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9268B1 - 전기로 보수재 투입장치 - Google Patents

전기로 보수재 투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9268B1
KR101989268B1 KR1020180007534A KR20180007534A KR101989268B1 KR 101989268 B1 KR101989268 B1 KR 101989268B1 KR 1020180007534 A KR1020180007534 A KR 1020180007534A KR 20180007534 A KR20180007534 A KR 20180007534A KR 101989268 B1 KR101989268 B1 KR 101989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fe
incision
hopper
electric furnace
moun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7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영호
양국석
신진호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7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92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9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9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16Making or repairing linings increasing the durability of linings or breaking away li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9/00Unpacking of articles 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B69/0008Opening and emptying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2Fill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52Manufacture of steel in electric furn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16Making or repairing linings increasing the durability of linings or breaking away linings
    • F27D2001/1605Repairing lin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rnace Housings, Linings, Walls, And Ceilings (AREA)
  • Vertical, Hearth, Or Arc Furnaces (AREA)

Abstract

전기로 보수재 투입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전기로 보수재 투입장치는: 보수재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구비되는 투입호퍼부와, 투입구의 상측에 배치되며, 보수재가 수용된 보수재 포대를 절개하는 절개부와, 투입호퍼부와 연결되며, 투입호퍼부로부터 투입된 상기 보수재가 유입되어 저장되는 저장호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로 보수재 투입장치{APPARATUS FOR FEEDING FILLER OF ELECTRIC FURNACE}
본 발명은 전기로 보수재 투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수재 투입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는 전기로 보수재 투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의 용강제조작업에 사용되는 전기로와 같은 로설비는 장시간의 작업으로 인하여 노체에 축조되는 내화물이 침식되거나 마모되므로, 보수재(MgO)를 노내의 마모된 부위에 투입하여 침식된 부위를 보수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7872호(발명의 명칭:노체내부 보수장치, 등록일:2003.03.06.)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수재 투입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는 전기로 보수재 투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로 보수재 투입장치는: 보수재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구비되는 투입호퍼부; 상기 투입구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보수재가 수용된 보수재 포대를 절개하는 절개부; 및 상기 투입호퍼부와 연결되며, 상기 투입호퍼부로부터 투입된 상기 보수재가 유입되어 저장되는 저장호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입호퍼부는, 너비가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며, 상기 투입구가 형성되는 투입호퍼부본체; 및 상기 투입구 상에 설치되는 망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개부는, 상기 투입호퍼부본체의 내측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며, 복수개의 홀부가 형성되는 절개부설치대; 및 상기 절개부설치대에 설치되며, 상기 보수재 포대를 절개하는 절개나이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개나이프부는, 상기 투입호퍼부본체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제1절개나이프; 및 상기 제1절개나이프와 연결되며, 상기 절개부설치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1절개나이프를 지지하는 제2절개나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절개나이프는, 상기 제1절개나이프가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의 외측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되고,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절개부설치대 상에 설치되는 제2나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입호퍼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보수재 포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입호퍼부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투입호퍼부를 촬영하는 촬영부; 및 상기 촬영부로부터 영상정보를 전달받아 표시하는 모니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로 보수재 투입장치는 보수재가 수용된 보수재 포대를 절개하는 절개부를 통해 작업자가 수동으로 보수재 포대를 절개하지 않아도 되므로,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수재 투입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수재가 1차적으로 절개설치대의 홀부에 의해 걸러진 상태에서 투입호퍼부본체의 망체부에 의해 2차적으로 걸러져 고른 입자로 저장호퍼부의 내부로 투입되므로, 추후에 전기로의 보수작업시 보수부위를 촘촘하게 보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1절개나이프는 제2절개나이프로부터 분리가능하므로, 제1절개나이프의 마모시 제1절개나이프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1나이프는 장착부와 접촉되는 면의 너비가 