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1694B1 - 언더렌지 작동 활성화 장치 - Google Patents

언더렌지 작동 활성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1694B1
KR101991694B1 KR1020170162993A KR20170162993A KR101991694B1 KR 101991694 B1 KR101991694 B1 KR 101991694B1 KR 1020170162993 A KR1020170162993 A KR 1020170162993A KR 20170162993 A KR20170162993 A KR 20170162993A KR 101991694 B1 KR101991694 B1 KR 101991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
protrusions
radial direction
height
acti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2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3881A (ko
Inventor
이명옥
Original Assignee
(주)피스월드
주식회사 에어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스월드, 주식회사 에어쿡 filed Critical (주)피스월드
Priority to KR1020170162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1694B1/ko
Publication of KR20190063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3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1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1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oker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언더렌지 작동 활성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안전성과 편의성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언더렌지 작동 활성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언더렌지 작동 활성화 장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언더렌지의 작동상태를 대기모드로 변환하도록 구성되는 활성화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언더렌지 작동 활성화 장치{DEVICE FOR ACTIVATING OPERATION OF INDUCTION COOKER MOUNTED UNDER TABLE}
본 개시는 언더렌지 작동 활성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안전성과 편의성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언더렌지 작동 활성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언더렌지 작동 활성화 장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언더렌지의 작동상태를 대기모드로 변환하도록 구성되는 활성화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인덕션 렌지는 자기유도에 의해 전기적 전도성있는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방식의 가열기기이다. 인덕션렌지 내부의 인덕션 코일은 자기유도에 의해 조리용기의 저면을 가열하고, 조리용기의 저면에 유도된 열은 용기 내의 음식으로 전도를 통해 전달된다.
인덕션 렌지는 기존 가열조리기기에 비해 효율이 높고, 인덕션 상면 자체가 가열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안전하고, 조리 속도가 빠르다는 등의 장점이 있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최근에는 테이블 등의 하부면에 인덕션렌지를 설치하여 테이블을 통과하여 테이블 위에 놓인 용기를 가열할 수 있는 인덕션 기기(이하 "언더렌지")가 등장하였다.
다만, 언더렌지의 전원이 켜 있는 상태에서 언더렌지가 설치된 테이블 위에 자기감응이 있는 물체, 예를 들어, 휴대폰이나 열쇠 등을 두게 되면 그 물체가 망가질 수 있다. 즉, 위와 같은 피해를 피하고 언더렌지를 사용하고자 하는 상황에서만 언더렌지 작동을 활성화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5614호 (등록일자: 2014.12.10)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언더렌지가 설치된 테이블의 상면에 조리용기가 아닌 다른 자기감응이 있는 물체가 놓이는 경우 언더렌지의 작동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도록 언더렌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언더렌지 작동 활성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언더렌지를 사용할 때 조리용기의 복사열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테이블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언더렌지 작동 활성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언더렌지가 설치된 테이블의 상면에서 올바른 위치에 조리용기가 배치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언더렌지 작동 활성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언더렌지를 사용하여 가열된 조리용기를 다른 곳으로 옮길 때 별도의 냄비받침을 사용할 필요없이 조리용기에 부착을 유지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언더렌지 작동 활성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이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더렌지 작동 활성화 장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언더렌지의 작동상태를 대기모드로 변환하도록 구성되는 활성화유닛;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활성화유닛은 자기장을 생성하는 영구자석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구자석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은 언더렌지에 장착되는 센서에 의해 감지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는 적어도 한 면에 반경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돌출부의 높이는 몸체의 반경방향으로 최외곽에서 가장 높게 형성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언더렌지 작동 활성화 장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언더렌지의 작동상태를 대기모드로 변환하도록 구성되는 활성화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양면에 반경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양면 중 제1 면에 형성되는 돌출부의 높이는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에 형성되는 돌출부의 높이보다 작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면에 형성되는 돌출부의 높이는 몸체의 반경방향으로 최외곽에서 가장 높게 형성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언더렌지 작동 활성화 장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언더렌지의 작동상태를 대기모드로 변환하도록 구성되는 활성화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반경방향을 따라 최외곽에서 가장 큰 두께를 가지고 몸체의 최외곽에서 중심부까지 그 두께가 점진적으로 감소한다.
