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2407B1 - Uv 플라즈마 모듈을 이용한 살균장치 - Google Patents

Uv 플라즈마 모듈을 이용한 살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2407B1
KR102412407B1 KR1020210075710A KR20210075710A KR102412407B1 KR 102412407 B1 KR102412407 B1 KR 102412407B1 KR 1020210075710 A KR1020210075710 A KR 1020210075710A KR 20210075710 A KR20210075710 A KR 20210075710A KR 102412407 B1 KR102412407 B1 KR 102412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lasma
plasma module
quarantine
recep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5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후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자연공간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자연공간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자연공간산업
Priority to KR1020210075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24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2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2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2Ligh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UV(Ultraviolet) 및 플라즈마(Plasma) 중 적어도 하나로 살균하는 방역부(30); 방역부(30)를 수용하여 이동 가능한 함체부(10); 및 차단기(12)와 방역부(30)를 제어하는 컨트롤부(20); 를 포함하는 UV 플라즈마 모듈을 이용한 살균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UV 플라즈마 모듈을 이용한 살균장치{STERILIZER USING UV PLASMA MODULE}
본 발명은 UV 플라즈마 모듈을 이용한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공기를 흡인하여 항온항습을 목적으로 하는 각종기기 또는 실내에 송풍하는 것으로서 식품회사, 크린룸, 제약회사 등의 멸균력이 강하고 정밀 온도와 습도관리가 중요한 곳에 설치되어 냉방, 난방, 제습, 가습 및 청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현대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사람들이 호흡하는 공기 중에 먼지 등을 비롯한 많은 공해 물질이 존재하고, 이러한 공해 물질로 인하여 사람들의 건강을 해치는 문제점과 함께, 실내 온도 및 습도에 의해 사람들이 짜증을 내거나 피로감을 느껴 업무 처리 효율이 저하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종래에는 다양한 공기조화기가 개발되어, 전산실, 반도체부품 생산공장, 연구실, 통신실, 광학 기계 생산업체, 병원의 C/T 및 MRI 촬영실, 정밀기계 조립장치 등의 첨단산업기기가 설치된 장소 및 대합실, 공항, 식당, 극장, 교회, 회관 등 다수가 생활하는 공간에 비치되어 주위의 온·습도 및 청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공기 조화기는 실내의 온습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냉풍 또는 온풍을 발생시켜 실내를 순환시키고 있으나, 최근 코로나 19 상황에서 드러난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가 실내 공기를 순환하는 과정에서 바이러스가 보다 광범위하게 확산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공기 조화기와 연계되어 실내에 순환 및 송풍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바이러스를 제거할 수 있도록 공기 살균 장치를 추가 구매하여 운용하고 있다.
또한, 현재의 팬더믹 상황에서 모든 실내의 출입자들은 체온이나 신원을 특정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이나 이동 설치형 체온 감지 장치 등이 제안되었고, 매장 내의 방역을 위한 별도의 살균장치 등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장치들은 독립형 장치로서 각 장치들을 별도로 구매 및 설치해야 되기에 구매비용이 증가 되었고, 한정된 입구 및/또는 공간 내에 다수의 장치들이 설치되어야 하기에 출입 시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78683호(2009.01.07)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간 활용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는 UV 플라즈마 모듈을 이용한 살균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입구와 통로의 출입관리 및 계산이나 주문, 접수와 같은 카운터에 적용 가능한 살균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나 이상으로서 주변의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팬과, 송풍팬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를 소독하는 하나 이상의 플라즈마 모듈 중 적어도 하나로 살균하는 방역부와, 방역부를 수용하여 이동 가능한 함체부 및 차단기와 방역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부를 포함하고, 플라즈마 모듈은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플라즈마부와, UV를 출력하는 UV 출력부 및 플라즈마부 및 전원부를 수용하고, UV 출력부에 공기를 안내하도록 일면에서 공기가 유입 및 유출되는 복수의 유로를 구획하도록 상호 이격되어 직립되는 복수의 구획벽과 플라즈마부에서 발생된 플라즈마를 토출시키는 하나 이상의 토출구를 구비하는 가이드 함체를 포함하고, 유로는 구획벽들에 의해 복수로 구획되는 공간들 사이에서 상향되는 구면으로 연장된 안내면으로 이루어진 UV 플라즈마 모듈을 이용한 살균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출입 관리시에 체온측정, 문진표, 출입자의 신원 정보의 감지와 살균소독이 하나의 장치를 통하여 모두 가능함에 따라 구매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출입구나 통로의 출입관리와, 주문과 접수 및 계산 등 카운터에 모두 설치될 수 있어 방역과 업무용 시설을 일체로 구비할 수 있어 시설 투자 및 구매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UV 플라즈마 모듈을 이용한 살균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블럭도이다.