장착부의 너비보다 넓으므로, 제1나이프가 장착부의 단부에 걸리면서 장착부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나이프몸체의 측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가 장착부의 결합홈부에 결합됨으로써, 제1나이프가 장착부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제1절개나이프가 보수재 포대를 절개할 때 장착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부를 통해 보수재 포대가 투입호퍼부의 중앙부에 위치되어 절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촬영부와 모니터부를 통해 투입호퍼부에 접근하지 위치하지 않아도 작업상황을 확인할 수 있어, 보수재를 투입호퍼부로 투입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보수재 포대의 투입작업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작업도중 이상 시 이를 빠르게 대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 보수재 투입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 보수재 투입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 보수재 투입장치의 투입호퍼부 및 절개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 보수재 투입장치의 투입호퍼부 및 절개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 보수재 투입장치에서 절개부의 제1절개나이프가 제2절개나이프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 보수재 투입장치의 절개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 보수재 투입장치에서 절개부의 제1절개나이프가 제2절개나이프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 보수재 투입장치의 보수재 포대가 운송장치에 의해 투입호퍼부 측으로 운송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 보수재 투입장치의 보수재 포대가 가이드부를 통해 가이드되어 중앙부가 투입호퍼부의 중앙부와 동일선선상에 위치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 보수재 투입장치의 보수재 포대가 절개부에 의해 절개되어 보수재 포대의 내부에 수용된 보수재가 투입호퍼부의 투입구로 투입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 보수재 투입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 보수재 투입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 보수재 투입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 보수재 투입장치의 투입호퍼부 및 절개부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 보수재 투입장치의 투입호퍼부 및 절개부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 보수재 투입장치에서 절개부의 제1절개나이프가 제2절개나이프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 보수재 투입장치의 절개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 보수재 투입장치에서 절개부의 제1절개나이프가 제2절개나이프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 보수재 투입장치의 보수재 포대가 운송장치에 의해 투입호퍼부 측으로 운송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 보수재 투입장치의 보수재 포대가 가이드부를 통해 가이드되어 중앙부가 투입호퍼부의 중앙부와 동일선선상에 위치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 보수재 투입장치의 보수재 포대가 절개부에 의해 절개되어 보수재 포대의 내부에 수용된 보수재가 투입호퍼부의 투입구로 투입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 보수재 투입장치(1)는 투입호퍼부(100), 절개부(200) 및 저장호퍼부(300)를 포함한다. 투입호퍼부(100)는 깔대기 형상으로 보수재(20)가 투입되는 투입구(110a)가 구비된다. 보수재(20)는 산화마그네슘(MgO)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보수재 포대(1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크레인 등의 운송장치(30)에 의해 투입호퍼부(100)의 상측으로 운송된다. 이때, 운송장치(30)는 조작부(700)를 통해 작동될 수 있다.
절개부(200)는 투입구(110a)의 상측에 설치되며, 보수재(20)가 수용된 보수재 포대(10)를 절개한다. 투입호퍼(100)의 상측에 위치한 보수재 포대(10)는 절개부(200)에 의해 절개되고, 보수재 포대(10)의 내부에 담겨진 보수재(20)가 투입호퍼부(100)의 투입구(110a) 측으로 쏟아진다. 이와 같이, 절개부(200)를 통해 작업자가 수동으로 보수재 포대(10)를 절개하지 않아도 되므로,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수재(20)의 투입작업이 자동화될 수 있다.
저장호퍼부(300)는 투입호퍼부(100)와 연결되며, 투입호퍼부(100)로부터 투입된 보수재(20)가 유입되어 저장된다(도 2 참조). 이렇게 저장호퍼부(300)에 저장된 보수재(20)는 전기로(미도시)의 보수작업시 분사노즐 등을 통해 전기로의 마모된 부위, 침식된 부위 등 보수부위에 분사되어 전기로를 보수하게 된다.
투입호퍼부(100)는 투입호퍼부본체(110)와 망체부(120)를 포함한다. 투입호퍼부본체(110)는 너비가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며, 투입구(110a)가 형성된다. 망체부(120)는 투입구(110a) 상에 설치된다. 망체부(120)가 투입구(110a) 상에 설치되므로, 보수재(20)는 망체부(120)에 의해 걸러져 투입구(110a)로 투입될 수 있다. 이로써, 보수재(20)가 뭉치지 않고 고르게 투입구(110a)를 통해 저장호퍼부(300)로 투입될 수 있다. 또한, 보수재(20) 이외의 이물질이 투입구(110a)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절개부(200)는 절개부설치대(210)와 절개나이프부(220)를 포함한다. 절개부설치대(210)는 투입호퍼부본체(110)의 내측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며, 복수개의 홀부(211)가 형성된다(도 3 참조). 이때, 절개부설치대(210)는 링 형상으로 복수개의 홀부의 크기가 망체부(120)의 홀(미도시)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보수재(20)는 절개부설치대(210)에 형성된 홀부(211)에 의해 1차적으로 걸러진 상태에서 망체부(120)에 의해 2차적으로 걸러져 고른 입자로 저장호퍼부(300)의 내부로 투입되므로, 추후에 전기로의 보수작업시 보수부위를 촘촘하게 보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절개부설치대(210)는 투입호퍼부본체(110)에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절개부(200)의 마모시 절개부설치대(210)를 투입호퍼부본체(110)로부터 탈착하여 절개부(20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절개나이프부(220)는 절개부설치대(210) 상에 설치되며, 보수재 포대(10)를 절개한다. 절개나이프부(220)는 제1절개나이프(221)와 제2절개나이프(222)를 포함한다. 제1절개나이프(221)는 투입호퍼부본체(110)의 중앙부(C)에 배치된다. 제2절개나이프(222)는 절개부설치대(210) 상에 설치되어 제1절개나이프(221)를 지지한다.
