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8410B1 - 스트레스 저감을 위한 승용마 보조사료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스트레스 저감을 위한 승용마 보조사료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8410B1
KR101988410B1 KR1020170109826A KR20170109826A KR101988410B1 KR 101988410 B1 KR101988410 B1 KR 101988410B1 KR 1020170109826 A KR1020170109826 A KR 1020170109826A KR 20170109826 A KR20170109826 A KR 20170109826A KR 101988410 B1 KR101988410 B1 KR 101988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ing
weight
parts
horse
bl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9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3685A (ko
Inventor
우종민
안준상
손기활
김민지
신종서
김니벨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김니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김니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09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8410B1/ko
Publication of KR20190023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3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8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84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2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hor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23K10/33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from molas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30/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preservation of materials in order to produce animal feeding-stuffs
    • A23K30/20Dehyd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23K40/2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by moulding, e.g. making cakes or briquet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7Re-use of by-products of food processing for fodder produ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rd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ysi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트레스 저감을 위한 승용마 보조사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국내 승마장에서 널리 사용되는 각설탕 또는 당근이 갖는 단점을 보완하면서 섭식성과 신경안정효과를 증대시켜 달아오른 마체를 진정시키고 스트레스를 저감시킴으로써 승용마가 통제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여 사고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스트레스 저감을 위한 승용마 보조사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트레스 저감을 위한 승용마 보조사료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for riding horse supplementary feed with used to reduce stress}
본 발명은 스트레스 저감을 위한 승용마 보조사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국내 승마장에서 널리 사용되는 각설탕 또는 당근이 갖는 단점을 보완하면서 섭식성과 신경안정효과를 증대시켜 달아오른 마체를 진정시키고 스트레스를 저감시킴으로써 승용마가 통제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여 사고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스트레스 저감을 위한 승용마 보조사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내 배합사료시장의 연간 생산량은 약 2천만톤에 육박한다(2017년 1/4분기, 2/4분기 총계 9,338,382톤. 평균 원/kg 462.3원. 금액 4조 3천억원).
이 중에서 소와 돼지, 가금 등 양축용 배합사료가 전체의 98%를 차지하며, 연간 2천만톤 가량이 소요되기 때문에 1kg당 1라도 줄이기 위한 '배합비'가 가장 핵심기술로 취급된다.
그리고, 국내 말 산업은 약 3조 3천억원 규모로 경마가 산업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말 사료시장은 약 100억원 규모로 국내산 말 배합사료는 연간 약 2만톤 정도의 생산량을 기록하고 있다.
한편, 바쁜 승마장의 일정과 승용마의 기승스케줄에서 승용마의 스트레스를 저감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만약, 말이 받는 스트레스를 저감하는데 실패하여 승용마가 통제를 벗어나게 되면 사고의 위험이 높아진다.
따라서, 달아오른 마체를 진정시키고 스트레스를 저감할 수 있는 승용마의 보조사료가 필요로 된다.
하지만, 국내 승마장에서 널리 사용중인 제품은 각설탕과 당근으로 각각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예컨대, 각설탕은 크기에 비해 당 함량이 높은 농축당으로 에너지는 높지만 단백질을 보충할 수 없어 허기보충에 취약하고 다량급여시 당뇨를 유발할 수 있다.
그리고, 당근은 섬유질로 포만감을 줄 수 있지만 부피에 비해 가진 에너지가 적고 유통과 보관에서 문제가 있어 사용하기가 힘든 것이 현실이다.
그 외 국내에 시판중인 제품들은 단순히 건초를 성형한 큐브나 쿠키의 형태로 가격이 비싸고 수제작으로 제작하기에 개인 승마장에서 사용하기엔 무리가 있다.
