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1571B1 - 공기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공기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1571B1
KR101991571B1 KR1020170094487A KR20170094487A KR101991571B1 KR 101991571 B1 KR101991571 B1 KR 101991571B1 KR 1020170094487 A KR1020170094487 A KR 1020170094487A KR 20170094487 A KR20170094487 A KR 20170094487A KR 101991571 B1 KR101991571 B1 KR 101991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ctive species
hydrogen
ozon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4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1889A (ko
Inventor
김철준
Original Assignee
김철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준 filed Critical 김철준
Priority to KR1020170094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1571B1/ko
Publication of KR20190011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1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1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1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3/166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4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sterilising media
    • F24F8/26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sterilising media using oz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3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i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6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adding oxygen
    • F24F2003/1667
    • F24F2003/1671
    • F24F2003/1682
    • F24F2003/169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4Oz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공기 정화장치는 공기 유입부와, 상기 공기 유입부에서 유입된 공기 중의 미세입자를 제거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공기에 방전을 일으켜 미생물을 제거하는 방전부와, 물을 전기분해하여 발생된 산소를 실내로 방출하는 수전해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 정화장치{Air cleaner}
본 발명은 공기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 정화, 가습, 살균 및 산소 공급 기능을 동시에 가지는 공기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화 이후 에너지 소비량의 급증에 따라 대기오염물질 발생량이 증가하고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건물의 단열화와 밀폐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외부의 오염된 공기가 건물 내에서 지속적으로 순환되면서 실내의 공기 질이 악화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도시생활에서는 실내에 거주하는 시간이 외부 활동시간보다 오히려 많아지고 있는데, 외부의 오염된 공기 외에 실내 인테리어 물건에서 배출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등에 의하여 인체의 건강이 크게 위협받고 있다.
실내 오염물질의 오염농도가 증가하면 두통, 현기증, 안질, 후두염 등의 이른바 건물증후군(SBS; Sick Building Syndrome)이라는 질병이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발생하는 실내공간에서의 오염 분진들은 서브 마이크론(sub-micron) 크기로부터 수십 마이크론의 분포로 매우 다양하며, 물리적 또는 미생물학적으로도 매우 다른 특성을 가지며, 이들은 알레르기성 질환, 호흡기 질환 등을 유발시키며 심지어는 발암성을 나타내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실내공기를 정화하는 목적으로 공기 청정기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공기 청정기는 공기 중의 미세입자를 필터링하는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도 유해가스 제거, 음이온 방출, 습도 조절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함께 수행하는 방식으로 진화하고 있다. 공기 청정기는 공기 정화 방식에 따라 크게 기계식 공기 청정기와 습식 공기 청정기로 나누어진다. 기계식 공기 청정기에는 집진 필터나 흡착 필터를 이용하는 필터 방식과 물을 이용하여 분진과 유해가스를 제거하는 수막필터 방식 등이 있다. 습식 공기 청정기에는 고전압을 이용하여 집전판에 하전된 입자를 부착시키는 전기집진 방식, 고전압을 이용하여 생성된 음이온을 공기 중으로 방출하는 음이온 방식, 플라즈마 처리로 음이온을 생성시키는 동시에 유해가스를 분해하는 플라즈마 방식, 광촉매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생성한 하이드록실 라디칼에 의한 산화환원반응으로 악취를 제거하는 방식 등이 있다.