도 5는 컨트롤부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6은 방역부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7은 방역부가 설치된 이동식 방역 카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측면도이다.
도 9는 플라즈마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내부를 간략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A-A'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UV 수용체의 배면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UV 수용체의 내부를 간략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UV 수용체의 체결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지만, 특정 실시예를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물을 연결 및/또는 고정 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중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부터는 본 발명에 따른 UV 플라즈마 모듈을 이용한 살균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UV 플라즈마 모듈을 이용한 살균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함체부(10)와, 컨트롤부(20)와 방역부(30) 및 전원부(40)를 포함한다.
함체부(10)는 방역부(30)가 설치 및 지지되는 전면부(11)와, 하나 이상의 선반을 구비한 선반부(14)와, 통로를 개폐하는 차단기(12)와, 내측에 배터리 및/또는 소독액이 저장되는 수용부(13)와, 회전 가능한 캐스터(15)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함체부(10)는 이동형 카트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전면부(11)는 직립된 전면판넬(11a)과, 지지판넬(11b)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판넬(11a)은 표면에 복수의 통공(111)이 형성되며, 지지판넬(11b)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복수의 통공(111)은 후술되는 방역부(30)의 구동에 의해 공기의 유입 및 유출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전면판넬(11a)은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판넬(11b)은 전면판넬(11a)의 내측에 설치되어 방역부(30) 및/또는 컨트롤부(20)의 구성 등을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판넬(11b)은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방역부(30)의 각 구성들이 설치될 수 있다. 즉, 지지판넬(11b)은 프레임을 형성하되, 다양한 자재를 이용하여 방역부(30)를 지지 및 수용할 수 있도록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된다.
선반부(14)는 사용측에서 이동식 카트를 출입 관리 이외에 물건의 이송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선반을 구성한다. 이를 위하여 선반부(14)는 편평한 판재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선반과, 손잡이, 선반을 지지하는 선반 지지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다.
선반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선반은 하나만 설치됨도 가능하다.
손잡이는 선반의 한 변에서 설치된다. 손잡이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밀고 당길 수 있도록 한다.
차단기(12)는 전면부(11)의 일측에서 상하 또는 좌우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된다. 차단기(12)는 컨트롤부(20)의 제어에 의하여 통로를 개폐할 수 있다.
수용부(13)는 내측에 배터리, 모터, 소독액 저장탱크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수용부(13)는 위에 언급된 구성외에 사용자 또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장치들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캐스터(15)는 복수로서 수용부(13)의 하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캐스터(15)는 사용자가 손잡이를 이용하여 가하는 힘에 의해 회전되어 함체부(10)를 전후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컨트롤부(20)는 지지판넬(11b) 또는 수용부(13)에 설치되어 차단기(12)의 작동, 인체의 감지, 소독액 분사, 문진표 출력, 방역부(30)의 제어를 실행한다. 이와 같은 컨트롤부(20)의 상세 구성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컨트롤부(20)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컨트롤부(20)는 컨트롤러(21)와, 디스플레이(22)와, 코드감지수단(23)과, 체온감지센서(24)와, 구동모터(25)와, 스위치(26)와, 무선통신모듈(27)과, 인체감지센서(28), 저장수단(29)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2)는 터치형 디스플레이(22)로서 컨트롤러(21)의 제어에 의해 문진표 출력,안내 정보, 코드 감지화면, 경고문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코드감지수단(23)은 출입자의 모바일 단말로부터 출입자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컨트롤러(21)에 출력한다. 여기서 식별정보는, 예를 들면, QR 코드일 경우, 코드감지수단(23)은 영상 카메라 및 스캐너로 구현될 수 있다.