때문에, 말이 받는 스트레스를 줄이면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보조사료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49086호(2011.07.07), '인진쑥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건강식품, 말운동계질환 치료제 및 보조사료, 동물의 백내장치료제, 개 PARVO 치료제 및 그 치료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7512호(2012.09.25.) '감마아미노부티르산 함유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51890호(2017.05.12.) '산야초 효소를 이용한 가축 사료첨가제 분말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국내 승마장에서 널리 사용되는 각설탕 또는 당근이 갖는 단점을 보완하면서 섭식성과 신경안정효과를 증대시켜 달아오른 마체를 진정시키고 스트레스를 저감시킴으로써 승용마가 통제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여 사고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스트레스 저감을 위한 승용마 보조사료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스트레스 저감을 위한 승용마 보조사료 제조방법에 있어서; 당밀에 액상 GABA(γ-aminobutyric acid)를 첨가한 후 배합기를 통해 150-200rpm의 속도로 15-30분 동안 교반 배합하여 제1배합물을 만드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배합물에 미네랄 프리믹스를 첨가한 후 동일한 속도와 시간동안 재차 교반 배합하여 제2배합물을 만드는 제2단계와; 프리미엄 등급 이상의 분쇄 알팔파 건초에 상기 제2배합물을 혼합한 후 50-100rpm의 속도로 30-60분간 균일하게 교반하여 성형배합물을 만드는 제3단계와; 상기 성형배합물을 성형기인 큐브메이커에 넣고 사출하거나 혹은 일정크기의 큐브형 성형홀 다수를 갖는 성형틀에 넣고 수작업으로 성형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스 저감을 위한 승용마 보조사료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4단계에서 성형틀을 이용할 경우에는, 성형 후 65℃의 건조기에서 36시간 이상 건조하는 건조과정을 더 거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제1,2,3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승용마 보조사료의 첨가 배합되는 성분들간의 상호 비율은 당밀 40-50중량%와, 액상 GABA 0.1-3중량%와, 미네랄 믹스 1-8중량% 및 나머지 프리미엄 등급 이상의 분쇄 알팔파가 되도록 유지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국내 승마장에서 널리 사용되는 각설탕 또는 당근이 갖는 단점을 보완하면서 섭식성과 신경안정효과를 증대시켜 달아오른 마체를 진정시키고 스트레스를 저감시킴으로써 승용마가 통제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여 사고위험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스 저감을 위한 승용마 보조사료 제조방법은 당밀에 액상 GABA(γ-aminobutyric acid)를 첨가한 후 배합기를 통해 150-200rpm의 속도로 15-30분 동안 교반 배합하여 제1배합물을 만드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배합물에 미네랄 프리믹스를 첨가한 후 동일한 속도와 시간동안 재차 교반 배합하여 제2배합물을 만드는 제2단계와; 프리미엄 등급 이상의 분쇄 알팔파 건초에 상기 제2배합물을 혼합한 후 50-100rpm의 속도로 30-60분간 균일하게 교반하여 성형배합물을 만드는 제3단계와; 상기 성형배합물을 성형기인 큐브메이커에 넣고 사출하거나 혹은 3cm × 3cm × 3cm 크기의 큐브형 성형홀 다수를 갖는 성형틀에 넣고 수작업으로 성형하는 제4단계를 포함한다.
이 중 상기 제4단계에서 성형틀을 이용할 경우에는 성형 후 65℃의 건조기에서 36시간 이상 건조해야 하는데, 이는 성형기인 큐브메이커의 경우 강한 압력에 따른 열에 의해 자체 건조가 되지만 성형틀을 이용한 수작업의 경우에는 건조기능이 없어 별도 건조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상기 승용마 보조사료를 만들때 첨가 배합되는 성분들간의 상호 비율은 당밀 40-50중량%와, 액상 GABA 0.1-3중량%와, 미네랄 믹스 1-8중량% 및 나머지 프리미엄 등급 이상의 분쇄 알팔파가 되도록 유지하여야 한다.
이때, 상기 당밀은 향미를 증가시켜 식욕을 촉진하면서 당을 섭취하게 하여 에너지를 만들도록 하기 위해 첨가되는 액상으로서, 40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면 성형시 건조과정에서 증발하여 향미가 급격히 떨어지고, 6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과다한 당 섭취로 인해 말 건강을 해치고 너무 달아 마치(말 이빨) 관리도 어렵기 때문에 상기 범위로 한정해야 한다.
