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9684B1 -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과 연동하여 조현병 환자의 건강한 라이프 스타일을 유지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과 연동하여 조현병 환자의 건강한 라이프 스타일을 유지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9684B1
KR101989684B1 KR1020170121568A KR20170121568A KR101989684B1 KR 101989684 B1 KR101989684 B1 KR 101989684B1 KR 1020170121568 A KR1020170121568 A KR 1020170121568A KR 20170121568 A KR20170121568 A KR 20170121568A KR 101989684 B1 KR101989684 B1 KR 101989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central server
input window
lifesty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1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3145A (ko
Inventor
이경희
Original Assignee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21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9684B1/ko
Priority to PCT/KR2018/007155 priority patent/WO2019059500A1/ko
Publication of KR20190033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9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9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2519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sychiatr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사용자의 조현병 유무를 진단하고 대사장애 치료를 위한 생활습관 개선 앱이 설치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조현병 환자의 건강한 라이프 스타일을 유지하는 시스템이 소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의 현재 생체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복수개의 센서; 상기 복수개의 센서에 의해 센싱된 사용자의 생체정보가 송신되어 저장되는 중앙서버; 상기 중앙서버에 별도로 마련되어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생활패턴을 분석할 수 있도록 분류점수가 기저장되어 있는 생활패턴분석부; 및 상기 분류점수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대사장애 유무를 판단한 뒤 사용자에게 건강정보를 송신하는 대사장애 증상판정부; 를 포함하되, 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복수개의 센서에 의해 센싱된 생체정보가 상기 중앙서버로 전송된 후 상기 중앙서버의 생활패턴분석부와 상기 대사장애 증상판정부에 의해 대사장애 증상 위험 수위가 높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생활습관 개선 앱을 통해 사용자의 대사장애 증후군을 치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과 연동하여 조현병 환자의 건강한 라이프 스타일을 유지하는 시스템{SYSTEM FOR HEALTHY LIFESTYLE FOR SCHIZOPHRENIA PATIENTS USING APPLICATION ON SMART DEVICE}
본 발명은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과 연동하여 조현병 환자의 건강한 라이프 스타일을 유지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대상자의 일상생활을 추적하여 건강한 라이프 스타일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고, 그 구현방법으로 다양한 센서가 설치된 스마트 폰으로 대상자의 생활패턴을 모니터링하고, 적극적으로 건강한 생활패턴으로 가이드하며, 더 나아가 이러한 기술적 사상을 모델링 및 홍보할 수 있는 차세대 개인 건강 어플리케이션이 구현될 수 있는 새로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성인 3명 중 1명이 비만이다(보건복지부, 2011). 비만은 복부 비만,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관상 동맥성 심장질환(Congenital Heart Disease;이하 CHD) 등과 같은 대사성 장애의 원인이 된다(Schizophrenia Research, 2009).
조현병은 사고 체계와 감정 반응의 전반적인 장애로 인해 통합적인 정상 사고를 하지 못하는 일종의 만성 사고 장애로서 우리나라에서는 조현병 환자가 대략 15만 명으로 추정되고 있다(보건복지부, 2011).
자발적인 신체활동의 동기가 결핍된 만성 조현병 환자의 경우, 비정형 항정신성 약물의 부작용으로 인하여 일반인구집단보다 비만도는 2배 이상, 심대사성증후군 유병률은 2~3배 높게 나타난다(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2010; Schizophrenia Research, 2005; Annals of General Psychiatry, 2011).
조현병 환자의 조기사망률은 2~3 배 이상 높고(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998;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2010), 평균 수명은 대략 20년 정도 짧다(Psychiatric Services, 2006).
이와 같이 조현병 환자는 예방과 치료가 가능한 신체질환으로 인해 조기사망률이 높다. 이는 그들이 사회적 편견으로 차별받는 현실 속에서 진정한 회복을 경험할 기회조차 박탈당한다는 것이다(Psychosomatics, 2010).
