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0020B1 - 도파민 검출용 나노프로브, 이를 포함한 도파민 검출용 센서 및 도파민의 검출 방법 - Google Patents

도파민 검출용 나노프로브, 이를 포함한 도파민 검출용 센서 및 도파민의 검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0020B1
KR101990020B1 KR1020170025102A KR20170025102A KR101990020B1 KR 101990020 B1 KR101990020 B1 KR 101990020B1 KR 1020170025102 A KR1020170025102 A KR 1020170025102A KR 20170025102 A KR20170025102 A KR 20170025102A KR 101990020 B1 KR101990020 B1 KR 101990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pamine
transition metal
nanoprobe
detecting
quantum d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5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8088A (ko
Inventor
김종호
김만진
전수지
김혜인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25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0020B1/ko
Publication of KR20180098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8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1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the carrier being characterised by its particulate form
    • G01N33/54346Nanopart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6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 G01N33/543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involving physiochemical end-point determination, e.g. wave-guides, FETS, grat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51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the carrier being inorganic
    • G01N33/553Metal or metal coat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94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narcotics or drugs or pharmaceuticals, neurotransmitters or associated receptors
    • G01N33/9406Neurotransmitters
    • G01N33/9413Dopam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Nan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Analyzing Materials By Fluorescence Or Luminesc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양태에 따르면, 전이금속 디칼코게나이드 양자점; 및 금속 이온;을 포함하는, 도파민 검출용 나노프로브가 개시된다. 또한, 상술한 도파민 검출용 나노프로브를 포함하는 도파민 검출용 센서 및 도파민의 검출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도파민 검출용 나노프로브, 이를 포함한 도파민 검출용 센서 및 도파민의 검출 방법{Nanoprobe for detecting dopamine, sensor for detecting dopamine containing the same and sensing method for dopamine}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도파민 검출용 나노프로브, 이를 포함하는 도파민 검출용 센서 및 도파민의 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파민(dopamine (DA); 3,4-디하이드록시페닐에틸아민)은 중요한 신경전달물질 중 하나이며, 중추신경계 및 말초신경계에서 중요한 역할 함이 알려져 있다. 생물학적 유체에서 도파민의 농도는 파킨슨 병과 정신 분열증과 같은 신경 또는 뇌 질환을 결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지표이다. 도파민 농도가 생물학적 연구 및 임상 진단에 대한 주요한 지표이기 때문에, 선택적이고, 민감하며, 신속하게 도파민을 검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향상된 민감도 및 선택성을 갖는 도파민 검출용 나노프로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도파민 검출용 나노프로브를 포함하는 도파민 검출용 센서 및 이를 이용한 도파민의 검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도파민 검출용 나노프로브, 도파민 검출용 센서 및 도파민의 검출 방법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양태에 따른 도파민 검출용 나노프로브는 전이금속 디칼코게나이드 양자점; 및 금속 이온;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이금속 디칼코게나이드 양자점은 MoS2, MoSe2, MoTe2, TiS2, TiSe2, TiTe2, ZrS2, ZrSe2, ZrTe2, VS2, VSe2, VTe2, RuS2, RuSe2, RuTe2, PdS2, PdSe2, PdTe2, HfS2, HfSe2, HfTe2, NbS2, NbSe2, TaS2, TaSe2, NiS2, NiSe2, NiTe2, IrS2, IrSe2, IrTe2, PtS2, PtSe2, PtTe2, WS2, WSe2, WTe2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이금속 디칼코게나이드 양자점은 MoS2, MoSe2, MoTe2, WS2, WSe2, WTe2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이금속 디칼코게나이드 양자점은 MoS2, WS2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금속 이온은 귀금속 양이온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금속 이온은 Au3 +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이금속 디칼코게나이드 양자점 대 상기 금속 이온의 중량비는 1:1 내지 1:2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파민 검출용 나노프로브는 검출 한계가 0 nM 초과 내지 25 nM 이하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파민 검출용 나노프로브는 5 분 이내에 도파민을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른 양태에 따른 도파민 검출용 센서는 상술한 도파민 검출용 나노프로브; 광원; 및 광 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또 다른 양태에 따른 도파민의 검출 방법은 상술한 도파민 검출용 나노프로브와 도파민을 접촉시키는 단계; 및 상기 도파민 검출용 나노프로브가 방출하는 광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파민 검출용 나노프로브와 도파민을 접촉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금속 이온이 금속 나노입자로 전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도파민 검출용 나노프로브는 향상된 민감도 및 선택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포함하는 도파민 검출용 센서도 향상된 민감도 및 선택성을 가지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도파민의 검출 방법은 향상된 민감도 및 선택성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파민의 검출 메커니즘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a는 실험예 1에 따른 육안 사진을 도시한 것이다.
