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1778B1 - 사물인터넷 기반의 헬스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사물인터넷 기반의 헬스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1778B1
KR101671778B1 KR1020140101073A KR20140101073A KR101671778B1 KR 101671778 B1 KR101671778 B1 KR 101671778B1 KR 1020140101073 A KR1020140101073 A KR 1020140101073A KR 20140101073 A KR20140101073 A KR 20140101073A KR 101671778 B1 KR101671778 B1 KR 101671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lthcare
food
information
mat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1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7483A (ko
Inventor
김근홍
전상은
김동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브로멜리아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브로멜리아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브로멜리아드
Priority to KR1020140101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1778B1/ko
Publication of KR20160017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7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1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1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헬스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물인터넷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식사량의 무게를 포함한 식이섭취 정보를 계측하여 헬스케어를 수행함으로써, 음식물의 섭취에 대한 실시간 자가 수치화를 실현하고, 또한 다양한 식품의 영양 정보 및 칼로리 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실시간으로 언제 어디서나 헬스케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물인터넷 기반의 헬스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A SYSTEM FOR HEALTH CARE BASED ON IoT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헬스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물인터넷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식사량의 무게를 측정하여 칼로리나 식이섭취를 포함한 헬스케어를 수행함으로써, 음식물의 섭취에 대한 실시간 자가 수치화를 실현하고, 또한 다양한 식품의 영양 정보 및 칼로리 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언제 어디서나 헬스케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기술을 이용한 서비스가 확대되고 있음에 따라, 사물인터넷을 통한 서비스 구현을 좀 더 편리하게 수행하고 관리 할 수 있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즉, 사물인터넷을 통한 정보전송, 메시지 처리, 통신 프로토콜 등에 대한 기술의 중요성 부각되고 있으며, 사물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조합하고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새로운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다.
일례로 사물인터넷에 관한 기술로 기기상태를 전송하는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열악한 환경하에서 대용량 메시징 통신 프로토콜에 관한 MQTT(Message Queuing Telemetry Transport), 인스턴트 메신저를 위한 XMPP(eXtensible Messaging and Presence Protocol), 인터넷에서 제한된 성능을 갖는 디바이스들의 통신을 실현하기 위한 CoAP(Constrained Environments Application Protocol) 기술 등이 있다. REST는 사물인터넷을 구성하는 기기들의 상태를 전송한다는 뜻을 가지고 있는데, 인터넷의 정보를 조직하고 전송하는 규칙의 조합을 의미한다. REST는 리소스라는 이름으로 인터넷상의 문서, 이미지, 서비스와 같은 정보를 지칭하고 클라이언트 서버의 네트워크 환경에서 리소스의 CRUD(Create, Read, Update, Delete) 처리를 지원하는 기술이다. MQTT는 제한된 컴퓨팅 성능과 빈약한 네트워크 연결 환경에서의 동작을 고려하여 설계된 대용량 메시지 전달 프로토콜로서 IBM에 의해 개발되고 OASIS(Organiz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tructured Information Standards)에 의해 사물인터넷 표준 프로토콜로서 선정된 기술이다. XMPP은 인스턴트 메신저를 위한 IETF에서 제정한 국제 표준 프로토콜로서 다수의 클라이언트 간에 Publish/Subscribe 구조를 바탕으로 확장성 있는 XML 기반 실시간 메시지 교환이 가능한 프로토콜이다. 현재 Google, MSN, Yahoo 메신저에서 사용되고 있다. CoAP는 인터넷에서 센서 노드와 같이 제한된 컴퓨팅 성능을 갖는 디바이스들의 통신을 실현하기 위해 IETF의 CoRE(Constrained RESTful Environments) 워킹 그룹에서 만들고 있는 응용계층 표준 프로토콜이다. 웹 서비스를 구현함에 있어서 제약이 많은 환경에서 TCP, HTTP와 같은 무거운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없어 웹 서비스를 할 수 있는 가벼운 프로토콜을 목적으로 설계된 기술이다.
한편, U-헬스 케어 시장의 확대에 따른 자가 수치화(quantified self) 시장의 급속한 성장이 진행되고 있으나, 음식물의 섭취에 대한 실시간 자가 수치화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최근 개인 생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헬스케어에 이용하는 앱이 증가하고 있으며, 자가 수치화 트렌드는 자가 헬스케어를 쉽게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면서, 동시에 시장 활성화를 촉진하고 있다. 이러한 사물인터넷을 위한 기술의 개발과 별도로 다양한 분야에서 종래의 인터넷 통신 기술과 센서 기술을 이용하여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구현한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으나, 대부분 기술들이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사물인터넷 기반 기술을 통한 음식 섭취량 측정 및 휴대가 간편한 장치의 필요성이 절실한 실정이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하여 제시된 종래기술로써,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4-0090981호(2014.07.18.)는 웰니스 테스크의 생성, 디스플레이 및 추적에 관한 것으로, 특정한 증상에 대한 의약품을 복용하는 것으로부터 웰니스 목표, 예컨대 체중 감량, 근육량 증가, 건강한 생활습관 등까지 특정 건강 또는 웰니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사용자가 기록된 패턴을 검사하는 것을 돕는 그래프 및 차트를 생성하고 제공할 수도 있으며, 기록된 패턴에 기초하여 행동 변경을 요구하거나, 사용자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따라할 맞춤 프로그램을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선행기술문헌으로 한국등록특허 제1167930호(2012.07.17.)는 스마트 레인지 및 이의 조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기본조리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인원수에 따른 신규조리정보를 자동 생성하고 이에 따라 스마트 레인지가 해당 음식을 자동 조리함으로써 인원수 변경에 따른 재료의 준비 및 조리시간, 조리방법을 자동으로 제어 및 제공하도록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한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9-0105897호(2009.10.07)는 균형잡힌 적정 식사량을 유도하는 식탁과 식판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음식물이 종류별로 균형있게 놓이도록 만들어진 식탁 또는 식판에 음식물의 무게를 감지하는 센서를 설치하고, 음식물 섭취량에 따라 식탁 또는 식판에 놓인 음식물의 무게가 감소하는 것을 무게감지 센서가 감지하여, 즉 식탁 또는 식판의 음식물 무게 감소량이 사용자가 먹은 음식량이므로, 이를 통해 사용자가 적정량의 음식을 먹을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행기술문헌에서 제시된 기술들은 사용자의 건강을 관리, 스마트한 요리를 제공하거나 음식물의 무게를 측정하여 적정량의 음식을 먹도록 유도하는 것일 뿐, 본 발명에서 추구하는 음식물 섭취에 대한 실시간 자가 수치화를 위한 사물인터넷 기기를 바탕으로 헬스케어를 수행하도록 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제시되거나 공개된 바가 없다.