제2절개나이프(222)는 장착부(222a)와 제2나이프(222b)를 포함한다. 장착부(222a)에는 제1절개나이프(221)가 분리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로 인해, 제1절개나이프(221)의 마모시 제1절개나이프(221)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장착부(222a)에는 장착홀부(222c)와 결합홈부(222d)가 구비된다. 결합홈부(222d)는 장착홀부(222c)와 연통된다. 구체적으로, 장착홀부(222c)에는 제1절개나이프(221)의 제1나이프몸체(221a)가 장착되며, 결합홈부(222d)에는 제1나이프몸체(221a)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221c)가 결합된다(도 5 내지 도 7 참조).
본 실시예에서는 제1나이프몸체(221a)가 장착홀부(222c)에 장착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이는 한정된 것이 아니라 장착홀부(222c)를 홈부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제2나이프(222b)는 장착부(222a)의 외측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되고,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절개부설치대(210) 상에 설치된다. 이로 인해, 보수재 포대(10)는 제1절개나이프(221)에 의해 중앙부(C')가 절개된 후 제2절개나이프(222)에 의해 보수재 포대(10)의 중앙부(C') 주변 부분이 절개되면서 절개된 부분이 확장된다. 이로써, 보수재 포대(10)의 하측면이 완전히 절개될 수 있다.
제1절개나이프(221)는 제1나이프몸체(221a), 제1나이프(221b) 및 결합돌기(221c)를 포함한다. 제1나이프몸체(221a)는 기둥 형상으로 제1나이프몸체(221a)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장착홀부(222c)에 장착된다.
제1나이프(221b)는 제1나이프몸체(221a)에서 상측으로 너비가 좁아지도록 연장형성된다. 제1나이프(221b)는 원뿔 형상으로 장착부(222a)와 접촉되는 면의 너비(W2)가 장착부(222a)의 너비(W1)보다 넓다(도 6 참조). 이로 인해, 제1나이프(221b)는 장착부(222a)의 단부에 걸리면서 장착부(222a)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결합돌기(221c)는 제1나이프몸체(221a)의 측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며, 결합홈부(222d)에 결합된다(도 5 참조). 이로 인해, 제1나이프(221b)는 장착부(222a)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제1절개나이프(221)가 보수재 포대(10)를 절개할 때 장착부(222a)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전기로 보수재 투입장치(1)는 가이드부(400)를 더 포함한다. 가이드부(400)는 투입호퍼부(100)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보수재 포대(10)가 투입호퍼부(100)의 중앙부(C)에 위치하도록 보수재 포대(10)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즉, 가이드부(400)는 보수재 포대(10)의 중앙부(C')와 투입호퍼부(100)의 중앙부(C)가 동일선 상에 위치하도록 가이드함으로써, 보수재 포대(10)의 하측면이 용이하게 개방될 수 있다(도 8, 도 9 참조).
가이드부(400)는 가이드몸체(410)와 가이드지지대(420)를 포함한다. 가이드몸체(410)는 투입호퍼부(100)의 상측에 배치되며, 판 형상으로 라운지게 형성된다. 가이드몸체(410)는 운송장치(30)를 통해 보수재 포대(10)가 투입호퍼부(100) 측으로 이동되면, 투입호퍼부(100)의 중앙부(C)에 보수재 포대(10)의 중앙부(C')가 위치하도록 가이드한다.
