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9741B1 - 산화환원반응을 셋트로서 다단계로 구성한 탈취장치 - Google Patents

산화환원반응을 셋트로서 다단계로 구성한 탈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9741B1
KR101989741B1 KR1020180050025A KR20180050025A KR101989741B1 KR 101989741 B1 KR101989741 B1 KR 101989741B1 KR 1020180050025 A KR1020180050025 A KR 1020180050025A KR 20180050025 A KR20180050025 A KR 20180050025A KR 101989741 B1 KR101989741 B1 KR 101989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idation reaction
oxidation
reduction reaction
casing
reac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0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일교
Original Assignee
정일교
경기도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일교, 경기도시공사 filed Critical 정일교
Priority to KR1020180050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97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9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9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5Multi-step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61L9/205Ultraviolet 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기구와 배기구가 각각 마련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어 상기 흡기구를 통해 흡입되는 악취가스를 상기 배기구를 통해 배기되도록 송풍시키는 송풍팬; 상기 케이싱에서 상기 흡기구측에 마련되어 상기 악취가스로부터 이물질을 필터링하도록 하는 데미스터필터; 및 상기 케이싱 내에서 상기 흡기구로부터 상기 배기구까지 상기 악취가스가 이동하는 경로에 폭방향과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설치되고, 각각이 자외선광원에 이산화티탄(TiO2) 촉매를 사용하여 산화반응을 수행함과 아울러, 방전에 의해 발생하는 오존, 이온클러스터 및 OH 라디칼로 산화반응을 수행하는 산화반응모듈과, 광촉매와 플라즈마에 대한 환원반응을 위한 이산화망간(MnO2) 또는 Mn(Ⅱ) 또는 황화구리(CuS)을 활성탄에 담지한 환원반응모듈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산화반응모듈에 의해 악취가스에 대한 산화반응에서 발생하는 산화물을 상기 환원반응모듈에 의해 즉시 환원시키도록 하여, 산화반응과 환원반응이 연속해서 다수로 반복하도록 하는 산환환원셋트;를 포함하도록 한 산화환원반응을 셋트로서 다단계로 구성한 탈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정적인 산화 및 환원 셋트를 다수로 중첩하여 과잉 산화물 발생이 억제되면서, 악취 부하에 대응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탈취설비 내부와 산화반응모듈에 반사체를 구비하여 자외선 반사 및 증폭 효과를 가지도록 한다.

Description

산화환원반응을 셋트로서 다단계로 구성한 탈취장치{Deodorizing apparatus having a multi-stage oxidation-reduction reaction set}
본 발명은 산화환원반응을 셋트로서 다단계로 구성한 탈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악취 현장의 외란 변동과 악취 부하에 상관없이, 구조적 및 원천적으로 탈취기 배기구의 잔류 산화물량을 안정화시키도록 하면서도 운용비를 경제적으로 최소화하는 산화환원반응을 셋트로서 다단계로 구성한 탈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종말처리장, 산업용 폐수처리장, 음식물처리장, 축분뇨처리장 등에서 발생하는 각종 악취가스들 중에서 다습한 고농도 국소배기 악취가스는 바이오필터와 약액세정 등 습식 탈취방식으로 처리하며, 공공처리장의 기계실, 전처리실, 탈수기동 등에서 발생하는 악취가스는 공간 탈취로 대용량 처리에 경제성을 갖고 있는 광촉매 혹은 플라즈마 탈취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광촉매와 플라즈마는 공통적으로 오존(O3) 산화, OH 라디칼(Radical) 산화 혹은 이온클러스터 산화 등을 이용하여, 대기 중의 오염물질 및 악취성분을 분해하는 장치이다. 이 두 방식은 건식 탈취방식으로 바이오필터와 약액세정에 비해 설비 차압 부하가 낮아 송풍팬을 터보팬이 아닌 시로코팬이나 에어포일팬을 사용함으로써, 전력 비용 측면에서 경제성을 갖는 방식으로 대용량 공간탈취에 적합하다.
