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8347B1 - vessel for washing grain - Google Patents

vessel for washing grai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8347B1
KR101988347B1 KR1020180036313A KR20180036313A KR101988347B1 KR 101988347 B1 KR101988347 B1 KR 101988347B1 KR 1020180036313 A KR1020180036313 A KR 1020180036313A KR 20180036313 A KR20180036313 A KR 20180036313A KR 101988347 B1 KR101988347 B1 KR 101988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luid
channel
cleaned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63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찬호
황수정
Original Assignee
이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찬호 filed Critical 이찬호
Priority to KR1020180036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834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8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83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4Devices for washing vegetabl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203/00Devices having filling level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technology for a grain clean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ain cleaning container comprises: a first container having at least one first through-hole, and accommodating an object; a second contain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container; and a handle part provided to support the first container. Herein, the first through-hole may move a fluid for cleaning the object but the object is provided not to be discharged from the first container. The grain cleaning container may further comprise a water level measurer provided in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first container, the second container, the handle part, and a combination thereof. Herein, the water level measurer may measure a level of the fluid provided for the cleaned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object can be cleaned by a method of dipping and shaking the object in the fluid for cleaning the first container accommodating the object using the handle part for supporting the first container accommodating the object such as grains and the like, or placing the same in the flowing and cleaning fluid. Accordingly, an effect of minimizing the object to be contaminated by foreign materials separated from the object again can be provided. In addition, a differentiated effect of effectively calculating the amount of the fluid provided for the cleaned object can be provided by including the water level measurer, capable of measuring the level of the fluid provided for the cleaned object.

Description

곡물세척용기{vessel for washing grain}[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ssel for washing grain,

본 명세서에 개시하는 기술은 대체로 세척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손잡이부를 활용함으로써 곡물 등과 같은 대상체를 유체를 이용하여 세척하는 과정에서 대상체의 유출을 방지하면서 유체를 통하여 대상체를 세척할 수 있는 곡물세척용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ART [0002] Techniques disclosed herein generally relate to a cleaning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leaning container that is capable of cleaning a target object such as a grain or the like through a fluid while preventing the object from flowing out during a process of cleaning using a fluid To a grain cleaning vessel.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국가에서는 예로부터 쌀을 주식으로 하여 오고 있다. 서구적인 생활양식이 많이 침투된 지금도 여전히 쌀은 우리음식문화의 주된 재료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쌀을 이용하여 각종 음식물을 만들 때에는 기본적으로 쌀을 세척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세척한 쌀을 활용하여 밥을 지을 경우 쌀의 양에 따라 필요한 물의 양을 계산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In Asia including Korea, rice has been used as a stock for some time. Rice is still used as the main ingredient of our food culture even after the western lifestyle has penetrated a lot. However, when making various kinds of food using rice, it is basically necessary to wash rice.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calculate the amount of water required depending on the amount of rice when rice is cooked using the washed rice.

다시 말하면,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밥을 짓는 과정에서 쌀에 묻은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쌀을 세척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쌀 세척과정은 쌀을 물과 함께 용기에 넣고 손으로 비비고 물로 헹구는 과정을 통하여 진행된다. 이 과정에서 쌀 표면에 묻은 불순물이 제거될 뿐만 아니라 세척과정에서 쌀 표면이 많이 깎이게 됨으로 인하여 쌀이 갖는 고유의 영양소가 손실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는 쌀 세척과정만의 문제가 아니라 콩, 옥수수 등 다른 곡물의 세척과정에서도 발생하는 문제이다. 또한, 세척과정은 경우에 따라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 있어 한 사람이 여러 작업을 동시에 진행해야 하는 작은 업소나 바쁜 현대인의 경우에는 쌀 세척작업이 노동력 소모, 시간 낭비 등의 문제를 야기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인력을 통하여 곡물 등과 같은 대상체를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In other words, rice is washed to remove impurities from rice during the process of making rice at home or at restaurants. Generally, the rice washing process is carried out by rinsing rice with water, rubbing it with hands and rinsing with water. This process not only removes impurities on the surface of the rice but also reduces the surface of the rice during the washing process, resulting in the loss of the inherent nutrients of the rice. This is not a problem only in the rice washing process but also in the washing process of other grains such as soybean and corn. In addition, the washing process can take a considerable time in some cases. In the case of a small business where a person has to carry out several operations at the same time or a busy modern person, the rice washing operation causes problems such as labor cost and waste of time.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researche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on techniques for effectively cleaning objects such as grains through manpower.

