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9024B1 - 착탈식 안테나들을 가진 리더기 - Google Patents

착탈식 안테나들을 가진 리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9024B1
KR101989024B1 KR1020180047056A KR20180047056A KR101989024B1 KR 101989024 B1 KR101989024 B1 KR 101989024B1 KR 1020180047056 A KR1020180047056 A KR 1020180047056A KR 20180047056 A KR20180047056 A KR 20180047056A KR 101989024 B1 KR101989024 B1 KR 101989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reader
storage
uni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7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4688A (ko
Inventor
손영전
Original Assignee
손영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영전 filed Critical 손영전
Priority to KR1020180047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9024B1/ko
Publication of KR20180084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46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9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9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1/00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91Electronic or electric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착탈식 안테나를 가진 리더기는 복수의 안테나 결합부들 각각에 켄틸레버타입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물품에 포함된 전자태그로부터 태그정보를 리드하기 위한 복수의 착탈식 안테나들을 가진다. 복수의 착탈식 안테나들 각각은 대응하는 안테나 결합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수납공간을 두 개의 수납 셀들로 각각 분리하는 칸막이로 제공되는 안테나 베이스와, 안테나 베이스에 설치되어 수납공간을 향하여 독취공간을 형성하는 안테나와, 안테나 베이스에 설치되어 안테나를 대응하는 안테나 결합부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안테나 단자부를 구비한다. 따라서 리더기는 복수의 착탈식 안테나들을 통하여 각 수납공간들의 물품의 수납 또는 반출여부를 검출하고, 검출한 착탈식 안테나의 결합위치로 물품의 수납위치 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Description

착탈식 안테나들을 가진 리더기{ Reader having Removable Antennas}
본 발명은 착탈식 안테나들을 가진 리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납공간에 1:1로 설치된 착탈식 안테나를 통하여 수납되는 물품의 수납여부 및 수납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착탈식 안테나를 가진 리더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전기전자제품은 회로기판을 포함한다. 회로기판은 인쇄회로기판에 다수의 전자부품들, 예컨대 집적회로 칩, 다이오드, 및 트랜지스터 등의 능동소자부품들 또는 저항, 콘덴서 및 코일과 같은 수동소자부품들이 실장된 회로장치이다.
이러한 회로장치의 부품들은 부품실장설비(또는 칩 마운트)에서 부품 리스트 및 기판 설계도 등에 기초하여 기판에 설치된다. 다수의 부품들은 부품실장설비에 장전되기 적합하도록 릴 포장되어 유통된다. 릴에 수납된 부품들 중 일부 부품들이 사용되면 나머지 부품들은 다음 회로기판 제작에 사용하기 위하여 릴 수납장치에 보관 관리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릴은 수납되는 부품, 메이커 또는 릴 포장업체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형상을 가지게 된다. 보편적으로 7"(180mm) 또는 13"(330mm) 직경을 가진 릴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릴의 축방향 폭은 수납되는 부품의 사이즈에 따라 5mm ~ 50mm 범위 내에서 다양한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릴 수납장치는 다양한 크기의 릴들을 수십 내지 수천 개를 수납할 수 있어야 하고 수많은 릴들이 수납된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관리 되어야 한다.
종래에는 로봇 시스템을 적용한 릴 수납장치가 소개되고 있으나 고가의 시스템임에도 불구하고 반입반출시 실시간 처리가 곤란하여 실용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어서 널리 보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이와 같은 로봇 시스템은 가성비가 낮기 때문에 대규모의 부품실장업체를 제외하고는 일반 부품 판매업소, 중소기업 또는 연구소 등에서 구입 이용한다는 것은 매우 어렵다 할 것이다.
한편, 등록특허 제10-1229981호, 일본특허 제2607348호, 일본공개특허 제2001-15984호에서는 릴 수납공간에 1:1로 검출 스위치를 설치하여 릴 수납여부 및 수납위치를 검출하고 부품식별정보는 바코드 리더기로 리드하여 리드된 부품식별정보를 수납위치에 연계시켜 관리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스위치 검출방식은 구조가 복잡하고 수십 내지 수백 개의 스위치들의 고장발생확률이 높아서 고장 수리 및 유지보수가 곤란하다.
한편 안테나를 이용하여 물품의 수납위치를 검출하고자 하는 종래 기술들이 다음과 같이 소개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03-72919호에서는 상하 다단으로 설치된 복수의 선반들 중 어느 선반에 물품이 있는지를 안테나로 검출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그러나 선반 내에 어느 위치에 어떤 물품이 존재하는지를 검출하는 기술은 개시하지 않는다.
일본등록특허 제4535781호, 공개특허 제2007-88953호에서는 선반에 설치된 복수의 칸막이 마다 직립형 안테나를 설치하고 수납위치를 검출할 때 인접하는 안테나들의 전파 간섭을 회피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로 인접하는 안테나들을 구동하거나 전파의 독취 거리에 따라 칸막이를 설정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일본특허공개 제2008-37561호에서는 각 구획마다 안테나를 설치하고 각 구획마다 설치된 안테나를 통하여 수납위치에 물품 수납여부를 검출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그러나 인접 안테나들 사이의 간섭문제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있다.
일본등록특허 제5472779호에서는 칸막이 안테나들 사이에 여러 개의 릴을 수납할 경우 전자태그의 중첩으로 인한 안테나 간섭문제를 가르치고 있다.
등록특허 제10-0883996호에서는 칸막이 내의 차폐된 영역에 상하로 안테나를 설치하여 상부에 태그가 부착된 물품과 바닥에 태그가 부착된 물품 모두 태그 리드가 가능한 기술을 개시한다.
일본공개특허 제2014-28687호에서는 릴의 캐리어 테이프에 전자태그를 부착하고, 릴 수납공간마다 리더기를 각각 배설하고, 특정 수납위치에 특정 부품이 수납되도록 설정한 다음에 설정된 수납위치에 대응하는 부품이 수납되도록 관리하는 부품재고관리시스템을 소개하고 있다.
상술한 종래의 안테나 검출방식들은 하나의 수납공간에 복수의 물품들을 동시에 수납하는 기술을 가르친다. 따라서 복수의 물품을 하나의 수납공간에서 수납할 경우 안테나 간섭 문제와 태그 부착위치에 따른 독취 불능 문제를 가지고 있다. 특히 릴 수납장치에서는 릴의 원판형 구조와 전자태그의 부착위치의 제한 때문에 물품 하나에 안테나 하나씩 1;1로 배치하여 수납위치를 관리하는 기술은 수십 내지 수백 개의 안테나 어레이를 구성한다는 것이 제조단가 문제, 안테나들 사이의 간섭문제 등으로 사실상 제품화한다는 것이 매우 어려운 실정이었다.
따라서 전자부품 수납용 릴의 수납 및 부품관리 분야에서는 정확한 수납위치의 검출 및 관리가 가능하면서도 릴의 직경이나 폭 사이즈에 관계없이 범용적으로 수납이 가능하면서도 구입비용이 저렴한 경제적인 물품수납장치의 출현이 요구 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납되는 물품의 사이즈에 따라 안테나 설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는 착탈식 안테나를 가진 리더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많은 안테나들을 착탈식 모듈로 구성함으로써 매우 저렴하고 간단하게 제작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고장 수리 및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착탈식 안테나를 가진 리더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품수납장치에 적합한 착탈식 안테나를 가진 리더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물품수납장치는 전자태그를 리드하는 것에 의해 물품의 수납여부를 검출하는 물품수납장치에 있어서, 수납공간을 가진 캐비닛과, 캐비닛에 설치되고 N개의 안테나 결합부들을 가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더기와, N개의 안테나 결합부들 각각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M개의 착탈식 안테나들을 구비한다. 여기서 수납공간은 M개의 착탈식 안테나들 중 N개의 안테나 결합부들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Figure 112018040472426-pat00001
개의 착탈식 안테나들에 의해 임의의 사이즈를 가진 L개의 수납 셀들로 각각 분할된다.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더기들 각각은 L개의 수납 셀들 각각에 대응하는 L개의 착탈식 안테나들을 활성화하여 각 수납 셀에 수납된 물품의 전자태그를 리드하는 것에 의해 물품의 수납여부를 검출한다.