또한 종래의 사물인터넷을 통한 제품으로는, 강아지에 대해서 체온을 측정할 수 있는 온도계를 장착하고 특정 온도가 넘으면 주인에게 알려주는 것이 있으며, 외출이나 여행이 잦아 고양이의 끼니를 잘 챙겨주지 못하는 사람들을 위해 인터넷에 연결된 고양이 급식기를 통해서 급식이 가능하고 웹캠을 통해서 감시를 수행하는 것이 있다. 또한 칫솔에 인터넷 접속 기능이 있어, 인터넷으로 치위생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이 있으며, 식물을 인터넷에 연결하여 이산화탄소의 배출을 줄이고자 하는 제품도 출시된 바 있다.
이러한 제품들은 대부분 인터넷을 통한 정보의 송수신을 통해서 식물이나 동물을 대상으로 편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들이다. 최근 들어 이러한 기술을 사람에게 적용하여 고령화 시대에 대처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기술들이 실시간 자가 수치화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지 않고 있어, 그 실용성이 떨어지는 것이 문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음식물 섭취에 대한 실시간 자가 수치화를 실현할 수 있는 헬스케어 매트를 제공하여, 이를 통해서 수집된 음식물 섭취에 대한 정보를 자동으로 수집 관리하는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식이 조절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과 시스템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사용자의 식사량에 대해 실시간으로 식사량의 무게를 측정하고, 측정된 데이터를 저전력의 근거리통신 수단을 통해 인터넷을 경유하여 단말이나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그 변화량을 산출할 수 있는 헬스케어 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측정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분석, 기록, 알림 서비스를 수행하고, 칼로리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가져온 정보를 바탕으로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헬스케어 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식사 재료의 칼로리 정보와 실측되는 각 사용자의 식사량 정보를 토대로 각 사용자의 식사량에 따른 칼로리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헬스케어 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헬스케어 시스템은, 식사량의 무게를 포함한 식이섭취 정보를 계측하여, 상기 계측된 정보를 근거리 통신수단을 통해서 인터넷으로 송신하고, 인터넷으로부터 송신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측정 조건을 설정하는 헬스케어 매트; 상기 헬스케어 매트와 정보를 송수신하여 식단을 설정하고, 식사량에 따른 알람을 발생하며, 칼로리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헬스케어 앱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 및 상기 헬스케어 매트, 헬스케어 앱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서 각 사용자의 다이어트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또한 이들에 각 음식물에 대한 칼로리 정보를 제공하는 헬스케어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계측된 식이섭취 정보를 자가 수치화하고, 해당 식품의 영양 정보 및 칼로리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헬스케어를 실시간으로 언제 어디서나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헬스케어 시스템에서, 상기 헬스케어 매트의 기능은, 자체에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여 설정되거나, 외부에서 구동된 헬스케어 앱을 통해서 설정되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서 설정되며, 상기 헬스케어 매트의 통신수단은, 블루투스, RFID, 지그비, 와이파이, 이더넷,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통신 수단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해서 비콘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상호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시스템에서, 상기 헬스케어 앱은, 헬스케어 매트에 직접 설치되거나, 스마트폰, 노트북 PC, 태블릿 PC, 범용 PC, 또는 노트 패드를 포함한 유무선 단말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시스템에서, 상기 헬스케어 앱은, 상기 헬스케어 매트로부터 음식물 섭취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헬스케어 서버로부터 음식물에 대한 칼로리 정보를 수집하여, 이들을 상호 결합함으로써, 사용자의 음식물 섭취에 대한 무게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의 음식물 섭취 속도와 섭취한 음식물의 칼로리를 산출하여 표시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시스템에서, 상기 헬스케어 서버는, 상기 헬스케어 매트나 헬스케어 앱을 통해서 수집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또한 외부로부터 음식물에 대한 칼로리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상기 헬스케어 매트나 헬스케어 앱에서 요청할 경우, 해당 음식물의 칼로리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헬스케어 방법은, 헬스케어 매트나 헬스케어 앱을 통해서 식단을 설정하는 단계; 헬스케어 매트를 통해서 섭취한 식사량의 무게를 포함한 식이섭취 정보를 계측하는 단계; 상기 계측한 정보가 설정치 이상이면 헬스케어 앱을 통해서 알람을 송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에 따른 칼로리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소모한 운동량에 따른 칼로리 소모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계측한 정보를 자가 수치화하고, 해당 식품의 영양 정보 및 칼로리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헬스케어를 실시간으로 언제 어디서나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방법에서, 상기 헬스케어 매트는, 음식물 섭취 목표치 설정 및 통신 연결 단계; 음식물 무게 측정을 통한 기준값(초기값) 설정 단계; 음식물 무게의 변화 측정을 통한 음식물 섭취량 측정 단계; 음식물 섭취량의 목표치 도달여부 체크 및 식사 속도 추출 단계; 및 최종 음식물 무게를 측정하여 최종 음식물 섭취량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음식물 섭취량의 측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방법에서, 상기 헬스케어 앱은, 헬스케어 앱 활성화 및 식단을 선택하는 단계; 음식물 섭취량을 측정하는 단계; 음식물 섭취량의 목표치 섭취 칼로리 체크 및 음식물 섭취 속도 산출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최종 음식물 섭취에 따른 칼로리와 연관된 정보를 