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9969B1 - 증강현실 기반 건축 유적의 실감형 콘텐츠 체험시스템 - Google Patents

증강현실 기반 건축 유적의 실감형 콘텐츠 체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9969B1
KR101989969B1 KR1020180121403A KR20180121403A KR101989969B1 KR 101989969 B1 KR101989969 B1 KR 101989969B1 KR 1020180121403 A KR1020180121403 A KR 1020180121403A KR 20180121403 A KR20180121403 A KR 20180121403A KR 101989969 B1 KR101989969 B1 KR 101989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augmented reality
button
build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1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병선
한욱
지성진
권흥순
하태진
황다온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80121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99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9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9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F17/500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 정합 기술을 적용하여 마커와 카메라 트래킹의 복합 적용 을 통한 오차 보정 과정을 통해 오차율을 개선하여 보다 현실감 있는 건축 유적의 실감형 콘텐츠 체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물의 실측 데이터를 기반으로 구현된 정확한 스케일의 3D 설계 영상데이터를 모바일 단말기에서 자체적으로 카메라 트래킹 기술을 이용하여 자세(위치, 회전)을 계산하여 정확하게 증강할 수 있으며, 기존의 AR 기술들을 이용한 경우 발생되는 문제 즉, GPS좌표를 이용하여 주변 환경과 정확한 위치정합이 되지 못하고, 관람자에게 사실감을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를 해소하고 스마트폰의 카메라, 자이로스코프, 가속도 센서를 통해 현실의 객체와 환경을 인식하여 가상의 객체에 사실감을 줄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게 한 증강현실 기반 건축 유적의 실감형 콘텐츠 체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증강현실 기반 건축 유적의 실감형 콘텐츠 체험시스템{Contents experience system of architectural sites based augmented reality}
본 발명은 증강현실 기반 건축 유적의 실감형 콘텐츠 체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위치 정합 기술을 적용하여 마커와 카메라 트래킹의 복합 적용 및 현장 실험을 통한 오차 보정 과정을 통해 오차율을 개선하여 건축 유적의 실감형 콘텐츠를 보다 현실감있게 체험할 수 있도록 한 증강현실 기반 건축 유적의 실감형 콘텐츠 체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유물의 실측 데이터를 기반으로 구현된 정확한 스케일의 3D 설계 영상데이터를 서버를 경유하지 않고 모바일 단말기에서 자체적으로 카메라 트래킹 기술을 이용하여 자세(위치, 회전)을 계산하여 정확하게 증강할 수 있는 증강현실 기반 건축 유적의 실감형 콘텐츠 체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기존의 AR 기술들을 이용한 경우 발생되는 문제 즉, GPS좌표를 이용하여 주변 환경과 정확하게 융합되지 못하고, 재생되는 이미지가 주변 환경에 정확하게 위치되지 못하는 문제를 해소하고 스마트폰의 카메라, 자이로스코프, 가속도 센서를 통해 현실의 객체와 환경을 정확하게 인식하여 가상의 객체에 사실감을 줄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게 한 증강현실 기반 건축 유적의 실감형 콘텐츠 체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은 현실의 이미지나 배경에 3차원 가상 이미지를 겹쳐서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는 기술로, 비행기 제조사인 보잉사에서 1990년경 비행기 조립 과정에 가상의 이미지를 첨가하면서 증강현실이 처음으로 세상에 소개됐다.
이러한 증강현실은 다양한 기술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예로는 건축 기술이다.
이러한 증강현실 기술을 건축 기술에 사용한 예로 특허문헌 1내지 3이 있다.