체온감지센서(24)는 출입자의 체온을 측정하여 컨트롤러(21)에 출력한다. 체온감지센서(24)는 열 영상 카메라 또는 접촉식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이다.
인체감지센서(28)는 설정된 영역 내에서 인체를 감지하여 컨트롤러(21)에 출력한다.
저장수단(29)은 설정 프로그램, 문진표, 방역기관 정보와, 출입자의 식별정보 및 측정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출입자의 식별정보와, 측정 정보(예를 들면, 측정 일시, 체온 및 문진표)는 암호화되고, 설정된 기간이 경과되면 자동 삭제되어 정보 유출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선통신모듈(27)은 원거리 및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 통신, 접촉식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 모듈은 RFID, NFC, 블루투스 중 어느 하나가 설치되어 출입자의 모바일 단말과의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QR코드 외에 모바일 단말에 저장된 출입자의 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모듈(27)은 WiFi 모듈을 구비하여 원격지의 서버로부터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공공 기관 서버로부터 방역관련 정보를 송수신함도 가능하다.
구동모터(25)는 컨트롤러(21)의 제어에 의하여 구동되어 차단기(12)를 회전시킨다.
여기서 컨트롤러(21)는 인체감지센서(28) 또는 체온감지센서(24), 디스플레이(22)를 통하여 입력된 문진표에 따라 차단기(12)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트롤러(21)는 인체감지센서(28)를 통하여 인체가 감지되면, 디스플레이(22)를 작동시켜 문진표를 출력하고, 체온감지를 진행하도록 제어한다.
이후 컨트롤러(21)는 문진표의 입력 내용(증상유무, 방문지 정보)과, 코드감지수단(23)을 통한 출입자의 식별정보의 수신 여부와, 설정된 체온과 감지된 체온을 비교하여 설정 기준에 해당 되면 차단기(12)를 개방하도록 구동모터(25)를 제어한다. 그 반대의 경우에는 차단기(12)로 통로를 차단하도록 제어하고, 경고문 또는 안내 메세지(방역 지침 및 의료 센터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전원부(40)는 배터리 및/또는 외부 계통 전원 장치와, 설정된 레벨의 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컨버터를 구비하여 컨트롤부(20) 및 방역부(30)에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서 전원부(40)는 배터리의 잔량을 감지 및 출력할 수 있는 배터리 잔량 감지수단을 더 표시할 수 있다.
방역부(30)는 컨트롤러(21)의 제어에 의하여 출입자가 감지되거나 또는 설정된 시간 주기별로 주변의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6은 방역부(30)를 도시한 블럭도,도 7은 방역부(30)가 설치된 이동식 방역 카트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의 측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방역부(30)는 복수의 플라즈마 모듈(30a)과, 복수의 송풍팬(30b)을 포함할 수 있다.
플라즈마 모듈(30a)은 복수로서 지지판넬(11b)에서 고정되거나, 지지판넬(11b)에서 설치되는 구획된 공간 내에서 복수가 상호 이격되어 설치된다.
송풍팬(30b)은 복수가 지지판넬(11b)에 고정되어 전면판넬(11a)의 통공(111)을 통하여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겨 플라즈마 모듈(30a)에 공기를 순환 및 배출시킨다.
또한, 방역부(30)는 송풍팬(30b)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필터부(예를 들면, 헤파필터)(도시되지 않음)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플라즈마 모듈(30a)은 공기에 포함된 바이러스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UV와 플라즈마를 모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플라즈마 모듈(30a)의 상세 구성은 도 9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중, 도 9는 플라즈마 모듈(30a)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내부를 간략 도시한 평면도, 도 11은 도 10의 A-A' 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정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플라즈마 모듈(30a)은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플라즈마부(400)와, UV를 출력하는 UV 출력부(500)와, 스위치(26)(100) 내지 UV 출력부(500)를 수용하는 가이드 가이드 함체(60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라즈마부(400)는 전원부(40)에서 전원이 공급되면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주변의 순환 공기를 살균한다. 여기서 플라즈마부(400)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기술을 적용함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한다.