도 2b는 실험예 2에 따른 광루미네선스 여기(photoluminescence excitation: PLE) 스펙트럼이다.
도 3a는 실험예 3에 따른 육안 사진을 도시한 것이다.
도 3b는 실험예 3에 따른 PLE 스펙트럼이다.
도 4a는 실험예 4에 따른 PLE 스펙트럼이다.
도 4b는 실험에 4에 따른 도파민의 농도 대 형광 강도의 선형 상관 관계를 계산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을 차례로 상세히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도파민 검출용 나노프로브는 전이금속 디칼코게나이드 양자점; 및 금속 이온; 을 포함한다.
여기서, 전이금속 디칼코게나이드는 1개의 전이금속 원자에 2개의 칼코겐 원자가 결합하여 X-M-X(여기서, X는 칼코겐 원자이고, M은 전이금속 원자임)의 화학식을 갖는 재료를 통칭한다.
여기서, 전이금속 디칼코게나이드 양자점은 전이금속 디칼코게나이드로 이루어진 양자점을 통칭한다.
상기 전이금속 디칼코게나이드 양자점을 구성하는 원자의 종류는 상기 전이금속 디칼코게나이드 양자점이 도파민을 산화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크게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이금속 디칼코게나이드 양자점은 MoS2, MoSe2, MoTe2, TiS2, TiSe2, TiTe2, ZrS2, ZrSe2, ZrTe2, VS2, VSe2, VTe2, RuS2, RuSe2, RuTe2, PdS2, PdSe2, PdTe2, HfS2, HfSe2, HfTe2, NbS2, NbSe2, TaS2, TaSe2, NiS2, NiSe2, NiTe2, IrS2, IrSe2, IrTe2, PtS2, PtSe2, PtTe2, WS2, WSe2, WTe2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전이금속 디칼코게나이드 양자점은 MoS2, MoSe2, MoTe2, WS2, WSe2, WTe2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더욱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전이금속 디칼코게나이드 양자점은 MoS2, WS2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상기 전이금속 디칼코게나이드 양자점이 가시 광선 영역에 속하는 형광을 방출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간단한 방법으로 도파민을 검출할 수 있게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이금속 디칼코게나이드 양자점은 1T-상(1T-phase) 전이금속 디칼코게나이드 나노시트 및 용매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용해열 반응(solvothermal reaction)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이금속 디칼코게나이드 양자점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전이금속 디칼코게나이드 나노시트는 상기 전이금속 디칼코게나이드가 2차원의 평면 형태로 배열된 재료를 의미한다.
여기서, "1T-상"의 의미는 1T-상으로만 이루어진 것뿐만 아니라, 2H-상 및 1T-상이 함께 존재하나 2H-상의 비율이 1T-상의 비율보다 적은 것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1T-상은 팔면체(octaheadral) 구조로서, 전이금속 원자가 중심에 위치하고, 상기 전이금속 원자 주변에 8개의 칼코겐 원자가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1T-상 전이금속 디칼코게나이드 나노시트는 화학적으로 박리되어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1T-상 전이금속 디칼코게나이드 나노시트가 벌크 전이금속 디칼코게나이드를 화학적으로 박리시킴으로써 제조되면, 2H-상이 아니라 1T-상 전이금속 디칼코게나이드 나노시트를 얻을 수 있다.