또한, 상기 액상 GABA는 일종의 발효액으로서, 감마 아미노낙산 또는 감마 아미노뷰티르산으로 불리우며, 주로 포유류의 중추신경계에 작용하는 억제 신경전달물질이다. 특히, 신경계에서 신경흥분을 조절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즉, 뇌의 억제 시냅스의 원형질 막안의 수용기와 결속하여 세포의 이온통로를 열어 음전하로 하전된 염소이온을 들이고, 양전하로 하전된 칼륨이온을 배출하여 막 사이의 전위차를 증가시켜 과분극을 일으키는데 이를 조절하여 말의 흥분을 억제하고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것이다.
다만, 상기 액상 GABA를 3중량%를 초과하여 첨가하게 되면 과도한 GABA 섭취로 인해 마체의 호르몬 신경계통에 혼란을 초래할 수 있고, 0.1중량%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에는 극미량이라 마체 진정과 스트레스 저감 효과가 없으므로 상기 범위로 제한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미네랄 믹스는 일종의 영양제로서 비타민을 포함한 각종 미네랄이 믹스 형태로 만들어진 것으로, 8중량%를 초과하면 과도한 섭취로 인해 분, 뇨, 땀 등으로 빠져나가 버리기 때문에 영양학적으로나 경제적으로나 바람직하지 않고, 1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면 말 운동중 땀으로 배출된 미량광물질을 보충하기에는 역부족이기 때문에 상기 범위로 한정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알팔파는 비타민 A,E, 미네랄, 단백질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알카리성 콩과 식물로서, 단백질을 보충할 수 있어 허기를 해소하며, 당뇨를 예방하고, 향긋한 향기로 인해 향미를 제공하여 식욕을 돋구는데 적합하다.
다만, 당밀 보다 첨가량이 과하게 많을 경우 성형과 경도에 문제가 생겨 성형성이 급격히 떨어지고, 부족할 경우에는 건초내 담백질 함량이 낮아 허기를 채우지 못하기 때문에 상술한 조성비율 범위내에서 조절되어야 한다.
덧붙여, 프리미엄등급 이상의 알팔파란 알팔파 1번초를 의미한다고 보면 되는데, 알팔파 1번초는 영년생인 알팔파가 겨울을 지내고 봄을 지나 4월이나 5월에 예취되는 그 해의 첫 예취 알팔파를 말한다. 이는 다른 번초(2,3번초)에 비해 생육기간이 길어서 알팔파가 서서히 자라기 때문에 영양소가 시간을 갖고 축적되어 영양적 가치가 매우 높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반드시 제1단계를 먼저 거친 후 제2,3단계를 순차로 수행해야 되는데, 제1,2배합물은 액상이고, 성형배합물은 고액혼합물 형태이기 때문에 균질한 배합성을 확보하기 위해 반드시 제1배합물을 충분히 교반하여 믹싱한 상태에서 다시 제2배합물을 만들고, 이를 알팔파에 혼합 교반하여 균일하게 배합된 성형배합물을 만들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야, 성형된 큐브형 보조사료를 임의로 섭취하더라도 고른 영양소 및 신경 안정기능, 스트레스 해소기능을 얻을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말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 면역력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배합물에 상기 당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소성산호분말 4.5-6.5중량부와, AHCC(Active Hexose Correlated Compound) 1.0-1.5중량부와, 하이알루로닉애씨드(hyaluronic acid) 5.5-7.5중량부와, 유황 0.5-1.0중량부 및 아로니아분말 2.5-4.5중량부를 더 첨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성산호분말은 산호를 고온 상태에서 플라즈마처리한 후 파쇄한 분말상의 물질로서 이온칼슘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본 발명에서는 약리효능 강화 및 갈슘보충을 위해 첨가된다. 다만, 6.5중량부를 초과하면 점도를 높이기 때문에 그 이하로 첨가해야 하며, 4.5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효과가 미미하기 때문에 상기 범위로 한정해야 한다.