특허문헌 1은 증강현실기법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 정보 제공 장치에 있어서, 건설 현장(site) 또는 건설 현장에 위치한 건축 구조물의 영상을 수신하는 송수신부, 건설 현장에 건설될 건축 구조물 또는 건설 현장에 위치한 건축 구조물에 대응되는 3D 설계도를 검색하는 설계도 검색부, 및 증강현실기법을 이용하여 검색된 3D 설계도를 건설 현장 또는 건설 현장에 위치한 건축 구조물의 영상에 중첩하는 영상 처리부를 포함하되, 영상 처리부는, 검색된 3D 설계도를 건설 현장 또는 건설 현장에 위치한 건축 구조물의 영상에 대응되도록 리사이징(Resizing)하는 것인 증강현실기법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 정보 제공 장치이고,
특허문헌 2는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왕릉 내의 유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증강현실 구현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킨 후 사진촬영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 b) 어플리케이션을 운용하기 위한 알고리즘이 탑재된 제어장치가 사용자의 사진촬영 모드 진입에 응답하여, 휴대폰의 GPS 및 자이로센서를 기동시키는 단계; c) 제어장치가, 휴대폰의 현재 좌표정보 및 휴대폰이 주시하는 방향정보를 인지하는 단계; d) 휴대폰의 좌표로부터 가장 근접한 왕릉 좌표 및 해당 왕릉에 대한 부가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e) 왕릉 내에 위치한 유물의 좌표정보, 그래픽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f) 왕릉의 중심좌표와 휴대폰의 현재 좌표를 기반으로 휴대폰과 왕릉의 중심좌표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g) 거리를 반경으로 한 원의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원의 데이터 중 정방(정동, 정서, 정남, 정북)에 위치한 4개의 좌표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h) 4개의 좌표 데이터 중 왕릉의 중심좌표로부터 가장 근접한 하나의 좌표를 추출하는 단계; i) 좌표와 왕릉 중심좌표, 휴대폰 좌표에 기반하여, 휴대폰의 정방과 왕릉의 중심좌표간의 각도를 산출하는 단계; j) 유물이 위치한 지역을 나타내는 최대직경으로 유물의 범위를 정의하고, 왕릉의 중심좌표를 유물의 범위로 가변시켜 유물의 범위각도를 산출하는 단계; k) 왕릉의 중심좌표의 정방향과 휴대폰의 주사방향을 중심으로 회동 각도를 자이로센서로부터 검출하는 단계; l) 회동 각도가 유물의 범위각도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되 판단결과, 회동 각도가 유물의 범위각도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이는 왕릉을 촬영하기 위한 의도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a)단계로 피드백하는 단계; m) ㅣ)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회동 각도 a가 유물의 범위각도에 존재하는 경우, 거리 및 휴대폰의 좌표 정보에 대응하는 유물을 증강현실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유물에 대한 증강현실은 실제 유물이 놓인 방향과 크기에 대응하여 휴대폰의 위치 및 방향에 따라 유물의 그래픽 크기 및 디스플레이 각도가 변형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왕릉 유물 정보 출력방법이며,
특허문헌 3은 증강현실장비의 화면에 투영된 공간 상에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건설공간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 건설공간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위치를 선정하는 단계; 선정된 위치에서 증강현실장비의 화면을 통하여 보이는 현실 공간 상의 특정 영역을 인식하는 단계; 인식된 특정 영역 상에 GIS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디스플레이된 GIS 정보 상에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정보를 이용하여 3D 건물을 시각화하는 단계; 증강현실장비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된 건설공간정보 상의 특정 위치를 선택하는 단계; 특정 위치에 대한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명령에 따른 건설공간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특정 명령은 특정 위치로의 이동 명령을 포함하고, 이동 명령은 증강현실장비의 화면 중심에 위치한 커서를 특정 위치에 위치시킨 후 선택 명령을 입력하는 것에 의하여 수행되며, 선택 명령은 증강현실장비의 화면 중심에 위치한 커서를 소정 시간 이상 움직이지 않거나, 증강현실장비에 연결된 클리커를 클릭하거나, 증강현실장비에 설치된 음성 인식 장치에 특정 음성을 인식시키는 것에 의하여 수행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건설공간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이다.
