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1310B1 - 화분 유닛 - Google Patents

화분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1310B1
KR101991310B1 KR1020170148897A KR20170148897A KR101991310B1 KR 101991310 B1 KR101991310 B1 KR 101991310B1 KR 1020170148897 A KR1020170148897 A KR 1020170148897A KR 20170148897 A KR20170148897 A KR 20170148897A KR 101991310 B1 KR101991310 B1 KR 101991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vegetation
air
unit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8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2983A (ko
Inventor
정호
Original Assignee
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호 filed Critical 정호
Priority to KR1020170148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1310B1/ko
Publication of KR20190052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2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1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1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1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with intermittent wa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분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에 설치되며, 식물이 식생할 수 있는 식생공간이 마련된 식생용기와, 상기 거치대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투입되는 음료를 필터링하여 상기 식생공간으로 공급하는 음료 공급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분 유닛은 음료 공급부가 마련되어 있어 외부로부터 투입되는 음료를 필터링하여 식물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음료에 포함된 이물질 또는 유해물질이 식물에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분 유닛{Flowerpot unit}
본 발명은 화분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에서 투입되는 음료를 필터링하여 식물에 공급할 수 있는 화분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분은 배양토인 흙을 수용하고, 그 흙에 식물을 식재하여 관상용으로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화분은 배양토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과 공급된 물을 적당한 수분만을 남기고 나머지를 배수하는 배수구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배수구에는 배양토가 유실될 수 있으므로, 수분만을 배수하기 위한 망이나, 망 역할을 하는 복수의 돌맹이가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식물이 식재되어 있는 화분에는 식물의 생장을 유지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수분을 공급하여야 하고, 수분공급시 배수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배출수는 화분을 수용하고 있는 물통에 수용된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음료를 마신 다음, 남은 음료를 화분이나 화단에 버리는데, 종래에 사용되는 화분이나 화단은 음료를 필터링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음료에 포함된 이물질이나 유해물질이 식물에 공급되어 식물의 성장을 방해하는 단점이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3-0002458호: 행거가 결합된 화분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투입되는 음료를 필터링하여 식물에 공급할 수 있는 음료 공급부가 마련된 화분 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분 유닛은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에 설치되며, 식물이 식생할 수 있는 식생공간이 마련된 식생용기와, 상기 거치대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투입되는 음료를 필터링하여 상기 식생공간으로 공급하는 음료 공급부를 구비한다.
상기 음료 공급부는 상기 거치대에 설치되며, 내부에 음료가 유동하는 유동공간이 마련되며, 일측에 상기 유동공간으로 음료가 투입될 수 있도록 투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유동공간을 통과한 음료가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된 음료용기와, 상기 투입구 및 배출구 사이의 상기 음료용기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동공간을 통과하는 상기 음료를 필터링하는 음료필터부와, 일단이 상기 배출구에 연통되게 상기 음료용기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음료용기로부터 배출된 상기 음료가 상기 식생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식생용기에 설치된 공급호스를 구비한다.
상기 음료 공급부는 상기 투입구 및 음료필터부 사이의 상기 음료용기에 설치되어 상기 음료와 함께 상기 투입구로 투입된 얼음을 녹일 수 있도록 발열하는 발열부재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분 유닛은 상기 거치대에 설치되어 상기 식생용기 주위의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수집하여 상기 식생공간으로 공급하는 수분 수집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수분 수집부는 상기 식생용기에 대해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거치대에 설치되며, 내부에 공기가 유동하는 에어 유동로가 마련되고, 일측에 상기 에어 유동로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가 형성되며, 타측에 상기 에어 유동로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가 형성되며, 개방된 상기 식생용기의 상부에 대향되는 위치에 배수구가 형성된 수집본체와, 상기 에어 유동로로 유입된 공기의 수분을 응축시킬 수 있도록 열을 흡수하는 냉각면이 상기 에어 유동로에 노출되게 상기 수집본체에 설치되는 펠티어 소자와, 상기 수집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외기를 상기 에어 유동로 내부로 강제 순환시키는 순환팬을 구비한다.
상기 수분 수집부는 상기 펠티어 소자에 의해 응축된 수분을 수집할 수 있도록 상기 배수구에 연통되게 상기 수집본체에 설치된 수집호퍼와, 일단이 상기 수집호퍼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수집호퍼에서 수집된 수분이 상기 식생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식생용기에 설치된 연결호스를 구비한다.