보통 광촉매는 이산화티탄(TiO2) 촉매에 자외선을 받아 대기 중의 물분자와 반응하여 발생된 OH 라디칼과 오존으로 산화반응을 일으켜 탈취하며, 플라즈마 방식은 연면방전관 혹은 탐침형 방전구조로 이른바 번개효과로 인한 오존, OH 라디칼, 이온클러스터 등의 발생 물질로 산화 반응하여 탈취하는 바, 서로 유사한 건식 탈취방식으로 광의의 면에서 광촉매도 플라즈마의 한 기술 분류에 속한다고 알려져 있다. 즉, 광촉매에 사용하는 형광등과 자외선 램프는 플라즈마 원리에 의해 전자가 전리되어 이른바 플라즈마 상태로 빛이 발생하는 것으로 넓은 의미에서 플라즈마 방식과 같다.
이 두 건식방식을 실제 악취 현장에 적용하면, 악취 부하에 대응하기 위해 다수의 산화반응층을 두어 탈취하게 된다. 즉, 탈취 설비 구조가 1단계 전처리 필터, 2단계 산화반응부(1차 산화층, 2차 산화층, 3차 산화층 등), 3단계 환원 반응부(V뱅크 활성탄) 방식으로 변동하는 악취에 대응한다.
이와 같이, 악취 농도에 대응하기 위해 산화 반응부가 다수의 산화층으로 설치하여 운영하는데, 이러한 복수의 산화반응모듈을 중첩시 설계 계산된 산화물보다 많은 양의 과잉 산화물이 발생되며, 이를 후단부에 있는 환원반응부(V뱅크 활성탄)가 처리하지 못할 정도로 과잉 생성되어, 환원반응부를 바이패스(by-pass)하게 되어, 탈취기 배출구의 잔류 산화물 농도와 오존 농도가 높아지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광촉매와 플라즈마의 배오존 컨트롤 부재로 인해서, 심지어 가동이 중지된 현장들이 속출하고 있으며, 이는 오존에 대한 건강과 환경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과잉 잔류 산화물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종래의 한국등록특허 제10-0949164호의 "이온화 믹싱셀을 갖는 다단 광촉매 산화와 환원 반응기 및 그 방법과 이를 이용한 냄새제거장치"는 광촉매의 산화 반응과 망간촉매를 담지한 광촉매 환원방식을 적용하였으나, 복수의 광촉매 산화 반응층에 대한 환원방식이 기존 방식인 다수의 산화 반응 후 환원하는 방식과 유사하며, 한국공개특허 제10-2002-0091103호의 "탈취장치"와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25374호의 "오염된 공기중의 악취 및 휘발성 유기물질 처리 장치"는 전단에 복수의 산화 반응 후 후단에 활성탄을 두어, 환원하는 전형적인 광촉매 방식을 가지는데, 이러한 방식은 외란으로 인한 현장 악취 변동에 대한 과잉 산화물 발생 대책에 한계를 가지며, 특히 악취 부하에 대응하기 위해 중첩 설치된 산화반응부에서 발생하는 과잉 산화물 처리가 부족하여, 설비 배출구 배오존 문제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잔류 오존 발생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산화 반응 후 반드시 환원 반응을 수행하도록 하여 산화물 안정화를 시킨 후, 다시 2차 산화 반응을 수행하도록 하며, 역시 바로 환원 반응을 수행하도록 하고, 이러한 산화 반응과 환원 반응을 한 셋트로 수행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악취 현장의 외란 변동과 악취 부하에 상관없이, 구조적 및 원천적으로 탈취기 배기구의 잔류 산화물량을 안정화시키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즉, 본원발명은 산화 및 환원 반응을 하나의 모듈처럼 셋팅화한 다단계 방식으로 구현함으로써, 다수의 산화 및 환원 모듈들을 설치하여도, 과잉 산화물 발생이 처음부터 제어되면서 가동되므로, 탈취기 배기구의 잔류 산화물 농도도 원하는 수치로 제어하기 용이하여, 배오존 처리문제에 안전한 해결 방안을 제공하고, 나아가서 탈취설비 내부와 산화반응모듈에 반사체를 마련함으로써, 자외선의 사용 효율을 극대화시켜 탈취 반응을 증대시키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례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흡기구와 배기구가 각각 마련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어 상기 흡기구를 통해 흡입되는 악취가스를 상기 배기구를 통해 배기되도록 송풍시키는 송풍팬; 상기 케이싱에서 상기 흡기구측에 마련되어 상기 악취가스로부터 이물질을 필터링하도록 하는 데미스터필터; 및 상기 케이싱 내에서 상기 흡기구로부터 상기 배기구까지 상기 악취가스가 이동하는 경로에 폭방향과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설치되고, 각각이 자외선광원에 이산화티탄(TiO2) 촉매를 사용하여 산화반응을 수행함과 아울러, 방전에 의해 발생하는 오존, 이온클러스터 및 OH 라디칼로 산화반응을 수행하는 산화반응모듈과, 광촉매와 플라즈마에 대한 환원반응을 위한 이산화망간(MnO2) 또는 Mn(Ⅱ) 또는 황화구리(CuS)을 활성탄에 담지한 환원반응모듈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산화반응모듈에 의해 악취가스에 대한 산화반응에서 발생하는 산화물을 상기 환원반응모듈에 의해 즉시 환원시키도록 하여, 산화반응과 환원반응이 연속해서 다수로 반복하도록 하는 산환환원셋트;를 포함하는, 산화환원반응을 셋트로서 다단계로 구성한 