표시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헬스케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방법은, 헬스케어 서버를 통해 상기 섭취한 음식물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SNS 서버를 통해 상기 정보를 공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 기반의 헬스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물인터넷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식사량의 무게를 포함한 식이섭취 정보를 계측하여 헬스케어를 수행함으로써, 음식물의 식이섭취에 대한 실시간 자가 수치화를 실현하고, 또한 다양한 식품의 영양 정보 및 칼로리 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실시간으로 언제 어디서나 헬스케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으로 식사량의 무게를 포함한 식이섭취 정보의 계측을 통한 헬스케어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자신의 생체 데이터를 기반으로 대사량과 섭취 열량을 산출하여 목표치를 보여주는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섭취에 대한 실시간 자가 수치화에 대한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매트, 헬스케어 앱 및 헬스케어 서버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매트, 헬스케어 앱 및 헬스케어 서버의 처리흐름을 나타낸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앱의 주요 기능을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헬스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으로 식사량의 무게를 포함한 식이섭취 정보의 계측을 통한 헬스케어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헬스케어 매트(100)를 이용하여 식사량의 무게를 포함한 식이섭취 정보를 계측하여 스마트폰(200)으로 전송하게 되면, 스마트폰(200)은 해당 측정으로 인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특정 음식물의 칼로리 정보를 포함한 헬스케어에 필요한 정보를 헬스케어 서버(300)로부터 제공받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헬스케어 매트(100)는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에 대해서 센서(예: 무게센서)(110)를 통해 필요한 음식물정보와 생체정보를 측정하고, 해당 측정치에 대한 정보를 MCU(120)에서 수집하고 이를 BLE 전송(130)을 통해 블루투스 비콘 신호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게 된다.
센서(110)는 다양한 음식물에 대해서 무게를 측정할 수 있도록 헬스케어 매트 상의 특정 위치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간단하게는 하나의 음식물에 대해서 측정할 수도 있지만,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게센서를 설치하여 해당 무게에 대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무게정보 취득을 위한 센서의 설치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일일이 그 구성을 한정하지 않지만, 다양한 형태와 위치에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설치할 수 있고, 또한 무게를 측정하는 센서의 종류에 있어서도 압력계 등 과 같이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수단이 되는 센서이면 족하다.
상기 센서(110)에는 식사량의 무게를 측정하는 센서 이외에도 혈압, 혈당수치, 체중, 맥박 등을 측정하는 측정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측정기는 헬스케어 매트에 내장되어 있거나 외장형 측정기로부터 블루투스, USB, NFC, RFID, 또는 지그비와 같은 근거리 통신 수단을 통해서 입력받을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 매트는 PHR(Personal Health Record)과의 인터페이스를 마련하여, 개인의 의료기록을 헬스케어 앱이나 헬스케어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의료기록을 참고한 헬스케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개인 의료정보의 송수신을 통해서 의료 기관과 접속이 가능하게 되고,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 매트, 헬스케어 앱, 또는 헬스케어 서버는 환자와 의사간의 원격진료를 위한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헬스케어 매트를 통해서 개인의 의료정보와 건강상태를 체크하여 의료 기관에 전송할 수 있으며, 또한 헬스케어 앱을 통해서 환자의 얼굴이나 치료받을 부분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여 송신하면, 의사는 이를 바탕으로 진찰하고, 처방할 수 있다. 또한 의료 기관에서 수신한 MRI, CT 등의 영상을 환자가 의료 기관에 전송하거나, 의료 기관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을 열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자와 의사가 마치 한 자리에 마주 앉아 진료를 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MCU(120)는 무게센서에서 측정된 무게정보를 수집하는 역할을 수행하기도 하지만, 음식물의 위치와 종류에 대한 설정을 사용자가 간단한 디스플레이 화면(140)을 통해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음식물의 종류와 해당 음식물이 놓일 장소를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서 설정할 수 있다. 아울러 MCU(120)는 식사량의 무게정보를 수집하는 것 이외에도 혈압, 혈당수치, 체중, 맥박 등에 대한 측정값을 수집하는 역할도 수행하며, PHR을 통한 의료기록을 수집하여 BLE 통신을 통해 헬스케어 앱이나 헬스케어 서버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물론 헬스케어 매트의 음식물 무게측정을 위한 설정은 헬스케어 매트의 설정치는 스마트폰을 통해서 변경하거나 새로이 설정할 수도 있다. 헬스케어 매트에서 설정치를 설정하거나 변경할 수도 있고, 스마트폰에서 헬스케어 매트의 설정치를 설정하거나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설정을 위한 수단은 헬스케어 매트에 구비되거나 스마트폰을 통한 설정이 가능하도록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설정은 간단한 설정은 헬스케어 매트에 구비하도록 하고, 좀 더 복잡한 설정은 스마트폰에서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설정을 위한 수단은 헬스케어 매트나 스마트폰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들의 설정을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설정을 위한 수단이 필요치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상기 설정이 필요한 정보에 대해서도 헬스케어 매트상의 음식물의 위치나 종류를 포함해서, 헬스케어 매트를 사용하는데 필요한 사용자 정보(ID, 이름, 나이, 성별, 몸무게, 등), 통신을 위한 정보(접속 포트, 통신 수단, 패스워드, 등)를 포함하여 다양한 설정정보가 필요할 수 있다.