이와 같이 증강 현실을 이용한 다양한 건축 관련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위치추적 방식에 기반한 AR 기술들을 이용하고 있고, 종래의 위치추적 방식 AR기술의 경우 GPS좌표를 이용하여 현실세계 좌표 인식에 있어서 오차범위가 M 단위이므로, 재생되는 이미지가 주변환경에 정확하게 위치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건축물 모델링과 같은 대용량의 데이터를 모바일 기기와 같은 최종 디스플레이 장비에서 재생되기 전에 대용량 정보를 처리하는 서버를 경유하여 데이터 최적화 과정 등의 정보처리 과정을 거친 후, 최종 디스플레이 장비에서 재생되므로 별도의 장비가 필요하여 사용에 불편함을 주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7126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7434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7649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위치 정합 기술을 적용하여 마커와 카메라 트래킹의 복합 적용 및 현장 실험을 통한 오차 보정 과정을 통해 오차율을 개선하여 보다 현실감 있는 건축 유적의 실감형 콘텐츠 체험할 수 있게 한 증강현실 기반 건축 유적의 실감형 콘텐츠 체험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물의 실측 데이터를 기반으로 구현된 정확한 스케일의 3D 설계 영상데이터를 모바일 단말기에서 자체적으로 카메라 트래킹 기술을 이용하여 자세(위치, 회전)를 계산하여 정확하게 증강할 수 있는 증강현실 기반 건축 유적의 실감형 콘텐츠 체험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기존의 AR 기술들을 이용한 경우 발생되는 문제 즉, GPS좌표를 이용하여 오차가 크기 때문에 발생하는 부정확한 위치정합 문제를 해소하고 스마트폰의 카메라, 자이로스코프, 가속도 센서를 통해 현실의 객체와 환경을 인식하여 가상의 객체에 사실감을 줄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게 한 증강현실 기반 건축 유적의 실감형 콘텐츠 체험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 건축 유적의 실감형 콘텐츠 체험시스템은 증강현실 기법을 이용하여 고건축물의 유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증강현실 기반 건축 유적의 실감형 콘텐츠 체험시스템에 있어서, 고건축물의 3차원 정보모델을 기반으로 건축물의 정보를 통합하여 활용이 가능하도록 시설물의 형상, 속성 등을 정보로 표현한 디지털 모형인 기본설계BIM 정보를 저장한 BIM DB(Database); 상기 BIM BD의 증강현실 기반 건축 유적의 실감형 콘텐츠에 접속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한 모바일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실행화면이 출력된 후 해당 고건축물의 역사적 배경과 의미를 설명하는 설명화면, 상기 설명화면 상의 일측에 구비된 시작버튼을 누름에 의해 생성되는 카메라 촬영 대기를 알리는 마커가 표시되는 마커인식화면, 카메라가 해당 고건축물의 위치로 추정되는 소정 위치를 인식하면 해당 위치에 속하는 건축구조물이 증강되는 메인화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바일단말기는 터치스크린을 갖고, 어플리케이션은 스크린의 메인화면의 일측에는 메뉴바를 배치하여 항상 원하는 메뉴에 접근할 수 있게 하되, 메뉴바에 구비된 버튼은 화면 일측에 고정되어 어디서든 접근 가능한 메인 메뉴 버튼과, 증강된 콘텐츠의 특정 부분에서만 접근 가능한 부가버튼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메뉴바에 구비된 메뉴버튼은 해당 고건축물의 발굴터의 형상을 증강시키는 발굴터버튼, 해당 고건축물의 증강 화면의 기후 환경을 선택하는 환경선택버튼, 증강 화면 중 일부를 확대하여 증강시키는 확대버튼, 증강된 현재 화면을 캡쳐하는 촬영버튼, 경음악, 효과음, 내레이션을 설정하는 설정버튼, 증강 화면 상에서 소정 부분을 선택하였을 때 선택된 부분에 대한 추가 정보를 표시하는 추가정보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BIM DB에 저장된 정보는 폴리곤 최적화, 누락 및 보완 사항 확인 후 모델링 추가, 매핑 적용 및 단조로움을 피하기 위한 각 오브젝트별 UV조정 과정을 통해 최적화될 수 있다.