상기 1T-상 전이금속 디칼코게나이드 나노시트는 구체적으로, 리튬-포함 화합물에 의해 화학적으로 박리되어 제조될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 부틸 리튬에 의해 화학적으로 박리되어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전이금속 디칼코게나이드 양자점은 2H-상(2H-phase)일 수 있다.
여기서, "2H-상"의 의미는 2H-상으로만 이루어진 것뿐만 아니라, 2H-상 및 1T-상이 함께 존재하나 1T-상의 비율이 2H-상의 비율보다 적은 것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2H-상은 삼각주(trigonal prism) 구조로서 전이금소 원자가 중심에 위치하고, 상기 전이금속 원자 주변에 6개의 칼코겐 원자가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금속 이온은 전이금속 디칼코게나이드 양자점으로부터 전자를 전달받아 환원될 수 있는 것이라면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금속 이온은 귀금속 양이온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금속 이온은 Au3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금은 높은 생체 친화성, 높은 전기 전도도 등의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파민 검출용 나노프로브에 특히 적합할 수 있다.
상기 전이금속 디칼코게나이드 양자점 대 상기 금속 이온의 중량비는 1:1 내지 1:2 일 수 있다. 상기 범위의 중량비를 만족하면, 적절한 시간 내에 전이금속 디칼코게나이드 양자점으로부터의 전자가 금속 이온으로 전달되어 상기 금속 이온을 환원시키는데 충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이금속 디칼코게나이드 양자점 대 상기 금속 이온의 중량비는 1:1 내지 1:1.85 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전이금속 디칼코게나이드 양자점 대 상기 금속 이온의 중량비는 1:1 내지 1:1.2 일 수 있다.
상기 도파민 검출용 나노프로브의 검출 한계가 0 nM 초과 내지 25 nM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도파민 검출용 나노프로브는 전이금속 디칼코게나이드 양자점 및 금속 이온이 포함됨으로써, 검출 한계가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도파민 검출용 나노프로브는 5 분 이내에 도파민을 검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파민 검출용 센서는 상술한 도파민 검출용 나노프로브; 광원; 및 광 측정부; 를 포함한다.
상기 광원은 상기 도파민 검출용 나노프로브에 광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종류가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원은 자외선 또는 가시광선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광원은 가시광선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광 측정부는 상기 도파민 검출용 나노프로브 중의 전이금속 디칼코게나이드 양자점이 광원으로부터 광을 받아 방출하는 광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종류가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 측정부는 형광을 측정하는 형광 측정부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광 측정부는 가시 광선 영역의 형광을 측정하는 형광 측정부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파민의 검출 방법은 상술한 도파민 검출용 나노프로브와 도파민을 접촉시키는 단계; 및 상기 도파민 검출용 나노프로브가 방출하는 광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파민 검출용 나노프로브와 도파민을 접촉시키면 도파민 검출용 나노프로브에 포함된 전이금속 디칼코게나이드 양자점가 방출하는 광이 퀀칭되므로, 상기 도파민 검출용 나노프로브가 방출하는 광을 측정함으로써 도파민을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파민 검출용 나노프로브와 도파민이 접촉되면 도파민의 산화가 일어나고, 이 때 발생된 전자가 전이금속 디칼코게나이드 양자점을 통해 금속 이온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금속 이온은 금속 나노 입자로 전환되며, 상기 금속 나노 입자가 전이금속 디칼코게나이드 양자점이 방출하는 형광을 FRET을 통해 퀀칭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도파민 검출용 나노프로브와 도파민을 접촉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금속 이온이 금속 나노 입자로 전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도파민의 검출 방법은 5분 이내에 도파민을 검출할 수 있다.