그러므로 수납되는 물품 사이즈에 적응적으로 착탈식 안테나의 결합위치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수납 셀의 사이즈를 임의의 크기로 변경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사이즈를 가진 물품들을 수납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범용성이 증대된다.
본 발명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더기들 각각은 N개의 안테나 결합부들을 각각 선택하는 선택부와, 선택된 안테나 결합부의 착탈식 안테나의 결합유무를 검출하는 안테나 결합 검출부와, 선택된 안테나 결합부의 착탈식 안테나를 통하여 전자태그를 리드 또는 라이트하는 리드/라이트부와,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각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제어부는 L개의 수납 셀들에 각각 대응하는 안테나 결합부를 선택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선택된 안테나 결합부에 결합된 착탈식 안테나를 활성화하여 전자태그를 리드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리드동작의 결과에 따라 태그리드정보(TR)를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부에서는 N개의 안테나 결합부들 각각에 착탈식 안테나의 결합유무를 검출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검출동작 결과에 따라 안테나 결합정보(AC)를 발생할 수 있다. 안테나 결합정보(AC)에 응답하여 L개의 수납 셀들에 각각 대응하는 안테나 결합부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안테나 결합정보(AC)에 응답하여 L개의 수납 셀들의 크기를 판단하는 동작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안테나 결합정보(AC)에 응답하여 상기 L개의 수납 셀들의 순번 테이블을 작성하고, 작성된 수납 셀 순번 테이블을 저장부에 저장하고, 저장된 수납 셀 순번 테이블에 따라 선택부를 제어하여 L개의 수납 셀들을 주기적으로 선택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더기들 각각은 안테나 결합부들 각각의 임피던스 변화에 따라 착탈식 안테나의 착탈상태를 검출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N개의 안테나 결합부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더기들 각각의 인쇄회로기판 상에 형성되어 결합되는 착탈식 안테나와 전기적 접촉을 위한 안테나 접촉부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더기들 각각의 케이스에 형성되어 결합되는 착탈식 안테나를 지지하기 위한 안테나 지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N개의 안테나 결합부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더기들 각각의 인쇄회로기판 상에 형성되고, 선택부에 의해 선택되는 안테나 정합회로와, N개의 안테나 정합회로들 각각의 단자부로 제공되어 착탈식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안테나 접촉부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더기들 각각의 케이스에 형성되어 결합되는 착탈식 안테나를 지지하기 위한 안테나 지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착탈식 안테나는 수납 셀을 향하는 안테나의 독취공간의 중심이 서로 다른 적어도 두 종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종류의 착탈식 안테나를 교체하는 것에 의해 다양한 사이즈의 물품들의 수납 관리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특히 두 종류의 착탈식 안테나들 중 하나의 종류는 7인치 릴의 중심에 독취중심이 위치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의 종류는 13인치 릴의 중심에 독취중심이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안테나 베이스는 전도성 금속판이고, 전도성 금속판은 안테나 및 안테나 단자부의 형상과 동일하게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착탈식 안테나의 제작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어서 경제적이다.
본 발명에서 안테나는 C자형이고, 안테나 단자부는 C자형 양단에서 안테나 접촉부까지 평행하게 연장된 평행 라인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안테나 단자부의 후단에는 안테나 지지부에 삽입되어 각각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 쌍이 형성되고, 걸림돌기 쌍 각각의 전단은 안테나 지지부에서 케이스에 걸리는 걸림턱으로 제공되고, 각각의 후단은 내측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안테나의 착탈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에서 안테나 단자부 후단부에는 안테나 접촉부에 각각 접촉되는 탄성 접촉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안테나와 리더기 회로부의 접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안테나 베이스는 인쇄회로 절연기판이고, 안테나 및 안테나 단자부는 인쇄회로 절연기판 상에 형성된 전도성 패턴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안테나 베이스는 안테나가 형성된 면의 반대면에 전자파 차폐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더기들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캐비닛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N 개의 안테나 결합부들에 각각 대응하는 N 개의 광원들을 가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시 바와, N 개의 광원들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N 개의 광원들 중 L개의 수납 셀들에 각각 대응하는 L 개의 광원들을 구동부를 통하여 물품의 반출 및 반입 위치표시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캐비닛은 한 쌍의 수직 프레임들과, 한 쌍의 수직 프레임들의 전단부 사이에 수평으로 고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방 수평 프레임과, 한 쌍의 수직 프레임들의 후단부 사이에 수평으로 고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방 프레임을 구비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방 프레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시 바를 지지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방 프레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더기를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착탈식 안테나는 안테나 결합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인접하는 두 개의 수납 셀들을 각각 분리 구획하는 칸막이로 제공되는 안테나 베이스와, 안테나 베이스에 설치되어 인접하는 두 개의 수납 셀들 중 하나의 수납 셀을 향하여 독취공간을 형성하는 안테나와, 안테나 베이스에 설치되어 안테나와 안테나 결합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안테나 단자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리더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테나 지지부가 형성된 케이스와, 케이스 내에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테나 지지부와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테나 접촉부를 가진 인쇄회로기판과, 안테나 지지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인접하는 두 개의 수납 셀들을 각각 분리 구획하고, 두 개의 수납 셀들 중 하나의 수납 셀을 향하여 독취공간을 형성하고, 안테나 접촉부에 분리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착탈식 안테나와,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리더기 회로를 구비한다. 여기서 리더기회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테나 접촉부를 각각 선택하는 선택부와, 선택된 안테나 접촉부의 착탈식 안테나의 결합유무를 검출하는 안테나 결합 검출부와, 선택된 안테나 접촉부의 착탈식 안테나를 통하여 전자태그를 리드 또는 라이트하는 리드/라이트부와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각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한 물품수납장치의 제어방법은 N개의 안테나 결합부들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Figure 112018040472426-pat00002
개의 착탈식 안테나들에 의해 분할된 임의의 사이즈를 가진 L개의 수납 셀들을 선택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선택된 수납 셀에 대응하는 착탈식 안테나를 활성화하여 전자태그 리드동작을 수행하고, 리드동작의 결과에 따라 선택된 수납 셀의 태그리드정보(TR)를 발생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스탠드 얼론 타입의 물품수납장치는 수납공간을 가진 캐비닛과, 캐비닛에 설치되고 N개의 안테나 결합부들을 가진 복수의 리더기들과, N개의 안테나 결합부들 각각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M개의 착탈식 안테나들과, 복수의 리더기들 각각에 대응하여 캐비닛에 설치되고, N 개의 안테나 결합부들의 사이 공간들에 각각 대응하는 N 개의 광원들이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시 바와, 캐비닛에 설치되고 반입 및 반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캐비닛에 설치되고,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반입 및 반출 정보 및 부품 검색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와, 캐비닛에 내장되고, 부품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된 저장부와, 캐비닛에 내장되고, 복수의 리더기들,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시 바, 입력부, 디스플레이 및 저장부를 제어하여 물품의 반입 및 반출을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수납공간은 복수의 리더기들의 배열방향에 대해서 복수의 수납 단들로 분할되고, 복수의 수납 단들 각각은 상기 M개의 착탈식 안테나들 중 상기 N개의 안테나 결합부들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Figure 112018040472426-pat00003
개의 착탈식 안테나들에 의해 임의의 사이즈를 가진 L개의 수납 셀들로 각각 분할된다.