본 개시에 따른 상기 복수의 돌출부 중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의 상면은 일정 깊이만큼 움푹 패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상기 복수의 돌출부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상기 복수의 돌출부의 수평방향 단면적은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언더렌지 작동 활성화 장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언더렌지의 작동상태를 대기모드로 변환하도록 구성되는 활성화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재질은 실리콘, 나무, 플라스틱, 고무 및 대리석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언더렌지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언더렌지의 작동상태를 대기모드로 변환하도록 구성되는 활성화유닛;을 포함하는 언더렌지 작동 활성화 장치가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언더렌지가 설치된 테이블의 상면에 조리용기가 아닌 다른 자기감응이 있는 물체가 놓이는 경우 언더렌지의 작동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도록 언더렌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언더렌지 작동 활성화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언더렌지를 사용할 때 조리용기의 복사열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테이블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언더렌지 작동 활성화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언더렌지가 설치된 테이블의 상면에서 올바른 위치에 조리용기가 배치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언더렌지 작동 활성화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언더렌지를 사용하여 가열된 조리용기를 다른 곳으로 옮길 때 별도의 냄비받침을 사용할 필요없이 조리용기에 부착을 유지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언더렌지 작동 활성화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전술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언더렌지 작동 활성화 장치를 도시하고,
도 5는 도 2의 언더렌지 작동 활성화 장치의 상면도를 도시하고,
도 6 내지 도 8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언더렌지 작동 활성화 장치를 도시하고,
도 9 및 도 10은 언더렌지가 장착된 테이블을 도시하고,
도 11은 도 9 및 도 10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2a 및 도 12b는 본 개시에 따른 언더렌지 작동 활성화 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개시에 따른 언더렌지 작동 활성화 장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언더렌지의 작동상태를 대기모드로 변환하도록 구성되는 활성화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대기모드란 언더렌지의 전원이 켜져 있는 상태에서 가열 시작을 위해 언더렌지의 조작부를 조작하면 가열을 시작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 다시 말해, 언더렌지의 전원이 켜져 있는 상태라도 언더렌지가 대기모드에 있지 않으면 가열버튼을 눌러도 가열을 시작하지 않는다.
언더렌지 작동 활성화 장치의 몸체는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는 실리콘, 나무, 플라스틱, 고무 및 세라믹, 대리석의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는 아크리로니크릴(A), 부타디엔(B) 및 스티렌(S)의 세 가지 성분으로 구성되는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몸체는 높은 내열성을 지닌 PPS(Poly Phenylene Sulfide)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래 실시예에서 자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언더렌지 작동 활성화 장치가 언더렌지용 받침대인 패드인 경우에 패드의 몸체는 실리콘, 나무, 고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언더렌지 작동 활성화 장치가 언더렌지용 조리용기의 바닥면인 경우에 PPS, 세라믹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는 다양한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원형, 타원형 또는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 다각형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몸체가 평평한 곳에 놓일 수 있도록 몸체의 적어도 한 면은 평평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면은 대략 곡선형태의 면을 포함할 수 있다.
활성화유닛은 몸체에 내장될 수도 있고 부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몸체의 한 면에서 돌출되도록 부착될 수도 있고, 몸체의 한 면에 활성화유닛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활성화유닛이 공간 내에 안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외부에서 언더렌지 작동 활성화 장치를 관찰하는 경우 활성화유닛이 외부에서 보이도록 장착된다. 또한, 활성화유닛은 몸체의 특정 부분의 내부에 내장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외부에서 활성화유닛이 보이지 않게 된다.
활성화유닛은 몸체의 어느 부분에나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활성화유닛은 몸체의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몸체의 어느 부분에나 장착될 수 있다. 다만, 언더렌지 내부에 있는 센서와 활성화유닛의 거리에 따라 감지영역(S)을 형성하므로(도 12a 및 도 12b 참조) 감지영역(S)을 형성하는 거리를 고려하여 센서 위치도 이동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활성화유닛은 자기장을 생성하는 자화수단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활성화유닛은 영구자석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페라이트코어 영구자석일 수 있다.
활성화유닛이 생성하는 자기장은 언더렌지에 포함되는 자석센서에 의해 감지된다. 또한, 언더렌지에는 자석센서가 감지한 신호를 수신받아 처리하는 제어부가 포함된다. 즉, 언더렌지 내부의 자석센서가 본 개시에 따른 언더렌지 작동 활성화 장치를 감지하면 언더렌지를 대기모드에 들어가도록 한다.