공기 청정기에 관한 선행문헌으로는 한국등록특허 제526103호가 있다. 상기 선행문헌은 공기정화부 및 음이온 발생부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는데, 구체적인 구성으로는 상기 공기정화부의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단위면적당 음이온의 개수를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다수의 버튼으로 이루어진 입력부와, 상기 공기정화부 외부의 단위면적당 음이온 개수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입력부의 버튼들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선택되는 기저장된 정보와 상기 센서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서로 비교하되,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정보가 상기 버튼에 의해 선택된 정보보다 단위면적당 음이온의 개수보다 작다면 상기 음이온 발생부를 온상태로 유지하여 음이온 발생을 지속시키고,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정보가 상기 버튼에 의해 선택된 정보보다 단위면적당 음이온의 개수보다 많다면 상기 음이온 발생부를 오프상태로 유지하여 음이온 발생을 중지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입력부의 버튼들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선택되는 상기 제어부의 기저장된 정보에 따라 향을 토출하는 향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 입력부, 센서, 음이온 발생부 및 향발생부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유해가스를 플라즈마로 분해하거나 음이온을 방출하는 기능을 가지는 공기 청정기에서 문제되는 것은 고전압에 의하여 생성된 오존과 같은 활성종 물질이다. 그 중 오존은 공기 중의 유해한 미생물을 살균하는 긍정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실내 공간으로 배출되면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살균기능, 음이온 방출과 같은 기능을 유지하면서도 오존과 같은 잔여 활성종 물질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는 공기 청정기의 개발 필요성이 크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실내의 오염된 공기에서 분진을 제거하는 동시에 살균, 산소 공급, 습도 조절 가능을 함께 가지고, 살균 과정에서 발생한 활성종을 제거할 수 있는 공기 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공기 유입부와, 상기 공기 유입부에서 유입된 공기 중의 미세입자를 제거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공기에 방전을 일으켜 발생하는 활성종으로 미생물을 제거하는 방전부와, 물을 전기분해하여 발생된 산소를 실내로 방출하는 수전해부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필터부는 다공성 필터, 흡착 필터 또는 수막 필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방전부는 이오나이저 방식, 오존 발생기 방식, 아크방전 방식, 코로나방전 방식, 유전체 장벽방전 방식 중 적어도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전해부에서 생성된 수소를 상기 방전부에서 생성된 활성종과 반응시켜 실내로 방출되는 공기 중의 활성종을 제거하는 활성종 제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활성종 제거부는 수소와 오존의 반응을 유도하기 위한 자외선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활성종 제거부는 상기 방전부의 후단에 설치되고, 수소와 활성종의 충돌 빈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와류를 형성시키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방전부의 후단에는 오존의 농도를 측정하는 오존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오존센서에서 측정된 오존의 농도와 연동하여 상기 활성종 제거부로 방출되는 수소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전해부에서 생성된 수소의 일부를 실외로 배출하는 수소 배출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 정화장치는 아래의 효과를 가진다.
1. 필터부는 실내 공기에 포함된 미세입자를 제거할 수 있고, 수막 필터가 적용된 실시형태에서는 가습기능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2. 방전부는 음이온 또는 활성화된 산소나 산소화합물에 의하여 공기 중의 미생물을 살균하는 기능을 한다.
3. 수전해부는 물의 전기분해에 의하여 생성된 산소를 실내로 공급하여 호흡으로 산소가 소모된 실내 공기의 산소 농도를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