BIM DB를 바탕으로 화면에 재생되는 이미지가 배경과 정확하게 위치상 정합되도록 하기 위해서 종래의 GPS 위치 추적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IOS용 모바일 장비나 안드로이드용 모바일 장비에서 사용되는 VIO(Visual Inertial Odometry) 또는 SLAM(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기술을 적용하되, 상기의 기술들이 이론적으로 가지는 화면 이미지와 현실 배경상의 오차를 최소화시키기 위해 어플리케이션 가동 초기 화면에서 마커를 인식하여 1차 위치 정합을 시도하는 과정을 수행하고, 어플리케이션 개발 과정에서 수차례의 현장실험을 시도하고 수치 조정을 통해 오차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 건축 유적의 실감형 콘텐츠 체험시스템은 고건축물의 복원 고증연구 결과에 대한 공감각적 검토로 보다 실현가능한 복원안을 마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최신 ICT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역사 체험 콘텐츠 구축함에 따라 유적에 대한 관심을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치에 대한 전달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 건축 유적의 실감형 콘텐츠 체험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 건축 유적의 실감형 콘텐츠 체험시스템의의 모바일 단말기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메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 건축 유적의 실감형 콘텐츠 체험시스템의의 모바일 단말기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초기화면의 일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 건축 유적의 실감형 콘텐츠 체험시스템의의 모바일 단말기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가이드 화면의 일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 건축 유적의 실감형 콘텐츠 체험시스템의의 모바일 단말기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마커 인식 화면의 일예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 건축 유적의 실감형 콘텐츠 체험시스템의의 모바일 단말기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해당 고 건축물 메인화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 건축 유적의 실감형 콘텐츠 체험시스템의의 모바일 단말기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발굴터 화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 건축 유적의 실감형 콘텐츠 체험시스템의의 모바일 단말기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의 기후환경 화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 건축 유적의 실감형 콘텐츠 체험시스템의의 모바일 단말기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확대표시화면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 건축 유적의 실감형 콘텐츠 체험시스템의의 모바일 단말기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촬영 화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 건축 유적의 실감형 콘텐츠 체험시스템의의 모바일 단말기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정화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 건축 유적의 실감형 콘텐츠 체험시스템의의 모바일 단말기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서로 다른 기능 표시 화면
도 13은 위치정합 기술의 근간이 되는 VIO 및 SLAM 기술 상 이론적으로 예측되는 마커로부터의 거리 대비 재생화면의 위치정합 오차율
도 14는 마커로부터의 거리 대비 오차율을 줄이기 위한 현장실험 및 수치 보정과정 사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을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고건축물의 복원 고증연구 결과에 대한 공감각적 검토로 보다 실현가능한 복원안을 마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증강현실 기반 건축 유적의 실감형 콘텐츠 체험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강현실 기법을 이용하여 고건축물의 유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증강현실 기반 건축 유적의 실감형 콘텐츠 체험시스템에 있어서, 고건축물의 3차원 정보모델을 기반으로 건축물의 정보를 통합하여 활용이 가능하도록 시설물의 형상, 속성 등을 정보로 표현한 디지털 모형인 기본설계BIM 정보를 저장한 BIM DB(10); 상기 BIM DB의 증강현실 기반 건축 유적의 실감형 콘텐츠에 접속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한 모바일단말기(20)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실행화면이 출력된 후 해당 고 건축물의 역사적 배경과 의미를 설명하는 설명화면, 상기 설명화면 상의 일측에 구비된 시작버튼을 누름에 의해 생성되는 카메라 촬영 대기를 알리는 마커가 표시되는 마커인식화면, 카메라가 해당 고건축물의 위치로 추정되는 소정 위치를 인식하면 해당 위치에 속하는 건축구조물이 증강되는 메인화면을 포함한다.
상기 BIM DB(10)는 3차원 정보모델을 기반으로 구조물의 생애주기에 걸쳐 발생하는 모든 정보를 통합하여 활용이 가능하도록 시설물의 형상, 속성 등을 정보로 표현한 디지털 모형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로, 통상의 BIM 기술을 활용하여 만들어지고, 기존의 2차원 도면 환경에서는 달성이 어려웠던 기획, 설계, 시공, 유지관리 단계의 사업정보 통합관리를 통해, 설계 품질 및 생산성 향상, 시공오차 최소화, 체계적 유지관리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모바일단말기(20)는 통상의 통신 가능한 휴대 단말기로, 애플이 개발 및 제공하는 임베디드 운영체제인 iOS 버전이나, 다른 여타의 휴대폰의 윤영체제인 Android 버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 내지 도 12는 모바일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어플리케이션 출력화면들로, 도 3 내지 도 6까지 표현될 수 있게 구성함에 의해 오래 기다리지 않고 간단한 화면 흐름을 거쳐 바로 고 건축물을 감상할 수 있게 구성하여, 라이트 버전으로 구현 할 수 있다.