이하 수반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따른 언더렌지 작동 활성화 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더렌지 작동 활성화 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10, 30, 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패드(10, 30, 50)란 언더렌지 작동을 활성화하는 장치로 사용되면서 동시에 냄비, 후라이팬 등 가열된 용기와 식탁 사이에 배치되어 식탁을 열 손상으로부터 방지하는 구성이 될 수 있다.
패드(10, 30, 50)는, 바람직하게, 실리콘, 나무, 플라스틱, 고무 및 대리석의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드는 아크리로니트릴(A), 부타디엔(B) 및 스티렌(S)의 세 가지 성분으로 구성되는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드는 높은 내열성을 지닌 PPS(Poly Phenylene Sulfide)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패드(10, 30, 50)는 다양한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원형, 타원형 또는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등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는 육각형의 형상을 취하는 패드가 도시되어 있고, 도 2 및 도 4에는 원형의 패드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사각형의 패드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의 사각형의 패드의 각진 부분이 라운딩 처리되어 있는 것과 같이, 다각형의 패드의 경우 각 코너가 라운딩 처리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미관이 향상될 수 있고, 특히, 패드가 단단한 물질로 형성되는 경우 각진 부분으로 인해 다른 물품과의 접촉시 생길 수 있는 손상을 방지하거나 패드를 다루는 사람에게 생길 수 있는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패드(10, 30, 50)에는 언더렌지의 작동상태를 대기모드로 변환하도록 구성되는 활성화유닛(16, 36, 56)이 포함된다. 활성화유닛(16, 36, 56)은, 바람직하게, 영구자석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도 1, 2,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10, 30)는 적어도 한 면에 반경방향(R)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18, 38)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반경방향(R) 뿐만 아니라 원주방향(C)으로 형성되는 돌출부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반경방향(R) 중 특정 반경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18, 38)는 같은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상이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원주방향(C) 중 특정 원주방향(C)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는 같은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상이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돌출부(18, 38)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으로 인해 냄비의 복사열이 최대한 분산될 수 있고, 패드(10, 30)가 놓이는 테이블과 맞닿는 면에서는 돌출부에 의해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테이블이 냄비의 복사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복수의 돌출부(18, 38)의 높이는 모두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각 돌출부(18, 38)의 높이는 몸체(12, 32)의 표면에서부터 같은 높이만큼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반면, 각 돌출부(18, 38)의 높이가 서로 다른 높이만큼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조리용기와 맞닿는 측의 몸체의 면에서 각 돌출부가 최외곽 부위에서 가장 높게 형성되고, 몸체의 중심 부분으로 갈수록 점차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돌출부(18, 38)와 활성화유닛(16, 36)이 모두 같은 높이로 형성되는 상황을 고려해보도록 한다. 패드(10, 30) 상에 놓인 조리용기를 이동시킬 때 영구자석인 활성화유닛(16, 36)만이 조리용기에 부착되므로 패드(10, 30)의 다른 몸체 부분은 상측 방향의 힘을 얻지 못하고 아래로 늘어져 미관상 좋지 못할 수 있다. 한편, 패드(10, 30)의 반경방향 외측 부분의 돌출부(18, 38)를 더 높게 형성하고 활성화유닛(16, 36)측으로 갈수록 돌출부(18, 38)를 낮게 형성하며 활성화유닛(16, 36)도 작은 높이를 가진 돌출부(18, 38)와 유사한 높이로 형성함으로써, 전체적으로 패드(10, 30)의 부착을 향상시키고 외부에서 보이는 늘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언더렌지의 반복되는 작동으로 인해 높은 온도에 노출됨에 따라 활성화유닛(16, 36)에는 배부름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이 경우, 돌출부(18, 38)와의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되면 늘어짐이 더 심해질 수 있는데 돌출부(18, 38)의 높이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형성하면 동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10, 30)는 양면에 반경방향(R)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18, 38)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경우에도 반경방향(R) 중 특정 반경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18, 38)는 같은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다른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패드(10, 30)의 양면 중 어느 한 면인 제1 면에 형성되는 돌출부(18, 38)의 높이는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에 형성되는 돌출부(18, 38)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반면, 제1 면에 형성되는 돌출부(18, 38)의 높이가 제2 면에 형성되는 돌출부(18, 38)의 높이와는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면 및 제2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형성되는 돌출부(18, 38)의 높이가 더 작을 수 있다. 