이하 합성예 및 실시예를 통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합성예 및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합성예 및 실시예]
모든 시약 및 용매는 추가 정제 없이 상업적으로 얻어진 대로 사용되었다.
텅스텐 (IV) 설파이드 (WS2), 몰리브덴 (IV) 설파이드 (MoS2), n-부틸리튬 용액, 노르에피네프린, 에피네프린, 아스코르브산, 요산, 글루코스, 아데노신 5'-트리포스페이트 디소듐 염 수화물, 소듐 하이드록사이드, HEPES, 금 (III) 클로라이드 트리하이드레이트, 및 인간 남자 AB 혈장으로부터의 인간 혈청은 Sigma-Aldrich (St. Louis, MO, USA)로부터 구입하였다. n-메틸-2-피롤리돈 (NMP)은 Dae-Jung Chemicals (Busan, Republic of Korea)로부터 구입하였다.
(1) 합성예 : WS 2 양자점(WS 2 QD)의 제조
1) 1T-WS 2 나노시트의 제조
질소 기체 분위기 하에서, 1 g의 벌크 WS2 파우더를 20 ml의 n-부틸리튬/헥산 용액(1.6 M)에 첨가하였다. 얻어진 용액을 48 시간 동안 75℃에서 교반하였다. 그 다음, 얻어진 용액을 헥산으로 몇 차례 세척하여 Li이 삽입된 WS2를 얻었다. 상기 Li이 삽입된 WS2를 물 (80 ml)에 분산시키고 200W에서 1시간 동안 초음파처리하고, 투석막(MWCO 6000-8000)을 사용하여 3일 동안 투석하고, 2000 rpm에서 원심 분리된 상청액으로부터 1T-WS2 나노시트를 얻었다.
2) WS 2 QD의 제조
1T-WS2 나노시트에 NMP (20 ml)를 첨가하여 200 g/ml의 용액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 1 시간 동안 초음파 처리하여 상기 용액을 탈기하고, 상기 용액을 100℃에서 90분 동안 질소 기체 하에서 가열하여 WS2 QD를 얻었다.
(2) 실시예 1
합성예에서 합성된 WS2 QD를 HEPES 버퍼(50 mM, pH 7.4)에 분산시켰다. 그 다음, 여기에 도파민 및 Au3 + 이온을 첨가함으로써 샘플을 제작하였다. 이 때, WS2 QD의 농도는 40 μg/ml 이었고, 도파민의 농도는 12.5 μM이었고, Au3 + 이온의 농도는 250 μM이었다.
(3)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4
도파민을 각각 49 μM(실시예 2), 391 μM(실시예 3) 및 781 μM(실시예 4)의 농도로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샘플을 제작하였다.
(4) 비교예 1
WS2 QD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샘플을 제작하였다.
(5) 비교예 2
도파민을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샘플을 제작하였다.
(6) 비교예 3 내지 8
도파민 대신 각각 아스코르브산(비교예 3), 요산(비교예 4), 글루코오스(비교예 5), 아데노신 트리포스페이트(비교예 6), 에피네프린(비교예 7) 및 노르에피네프린(비교예 8)을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샘플을 제작하였다. 단, 비교예 3 및 4의 아스코르브산 및 요산의 농도는 각각 200 μM이었다.
(5) 실험예 1: 육안 사진 평가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샘플 각각에 대해, 0분, 1분, 2분, 3분, 4분 및 5분의 사진을 찍어 도 2a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에서만 붉게 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는 Au 나노 입자가 형성되었음을 알려주는 것이다.