또한, 상기 AHCC는 표고버섯 균사체에서 추출하는 성분으로, 면역력 증강뿐 아니라 말의 간 기능 보호를 위해 첨가된다. 다만, 식약청 관리품목이기 때문에 상기 범위로 한정해야 한다.
그리고, 상기 하이알루로닉애씨드는 Ν-아세칠글코사민산이 상호 직쇄상로 결합한 산성고분자 다당체로서 점액성 윤활작용을 하는 외에 조직의 수분대사나 구조의 유지를 담당하며 또 세균의 침입에 대한 방어기능을 하고 하이알루로니다아제(hyalouronidase)에 의해서 분해되는 물질로서, 타성분의 기능발현을 억제하지 않도록 상기 범위로 한정되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유황은 항곰팡이성 및 항바이러스 특성에 따라 큐브형 보조사료가 상하지 않고 장기간 보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첨가된다.곰팡이 억제 및 재배 삼의 육질을 단단하게 하면서 항균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상기 범위로 첨가된다. 다만, 과량 첨가시 말이 설사하거나 피로감이 크게 증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범위로 한정해야 한다.
아울러, 상기 아로니아(Aronia)는 장미과(Rosaceae)의 낙엽관목으로 폴리페놀 및 안토시아닌의 함량이 매우 높아 항산화력(ORAC:Oxygen Radical Absorbent Capacity 기준) 역시 매우 우수하며, 염증을 완화시키고 특히, 폴리페놀 및 안토시아닌의 함량이 매우 높아 항산화력(ORAC 기준) 역시 매우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 면역력 강화을 강화시키므로 이 특성을 발현하기 위해 첨가된다.
이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승용마 보조사료의 특성 확인을 위해 당밀 45중량%와, 액상 GABA 1.5중량%와, 미네랄 믹스 4중량% 및 나머지 프리미엄 등급 이상의 분쇄 알팔파의 배합비를 유지한 채 상술한 제조방법에 따라 보조사료 시료를 만들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되, 면역력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상술한 제조단계중 제1배합물에 상기 당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소성산호분말 5.0중량부와, AHCC 1.0중량부와, 하이알루로닉애씨드 6.0중량부와, 유황 0.8중량부 및 아로니아분말 3.5중량부를 더 첨가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실시예1,2의 보조사료와,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각설탕과 당근을 종래 보조사료로 하여 승용마 6필에 대해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오전과 오후 각각 1회씩 평상시 경주와 동일 조건으로 6필의 말을 경주시킨 후 각각 1회씩 필당 400g의 실시예1,2의 보조사료와 종래 보조사료를 섭취시킨 후 휴식하게 하였다. 물론, 기본 사료는 동일하게 유지하였다.
이때, 2필씩 나누어 각각 실시예1,2 및 종래 보조사료를 나누어 섭취시켜 평균적인 상태를 체크함으로써 객관성을 확보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경주 및 경주 후 기수와 마필관리사가 함께 각 승용마의 흥분상태, 체력상태를 체크하였으며, 30일간 지속하였다.
실험결과, 실시예1,2의 보조사료를 섭취한 4필의 말은 체력회복시간이 단축되고, 경주시 및 경주후에도 흥분하지 않았지만, 종래 보조사료를 섭취한 2필의 말은 체력회복시간도 길고 쉽게 흥분하였다.
또한, 30일간 평균 마체중에 있어서도 실시예1,2의 보조사료를 섭취한 4필의 말은 거의 체중변화가 없었지만, 종래 보조사료를 섭취한 2필의 말은 체중변화가 가시적으로 확인되었다.
뿐만 아니라, 30일 후 간이 체지방측정기를 이용하여 6필의 말 둔부에 대한 체지방 검사를 시행한 결과, 실시예1,2의 보조사료를 섭취한 4필의 말은 실험전과 큰 변화가 없었지만, 종래 보조사료를 섭취한 2필의 말은 체지방이 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실시예1,2의 시료를 습한 분위기의 악조건 속에 노출시킨 상태로 30일간 방치한 후 확인한 결과, 실시예1의 시료에서는 국부적으로 곰팡이가 확인되었지만, 실시예2의 시료에서는 곰팡이 발생이 전혀 없었다.