도 3 내지 12는 iOS 버전에서 구현할 수 있는 다소 무거운 버전으로 상기 모바일단말기(20)는 터치스크린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스크린의 메인화면의 일측에는 메뉴바를 배치하여 항상 원하는 메뉴에 접근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 메뉴바에 구비된 버튼은 화면 일측에 고정되어 어디서든 접근 가능한 메인 메뉴 버튼과, 증강된 콘텐츠의 특정 부분에서만 접근 가능한 부가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메뉴바에 구비된 메뉴버튼은 해당 고건축물의 발굴터의 형상을 증강시키는 발굴터버튼, 해당 고건축물의 증강 화면의 기후 환경을 선택하는 환경선택버튼, 증강 화면 중 일부를 확대하여 증강시키는 확대버튼, 증강된 현재 화면을 캡쳐하는 촬영버튼, 경음악, 효과음, 내레이션을 설정하는 설정버튼, 증강 화면 상에서 소정 부분을 선택하였을 때 선택된 부분에 대한 추가 정보를 표시하는 추가정보버튼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최초의 로딩 화면으로 실시예에서는 황룡사 중문의 AR이다.
도 3의 로딩화면이 지나가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고건축물의 역사나 이력 특징 등을 설명하고,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기 위한 절차나 설명이 디스플레이 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화면의 일측에는 시작하기 버튼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버튼을 누르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 입력 화면에 마커 인식 가이드가 제공된다.
마커에 해당 고건축물 유적지에 인식도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고건축물의 메인 화면으로 이동한다.
상기 메뉴버튼 중 발굴터버튼은 메인화면에 증강된 해당 고건축물의 기단이 사라지고 화면에는 발굴 현장이 3D로 증강된다.
또한 상기 메뉴버튼에는 사용자가 다양한 기후 환경에서의 고건축물 연상을 볼수 있게 하기 위해 상기한 환경선택버튼을 더 구비하고 있으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버튼이 눌려지면 화면의 일측에 다양한 환경설정 버튼이 표시되고 이 버튼 중 어느 하나을 선택하면 눈, 비를 비롯한 환경이 변경된 배경에 고 건축물이 증강된다.
또한 상기 메뉴버튼에 구비된 확대버튼은 증강된 3D 연상 중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을 확대하여 증강시키기 위한 버튼으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된 일부가 확대되어 증강된다.
상기 촬영버튼은 카메라를 작동시키기 위한 것이 아니라 현재 증강된 이미지를 캡쳐하기 위한 것으로, 이 버튼이 작동되면 현재 증강된 화면의 이미지가 사용자의 모바일단말기에 저장되거나 설정한 메일 주소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설정버튼은 증강된 3D 영상에 적합한 음악이나 나레이션을 선택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효과음악이나 배경음악 또는 나레이션 음성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추가정보버튼은 증강된 3D 영상 중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부분에 대한 추가 설명을 듣거나 볼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도 12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된 부분만의 영상이나 기능 등의 추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버튼은 관람자가 해당 고건축물의 출입문 근처에 접근할 경우 자동적으로 문이 개방되고(도 12 (a)참조), 도 12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단을 올라가는 효과를 증강시키는 층간이동버튼, 도 12 (d) 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층에 관람자가 도달하면 창문이 개방되는 효과를 구비하여 창문이 개방된 상태의 고건축물 3D영상을 증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증강현실 기반 건축 유적의 실감형 콘텐츠 체험시스템에서 상기 BIM DB(10)에 저장된 정보는 폴리곤 최적화, 누락 및 보완 사항 확인 후 모델링 추가, 매핑 적용 및 단조로움을 피하기 위한 각 오브젝트별 UV조정 과정을 통해 최적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BIM data를 폴리곤으로 전환하면 과도하게 폴리곤수가 많거나 뒤집히고 깨지는 폴리곤이 생기는 경우가 있으며, 폴리곤수가 과도하게 많거나 깨져있는 경우는 엔진에서 에러를 일으키며 퍼포먼스에 악영향을 주게 되므로 폴리곤 기반 3D툴에서 수정하여 폴리곤 최적화를 한다.