가이드 함체(600)는 내측에 플라즈마부(400) 및 전원부(4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이를 위해 가이드 함체(600)는 일면에서 공기가 유입 및 유출되는 복수의 유로(620)와, 유로(620)를 구획하는 구획벽(630)과, 플라즈마를 토출시키는 토출구(61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620)는 구획벽(630)들에 의해 복수로 구획되며, 상면과 전면이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어 실내의 공기 조화기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가 유입 및 유출되는 경로를 형성한다. 여기서 유로(620)는 개방된 전면과 상면, 개방된 전면부(11)터 상향 되도록 오목형의 구면으로 연장되는 안내면(621)으로 구성될 수 있다.
유로(620)의 유입구는 개방된 전면, 유출구는 바닥면을 이루는 안내면(621)을 따라 개방된 상면으로서 연장되어 후술되는 UV 출력부(500) 사이의 공간으로 형성된다.
즉, 유로(620)는 개방된 전면 및/또는 상면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안내면(621)을 따라 개방된 상면으로 토출되는 경로를 형성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유로(620)는 유입된 공기의 순환 속도/압력을 높일 수 있도록 유입구 보다 유출구의 폭을 좁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획벽(630)은 가이드 함체(600)의 일면에서 상호 이격 되도록 직립된 복수의 벽면으로서 그 사이에 유로(620)를 형성한다. 이때, 구획벽(630)은 UV 출력부(500)가 유로(620)들에 연통될 수 있도록 연통구(631)가 형성된다.
여기서 가이드 함체(600)의 양 측면 중 적어도 하나는 후술되는 UV 수용체(510)가 연통될 수 있도록 삽입구가 형성될 수 있고, 삽입구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나사 또는 끼움식 결합구조로 결합되는 측부 커버(640)(도 8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획벽(630)은, 도 5를 참조하면, 전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될 수록 그폭이 증가하여 유입구 보다 유출구의 폭이 감소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구획벽(630)의 두께 조절을 통하여 유입구 및 유출구의 폭을 조절할 수 있다.
토출구(610)는 플라즈마부(400)에서 발생된 플라즈마를 토출시킨다. 여기서 토출구(610)는 유로(620)를 통과한 공기에 내측의 플라즈마부(400)에서 발생된 플라즈마로 살균시킬 수 있도록 유출구에 인접한 위치(예를 들면, 유출구를 이루는 가이드 함체(60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UV 출력부(500)는 가이드 함체(600)의 일면에 형성된 유로(620)를 통하여 이동되는 공기에 UV를 출력한다. 여기서 UV는 200~280nm의 UVC(Ultraviolet C) 또는 10~200nm 이하의 VUV(Vacuum Ultraviolet) 중 어느 하나이다.
상기와 같은 UV 출력부(500)는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중, 도 13은 UV 출력부의 배면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4는 UV 수용체의 내부를 간략 도시한 단면도, 도 15는 UV 출력부의 조립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UV 출력부(500)는 UVC 또는 VUV 중 어느 하나의 광을 출력하는 발광수단(520)과, 발광수단(520)을 수용하는 UV 수용체(510)와, UV 수용체(510)를 밀폐시키는 한 쌍의 소켓(530)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수단(520)은, 예를 들면, 환형으로 연장된 UV 램프로서 100~200nm의 VUV를 출력하거나, 200~280nm의 UVC를 출력한다.
UV 수용체(510)는 양측 끝단이 개방되고, 내측에 발광수단(520)을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한다. 여기서 UV 수용체(510)는 구획벽(630)의 연통공(111)들을 통하여 유로(620)에 설치된다. 이때 UV 수용체(510)와 안내면(621)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통하여 유출구가 형성된다.