BLE 전송(130)은 비콘(beacon)을 송수신하여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헬스케어 매트와 스마트폰 사이의 통신을 위한 수단이다. 헬스케어 매트는 음식물의 무게 정보를 포함한 식이섭취 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하여 스마트폰에서 음식물의 섭취 속도와 섭취량을 산출하도록 하고, 스마트폰은 헬스케어 매트를 사용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설정하거나, 특정 정보를 요청하는 비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헬스케어 매트는 비록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소지하고 있지 않더라도,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를 갖춘 게이트웨이를 통해서 인터넷에 접속하여 헬스케어 서버(300)와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스마트폰이 구비되지 않더라도, 예컨대 식당에 미리 설치된 헬스케어 매트를 구비한 식탁을 통해서 헬스케어 서버(300)과 접속하여(예: 로그인) 자신이 필요한 음식물 정보를 포함한 식이섭취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고, 실시간으로 자신의 칼로리 정보를 헬스케어 매트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여 실시간으로 자신의 식사량과 섭취한 음식물의 칼로리 량을 체크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을 위한 수단은 근거리 통신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중거리나 장거리 유무선 통신 수단을 포괄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통신수단은 블루투스, RFID, 지그비, 와이파이, 4G, 이더넷 등 통신 수단의 종류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헬스케어 매트(100)는 그 설치되는 장소와 인프라에 따라서, MCU(120)에는 별도의 OS가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앱을 구동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서 보다 다양한 다이어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스마트폰(200)에는 헬스케어 서버(300)에서 다운로드받은 헬스케어 앱이 설치되고, 이를 통해서 주변의 헬스케어 매트를 스캔하여 자신이 사용하는 스마트 매트와 연결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실시간으로 스마트 매트에서 전송되어 오는 정보를 수집하여 헬스케어 서버(300)로 제공받은 음식물의 칼로리 정보와 조합하여 사용자의 칼로리 관리를 가능하도록 한다. 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다양한 식품의 영양정보 및 칼로리 정보를 서버를 통해서 제공받아 헬스케어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은 별도의 서버와 접속할 필요 없이, 바로 헬스케어 앱을 통해서 자신의 헬스케어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식품의 영양정보 및 칼로리 정보를 스마트폰에 미리 저장하고 있다가 이를 이용하여 헬스케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그러나 헬스케어 서버(300)와 연결하여 SNS와 연계된 다양한 형태의 식이조절 빅 데이터 시스템을 통해 보다 효율적으로 식단을 관리하고, 헬스케어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SNS와 연계하면 기본적인 영양정보나 칼로리 정보 이외에 다른 사용자들로부터 SNS를 통해서 얻을 수 있는 다양한 경험 정보를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기본정보에는 포함되지 않는 음식물 정보와 칼로리 정보를 얻을 수 있고, 또한 특정 음식물에 대한 부가적인 부작용이나 연관되는 음식물과의 작용 관계를 통해 각 개인에게 미칠 수 있는 영향을 고려하여 식이조절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정보는 한 시점에서 모든 정보가 완성되는 것이 아니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연속적으로 새로운 정보로 진화해 가므로, 사용자는 항상 새로운 음식물과 칼로리 정보를 획득하여 자신의 헬스케어에 활용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헬스케어 서버(300)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음식물 정보와 해당 음식물의 칼로리 정보를 기본적으로 제공하지만, 이외에도 음식물들 간의 상호 작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연령과 성별 및 지병의 유무에 따라 해당 음식물이 미칠 수 있는 전문가의 임상자료도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다이어트를 위한 특화된 시스템을 서버에 구현한 것이다. 그 밖에도, 헬스케어 서버는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정보를 타 SNS 서버(400)와 접속하여 상호 교류할 수 있다.