본 발명의 스탠드 얼론 타입의 물품수납장치의 제어방법은 복수의 리더기들 각각이 대응하는 수납 단에서 N개의 안테나 결합부들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Figure 112018040472426-pat00004
개의 착탈식 안테나들에 의해 분할된 임의의 사이즈를 가진 L개의 수납 셀들을 선택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선택된 수납 셀에 대응하는 착탈식 안테나를 활성화하여 전자태그 리드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리드동작의 결과에 따라 상기 선택된 수납 셀의 태그리드정보(TR)를 발생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시스템 제어부에서 복수의 리더기들 각각으로부터 발생된 태그리드정보(TR)에 따라 동일 수납 셀 위치에서 현재정보와 이전정보를 비교하고, 비교결과 태그리드정보(TR)의 변동에 응답하여 해당 수납 셀의 물품 반입 또는 반출을 판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물품수납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좌측판, 우측판, 한 쌍의 좌우측판들의 전단부 사이에 수평으로 결합되고 수평방향으로 복수의 광원들이 배열된 표시 모듈, 한 쌍의 좌우측판들의 후단부 사이에 수평으로 결합되고, 케이스 전면에는 수평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장공들이 형성된 리더기 모듈, 리더기 모듈의 복수의 장공들에 각각 삽입되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좌우측판들 사이의 공간을 복수의 수납 셀들로 분리하는 수직 칸막이로 제공되는 복수의 착탈식 안테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리더기는 착탈식 안테나의 결합위치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수납 셀의 크기를 임의의 크기로 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사이즈의 물품들의 수납이 가능하다. 따라서 범용성이 증대된다.
또한 하나의 수납 셀에 하나의 물품만을 1:1로 수납 관리할 수 있으므로 물품의 수납위치를 착탈식 안테나로 정확하게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여 반입반출관리가 용이하고, 전파 간섭으로 인한 판독 불능상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착탈식 안테나를 수납공간을 구획하는 칸막이로 사용하므로 수납되는 물품의 중심과 안테나 독취범위의 매칭이 용이하여 물품의 수납방향에 관계없이 확실한 전자태그의 판독이 가능하므로 전자태그 판독오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리더기 케이스와 수십 개의 안테나들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므로 안테나 손상시 교체가 용이하여 고장 수리 및 유지 보수가 간편하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인 물품수납장치(100)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물품수납장치의 캐비닛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우측 수직 프레임(112)의 좌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선반모듈(16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착탈식 전자태그를 가진 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직경 7인치(180mm) 릴의 다양한 형상들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직경 13인치(330mm) 릴의 다양한 형상들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물품수납장치의 표시 바(130)와 리더기 케이스(120) 사이에 릴(200)이 걸쳐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리더기 케이스(120) 및 착탈식 안테나(140)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리더기 케이스(120) 및 착탈식 안테나(140)가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도 10의 안테나 베이스의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표시 바(130)의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표시 바(130)의 분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서 릴(200)의 수납 셀(160)을 설명하기 위해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서 릴(200)의 수납 셀(160)을 설명하기 위해 평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물품수납장치의 착탈식 안테나의 결합유무에 의해 폭이 가변되는 수납 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발명에 의한 물품수납장치에서 릴의 직경에 따른 2 종류의 착탈식 안테나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물품수납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전체 블록도.
도 19는 도 18의 리더기회로의 상세 블록도.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물품수납장치의 전자태그 리드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흐름도.
도 21은 본 발명에 의한 물품수납장치의 안테나 검출제어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흐름도.
도 22는 본 발명에 의한 수납 셀 스캔 정보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23은 본 발명에 의한 안테나 스캔 정보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24는 본 발명에 의한 물품수납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외관 사시도.
도 25는 도 24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회로블록도.
도 26은 본 발명에 의한 스탠드 얼론 타입의 물품수납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흐름도.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說示)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한편,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 블록 내에 명기된 기능 또는 동작이 순서도에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는 두 블록이 실제로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관련된 기능 또는 동작에 따라서는 상기 블록들이 거꾸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물품을 부품 수납용 릴을 예로들어 설명하지만 물품은 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물품은 도서, 파일, 약품, 생필품, 타이어, 디스크, 전자제품 등 선반에 보관 관리되는 다양한 물품들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인 물품수납장치(100)의 외관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는 도 1의 물품수납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물품수납장치(100)는 캐비닛(110), 7층 또는 7단으로 구성된 7개의 리더기 케이스들 또는 리더기 모듈들(120), 7개의 표시 바들 또는 표시 모듈들(130), 각 선반마다 45개씩의 착탈식 안테나들(140), 중계기(1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캐비닛(10)의 수납공간은 리더기들의 배열방향인 수직방향을 따라 7단의 수납 단들로 분할되고, 각 수납 단들은 다시 45개의 착탈식 안테나들에 의해 45개의 수납 셀들로 분할될 수 있다. 여시서 수납 셀들의 수는 착탈식 안테나들의 결합 수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수납되는 물품(200)은 전자부품 수납용 릴(200)이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리더기의 단수나 착탈식 안테나들의 수는 실시예 한정되지 않고 물품에 따라 임의의 수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캐비닛(110)은 7단의 선반들을 포함한 것으로 한 쌍의 수직 프레임들(111, 112)과, 7개의 전방 수평 프레임들(113), 7개의 복수의 후방 수평 프레임들(114), 상부 커버(115), 하부 커버(116), 및 바닥판(118)을 포함한다.
한 쌍의 수직 프레임들(111, 112)은 7개의 전방 수평 프레임들(113), 7개의 후방 수평 프레임들(114), 상부 커버(115) 및 하부 커버(116)와 조립되어 전후방이 개방된 상자형태를 형성한다. 7개의 전방 수평 프레임들(113)은 7개의 표시 바들(130)을 각각 지지한다. 7개의 후방 수평 프레임들(114)은 7개의 리더기 케이스들(120)을 각각 지지한다.
우측 수직 프레임(112)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7개의 리더기 케이스들(140) 각각의 일측면과 면접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각각 형성된 7개의 제1통공들(112a)과, 7개의 표시 바들(130) 각각의 일측면과 면접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각각 형성된 7개의 제2통공들(112b)을 포함할 수 있다. 우측 수직 프레임(112) 내부에는 중계기(150)와 전원장치가 수납되고, 중계기(150)와 전원장치는 제1 및 제2통공들(112a, 112b)을 통하여 7개의 리더기 케이스(120) 내부에 수납된 리더기 회로기판들과 7개의 표시 바들(130) 내부에 수납된 표시회로기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7개의 표시 바들(130)과 7개의 리더기 케이스들(120)은 서로 쌍을 이루어 7단의 선반들을 구성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선반모듈(16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7개의 표시 바들(130)과 7개의 리더기 케이스들(120), 7개의 전방 수평 프레임들(113), 7개의 후방 수평 프레임들(114)을 각각 대응하는 7개의 선반모듈(160)로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7개의 선반모듈(160)들은 각각 한 쌍의 수직 프레임들(111, 112)에 간단한 나사 조립으로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각 선반모듈(160)은 좌우측판(162, 164)을 포함한다. 좌우측판(162, 164) 사이에 전방 수평 프레임(113) 및 후방 수평 프레임(114)을 조립한 다음에 전방 수평 프레임(113)에는 표시 바(130)를 설치하고, 후방 수평 프레임(114)에는 리더기 케이스(120)를 설치한다. 좌측판(162)의 통공(162a, 162b)들은 각각 제1 및 제2통공(112a, 112b)에 대응한다.