즉, 유입구는 개방된 일면과 UV 수용체(510) 사이로 형성되고, 유출구는 UV 수용체(510)와 안내면(621)의 끝단(상단) 사이의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UV 수용체(510)는 유출구 측의 배면에서 UV와 공기의 반응을 위하여 절개 또는 관통된 복수의 조사구(51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조사구(511)는 상호 이격 된 구멍으로서 발광수단(520)에서 발광 된 UVC 또는 VUV와 유입된 공기를 반응시킨다.
또한, UV 수용체(510)는 공기 중의 오염물질이 UVC 또는 VUV에 반응하면서 생성되는 오존이 외부로 토출되지 않고 걸러줄 수 있도록 내측에서 오존 차단홈(5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오존 차단홈(512)은 UV 수용체(510)의 내면에서 내향 또는 외향 되어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홈(예를 들면, 나사산)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소켓(530)은 발광수단(520)이 결합 되는 커넥터를 포함하여 UV 수용체(510)의 양측 끝단을 밀폐시킨다. 여기서 커넥터는 전원부(40)에서 연장되는 전원 라인에 전기적으로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전기적 연결 구조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한 쌍의 소켓(530) 중 어느 하나는 발광수단(520)이 체결된 상태에서 UV 수용체(510)의 끝단을 밀폐시키고, 다른 하나는 구획벽(630)들에 연통 된 이후에 UV 수용체(510)의 반대 끝단에 체결될 수 있다.
또는 한 쌍의 소켓(530) 중 어느 하나는 유로(620)의 최외측 벽면에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UV 수용체(510)는 외면, 소켓(530)은 내면에 상호 결합 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함체(600)의 측부 커버(640)는 분리된 후 UV 수용체(510)가 인입되는 인입구를 개방하고, UV 수용체(510)가 구획벽(630)들의 연통구(631)로 끼움 된 후 재조립되어 소켓(53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도 가능하다.
아울러, 각 플라즈마 모듈(30a)은 동작 상황을 표시할 수 있도록 표시수단(도시되지 않음)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표시수단은 예를 들면, R, G, B LED로서 동작, 오프 상태를 발광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각 플라즈마 모듈(30a)오프 수동 조작이 가능하도록 온/오프 스위치(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각 플라즈마 모듈(30a)들은 전원부(40)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 가능하고, 자체 내장된 배터리를 통하여 구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UV 플라즈마 모듈을 이용한 살균장치는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는 가이드 함체(600)의 일 측부에 조립된 측부 커버(640)를 분리한 뒤에 발광수단(520)에 소켓(530)을 체결한 뒤에 UV 수용체(510)에 인입한 뒤에 가이드 함체(600)의 측부를 통하여 UV 수용체(510)를 체결한다.
여기서 UV 수용체(510)는 조사구(511)가 안내면(621)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유로(620)의 유입구는 가이드 함체(600)의 일면에서 UV 수용체(510) 사이의 간격으로 형성되고, 유출구는 안내면(621)의 끝단과 UV 수용체(510)의 배면(예를 들면, 조사구(511)) 사이의 간격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UV 출력부(500)의 설치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지지판넬(11b)의 설정된 위치에 플라즈마 모듈(30a) 및 송풍팬(30b)을 설치한 뒤에 전면판넬(11a)을 조립한다.
이후, 사용자는 선반부(14)에 위치된 손잡이를 이용하여 지정된 위치(출입구 또는 통로)에 설치한 뒤에 스위치(26)를 조작하여 작동시킨다.
따라서 컨트롤러(21)는 전원부(40)에서 전원이 공급되면, 인체감지센서(28) 및 체온감지센서(24)와, 방역부(30), 차단기(12), 디스플레이(22) 등 설치된 구성들을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활성화 시킨다.
이후, 컨트롤러(21)는 인체감지센서(28)로부터 인체가 감지되면, 안내문(또는 안내 음성)을 출력하여 식별정보의 요청 및/또는 문진표의 작성을 요청한다.
디스플레이(22)는 컨트롤러(21)의 제어에 의하여 문진표를 출력하고, 입력된 정보를 컨트롤러(21)에 출력한다.