상기 수분 수집부는 상기 펠티어 소자의 냉각면에 설치되며, 상기 냉각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에어 유동로에 유입된 공기와의 접촉면적이 확장될 수 있도록 상기 에어 유동로에 유입된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 연장되며, 소정의 열전도도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방열핀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수분 수집부는 상기 냉각면 또는 방열핀의 표면에 응축된 수분이 상기 식생공간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냉각면 또는 방열핀의 표면에 접촉되고, 타단은 상기 식생공간에 충진된 토양에 매립된 적어도 하나의 심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분 유닛은 음료 공급부가 마련되어 있어 외부로부터 투입되는 음료를 필터링하여 식물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음료에 포함된 이물질 또는 유해물질이 식물에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분 유닛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화분 유닛의 음료 공급부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분 유닛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화분 유닛에 대한 수분 수집부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분 수집부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분 수집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 유닛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화분 유닛(1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화분 유닛(10)은 거치대(20)와, 상기 거치대(20)에 설치되며, 식물이 식생할 수 있는 식생공간(31)이 마련된 식생용기(30)와, 상기 거치대(20)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투입되는 음료를 필터링하여 상기 식생공간(31)으로 공급하는 음료 공급부(40)를 구비한다.
거치대(20)는 받침대(21)와, 상기 받침대(21)의 일측에 설치된 연장로드(22)를 구비한다.
받침대(21)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상면은 식생용기(30)가 안착될 수 있도록 평편하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받침대(21)는 각 모서리가 만곡되게 형성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받침대(21)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연장로드(22)는 상하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하단부는 받침대(21)의 상부에 고정된다.
식생용기(30)는 연장로드(22)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받침대(21) 상면에 안착되며, 내부에 식생공간(31)이 마련된다. 또한, 식생용기(30)는 식생공간(31)으로 토양 및 물을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료 공급부(40)는 연장로드(22)에 설치된 음료용기(41)와, 음료용기(41) 내부에 설치된 음료필터부(42)와, 음료용기(41) 및 식생용기(30) 사이에 설치된 공급호스(43)를 구비한다.
음료용기(41)는 식생용기(30)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의 연장로드(22)에 설치되며, 내부에 음료가 유동하는 유동공간(51)이 마련된다. 또한, 음료용기(41)는 상측에 유동공간(51)으로 음료가 투입될 수 있도록 유동공간(51)에 연통되는 투입구(5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음료용기(41)는 하부에 유동공간(51)을 통과한 음료가 배출되기 위해 유동공간(51)에 연통되는 배출구(53)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음료용기(41)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진 않지만, 하부가 배출구(53)에 인접될수록 유동공간(51)의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음료 필터부는 음료용기(41) 내부에 설치되며, 투입된 음료 내의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구가 필터 플레이트(54)와, 필터 플레이트(54) 및 배출구(53) 사이의 음료용기(41) 내부에 설치되어 음료 내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재(55)를 구비한다.
필터 플레이트(54)는 유동공간(51)을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의 단위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도록 유동공간(51)의 단면에 대응되는 단면적을 갖는 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관통구는 상호 이격된 위치의 필터 플레이트(54)에 상하방향을 관통되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부재(55)는 필터 플레이트(54) 및 배출구(53) 사이의 유동공간(51)에 충진되는 것으로서, 미세한 유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부직포와 같은 다공성 소재가 적용된다. 한편, 필터부재(55)는 상술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음료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정수수단이면 무엇이든 적용 가능하다.