(5) 실험예 2: 광루미네선스 여기(photoluminescence excitation: PLE ) 평가
실시예 1 및 비교예 2의 샘플 각각에 대해 Horiba Scientific로부터 입수된 Nano Log®로 390nm에서 0.1초 동안 여기시킨 후 480nm에서 형광 발광 최대값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2b에 나타내었다. 도 2b로부터, 실시예 1의 샘플에서 형광의 퀀칭이 일어났으나, 비교예 2의 샘플에서는 형광이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6) 실험예 3: 선택성 평가
실시예 1 및 비교예 3 내지 8의 샘플에 대해 육안 사진을 찍어 도 3a에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1 및 비교예 3 내지 8의 샘플에 대해 PLE 분석을 수행하였고, 비교예 2의 형광 발광 최대값 대비 형광 발광 최대값의 변화를 하기 식 1에 따라 계산하여 도 3b에 나타내었다.
<식 1>
(I0 - I)/I0 = {(비교예 2의 형광 발광 최대값)-(각 샘플의 형광 발광 최대값)}/(비교예 2의 형광 발광 최대값)
그 결과, 실시예 1에서만 형광 퀀칭이 있었으며, 도파민만을 선택적으로 검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7) 실험예 4: 민감도 평가
비교예 2 및 실시예 2 내지 4의 PLE 분석을 수행하여 도 4a에 나타내었다. 이로부터 도파민의 농도 대 형광 강도의 선형 상관 관계를 계산하여 도 4b에 나타내었다. 이로부터, 도파민의 검출한계가 23.8nM임을 알 수 있었다.
(8) 실험예 5: 일관성 평가
인간 혈청에 특정량의 도파민을 첨가한 다음, 본 발명의 WS2 QD 나노프로브를 사용하여 도파민의 농도를 예측하고, 실제 첨가한 도파민의 양과 비교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이 때, 도파민의 농도는 도 4b의 검량선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예측된 도파민의 농도는 실제 첨가된 도파민의 양과의 일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p-값은 본 발명의 WS2 QD 나노프로브를 사용한 도파민의 검출이 인간 혈청 내에서도 매우 신뢰도가 높음을 알려주었다.
실제 첨가된 도파민의 농도
(nM)
예측된 도파민의 농도
(nM)
일관성 *
(%)
p-값 **
98 95.6 97.6 3.75 x 10-3
195 193.3 99.0 6.35 x 10-3
391 392.3 100.5 3.06 x 10-3
781 786.9 99.0 3.91 x 10-6
* 일관성(%) = (예측된 도파민의 농도)/(실제 첨가된 도파민의 농도) × 100
** p-값이 0.05 미만이면, 95% 초과의 신뢰도이고, p-값이 0.01 미만이면, 99% 초과의 신뢰도이고, p-값이 0.001 미만이면, 99.9% 초과의 신뢰도임.
(9) 실험예 6: 기존의 센서와의 비교
본 발명의 WS2 QD 나노프로브를 포함한 센서와 기존의 센서의 검출 한계 및 검출 시간을 비교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WS2 QD 나노프로브를 포함한 센서가 민감도가 높고 빠른 시간 내에 도파민을 검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WS2 QD 나노프로브를 포함한 센서는 가장 검출 한계가 낮은 ELISA보다는 검출 한계가 약간 높았으나, 4분 내에 도파민을 검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센서들보다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재료 검출 방법 검출 한계
(nM)
검출 시간(분) 참고 문헌
AuNPs@MoS2 전기화학적 방법 50 N / Aa RSC Adv., 2014, 4, 27625-27629 | 27625
GCE-APTES-키토산-rMoS2 전기화학적 방법 1000 N / A Small 2012, 8, 2264-2270
WS2/TiO2 복합체 광전기화학적 방법 320 몇 분 Anal. Chem. 2015, 87, 4844-4850
형광 PDA 나노입자b 형광 40 30 Anal. Chem. 2014, 86, 5508-5512
A-QDsc 형광 29.3 20 Analyst, 2014, 139, 93-98
ELISA 키트 효소/흡수 0.012 480 Abnova
WS2 QD 형광 23.8 4 본 발명
a: N/A는 입수 가능하지 않음을 의미함.
b: 폴리도파민 나노입자.
c: 아데노신으로 캐핑된 양자점.