4. 활성종 제거부는 방전부에서 생성된 오존을 물과 산소로 변화시켜 배출함으로써 실내에 유해한 오존이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미반응된 미량의 수소는 환원반응에 의하여 항산화 기능과 같은 인체에 유익한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기 정화장치에서 공기가 정화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공기 정화장치의 구성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공기 정화장치는 공기 유입부와, 상기 공기 유입부에서 유입된 공기 중의 미세입자를 제거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공기에 방전을 일으켜 미생물을 제거하는 방전부와, 물을 전기분해하여 발생된 산소를 실내로 방출하는 수전해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공기 정화장치는 외기와 차단된 에너지 관리형 건물에 적용되어, 내부에서 순환하는 공기에 대한 미세입자 제거 및 살균과 같은 기본적인 공기 청정기의 기능 외에도, 산소공급, 습도 조절 기능을 동시에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공기 정화장치를 천정 매립형 공조 장치에 적용하면 실내 공기를 지속적으로 정화하고 산소 농도, 습도와 같은 실내 생활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 정화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방전부를 구비하고 있음에도 오존과 같은 활성종 물질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공기 청정기의 방전부는 공기 중에 전계를 유도하여 공기의 기상 반응을 통하여 음이온, 활성산소, 하이드록실 라디칼(hydroxyl radical), 하이드로퍼옥실 라디칼(hydroperoxyl radical), 오존 등의 활성종 물질에 의하여 박테리아, 바이러스, 곰팡이와 같은 유해성 미생물을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생성된 활성종 물질 중 미량의 활성종이 남아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막을 수 없다. 본 발명에서는 방전부를 통과한 공기가 활성종 제거부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미량의 활성종이라도 공기 중으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기 정화장치에서 공기가 정화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기 정화장치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과정(S1)과, 흡입된 공기에서 미세입자를 필터링하는 과정(S2)과, 공기에 방전을 유도하여 병원성 세균과 박테리아 등을 제거하는 살균 과정(S3)과, 방전부를 통과하면서 생성된 미량의 잔여 활성종 물질을 제거하는 과정(S4)과, 물을 전기분해하여 생성된 산소를 실내에 방출하는 과정(S5)을 포함한다. 상기 각 과정은 공기 정화장치를 통과하는 공기에서 순차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이때, 살균 과정과 잔여 활성종 제거 과정은 순차적으로 진행되어야 하지만, 그 외의 과정의 순서는 서로 바뀌어도 무방하다.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과정은 공기 정화장치 내부에 설치된 공기 순환수단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공기 순환수단은 모터로 구동되는 팬 형태의 공기 순환장치일 수 있다. 상기 공기 순환장치는 시내 공간에 설치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오존 농도 센서 등과 연동하여 적절한 시간에 적절한 강도로 작동할 수 있도록 사물인터넷에 관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미세입자를 필터링하는 과정은 다양한 수단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헤파필터와 같은 다공성 필터, 휘발성 유기화합물 등을 흡착시킬 수 있는 재료로 구성되는 흡착 필터, 전기 집진 방식에 의하여 하전된 미세입자를 전극에 흡착시키는 전기 집진 필터, 지속적으로 순환하는 물 표면에 미세입자를 흡착시키는 수막 방식 필터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수막 방식 필터는 미세입자의 제거 기능과 함께 습도 조절기능을 함께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필터의 교체가 필요없고, 미세먼지까지 흡착할 수 있는 장점도 함께 가진다.
병원성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을 제거하는 살균 과정은 공기 중에 방전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세전극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공기 중에 방전을 유도하고 음이온을 방출시키는 음이온 방식, 플라즈마 처리로 음이온, 활성산소, 하이드록실 라디칼, 하이드로퍼옥실 라디칼, 오존과 같은 활성종 물질을 생성시키는 동시에 유해가스를 분해하는 플라즈마 방식 등이 이용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생성된 활성종 물질이 미생물과 반응하여 제거하는 살균 기능을 가진다. 공기 중에서 방전을 유도하는 방전부의 구성에는 이오나이저 방식, 오존 발생기 방식, 아크방전 방식, 코로나방전 방식, 유전체 장벽방전 방식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이 중 유전체 장벽 방식은 다른 방식에 비하여 오존의 생성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장점을 가진다.
필터링 과정에 수막 방식 필터가 적용된 경우에는 방전부로 유입된 공기의 습도가 높아지고, 방전 과정에서 여러 가지 활성종이 생성된다. 공기 중에 존재하는 물(H2O)은 방전과정에서 수소 이온(H+), 산소 음이온(O2 -) 및 전자(e-)로 분리되고, 상기 이온들은 다양한 경로의 기상반응을 통하여 하이드록실 라디칼(hydroxyl radical), 하이드로퍼옥실 라디칼(hydroperoxyl radical) 등으로 변화될 수 있다. 상기 라디칼들은 공기 중에 존재하는 바이러스, 박테리아, 곰팡이 균 등과 반응하여 이들의 활성을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활성 이온들과 프리라디칼의 세포 공격 메커니즘은, 반응성이 높은 이온들과 프리라디칼(O2 -, OH-, OOH-, OH, OOH)이 공기 중의 박테리아, 바이러스, 곰팡이 등의 표면을 둘러싸고 흡착하여 세포막의 수소이온과 반응하여 물로 환원되며, 수소이온을 빼앗긴 세포는 DNA 손상으로 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방전 과정에서 생성된 음이온과 프리라디칼에 대한 항균, 탈취, 바이러스 억제에 대한 효과는 아래의 표 1에 정리하였다.