공급호스(43)는 내부에 음료가 유동할 수 있는 내부유로가 마련된 튜브 형상으로 형성된다. 공급호스(43)는 일단부가 배출구(53)에 연통되게 음료용기(41)에 연결되며, 타단부는 내부유로를 통과한 음료가 배출되도록 개방되게 형성된다. 이때, 공급호스(43)는 타단부가 식생공간(31)으로 인입되게 식생용기(3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음료 공급부(40)는 상기 투입구(52) 및 음료필터부(42) 사이의 상기 음료용기(41)에 설치되어 상기 음료와 함께 상기 투입구(52)로 투입된 얼음을 녹일 수 있도록 발열하는 발열부재(45)를 더 구비한다. 상기 발열부재(45)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 의해 발열하는 전열선이 적용되며, 음료용기(41)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발열부재(45)는 투입구(52) 및 음료필터부(42) 사이의 음료용기(41) 내측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음료를 마신 다음, 남은 음료를 음료용기(41)에 투입하면, 상기 음료를 유동공간(51)을 따라 음료필터부(42)로 유동한다. 음료는 음료필터부(42)의 필터 플레이트(54) 및 필터부재(55)를 통과하며 이물질 또는 유해물질이 필터링되어 공급호스(43)로 배출되고, 공급호스(43)를 통해 음료는 식생공간(31)으로 공급된다. 또한, 음료용기(41)에 투입되는 음료 내에 얼음이 포함되더라도 발열부재(45)에 의해 보다 신속하게 녹아 음료필터부(42)로 유입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화분 유닛(10)은 음료 공급부(40)가 마련되어 있어 외부로부터 투입되는 음료를 필터링하여 식물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음료에 포함된 이물질 또는 유해물질이 식물에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분 유닛(100)이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화분 유닛(100)은 상기 거치대(20)에 설치되어 상기 식생용기(30) 주위의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수집하여 상기 식생공간(31)으로 공급하는 수분 수집부(110)를 더 구비한다.
상기 수분 수집부(110)는 거치대(20)의 연장로드(22)에 고정된 수집본체(111)와, 수집본체(111)의 내부에 설치된 펠티어 소자(112) 및 순환팬(113)을 구비한다.
수집본체(111)는 식생용기(30)에 대해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연장로드(22)에 설치되며, 연장로드(22)로부터 식생용기(30)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수집본체(111)는 내부에 공기가 유동하는 에어 유동로(121)가 마련되고, 전면에 상기 에어 유동로(121)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유입구(122)가 형성된다. 또한, 수집본체(111)는 후면에 상기 에어 유동로(121)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123)가 형성되며, 개방된 상기 식생용기(30)의 상부에 대향되는 위치인 하면에 배수구(124)가 형성되어 있다.
펠티어 소자(112)는 전원이 공급시 하면이 열을 흡수하는 냉각면이 마련되고, 냉각면의 반대편인 상부에, 열을 방출하는 발열면이 형성된다. 상기 펠티어 소자(112)는 냉각면이 에어 유동로(121)에 노출되도록 수집본체(111)의 천장면에 설치되는데, 배수구(124)에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펠티어 소자(112)의 냉각면에는 다수의 방열핀(13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방열핀(131)은 펠티어 소자(112)의 냉각면에 설치되며, 상기 냉각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에어 유동로(121)에 유입된 공기와의 접촉면적이 확장될 수 있도록 상기 에어 유동로(121)에 유입된 공기의 유동방향인 전후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 연장된다. 상기 방열핀(131)은 펠티어 소자(112)에 의해 냉각될 수 있도록 소정의 열전도도를 갖는 금속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방열핀(131)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다수개가 좌우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순환팬(113)은 배기구(123)에 대응되는 위치의 수집본체(111) 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외기를 상기 에어 유동로(121) 내부로 강제 순환시킨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수분 수집부(110)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순환팬(113)에 의해 수집본체(111) 주위의 외기가 유입구(122)를 통해 수집본체(111)의 에어 유동로(121)로 유입된다. 저온으로 냉각된 펠티어 소자(112)의 냉각면 및 방열핀(131)들을 외기가 통과시 외기에 포함된 수분은 펠티어 소자(112)의 냉각면 및 방열핀(131)의 표면에 응축되고, 응축된 수분은 수집본체(111)의 배수구(124)를 통해 식생용기(30)로 낙하하여 식물에 공급된다. 상술된 수분 수집부(110)는 외기에 포함된 수분을 수집하므로 식생용기(30) 주변을 제습할 수 있고, 수집된 수분을 식물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식물의 관리가 보다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분 수집부(21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수분 수집부(210)는 상기 펠티어 소자(112)에 의해 응축된 수분을 수집할 수 있도록 상기 배수구(124)에 연통되게 상기 수집본체(111)에 설치된 수집호퍼(211)와, 일단이 상기 수집호퍼(211)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수집호퍼(211)에서 수집된 수분이 상기 식생공간(31)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식생용기(30)에 설치된 연결호스(212)를 더 구비한다.