이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12)

  1. 도파민과 접촉되어 상기 도파민을 산화시키는 전이금속 디칼코게나이드 양자점; 및
    상기 전이금속 디칼코게나이드 양자점으로부터 상기 도파민의 산화 시 발생되는 전자를 전달받아 환원되는 금속 이온;을 포함하는, 도파민 검출용 나노프로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금속 디칼코게나이드 양자점은 MoS2, MoSe2, MoTe2, TiS2, TiSe2, TiTe2, ZrS2, ZrSe2, ZrTe2, VS2, VSe2, VTe2, RuS2, RuSe2, RuTe2, PdS2, PdSe2, PdTe2, HfS2, HfSe2, HfTe2, NbS2, NbSe2, TaS2, TaSe2, NiS2, NiSe2, NiTe2, IrS2, IrSe2, IrTe2, PtS2, PtSe2, PtTe2, WS2, WSe2, WTe2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재료를 포함하는, 도파민 검출용 나노프로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금속 디칼코게나이드 양자점은 MoS2, MoSe2, MoTe2, WS2, WSe2, WTe2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재료를 포함하는, 도파민 검출용 나노프로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금속 디칼코게나이드 양자점은 MoS2, WS2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재료를 포함하는, 도파민 검출용 나노프로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이온은 귀금속 양이온 중에서 선택되는, 도파민 검출용 나노프로브.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이온은 Au3+인, 도파민 검출용 나노프로브.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금속 디칼코게나이드 양자점 대 상기 금속 이온의 중량비는 1:1 내지 1:2인, 도파민 검출용 나노프로브.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파민 검출용 나노프로브의 검출 한계가 0 nM 초과 내지 25 nM 이하인, 도파민 검출용 나노프로브.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파민 검출용 나노프로브는 5 분 이내에 상기 도파민을 검출하는, 도파민 검출용 나노프로브.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도파민 검출용 나노프로브;
    광원; 및
    광 측정부;를 포함하는, 도파민 검출용 센서.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도파민 검출용 나노프로브와 도파민을 접촉시키는 단계; 및
    상기 도파민 검출용 나노프로브가 방출하는 광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파민의 검출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도파민 검출용 나노프로브와 도파민을 접촉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금속 이온이 금속 나노입자로 전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도파민의 검출 방법.
KR1020170025102A 2017-02-24 2017-02-24 도파민 검출용 나노프로브, 이를 포함한 도파민 검출용 센서 및 도파민의 검출 방법 KR101990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102A KR101990020B1 (ko) 2017-02-24 2017-02-24 도파민 검출용 나노프로브, 이를 포함한 도파민 검출용 센서 및 도파민의 검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102A KR101990020B1 (ko) 2017-02-24 2017-02-24 도파민 검출용 나노프로브, 이를 포함한 도파민 검출용 센서 및 도파민의 검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8088A KR20180098088A (ko) 2018-09-03
KR101990020B1 true KR101990020B1 (ko) 2019-06-17

Family

ID=63600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5102A KR101990020B1 (ko) 2017-02-24 2017-02-24 도파민 검출용 나노프로브, 이를 포함한 도파민 검출용 센서 및 도파민의 검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00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0404A (ko) * 2020-03-26 2021-10-07 울산과학기술원 나노 입자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가스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39416B (zh) * 2019-03-12 2021-02-19 青岛科技大学 纳米二硒化钨修饰金电极光致电化学传感器检测多巴胺的方法
KR102160358B1 (ko) 2019-04-15 2020-09-28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금-은 합금 나노닷 및 백금 나노입자가 포함된 질소-도핑 탄소 구체를 이용한 도파민 검출용 전기화학 센서 및 그 제조방법
CN112439897B (zh) * 2020-09-21 2022-06-17 山东大学 一种二硫化钨量子点包覆的银纳米球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0359B1 (ko) * 2013-12-03 2015-09-07 전자부품연구원 양자점, 상기 양자점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구현되는 광전자 소자