표 1
Figure 112017071787338-pat00001
방전부를 통과하면서 생성된 미량의 잔여 활성종을 제거하는 과정은 방전부에서 생성된 오존을 자외선 환경에서 산소 분자와 물로 변화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반응은 자외선에 의하여 오존이 산소 분자와 산소 라디칼로 분해되는 제1단계 반응과, 제1단계 반응에서 생성된 산소 라디칼이 수소 분자와 반응하여 물이 생성되는 제2단계 반응으로 이루어진다. 제1단계 반응과 제2단계 반응은 모두 기상에서 일어날 수 있고, 제2단계 반응은 △H = -241.8kJ/mol의 발열반응이므로 전체 반응이 자외선 환경에서 자발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반응이다. 아래에 상기 제1단계 반응식과 제2단계 반응식을 나타내었다.
제1단계 반응식
: O3(g) + hv (240-310nm UV) -> O2(g) + O(g)
제2단계 반응식
: H2(g) + O(g) -> H2O(g)
제1단계 반응과 같은 자외선 조사 환경에서는 산소분자가 산소 라디칼로 분해되고, 산소라디칼이 산소분자와 반응하여 오존이 생성되는 아래와 같은 부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부반응은 오존을 다시 생성시키는 반응이지만, 수소 분자가 존재하는 조건에서는 산소 라디칼이 소모되어 산소 라디칼과 산소 분자의 반응이 억제될 수 있다. 오존의 발생과 제거가 경쟁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반응 조건을 고려하여 방전부 후단에 오존 농도를 측정하는 오존센서를 설치하고, 오존센서에서 측정된 오존의 농도를 고려하여 수소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수소공급장치의 유량 조절밸브는 오존센서에 연동하여 작동시킬 수 있다.
부반응식
: O2(g) + hv (240-310nm UV) -> 2O(g)
O(g) + O2(g) -> O3(g)
활성종 제거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또 다른 반응은 하이드록실 라디칼과 수소분자의 반응이다. 하이드록실 라디칼은 수분이 포함된 공기의 방전 과정에서 생성되며 유해물질에 대한 활성이 매우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이드록실 라디칼은 오존에 비하여 생존기간이 상대적으로 짧지만 인체에 흡입되면 다양한 유해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소는 아래의 반응식을 통하여 하이드록실 라디칼과 반응하고, 이 과정에서 활성을 가지는 하이드록실 라디칼이 제거될 수 있다. 수소와 하이드록실 라디칼의 반응에 대한 연구는 J. Phys. Chem., 1995, 99 (37), pp 13627~13636 등의 논문에 널리 알려져 있다.
수소와 하이드록실 라디칼 반응식
반응 1 : H2 + OH(라디칼) → H2O + H
반응 2 : H + OH(라디칼) → H2O
활성종 제거반응이 일어나는 영역은 방전부의 후단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전부는 활성종에 의한 살균이 일어나는 공간이므로 살균 효과를 유지하기 위하여 방전부와 활성종 제거반응이 일어나는 영역을 공간적으로 이격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활성종 제거부에서는 상기 제1단계 반응과 제2단계 반응을 효과적으로 일으키기 위하여 반응시간을 확보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를 위하여 수소와 활성종의 충돌 빈도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고, 공기의 흐름을 와류로 변화시키는 수단이 추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와류 형성 수단은 공기의 이동 통로를 곡선으로 형성하거나, 이동 통로의 중간에 다수의 금속 메쉬를 설치하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물의 전기분해를 이용하여 생성된 산소를 실내에 방출하는 과정에는 수전해조가 이용된다. 산소를 생성하는 기술로는 제올라이트를 흡착제로 사용하는 압력순환흡착(Pressure swing adsorption)방식, 분리막을 이용하는 멤브레인 방식, 전기분해방식이 있다. 압력순환흡착 방식은 제올라이트(Zeolite)라는 특수 다공성 물질을 이용하여 분자간의 흡착력 차이로 산소를 발생시키는데, 다른 종류의 분자보다 산소가 가장 늦게 흡착되는 제올라이트를 선택하여 흡착된 산소를 지속적으로 탈착시키면서 실내 공간에 산소를 발생시킬 수 있다. 멤브레인 방식은 기체 분리막 방식이라고도 하는데, 기체 혼합물 중 특정 기체성분만을 분리해낼 수 있는 분리막을 이용하여 산소를 생산하는 방식이고, 막에 대한 선택적인 가스투과 원리에 의하여 산소와 질소, 이산화탄소와 메탄 등을 분리하여 산소를 발생시킨다. 