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1035B1 - 최적화된 피브린-고분자 복합 수화젤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최적화된 피브린-고분자 복합 수화젤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1035B1
KR101991035B1 KR1020170151741A KR20170151741A KR101991035B1 KR 101991035 B1 KR101991035 B1 KR 101991035B1 KR 1020170151741 A KR1020170151741 A KR 1020170151741A KR 20170151741 A KR20170151741 A KR 20170151741A KR 101991035 B1 KR101991035 B1 KR 101991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rin
polymer
present
hydrogel
hydrated g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1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4778A (ko
Inventor
최원일
Original Assignee
한국세라믹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세라믹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세라믹기술원
Priority to KR1020170151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1035B1/ko
Publication of KR20190054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47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1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1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2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 C08J3/03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aqueous media
    • C08J3/075Macromolecular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18Macromolecular material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22Polypeptides or derivatives thereof, e.g. degradation products
    • A61L27/225Fibrin; Fibrino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26Mixture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2Hydrogels or hydrocoll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6Porous materials, e.g. foams or spon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05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in the presence of a continuous liquid phase
    • C08J3/21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in the presence of a continuous liquid phase the polymer being premixed with a liquid phase
    • C08J3/215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in the presence of a continuous liquid phase the polymer being premixed with a liquid phase at least one additive being also premixed with a liquid pha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2Polyalkyl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6Biodegradable

Abstract

본 발명은 최적화된 피브린-고분자 복합 수화젤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최적화된 피브린-고분자 복합 수화젤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피브린-고분자 복합 수화젤의 조직재생용 지지체에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최적화된 피브린-고분자 복합 수화젤 및 이의 용도{OPTIMIZED FIBRIN-POLYMER COMPOSITE HYDROGEL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최적화된 피브린-고분자 복합 수화젤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최적화된 피브린-고분자 복합 수화젤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피브린-고분자 복합 수화젤의 조직재생용 지지체에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생체조직공학(tissue engineering)은 질병 또는 사고로 인하여 생체조직이나 장기의 손상을 입은 환자들에게 인공의 생체조직이나 장기를 공급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 방법에 따르면 세포들을 3차원 구조의 다공성 고분자 지지체와 함께 바이오 리엑터에서 생체조직으로 성장된 후 외과적 수술을 통해 이식된다. 이 방법에서 사용되는 고분자 지지체는 체내 조직의 세포 외 기질에 많은 역할을 모방하게 되며, 생체적합성, 세포친화성, 기계적 성질, 생분해성 등이 생체조직공학용 지지체에서 요구되는 조건이라 할 수 있다.
피브린은 경단백질의 일종으로 혈장 속의 피브리노겐에 효소 트롬빈이 작용하여 생기는 불용성 단백질이고, 상온에서 트롬빈의 존재 하에 피브리노겐의 효소적 중합반응에 의해 수화젤(Hydrogel)을 형성한다. 수화젤은 양호한 생체적 합성을 제공하고 혈전증, 가피 형성 및 염증을 일으키는 경향이 적은 가교된 수용성의 함수 중합체로서, 조직 공학 목적에 이상적인 후보 물질이다. 피브린 젤은 체내에서 독성이 없고, 면역반응이 거의 없다고 알려져, 이와 같이 형성된 피브린 젤은 손상된 조직 및 장기의 복원에 초점을 맞춘 조직 공학 분야에서 있어서 중요한 의의가 있으며, 특히 성장 인자 단백질의 전달이 용이하여, 뼈, 피부 혈관, 연골 등의 생체 조직 재생 분야에서 피브린 젤과 관련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피브린 젤 역시 제한된 범위의 기계적 강도를 가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최적화된 피브린-고분자 복합 수화젤의 제조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예의 노력한 결과, 피브리노겐, 트롬빈 및 폴록사머(Poloxamer) 고분자의 혼합 농도, 및 수화젤 제조 반응 조건의 조절을 통해 안정한 상태로 존재하고 세포부착능을 촉진하여 조직 재생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피브린-고분자 복합 수화젤이 제조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선행문헌
1. 국제공개특허 WO 03/028779
본 발명은 최적화된 피브린-고분자 복합 수화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최적화된 피브린-고분자 복합 수화젤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최적화된 피브린-고분자 복합 수화젤의 조직재생용 지지체에서의 용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피브린-고분자 복합 수화젤"은 적어도 피브리노겐 복합체 성분, 트롬빈 성분 및 고분자를 포함하는 3차원 네트워크를 나타내며, 이는 세포 성장 및 경시적인 생체활성 물질의 방출을 위한 스캐폴드(scaffold)로 작용할 수 있다.