또한, 체온감지센서(24)는 출입자의 체온을 감지하여 컨트롤러(21)에 출력한다.
코드감지수단(23)은 출입자의 모바일 단말로부터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컨트롤러(21)에 출력한다.
그러므로 컨트롤러(21)는 식별정보와 출입자의 체온 및 입력된 문진표를 확인하여 차단기(12)를 개방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또는 별개로 방역부(30)는 컨트롤러(21)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어 주변의 공기를 살균 소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역부(30)는 별도의 스위치(26)를 통하여 작동 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플라즈마 모듈(30a)은 송풍팬(30b)에 의해 발생 되는 바람으로 유입된 공기가 유로(620)의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면 살균하여 유출구로 토출시킨다.
이때, UV 출력부(500)는 UVC 또는 VUV를 유출구 측으로 조사한다. 그러므로 공기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은 UVC 또는 VUV 중 어느 하나와 반응하여 오존을 발생한다. 그러나 오존은 UV 수용체(510)의 내부에 형성된 오존 차단홈(512)을 통하여 걸러지게 되어 외부로 토출될 수 없다.
또한, 실내의 공기는 플라즈마부(400)에 의해 발생되는 플라즈마를 통하여 살균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출입 관리뿐만 아니라 플라즈마 모듈(30a)을 구비함에 따라 실내의 공기를 살균 소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출입 관리를 위하여 차단기를 구비한 예를 설명하였으나,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수대(카운터)와, 실내 이동식 살균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접수대로서 구현된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측 단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함체부(10)를 앞서 설명한 선반부(14) 대신, 주문 및 안내를 위한 접수대(카운터)로서 활용할 수 있도록 후면에서 상면과 후방이 개방되는 카운터부(16)를 구비할 수 있다. 이는 출입 관리가 아닌 주문이나 서류의 접수, 체크인, 체크아웃 등의 접수대(카운터)에 적용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식 카트 또는 접수대가 아닌 실내의 살균만을 목적으로 도 18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도 18은 다른 실시예로서 선반부(14) 및 카운터부(16)가 포함되지 않은 이동형 실시예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방역을 위한 출입 관리 뿐만 아니라 자체적으로 공기 순환 및 살균 기능을 구비함에 따라 사용자들의 구매비용을 줄일 수 있고, 이동식임에 따라 실내 전체의 살균소독이 가능하고, 물품의 이송 역시 가능함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활용 가능하다.
10 : 함체부 11 : 전면부
11a : 전면판넬 11b : 지지판넬
12 : 차단기 13 : 수용부
14 : 선반부 15 : 캐스터
16 : 카운터부
20 : 컨트롤부 21 : 컨트롤러
22: 디스플레이 23 : 코드감지수단
24 : 체온감지센서 25 : 구동모터
26 : 스위치 27 : 무선통신모듈
28 : 인체감지센서 29 : 저장수단
30 : 방역부 30a : 플라즈마 모듈
30b : 송풍팬 40 : 전원부
111 : 통공 400 : 플라즈마부
500 : UV 출력부 510 : UV 수용체
511 : 조사구 512 : 오존 차단홈
520 : 발광수단 530 : 소켓
600 : 함체 610 : 토출구
620 : 유로 621 : 안내면
630 : 구획벽 631 : 연통구
640 : 측부 커버

Claims (12)

  1. 하나 이상으로서 주변의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팬(30b)과, 송풍팬(30b)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를 소독하는 하나 이상의 플라즈마 모듈(30a) 중 적어도 하나로 살균하는 방역부(30);
    방역부(30)를 수용하여 이동 가능한 함체부(10); 및
    차단기(12)와 방역부(30)를 제어하는 컨트롤부(20); 를 포함하고,
    플라즈마 모듈(30a)은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플라즈마부(400);
    UV를 출력하는 UV 출력부(500); 및