다만, 압력순환흡착 방식과 멤브레인 방식은 일정기간이 경과하면 산소 발생 효율과 발생된 산소의 순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며, 특히 압력순환흡착 방식 압축기를 사용함으로서 소음 발생의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며, 방전부에서 생성된 활성종을 제거하는데 수소 분자를 이용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전기분해를 이용한 산소발생 방식을 적용하였다. 물의 전기분해 과정에서는 산소와 수소가 발생되는데, 본 발명의 공기 정화장치에서는 산소와 수소를 분리하여 생성하여야 하므로 격막식 전기분해조가 이용된다. 격막식 전기분해조에서 생성된 산소는 공기 중으로 방출되어 호흡과정에서 소모된 산소를 보충하여 실내 공기 중의 산소 농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전기분해 과정에서 생성된 수소는 활성종 제거부로 이송하여 활성종을 제거하는 반응의 반응물로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실내로 방출된 수소의 농도가 지나치게 높아지면 발화의 위험이 있으므로 별도의 배출관을 통하여 실외로 배출할 수 있다. 활성종 제거부에서 반응하지 않고 실내로 유입되는 수소의 양은 미량이며, 이는 최근에 알려지고 있는 생체 내 환원반응을 통한 수소의 항산화 효과 등과 같이 유익한 생물학적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공기 정화장치의 구성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기 정화장치는 필터부, 방전부, 활성종 제거부 및 수전해부를 포함한다. 이때 공기 정화장치로 유입된 공기는 필터부, 방전부, 활성종 제거부를 순차적으로 거쳐 실내로 배출된다. 수전해부에서 생성된 산소는 실내로 방출시켜 실내 공간의 산소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수전해부에서 생성된 수소 중 일부는 활성종 제거부로 공급하고, 일부는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필터부, 방전부, 활성종 제거부는 하나의 하우징 내부에 수납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수전해부는 하우징 내부에 수납되거나 별도의 공간에 설치되어 수소 이동관을 통하여 활성종 제거부에 연결될 수 있다.
필터부는 공기 중에 포함되는 분진과 같은 미세입자를 1차적으로 제거하는 기능을 하고, 다공성 필터, 흡착 필터, 전기집진 필터, 수막 방식 필터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되거나 이들의 복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방전부는 전극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공기 중에 전계를 형성하고, 자유전자가 중성분자들과 충돌하는 과정에서 하전입자가 생성되는 방식으로 방전을 유도한다. 방전부에는 이오나이저 방식, 오존 발생기 방식, 아크방전 방식, 코로나방전 방식, 유전체 장벽 방전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이 적용되는 전극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방전부에서는 음이온, 오존, 산소 라디칼, 하이드록실 라디칼, 하이드로퍼옥실 라디칼 과 같은 반응성이 높은 활성종 물질이 생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활성종 물질은 박테리아, 바이러스, 곰팡이와 같은 병원성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활성종 제거부는 방전부의 후단에 설치되는데, 방전부에서 생성된 오존과 수소분자의 반응을 유도하기 위하여 수소공급부와 자외선 램프를 포함한다. 수소공급부는 수전해부에서 생성되고 분리된 수소를 공급하고 유량을 조절하는 구성을 가진다. 수소공급부는 다수의 분사노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분사노즐은 방전부를 통과한 공기와 수소의 혼합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하도록 복수개의 분사노즐이 이격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분사노즐은 수소분자가 자외선에 의하여 생성되는 오존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도록 자외선 램프와 인접한 영역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공기의 흐름을 따라 자외선 램프의 후단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활성종 제거부는 오존과 간은 활성종과 수소 분자 간의 충돌 빈도가 증가하도록 기체의 흐름에 와류를 형성하는 와류 유도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와류 유도 수단은 지그재그 형 유로를 가지는 기체 유동관일 수 있고, 복수개의 홀이 형성된 메쉬 형태의 격막이 겹쳐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와류 유도 수단이 형성된 공간에는 금속 촉매가 설치될 수 있다. 