제1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피브리노겐, 트롬빈 및 폴록사머(Poloxamer) 고분자를 포함하는 최적화된 피브린-고분자 복합 수화젤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브린-고분자 복합 수화젤에 있어서, 상기 피브리노겐의 함량은 피브린-고분자 복합 부피 1㎖ 당 0.1~100㎎/㎖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브리노겐의 함량이 0.1㎎/㎖미만일 경우에는 젤의 형태가 제대로 유지되지 못하며, 100㎎/㎖를 초과하였을 경우에는 젤의 형태가 매우 단단해져 수화젤의 기능을 상실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브린-고분자 복합 수화젤에 있어서, 상기 트롬빈의 함량은 피브린-고분자 복합 부피 1㎖ 당 0.5~50U/㎖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롬빈의 함량이 0.5U/㎖ 미만일 경우에는 젤의 형태가 유지되지 못하며, 50U/㎖를 초과하였을 경우에는 젤이 매우 단단해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브린-고분자 복합 수화젤에 있어서, 상기 폴록사머의 농도는 0.1-5 %(w/v)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록사머의 농도가 상기 0.1-5 %(w/v)를 벗어나는 경우 수화젤막의 두께, 입자의 형성을 위한 수용액의 점도가 적합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브린-고분자 복합 수화젤에 있어서, 상기 피브린-고분자 복합 수화젤은 칼슘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브린-고분자 복합 수화젤에 있어서, 상기 칼슘염의 함량은 피브린-고분자 복합 수화젤의 부피 1㎖ 당 1~100mM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칼슘염 함량이 1mM 미만일 경우에는 칼슘 공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수화젤이 형성되지 못하며, 100mM을 초과하였을 경우에는 잉여의 칼슘으로 인해 수화젤 주변의 pH가 산성이 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브린-고분자 복합 수화젤에 있어서, 상기 칼슘염은 인산3칼슘, 알파인산3칼슘, 베타인산3칼슘, 인산칼슘, 인산칼슘의 다형체, 히드록시아파타이트, 탄산칼슘, 황산칼슘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브린-고분자 복합 수화젤에 있어서, 상기 피브린-고분자 복합 수화젤은 인자 XIII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브린-고분자 복합 수화젤에 있어서, 상기 피브린-고분자 복합 수화젤의 탄성강도는 1,000-10,000 Pa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브린-고분자 복합 수화젤에 있어서, 상기 피브린-고분자 복합 수화젤은 항균성 부여를 위해 항생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항생제는 당업계에 세균의 생육과 활성을 저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고 알려진 것이라면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는 암피실린(ampicillin), 젠타마이신(gentamicin), 메틸파라벤(methyl paraben), 에틸파라벤(ethyl paraben), 페니실린(penicillin), 세팔로스포린(cephalosporin), 모노박탐(monobactam), 카바페넴(carbapenem), 아미노글리코사이드(aminoglycoside), 마크롤라이드(macrolide),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 클로르암페니콜(chloramphnicol), 퀴놀론(quinolone), 반코마이신(vancomycin), 테이코플라닌(teicoplanin), 린코사미드(lincosamide), 메트로니다졸(metronidazole), 설폰아미드(sulfonamide), 트리메소프림(trimethoprim) 및 이들의 염이 포함되고,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제2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a) 수화젤 부피 1㎖ 당 0.1~100㎎/㎖의 피브리노겐 용액, 0.5~50U/㎖의 트롬빈 용액, 및 0.1-5 %(w/v) 농도의 폴록사머(Poloxamer) 고분자의 혼합용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b) 상기 혼합용액을 상온에서 5분 내지 20분 동안 겔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최적화된 피브린-고분자 복합 수화젤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최적화된 피브린-고분자 복합 수화젤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피브리노겐 용액은 동결건조 피브리노겐에 아프로티닌을 주입하여 