실제로 조현병 환자의 조기 사망 원인으로서 비만에 의한 CHD의 위험성이 자살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으므로, 이들의 비만관리를 위한 지속적인 중재가 필요하다(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2007).
또한, 종래에는 일상 생활에 지치고 바쁜 현대인에게 자기 관리를 지도하고 모니터링하며 건강한 웰빙 생활을 유도할 수 있는 수단이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대상자의 일상생활을 추적하여 건강한 라이프 스타일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고, 그 구현방법으로 다양한 센서가 설치된 스마트 폰으로 대상자의 생활패턴을 모니터링하고, 적극적으로 건강한 생활패턴으로 가이드하며, 더 나아가 이러한 기술적 사상을 모델링 및 홍보할 수 있는 차세대 개인 건강 어플리케이션이 구현될 수 있는 새로운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부차적으로 스마트폰에 설치된 다양한 센서를 통해 조현병 증상을 가진 대상자의 대사장애 정도를 진단하고, 스마트폰에 설치된 별도의 앱을 통해 원격으로 사용자의 조현병을 치료/관리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KR 10-2014-0018754(2014.02.13 공개)
본 발명은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을 통해 바람직한 생활습관을 개선하고, 자기주도적 동기강화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여 조현병 환자의 일상생활을 올바르고 건강하게 가이드함은 물론이고, 주기적으로 생활패턴을 분석하고 모니터링 하며, 자기주도적으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관리 및 치료할 수 있도록 하며, 조현병 환자가 일반적으로 앓고 있는 대사장애 증상을 치료/경감시켜 줄 수 있는 네트워크와 연동함에 그 목적이 있다.
사용자의 조현병 유무를 진단하고 조현병 치료를 위한 생활습관 개선 앱이 설치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조현병 환자의 건강한 라이프 스타일을 유지하는 시스템이 소개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대상자의 육체적, 사회적 및 정신적 웰빙 생활을 유도할 수 있도록, 신체 활동 및 사회적 상호 작용 그리고 투약관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대부분의 생활 활동을 추적, 진단,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포괄적 개념의 스마트폰 기반의 시스템이 소개된다.
조현병을 앓고 있는 대상자의 경우 대부분 대사장애 증후군을 갖고 있는바, 이 대사장애 증후 정도를 진단한 뒤 치료/경감시킬 수 있는 새로운 모델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조현병 유무를 진단하고 대사장애 치료를 위한 생활습관 개선 앱이 설치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조현병 환자의 건강한 라이프 스타일을 유지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현재 생체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복수개의 센서; 상기 복수개의 센서에 의해 센싱된 사용자의 생체정보가 송신되어 저장되는 중앙서버; 상기 중앙서버에 별도로 마련되어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생활패턴을 분석할 수 있도록 분류점수가 기저장되어 있는 생활패턴분석부; 및 상기 분류점수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대사장애 유무를 판단한 뒤 사용자에게 건강정보를 송신하는 대사장애 증상판정부; 를 포함하되, 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복수개의 센서에 의해 센싱된 생체정보가 상기 중앙서버로 전송된 후 상기 중앙서버의 생활패턴분석부와 상기 대사장애 증상판정부에 의해 대사장애 증상 위험 수위가 높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생활습관 개선 앱을 통해 사용자의 대사장애 증후군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인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과 연동하여 조현병 환자의 건강한 라이프 스타일을 유지하는 시스템에 의한다면, 사용자의 조현병 재발 유무를 신속히 진단하고,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을 통해 사용자의 생활습관을 개선시키고,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가 구현된다.
또한, 실시간으로 스마트폰에 설치된 센서를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쉽게 다이어트할 수 있는 여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피드백 효과가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웰빙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여러 복합적인 가이드 정보를 제공받고, 궁극적으로 스스로 생활 패턴을 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를 통해 규칙적인 수면과 운동 및 건강한 사회성을 기르게 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가 구현된다.
