낚시받침틀 KR2004798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096U KR200479882Y1 (ko) 2014-07-07 2014-07-07 낚시받침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096U KR200479882Y1 (ko) 2014-07-07 2014-07-07 낚시받침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161U KR20160000161U (ko) 2016-01-15
KR200479882Y1 true KR200479882Y1 (ko) 2016-03-17

Family

ID=55174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5096U KR200479882Y1 (ko) 2014-07-07 2014-07-07 낚시받침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88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1403B1 (ko) 2018-08-01 2019-03-22 김다연 낚싯대 받침용 지지구
KR20200099797A (ko) 2019-02-15 2020-08-25 최재휘 낚싯대용 받침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1156B1 (ko) * 2017-04-13 2019-03-22 (주) 아피스 낚시받침대 받침틀
KR200494586Y1 (ko) * 2019-10-15 2021-11-08 윤건식 얼음낚시용 에어매트
KR102377617B1 (ko) * 2021-03-19 2022-03-23 김우진 낚싯대 거치유닛용 지지체
KR102296489B1 (ko) * 2021-03-19 2021-09-01 김우진 낚싯대 거치유닛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267Y1 (ko) * 2011-07-29 2012-03-23 정태영 낚시좌대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000257U1 (ko) 1990-01-11 1991-05-16 Lucas Industries P.L.C., Birmingham, West Midlands, Gb
KR200442567Y1 (ko) 2007-03-08 2008-11-19 최용식 낚시용 기능성 좌대
KR20080004068U (ko) 2007-03-20 2008-09-24 임선주 대 소좌 겸용 낚시 좌대
KR20090035306A (ko) 2007-10-05 2009-04-09 조도영 낚싯대용 받침대
KR20090004006U (ko) 2007-10-25 2009-04-29 김풍치 낚시 받침대 고정장치
KR20090043793A (ko) 2007-10-30 2009-05-07 최광규 낚시대 받침틀체
KR101089688B1 (ko) 2008-11-10 2011-12-07 중앙알칸(주) 낚시자리용 접이식 좌대
KR20100060986A (ko) 2008-11-28 2010-06-07 신중균 낚시 받침틀
KR101048616B1 (ko) 2009-09-16 2011-07-12 김성운 낚시 받침대 지지장치
KR101190899B1 (ko) 2011-02-28 2012-10-12 장원규 낚시 받침대용 거치구
KR101147489B1 (ko) 2011-07-27 2012-05-21 케이엠씨솔루션(주) 절첩식 낚시 받침틀
KR200465317Y1 (ko) 2012-06-02 2013-02-12 정태영 민물낚시대 받침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267Y1 (ko) * 2011-07-29 2012-03-23 정태영 낚시좌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1403B1 (ko) 2018-08-01 2019-03-22 김다연 낚싯대 받침용 지지구
KR20200099797A (ko) 2019-02-15 2020-08-25 최재휘 낚싯대용 받침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161U (ko) 2016-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9882Y1 (ko) 낚시받침틀
US7334837B1 (en) Modular multi-functional portable seating device
US7717503B1 (en) Collapsible chair apparatus
US20160100688A1 (en) Outdoor recliner with pillow carrier
JP2019524164A5 (ko)
US8465091B2 (en) Adjustable office chair
KR200459267Y1 (ko) 낚시좌대
US20070167296A1 (en) Stilt height adjustment apparatus and method
CN104872092A (zh) 可折叠的多功能钓椅/钓台
US6676208B2 (en) Combined chair and object support
US8931840B2 (en) Composite frame
US20110219529A1 (en) Commode Chair
KR101418235B1 (ko) 접이식 낚시용 의자
US20080083068A1 (en) Adjustable armrest assembly for massage table
KR20190000488U (ko) 낚시받침틀
KR101255583B1 (ko) 낚시용 의자에 착탈 가능한 받침틀 지지구
JP5343104B2 (ja) 椅子の構造
CN105231707A (zh) 带歇息脚架座椅
KR101190899B1 (ko) 낚시 받침대용 거치구
KR20170000067U (ko) 낚시좌대 겸용 지게
KR101069902B1 (ko) 분리 가능한 발판이 구비된 의자
US9635845B1 (en) Ice fishing accessory support apparatus
CN109998239B (zh) 一种便携式遮阳伞
CN103607929A (zh) 婴儿支架
KR101445845B1 (ko) 기능성 낚시용 좌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