수집호퍼(211)는 도면에 도시되는 않았지만, 응축된 수분이 유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유입공간이 마련된다. 이때, 수집호퍼(211)는 하부로 갈수록 상기 유입공간의 면적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호스(212)는 내부에 응축된 수분이 유동할 수 있는 내부유로가 마련된 튜브 형상으로 형성된다. 연결호스(212)는 일단부가 유입공간에 연통되게 수집호퍼(211)에 연결되며, 타단부는 내부유로를 통과한 응축된 수분이 배출되도록 개방되게 형성된다. 이때, 연결호스(212)는 타단부가 식생공간(31)으로 인입되게 식생용기(3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된 수집호퍼(211) 및 연결호스(212)에 의해 수집본체(111)로부터 배출된 응축된 수분이 식생용기(30) 외부로 낙하하는 것이 방지되어 식생용기(30)로의 공급량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분 수집부(22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수분 수집부(220)는 상기 냉각면 또는 방열핀(131)의 표면에 응축된 수분이 상기 식생공간(31)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방열핀(131)의 표면에 접촉되고, 타단은 상기 식생공간(31)에 충진된 토양에 매립된 다수의 심지(221)를 구비한다.
상기 심지(221)는 수집본체(111)의 배수구(124)를 통해 에어 유동로(121)로 인입되게 설치되며, 용이하게 물을 흡수할 수 있도록 부직포나 헝겊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펠티어 소자(112)의 냉각면 및 방열핀(131)의 표면에 응축된 수분은 방열핀(131)의 표면을 따라 유동하다 심지(221)의 일단부에 접촉하면 심지(221)에 흡수되고, 심지(221)를 따라 유동하여 식생공간(31) 내의 토양에 공급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는 심지(221)가 방열핀(131)에 설치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심지(221)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일단부가 펠티어 소자(112)의 냉각면에 접촉되게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진 않있지만, 상기 심지(221)는 펠티어 소자(112)의 크기 또는 식생용기(30)의 크기에 따라 2개 이하 또는 4개 이상이 마련될 수도 있다.
상술된 심지(221)에 의해 펠티어 소자(112) 및 방열핀(131)에 응축된 수분이 용이하게 식생용기(30)에 식재된 식물에 공급되므로 보다 용이하게 식생용기(30)에 식재된 식물을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화분 유닛
20: 거치대
21: 받침대
22: 연장로드
30: 식생용기
31: 식생공간
40: 음료 공급부
41: 음료용기
42: 음료필터부
43: 공급호스
45: 발열부재
51: 유동공간
52: 투입구
53: 배출구
54: 필터 플레이트
55: 필터부재

Claims (8)

  1.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에 설치되며, 식물이 식생할 수 있는 식생공간이 마련된 식생용기와;
    상기 거치대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투입되는 음료를 필터링하여 상기 식생공간으로 공급하는 음료 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음료 공급부는
    상기 거치대에 설치되며, 내부에 음료가 유동하는 유동공간이 마련되며, 일측에 상기 유동공간으로 음료가 투입될 수 있도록 투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유동공간을 통과한 음료가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된 음료용기와;
    상기 투입구 및 배출구 사이의 상기 음료용기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동공간을 통과하는 상기 음료를 필터링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음료용기 내부에 설치되며, 투입된 음료 내의 이물질을 걸러 낼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된 필터 플레이트와, 상기 필터 플레이트와 배출구 사이의 상기 음료용기 내부에 충진되며, 상기 음료에 포함된 미세한 유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다공성 소재로 형성된 필터부재를 포함한 음료필터부와;
    일단이 상기 배출구에 연통되게 상기 음료용기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음료용기로부터 배출된 상기 음료가 상기 식생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식생용기에 설치된 공급호스; 및
    상기 투입구 및 필터 플레이트 사이의 상기 음료용기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음료와 함께 상기 투입구로 투입된 얼음을 녹일 수 있도록 발열하는 발열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유닛.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에 설치되어 상기 식생용기 주위의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수집하여 상기 식생공간으로 공급하는 수분 수집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수집부는
    상기 식생용기에 대해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거치대에 설치되며, 내부에 공기가 유동하는 에어 유동로가 마련되고, 일측에 상기 에어 유동로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가 형성되며, 타측에 상기 에어 유동로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가 형성되며, 개방된 상기 식생용기의 상부에 대향되는 위치에 배수구가 형성된 수집본체와;