결국, 조현병을 앓고 있는 환자의 대사장애를 진단하고 이를 경감시키는 새로운 모델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조현병 환자를 관리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과 연동하여 조현병 환자의 건강한 라이프 스타일을 유지하는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앱의 실제 구동되는 화면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혈당측정센서기의 일 실시예,
도 4는 사용자의 bpm에 따른 점수의 일 실시예,
도 5는 생활패턴분석부에 저장된 혈당에 관련된 분류점수의 일 실시예,
도 6은 생활패턴분석부에 저장된 혈압에 관련된 분류점수의 일 실시예,
도 7은 점수와 그 증상 정도는 일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이 작동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생활습관 개선 앱 실행시 나타나는 화면,
도 10 내지 도 6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생활습관 개선 앱 실행시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인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과 연동하여 조현병 환자의 건강한 라이프 스타일을 유지하는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과 연동하여 조현병 환자의 건강한 라이프 스타일을 유지하는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앱의 실제 구동되는 화면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조현병을 진단하고 조현병 치료를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이 설치된 스마트폰, 스마트폰에 설치된 복수개의 센서, 중앙서버(100), 중앙서버(100)에 별도로 마련된 생활패턴분석부(200), 대사장애 증상판정부(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스마트폰은 휴대용 단말기 또는 데스크탑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정보를 온라인상으로 수신받을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정보수신기이면 가능하다.
스마트폰은 이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을 실행한 뒤 사용자가 로그인하고, 사용자가 입력된 정보가 중앙서버(100)로 송신되고, 중앙서버(100)에서 송신된 정보 역시 스마트폰으로 전송된다.
한편, 스마트폰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사용자의 현재 생체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센서가 설치된다. 이 복수개의 센서에 의해 센싱된 사용자의 생체정보는 중앙서버(100)에 전송된 뒤 저장된다.
이 복수개의 센서는, 사용자의 심박수 변동을 측정할 수 있는 심전도 센서,사용자의 혈당을 측정할 수 있는 혈당측정 센서, 사용자의 혈압을 측정할 수 있는 혈압측정 센서를 포함한다.
심전도 센서는 심장 박동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센서로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스마트폰에 설치된 센서에 손을 소정 시간 터치함으로써 사용자의 심장 박동수를 측정하게 된다.
혈당측정 센서는 스마트폰에 별도로 설치될 수 있는 도 3의 혈당측정센서기로 측정될 수 있다. 즉, 도 3의 혈당측정센서기는 스마트폰과 커넥터로 연결되어 있고, 이 혈당측정센서기에 의해 사용자의 혈당이 측정된 뒤 측정된 혈당은 스마트폰에 전송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혈압측정센서는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구현되는 사용자의 손목에 차는 스마트밴드에 내장된 혈압측정센서를 통해 스마트폰에 전송되게 구현될 수 있다. 손목에 찬 스마트밴드가 사용자의 심박수를 기초로 혈압을 측정하고 블루투스 등의 통신매개를 통해 스마트폰에 전송되어 사용자의 혈압을 측정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심전도 센서, 혈당측정 센서, 혈압측정 센서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 실행 여부에 불문하고 지속적으로 센싱되어 중앙서버(100)에 전송됨과 동시에 저장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중앙서버(100)는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현병 대상자의 대사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병원 내에 설치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조현병을 치료하기 위한 전문기관에 설치될 수 있다.
이 중앙서버(100)와 스마트폰은 지속적으로 연동되어 스마트폰과 각종 정보를 서로 공유하게 된다.
한편, 중앙서버(100)는 별도로 마련되어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생활패턴을 분석할 수 있도록 분류점수가 기저장되어 있는 생활패턴분석부(200)를 포함한다. 또한, 이 분류점수를 기준으로 사용자 구체적으로는 조현병 대상자의 대사장애 증후군을 판단한 뒤 사용자에게 건강정보를 송신하는 대사장애 증상판정부(30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된 기간 동안 또는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하루 동안 또는 실시간으로 평균 bpm(심박수)에 따른 점수가 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한 달 동안 사용자의 하루 평균 bpm이 60 이상 90 이하인 경우 10점으로 분류점수가 산정할 수 있다.