따라서 선반모듈(160) 구성은 도 2의 개별 부품 조립방식과 비교하여 캐비닛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표시 바(130)와 리더기 케이스(120) 사이의 간격(S)은 릴(200)의 지름(D) 보다 좁다. 착탈식 안테나들(140) 각각은 1:1 독취를 위하여 안테나 독취 방향이 길이방향과 일치하고, 독취방향이 일측방향으로만 한정된다. 착탈식 안테나들(140)의 안테나 외경은 릴의 코어영역에 매칭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물품수납장치(100)는 7단을 모두 7인치 릴 사이즈 또는 13인치 릴 사이즈로 구성하거나 7단 중 상측 5단은 7인치 릴 사이즈로 구성하고 하측 2단은 13인치 릴 사이즈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릴 사이즈는 7인치와 13인치를 대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착탈식 전자태그를 가진 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직경 7인치(180mm) 릴의 다양한 형상들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직경 13인치(330mm) 릴의 다양한 형상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통상적으로 릴(200)은 코어(210) 및 플랜지(212, 214)를 구비한다. 코어(210)의 중심에는 아버(arbor) 홀(216)이 형성되고, 코어(210)의 원주면에 캐리어 테이프(220) 및 탑 커버 테이프(222)로 구성된 부품 수납 테이프가 감겨진다. 캐리어 테이프(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엠보싱된 수납 홈들이 각각 형성되고 이 수납 홈들 내에 부품(240)이 수납되고 탑 커버 테이프(222)로 밀봉된다.
모든 릴들은 직경의 크기에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중심에는 13mm의 축공이 형성되고 축공 둘레에는 3개의 축 걸림홈들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플랜지(212, 214)의 어느 일편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창(218)이 형성되어 있다. 창(218)을 통하여 감겨진 캐리어 테이프의 반경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서 대략적인 잔량을 짐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아버 홀(216)에 착탈식 전자태그(250)를 장착한다.
다음 < 표 1 >은 8가지 종류의 7인치 릴들의 외경, 두께, 축공 내경 및 축 걸림홈 폭의 측정치를 나타낸다.
< 표 1 >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두 7인치 릴들의 직경은 오차범위 이내이지만 이지만 릴 폭(W)은 10 ~ 20.5mm 까지 최대 2배의 차이가 난다.
따라서 착탈식 안테나들(140) 간격을 15mm로 할 경우에 A, B, C 타입의 릴은 수납이 불가능하다. 착탈식 안테나들(140) 간격을 20mm로 할 경우에 B 타입의 릴을 제외하고는 모두 수납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캐비닛의 폭이 일정하다고 가정하면 착탈식 안테나의 간격을 20mm로 하는 경우에는 15mm로 하는 경우에 비해 동일 공간에 수납할 수 있는 수량이 줄게 될 것이다. 또한 20mm로 하는 경우에도 B 타입의 릴은 수납이 곤란하다. 즉 안테나 간격을 일정 간격으로 고정할 경우에는 다양한 폭을 가진 릴들 중 고정된 간격보다 큰 폭을 가진 릴들은 수납이 불가능하므로 전자태그를 이용한 전산관리가 불가능하게 될 것이다.
< 표 1 > 릴의 치수
Figure 112018040472426-pat00005
그러므로 캐비닛의 폭이 일정하다고 가정하면 착탈식 안테나의 간격을 20mm로 하는 경우에는 15mm로 하는 경우에 비해 동일 공간에 수납할 수 있는 수량이 줄게 될 것이다. 또한 20mm로 하는 경우에도 B 타입의 릴은 수납이 곤란하다. 즉 안테나 간격을 일정 간격으로 고정할 경우에는 다양한 폭을 가진 릴들 중 고정된 간격보다 큰 폭을 가진 릴들은 수납이 불가능하므로 전자태그를 이용한 전산관리가 불가능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착탈식 안테나를 예컨대 12mm 간격으로 구성하면 D, E, G 타입의 릴은 그대로 수납할 수 있다. 그리고 A, B, C, F, H 타입은 2칸에 착탈식 안테나를 하나씩 결합함으로써 최소 24mm보다 큰 수납 셀들 형성할 수 있으므로 수납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착칼식 안테나들의 간격을 임의의 크기로 조절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폭을 가진 모든 릴들의 수납이 가능하므로 전자태그를 이용한 완벽한 전산 관리가 가능하다.
도 8은 표시 바(130)와 리더기 케이스(120) 사이에 릴(200)이 걸쳐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릴(200)은 표시 바(130)와 리더기 케이스(120) 사이에 빠지지 않게 걸쳐지게 된다. 착탈식 안테나(140)의 독취 중심이 릴(200)의 중심에 실질적으로 일치한 캔틸레버형태로 결합되어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리더기 케이스(120) 및 착탈식 안테나(140)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10은 리더기 케이스(120) 및 착탈식 안테나(140)가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의 안테나 베이스의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리더기 케이스(12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수평 바 형태로, 전방 케이스(121), 후방 케이스(122), 인쇄회로기판(123)을 포함한다. 전방 케이스(121)의 전면에는 46개의 삽입공 형태의 안테나 지지부들(121a)이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후방 케이스(122)에도 46개의 결합공 형태의 안테나 지지부들(122a)이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인쇄회로기판(123)에는 46개의 안테나 접촉부들(123a)이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서로 대응하는 안테나 지지부(121a), 안테나 접촉부(123a) 및 안테나 지지부(122a)들은 착탈식 안테나(140)가 삽입되는 방향과 동일 선상에 배치된다. 착탈식 안테나(140)의 후단부는 안테나 지지부(121a) 및 안테나 접촉부(123a)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최종적으로 안테나 지지부(122a)에 결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안테나 결합부는 안테나 지지부, 안테나 접촉부 및 안테나 정합회로를 포함한다.
여기서 안테나 결합부의 전기적 결합을 위한 안테나 접촉부(123a)는 내측면에 접촉도체가 형성된 접촉공 또는 접촉홈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46번째 안테나 결합부에 결합되는 착탈식 안테나는 여분의 안테나로 실질적으로 리드 동작에는 사용되지 않고 단순히 마지막 수납 셀의 칸막이로 제공된다. 그러므로 최대 수납 셀은 45개로 형성되고 45개의 착탈식 안테나들에 의해 수납여부의 검출이 가능하다.