탈취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산화반응모듈은, 전후로 개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UV램프; 상기 하우징의 전후 개방측에 가리도록 설치되고, 이산화티탄(TiO2) 촉매가 코팅되는 메쉬 형태의 촉매판;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방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원반응모듈은, 다수의 홀이 형성되는 다공하우징; 및 상기 다공하우징의 내측에 채워지고, 이산화망간(MnO2) 또는 Mn(Ⅱ) 또는 황화구리(CuS)를 담지한 활성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은, 상기 폭방향을 따라 놓여지는 장착레일이 쌍을 이루면서 서로 마주 보도록 설치되고, 상기 장착레일이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설치되며, 상기 데미스터필터는, 상기 장착레일 중에서 상기 경로의 전단에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는 장착레일 사이에 끼워져서 설치되고, 상기 환원반응모듈은, 상기 경로를 기준으로 상기 데미스터필터의 후단에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는 장착레일 사이마다 끼워짐으로써, 상기 경로를 따라 다수의 층을 이루도록 설치되고, 상기 산화반응모듈은, 상기 데미스터필터의 상측과 상기 환원반응모듈의 상측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경로를 기준으로 상기 환원반응모듈 각각의 전단마다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은, 내측면에 자외선의 반사를 위한 제 1 반사체가 설치되고, 상기 산화반응모듈은, 자외선의 반사를 위한 제 2 반사체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반사체는, 상기 산화반응모듈의 외측면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도록 마련됨으로써, 상기 외측면과의 사이에 통기를 위한 유격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산화환원반응을 셋트로서 다단계로 구성한 탈취장치에 의하면, 종래 탈취기 배기구의 과잉 잔류오존 제어에 대한 한계를 근본적 및 원천적으로 해소하기 위해, 산화 반응과 환원 반응을 하나의 셋트로 모듈화하여 산화공정에서 발생하는 산화물을 즉시 환원시키는 단계적인 구조로 만들며, 이러한 안정적인 산화 및 환원 셋트를 다수로 중첩하여도 과잉 산화물 발생이 억제되면서, 악취 부하에 대응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산화환원반응을 셋트로서 다단계로 구성한 탈취장치는, 탈취설비 내부와 산화반응모듈에 반사체를 구비하여 자외선 반사 및 증폭 효과를 가지도록 하여, 뛰어난 탈취 효율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산화환원반응을 셋트로서 다단계로 구성한 탈취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산화환원반응을 셋트로서 다단계로 구성한 탈취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산화환원반응을 셋트로서 다단계로 구성한 탈취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산화환원반응을 셋트로서 다단계로 구성한 탈취장치에서 산화반응모듈의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산화환원반응을 셋트로서 다단계로 구성한 탈취장치에서 환원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례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례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산화환원반응을 셋트로서 다단계로 구성한 탈취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산화환원반응을 셋트로서 다단계로 구성한 탈취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산화환원반응을 셋트로서 다단계로 구성한 탈취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산화환원반응을 셋트로서 다단계로 구성한 탈취장치(100)는 케이싱(110), 송풍팬(120), 데미스터필터(130) 및 산화환원셋트(140,15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110)은 흡기구(111)와 배기구(112)가 각각 마련되는데, 본 실시례에서처럼 하부와 상부에 흡기구(111)와 배기구(112)가 각각 마련됨으로써, 악취가스가 이동하는 경로가 내측의 하부로부터 상방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직선형 경로에 한하지 않고, 악취가스가 내측에서 "∪"자 또는 "∩"자 또는 "⊃" 자 형태 등과 같이 지그재그의 경로를 형성하도록 흡기구(111)와 배기구(112)가 배치될 수 있다.