금속 촉매는 오존, 산소 라디칼과 수소 분자의 충돌과정에서 생성된 여분의 에너지(발열 반응)를 흡수하는 기능을 할 수 있으므로, 반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방전부의 후단에는 오존의 농도를 측정하는 오존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활성종 제거부의 수소공급장치는 상기 오존센서와 연동하여 방전부에서 배출된 공기의 오존 농도에 따라 활성종 제거부로 주입되는 수소분자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수전해부는 물을 전기분해하여 생성한 산소를 실내에 공급하여 호흡으로 소모된 산소를 보충하는 기능과, 생성된 수소를 활성종 제거부로 공급하는 기능을 함께 수행한다. 수전해부에는 산소와 수소를 분리하여 생성하여야 하므로 격막식 전기분해조가 이용된다. 수전해부에서 생성된 수소의 일부는 별도의 배출관을 통하여 실외로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 정화장치는 공기 정화, 습도 조절, 산소 농도 조절, 유해물질 분해 및 살균과 같은 실내 공기 질 관리에 필요한 모든 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인텔리전트 빌딩과 같이 외기와 차단된 에너지 관리형 건물에 더욱 적합하다. 이러한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실내의 구조물 또는 인체에 웨어러블 형태로 착용되는 센서, 인터넷 장치 등과 연동하여 상기 기능들을 작동시키고 콘트롤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공기 정화장치는 센서, 정보처리 시스템, 인터넷 통신수단 등을 구비하고, 주변의 사물과 통신하는 사물 인터넷 관련 구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 구현 예를 이용하여 설명한 것으로써,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설명된 구현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런 구현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공기 유입부;
    상기 공기 유입부에서 유입된 공기 중의 미세입자를 제거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공기에 방전을 일으켜 미생물을 제거하는 방전부;
    물을 전기분해하여 발생된 산소를 실내로 방출하는 수전해부; 및
    상기 수전해부에서 생성된 수소를 상기 방전부에서 생성된 활성종과 반응시켜 실내로 방출되는 공기 중의 활성종을 제거하고,
    상기 방전부의 후단에 설치되며 수소와 활성종의 충돌 빈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와류를 형성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활성종 제거부;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다공성 필터, 흡착 필터 또는 수막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전부는 이오나이저 방식, 오존 발생기 방식, 아크방전 방식, 코로나방전 방식, 유전체 장벽방전 방식 중 적어도 하나가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활성종 제거부는 수소와 오존의 반응을 유도하기 위한 자외선 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장치.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전부의 후단에는 오존의 농도를 측정하는 오존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오존센서에서 측정된 오존의 농도와 연동하여 상기 활성종 제거부로 방출되는 수소의 양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전해부에서 생성된 수소의 일부를 실외로 배출하는 수소 배출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장치.