물론, 이 분류점수 역시 사용자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이 심전도센서에 의한 센싱은 다양한 방법으로 중앙서버(100)에 수집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지만, 중앙서버(100)에서 사용자에게 하루 동안 일정한 시간에 송신하여 사용자의 심전도를 측정하라는 메시지를 송신하여 사용자가 스마트폰에 설치된 센서에 손가락을 댄 뒤 그 심전도 결과를 중앙서버(100)에 송신하여 그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서버의 생활패턴분석부(200)에는 혈당에 관련된 분류점수가 마련되어 있다.
즉,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사용자의 혈당 또는 설정된 기간 동안의 평균 사용자의 혈당 측정값이 70에서 110 사이인 경우, 5점으로 그 이하 또는 그 이상인 경우에는 30점 또는 50점으로 산정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의 공복과 식후 2시간 혈당수치에 따라 그 분류점수는 달라질 수 있음은 자명하고, 이러한 분류점수에 따라 사용자의 대상장애 정도를 판단할 수 있는 기초 정보를 취득하게 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서버의 생활패턴분석부(200)에는 혈압에 관련된 분류점수가 마련되어 있다.
물론, 이 분류점수는 예시를 든 것이며, 사용자의 개인차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일반적으로 정상인의 혈압 범위 내인 경우 5점으로 산정하였고, 고혈압으로 진행될 수록 그 점수는 상승하게 설정하였다.
한편, 분류점수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조현병 유무 또는 조현병 환자의 대사장애 정도를 판단한 뒤 사용자에게 건강정보를 송신하는 대사장애 증상판정부(300)를 포함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혈압, 혈당, 심전도 값을 근거로 그 평균값이 도시된 점수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정상, 저위험, 중위험, 고위험으로 나눈 뒤 그 결과를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하여 그 위험성을 알리고 이하 설명할 앱을 통해 조현병을 앓고 있는 대상자의 대사장애를 치료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물론, 도 7에 도시된 점수와 그 증상 정도는 일 예시를 둔 것이며, 점수 구간과 증상 판단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설정된 기간 동안 복수개의 센서에 의해 센싱된 생체정보가 중앙서버로 전송된 후 중앙서버의 생활패턴분석부(200)와 대사장애 증상판정부(300)에 의해 조현병 증상 위험 수위가 높다고 판단되는 경우 스마트폰에 설치된 생활습관 개선 앱을 통해 사용자의 대사장애를 치료하고 궁극적으로는 조현병을 치료함에 그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중앙서버(100)는, 스마트폰으로 사용자에게 설정된 기간 동안 주기적으로 설정된 횟수만큼 생활습관 개선 앱을 통해 현재 사용자의 심전도, 혈당, 체중 및 혈압을 입력하도록 유도하는 알람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생활습관 개선 앱 실행시 사용자의 심전도, 혈당, 체중 및 혈압을 입력하는 입력창이 표시되고, 이 입력창을 통한 입력된 사용자의 생체정보가 상기 중앙서버(100)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설정된 기간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1개월, 6개월 또는 1년 단위로 상기 설명한 복수개의 센서에 의해 센싱된 생체정보가 중앙서버(100)로 전송되게 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서버(100)는 스마트폰으로 사용자에게 설정된 기간 동안 주기적으로 설정된 횟수만큼 상기 앱을 통해 현재 사용자의 생체정보 입력을 유도하는 알람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알람기능은 문자메세지, 알람콜 등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 알람 기능은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지역 정신건강 서비스 안내와 함께 가까운 가족이나 친구, 정신건강전문가에게 알람이 가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달 기간 동안 사용자에게 하루에 한번씩 앱을 통해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중앙서버(100)에 전송하도록 설정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도 8에 도시된 생체정보입력창을 선택하게 되면, 사용자의 심전도, 혈당, 체중 및 혈압을 입력할 수 있는 창이 표시되고, 스마트폰에 설치된 복수개의 센서 또는 실제 사용자가 측정한 심전도, 혈당, 체중 및 혈압을 입력하게 되면, 그 정보가 중앙서버(100)에 전송된 뒤 저장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실시간으로 측정된 사용자의 생체정보 또는 설정된 기간동안 수집된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기준으로 