케이싱(110)은 내측을 개방시키도록 전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어(113)가 예컨대 힌지 결합될 수 있고, 이러한 도어(113)가 록킹 수단에 의해 록킹 및 록킹해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하측에 다수의 휠(114)이 마련됨으로써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케이싱(110)은 내측에 악취가스가 이동하는 경로의 폭방향을 따라 놓여지는 장착레일(115)이 쌍을 이루면서 서로 마주 보도록 설치될 수 있고, 장착레일(115)이 악취가스가 이동하는 경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설치될 수 있다. 장착레일(115)은 예컨대 횡단면이 "ㄷ"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송풍팬(120)은 케이싱(110)에 설치되어 흡기구(111)를 통해 흡입되는 악취가스를 배기구(112)를 통해 배기되도록 송풍시킬 수 있다. 송풍팬(120)은 모터의 구동에 의해 팬을 회전시키도록 케이싱(110) 내에서 악취가스가 이동하는 경로상에 설치될 수 있다.
데미스터필터(130)는 케이싱(110)에서 흡기구(111)측에 마련되어 악취가스로부터 이물질을 필터링하도록 한다. 데미스터필터(130)는 예컨대 메쉬(mesh)가 여러 겹 포개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악취가스에 포함되는 이물질과 함께 수분도 제거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한하지 않고, 이물질의 필터링을 위하여 다양한 구조 내지 재료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데미스터필터(130)는 장착레일(115) 중에서 악취가스가 이동하는 경로의 전단에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는 장착레일(115)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수평되게 다수로 설치될 수 있다.
산화환원셋트(140,150)는 케이싱(110) 내에서 흡기구(111)로부터 배기구(112)까지 악취가스가 이동하는 경로에 폭방향과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각각 설치되고, 각각이 자외선광원에 이산화티탄(TiO2) 촉매를 사용하여 산화반응을 수행함과 아울러, 방전에 의해 발생하는 오존, 이온클러스터 및 OH 라디칼로 산화반응을 수행하는 산화반응모듈(140)과, 광촉매와 플라즈마에 대한 환원반응을 위한 이산화망간(MnO2) 또는 Mn(Ⅱ) 또는 황화구리(CuS)을 활성탄에 담지한 환원반응모듈(150)로 이루어짐으로써, 산화반응모듈(140)에 의해 악취가스에 대한 산화반응에서 발생하는 산화물을 환원반응모듈(150)에 의해 즉시 환원시키도록 하여, 다수로 이루어짐으로써 산화반응과 환원반응이 연속해서 다수로 반복하도록 한다.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산화반응모듈(140)은 예컨대 본 실시례에서처럼, 전후로 개방되는 하우징(141)과, 하우징(141) 내에 설치되는 UV램프(142)와, 하우징(141)의 전후 개방측에 가리도록 각각 설치되고, 이산화티탄(TiO2) 촉매가 코팅되는 메쉬 형태의 촉매판(143)과, 하우징(144) 내에 설치되는 방전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141)은 동작에 필요한 부품의 수용을 위한 장착함(141a)이 상부에 마련될 수 있고, 장착홈(141a)으로부터 전원 공급을 위한 케이블(141b)이 외측으로 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UV램프(142)는 하우징(141) 내에 장착함(141a)으로부터 수직되게 다수, 예컨대 2개가 설치될 수 있다. 방전부(144)는 산화반응을 위하여, 방전에 의한 오존과 이온클러스터 및 OH 라디칼의 생성을 위하여, 연면방전광이나 탐침형 방전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우징(141) 내에 장착함(141a)으로부터 하방으로 다수, 예컨대 2개가 설치될 수 있고, UV램프(142)와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산화반응모듈(140)은 데미스터필터(130)의 상측과 환원반응모듈(150)의 상측에 각각 설치됨으로써 케이싱(110) 내에서 악취가스가 이동하는 경로를 기준으로 환원반응모듈(150) 각각의 