KR1020170094487A 2017-07-26 2017-07-26 공기 정화장치 KR101991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487A KR101991571B1 (ko) 2017-07-26 2017-07-26 공기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487A KR101991571B1 (ko) 2017-07-26 2017-07-26 공기 정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1889A KR20190011889A (ko) 2019-02-08
KR101991571B1 true KR101991571B1 (ko) 2019-06-20

Family

ID=65365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4487A KR101991571B1 (ko) 2017-07-26 2017-07-26 공기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15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5947B1 (ko) * 2021-07-19 2022-01-04 (주)클린에어스 오존제거 기능을 포함하고 주변 공간을 살균정화하는 공간살균정화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2011864D0 (en) 2020-07-30 2020-09-16 Aspire Zone Found Apparatus and methods for decontaminating air supply in enclosed spaces
KR102234603B1 (ko) * 2020-10-22 2021-04-01 최성림 저장 신선도 유지 및 활동 공간 청정도 유지를 위한 공기 순환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150Y1 (ko) 2003-03-13 2003-06-11 박용석 습식 공기 청정기
KR101553587B1 (ko) * 2014-06-12 2015-09-17 (주) 팝스 공기 정화 장치 및 방법
JP6003312B2 (ja) * 2012-07-10 2016-10-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ロボット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312Y2 (ja) * 1979-09-04 1985-01-30 ヤンマーディーゼル株式会社 直噴式デイ−ゼル機関の燃焼室
JP2680007B2 (ja) * 1987-12-04 1997-11-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半導体メモリ
KR100428965B1 (ko) * 2002-04-25 2004-04-29 주식회사 한주나노 공기 정화 방법
KR20030085346A (ko) * 2002-04-30 2003-11-05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KR100475276B1 (ko) * 2002-09-02 2005-03-10 주식회사 한주나노 공기 정화 방법
KR100517408B1 (ko) * 2003-07-03 2005-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오염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기판 처리 장치의공조시스템
KR100863307B1 (ko) * 2007-03-26 2008-10-15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공기청정가습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150Y1 (ko) 2003-03-13 2003-06-11 박용석 습식 공기 청정기
JP6003312B2 (ja) * 2012-07-10 2016-10-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ロボットシステム
KR101553587B1 (ko) * 2014-06-12 2015-09-17 (주) 팝스 공기 정화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5947B1 (ko) * 2021-07-19 2022-01-04 (주)클린에어스 오존제거 기능을 포함하고 주변 공간을 살균정화하는 공간살균정화기
WO2023003228A1 (ko) * 2021-07-19 2023-01-26 (주)클린에어스 오존제거 기능을 포함하고 주변 공간을 살균정화하는 공간살균정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1889A (ko) 2019-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8329B1 (ko) 복합 살균 공기정화기
KR102164945B1 (ko) 플라즈마와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 살균탈취장치
KR102191144B1 (ko) 미세먼지제거, 세균 및 바이러스 살균, 습도조절, 산소 및 음이온 발생 기능을 가지는 다기능 공기정화장치
JP3773767B2 (ja) イオン発生装置を備えた空気清浄機並びに空気調和機
KR101507559B1 (ko) 공기와 액체 플라즈마 반응 방식의 살균, 탈취 및 미립 분사 기능을 가지는 환경 공기 청정용 하이브리드 모듈
CN103353146B (zh) 医用空气净化器
KR101430120B1 (ko) 기체의 정화기구
KR101991571B1 (ko) 공기 정화장치
KR101305762B1 (ko) 매립형 플라즈마 공기청정기
US6680033B2 (en) Composite deodorization system and ion deodorization system
KR102260282B1 (ko) 플라즈마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20060010234A (ko) 살균방법, 살균장치, 이온발생장치 및 이들을 이용한 전기기기 및 공기정화장치
KR102296744B1 (ko) 가습살균공기청정기
KR101581236B1 (ko) 자외선 오존 발생기 및 오존수 발생기를 이용한 공기 정화장치
JP2005300111A (ja) 空気清浄ユニット、空気調和装置、および空気調和システム
JP4457603B2 (ja) ガス浄化装置
KR20090095169A (ko) 공기청정기
JP3000056B2 (ja) 空気清浄化装置
KR102033472B1 (ko) 플라즈마 공기정화 살균탈취기
KR20030027362A (ko) 공기정화기
KR102146200B1 (ko) 고밀도 융합 플라즈마 살균 및 탈취기
KR102030011B1 (ko) 분리된 전기 방전실을 이용한 공기 정화 장치 및 방법
KR20210044141A (ko) 고밀도 융합 플라즈마 살균 및 탈취기
JP2010029865A (ja) ガス浄化装置
KR20210059501A (ko) 공기 살균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