착탈식 안테나(140)는 주걱형태로 전면 커버(141), 안테나 베이스(142), 전자파 차폐막(143) 및 후면 커버(144)를 포함한다. 전면 커버(141)와 후면 커버(144)는 조립되어 주걱형 판상의 안테나 케이스를 형성한다. 후면 커버(144) 내측면에 전자파 차폐막(143)이 부착되고 안테나 베이스(142)를 수납한 상태에서 전면 커버(141)와 후면 커버(144)를 조립하면 착탈식 안테나(140)가 형성된다. 착탈식 안테나(140)는 리더기 케이스(120)에 고정단(140a)이 결합되고 자유단(140b)이 돌출된 캔틸레버 형상을 한다. 전면 커버(141)와 후면 커버(144)의 후단부 외측면에는 각각 결합용 돌기들(141a, 144a)이 형성되고, 이 결합용 돌기들(141a, 144a)이 안테나 지지부(121a)에 삽입되어 고정단(140a)으로 제공된다. 착탈식 안테나(140)는 안테나 케이스를 이루는 전면 커버(141)와 후면 커버(144)의 후단에서 후방으로 안테나 베이스(142)의 후단부가 노출된다. 노출된 안테나 베이스(142)의 후단부는 리더기 케이스(120)로 삽입되어 회로기판(12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안테나 베이스(142)는 C자형 안테나(142a)와 한 쌍의 안테나 단자부(142b, 142c)를 포함한다. 안테나 베이스(142)는 레이저 커팅 또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C자형 안테나 (142a)와 한 쌍의 안테나 단자부(142b, 142c)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C자형 안테나 (142a)는 한 쌍의 안테나 단자부(142b, 142c)의 후단들이 서로 마주보고 내측방향으로 접근하도록 작용하는 외력에 대해서 후단들이 서로 외측방향으로 복원되도록 작용하는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체 역할도 한다. 그러므로 결합시 탄성 복원력에 의해 리더기 케이스(120)에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안테나 단자부(142b, 142c) 각각의 후단은 캔틸레버의 고정단으로 제공된다. 고정단의 후단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돌기 쌍(142d, 142e)이 형성되고, 걸림돌기 쌍(142d, 142e) 각각의 전단은 복원상태에서 리더기의 케이스에 걸리는 걸림턱(142f, 142g)으로 제공되고, 걸림돌기 쌍(142d, 142e) 각각의 후단은 내측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도록 경사부(142h, 142i)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분리시 경사부(142h, 142i)를 내측 방향으로 눌러주면 전방으로 분력이 작용하여 걸림턱(142f, 142g)이 결합공(122a)에서 벗어나 전방으로 이동되는 힘을 받게 되므로 분리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여기서 한 쌍의 걸림돌기들을 외측방향으로 벌어지게 하는 캡 또는 내측방향으로 좁혀지게 하는 캡으로 씌어서 안테나 결합부의 안테나 접촉단자 쌍에 한 쌍의 안테나 단자부의 접촉을 좋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한 쌍의 안테나 단자부(142b, 142c) 각각의 후단부에는 안테나 결합부에 결합시 안테나 접촉단자 쌍에 각각 접촉되는 탄성 접촉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안테나 단자부(142b, 142c)의 후단 돌출부 각각에는 좌우측 중 어느 한 방향으로 돌출된 탄성 접촉부(142m, 142n)가 형성된다. 탄성 접촉부(142m)는 우측방향으로 휘어져 돌출되고, 탄성 접촉부(142n)는 좌측방향으로 휘어져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접촉부(142m, 142n)는 안테나 베이스(142)가 회로기판(123)의 안테나 접촉부(123a) 내측면의 접촉단자에 탄력적으로 안정되게 접촉되도록 한다. 전자파 차폐막(143)은 안테나 베이스(142)의 한 쌍의 안테나 단자부 (142b, 142c)의 선단부까지 연장된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표시 바(130) 사시도이고 도 13는 도 12의 표시 바(13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표시 바(130)는 전방 수평 프레임(113)에 결합된 회로기판(132), 광학모듈(134) 및 커버(136)를 포함한다. 회로기판(132)은 전방 수평 프레임(113)에 고정된다. 회로기판(132)에는 45개의 수납 셀들에 대응하여 수납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광원(131), 예컨대 LED소자들이 실장되어 있다. 회로기판(132)에 실장된 광원들은 9개씩 5개의 광학모듈(134)에 광학적으로 결합된다. 광학모듈(134)은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커버(136)의 표시홀(136a)에 전달하는 광도파로 역할을 한다. 여기서 광원(131)은 적색 및 녹색 LED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바(130)는 45개의 표시홀(136a)을 통해 광원들(131)의 광을 조사함으로써 45개의 수납 셀들의 각 수납상태를 적색 또는 녹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서 릴(200)의 수납공간(160)을 설명하기 위해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5는 평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릴(200)의 중심과 착탈식 안테나(140m)의 독취 중심이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표시 바(130)의 설치 높이가 결정되고, 리더기 케이스(120)의 설치 깊이가 결정된다. 안테나(140m)의 독취 범위(170)는 점선으로 표시된 영역으로 한정된다. 따라서 릴(200)(이점쇄선으로 표시)은 리더기 케이스(120)와 표시 바(130)에 의해 받쳐지고, 인접하는 착탈식 안테나(140m, 140n)들 사이에서 좌우측면이 지지되어 수납공간(160) 내에 수납된다. 착탈식 안테나(140m, 140n)들 사이 공간의 중심에 맞춰서 수납공간(160)의 수납위치 표시용 광원인 LED(131)가 위치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수납되는 릴(200) 중심은 1:1로 착탈식 안테나(140)와 매칭된다. 착탈식 안테나(140)는 인접 안테나와 간섭없이 정확하게 수납공간(160) 내에 수납된 릴(200)의 중심에 위치한 전자태그에만 자기적으로 결합될 것이다. 또한 수납되는 릴(200)의 중심과 착탈식 안테나(140)의 독취범위의 중심이 실질적으로 일치되므로 전자태그가 릴(200)의 중심부인 코어영역 내에만 부착되거나 포함되면 되므로 수납 방향에 관계없이 항상 정확하게 전자태그와 자기적 결합이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작업자는 수납방향을 고려치 않고 어떤 방향으로든지 수납하기만 하면 되므로 수납방향에 따른 독취불능의 오류가 없다.
도 16을 참조하면, 수납공간 S1, S2, S3, S6에 대응하여 착탈식 안테나 A1, A2, A3, A6는 결합상태이고 수납공간 S4, S5에 대응하여 착탈식 안테나 A4, A5는 분리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리더기는 착탈식 안테나 A1, A2, A3, A6에 대해서는 리드동작을 수행하고 수납공간 S4, S5에 대해서는 리드동작을 스킵하게 된다. 본 발명의 리더기에서는 안테나 결합유무 검출이 가능하므로 수납 셀의 순번(C1, C2, C3, C4) 관리가 가능하고, 수납 셀의 사이즈에 따라 대응하는 착탈식 안테나의 자기장 크기를 다르게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수납 셀 C3에서는 폭이 W2로 다른 수납 셀들(C1, C2, C4) 보다 크므로 안테나 리드동작시 전자기장의 세기를 더 강하게 발생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관리센터(300)에서는 착탈식 안테나 A3을 통하여 최소한 W1 폭 보다는 크고 W2( > S3+S4+S5) 폭 이하의 사이즈를 가진 물품의 수납 및 반출 여부를 관리할 수 있다.
도 17은 발명에 의한 물품수납장치에서 릴의 직경에 따른 2 종류의 착탈식 안테나들을 나타낸다.
도 17을을 참조하면, 상술한 착탈식 안테나(140)는 수평형으로 7인치 릴(RL7)(이점쇄선으로 도시)에 적합한 독취 중심(M1)을 가진다. 착탈식 안테나(140-RL13)는 L자형으로 13인치 릴(RL13)(실선으로 도시)의 독취중심(M2)에 적합한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리더기의 안테나 결합부에 착탈식 안테나(140) 대신에 착탈식 안테나(140-RL13)를 결합하면 해당 수납 셀에 13인치 릴(RL13)을 수납하여 전자태그를 이용한 반입반출관리가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서는 물품의 폭 뿐만 아니라 높이나 직경이 서로 다른 물품에 대해서도 착탈식 안테나의 교체에 의해 쉽게 전자태그 기반 수납관리가 가능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물품수납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전체 블록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리더기회로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물품수납장치(100)의 하나의 캐비닛의 회로구성은 7층으로 구성된 7개의 리더기 회로(122-1~122-7)와 중계기(150)를 포함한다. 중계기(150)는 원격지에 위치한 관리센터(300)와 리더기 회로들(122-1~122-7)의 데이터 송수신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중계한다. 관리센터(300)는 물품수납장치(200)에 수납된 물품의 현황관리, 재고관리 등의 관리 프로그램이 탑재된 퍼스널 컴퓨터 또는 관리서버일 수 있다. 중계기(150)는 통신허브로 7개의 리더기 회로(122-1~122-7)들과 관리센터(300)의 유선 연결을 하나의 시리얼 통신선으로 간단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중계기(150)와 7개의 리더기 회로(122-1~122-7)들은 각각 시리얼 버스로 연결될 수 있다. 중계기(150)와 관리센터(300)는 LAN 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리더기 회로(122-1~122-7) 각각은 리더기 회로기판(123)에 실장된 회로들과 표시 바(130)에 수납된 표시회로기판(132)에 실장된 회로들로 구분될 수 있다. 리더기 회로기판(123)에 실장된 회로들은 제어부(123g), 안테나 결합 검출부(123b), 리드/라이트부(123c), 선택부(123d), 저장부(123e), 안테나 결합부들(123f-1~123f-n)를 포함한다. 전원회로부의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안테나 결합부는 회로적으로 안테나 정합회로에 해당된다.