또한, 헬스케어 매트는 음식물 무게센서의 위치에 따른 음식물의 종류를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음식물의 종류나 위치에 따라 식단을 꾸밀 수 있고, 이러한 사항은 복잡하므로 음식물 위치를 자동으로 기억하거나 추적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맞춤형 식단을 제시하고 그 섭취결과를 기록함으로써, 음식물 섭취에 대한 자가 수치화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근거리통신 수단을 사용하여 로컬 센서노드와 통신함으로써, 원격지에서 보다 편리하게 헬스케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헬스케어 매트위에 올려놓은 식사량의 무게를 측정해서 실시간으로 스마트폰으로 전송해 주는 게 가능하다. 예를 들어 헬스케어 매트에서는 음식물의 무게 변화를 1초 단위로 측정하고 측정된 누적 데이터를 5초에 한 번씩 스마트폰에서 요청하면 보내줄 수도 있다. 그리고 스마트폰에 누적된 데이터는 식사가 끝나면 헬스케어 서버로 정보가 업로드되어 원격지에서 모니터링 가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자신의 생체 데이터를 기반으로 대사량과 섭취 열량을 산출하여 목표치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자신의 생체 데이터를 수집하여 스마트폰에 기록하고,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음식물을 섭취하였을 경우 칼로리 맵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를 기반으로 음식물 섭취량을 측정하여 1일 기초대사량과 평균 섭취 열량(칼로리)을 산출하여 건강한 식이요법을 위한 섭취 열량의 목표치를 보여준다. 섭취하는 음식의 종류를 선택하면 데이터베이스를 통해서 해당 음식물의 그램(g)당 칼로리에 대한 데이터를 불러올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실시간으로 특정 사용자의 칼로리 맵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칼로리 목표치를 세팅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칼로리 권장 목표치에 도달하기 전 사용자에게 알람을 주어 섭취량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식사량은 식사를 함에 따라 음식물의 무게가 감소하는 량을 측정하여 이에 따른 섭취 속도를 알려준다. 또한 자이로센서, 만보기, 진동센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서 사용자의 활동량을 측정하고, 사용자가 일이나 운동을 통해 소모한 칼로리를 안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섭취에 대한 실시간 자가 수치화에 대한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음식물 섭취에 대한 실시간 자가 수치화를 사물인터넷 기기를 통해서 수행하고자 한다. 종래의 피트니스 밴드 제품의 자가 수치화 기능 중 음식물 섭취에 대한 정보를 자가 수치화하는 기능은 수기로 정보를 입력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피트니스나 헬스 케어 분야에서 탄수화물 섭취 관리는 매우 중요하나 자가 수치화가 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헬스케어 매트를 이용하여 실시간 자가 수치화를 수행하고자 하며, 그 절차로서 먼저 사용자는 스마트폰의 헬스케어 앱을 통해서 식단을 설정한다(S110). 다음으로 다이어트 메트를 통해서 사용자의 식사량을 측정한다(S120). 헬스케어 매트의 플레이트에 올라가는 다양한 음식물에 대해 실시간으로 칼로리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측정한 식사량이 설정치 이상이면 사용자에게 알람을 송출한다(S130). 또한 무게 보정 기능을 통해 정확한 데이터의 측정이 가능한데, 이를 위해서 식사 방법이나 환경에 따른 무게의 변동을 보정하는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알고리즘은 식사 속도, 음식물의 종류, 식사 중에 새로운 음식물이 추가되는 경우를 고려하여 그때 마다 음식물과 칼로리의 매칭을 수행하여 칼로리를 산출해 내는 것을 말한다. 또한 헬스케어 매트는 접이형으로 구성하도록 하여 간편한 휴대가 가능하고, 이동성을 확보할 수 있어 언제 어디서든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아울러 원격 모니터링을 통해 내가 섭취하는 식사량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식이 조절 프로그램에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간으로 섭취한 음식물에 따른 칼로리를 확인하고 소모한 운동량에 따른 칼로리의 소모를 확인한다(S140). 이렇게 산출되거나 수집된 칼로리 정보는 헬스케어 서버를 통해 상기 수집 혹은 산출된 정보(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헬스케어 매니저에 상기 정보를 제공한다(S150). 그리고 상기 데이터는 소셜 기능을 이용하여 SNS 서버를 통해 공유할 수 있다(S160).
지금까지 수행한 절차에 따라 헬스케어 매트를 통해 수집된 정보는 스마트폰의 헬스케어 앱을 통하거나 혹은 직접적으로 헬스케어 서버를 통해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사물인터넷 기술을 사용하여 음식물 섭취에 따른 칼로리 정보를 실시간으로 자가 수치화할 수 있는 것이며, 자가 수치화된 정보는 사용자 개인의 헬스 케어, 다이어트, 혹은 피트니스 등의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하였듯이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헬스케어 시스템은 헬스케어 매트(100), 헬스케어 앱(200), 및 헬스케어 서버(300)으로 구성되며, 헬스케어 매트만 구비하여도 일정 부분의 다이어트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나, 헬스케어 앱과 헬스케어 서버를 구비할수록 더욱 더 정교하고 세련된 헬스케어 기능을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매트, 헬스케어 앱 및 헬스케어 서버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먼저 헬스케어 매트는 이전에서 설명하였듯이 센서모듈, 통신 인터페이스, 무게변화 측정부, PHR 인터페이스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들의 제어를 총괄적으로 수행할 펌웨어가 더 포합될 수 있다. 펌웨어는 일종의 제어기능을 담당하는 것으로 헬스케어 매트의 전체 하드웨어를 소프트웨어와 결합하여 원활하게 동작하도록 프로그램된 것이므로, 사용자가 각 헬스케어 매트의 펌웨어를 갱신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센서모듈은 식사량의 무게정보를 포함한 식이섭취 정보를 수집하는 전자저울 이외에도 혈압, 혈당수치, 체중, 맥박 등을 각각 측정하는 측정기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헬스케어 앱(200)은 통신 기능을 통해서 송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앱)에서 이 데이터를 받아서 원하는 칼로리 관리 및 헬스케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WiFi(와이파이)나 4G 등의 통신 수단은 단말인 스마트폰의 네트워크 연결 조건에 따라 가장 효율적인 데이터 송수신 조건을 선택하여, 예컨대 헬스케어 매트와는 블루투스를 통해서 접속하고, 헬스케어 서버와는 와이파이나 4G와 같은 통신 수단으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헬스케어 앱은 헬스케어 매트에서 측정된 음식물의 무게에 대한 변화를 헬스케어 서버로부터 추출한 음식물에 따른 칼로리 정보와 매칭하여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물의 양을 칼로리로 환산하거나 사용자가 설정한 칼로리에 대한 설정치와 비교하여 알람을 발생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헬스케어 서버(300)는 헬스케어 앱을 통해서 혹은 다어어트 매트를 통해서 수집된 각 사용자의 음식물 섭취 정보와 섭취한 음식물 정보를 토대로 각 사용자마다 몸무게, 섭취한 음식물의 칼로리 정보를 포함한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한다.