전단마다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환원반응모듈(150)은 예컨대 다수의 홀(152)이 형성되는 다공하우징(151)과, 다공하우징(151)의 내측에 채워지고, 이산화망간(MnO2) 또는 Mn(Ⅱ) 또는 황화구리(CuS)을 담지한 활성탄(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환원반응모듈(150)은 광촉매와 플라즈마 공히 환원성이 우수한 이산화망간(MnO2)이나 Mn(Ⅱ) 등을 활성탄에 담지하여 사용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이산화망간(MnO2)과 항균성이 뛰어난 황화구리(CuS)를 병용하여 환원 촉매제로 활성탄에 담지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환원반응모듈(150)은 케이싱(110) 내에서 악취가스가 이동하는 경로를 기준으로 데미스터필터(130)의 후단에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는 장착레일(115) 사이마다 다수로 수평되게 끼워짐으로써, 악취가스가 이동하는 경로를 따라 다수의 층을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케이싱(110)은 내측면에 UV램프(142; 도 4 참조)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의 반사를 위한 제 1 반사체(116)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산화반응모듈(140)은 자외선의 반사를 위한 제 2 반사체(145)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반사체(116,145)는 광반사를 가능하도록 하는 재질의 플레이트 구조를 이루거나, 코팅층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제 2 반사체(145)는 산화반응모듈(140)의 외측면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도록 마련됨으로써, 외측면과의 사이에 통기를 위한 유격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즉, 제 2 반사체(145)는 촉매판(143) 또는 이의 외측에 별도로 마련되는 외부 프레임에 일단이 고정 또는 일체를 이루는 상태에서, 타단측이 경사지도록 촉매판(143)이나 외부 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게 마련됨으로써, 촉매판(143)이나 외부 프래임과의 이격된 부분을 통해서 촉매판(143)에 악취가스가 도달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케이싱(110)의 외측면에는 동작에 필요한 조작신호를 입력하도록 하는 조작부와, 조작부의 조작신호에 따라, 송풍팬(120), 산화반응모듈(140) 등의 동작을 온(on)/오프(off)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조작제어부(160)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산화환원반응을 셋트로서 다단계로 구성한 탈취장치에 따르면, 송풍팬(120)의 구동에 의해, 케이싱(110)의 흡기구(111)로부터 악취가스를 흡입하여 배기구(112)를 통해서 배기되도록 하되, 케이싱(110)을 통과하는 악취가스가 데미스터필터(130)를 통과함으로써, 악취가스에 포함된 이물질, 수분 등을 제거하고, 데미스터필터(130)를 통과한 악취가스가 최초 산화반응셋트(140,150)를 통과하면서 산화반응모듈(140)에 의해 악취가스에 대한 산화반응에서 발생하는 산화물을 환원반응모듈(150)에 의해 즉시 환원시키도록 하고, 이러한 과정을 마친 악취가스가 후속의 산화환원셋트(140,150)를 다수로 통과함으로써, 산화반응과 환원반응이 연속해서 다수로 반복하도록 하여, 탈취 효율을 증대시키도록 한다. 또한, 제 1 및 제 2 반사체(116,145)에 의해 UV램프(142)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의 확산과 사용 빈도를 높여서 탈취 반응이 증폭되도록 개선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탈취기 배기구의 과잉 잔류오존 제어에 대한 한계를 근본적 및 원천적으로 해소하기 위해, 산화 반응과 환원 반응을 하나의 셋트로 모듈화하여 산화공정에서 발생하는 산화물을 즉시 환원시키는 단계적인 구조로 만들며, 이러한 안정적인 산화 및 환원 셋트를 다수로 중첩하여도 과잉 산화물 발생이 억제되면서, 악취 부하에 대응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탈취설비 내부와 산화반응모듈에 반사체를 구비하여 자외선 반사 및 증폭 효과를 가지도록 하여, 뛰어난 탈취 효율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 케이싱 111 : 흡기구