또한 CAD나 BIM툴과 같은 프로그램에서 만들어진 텍스쳐들은 퀄리티가 떨어지고 정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으므로 텍스쳐도 최소한의 크기로 최대의 효과를 낼 수 있도록 UV와 스케일을 조정한다.
또한 통상적인 BIM 설계프로그램에서 만들기 어려운 유기체, 비정형모델과 같이 누락된 모델은 3D툴로 직접 폴리곤 모델링 작업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폴리곤 모델링 데이터가 관람자의 장비에 디스플레이되어 가시화 될 때, 실제 배경이 되는 현장의 정확한 위치에 디스플레이되도록 마커를 인식하여 최초의 정확한 위치를 정합한 후, VIO나 SLAM기술을 적용하여 카메라 추적, 자이로 센서 등의 장비가 정확한 위치를 추적하고, 마커를 통해 인식되 최초 위치에서 거리가 멀어질수록 발생하는 오차를 줄이기 위해 현장 실험을 통한 수치 보정을 통해 이론상의 오차율을 최소화 시킨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마커로부터의 거리 대비 오차율을 줄이기 위한 현장 실험을 하였다.
일예로 정확한 황룡사 중문 크기(세로 11.62m, 가로 26.65m)대로 증강하기 위해 여러 번 실측하여 정확한 오차율의 소수점 세 자리인 3.455%의 값을 구하였다.
보정 결과 3.455% 만큼의 오차를 줄이고, 황룡사 중문을 정확한 크기로 증강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상에 값 세팅하였다.
도 13은 1도 오차 가정하여, 마커로부터 떨어진 거리(100cm~3000cm)별 오차 시뮬레이션 결과표이다.
10: BIM DB
20: 모바일단말기
30: 증강현실제공서버
40: 관리자단말기

Claims (5)

  1. 증강현실 기법을 이용하여 고건축물의 유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증강현실 기반 건축 유적의 실감형 콘텐츠 체험시스템으로,
    고 건축물의 3차원 정보모델을 기반으로 건축물의 정보를 통합하여 활용이 가능하도록 시설물의 형상, 속성 등을 정보로 표현한 디지털 모형인 기본설계BIM 정보를 저장한 BIM DB(10); 상기 BIM BD의 증강현실 기반 건축 유적의 실감형 콘텐츠에 접속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한 모바일단말기(20)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실행화면이 출력된 후 해당 고 건축물의 역사적 배경과 의미를 설명하는 설명화면, 상기 설명화면 상의 일측에 구비된 시작버튼을 누름에 의해 생성되는 카메라 촬영 대기를 알리는 마커가 표시되는 마커인식화면, 카메라가 해당 고 건축물의 위치로 추정되는 소정 위치를 인식하면 해당 위치에 속하는 건축구조물이 정확한 위치에 증강되는 메인화면을 포함하며,
    상기 BIM DB(10)에 저장된 정보는 폴리곤 최적화, 누락 및 보완 사항 확인 후 모델링 추가, 매핑 적용 및 단조로움을 피하기 위한 각 오브젝트별 UV조정 과정을 통해 최적화되는 증강현실 기반 건축 유적의 실감형 콘텐츠 체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단말기(20)는 터치스크린을 갖고, 어플리케이션은 스크린의 메인화면의 일측에는 메뉴바를 배치하여 항상 원하는 메뉴에 접근할 수 있게 하되, 메뉴바에 구비된 버튼은 화면 일측에 고정되어 어디서든 접근 가능한 메인 메뉴 버튼과, 증강된 콘텐츠의 특정 부분에서만 접근 가능한 부가버튼으로 구성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메뉴바에 구비된 메뉴버튼은 해당 고건축물의 발굴터의 형상을 증강시키는 발굴터버튼, 해당 고건축물의 증강 화면의 기후 환경을 선택하는 환경선택버튼, 증강 화면 중 일부를 확대하여 증강시키는 확대버튼, 증강된 현재 화면을 캡쳐하는 촬영버튼, 경음악, 효과음, 내레이션을 설정하는 설정버튼, 증강 화면 상에서 소정 부분을 선택하였을 때 선택된 부분에 대한 추가 정보를 표시하는 추가정보버튼을 구비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증강되는 화면이 실제 배경이 되는 현장의 정확한 위치에 정합되도록 모바일 OS별로 VIO 또는 SLAM 기술을 적용하되, 이론적 오차를 줄이기 위해 어플리케이션의 초기 구동 단계에서 카메라인식 수단의 마커를 인식하여 초기 위치를 정합하고, 현장실험을 통해 얻어진 위치 보정 자료를 적용하여 실제 증강 시 이론적 오차보다 적은 오차를 구현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 건축 유적의 실감형 콘텐츠 체험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121403A 2018-10-11 2018-10-11 증강현실 기반 건축 유적의 실감형 콘텐츠 체험시스템 KR101989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403A KR101989969B1 (ko) 2018-10-11 2018-10-11 증강현실 기반 건축 유적의 실감형 콘텐츠 체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403A KR101989969B1 (ko) 2018-10-11 2018-10-11 증강현실 기반 건축 유적의 실감형 콘텐츠 체험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9969B1 true KR101989969B1 (ko) 2019-06-19

Family