각 사용자는 고유의 식별정보를를 가지며, 헬스케어 매트의 경우에도 고유의 식별정보를 가진다. 또한 상기 헬스케어 서버는 소셜 서비스를 통해서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정보를 다른 SNS 서버와 공유하기도 하지만, 외부 SNS 서버로부터 음식물 정보를 수집하기도 한다. 이렇게 수집된 정보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빅데이터로 활용되는 로우 데이터가 되고, 이를 가공하여 사용자에게 원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매트, 헬스케어 앱 및 헬스케어 서버의 처리흐름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헬스케어 매트에서는 통신연결이나 음식물의 무게를 측정하거나 측정하기 위한 위치와 같이 필요한 정보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S210). 다음으로 상기 설정치에 따라 최초 무게를 먼저 측정하게 된다(S220). 이렇게 하면 최초 무게가 측정되고, 이를 기준값 설정 데이터라고 보면 된다. 다음으로 무게를 연속적으로 측정하게 되고, 이를 통해서 목표치 도달 여부를 검토하고 이로부터 식사 속도에 대해서도 그 데이터를 산출하게 된다(S230). 이와 같이 음식물 무게 변화 및 음식물의 변화 속도를 통해 최종적으로 근거리 통신수단을 통해서 전송할 데이터를 도출하여 스마트 앱이나 스마트 서버로 전송하게 된다.
스마트 앱에서는 먼저 앱을 활성화하고 사용자가 원하거나 시스템에서 추천한 식단을 선택하게 된다(S310). 선택된 식단에 따라 식사량이 측정된다(S320). 다음으로 설정된 목표 칼로리와 섭취한 칼로리를 실시간으로 체크하고 음식물의 섭취 속도를 산출하여 화면에 표시해준다(S330). 또한 단말의 화면에는 스마트 앱을 통해서 산??나 최종 결과 및 연관 데이터를 표시한다(S340).
헬스케어 서버(300)의 경우, 먼저 헬스케어 앱이나 헬스케어 매트에 접속한다(S410). 접속한 후에는 상기 헬스케어 매트나 헬스케어 앱이 접속하기 시작했다는 정보를 로그에 남긴다. 즉 로그인 정보를 기록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식사가 시작되었다는 정보를 기록하게 된다(S420). 다음으로 식사 종료 시 식사과정의 데이터를 취합하여 기록하게 된다(S430). 즉, 식사 과정에서 어떤 음식물의 무게가 얼마나 빨리 줄어드는지 모든 정보를 취합하여 기록한다. 다음으로 헬스케어 서버는 헬스나 헬스케어에 대한 관리정보를 제공하고 또한 SNS를 통해서 공유한다(S440).
본 발명에서는 헬스케어 매트와 관련하여 무게를 특정할 수 있는 그릇 받침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그릇 받침은 무게 센서와 상기 무게센서에서 취득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저전력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한 다양한 통신 모듈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헬스케어 매트는 그 케이스를 실리콘 재질의 받침으로 x 자형의 접이식으로 구성하여 휴대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 매트는 다른 건강 계측용 기기와 호환이 되도록 블루투스로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면, 종래의 건강관련 기기 회사(예: Fitbit)와 제휴를 통해 해당 회사의 앱에서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 매트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무게 데이터의 보정을 위해서 그릇을 누르거나 들었다 내려놓는다든지 아니면 그릇에 새로운 음식물을 추가한다든지 여러 가능성이 존재하므로, 이를 위한 규칙적인 패턴을 추출하여 해당 행위에 대한 인식을 수행한다. 즉, 헬스케어 매트에 그릇이 놓인 장소가 지나치게 무게가 상승하여 도저히 음식물의 무게로 인정하기 어려운 경우이거나, 음식물이 줄어드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늘어나는 것으로 판명될 경우, 음식물이 그릇을 포함하여 완전히 그 무게가 제로로 되는 경우에 대해서는 그 이전에 감지하였던 무게 정보를 복구하여 다음부터는 신뢰할 수 없는 정보로 취급하여 칼로리 계산을 하지 않는다. 즉, 무게가 최초 무게보다 더 무거워 졌을 경우, 무게 데이터가 하향 곡선으로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전에 측정한 무게보다 올라갔을 때, 무게가 0이 되었을 경우, 또는 뷔페, 초밥 등 특수한 경우에 헬스케어 앱에서 모드 선택을 통해 지속적으로 해당 무게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은 저전력 블루투스(BLE, 블루투스 4.0)을 이용하여 전력소모량을 낮출 수 있으나, 이러한 통신 방식은 날로 새롭게 개선되고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헬스케어 매트가 특정 근거리 통신 수단만을 구비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효율적인 통신 방식을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 매트에서 필요로 하는 전원은 3V 리튬전지(동전형)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전지에 대한 교환신호를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송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LE와 MCU의 경우 3V로 구동이 가능하지만, 무게 센서의 경우 새로운 전원을 설계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무게 센싱 방식으로는 로드셀, 커패시터, FSR, 기타 압력센서 중 효율적인 방법을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앱의 주요 기능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먼저 헬스케어 앱은 사용자에 대한 기본 정보와 목표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다이어트를 위한 프로그램 강도를 지정할 수 있으며, 예컨대 체중을 94Kg에서 74Kg으로 감량하고자 할 경우 이에 대한 프로그램을 설정하게 된다. 다음으로 무게측정 디바이스인 헬스케어 매트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취득하여 칼로리 정보를 전환하여 스마트폰에 디스플레이 한다.