    플라즈마부(400) 및 전원부(40)를 수용하고, UV 출력부(500)에 공기를 안내하도록 일면에서 공기가 유입 및 유출되는 복수의 유로(620)를 구획하도록 상호 이격되어 직립되는 복수의 구획벽(630)과 플라즈마부(400)에서 발생된 플라즈마를 토출시키는 하나 이상의 토출구(610)를 구비하는 가이드 함체(600); 를 포함하고,
    유로(620)는
    구획벽(630)들에 의해 복수로 구획되는 공간들 사이에서 상향되는 구면으로 연장된 안내면(621)으로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UV 플라즈마 모듈을 이용한 살균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함체부(10)는
    직립되어 복수의 통공(111)을 구비하고, 내측에 방역부(30)를 지지하는 전면부(11);
    전면부(11)의 후방에서 하나 이상의 선반과, 손잡이를 구비한 선반부(14);
    내측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13); 및
    수용부(13)의 하면에서 복수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캐스터(15); 를 포함하는 UV 플라즈마 모듈을 이용한 살균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UV 출력부(500)는
    복수의 구획벽(630)을 연통하여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UV 플라즈마 모듈을 이용한 살균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UV 출력부(500)는
    UV를 출력하는 발광수단(520); 및
    발광수단(520)을 수용하여 유로(620) 내에 설치되는 UV 수용체(510); 및
    UV 수용체(510)를 밀폐시키고, 발광수단(520)과 전기적으로 통전 가능한 한 쌍의 소켓(530); 을 포함하는 UV 플라즈마 모듈을 이용한 살균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UV 수용체(510)는
    발광수단(520)에서 발광된 UV가 조사되도록 개구된 복수의 조사구(511); 및
    내면에서 내향 또는 외향 되도록 연장되어 UV와 오염물질의 반응에 의해 발생된 오존을 걸러주는 오존 차단홈(512); 을 포함하는 UV 플라즈마 모듈을 이용한 살균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UV는
    UVC(Ultraviolet C) 또는 VUV(Vacuum Ultraviolet)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V 플라즈마 모듈을 이용한 살균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함체부(10)는
    통로 또는 출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차단기(12); 를 더 포함하는 UV 플라즈마 모듈을 이용한 살균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함체부(10)는
    편평한 판재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선반(14)과, 손잡이를 구비한 이동식 카트;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V 플라즈마 모듈을 이용한 살균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함체부(10)는
    후면에서 상부와 후방이 개방되는 접수대 또는 카운터;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V 플라즈마 모듈을 이용한 살균장치.
KR1020210075710A 2021-06-10 2021-06-10 Uv 플라즈마 모듈을 이용한 살균장치 KR102412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710A KR102412407B1 (ko) 2021-06-10 2021-06-10 Uv 플라즈마 모듈을 이용한 살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710A KR102412407B1 (ko) 2021-06-10 2021-06-10 Uv 플라즈마 모듈을 이용한 살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2407B1 true KR102412407B1 (ko) 2022-06-23

Family

ID=82222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5710A KR102412407B1 (ko) 2021-06-10 2021-06-10 Uv 플라즈마 모듈을 이용한 살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2407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1430A (ja) * 1997-07-29 1999-02-26 Aiken Kogyo Kk テーブル型空気清浄機