또한, 실시예1,2의 시료를 상온의 호조건 속에 노출시긴 상태로 30일간 방지한 결과, 양자 모두에서 곰팡이 발생이 전혀 없었다.
이에 따라, 실시예1,2는 상온 상태에서 장기간 보관되어도 변질의 우려가 없음을 확인하였고, 특히 실시예2의 경우에는 악조건 상태에서도 항균성이 강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큐브메이커의 내부에는 오염물질의 부착방지 및 제거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이 도포된 오염방지도포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수산화나트륨 및 알킬 베타인이 1:0.01 ~ 1:2 몰비로 포함되어 있고, 수산화나트륨 및 알킬 베타인의 총함량은 전체 수용액에 대해 1 ~ 10 중량%이다.
상기 수산화나트륨 및 알킬 베타인은 몰비로서 1:0.01 ~ 1:2가 바람직한 바, 몰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기재의 도포성이 저하되거나 도포후 표면의 수분흡착이 증가하여 도포막이 제거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수산화나트륨 및 알킬 베타인은 전제 조성물 수용액중 1 ~ 10 중량%가 바람직한 바, 1 중량% 미만이면 기재의 도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도포막 두께의 증가로 인한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쉽다.
한편,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을 큐브메이커 내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스프레이법에 의해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큐브메이커 내의 최종 도포막 두께는 500 ~ 2000Å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 2000 Å이다. 상기 도포막의 두께가 500 Å미만이면 고온 열처리의 경우에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고, 2000 Å을 초과하면 도포 표면의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
또한,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수산화나트륨 0.1 몰 및 알킬 베타인 0.05 몰을 증류수 1000 ㎖에 첨가한 다음 교반하여 제조될 수 있다.

Claims (3)

  1. 스트레스 저감을 위한 승용마 보조사료 제조방법에 있어서;
    당밀에 액상 GABA(γ-aminobutyric acid)를 첨가한 후 배합기를 통해 150-200rpm의 속도로 15-30분 동안 교반 배합하여 제1배합물을 만드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배합물에 미네랄 프리믹스를 첨가한 후 동일한 속도와 시간동안 재차 교반 배합하여 제2배합물을 만드는 제2단계와;
    프리미엄 등급 이상의 분쇄 알팔파 건초에 상기 제2배합물을 혼합한 후 50-100rpm의 속도로 30-60분간 균일하게 교반하여 성형배합물을 만드는 제3단계와;
    상기 성형배합물을 성형기인 큐브메이커에 넣고 사출하거나 혹은 일정크기의 큐브형 성형홀 다수를 갖는 성형틀에 넣고 수작업으로 성형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2,3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승용마 보조사료의 첨가 배합되는 성분들간의 상호 비율은 당밀 40-50중량%와, 액상 GABA 0.1-3중량%와, 미네랄 믹스 1-8중량% 및 나머지 프리미엄 등급 이상의 분쇄 알팔파가 되도록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당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소성산호분말 4.5-6.5중량부와, AHCC(Active Hexose Correlated Compound) 1.0-1.5중량부와, 하이알루로닉애씨드(hyaluronic acid) 5.5-7.5중량부와, 유황 0.5-1.0중량부와, 아로니아분말 2.5-4.5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스 저감을 위한 승용마 보조사료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서 성형틀을 이용할 경우에는, 성형 후 65℃의 건조기에서 36시간 이상 건조하는 건조과정을 더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스 저감을 위한 승용마 보조사료 제조방법.