    상기 에어 유동로로 유입된 공기의 수분을 응축시킬 수 있도록 열을 흡수하는 냉각면이 상기 에어 유동로에 노출되게 상기 수집본체에 설치되는 펠티어 소자와;
    상기 수집본체에 설치되어 외기를 상기 에어 유동로 내부로 강제 순환시키는 순환팬;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수집부는
    상기 펠티어 소자에 의해 응축된 수분을 수집할 수 있도록 상기 배수구에 연통되게 상기 수집본체에 설치된 수집호퍼와;
    일단이 상기 수집호퍼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수집호퍼에서 수집된 수분이 상기 식생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식생용기에 설치된 연결호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유닛.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수집부는 상기 펠티어 소자의 냉각면에 설치되며, 상기 냉각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에어 유동로에 유입된 공기와의 접촉면적이 확장될 수 있도록 상기 에어 유동로에 유입된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 연장되며, 소정의 열전도도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방열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수집부는 상기 냉각면 또는 방열핀의 표면에 응축된 수분이 상기 식생공간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냉각면 또는 방열핀의 표면에 접촉되고, 타단은 상기 식생공간에 충진된 토양에 매립된 적어도 하나의 심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유닛.


KR1020170148897A 2017-11-09 2017-11-09 화분 유닛 KR101991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897A KR101991310B1 (ko) 2017-11-09 2017-11-09 화분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897A KR101991310B1 (ko) 2017-11-09 2017-11-09 화분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983A KR20190052983A (ko) 2019-05-17
KR101991310B1 true KR101991310B1 (ko) 2019-06-20

Family

ID=66678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8897A KR101991310B1 (ko) 2017-11-09 2017-11-09 화분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13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5287B1 (ko) * 2023-09-19 2024-02-08 김정희 화분용 자동 급수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177Y1 (ko) * 2006-02-14 2006-05-25 김국영 그루백 점적 관수시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8951B1 (ko) * 2011-06-24 2014-04-25 경기도 공중 수분을 이용한 식물 관수시스템
KR20130105780A (ko) * 2012-03-18 2013-09-26 이건희 농작물 재배장치
KR101398536B1 (ko) * 2012-05-09 2014-05-27 안영후 자동급수 화분
KR20130002458U (ko) 2013-04-03 2013-04-24 유상수 행거가결합된화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177Y1 (ko) * 2006-02-14 2006-05-25 김국영 그루백 점적 관수시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983A (ko) 2019-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649397U (zh) 空气炸锅
KR101686022B1 (ko)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다목적 빗물 저장 이용 장치
US6408570B1 (en) Plant cultivation device
KR101557197B1 (ko) 수생식물을 이용한 냉방시스템
ES2933805T3 (es) Plancha que incluye un dispositivo de retención de las partículas de cal transportadas por el vapor
KR101922439B1 (ko) 수직녹화화분
KR101991310B1 (ko) 화분 유닛
CN105766430A (zh) 带有用于植物的储水部的盆
JP6148702B2 (ja) 植栽棚用省エネ装置及びその方法
JP2008113653A (ja) 水盤、灌水装置、屋上緑化装置及び給水方法
CN111970919A (zh) 花盆接水托盘
JP4220147B2 (ja) 植物栽培容器
KR101338030B1 (ko) 제습 및 공기정화 기능을 가지는 식물 재배기
JP3162718U (ja) 植え鉢
KR20120140360A (ko) 벽면녹화장치
KR100852893B1 (ko) 바이오 누드화분
CN110352752A (zh) 智能花房
CN105582768B (zh) 仿生态空气净化器
CN201774857U (zh) 省水环保花盆
KR101196121B1 (ko) 식생 상자 조립체
KR20140145720A (ko) 제습 및 공기정화 기능을 가지는 식물 재배기
JP4950697B2 (ja) 高設栽培装置
ES2213512T4 (es) Dispositivo para evaporar agua.
KR101742979B1 (ko) 식물 근권부 냉난방을 위한 재배통
KR200231695Y1 (ko) 온열매트 가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