가이드지지대(420)는 작업대(40)의 상측에 설치되어 가이드몸체(410)를 지지할 수 있다. 작업자는 작업대(40)를 통해 투입호퍼부(100)에 접근하여, 투입호퍼부(100)의 유지보수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작업대(40)의 테두리에는 난간부(50)가 설치되므로,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대(40) 상에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전기로 보수재 투입장치(1)는 촬영부(500)와 모니터부(600)를 더 포함한다. 촬영부(500)는 투입호퍼부(100)의 상측에 설치되며, 투입호퍼부(100)를 촬영한다. 촬영부(500)는 보수재 포대(10)가 절개부(200)에 의해 절개되어 보수재 포대(10)로부터 쏟아지는 보수재(20)가 투입호퍼부(100)로 투입되는 과정을 실시간으로 촬영한다. 촬영부(500)는 일반카메라, 적외선 카메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부(600)는 촬영부(500)로부터 촬영된 영상정보를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영상정보를 전달받은 제어부(800)는 모니터부(600)에 영상정보를 표시하여 시각화한다. 이로써, 작업자는 투입호퍼부(100)에 접근하지 위치하지 않아도 작업상황을 확인할 수 있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보수재 포대의 투입작업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작업도중 이상 시 조작부(700)를 통해 운송장치(30) 및 전기로 보수재 투입장치(1) 등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작부(700)를 조작하면, 조작정보가 제어부(800)에 전달되고, 제어부(800)는 전달받은 조작정보를 토대로 운송장치(30) 및 전기로 보수재 투입장치(1) 등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 보수재 투입장치의 작동 및 효과를 살펴보도록 한다.
작업자는 조작부(700)를 통해 운송장치(30)를 작동시킨다. 운송장치(30)는 보수재 포대(10)를 투입호퍼부(100)의 상측으로 운송한다. 이렇게 투입호퍼(100)의 상측에 위치한 보수재 포대(10)는 가이드부(400)에 의해 투입호퍼부(100)의 중앙부(C)에 위치되어 절개부(200)에 의해 절개되고, 보수재 포대(10)의 내부에 담겨진 보수재(20)가 투입호퍼부(100)의 투입구(110a) 측으로 쏟아진다.
촬영부(500)는 보수재 포대(10)가 절개부(200)에 의해 절개되어 보수재 포대(10)로부터 쏟아지는 보수재(20)가 투입호퍼부(100)로 투입되는 과정을 실시간으로 촬영한다. 이렇게 촬영된 영상정보는 제어부(800)에 전달되고, 제어부(800)는 모니터부(600)에 영상정보를 표시하여 시각화한다. 이로 인해, 작업자는 투입호퍼부(100)에 접근하지 위치하지 않아도 작업상황을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도중 이상 시 조작부(700)를 통해 이를 제어할 수 있다.
만약, 제1절개나이프(221)의 교체할 경우, 제1절개나이프(221)를 제2절개나이프(222)의 장착부(222a)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므로, 제1절개나이프(221)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전기로 보수재 투입장치 10 : 보수재 포대
20 : 보수재 30 : 운송장비
800 : 작업대 900 : 안전대
100 : 투입호퍼부 110 : 투입호퍼부본체
110a : 투입구 120 : 망체부
200 : 절개부 210 : 절개부설치대
211 : 홀부 220 : 절개나이프부
221 : 제1절개나이프 221a : 제1나이프몸체
221b : 제1나이프 221c : 결합돌기
222 : 제2절개나이프 222a : 장착부
222b : 제2나이프 222c : 장착홀부
222d : 결합홈부 300 : 저장호퍼부
400 : 가이드부 410 : 가이드몸체
420 : 가이드지지대 500 : 촬영부
600 : 모니터부 700 : 조작부
800 : 제어부

Claims (7)

  1. 보수재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구비되는 투입호퍼부;
    상기 투입구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보수재가 수용된 보수재 포대를 절개하는 절개부; 및
    상기 투입호퍼부와 연결되며, 상기 투입호퍼부로부터 투입된 상기 보수재가 유입되어 저장되는 저장호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개부는 상기 투입호퍼부본체의 내측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며, 복수개의 홀부가 형성되는 절개부설치대와, 상기 절개부설치대에 설치되며, 상기 보수재 포대를 절개하는 절개나이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개나이프부는 상기 투입호퍼부본체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제1절개나이프와, 상기 제1절개나이프와 연결되며, 상기 절개부설치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1절개나이프를 지지하는 제2절개나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절개나이프는 상기 제1절개나이프가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의 외측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되고,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절개부설치대 상에 설치되는 제2나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에는 장착홀부와, 상기 장착홀부와 연통되는 결합홈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절개나이프는 상기 장착홀부에 장착되는 제1나이프몸체와, 상기 제1나이프몸체에서 상측으로 너비가 좁아지도록 연장형성되는 제1나이프와, 상기 제1나이프몸체의 측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결합홈부에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나이프는 상기 장착부와 접촉되는 면의 너비가 상기 장착부의 너비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 보수재 투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호퍼부는,
    너비가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며, 상기 투입구가 형성되는 투입호퍼부본체; 및
    상기 투입구 상에 설치되는 망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 보수재 투입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호퍼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보수재 포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 보수재 투입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호퍼부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투입호퍼부를 촬영하는 촬영부; 및
    상기 촬영부로부터 영상정보를 전달받아 표시하는 모니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 보수재 투입장치.