ID=67104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1403A KR101989969B1 (ko) 2018-10-11 2018-10-11 증강현실 기반 건축 유적의 실감형 콘텐츠 체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996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15348A1 (ko) * 2019-07-25 2021-01-28 티팟스튜디오 주식회사 가상 현실 및 증강 현실을 이용한 혼합 렌더링 콘텐츠 제공을 위한 카메라 트래킹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2258610B1 (ko) 2020-08-07 2021-05-31 대한민국 모바일 기기에서의 대규모 건축물의 증강현실 구현을 위한 데이터 최적화에 의한 인터페이스 향상 방법
KR20210073900A (ko) 2019-12-11 2021-06-21 (주) 문화유산기술연구소 인쇄물 수집형 ar 시스템
WO2021137348A1 (ko) * 2019-12-31 2021-07-08 엔센스코리아주식회사 복수의 단말에서 3차원 공간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공간맵 생성과 명령실행점 독출방법
WO2021137349A1 (ko) * 2019-12-31 2021-07-08 엔센스코리아주식회사 환경 기반 실-가상 정합 사물 배치를 위한 3차원 공간인식과 2차원 인지적 영역분할의 결합 방법 및 시스템
KR102328714B1 (ko) 2020-08-06 2021-11-18 주식회사 한국역사문화연구소 조립가능한 3차원 구조체를 이용한 복합 현실 구동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현실 구동 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0303A (ko) * 2010-08-30 2012-03-0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증강현실기법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 정보 제공 장치, 건축 구조물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 구조물 유지 보수 방법
KR20120106519A (ko) * 2011-03-16 2012-09-26 성준형 증강 현실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40080720A (ko) * 2012-12-14 2014-07-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증강현실영상 기반의 관광 가이드 장치
KR20150077607A (ko) * 2013-12-27 2015-07-08 주식회사 윈드밸리 증강현실을 이용한 공룡 유적지 체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5222554A (ja) * 2014-05-22 2015-12-10 株式会社ヨシダヤ 拡張現実を使用した歴史上の出来事の疑似体験アプリ
KR20160112898A (ko) * 2015-03-20 2016-09-28 한국과학기술원 증강현실 기반 동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874345B1 (ko) 2017-02-08 2018-07-06 (주) 문화상상연구소 증강현실을 이용한 왕릉 유물 정보 출력방법
KR101876499B1 (ko) 2017-02-03 2018-08-02 주식회사 올포랜드 증강현실을 이용한 건설공간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0303A (ko) * 2010-08-30 2012-03-0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증강현실기법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 정보 제공 장치, 건축 구조물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 구조물 유지 보수 방법
KR101171264B1 (ko) 2010-08-30 2012-08-0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증강현실기법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 정보 제공 장치, 건축 구조물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 구조물 유지 보수 방법
KR20120106519A (ko) * 2011-03-16 2012-09-26 성준형 증강 현실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40080720A (ko) * 2012-12-14 2014-07-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증강현실영상 기반의 관광 가이드 장치
KR20150077607A (ko) * 2013-12-27 2015-07-08 주식회사 윈드밸리 증강현실을 이용한 공룡 유적지 체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5222554A (ja) * 2014-05-22 2015-12-10 株式会社ヨシダヤ 拡張現実を使用した歴史上の出来事の疑似体験アプリ
KR20160112898A (ko) * 2015-03-20 2016-09-28 한국과학기술원 증강현실 기반 동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876499B1 (ko) 2017-02-03 2018-08-02 주식회사 올포랜드 증강현실을 이용한 건설공간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KR101874345B1 (ko) 2017-02-08 2018-07-06 (주) 문화상상연구소 증강현실을 이용한 왕릉 유물 정보 출력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15348A1 (ko) * 2019-07-25 2021-01-28 티팟스튜디오 주식회사 가상 현실 및 증강 현실을 이용한 혼합 렌더링 콘텐츠 제공을 위한 카메라 트래킹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20210073900A (ko) 2019-12-11 2021-06-21 (주) 문화유산기술연구소 인쇄물 수집형 ar 시스템