이 양태에서, 돌출부의 높이가 높은 측에 형성되는 돌출부의 높이가 몸체의 중심부에서 최외곽으로 갈수록 점점 커질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돌출부(18, 38)의 높이가 변화하는 대신 몸체(12, 32)의 두께가 반경방향(R)을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미도시). 다시 말해, 몸체(12, 32)의 두께가 반경방향(R)을 따라 최외곽을 향해 점진적으로 두꺼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돌출부(18, 38)의 높이가 모두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상이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몸체(12, 32)의 두께가 반경방향(R)을 따라 최외곽을 향해 두꺼워지는 경우에 돌출부(18, 38)의 높이가 모두 동일하면 돌출부를 포함한 패드(10, 30)의 두께는 몸체(12, 32)의 최외곽에서 가장 두껍고 몸체의 중심부를 향할수록 얇아진다. 반면, 몸체(12, 32)의 두께가 반경방향(R)을 따라 최외곽을 향해 두꺼워지는 경우에도, 각 돌출부(18, 38)의 높이가 변화되어 돌출부(18, 38)가 형성하는 몸체(12, 32)의 상면이 평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돌출부(18, 38)는 패드(10, 30)의 몸체(12, 32)와 몸체(12, 32) 상에 놓이는 조리용기 사이 또는 언더렌지가 설치된 테이블과의 사이에 공간을 제공하여 조리용기의 복사열이 잘 순환되도록 하고, 테이블의 열 손상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돌출부(18, 38) 중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8, 38)는 일정 깊이만큼 움푹 패이는 오목부(22, 4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돌출부(18, 38)의 상면은 일정 깊이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움푹 패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돌출부(18, 38) 모두가 일정 깊이만큼 움푹 패이도록 구성된 오목부(22, 42)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조리용기와의 밀착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반면, 도 4를 참조하면, 돌출부(38)는 오목부(42)를 포함하지 않고, 솔리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조리시 음식물의 침투를 방지하여 미관을 향상시키고 보다 청결하게 패드를 유지하도록 해 준다.
돌출부(18, 38)는 다양한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18, 38)는 원기둥, 타원기둥 또는 삼각기둥, 사각기둥, 오각기둥 등 다각기둥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예로서, 돌출부(18, 38)의 형상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기둥의 형상을 취할 수 있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의 형상을 취할 수도 있다.
도 1, 2,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8, 38)의 부피는 반경방향(R)을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즉, 반경방향(R)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부(18, 38)의 부피가 점점 커질수도 있고 작아질 수도 있다. 또한, 돌출부(18, 38)의 부피는 모두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언더렌지 작동 활성화 장치는 냄비, 후라이팬 등 가열 용기(70, 90)의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몸체(72, 92)는 냄비, 후라이팬 등의 가열용기(70, 90)의 바닥면이 될 수 있다.
가열용기(70, 90)의 바닥면은, 바람직하게, 플라스틱, 세라믹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용기의 바닥면은 고내열성을 지닌 PPS(Poly Phenylene Sulfide)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활성화유닛(76, 96)은 가열용기(70, 90)의 바닥면에 포함된다. 즉, 가열용기(70, 90)의 바닥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바닥면 내부에 내장될 수도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용기(70, 90)의 바닥면에 활성화유닛(76)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74)이 형성되어 공간(74)의 내부에 활성화유닛(76)이 안착될 수 있다. 활성화유닛(76, 96)은, 바람직하게, 영구자석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에 따른 언더렌지 작동 활성화 장치의 작동원리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테이블(100)의 하부면에는 언더렌지(110)가 장착되고, 테이블(100)의 상부면에는 인덕션 조리용기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인덕션 조리용기는 본 개시에 따른 활성화유닛(76, 96)이 포함된 가열용기(70, 90)일 수도 있고, 일반적인 인덕션 조리용기 밑에 본 개시에 따른 패드(10, 30, 50)가 배치된 것일 수도 있다. 가열용기(70, 90)이든 패드(10, 30, 50)이든 작동원리는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패드(10, 30, 50)를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에 따르면, 언더렌지(110)의 전원이 켜져 있는 상태에서, 패드(10, 30, 50)가 언더렌지(110) 위편 테이블(100)에 배치되면 패드(10, 30, 50) 내의 활성화유닛인 영구자석은 자기장을 형성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언더렌지(110)의 내부에는 활성화유닛이 생성하는 자기장을 감지하는 센서(120)가 설치되어 있다. 센서(120)는 바람직하게 자석센서일 수 있다. 센서(120)는 언더렌지(110) 내부의 제어부와 연결되어 감지한 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한다. 즉, 언더렌지(110) 내부에 포함된 센서(120)는 영구자석이 형성하는 자기장을 감지한다. 그러면 이를 언더렌지(110) 내부의 제어부로 송신하여 언더렌지를 스탠바이 내지는 대기모드로 변경한다. 대기모드 상태에서 조리용기가 패드(10, 30, 50) 위에 배치되면 언더렌지의 가열을 위한 조작을 통해 가열을 시작할 수 있게 해 준다.