스마트폰 앱의 주요 기능으로는 측정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분석, 기록,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스마트폰에 저장된 전화번호 상의 친구 또는 소셜 네트워크상의 친구와 공유 할 수 있는 SNS 기능을 포함한다. 또한 칼로리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음식물과 관련한 칼로리 정보를 가져와서, 기본 정보와 헬스케어 매트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헬스케어를 수행한다. 즉, 입력되는 측정 데이터를 바탕으로 식사 속도를 체크하고, 자이로, 만보기 등과 같은 다른 앱과의 연동을 통해서 사용자의 칼로리 소모를 측정하고, 이를 반영하여 헬스케어를 총괄적으로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식사량에 대해서 실시간으로 무게를 측정하여 칼로리를 관리하도록, 헬스케어 매트, 헬스케어 앱 및 헬스케어 서버를 제공하여, 실제 사용자가 식사하는 양을 실시간으로 수치화하여 해당 식사에 대한 영양 정보 및 칼로리 정보에 대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헬스케어가 이루어지도록, SNS와 연계된 식이조절 빅데이터 시스템을 통해 효율적인 식단을 제공하는 방법과 그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헬스케어 매트 110: 무게센서
120: MCU 130: BLE 통신
140: 디스플레이 150: PHR 인터페이스
200: 헬스케어 앱(사용자 단말) 400: SNS 서버
300: 헬스케어 서버

Claims (9)

  1. 식사량의 무게를 포함한 식이섭취 정보를 계측하는 것을 포함하여 혈압, 혈당, 체중 맥박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측정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상기 센서로부터 식사량의 무게를 포함하여 혈압, 혈당, 체중 맥박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측정값을 계측하여 수집하고, PHR을 통해 개인의 의료기록을 수집하며, 상기 센서의 위치에 따른 음식물의 종류를 설정하여 식단을 꾸미고, 상기 식단에 따라 음식물의 위치를 자동으로 기억하거나 추적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에게 맞춤형 식단을 제시하고 음식물의 섭취결과를 기록하여 자가 수치화를 실현하는 MCU; 및
    블루투스, RFID, 지그비, 와이파이, 이더넷,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통신 수단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해서 비콘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통신수단;을 포함하는 헬스케어 매트를 통해서,
    상기 계측한 식이섭취 정보를 자가 수치화하고, 해당 식품의 영양 정보 및 칼로리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헬스케어, 다이어트 또는 피트니스를 실시간으로 언제 어디서나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식이섭취 정보를 자가 수치화하는 것은, 무게보정기능을 통해 식사 방법이나 환경에 따른 무게의 변동을 보정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보정은, 식사속도, 음식물의 종류, 식사 중에 새로운 음식물이 추가되는 경우를 고려하여, 그때마다 음식물과 칼로리의 매칭을 수행하여 칼로리를 산출해서 식사 방법이나 환경에 따른 무게의 변동을 보정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헬스케어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헬스케어 매트는,
    헬스케어 앱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과 정보를 송수신하여 식단을 설정하고, 식사량에 따른 알람을 발생하며, 칼로리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헬스케어 매트의 기능은,
    자체에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여 설정되거나, 외부에서 구동된 헬스케어 앱을 통해서 설정되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헬스케어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사물인터넷 기반의 헬스케어 시스템은,
    상기 헬스케어 매트, 헬스케어 앱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서 각 사용자의 다이어트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또한 이들에 각 음식물에 대한 칼로리 정보를 제공하는 헬스케어 서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헬스케어 서버는,
    상기 헬스케어 매트나 헬스케어 앱을 통해서 수집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또한 외부로부터 음식물에 대한 칼로리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상기 헬스케어 매트나 헬스케어 앱에서 요청할 경우, 해당 음식물의 칼로리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헬스케어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헬스케어 앱은,
    헬스케어 매트에 직접 설치되거나,
    스마트폰, 노트북 PC, 태블릿 PC, 범용 PC, 또는 노트 패드를 포함한 유무선 단말에 설치되어 사용되며,
    상기 헬스케어 매트로부터 음식물 섭취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헬스케어 서버로부터 음식물에 대한 칼로리 정보를 수집하여,
    이들을 상호 결합함으로써, 사용자의 음식물 섭취에 대한 무게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의 음식물 섭취 속도와 섭취한 음식물의 칼로리를 산출하여 표시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헬스케어 시스템.