WO2021137348A1 (ko) * 2019-12-31 2021-07-08 엔센스코리아주식회사 복수의 단말에서 3차원 공간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공간맵 생성과 명령실행점 독출방법
WO2021137349A1 (ko) * 2019-12-31 2021-07-08 엔센스코리아주식회사 환경 기반 실-가상 정합 사물 배치를 위한 3차원 공간인식과 2차원 인지적 영역분할의 결합 방법 및 시스템
KR102328714B1 (ko) 2020-08-06 2021-11-18 주식회사 한국역사문화연구소 조립가능한 3차원 구조체를 이용한 복합 현실 구동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현실 구동 방법
KR102258610B1 (ko) 2020-08-07 2021-05-31 대한민국 모바일 기기에서의 대규모 건축물의 증강현실 구현을 위한 데이터 최적화에 의한 인터페이스 향상 방법
JP7460778B2 (ja) 2020-08-07 2024-04-02 リパブリック オブ コリア(ナショナル リサーチ インスティテュート オブ カルチュラル ヘリテイジ) モバイル機器における大規模建築物の拡張現実具現のためのデータ最適化及びインターフェース向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9969B1 (ko) 증강현실 기반 건축 유적의 실감형 콘텐츠 체험시스템
US10037627B2 (en) Augmented visualization system for hidden structures
US10482659B2 (en) System and method for superimposing spatially correlated data over live real-world images
KR101835434B1 (ko) 투영 이미지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이미지 픽셀과 깊이값간의 매핑 방법
US20220051022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venue based augmented reality
US10127721B2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and navigating an optimal multi-dimensional building model
US9118970B2 (en) System and method for embedding and viewing media files within a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scene
US9424371B2 (en) Click to accept as built modeling
JP4253567B2 (ja) データオーサリング処理装置
US20130314398A1 (en) Augmented reality using state plane coordinates
Gomez-Jauregui et al. Quantitative evaluation of overlaying discrepancies in mobile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s for AEC/FM
KR20180132183A (ko) 모바일 단말, 지하 시설물 관리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3d 공간정보에 기반한 지하 시설물 관리 시스템
CN111436208A (zh) 一种测绘采样点的规划方法、装置、控制终端及存储介质
US20130127852A1 (en) Methods for providing 3d building information
US11682168B1 (en) Method and system for virtual area visualization
CN104360729A (zh) 基于Kinect和Unity3D的多交互方法与装置
KR101875047B1 (ko) 사진측량을 이용한 3d 모델링 시스템 및 방법
Barrile et al. Geomatics and augmented reality experiments for the cultural heritage
US9749597B2 (en) Precise target positioning in geographical imaging
US20110214085A1 (en) Method of user display associated with displaying registered images
KR101641672B1 (ko)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건축 모형 실행의 증강 현실 시스템
Liarokapis et al. Mobile augmented reality techniques for geovisualisation
KR101874345B1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왕릉 유물 정보 출력방법
EP4195160A1 (en) Data optimization and interface enhancement method for creating augmented reality of large-scale building in mobile device
Gimeno et al. An augmented reality (AR) CAD system at construction si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