KR1020180007534A 2018-01-22 2018-01-22 전기로 보수재 투입장치 KR101989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534A KR101989268B1 (ko) 2018-01-22 2018-01-22 전기로 보수재 투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534A KR101989268B1 (ko) 2018-01-22 2018-01-22 전기로 보수재 투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9268B1 true KR101989268B1 (ko) 2019-06-13

Family

ID=66847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7534A KR101989268B1 (ko) 2018-01-22 2018-01-22 전기로 보수재 투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926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5920A (ja) * 1997-08-12 1999-04-27 Noosu Techno Research Kk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バッグ解袋装置
KR100903945B1 (ko) * 2008-12-16 2009-06-25 (주) 금강산업플랜트 호퍼 및 그것을 이용한 재료투입 시스템
KR20120032943A (ko) * 2010-09-29 2012-04-06 현대제철 주식회사 코팅재 투입용 호퍼
JP3199449U (ja) * 2015-06-12 2015-08-20 株式会社東京共栄商会 ホッパ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5920A (ja) * 1997-08-12 1999-04-27 Noosu Techno Research Kk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バッグ解袋装置
KR100903945B1 (ko) * 2008-12-16 2009-06-25 (주) 금강산업플랜트 호퍼 및 그것을 이용한 재료투입 시스템
KR20120032943A (ko) * 2010-09-29 2012-04-06 현대제철 주식회사 코팅재 투입용 호퍼
JP3199449U (ja) * 2015-06-12 2015-08-20 株式会社東京共栄商会 ホッパ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199449 U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99616B2 (ja) 部品実装ラインの管理システム
EP3411205A1 (en) Additive manufacturing system
KR101989268B1 (ko) 전기로 보수재 투입장치
US8430230B1 (en) Hopper loader for processing machines
Moylan et al. Lessons learned in establishing the NIST metal additive manufacturing laboratory
TW200948529A (en) Machine tool
CN111300272B (zh) 集尘去飞边作业用装置
KR101491477B1 (ko) 너트 누락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1771989B1 (ko) 원료포대 절개방법 및 절개장치
TW201540393A (zh) 用於鑄造金屬的鋼包長水口、用於將該鋼包長水口聯結至鋼包的聯結總成之零件套組、金屬鑄造設備及聯結方法
JP6837859B2 (ja) ウエーハの加工方法
KR200444998Y1 (ko) 투입구를 구비한 샌드 사일로 호퍼 앗세이
KR19990013881A (ko) 사출성형기의 주의 환기장치
CN210730915U (zh) 一种自动加覆盖剂装置
CN111247881B (zh) 通知装置及通知方法
KR101726300B1 (ko) 아이라이너 심 자동 절삭 가공장치
CN105965083A (zh) 视觉定位切管机
KR101691974B1 (ko) 용접 장치 및 용접 방법
ES2283190B1 (es) Maquina aplicadora de productos termofusibles.
KR102173905B1 (ko) 침지노즐의 탈락 내화물 제거장치
KR20110042556A (ko) 알루미늄 플럭스 자동 주입 장치
KR100954192B1 (ko) 연주설비의 플럭스 투입장치
CN109227058B (zh) 一种铸件的加工方法
JPH0867923A (ja) アルミニウム再生装置
KR19980023008U (ko) 래들 카바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