반대로, 언더렌지(110)의 전원이 켜져 있는 상태에서, 패드(10, 30, 50)가 언더렌지(110) 위편 테이블(100)에 배치되지 않으면 언더렌지(110)는 스탠바이 모드로 변경되지 않는다. 즉, 언더렌지(110)에 전원이 가해진 상태라고 하더라도 패드(10, 30, 50) 없이는 조리용기를 테이블(100) 위에 올려 두고 언더렌지의 가열버튼을 조작해도 언더렌지(110)는 가열을 시작하지 않는다.
본 개시에 따르면,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언더렌지 전원이 켜져 있는 상태에서 조리용기 외의 물건이 우발적으로 언더렌지 상측 테이블에 배치된다고 하더라도 패드 없이는 작동이 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성을 도모한다. 동시에, 언더렌지 작동 활성화 장치가 냄비받침 또는 안전을 위한 패드로 동시에 사용됨으로써 조리용기의 복사열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테이블의 손상을 방지한다. 또한, 활성화유닛이 영구자석인 경우, 패드는 냄비 바닥에 부착되게 되고 냄비받침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조리가 끝난 뒤 냄비를 다른 곳으로 옮기게 되더라도 번거롭게 냄비받침을 찾을 필요가 없게 되며, 따라서, 조리자의 편의성이 크게 증대된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언더렌지 작동 활성화 장치는 조리용기가 올바른 위치에 오도록 제어한다. 도 12a를 참조하면, 언더렌지 작동 활성화 장치를 포함하는 패드가 센서(120)의 감지 범위 내에 있을 때에는 언더렌지(110)가 가열을 시작할 수 있도록 대기상태 내지는 스탠바이 모드에 둔다. 즉, 감지영역(S) 내에 있지 않으면 경보음을 내거나 가열을 시작하지 않는다. 즉, 언더렌지(110)가 장착된 테이블(10)의 가열 중심 위치에 언더렌지 작동 활성화 장치가 감지되면 활성화 유닛이 생성하는 자기장에 의해 언더렌지(110)의 자석 센서(120)가 이를 감지한다. 언더렌지(110)의 제어부에서는 감지된 신호를 전달받아 언더렌지(110)를 작동 스탠바이 모드로 들어가도록 하여 가열을 시작할 수 있도록 해준다.
반면,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더렌지 작동 활성화 장치가 센서(120)의 감지 범위 밖에 있을 때에는 언더렌지(110)가 작동할 수 없도록 한다. 언더렌지 작동 활성화 장치가 가열 중심 위치 내지는 감지영역(S)에서 벗어난 경우, 예를 들어 3 내지 5cm 이상 벗어난 경우 활성화유닛이 생성하는 자기장의 세기가 약해서 언더렌지의 감지센서는 자기장을 감지하지 못하고 가열을 시작하지 못하게 한다. 이 상태에서 언더렌지를 작동시키려고 하면 제어부에서는 자석 센서(120)의 자기장 비감지상태를 확인하고 경보음을 발생시키며, 언더렌지(110)의 작동을 중단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30, 50: 패드
12, 32, 52, 72, 92: 몸체
16, 36, 56, 76, 96: 활성화유닛
18, 38: 돌출부
22, 42: 오목부
70, 90: 가열용기
100: 테이블
110: 언더렌지
120: 센서

Claims (13)

  1. 몸체; 및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언더렌지의 작동상태를 대기모드로 변환하도록 구성되는 활성화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적어도 한 면에 반경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의 높이는 몸체의 반경방향으로 최외곽에서 가장 높게 형성되는는 것인 언더렌지 작동 활성화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유닛은 자기장을 생성하는 영구자석인 것인 언더렌지 작동 활성화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은 언더렌지에 장착되는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것인 언더렌지 작동 활성화 장치.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양면에 반경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양면 중 제1 면에 형성되는 돌출부의 높이는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에 형성되는 돌출부의 높이보다 작은 것인 언더렌지 작동 활성화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면에 형성되는 돌출부의 높이는 몸체의 반경방향으로 최외곽에서 가장 높게 형성되는 것인 언더렌지 작동 활성화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반경방향을 따라 최외곽에서 가장 큰 두께를 가지고 몸체의 최외곽에서 중심부까지 그 두께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것인 언더렌지 작동 활성화 장치.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 중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의 상면은 일정 깊이만큼 움푹 패이도록 구성되는 것인 언더렌지 작동 활성화 장치.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인 언더렌지 작동 활성화 장치.