제어부(123g)는 마이크로 컴퓨터,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같은 칩셋과 주변회로들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제어부(123g)는 제어프로그램에 의해 선택부(123d)를 통해 안테나 결합부들(123f)을 순차적으로 스위칭 제어한다. 즉 선택부(123d)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안테나 결합부들(123f)을 스캔하는 스캔신호를 발생한다. 안테나 결합부들(123f-1~123f-n)들 각각은 안테나 결합부에 접촉되는 착탈식 안테나의 임피던스를 정합하고, 다른 안테나 결합부들 간의 신호 간섭을 차단하기 위한 회로이다. 하나의 안테나 결합부(123f-1)가 선택되면 나머지 다른 안테나 결합부들은 리드/라이트부(123c)에 분리된 상태로 유지되고 선택된 안테나 결합부부(123f-1)만 리드/라이트부(123c)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리드/라이트부(123c)에서는 제어부(123ㅎ)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착탈식 안테나에 리드신호를 인가하여 착탈식 안테나를 통해 독취범위 내에 전자기장을 형성한다. 리드/라이트부(123c)는 태그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태그정보(TID)를 제어부(123g)에 전달한다. 제어부(123g)에서는 수신된 태그정보(TID)와 대응하는 안테나 결합부의 위치정보(PID)를 조합하여 태그리드정보(TR)를 발생한다. 해당 수납 셀에 수납된 물품이 없는 경우에는 전자태그로부터 리드된 태그정보(TID)가 없기 때문에 태그리드정보(TR)는 위치정보(PID)만을 포함하게 된다.
안테나 결합 검출부(123b)는 안테나 검출모드에서만 활성화 되고, 선택된 안테나 결합부(123f-1)의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안테나 검출신호(AID)를 제어부(123g)에 전달한다. 제어부(123g)에서는 검출된 안테나 검출신호(AID)와 안테나 결합부 위치신호(PID)를 조합한 안테나 결합정보(AC)를 발생한다. 안테나 검출이 없는 경우에는 안테나 결합정보(AC)는 해당 안테나 결합부의 위치정보(PID)만으로 발생된다. 이와 같이 발생된 태그리드정보(TR) 또는 안테나 결합정보(AC)는 저장부(123e)에 저장된다. 제어부(123g)는 저장부(123e)에 저장된 이들 정보를 중계기(150)를 통해 관리센터(300)에 전송한다. 제어부(123g)는 안테나 결합정보(AC)에 응답하여 수납 셀들의 위치를 세팅하고 수납 셀들의 순번 등을 결정하여 수납 셀 순번 테이블을 작성하고 작성된 수납 셀 테이블을 저장부(123e)에 저장한다. 그리고 수납여부를 체크하기 위하여 수납 셀들을 선택할 때 수납 셀 순번 테이블을 참조하여 수납 셀에 대응하는 안테나 결합부들을 선택 제어한다. 따라서 제어부(123g)는 안테나 결합정보(AC)의 변동이 체크되면 변동에 응답하여 수납 셀의 순번을 재조정하고 수납 셀 순번 테이블을 업데이트하게 된다.
구동부(132a)는 제어부(123g) 표시명령에 응답하여 표시 바(130)에 설치된 다수의 광원(131)들의 점소등을 랜덤하게 제어한다. 제어부(123g)의 표시명령에는 광원의 위치정보(PID), 즉 CID+RID+n을 포함한다. 여기서 CID는 캐비닛 식별정보이고, RID는 리더기 식별정보이고, n은 선택된 안테나 결합부의 순번이다. 따라서 구동부(132a)는 위치정보에 응답하여 해당하는 위치에 설치된 광원을 구동하여 반출위치표시, 반입위치표시 또는 반출순서표시 등을 제어한다.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에 의한 물품수납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흐름도이고, 도 22는 본 발명에 의한 수납 셀 스캔 정보의 일예이고, 도 23은 본 발명에 의한 안테나 스캔 정보의 일예를 나타낸다.
제어부(123g)는 물품수납장치의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어부(123g)는 시스템이 시작되면 기본적으로 수납 셀의 순번을 정하기 위하여 안테나 검출모드인지를 판단하고(S102) 안테나 검출제어동작을 수행한다(S122). 안테나 검출제어동작의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S102단계에서 안테나 검출모드가 아니면 모드선택을 판단하고(S104), 표시모드이면 광원 점소등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S124).
제어부(123g)는 중계기(150)를 통하여 관리센터(300)로부터 반출위치표시명령이 수신되면, 모드선택회로(123c)를 통해 구동회로(132a)를 제어하여 선택된 광원의 점소등을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광원을 점멸하거나 점등하는 것에 의해 반출위치를 랜덤하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3g)는 동작 상태나 오류 또는 비상상황 등에 응답하여 구동회로(132a)를 제어하여 대응하는 광원들을 점소등 제어하여 상황을 표시할 수 있다.
S104단계에서 리드모드가 선택되면 수납 셀 카운터 CN 값을 "1"로 한다(S106). 이어서 1번 수납 셀에 대응하는 위치정보(PID = CID + RID + 1)를 참조하여 대응하는 위치의 안테나 결합부(123f-1)를 스위칭하여 1번 안테나 결합부를 선택한다(S108).
제어부(123g)는 안테나 결합부(123f-1)를 통하여 결합된 착탈식 안테나에 전원을 공급하여 안테나를 활성화 시킨다. 활성화된 안테나는 수납 셀(CN1)의 독취범위 내에 전자기장을 형성한다. 대응하는 수납 셀(CN1)에 릴이 없으므로 리드된 태그정보가 없다(S110). 제어부(123g)는 위치정보(PID)만을 포함하는 태그리드정보(TR)를 발생하여 저장부(123E)에 저장한다(S113). 제어부(123g)는 다음 수납 셀(CN2)을 선택하기 위하여 "CN" 값을 1증가시킨다(S114). 증가된 CN값이 최종값인지 판단한다(S116). 최종값이 아니면 S108단계를 수행하여 2번 수납 셀(CN2)에 대응하는 위치정보(PID = CID + RID + 3)를 참조하여 대응하는 위치의 안테나 결합부(123f3)를 선택한다(S108).
제어부(123g)는 안테나 결합부(123f-3)를 통하여 결합된 착탈식 안테나에 전원을 공급하여 안테나를 활성화 시킨다. 활성화된 안테나는 수납 셀(CN2)의 독취범위 내에 전자기장을 형성한다. 수납 셀(CN2)에는 릴이 수납된 상태이므로 리드된 태그정보가 리드/라이트부(123c)를 통하여 제어부(123g)에 수신된다. 즉 태그정보가 수신된 경우에는 제어부(123g)는 위치정보(PID) 및 태그정보(TID)를 포함한 태그리드정보(TR)를 저장부에 저장한다(S112). CN 값을 1 증가하여(S114) 수납 셀 순번 테이블에서 해당하는 위치정보를 가져온다. 이어서 S108 내지 S114과정을 반복 수행한다(S116). 이와 같은 동작으로 CNL번 수납 셀까지 리드 동작이 종료되면(S116) 제어부(123g)는 저장부에 저장된 수납 셀 스캔정보를 중계기(150)를 통해 관리센터(300)로 전송한다(S118). 스캔정보를 전송한 후 전원 오프가 아니면(S120) 다시 S102단계부터 S120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여기서 제어부(123g)에서 관리센터로 스캔정보단위로 전송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각 수납 셀의 태그리드동작이 수행되면 즉시 리드정보를 관리센터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관리센터에서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전 수납 셀 스캔정보 테이블과 현재 제공된 수납 셀 스캔정보를 비교하여 수납 셀에 물품의 반출 또는 반입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반출된 경우에는 해당 수납 셀의 TID 정보가 이전 스캔 테이블에는 있으나 현재 제공된 스캔 정보에서는 삭제된 상태를 나타내므로 이들을 비교하면 쉽게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반입된 경우에는 해당 수납 셀의 TID 정보가 이전 스캔 테이블에는 없었으나 현재 제공된 스캔 정보에서는 새로운 TID정보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므로 이들을 비교하면 쉽게 판단할 수 있다.