중앙서버(100)에서 사용자가 현재 조현병이 의심 또는 대상장애 증후군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하 후술할 앱을 통해 대사장애 증후군을 치료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 9은 스마트폰에 설치된 생활습관 개선 앱 실행시, 사용자의 웰빙식을 유도하는 웰빙식 입력창과, 사용자의 금연을 유도하는 금연 입력창과, 사용자의 음주습관을 교정하는 음주교정 입력창과, 사용자의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스트레스 조절 입력창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생활습관을 개선할 수 있는 입력창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 사용자가 도 9의 웰빙식 입력창의 선택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입력창이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신장, 체중 및 사용자의 하루 식단, 사용자의 활동량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현재 생활패턴과 현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유추할 수 있는 개인정보입력창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입력창을 통해 사용자의 하루 식단, 활동량 등을 입력하게 되면 그 정보가 중앙서버에 전송되고 저장된다.
이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이상적인 칼로리와 현재 사용자의 식단 칼로리를 비교하는 표가 스마트폰의 앱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이 개인정보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정보는 상기 중앙서버로 전송된 뒤 중앙서버는, 사용자의 운동량, 식사속도, 식습관, 혈압, 혈당 및 사용자의 하루 물 마시는 습관을 입력할 수 있는 문진표를 상기 생활습관 개선 앱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즉, 도 14에는 사용자의 운동량, 도 15에는 사용자의 식사속도, 도 16에는 사용자의 식습관, 도 17에는 사용자의 혈압,혈당을, 도 18에는 사용자의 하루 물 마시는 습관을 입력할 수 있는 문진표를 상기 생활습관 개선 앱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또한, 이 생활습관 개선 앱을 통해 사용자에게 웰빙식 요리 정보와 목표 칼로리 정보 및 성별 추천 식단과 칼로리별 추천 식단 정보를 포함하는 웰빙건강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19 내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현병 대상자의 대사장애를 극복할 수 있도록 체중 감량을 목표로 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가 상기 앱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또한, 중앙서버는, 이 생활습관 개선 앱을 통해 사용자의 식단 칼로리별 대체할 수 있는 식품군과 식품군별 열량 및 식품별 교환 단위량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26 내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식단 칼로리별 대체할 수 있는 식품군과 식품군별 열량 및 식품별 교환 단위량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칼로리는 유지하되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다양한 식품군을 소개함에 그 특징이 있다.
한편, 금연 입력창 선택시,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흡연기간, 하루에 피는 담배 갯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현재 생활패턴과 현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유추할 수 있는 개인정보입력창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개인정보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정보는 상기 중앙서버(100)로 전송된다.
중앙서버(100)는, 도 29 내지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금연시 금연 시작 일과 금연 시작 시간, 사용자의 흡연습관, 사용자의 건강상태만족도, 사용자의 니코틴의존도를 입력할 수 있는 문진표를 상기 생활습관 개선 앱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중앙서버(100)는 도 35 내지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활습관 개선 앱을 통해 사용자에게 성공적인 금연을 위한 정보와 금연시 사용자에게 기대되는 신체정보를 포함하는 금연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음주습관을 교정하는 음주교정 입력창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의 성별, 직업을 포함하는 개인정보입력창이 표시된다.