KR101764005B1 (ko) * 2015-07-10 2017-08-02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도파민 검출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0404A (ko) * 2020-03-26 2021-10-07 울산과학기술원 나노 입자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가스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16289B1 (ko) 2020-03-26 2023-03-31 울산과학기술원 나노 입자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가스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8088A (ko) 2018-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 et al. Ratiometric system based on graphene quantum dots and Eu3+ for selective detection of tetracyclines
KR101990020B1 (ko) 도파민 검출용 나노프로브, 이를 포함한 도파민 검출용 센서 및 도파민의 검출 방법
Zhai et al. Gold-silver bimetallic nanoclusters with enhanced fluorescence for highly selective and sensitive detection of glutathione
Djurišić et al. Toxicity of metal oxide nanoparticles: mechanisms, characterization, and avoiding experimental artefacts
Wang et al. An ascorbic acid sensor based on protein-modified Au nanoclusters
Kong et al. MnO 2-induced synthesis of fluorescent polydopamine nanoparticles for reduced glutathione sensing in human whole blood
Huang et al. Graphene quantum dots as on-off-on fluorescent probes for chromium (VI) and ascorbic acid
Cen et al. A cobalt oxyhydroxide-modified upconversion nanosystem for sensitive fluorescence sensing of ascorbic acid in human plasma
Ma et al. A novel ascorbic acid sensor based on the Fe 3+/Fe 2+ modulated photoluminescence of CdTe quantum dots@ SiO 2 nanobeads
Han et al. Self-assembled gold nanoclusters for fluorescence turn-on and colorimetric dual-readout detection of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via DCIP-mediated fluorescence resonance energy transfer
Xiong et al. A high-throughput colorimetric assay for glucose detection based on glucose oxidase-catalyzed enlargement of gold nanoparticles
Gopu et al. Fluorimetric detection of hypochlorite using albumin stabilized gold nanoclusters
Gao et al. Copper (II)-mediated fluorescence of lanthanide coordination polymers doped with carbon dots for ratiometric detection of hydrogen sulfide
CN105452850B (zh) 癌关联物质的拉曼定量方法
Amjadi et al. Strong enhancement of the chemiluminescence of the cerium (IV)-thiosulfate reaction by carbon dots, and its application to the sensitive determination of dopamine
Kothur et al. A low pH sensor from an esterified pillar [5] arene
Hu et al. Double-strand DNA-templated synthesis of copper nanoclusters as novel fluorescence probe for label-free detection of biothiols
Park et al. Glutathione-decorated fluorescent carbon quantum dots for sensitive and selective detection of levodopa
CN110057801B (zh) 一种基于聚集诱导发光性质的荧光比率探针及其过氧化氢和葡萄糖检测应用
Zhang et al. Carbon dots as a fluorescent probe for label-free detection of physiological potassium level in human serum and red blood cells
Xu et al. Highly sensitive electrochemiluminescent sensing platform based on graphite carbon nitride nanosheets for detection of pyrophosphate ion in the synovial fluid
Yang et al. A facile fluorescence assay for rapid and sensitive detection of uric acid based on carbon dots and MnO 2 nanosheets
Lei et al. A turn-on fluorescent sensor for the detection of melamine based on the anti-quenching ability of Hg 2+ to carbon nanodots
Zhang et al. Time-resolved probes and oxidase-based biosensors using terbium (III)–guanosine monophosphate–mercury (II) coordination polymer nanoparticles
Hu et al. A rapid and sensitive turn-on fluorescent probe for ascorbic acid detection based on carbon dots–MnO 2 nanocomposi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