  3. 삭제
KR1020170109826A 2017-08-30 2017-08-30 스트레스 저감을 위한 승용마 보조사료 제조방법 KR101988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826A KR101988410B1 (ko) 2017-08-30 2017-08-30 스트레스 저감을 위한 승용마 보조사료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826A KR101988410B1 (ko) 2017-08-30 2017-08-30 스트레스 저감을 위한 승용마 보조사료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685A KR20190023685A (ko) 2019-03-08
KR101988410B1 true KR101988410B1 (ko) 2019-06-12

Family

ID=65800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9826A KR101988410B1 (ko) 2017-08-30 2017-08-30 스트레스 저감을 위한 승용마 보조사료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841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8399A (ja) 2004-02-09 2005-08-18 Coral Biotech Co Ltd 添加剤及び飼料
JP2006051022A (ja) 2004-07-13 2006-02-23 Orient Shokai:Kk ペットフード
US20060210697A1 (en) 2005-03-18 2006-09-21 Mower Thomas E Infant formula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2186B1 (ko) * 1984-12-31 1988-10-17 오노다 까가꾸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사료용 고형염의 제조방법
KR20070023771A (ko) * 2004-05-24 2007-02-28 니뽄젠야쿠코교 가부시키가이샤 사료 및 γ-아미노부티르산의 제공 방법
KR101049086B1 (ko) 2008-10-31 2011-07-15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진쑥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건강식품, 말운동계질환 치료제 및 보조사료, 동물의 백내장치료제, 개 parvo 치료제 및 그 치료방법.
KR101187512B1 (ko) 2012-03-29 2012-10-02 (주)셀텍 감마아미노부티르산 함유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KR102038476B1 (ko) 2015-11-03 2019-10-30 고상길 산야초 효소를 이용한 가축 사료첨가제 분말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8399A (ja) 2004-02-09 2005-08-18 Coral Biotech Co Ltd 添加剤及び飼料
JP2006051022A (ja) 2004-07-13 2006-02-23 Orient Shokai:Kk ペットフード
US20060210697A1 (en) 2005-03-18 2006-09-21 Mower Thomas E Infant formula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685A (ko) 2019-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60568B (zh) 一种蛋鸡专用生物饲料
KR101909002B1 (ko) 도토리를 포함하는 돼지 사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돼지의 사육방법 및 이로부터 얻은 돈육
CN103110004A (zh) 一种猪用生物饲料
CN104041715A (zh) 一种可提高猪瘦肉率的饲料添加剂
CN103609899A (zh) 猪用抗腹泻促生长绿色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KR101578981B1 (ko) 옥수수 발효물을 포함하는 육성돈 사료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돼지의 사육 방법
KR101988410B1 (ko) 스트레스 저감을 위한 승용마 보조사료 제조방법
CN109588582A (zh) 一种能防治小龙虾被寄生虫感染的小龙虾专用配合饲料
RU2319391C2 (ru) Кормовая добавка для свиней и способ кормления свиней
Geron et al. In vitro fermentation of the rations containing Morinda citrifolia L.(Noni) using two types of inoculum.
Komlatsky et al. Eco-friendly ways to feed pigs without antibiotics
RU2467590C1 (ru) Кормовая добавка для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х животных и птиц
CN107889952A (zh) 一种育肥猪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0937552B1 (ko) 쑥을 이용한 사료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RU2467591C1 (ru) Кормовая добавка для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х животных
KR100886780B1 (ko) 진세노사이드가 다량 함유된 동물의 유즙 및 그의 제조방법
CN105028330A (zh) 一种用含红景天草饲料养殖羊的方法
CN107751619A (zh) 一种宠物猫的专用日粮
Rajan et al. Positive impacts of integrating flaxseed meal as a potential feed supplement in livestock and poultry production: present scientific understanding.
KR102625195B1 (ko) 반려동물 기관지 건강 개선용 영양제 조성물
CN107535678A (zh) 一种动物盐砖舔剂及其制备方法
Yeasmin et al. An exertion of enhance milk yield of native Pabna cattle through using different types of calcium salt of fatty acid.
Widjastuti et al. Application of Noni Fruit (Morinda citrifolia L.) Extract with Cu and Zn Supplemented in the Ration on Performance Chicken Sentul of Phase Developer.
Grigoreva et al. Indicators of digestibility and metabolism of nutrients, productivity of sheep when feeding them unconventional feed additives in Yakutia
KR20150100374A (ko) 반추동물의 gaba 흡수율을 높이는 사료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및 gaba의 함량이 강화된 우유 및 그 생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