상기 개인정보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정보는 상기 중앙서버(100)로 전송되는데 이 중앙서버(100)는 도 40 내지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음주 습관, 음주량, 음주 가치관을 입력할 수 있는 문진표를 상기 생활습관 개선 앱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다시 중앙서버(100)는 상기 문진표의 결과를 전송받게 되고, 생활습관 개선 앱을 통해 사용자에게 도 43 내지 도 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전음주십계, 건전음주원, 술자리약속을 표시할 수 있는 달력창, 건강한 음주시 사용자에게 기대되는 신체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도 4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스트레스 조절 입력창 선택시, 사용자의 성별, 직업을 포함하는 개인정보입력창이 표시된다.
상기 개인정보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정보는 상기 중앙서버(100)로 전송된 뒤 상기 중앙서버(100)는, 사용자의 스트레스 정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설문지가 도 49 내지 도 5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공되고, 도 5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설문지의 입력창의 입력에 따른 사용자의 스트레스 정도를 나타내는 측정결과치가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중앙서버(100)는 도 60 내지 도 6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생활습관 개선 앱을 통해 사용자에게 스트레스를 치유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앱 실행을 통해 사용자의 조현병 혹은 대사장애 증후군은 점차 치유될 수 있으며, 이 앱을 통해 사용자가 실제 병원에 내방하지 않더라도 원격으로 조현병을 앓고 있는 대상자의 대사장애 증후군을 치료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가 구현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인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과 연동하여 조현병 환자의 건강한 라이프 스타일을 유지하는 시스템에 의한다면, 사용자의 조현병 재발 유무를 신속히 진단하고,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을 통해 사용자의 생활습관을 개선시키고,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가 구현된다.
그리고, 실시간으로 스마트폰에 설치된 센서를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쉽게 다이어트할 수 있는 여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피드백 효과가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웰빙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여러 복합적인 가이드 정보를 제공받고, 궁극적으로 스스로 생활 패턴을 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를 통해 규칙적인 수면과 운동 및 건강한 사회성을 기르게 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가 구현된다.
결국, 조현병을 앓고 있는 대상자의 대사장애 정도를 감지하여 미리 예방하거나 이를 치료하여 건강한 라이프 스타일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새로운 모델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Claims (9)

  1. 사용자의 조현병 유무를 진단하고 대사장애 치료를 위한 생활습관 개선 앱이 설치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조현병 환자의 건강한 라이프 스타일을 유지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현재 생체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복수개의 센서;
    상기 복수개의 센서에 의해 센싱된 사용자의 생체정보가 송신되어 저장되는 중앙서버;
    상기 중앙서버에 별도로 마련되어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생활패턴을 분석할 수 있도록 분류점수가 기저장되어 있는 생활패턴분석부; 및
    상기 분류점수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대사장애 유무를 판단한 뒤 사용자에게 건강정보를 송신하는 대사장애 증상판정부; 를 포함하되,
    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복수개의 센서에 의해 센싱된 생체정보가 상기 중앙서버로 전송된 후 상기 중앙서버의 생활패턴분석부와 상기 대사장애 증상판정부에 의해 대사장애 증상 위험 수위가 높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생활습관 개선 앱을 통해 사용자의 대사장애 증후군을 치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복수개의 센서는, 사용자의 심박수 변동을 측정할 수 있는 심전도 센서, 사용자의 혈당을 측정할 수 있는 혈당측정 센서, 사용자의 혈압을 측정할 수 있는 혈압측정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스마트폰으로 사용자에게 설정된 기간 동안 주기적으로 설정된 횟수만큼 상기 생활습관 개선 앱을 통해 현재 사용자의 심전도, 혈당, 체중 및 혈압을 입력하도록 유도하는 알람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생활습관 개선 앱 실행시 사용자의 심전도, 혈당, 체중 및 혈압을 입력하는 입력창이 표시되고, 상기 입력창을 통한 입력된 사용자의 생체정보가 상기 중앙서버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생활습관 개선 앱 실행시, 사용자의 웰빙식을 유도하는 웰빙식 입력창과, 사용자의 금연을 유도하는 금연 입력창과, 사용자의 음주습관을 교정하는 음주교정 입력창과, 사용자의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스트레스 조절 입력창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생활습관을 개선할 수 있는 입력창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웰빙식 입력창의 선택시,