안테나 검출 제어동작은 안테나 결합 유무를 체크하기 위하여 시스템 전원 투입시에는 반드시 수행되고 이후에는 특정 시간 단위로 수행되거나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중간에 안테나 결합위치의 변동이 생길 경우에는 수납 셀의 순번을 생성하기 위하여 안테나 검출모드가 수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매주기마다 수행될 필요는 없다.
먼저 안테나 검출모드로 판단되면(S130) 안테나 결합부 순번 카운터 값 N을 1로 세팅한다(S132). 이어서 제어부(123g)는 1번 안테나 결합부를 스위칭하여 1번 안테나 결합부의 임피던스를 측정한다. 안테나가 결합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자가 개방상태이므로 단자 임피던스는 무한대 값을 가진다. 안테나가 결합된 경우에는 단자에 부하가 연결된 상태이므로 임피던스는 부하임피던스의 유한값을 가진다. 선택된 안테나 결합부의 임피던스 값의 크기로 안테나 검출신호(AID)가 제어부(123A)에 제공된다(S136). 여기서 임피던스 대신에 단자전압 또는 단자전류를 측정할 수도 있다.
제어부(123g)는 안테나가 결합된 경우에는 안테나 검출정보(AID) 및 대응하는 안테나 결합의 위치정보(PID)를 안테나 결합정보(AC)로 발생하고 저장부에 저장한다(S138). 제어부(123g)는 다음 안테나 결합부(N2)을 선택하기 위하여 "N" 값을 1증가시킨다(S140). 증가된 N값이 최종값인지 판단한다(S142). 최종값이 아니면 S134단계를 수행하여 2번 안테나 결합부(N2)에 대응하는 위치정보(PID = CID + RID + 2)를 참조하여 대응하는 위치의 안테나 결합부(123f-2)를 선택한다(S134).
선택된 안테나 결합부는 안테나 결합 검출부로 연결된다. 안테나 결합 검출부에서 안테나 결합부의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안테나 검출정보(AID)를 발생한다. 제어부(123g)는 안테나 검출정보(AID)에 응답하여 안테나 결합 유무를 판단한다(S136). 안테나 결합이 검출되지 않으므로 위치정보(PID)만 포함하는 안테나 결합정보(AC)를 발생한고 저장부에 저장한다(S139).
이와 같은 동작으로 N번 안테나 결합부까지 검출 동작이 종료되면(S142) 제어부(123g)는 저장부에 저장된 안테나 검출 스캔정보를 중계기(150)를 통해 관리센터(300)로 전송한다(S144). 스캔정보를 전송한 후 전원 오프가 아니면(S146) 다시 S130단계부터 S146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관리센터(300)에서는 현재 제공된 스캔정보를 참조하여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 셀의 순번과 대응하는 수납 셀의 크기를 판단한다. 이어서 도 23의 테이블을 참조하여 도 21의 수납 셀 테이블을 작성하게 된다.
이러한 주기적인 스캔동작에 의해 제어부는 주기별로 착탈식 안테나의 착탈여부 및 물품의 수납여부를 감지하여 물품의 반입 반출상태 및 착탈식 안테나의 착탈변동에 따른 수납 셀의 폭 변동 등의 정보를 인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어부에서는 수납 셀의 폭 크기에 따라 리드 동작시 전자기장의 세기를 가변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123g)에서는 선택된 안테나 정합부의 안테나 결합부 단자전압을 측정하여 안테나 종류가 7"인치 착탈식 안테나인지, 13인치 착탈식 안테나 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중계기(150)는 각 리더기로부터 전송된 스캔정보를 수신될 때마다 관리센터(300)에 전송하거나 아니면 일정 시간 단위 또는 데이터 단위로 모아서 한꺼번에 관리센터(3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정보(PID)는 캐비닛 식별정보(CID), 리더기 식별정보(RID) 및 안테나 정합회로의 순번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관리센터(300)에서는 스캔정보를 수신하여 물품수납장치(100)의 수납 셀의 크기, 수납위치, 수납유무 등을 판독할 수 있다.
즉 관리센터(300)에서는 순번 2에 안테나 결합이 없으므로 순번1 및 2가 합쳐져서 하나의 수납 셀(C1)로 판독된다. 따라서 수납 셀의 순번은 n 보다 작은 1부터
Figure 112018040472426-pat00006
까지로 관리된다.
도 24는 본 발명에 의한 물품수납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5는 다른 실시예의 블록구성을 나타낸다.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 부호로 처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4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의 물품수납장치(400)는 상술한 일실시예가 네트워크형이라면 스탠드 얼론(stand alone) 타입으로 중계기(150) 대신에 시스템 제어부(410), 입력부(420), 디스플레이(430), 저장부(440) 및 통신부(450)를 포함한다.
입력부(420)는 우측 수직 프레임(112)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반입 및 반출 정보를 입력하거나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어를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 또는 터치패드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430)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LCD 또는 OLED 등의 평판 디스플레이로 메뉴, 입력데이터, 검색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입력부(420)과 디스플레이(430)는 터치 디스플레이 등으로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저장부(440)는 HDD, SSD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으로 구성된 것으로 제어프로그램 및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한다. 통신부(450)는 관리센터(300)와 통신을 위한 와이파이, 유무선 랜 또는 모바일 통신방식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시스템 제어부(410)는 복수의 리더기 회로들(122-1~122-7), 입력부(420), 디스플레이(430), 저장부(440) 및 통신부(450)를 제어하여 부품 실장용 릴의 반입 반출을 관리한다. 시스템 제어부(410)는 통신부(440)를 통하여 관리센터(300)와 통신하여 부품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에 의한 스탠드 얼론 타입의 물품수납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스탠드 얼론 타입의 물품수납장치(400)의 시스템 제어부(410)는 7개의 리더기 회로들(122-1~122-7)로부터 스캔정보가 수신되거나(S150), 입력부(420)를 통하여 반입 또는 반출 모드가 선택되는지를 판단한다(S152, S154).
S150단계에서 스캔정보가 수신되면, 시스템 제어부(410)에서는 수신된 스캔정보가 안테나 스캔정보인지 아니면 수납 셀 스캔정보인지를 판단한다(S156). S156단계에서 안테나 스캔 정보이면 이전 안테나 스캔정보와 비교한다(S158). 비교 결과 안테나 결합부에 결합된 안테나의 추가, 삭제 또는 변경 등의 변동 상황이 발생된 경우에는 도 22의 안테나 스캔 정보 테이블의 수납 셀 순번을 변경한다(S162).
S156단계에서 스캔정보가 도 21의 수납 셀 스캔정보이면 이전 수납 셀 스캔 정보와 비교한다(S164). 비교결과 새로운 태그정보가 추가된 경우에는(S166) 새로이 반입된 물품이 수납되었다는 것이므로 데이터베이스에 추가된 태그정보를 조회하여 신규 등록인지 아니면 기존에 등록된 정보인지를 확인한다(S168). 이어서 입력부(420)를 통해 입력된 반입정보와 수신된 태그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한다(S170). 시스템 종료여부를 판단하고(S172) S150단계로 복귀한다.
S166단계에서 태그정보가 삭제된 경우(S174)에는 물품 반출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입력부(420)를 통해 입력된 반출정보와 수신된 태그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한다(S176).
입력부(420)를 통해 S152단계의 반입모드가 선택되면 반입정보를 입력하고(S178) 표시 바의 광원을 제어하여 반입위치를 표시한다(S180). 여기서 반입위치 표시는 지정된 수납위치에 반입할 경우에 사용된다. 입력된 반입정보는 S170단계에서 기록된다.
