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9128B1 - 모터 다이나모미터 및 모터성능평가방법 - Google Patents

모터 다이나모미터 및 모터성능평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9128B1
KR101989128B1 KR1020170103211A KR20170103211A KR101989128B1 KR 101989128 B1 KR101989128 B1 KR 101989128B1 KR 1020170103211 A KR1020170103211 A KR 1020170103211A KR 20170103211 A KR20170103211 A KR 20170103211A KR 101989128 B1 KR101989128 B1 KR 101989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deformation
load
measuring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3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8348A (ko
Inventor
김다연
유동훈
박창우
Original Assignee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3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9128B1/ko
Publication of KR20190018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8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9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9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8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by doing functionality tes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25/00Testing or calibrating of apparatus for measuring force,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or mechanical efficiency
    • G01L25/003Testing or calibrating of apparatus for measuring force,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or mechanical efficiency for measuring torqu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3/00Measuring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or mechanical efficiency, in general
    • G01L3/02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 다이나모미터 및 모터성능평가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는 부하모터와, 상기 부하모터와 측정모터를 연결하는 커플링과, 상기 부하모터의 스테이터에 배치되며, 상기 부하모터의 스테이터의 변형을 감지하는 변형감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터 다이나모미터 및 모터성능평가방법{Motor dynamometer and method for performance evaluation of a motor}
본 발명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터 다이나모미터 및 모터성능평가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터는 다양한 장치 및 장소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모터를 사용하기 위하여 모터의 효율, 모터의 스톨 토크 등과 같은 모터의 다양한 정보를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이러한 정보를 측정하기 위하여 토크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토크 센서에는 모터의 작동 시 토크를 측정하는 다이나믹 토크 측정용 센서와 스톨 토크를 측정하기 위한 토크 센서가 별도로 필요하다. 이러한 토크 센서는 가격이 비싸며 하나의 테스트 공간에서 사용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토크 센서 자체가 망가지거나 변형되는 경우 부정확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종래의 토크 센서의 경우 부피가 크며, 가격이 비싸고 파손이나 손상 여부를 확인하지 못함으로써 모터의 다양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상당히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저렴한 비용 및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모터의 효율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한 모터 다이나모미터 및 모터성능평가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는 부하모터와, 상기 부하모터와 측정모터를 연결하는 커플링과, 상기 부하모터의 스테이터 또는 상기 부하모터의 하우징에 배치되며, 상기 부하모터의 스테이터의 변형 또는 상기 부하모터의 하우징의 변형을 감지하는 변형감지부를 포함하는 모터 다이나모미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와 연결되며, 상기 부하모터를 고정시키는 제1 고정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모터의 로터에 연결되며, 상기 측정모터의 로터에서 발생하는 힘을 측정하는 포스게이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모터의 로터와 상기 포스게이지를 연결하는 연결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형감지부에서 감지된 상기 부하모터의 스테이터의 변형 또는 상기 부하모터의 하우징의 변형을 근거로 상기 측정모터에서 생성되는 출력토크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모터에서 생성되는 출력토크와 상기 측정모터의 회전수를 근거로 상기 측정모터의 출력에너지를 산출하고, 상기 출력에너지와 상기 측정모터에 인가되는 입력에너지를 근거로 상기 측정모터의 효율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하모터에 인가되는 전류를 가변시키면서 상기 측정모터의 효율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스게이지에서 측정된 힘을 근거로 상기 측정모터의 스톨 토크(Stall Torque)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톨 토크는 상기 측정모터에서 측정된 회전수가 0인 경우에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형감지부는 로드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측정모터와 부하모터를 커플링으로 연결하고 측정모터를 일정한 회전수를 갖도록 작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부하모터에 전류를 인가하고, 상기 부하모터의 스테이터에 설치된 변형감지부를 통하여 상기 부하모터의 스테이터의 변형 또는 상기 부하모터의 하우징의 변형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부하모터의 