    사용자의 신장, 체중 및 사용자의 하루 식단, 사용자의 활동량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현재 생활패턴과 현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유추할 수 있는 개인정보입력창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개인정보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정보는 상기 중앙서버로 전송된 뒤 상기 중앙서버는, 사용자의 운동량, 식사속도, 식습관, 혈압, 혈당 및 사용자의 하루 물 마시는 습관을 입력할 수 있는 문진표를 상기 생활습관 개선 앱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생활습관 개선 앱을 통해 사용자에게 웰빙식 요리 정보와 목표 칼로리 정보 및 성별 추천 식단과 칼로리별 추천 식단 정보를 포함하는 웰빙건강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사용자의 하루 물 마시는 습관에 대해 식사 전후 물을 마시는지 여부와 하루 중에 물을 마시는 횟수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이 생성되며, 입력된 사용자의 하루식단을 통해 섭취한 칼로리가 계산되고, 사용자의 활동량에 대해 판단할 수 있는 입력창 및 사용자의 실제 활동량에 대해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이 생성되고, 사용자의 섭취한 칼로리와 비교할 수 있는 기준칼로리가 표시되며, 사용자의 식사속도 및 식습관에 대해 사용자의 주관적인 판단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도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목표 칼로리 정보에 따른 사용자의 맞춤형 권장칼로리가 제공되고, 성별 추천 식단에서는 아침,점심,저녁 및 간식으로 구별되어 각각의 식사에서 추천되는 칼로리가 제공되며, 칼로리별 추천 식단 정보에서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칼로리별 식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생활습관 개선 앱을 통해 사용자의 식단 칼로리별 대체할 수 있는 식품군과 식품군별 열량 및 식품별 교환 단위량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사용자의 식단 칼로리별 대체할 수 있는 식품군이 곡류군, 어육류권 저지방, 어육류군 중지방, 채소군, 지방군, 우유군 및 과일군에 대해 각각 단위별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금연 입력창 선택시, 사용자의 흡연기간, 하루에 피는 담배 갯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현재 생활패턴과 현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유추할 수 있는 개인정보입력창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개인정보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정보는 상기 중앙서버로 전송된 뒤 상기 중앙서버는, 사용자의 금연시 금연 시작 일과 금연 시작 시간, 사용자의 흡연습관, 사용자의 건강상태만족도, 사용자의 니코틴의존도를 입력할 수 있는 문진표를 상기 생활습관 개선 앱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생활습관 개선 앱을 통해 사용자에게 성공적인 금연을 위한 정보와 금연시 사용자에게 기대되는 신체정보를 포함하는 금연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사용자의 음주습관을 교정하는 음주교정 입력창 선택시, 사용자의 성별, 직업을 포함하는 개인정보입력창이 표시되고, 상기 개인정보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정보는 상기 중앙서버로 전송된 뒤 상기 중앙서버는, 사용자의 음주 습관, 음주량, 음주 가치관을 입력할 수 있는 문진표를 상기 생활습관 개선 앱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생활습관 개선 앱을 통해 사용자에게 건전음주십계, 건전음주원, 술자리약속을 표시할 수 있는 달력창, 건강한 음주시 사용자에게 기대되는 신체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사용자의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스트레스 조절 입력창 선택시,
    사용자의 성별, 직업을 포함하는 개인정보입력창이 표시되고,
    상기 개인정보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정보는 상기 중앙서버로 전송된 뒤 상기 중앙서버는, 사용자의 스트레스 정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설문지, 상기 복수개의 설문지의 입력창의 입력에 따른 사용자의 스트레스 정도를 나타내는 측정결과치가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생활습관 개선 앱을 통해 사용자에게 스트레스를 치유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과 연동하여 조현병 환자의 건강한 라이프 스타일을 유지하는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70121568A 2017-09-21 2017-09-21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과 연동하여 조현병 환자의 건강한 라이프 스타일을 유지하는 시스템 KR101989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568A KR101989684B1 (ko) 2017-09-21 2017-09-21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과 연동하여 조현병 환자의 건강한 라이프 스타일을 유지하는 시스템