입력부(420)를 통해 S154단계의 반출모드가 선택되면 반출정보를 입력하고(S182) 입력된 반출정보에 응답하여 해당 물품의 수납위치를 표시 바의 광원을 제어하여 반출위치로 표시한다(S184). 따라서 반출자는 반출위치표시를 보고 해당 수납셀에서 수납된 물품을 용이하게 반출할 수 있다. 입력된 반출정보는 S176단계에서 기록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착탈식 안테나의 안테나 베이스는 상술한 전도성 금속판 대신에 인쇄회로 절연기판으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C자형 안테나 및 한 쌍의 안테나 단자부 은 인쇄회로 절연기판 상에 형성된 전도성 패턴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케이스에 형성된 전자파 차폐막은 C자형 안테나가 형성된 면의 반대면에 전도성 패턴으로 형성할 수 있다.

Claims (8)

  1. 복수의 안테나 결합부들 각각에 후단부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고정단(140a)으로 제공되고, 전단부가 돌출되어 자유단(140b)으로 제공되는 캔틸레버 타입이고, 물품에 포함된 전자태그로부터 태그정보를 리드하기 위한 복수의 착탈식 안테나들(140)을 가진 리더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착탈식 안테나들(140) 각각은
    후단부가 대응하는 안테나 결합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돌출된 전단부가 수납공간을 두 개의 수납 셀들로 각각 분리하는 칸막이로 제공되는 안테나 베이스(142);
    상기 안테나 베이스(142)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납공간을 향하여 독취공간을 형성하는 안테나(142a); 및
    상기 안테나 베이스(142)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안테나(142a)를 대응하는 안테나 결합부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안테나 단자부(142b, 142c)를 구비하는 착탈식 안테나들을 가진 리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베이스(142)는 전도성 금속판이고, 상기 안테나 베이스(142)는 상기 안테나(142a) 및 안테나 단자부(142b, 142c)가 일체로 형성된 착탈식 안테나들을 가진 리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142a)는 C자형이고, 상기 안테나 단자부(142b, 142c)는 안테나 양단에서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평행 라인 형상인 착탈식 안테나들을 가진 리더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단자부(142b, 142c)의 후단에는 상기 안테나 결합부에 삽입되어 각각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 쌍(142d, 142e)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 쌍(142d, 142e) 각각의 전단은 상기 안테나 결합부에서 걸리는 걸림턱(142f, 142g)으로 제공되고, 각각의 후단은 내측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도록 경사부(142h, 142i)가 형성된 착탈식 안테나들을 가진 리더기.
  5. 4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단자부(142b, 142c)에는
    상기 안테나 결합부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탄성 접촉부(142m, 142n)가 형성된 착탈식 안테나들을 가진 리더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베이스(142)는 인쇄회로 절연기판이고, 상기 안테나(142a) 및 안테나 단자부(142b, 142c)는 상기 인쇄회로 절연기판 상에 형성된 전도성 패턴으로 형성된 착탈식 안테나들을 가진 리더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베이스(142)는 상기 안테나(142a)가 형성된 면의 반대면에 형성된 전자파 차폐막을 포함하는 착탈식 안테나들을 가진 리더기.
  8. 물품의 전자태그로부터 태그정보를 리드하는 착탈식 안테나(140)를 가진 리더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테나 지지부(121a, 122a)가 형성된 리더기 케이스(120);
    상기 리더기 케이스(120)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테나 지지부(121a, 122a)와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테나 결합부(123f-1~123f-n)를 가진 인쇄회로기판(123);
    후단부가 대응하는 안테나 지지부(121a, 122a)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캔틸레버의 고정단(140a)으로 제공되고, 전단부가 돌출되어 수납공간을 두 개의 수납 셀들로 각각 분리하여 캔틸레버의 자유단(140b)으로 제공되며, 상기 두 개의 수납 셀들 중 하나의 수납 셀을 향하여 독취공간을 형성하고, 대응하는 안테나 결합부(123f-1~123f-n)에 분리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착탈식 안테나(140);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123)에 형성된 리더기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리더기 회로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테나 결합부(123f-1~123f-n)를 각각 선택하는 선택부(123d);
    선택된 안테나 결합부의 착탈식 안테나(140)의 결합유무를 검출하는 안테나 결합 검출부(123b);
    선택된 안테나 결합부의 착탈식 안테나(140)를 통하여 전자태그를 리드 또는 라이트하는 리드/라이트부(123c):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23e); 및
    상기 각부를 제어하는 제어부(123g)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123g)는
    상기 안테나 결합 검출부(123b)를 제어하여 착탈식 안테나(140)의 결합유무를 검출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선택부(123d)를 제어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테나 결합부(123f-1~123f-n)를 선택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리드/라이트부(123c)를 제어하여 선택된 안테나 결합부에 결합된 착탈식 안테나(140)를 활성화하여 전자태그를 리드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리드동작의 결과에 따라 태그리드정보(TR)를 발생하는 착탈식 안테나를 가진 리더기.
KR1020180047056A 2018-04-24 2018-04-24 착탈식 안테나들을 가진 리더기 KR101989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056A KR101989024B1 (ko) 2018-04-24 2018-04-24 착탈식 안테나들을 가진 리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056A KR101989024B1 (ko) 2018-04-24 2018-04-24 착탈식 안테나들을 가진 리더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7193A Division KR101927604B1 (ko) 2017-01-16 2017-01-16 물품수납장치와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4688A KR20180084688A (ko) 2018-07-25
KR101989024B1 true KR101989024B1 (ko) 2019-06-13

Family

ID=63059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7056A KR101989024B1 (ko) 2018-04-24 2018-04-24 착탈식 안테나들을 가진 리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90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1682A (ko) 2019-05-14 2020-11-24 손영전 중량기반 릴 수납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6607A (ja) * 2004-07-20 2006-03-02 Toppan Forms Co Ltd 物品管理ボード
JP2009044094A (ja) 2007-08-10 2009-02-26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リール部品実装システム
JP5472779B2 (ja) 2008-09-22 2014-04-16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リール管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030B1 (ko) * 2005-03-09 2007-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착탈식 외장 안테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안테나모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6607A (ja) * 2004-07-20 2006-03-02 Toppan Forms Co Ltd 物品管理ボード
JP2009044094A (ja) 2007-08-10 2009-02-26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リール部品実装システム
JP5472779B2 (ja) 2008-09-22 2014-04-16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リール管理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4688A (ko) 201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7604B1 (ko) 물품수납장치와 그 제어방법
CN101952836B (zh) 用于自动检测和/或指导复杂系统的物理配置的rfid系统和方法
JP5774836B2 (ja) デジタル価格表示器及びそれを含むeslシステム
TWI516134B (zh) 用於連結感應資料與部件位置之部件系統與方法
US20090207022A1 (en) RFID Asset Tracking Method and Apparatus
US8022809B2 (en) Inventory taking system
US8120495B2 (en) RFID system
US7571539B2 (en) Component ver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20060097863A1 (en) Tracking equipment
WO2016056225A1 (ja) マガジン管理装置、ディスク装置、およびマガジン管理システム
TW201734896A (zh) 智慧書架及利用該智慧書架管理圖書的系統及方法
KR101989024B1 (ko) 착탈식 안테나들을 가진 리더기
US20070139057A1 (en) System and method for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direct connection test
JP4545488B2 (ja) 実装機
EP2597594A1 (en) Pre-cabled module embedding patch antennas for furniture
CN103886876B (zh) 用于自动寻址和识别用于传送物体的模块化系统中的空间临近关系的方法和装置
KR101936526B1 (ko) Hf rfid 리더기의 멀티 안테나 회로
CN105652804A (zh) 一种基于rfid射频卡的数控机床加工生产线
EP2597593B1 (en) Improved patch antenna structure for furniture
WO2014115216A1 (ja) 物品検索システム、ハンディーターミナル、及び物品検索方法
EP2597595A1 (en) Multiplexer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an antenna in a pre-cabled module embedding patch antennas for furniture
WO2016124719A1 (en) Adaptive, predicative, and intelligent scanning of items in a physical layer management system
JP2004134676A (ja) パーツカセット収納装置
US11814247B2 (en) Modular inventory management system
CN216848761U (zh) Rfid扫描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