112 : 배기구 113 : 도어
114 : 휠 115 : 장착레일
116 : 제 1 반사체 120 : 송풍팬
130 : 데미스터필터 140 : 산화반응모듈
141 : 하우징 141a : 장착함
141b : 케이블 142 : UV램프
143 : 촉매판 144 : 방전부
145 : 제 2 반사체 150 : 환원반응모듈
151 : 다공하우징 152 : 홀
160 : 조작제어부

Claims (6)

  1. 흡기구와 배기구가 각각 마련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어 상기 흡기구를 통해 흡입되는 악취가스를 상기 배기구를 통해 배기되도록 송풍시키는 송풍팬;
    상기 케이싱에서 상기 흡기구측에 마련되어 상기 악취가스로부터 이물질을 필터링하도록 하는 데미스터필터; 및
    상기 케이싱 내에서 상기 흡기구로부터 상기 배기구까지 상기 악취가스가 이동하는 경로에 폭방향과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설치되고, 각각이 자외선광원에 이산화티탄(TiO2) 촉매를 사용하여 산화반응을 수행함과 아울러, 방전에 의해 발생하는 오존, 이온클러스터 및 OH 라디칼로 산화반응을 수행하는 산화반응모듈과, 광촉매와 플라즈마에 대한 환원반응을 위한 이산화망간(MnO2) 또는 Mn(Ⅱ) 또는 황화구리(CuS)을 활성탄에 담지한 환원반응모듈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산화반응모듈에 의해 악취가스에 대한 산화반응에서 발생하는 산화물을 상기 환원반응모듈에 의해 즉시 환원시키도록 하여, 산화반응과 환원반응이 연속해서 다수로 반복하도록 하는 산환환원셋트;
    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은,
    내측면에 자외선의 반사를 위한 제 1 반사체가 설치되고,
    상기 산화반응모듈은,
    자외선의 반사를 위한 제 2 반사체가 설치되는, 산화환원반응을 셋트로서 다단계로 구성한 탈취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산화반응모듈은,
    전후로 개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UV램프;
    상기 하우징의 전후 개방측에 가리도록 설치되고, 이산화티탄(TiO2) 촉매가 코팅되는 메쉬 형태의 촉매판;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방전부;
    를 포함하는, 산화환원반응을 셋트로서 다단계로 구성한 탈취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환원반응모듈은,
    다수의 홀이 형성되는 다공하우징; 및
    상기 다공하우징의 내측에 채워지고, 이산화망간(MnO2) 또는 Mn(Ⅱ) 또는 황화구리(CuS)를 담지한 활성탄;
    을 포함하는, 산화환원반응을 셋트로서 다단계로 구성한 탈취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폭방향을 따라 놓여지는 장착레일이 쌍을 이루면서 서로 마주 보도록 설치되고, 상기 장착레일이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설치되며,
    상기 데미스터필터는,
    상기 장착레일 중에서 상기 경로의 전단에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는 장착레일 사이에 끼워져서 설치되고,
    상기 환원반응모듈은,
    상기 경로를 기준으로 상기 데미스터필터의 후단에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는 장착레일 사이마다 끼워짐으로써, 상기 경로를 따라 다수의 층을 이루도록 설치되고,
    상기 산화반응모듈은,
    상기 데미스터필터의 상측과 상기 환원반응모듈의 상측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경로를 기준으로 상기 환원반응모듈 각각의 전단마다 위치하도록 하는, 산화환원반응을 셋트로서 다단계로 구성한 탈취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반사체는,
    상기 산화반응모듈의 외측면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도록 마련됨으로써, 상기 외측면과의 사이에 통기를 위한 유격을 가지도록 하는, 산화환원반응을 셋트로서 다단계로 구성한 탈취장치.