PCT/KR2018/007155 WO2019059500A1 (ko) 2017-09-21 2018-06-25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과 연동하여 조현병 환자의 건강한 라이프 스타일을 유지하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568A KR101989684B1 (ko) 2017-09-21 2017-09-21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과 연동하여 조현병 환자의 건강한 라이프 스타일을 유지하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145A KR20190033145A (ko) 2019-03-29
KR101989684B1 true KR101989684B1 (ko) 2019-06-14

Family

ID=65811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568A KR101989684B1 (ko) 2017-09-21 2017-09-21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과 연동하여 조현병 환자의 건강한 라이프 스타일을 유지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89684B1 (ko)
WO (1) WO2019059500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9697A (ja) * 2000-05-23 2002-02-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健康管理支援システ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101501280B1 (ko) * 2012-06-18 2015-03-1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당뇨병 관련 의료정보 송수신 장치
KR101534328B1 (ko) * 2012-06-22 2015-07-07 주식회사 케이티 정신건강 관리 시스템을 위한 정신건강 측정 장치 및 정신건강 관리 장치
KR101414781B1 (ko) 2012-08-03 2014-07-04 (주)헬스웨이브 모바일 앱을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671778B1 (ko) * 2014-08-06 2016-11-02 주식회사 브로멜리아드 사물인터넷 기반의 헬스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139802A (ko) * 2015-05-28 2016-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145A (ko) 2019-03-29
WO2019059500A1 (ko) 2019-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11054B2 (ja) 喫煙行為の定量化および予測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8979730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behavioural therapy for insomnia
JP5273893B2 (ja) 健康及び壮健状態をモニターするシステム
US20120059664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personal health and wellness
US20140236025A1 (en) Personal Health Monitoring System
KR102400740B1 (ko) 사용자의 건강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의 분석 방법
US2011020190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dicting Patient Health Problems and Providing Timely Intervention
WO2008001366A2 (en) Lifestyle and eating advisor based on physiological and biological rhythm monitoring
JP2007505412A (ja) 対話式及び個人専用の計画、介入及び報告能力を含む体重及び他の生理学的状態のモニター及び管理システム
US20090170056A1 (en) Method, medium,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ducational material in remote monitoring system
US20180110462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illness- and/or therapy-related fatigue of a person
JP2016131604A (ja) 生体情報測定システム、生体情報測定装置および生体情報測定方法
CN110520039B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及其程序
CN111820879A (zh) 一种适用于慢性疾病患者的健康评价管理方法
JP2014039586A (ja) 睡眠改善支援装置
JP2018175488A (ja) 健康支援装置、健康支援システム、健康支援方法及び健康支援装置のプログラム
JP2017010478A (ja) 生活習慣に基づく疾病リスクの表示方法、及び表示システム
KR101989684B1 (ko)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과 연동하여 조현병 환자의 건강한 라이프 스타일을 유지하는 시스템
KR102418341B1 (ko) 연속혈당 데이터를 이용한 당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JP6719788B1 (ja) 生活習慣病予防改善支援システム
JP7227613B2 (ja) 生活習慣改善のための介入システム
WO2023002972A1 (ja) 食生活指導システム、端末装置及び制御方法
US2024008164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isting in smoking cessation
Castiglioni et al. Assessing sodium sensitivity in clinical practice: new insights from ambulatory blood pressure monitoring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