JP2007190111A (ja) * 2006-01-18 2007-08-02 Seki:Kk カートの空気浄化装置、及び病院などにおけるおむつ取替用カートの空気浄化装置、及び病院などにおける清掃用カートの空気浄化装置、及び病院などにおける医師が入院患者を巡回診療する時などのカートの空気浄化装置、及び病院などにおける入院患者への配膳用のカートの空気浄化装置、及びホテルなどにおける部屋の清掃用カートの空気浄化装置、及び列車などにおける飲物・弁当などを売るカートの空気浄化装置、及び航空機などにおける飛行中に飲物・食事をサービスするカートの空気浄化装置、及び客船などにおける船室の清掃用カートの空気浄化装置、及び客船などにおける食事・飲物などをサービスするカートの空気浄化装置
KR100878683B1 (ko) 2008-01-14 2009-01-13 주식회사 중외엔비텍 공기정화용 3차 집진장치
KR20090005619U (ko) * 2007-12-05 2009-06-10 박천귀 병원체 방어용 생물안전 작업대
KR101989741B1 (ko) * 2018-04-30 2019-06-14 정일교 산화환원반응을 셋트로서 다단계로 구성한 탈취장치
KR20200036141A (ko) * 2018-09-27 2020-04-07 주식회사 금오산업 공기청정 겸용 환기장치
KR102138300B1 (ko) * 2020-03-25 2020-07-27 주식회사 아우르다 플라즈마와 자외선을 이용한 공기 살균장치 및 공기 살균방법
KR102229676B1 (ko) * 2020-10-22 2021-03-19 유한회사 중원시스템 방역용 게이트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1430A (ja) * 1997-07-29 1999-02-26 Aiken Kogyo Kk テーブル型空気清浄機
JP2007190111A (ja) * 2006-01-18 2007-08-02 Seki:Kk カートの空気浄化装置、及び病院などにおけるおむつ取替用カートの空気浄化装置、及び病院などにおける清掃用カートの空気浄化装置、及び病院などにおける医師が入院患者を巡回診療する時などのカートの空気浄化装置、及び病院などにおける入院患者への配膳用のカートの空気浄化装置、及びホテルなどにおける部屋の清掃用カートの空気浄化装置、及び列車などにおける飲物・弁当などを売るカートの空気浄化装置、及び航空機などにおける飛行中に飲物・食事をサービスするカートの空気浄化装置、及び客船などにおける船室の清掃用カートの空気浄化装置、及び客船などにおける食事・飲物などをサービスするカートの空気浄化装置
KR20090005619U (ko) * 2007-12-05 2009-06-10 박천귀 병원체 방어용 생물안전 작업대
KR100878683B1 (ko) 2008-01-14 2009-01-13 주식회사 중외엔비텍 공기정화용 3차 집진장치
KR101989741B1 (ko) * 2018-04-30 2019-06-14 정일교 산화환원반응을 셋트로서 다단계로 구성한 탈취장치
KR20200036141A (ko) * 2018-09-27 2020-04-07 주식회사 금오산업 공기청정 겸용 환기장치
KR102138300B1 (ko) * 2020-03-25 2020-07-27 주식회사 아우르다 플라즈마와 자외선을 이용한 공기 살균장치 및 공기 살균방법
KR102229676B1 (ko) * 2020-10-22 2021-03-19 유한회사 중원시스템 방역용 게이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31472A1 (en) Large-scale uv-c inactivation devices and simulations of the same
US11660368B2 (en) Ceiling-mounted decontamination unit with luminaire
KR20180065164A (ko) 복합형 공기청정기
KR101030583B1 (ko) 출입자 살균소독실
KR102188199B1 (ko) 공기 살균 장치
US11690927B2 (en) Systems, cabinets and methods for disinfecting objects
CN111330035A (zh) Uv消毒设备及其应用
KR101400831B1 (ko) 연속식 에어샤워부스
EP4181973A1 (en) Mobile disinfection apparatuses having visual marker detection systems and methods of their use
KR102386900B1 (ko) 지능형 복합 키오스크 시스템
US20230321292A1 (en) Shoe care apparatus
KR102412407B1 (ko) Uv 플라즈마 모듈을 이용한 살균장치
KR100668938B1 (ko) 엘리베이터의 자외선 살균장치
US20220096683A1 (en) Bimodal ultraviolet disinfection systems and related methods
KR102085142B1 (ko) 천정형 환기장치
CN114190297B (zh) 动物康健监控装置及其检修方法
CN111166901B (zh) 一种消毒室
CN210124194U (zh) 动物康健监控装置
CN210124195U (zh) 动物康健监控装置
JP2023547783A (ja) 物理的消毒を伴うアクセス制御のための装置
KR20210143537A (ko) 살균소독용 조립식 방역소독부스
KR102243562B1 (ko) 전자분사기
CN216294735U (zh) 智能消毒柜
KR102236135B1 (ko) IoT 기반 멸균 열회수 환기 시스템
JP2022094168A (ja) 移動設置式個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