용해시킨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최적화된 피브린-고분자 복합 수화젤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피브리노겐 용액은 인자 XIII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최적화된 피브린-고분자 복합 수화젤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트롬빈 용액은 동결건조된 트롬빈에 염화칼슘을 주입하여 용해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생분해성 고분자, 및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내에 충진된 상기 제1구현예에 따른 피브린-고분자 복합 수화젤을 포함하는 조직재생용 지지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조직재생용 지지체"는 체내의 손상된 조직 또는 그 주변에 이식되어 손상된 조직을 재생시킨 후 다시 분리되거나, 혹은 완전히 분해되어 없어지게 되는 구조체를 의미한다. 상기 조직재생용 지지체는 체외에서 분화를 유도하여 생체내에 이식되거나, 혹은 별도의 분화 유도 없이 생체내에 직접 이식되어 생체내에서 분화가 유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조직재생용 지지체는 체내에 이식되어 신생 혈관이 형성될 때까지는 체액을 통하여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받으며, 또한 혈관의 생성(angiogenesis)을 통하여 혈액의 공급이 이루어지면서 증식하여 새로운 조직이나 장기로 형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조직재생용 지지체“는 생분해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매트릭스로서 공극을 갖는 매트릭스를 의미한다. 상기 공극을 갖는 고분자 지지체는 생분해성 고분자로부터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염추출법, 발포법, 유화동결법, 열접착법, 3차원 프린팅, CAD-CAM 등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Kim 등의 방법(Biofabrication 2009; 1: 1-7)에 따라 자유 임의 형상 제작 방법(solid free-form fabrication method)에 따라 공극을 갖는 고분자 지지체를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공극의 형상은 원형, 사각형 등의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공극의 크기는 약 10 ㎛ ∼ 1,000 ㎛ 범위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공극의 크기는 원형일 경우 직경, 사각형일 경우 가로 또는 세로의 길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생분해성 고분자"는 pH 6-8인 생리적 용액(physiological solution)에 노출되었을 때 분해되는 고분자를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생체 내에서 체액 또는 미생물 등에 의해서 분해될 수 있는 고분자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직재생용 지지체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는 폴리(D,L-락트산-co-글리콜산), 폴리락트산, 폴리글리콜산, 폴리(카프로락톤), 폴리(발레로락톤), 폴리(하이드록시부틸레이트) 및 폴리(하이드록시발러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직재생용 지지체에 있어서, 상기 조직은 심장, 간, 피부, 골, 신경, 또는 췌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피브린-고분자 복합 수화젤의 G' 및 G"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하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실시예 1. 피브린 -고분자 복합 수화젤의 제조
피브리노겐 용액(피브리노겐 90mg, factor XIII 60 U, 및 Kallikrein Inhibitor Unit 1000) 및 트롬빈 용액[0.6% (w/v) calcium chloride solution 400 IU/mL]을 Greenplast kit로 제조하였다. 피브리노겐 및/또는 트롬빈 용액을 0.1M CaCl2 용액에 희석하여 젤화를 조절하였다. 이때, 수화젤의 최적화 조건을 알아보기 위하여, 피브리노겐 용액의 희석 비율을 1:2, 1:5 및 1:7로 다양하게 하고, 이를 각각 동일한 부피의 1:200, 1:1000 및 1:1500의 다양한 희석비를 갖는 트롬빈 용액과 혼합하였다.
또한, 피브린-고분자 복합 수화젤을 제조하기 위하여 폴록사머 고분자를 추가로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피브린-고분자 복합 수화젤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폴록사머 고분자의 농도는 0.1 내지 5 %(w/v)로 다양하게 하여 첨가하였다.