KR1020180050025A 2018-04-30 2018-04-30 산화환원반응을 셋트로서 다단계로 구성한 탈취장치 KR101989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025A KR101989741B1 (ko) 2018-04-30 2018-04-30 산화환원반응을 셋트로서 다단계로 구성한 탈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025A KR101989741B1 (ko) 2018-04-30 2018-04-30 산화환원반응을 셋트로서 다단계로 구성한 탈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9741B1 true KR101989741B1 (ko) 2019-06-14

Family

ID=66846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0025A KR101989741B1 (ko) 2018-04-30 2018-04-30 산화환원반응을 셋트로서 다단계로 구성한 탈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97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2407B1 (ko) * 2021-06-10 2022-06-23 주식회사 자연공간산업 Uv 플라즈마 모듈을 이용한 살균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5854A (ja) * 2003-04-04 2004-11-04 Takuma Co Ltd 脱臭装置と脱臭方法
KR100660138B1 (ko) * 2005-07-06 2006-12-2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 살균기
KR100949164B1 (ko) * 2009-06-01 2010-03-23 센텍(주) 이온화 믹싱셀을 갖는 다단 광촉매 산화와 환원 반응기 및 그 방법과 이를 이용한 냄새제거장치
KR20130093211A (ko) * 2012-02-14 2013-08-22 정일교 비접촉식 와류형 광복합 촉매 산화 탈취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5854A (ja) * 2003-04-04 2004-11-04 Takuma Co Ltd 脱臭装置と脱臭方法
KR100660138B1 (ko) * 2005-07-06 2006-12-2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 살균기
KR100949164B1 (ko) * 2009-06-01 2010-03-23 센텍(주) 이온화 믹싱셀을 갖는 다단 광촉매 산화와 환원 반응기 및 그 방법과 이를 이용한 냄새제거장치
KR20130093211A (ko) * 2012-02-14 2013-08-22 정일교 비접촉식 와류형 광복합 촉매 산화 탈취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2407B1 (ko) * 2021-06-10 2022-06-23 주식회사 자연공간산업 Uv 플라즈마 모듈을 이용한 살균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8940B2 (en) Onsite chemistry air filtration system
RU2331460C2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фильтрации и очистки от органических соединений, способ ее производств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диционирования воздуха, оснащенное такой установкой
JP2004512932A (ja) 汚染気体からの悪臭と揮発性有機化合物の除去方法及び除去装置
CN104197425A (zh) 一种室内空气净化装置
CN1960769B (zh) 有害物质的分解方法及有害物质分解装置
KR20220048338A (ko)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한 광촉매판 모듈을 갖는 공기살균정화장치
KR101989741B1 (ko) 산화환원반응을 셋트로서 다단계로 구성한 탈취장치
KR102106264B1 (ko) Dual UV 램프와 흡착제를 이용한 악취 제거 장치
KR20010090648A (ko)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 청정 유니트 및 공기 청정 유니트를갖는 공기 청정 장치
JP4923435B2 (ja) 有害物質処理装置
KR20060035721A (ko) 유해 물질을 함유한 사용된 공기 정화 장치
KR100485756B1 (ko) 오염된 공기의 악취와 휘발성 유기물질 처리장치
JP3000056B2 (ja) 空気清浄化装置
US11964080B2 (en) Air treatment system, and a method of using said air treatment system
JPH11276563A (ja) 空気清浄化装置
KR200340227Y1 (ko)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살균기
KR20010097924A (ko) 촉매연소 공기정화장치
JP2006207908A (ja) 室内換気システムおよび室内換気方法
KR200291331Y1 (ko) 광촉매를 이용한 자동차용 공기정화기
CN210021729U (zh) 废气净化装置
KR101559324B1 (ko) 광촉매 메쉬 매트릭스를 이용한 비접촉식 탈취장치
JPH0360720A (ja) 空気清浄機
KR20030034590A (ko) 오염된 공기의 악취와 휘발성 유기물질 처리방법 및 장치
KR200396959Y1 (ko) 유해 가스 제거 장치
KR20030029415A (ko) 오염된 공기의 악취와 휘발성 유기물질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