스테이터의 변형 또는 상기 부하모터의 하우징의 변형과 상기 측정모터의 회전수를 근거로 상기 측정모터의 출력에너지를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측정모터의 출력에너지와 상기 측정모터에 인가되는 입력에너지를 근거로 상기 측정모터의 효율을 산출하는 모터성능평가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에너지는 상기 부하모터에 인가되는 전류를 가변시키면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형감지부는 로드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모터의 로터에 포스게이지를 연결하고, 상기 측정모터의 스톨 토크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모터의 로터에 포스게이지를 연결하고, 상기 포스게이지에서 측정되는 힘과 상기 변형감지부에서 측정되는 상기 부하모터의 스테이터의 변형 또는 상기 부하모터의 하우징의 변형을 비교하여 상기 변형감지부의 변형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모터의 효율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실시간으로 측정 오차를 측정하여 보정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모터의 효율을 정밀하게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다이나모미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터 다이나모미터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모터 다이나모미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모터 다이나모미터의 제어흐름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다이나모미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터 다이나모미터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모터 다이나모미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모터 다이나모미터(100)는 지지부(110), 부하모터(120), 커플링(130), 변형감지부(140), 포스게이지(150), 연결암(160),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10)는 베이스(111), 제1 고정브라켓(112) 및 제2 고정브라켓(113)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11)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지면, 책상, 별도의 시설물 등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고정브라켓(112)은 지지부(110)에 일정 각도를 형성하도록 연결될 수 있으며, 부하모터(1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고정브라켓(112)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고정브라켓(112)은 부하모터(120)가 삽입되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고정브라켓(112)은 부하모터(120)의 외면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고정브라켓(112)과 부하모터(120)는 나사, 볼트 등을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제1 고정브라켓(112)은 클램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고정브라켓(112) 내부에는 부하모터(120)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제1 고정브라켓(112)은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부하모터(120)가 안착하여 부하모터(120)를 고정시켜 지지하는 모든 장치 및 모든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고정브라켓(113)은 측정모터(1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고정브라켓(113)은 제1 고정브라켓(112)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커플링(130)은 부하모터(120)와 측정모터(10)를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플링(130)은 부하모터(120)의 샤프트와 측정모터(10)의 샤프트가 각각 삽입될 수 있다.
변형감지부(140)는 부하모터(120)의 스테이터(미도시) 또는 부하모터(120)의 하우징(121)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변형감지부(140)는 부하모터(120)의 스테이터의 변형 또는 부하모터(120)의 하우징(121)의 변형을 감지하여 부하모터(120)의 스테이터에 가해지는 힘 또는 부하모터(120)의 스테이터에 가해지는 힘을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변형감지부(140)는 부하모터(120)의 스테이터 또는 부하모터(120)의 하우징(121)에 배치되는 로드셀(Load cell)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부하모터(120)의 스테이터와 부하모터(120)의 하우징(121)은 서로 고정 결합됨으로써 부하모터(120)의 스테이터의 변형과 부하모터(120)의 하우징(121)의 변형은 서로 동일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변형감지부(140)는 부하모터(120)의 하우징(121)에 배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포스게이지(150)는 선택적으로 측정모터(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포스게이지(150)는 측정모터(10)의 로터(11) 또는 측정모터(10)의 회전축(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포스게이지(150)는 측정모터(10)의 로터(11) 또는 측정모터(10)의 회전축과 연결암(160)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포스게이지(150)는 측정모터(10)의 작동 시 측정모터(10)의 로터(11) 또는 측정모터(10)의 회전축에서 생성되는 힘을 측정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포스게이지(150)가 측정모터(10)의 로터(11)와 연결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특히 이러한 경우 포스게이지(150)는 측정모터(10)의 로터(11)의 회전중심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암(160)은 일단이 포스게이지(150)에 연결되고, 타단은 측정모터(10)의 로터(11)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연결암(160)은 측정모터(10)의 로터(11)의 회전중심에 대해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포스게이지(15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부하모터(120), 측정모터(10), 변형감지부(140), 포스게이지(150)에 연결되어 부하모터(120), 측정모터(10), 변형감지부(140), 포스게이지(15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변형감지부(140), 포스게이지(150)에서 감지된 결과를 받아 다양한 값을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는 지지부(110)에 구비되는 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제어부는 모터 다이나모미터(100)의 외부에 배치되는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휴대용 단말기, 휴대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모터 다이나모미터(100)와 유선 또는 무선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