  6. 헬스케어 매트나 헬스케어 앱을 통해서 식단을 설정하는 단계;
    헬스케어 매트를 통해서 섭취한 음식물의 무게를 포함한 식이섭취 정보를 계측하는 단계;
    상기 계측한 정보가 설정치 이상이면 헬스케어 앱을 통해서 알람을 송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에 따른 칼로리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소모한 운동량에 따른 칼로리 소모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계측한 식이섭취 정보를 자가 수치화하고, 해당 식품의 영양 정보 및 칼로리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헬스케어, 다이어트 또는 피트니스를 실시간으로 언제 어디서나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식이섭취 정보를 자가 수치화하는 것은, 무게보정기능을 통해 식사 방법이나 환경에 따른 무게의 변동을 보정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보정은, 식사속도, 음식물의 종류, 식사 중에 새로운 음식물이 추가되는 경우를 고려하여, 그때마다 음식물과 칼로리의 매칭을 수행하여 칼로리를 산출해서 식사 방법이나 환경에 따른 무게의 변동을 보정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헬스케어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사물인터넷 기반의 헬스케어 방법은,
    상기 헬스케어 매트에서 음식물 섭취 목표치 설정 및 통신 연결 단계;
    상기 헬스케어 매트에서 음식물 무게 측정을 통한 기준값(초기값) 설정 단계;
    상기 헬스케어 매트에서 음식물 무게의 변화 측정을 통한 음식물 섭취량 측정 단계;
    상기 헬스케어 매트에서 음식물 섭취량의 목표치 도달여부 체크 및 식사 속도 추출 단계; 및
    상기 헬스케어 매트에서 최종 음식물 무게를 측정하여 최종 음식물 섭취량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음식물 섭취량의 측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헬스케어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사물인터넷 기반의 헬스케어 방법은,
    상기 헬스케어 앱에서, 헬스케어 앱 활성화 및 식단을 선택하는 단계;
    음식물 섭취량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헬스케어 앱에서, 음식물 섭취량의 목표치 섭취 칼로리 체크 및 음식물 섭취 속도 산출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헬스케어 앱에서, 최종 음식물 섭취에 따른 칼로리와 연관된 정보를 표시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헬스케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헬스케어 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사물인터넷 기반의 헬스케어 방법은,
    헬스케어 서버를 통해 상기 섭취한 음식물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SNS 서버를 통해 상기 정보를 공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헬스케어 방법.
KR1020140101073A 2014-08-06 2014-08-06 사물인터넷 기반의 헬스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71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073A KR101671778B1 (ko) 2014-08-06 2014-08-06 사물인터넷 기반의 헬스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073A KR101671778B1 (ko) 2014-08-06 2014-08-06 사물인터넷 기반의 헬스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7483A KR20160017483A (ko) 2016-02-16
KR101671778B1 true KR101671778B1 (ko) 2016-11-02

Family

ID=55447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1073A KR101671778B1 (ko) 2014-08-06 2014-08-06 사물인터넷 기반의 헬스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17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9806A (ko) 2016-12-20 2017-01-25 주식회사 쿨시스템 휴대폰과 연동되는 웰니스기기 사용자 측정데이터 기반 회원관리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89638B1 (en) * 2016-07-20 2022-11-02 Kwang-Cheol Jeong Smart tray for measuring food intake and weight change, and weight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same
KR101869154B1 (ko) * 2016-07-25 2018-06-19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복수의 스마트 기기에 대한 CoAP 메시지 기반의 비콘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948091B1 (ko) * 2016-12-20 2019-02-14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헬스케어 스마트홈의 사용자 정보 익명화 시스템
KR101989684B1 (ko) * 2017-09-21 2019-06-14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과 연동하여 조현병 환자의 건강한 라이프 스타일을 유지하는 시스템
IT202100021500A1 (it) * 2021-08-06 2023-02-06 Pico Ideas Srls Sistema di valutazione di parametri di alimentazion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9742A (ja) * 2008-08-05 2010-02-18 Mitsubishi Electric Information Systems Corp 飲食店における顧客の飲食管理分析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9729A (ko) * 2013-01-07 2014-07-16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음식사진을 이용한 칼로리 자동 계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식습관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9742A (ja) * 2008-08-05 2010-02-18 Mitsubishi Electric Information Systems Corp 飲食店における顧客の飲食管理分析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9806A (ko) 2016-12-20 2017-01-25 주식회사 쿨시스템 휴대폰과 연동되는 웰니스기기 사용자 측정데이터 기반 회원관리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7483A (ko) 2016-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1778B1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헬스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
AU2016343818B2 (en) A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platform designed for digital health management and support for remote patient monitoring
CN100517345C (zh) 生物体信息的管理系统以及管理方法
CN104867081B (zh) 一种智能健康管理系统及方法
CN108141714B (zh) 移动健康应用的个性化、同伴衍生消息的自动构建的装置和方法
US20180004914A1 (en) Personal Health Advisor System
CN102448538B (zh) 用于传递诊断和/或处理信号的反馈系统和方法
JP2020184349A (ja) ヘルストラッキングデバイス
US11521753B2 (en) Contextual annotation of medical data
US20130004923A1 (en) Nutrition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a wellness application using data from a data-capable band
US20100145209A1 (en) Apparatus for measuring amount of exercise, system for measuring amount of exercise, and method for measuring amount of exercise
KR102004438B1 (ko) 사용자 건강습관정보 수집을 통한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제공 방법
JP6394149B2 (ja) 生活活動解析装置、生活活動解析システム、生活活動解析方法及びプログラム
Reza et al. Development of android based pulse monitoring system
JP2014074976A (ja) 運動支援システム
Tsao et al. An IoT‐Based Smart System with an MQTT Broker for Individual Patient Vital Sign Monitoring in Potential Emergency or Prehospital Applications
Sayeed et al. Bluetooth Low Energy (BLE) based portable medical sensor kit platform with cloud connectivity
TWM548864U (zh) 點數化健康管理系統
KR20190007609A (ko) 사물인터넷 기반 대화형 건강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07286947A (ja) 健康維持管理システム
JP2005157985A (ja) 食材提供システム
Georgi et al. Wellness sensors and proprietary protocols, a solution for health monitoring?
KR20130049236A (ko) 비만관리 시스템 및 이에 이용되는 서버와 휴대통신기기용 어플리케이션
JP7395187B2 (ja) 管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WO2021210209A1 (ja) 管理装置、管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