  1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의 수평방향 단면적은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것인 언더렌지 작동 활성화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재질은 실리콘, 나무, 플라스틱, 고무 및 대리석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인 언더렌지 작동 활성화 장치.
  13. 청구항 1에 따른 언더렌지 작동 활성화 장치가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언더렌지.

KR1020170162993A 2017-11-30 2017-11-30 언더렌지 작동 활성화 장치 KR101991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993A KR101991694B1 (ko) 2017-11-30 2017-11-30 언더렌지 작동 활성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993A KR101991694B1 (ko) 2017-11-30 2017-11-30 언더렌지 작동 활성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3881A KR20190063881A (ko) 2019-06-10
KR101991694B1 true KR101991694B1 (ko) 2019-06-21

Family

ID=66848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2993A KR101991694B1 (ko) 2017-11-30 2017-11-30 언더렌지 작동 활성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16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1269A1 (ko) * 2019-11-05 2021-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도 가열 장치
KR102325504B1 (ko) * 2019-12-02 2021-11-12 (주)실리만 조리용기
KR102147659B1 (ko) * 2020-03-13 2020-08-25 (주)피스월드 언더 인덕션 렌지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173B1 (ko) * 2015-12-30 2016-02-24 (주) 돌핀 언더레인지를 포함하는 인덕션 렌지용 화재발생차단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2256B1 (ko) * 2009-08-14 2011-12-12 이문기 가스렌지 화력보호기
KR20120107727A (ko) * 2011-03-22 2012-10-04 배성우 인덕션렌지용 보조플레이트
KR200475614Y1 (ko) 2014-04-30 2014-12-18 (주)슈퍼지티코리아 테이블의 상판 하단에 설치되어 자동으로 이동이 가능한 인덕션 렌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173B1 (ko) * 2015-12-30 2016-02-24 (주) 돌핀 언더레인지를 포함하는 인덕션 렌지용 화재발생차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3881A (ko) 201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52958B2 (en) Induction cook-top apparatus
KR101991694B1 (ko) 언더렌지 작동 활성화 장치
US8766147B2 (en) Induction cook-top apparatus
US11317478B2 (en) Pad device
AU2011251905B2 (en) Portable device for induction cooking
KR200465232Y1 (ko) 화구 크기 조절이 가능한 전기 레인지
CN210018894U (zh) 烹饪器具
JP5272612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2166418B1 (ko) 인덕션 렌지용 스크래치 방지 패드
EP2807900B1 (en) Induction cook-top apparatus
CN210300603U (zh) 烹调器
CN210185309U (zh) 电饭煲
JP3123150U (ja) 調理容器
JP3655087B2 (ja) 調理器
JP2005174705A (ja) 加熱調理器
TWI728931B (zh) 防燙蒸墊
KR102460952B1 (ko) 도마, 뚜껑 겸용 인덕션 불판
JP2005019356A (ja) 電磁調理器用補助具
JPH09306657A (ja) 誘導加熱調理器
CN208925879U (zh) 一种多功能电饭煲
CN210019013U (zh) 烹饪器具
KR20100001701A (ko) 인덕션히터용 이중바닥 조리용기
CN211551699U (zh) 具有承载锅具功能的烹饪设备
KR200490106Y1 (ko) 인덕션 전자유도 방식을 이용한 가열 장치
CN206560319U (zh) 液体加热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