모터 다이나모미터(100)는 상기의 구성 이외에도 전원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는 상기 제어부, 부하모터(120), 측정모터(10), 변형감지부(140), 포스게이지(150) 등과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부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부하모터(120), 측정모터(10)에 인가되는 전원에서 대한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원부는 파워서플라이(Power supply)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모터 다이나모미터의 제어흐름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모터 다이나모미터(미도시)는 측정모터(10)를 커플링(미도시)에 연결하고, 상기 커플링에 부하모터(미도시)를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측정모터(10)는 제2 고정브라켓(미도시)에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측정모터(10)와 상기 부하모터가 연결되면, 제어부(170)는 측정모터(10)가 작동하도록 전원부(180)를 통하여 측정모터(10)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전원부(180)는 측정모터(10)에 일정한 전기에너지를 공급함으로써 측정모터(10)를 일정한 속도로 유지시킬 수 있다. 특히 전원부(180)는 측정모터(10)에 최대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원부(180)는 측정모터(10)에 인가되는 전압 및 전류 등을 제어부(17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측정모터(10)가 작동하는 경우 제어부(170)는 상기 부하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하모터의 샤프트는 측정모터(10)의 샤프트의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측정모터(10)의 샤프트는 회전속도가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부하모터의 샤프트는 측정모터(10)의 샤프트와 동일한 방향 및 동일한 회전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상기 부하모터의 로터에 인가된 전원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부하모터의 로터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부하모터의 하우징(또는 상기 부하모터의 스테이터)은 반작용으로 인하여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변형감지부(140)는 상기 부하모터의 하우징의 변형 또는 배치되어 상기 부하모터의 스테이터의 변형을 감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변형감지부(140)가 상기 부하모터의 하우징의 변형을 감지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변형감지부(140)에서 감지된 결과는 상기 부하모터의 하우징에 가해지는 힘 또는 상기 부하모터의 하우징의 변위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특히 변형감지부(140)에서 감지된 결과가 상기 부하모터의 하우징의 변위 변화인 경우 이를 통하여 상기 부하모터의 상기 부하모터의 하우징에 가해지는 힘을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상기와 같이 감지된 상기 부하모터의 하우징의 변형을 근거로 측정모터(10)에서 생성되는 출력토크를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변형감지부(140)에서 감지된 결과는 측정모터(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부하모터의 하우징에 발생하는 힘으로써 측정모터(10)의 회전 시 발생하는 힘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초기 변형감지부(140)의 설치 시 변형감지부(140)와 상기 부하모터의 샤프트의 회전중심까지의 거리가 제어부(170)에 기 설정된 상태일 수 있으므로 상기 부하모터의 하우징에 발생하는 힘과 변형감지부(140)와 상기 부하모터의 샤프트의 회전중심까지의 거리를 통하여 측정모터(10)의 출력토크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측정모터(10)의 엔코더로부터 측정모터(10)의 회전축의 회전수를 전송 받을 수 있다. 이로부터 제어부(170)는 측정모터(10)의 출력에너지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측정모터(10)의 출력에너지는 측정모터(10)의 회전축의 회전수와 측정모터(10)의 출력토크를 곱하여 산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제어부(170)는 전원부(180)로부터 측정모터(10)에 인가되는 입력에너지가 얼마인지 전송 받을 수 있다. 제어부(170)는 상기와 같이 산출된 출력에너지와 입력에너지를 통하여 측정모터(10)의 효율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산출된 출력에너지를 입력에너지로 나누어 측정모터(10)의 효율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작업은 측정모터(10)의 샤프트의 회전속도를 가변시키면서 지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부하모터에 인가되는 전기(또는 전압) 등을 가변시키도록 전원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70)는 측정모터(10)의 샤프트의 회전속도가 줄어들도록 전원부(180)를 제어하면서 측정모터(10)의 효율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측정모터(10)의 효율을 산출할 뿐만 아니라 제어부(170)는 측정모터(10)의 스톨 토크(Stall Torque)를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측정모터(10)의 로터(11)에 연결암(160)을 통하여 포스게이지(150)를 연결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70)는 상기 부하모터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도록 전원부(180)를 제어하면서 측정모터(10)를 일정한 속도(예를 들면, 최고속도)로 회전시키도록 전원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전원부(180)는 측정모터(10)에 최대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전원이 인가된 측정모터(10)는 포스게이지(150)와 연결되어 일정 각도 회전하다가 회전을 하지 않을 수 있다.