실시예 2. 피브린 -고분자 복합 수화젤의 G' 및 G"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피브린-고분자 복합 수화젤에 대한 G' 및 G" 값을 레오미터((emini, Malvern Instruments, UK)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 측정값을 기준으로 저장탄성률(G')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로부터 알 수 있듯이, 트롬빈 용액의 농도가 1:200, 1:1000 및 1:1500로 감소함에 따라 수화젤의 형성 시간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1a). 또한, 피브리노겐의 농도가 1:2, 1:5 및 1:7로 감소함에 따라 수화젤의 강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1b).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수화젤은 향후 조직재생용 지지체에서 사용시 피브리노겐 및 프롬빈의 함량 조절을 통해 특정 조직의 특성에 따라 최적화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1. (a) 피브리노겐 용액, 트롬빈 용액, 및 폴록사머(Poloxamer) 고분자의 혼합용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b) 상기 혼합용액을 상온에서 5분 내지 20분 동안 겔화시켜 피브린-고분자 복합 수화젤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피브리노겐 용액은 수화젤 부피를 기준으로 0.1~100 ㎎/㎖의 양으로 함유되고,
    상기 트롬빈 용액은 수화젤 부피를 기준으로 0.5~50 U/㎖의 양으로 함유되고,
    상기 폴록사머 고분자는 수화젤 전체 조성을 기준으로 0.1-5 %(w/v)양으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안정성이 향상된 피브린-고분자 복합 수화젤의 제조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70151741A 2017-11-14 2017-11-14 최적화된 피브린-고분자 복합 수화젤 및 이의 용도 KR101991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741A KR101991035B1 (ko) 2017-11-14 2017-11-14 최적화된 피브린-고분자 복합 수화젤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741A KR101991035B1 (ko) 2017-11-14 2017-11-14 최적화된 피브린-고분자 복합 수화젤 및 이의 용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8921A Division KR20190075018A (ko) 2019-06-11 2019-06-11 최적화된 피브린-고분자 복합 수화젤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778A KR20190054778A (ko) 2019-05-22
KR101991035B1 true KR101991035B1 (ko) 2019-06-19

Family

ID=66680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1741A KR101991035B1 (ko) 2017-11-14 2017-11-14 최적화된 피브린-고분자 복합 수화젤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103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736B1 (ko) 2006-08-21 2008-03-07 광주과학기술원 다당류-기능화 나노입자 및 수화젤 담체를 포함하는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서방형 약물전달 제제, 뼈충진제 및이들의 제조방법
US20120107369A1 (en) * 2010-11-01 2012-05-03 nanoDERM, LLC Polymers and Hydrogel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86958A1 (en) * 2005-10-14 2007-04-19 Medafor, Incorporated Formation of medically useful gels comprising microporous particles and methods of us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736B1 (ko) 2006-08-21 2008-03-07 광주과학기술원 다당류-기능화 나노입자 및 수화젤 담체를 포함하는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서방형 약물전달 제제, 뼈충진제 및이들의 제조방법
US20120107369A1 (en) * 2010-11-01 2012-05-03 nanoDERM, LLC Polymers and Hydrogel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Fibrin-polyethylene oxide 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s(Acta Biomaterialia 7 (2011) 2418-242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778A (ko) 2019-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ao et al. Recent developments in scaffold-guided cartilage tissue regeneration
Ulery et al. Biomedical applications of biodegradable polymers
JP6081358B2 (ja) 絹フィブロインおよびポリエチレングリコールをベースとする生体材料
Han et al. The calcium silicate/alginate composite: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its behavior as bioactive injectable hydrogels
Zhang et al. Calcium phosphate—chitosan composite scaffolds for bone tissue engineering
Choi et al. Biodegradable porous beads and their potential applications in regenerative medicine
ES2357224T3 (es) Matrices de proteína del plasma y métodos para su preparación.
CA2721900C (en) Biocompatible implant
WO2014176458A2 (en) Bioresorbable biopolymer anastomosis devices
US20100226956A1 (en) Production of moldable bone substitute
US20130295081A1 (en) Polyurethane Composite for Wound Healing and Methods Thereof
IL193640A (en) Biodegradable foam
Dorati et al. Gentamicin-loaded thermosetting hydrogel and moldable composite scaffold: formulation study and biologic evaluation
Xu et al. Noninvasive monitoring of bone regeneration using NaYF4: Yb3+, Er3+ upconversion hollow microtubes supporting PLGA-PEG-PLGA hydrogel
CN111432853A (zh) 交联的蛋白质泡沫及其使用多用途细胞支架的方法
KR101875264B1 (ko) 기능성 수화젤 기반의 초고속 경화 바이오 잉크 및 이의 제조방법
Goh et al. Fabrication and in vitro biocompatibility of sodium tripolyphosphate-crosslinked chitosan–hydroxyapatite scaffolds for bone regeneration
Ghosh et al. Bio mimicking of extracellular matrix
KR20190075018A (ko) 최적화된 피브린-고분자 복합 수화젤 및 이의 용도
JP6715851B2 (ja) 時間制御型グルコース放出ヒドロゲル及びそれらの用途
KR101991035B1 (ko) 최적화된 피브린-고분자 복합 수화젤 및 이의 용도
Venkatesan et al. Chitosan-based polysaccharide biomaterials
JP7104425B2 (ja) 細胞外マトリックス材料
KR101472046B1 (ko) 골 이식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Tappa et al. Design and evaluation of a nanoenhanced anti-infective calcium phosphate bone c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