측정모터(10)의 엔코더에서 측정된 측정모터(10)의 샤프트의 회전수가 0이 되는 경우 제어부(170)는 포스게이지(150)에서 측정된 힘을 가지고 스톨 토크를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포스게이지(150)에서 측정된 힘과, 포스게이지(150)가 연결된 부분과 측정모터(10)의 샤프트의 회전 중심 사이의 거리를 곱하여 스톨 토크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이외에도 제어부(170)는 포스게이지(150)를 통하여 변형감지부(140)의 변형 여부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포스게이지(150)를 측정모터(10)에 연결한 후 상기 부하모터와 측정모터(10)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포스게이지(150)에서 측정되는 힘과 변형감지부(140)에서 감지된 상기 부하모터의 변형은 제어부(170)로 전송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상기와 같은 경우 포스게이지(150)에서 측정되는 힘과 변형감지부(140)에서 감지된 상기 부하모터의 스테이터에 가해지는 힘은 동일하므로 양자가 동일한지 판별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포스게이지(150)에서 측정된 힘과 변형감지부(140)에서 감지된 상기 부하모터의 스테이터에 가해지는 힘이 서로 상이한 경우 변형감지부(140)가 파손되거나 변형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터 다이나모미터는 측정된 데이터를 외부로 알릴 수 있는 알림부(190)를 더 구비함으로써 알림부(190)를 통해 변형감지부(140)의 파손 또는 변형을 외부로 알릴 수 있다. 이때, 알림부(190)는 외부로 이미지를 표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소리로 정보를 전달하는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변형감지부(140)의 파손 또는 변형이 확인된 경우 사용자는 변형감지부(140)를 교체하여 상기 모터 다이나모미터를 다시 사용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상기와 같이 변형감지부(140)의 파손 또는 변형을 알림부(190)로 표시하는 것 이외에도 변형감지부(140)의 변형 시 이를 보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제어부(170)에 테이블 형태로 기 설정된 변형감지부(140)의 변형에 따른 보정값을 통하여 보정하거나 기 설정된 변형감지부(140)의 변형에 따른 보정값을 산출하는 수식을 통하여 변형감지부(140)의 변형을 보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변형감지부(140)의 변형 여부의 판별은 상기 모터 다이나모미터의 작동 중에 지속적으로 수행되거나 상기 모터 다이나모미터의 사용 전 또는 사용 후에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 다이나모미터 및 모터성능평가방법은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모터의 효율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모터 다이나모미터 및 모터성능평가방법은 실시간으로 측정 오차를 측정하여 보정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모터의 효율을 정밀하게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 측정모터
100: 모터 다이나모미터
110: 지지부
111: 베이스
112: 제1 고정브라켓
113: 제2 고정브라켓
120: 부하모터
121: 하우징
130: 커플링
140: 변형감지부
150: 포스게이지
160: 연결암
170: 제어부
180: 전원부
190: 알림부

Claims (15)

  1.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는 부하모터;
    상기 부하모터와 측정모터를 연결하는 커플링; 및
    상기 부하모터의 스테이터 또는 상기 부하모터의 하우징에 배치되며, 상기 부하모터의 스테이터의 변형 또는 상기 부하모터의 하우징의 변형을 감지하는 변형감지부;를 포함하는 모터 다이나모미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와 연결되며, 상기 부하모터를 고정시키는 제1 고정브라켓;을 포함하는 모터 다이나모미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모터의 로터 또는 상기 측정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며, 상기 측정모터의 로터 또는 상기 측정모터의 회전축에서 발생하는 힘을 측정하는 포스게이지;를 더 포함하는 모터 다이나모미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모터의 로터 또는 상기 측정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포스게이지를 연결하는 연결암;을 더 포함하는 모터 다이나모미터.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감지부에서 감지된 상기 부하모터의 스테이터의 변형 또는 상기 부하모터의 하우징의 변형을 근거로 상기 측정모터에서 생성되는 출력토크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모터 다이나모미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모터에서 생성되는 출력토크와 상기 측정모터의 회전수를 근거로 상기 측정모터의 출력에너지를 산출하고, 상기 출력에너지와 상기 측정모터에 인가되는 입력에너지를 근거로 상기 측정모터의 효율을 산출하는 모터 다이나모미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하모터에 인가되는 전류를 가변시키면서 상기 측정모터의 효율을 산출하는 모터 다이나모미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스게이지에서 측정된 힘을 근거로 상기 측정모터의 스톨 토크(Stall Torque)를 산출하는 모터 다이나모미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톨 토크는 상기 측정모터에서 측정된 회전수가 0인 경우에 산출되는 모터 다이나모미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감지부는 로드셀인 모터 다이나모미터.
  11. 측정모터와 부하모터를 커플링으로 연결하고 측정모터를 일정한 회전수를 갖도록 작동시키는 단계;
    상기 부하모터에 전류를 인가하고, 상기 부하모터의 스테이터에 설치된 변형감지부를 통하여 상기 부하모터의 스테이터의 변형 또는 상기 부하모터의 하우징의 변형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부하모터의 스테이터의 변형 또는 상기 부하모터의 하우징의 변형과 상기 측정모터의 회전수를 근거로 상기 측정모터의 출력에너지를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측정모터의 출력에너지와 상기 측정모터에 인가되는 입력에너지를 근거로 상기 측정모터의 효율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터성능평가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에너지는 상기 부하모터에 인가되는 전류를 가변시키면서 측정하는 모터성능평가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감지부는 로드셀인 모터성능평가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모터의 로터 또는 상기 측정모터의 회전축에 포스게이지를 연결하고, 상기 측정모터의 스톨 토크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터성능평가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모터의 로터 또는 상기 측정모터의 회전축에 포스게이지를 연결하여 상기 측정모터의 로터 또는 상기 측정모터의 회전축에서 발생하는 힘을 측정하고, 상기 포스게이지에서 측정되는 힘과 상기 변형감지부에서 측정되는 상기 부하모터의 스테이터의 변형 또는 상기 부하모터의 하우징의 변형을 비교하여 상기 변형감지부의 변형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터성능평가방법.
KR1020170103211A 2017-08-14 2017-08-14 모터 다이나모미터 및 모터성능평가방법 KR101989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211A KR101989128B1 (ko) 2017-08-14 2017-08-14 모터 다이나모미터 및 모터성능평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211A KR101989128B1 (ko) 2017-08-14 2017-08-14 모터 다이나모미터 및 모터성능평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8348A KR20190018348A (ko) 2019-02-22
KR101989128B1 true KR101989128B1 (ko) 2019-06-14

Family

ID=65584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3211A KR101989128B1 (ko) 2017-08-14 2017-08-14 모터 다이나모미터 및 모터성능평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91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3072A (ko) 2020-12-11 2022-06-20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프로펠러를 이용하는 다이나모미터 장치
KR102350147B1 (ko) * 2021-03-04 2022-01-12 주식회사 링콘테크놀로지 슬러지 부하량 감지기능을 구비한 원형 슬러지 수집기
KR102328941B1 (ko) * 2021-03-04 2021-11-19 주식회사 링콘테크놀로지 슬러지 부하량 감지기능을 구비한 장방형 슬러지 수집기
CN115046681A (zh) * 2022-07-18 2022-09-13 广州赛宝计量检测中心服务有限公司 一种动态扭矩传感器校准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0534A (ja) * 1999-03-19 2000-09-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リニアモータの動特性測定装置
JP2009139187A (ja) * 2007-12-05 2009-06-25 Sumitomo Heavy Ind Ltd トルク測定装置
JP2013190355A (ja) 2012-03-14 2013-09-26 E-Bike Corp 電動車両用モータの試験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0534A (ja) * 1999-03-19 2000-09-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リニアモータの動特性測定装置
JP2009139187A (ja) * 2007-12-05 2009-06-25 Sumitomo Heavy Ind Ltd トルク測定装置
JP2013190355A (ja) 2012-03-14 2013-09-26 E-Bike Corp 電動車両用モータの試験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8348A (ko) 2019-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9128B1 (ko) 모터 다이나모미터 및 모터성능평가방법
CN110631474B (zh) 电机校准系统、方法、装置、控制器及存储介质
KR100680347B1 (ko) 토크측정기 검사장치
US9494479B2 (en) Drive shaft balancing machine having two pedestals and first and second vibration sensors and balancing method
JP2007012019A (ja) センサ装置
CA2460103A1 (en) Fastening apparatus and method
US20140283598A1 (en) Dynamic balance detecting device
JP5884415B2 (ja) トルク測定装置
EP3404826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rotation angle of swinging head of fan, and fan
CN106768565B (zh) 一种小型无人飞行器电机的测试装置
CN110645891A (zh) 电机校准系统、方法、装置、控制器及存储介质
US20210190541A1 (en) Magnetic encoder, method, system for detecting absolute electrical angle, and readable storage medium
JP5418877B2 (ja) 4探針抵抗率測定装置
CN112713836B (zh) 一种电机零点标定装置和方法
JP2007315994A (ja) 回転電機の温度変化検知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6109565A (ja) モータのコギングトルク測定装置及び測定方法
JP2009293908A (ja) 空気調和装置及び空気調和装置の異常検知方法
JP2006275637A (ja) エンジンバランス測定装置および方法
KR101654740B1 (ko) 편심 보정이 가능한 공작 기계 회전 테이블 및 그 편심 보정 방법
CN211602254U (zh) 一种发电机扭矩传感器
US20200080904A1 (en) Variable load dyno system
KR20120058789A (ko) 탄성지지체를 이용한 진동 모터의 진동력 측정 장치
WO2020236671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monitoring health and performance of a mechanical system
JP2005297133A (ja) 締付け工具およびボルト軸力の測定方法
WO2020069749A1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measuring temperature of rotating shaf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