곡물세척용기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KR 20-0228510 “쌀세척기” 등이 있다. 종래기술은 사용자가 핸들부를 돌려 쌀을 세척하는 방식을 취한다. 이 경우, 쌀조리채그릇(14)이 세척용기(12) 내에 놓여 있으므로 세척된 쌀에서 분리된 이물질은 여전히 세척된 쌀 표면을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세척된 쌀을 밥솥 등에 제공하기 위해서는 뚜껑(16), 회전축(22) 등을 분리한 후 쌀조리채그릇(14)을 세척용기(12)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Prior art related to grain cleaning vessels is the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KR 20-0228510 " Rice Washer ". The prior art employs a method in which the user rotates the handle to clean the rice. In this case, since the rice cooker 14 is placed in the washing container 12, the foreign substances separated from the washed rice still contaminate the washed rice surface. In addition, in order to provide rice cooked rice to the rice cooker, the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it is necessary to separate the lid 16, the rotating shaft 22, and the like and then separate the rice cooker 14 from the washing vessel 12 .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곡물 등의 대상체가 수용되는 제1용기를 지지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기술은 손잡이부를 통하여 대상체가 수용된 제1용기를 세척하는 유체에 침지시켜 흔들어 주거나, 흐르는 세척하는 유체에 위치시키는 등의 방식으로 대상체를 세척할 수 있어 대상체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이 대상체를 다시 오염시키는 것을 최소할 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The technique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deriv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the technique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ncludes a handle portion for supporting a first container in which a subject such as a grain is received.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lean the object by immersing the first container in which the object is accommodated in the fluid for washing and shaking it or by moving the fluid in the flowing fluid to clean the object through the handle, Provides a technique that can minimize pollu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제1용기에 수용된 세척된 대상체를 별도의 과정을 통하지 않고 손잡이부를 통하여 밥솥 등과 같은 수용부에 바로 제공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technique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provides a technique capable of directly supplying a cleaned object accommodated in the first container to a receiving portion such as a rice cooker through a handle portion without going through a separate process, thereby reducing the working time.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곡물세척용기에 관한 기술이 개시(disclosure)된다. 상기 곡물세척용기는 적어도 하나의 제1관통구가 마련되며 대상체가 수용되는 제1용기, 상기 제1용기의 개폐를 위한 제2용기 및 상기 제1용기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제1관통구는 상기 대상체를 세척하는 유체는 이동할 수 있으나 상기 대상체는 상기 제1용기로부터 유출되지 않도록 마련된다.In one embodiment, a description of a grain cleaning vessel is disclosed. The grain cleaning vessel includes at least one first through-hole and includes a first vessel for receiving a target object, a second vessel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vessel, and a handle provided to support the first vessel. In this case, the fluid through which the object is cleaned may move in the first through-hole, but the object is prevented from flowing out of the first container.

상기 곡물세척용기는 대상체 투입구가 마련되며 상기 제1용기에 탈부착 가능한 제3용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대상체는 상기 대상체 투입구를 통하여 상기 제1용기에 수용될 수 있다.The grain cleaning container may further include a third container provided with an object inlet and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rst container. In this case, the object may be accommodated in the first container through the object inlet.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제2용기의 일측과 상기 제2용기의 상기 일측에 대응되는 상기 제1용기의 대응부를 서로 고정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1용기를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grip portion may be provided to support the first container in such a manner that one side of the second container and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first container corresponding to the one side of the second container are fixed to each other.

상기 곡물세척용기는 상기 제1용기, 상기 제2용기, 상기 손잡이부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수위측정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위측정기는 세척된 상기 대상체에 제공되는 유체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The grain cleaning vessel may further include a level gauge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vessel, the second vessel, the handle, and a combination thereof. In this case, the level gauge may measure the level of the fluid supplied to the cleaned object.

상기 수위측정기는 세척된 상기 대상체에 제공되는 상기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제1채널이 마련된 제1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level gauge may include a first body provided with a first channel through which the fluid provided to the object to be cleaned can move.

상기 수위측정기는 상기 제1몸체가 이동할 수 있는 제2채널이 마련된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채널과 상기 제2채널은 서로 연통할 수 있다.The level gauge may further include a housing provided with a second channel through which the first body can move. In this case, the first channel and the second channel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일례로, 상기 제1몸체 및 상기 하우징에는 각각 세척된 상기 대상체에 제공되는 상기 유체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는 복수의 제1표지들 및 복수의 제2표지들이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제1표지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복수의 제2표지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호 대응되도록 하는 과정을 통하여 상기 제1몸체는 상기 제2채널을 통하여 이동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body and the housing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rst indicia and a plurality of second indicia, each of which can confirm the level of the fluid provided to the object to be cleaned. In this case, the first body may move through the second channel through a process of making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signs correspond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signs.

다른 예로, 상기 제1몸체는 외면에 마련되는 제1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내면에 마련되는 제2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가이드부 및 상기 제2가이드부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져 상기 제1몸체가 상기 제2가이드부에 의해 가이드 되어 상기 제2채널에서 이동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first body may include a first guide portion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The housing may include a second guide portion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In this case, the first guide part and the second guide part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body can be guided by the second guide part and move in the second channel.

한편, 상기 곡물세척용기는 세척된 상기 대상체에 제공되는 상기 유체에 의해 부유하여 상기 제1채널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부유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grain cleaning vessel may further include a float capable of floating along the first channel and floating by the fluid provided to the cleaned object.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곡물 등의 대상체가 수용되는 제1용기를 지지하는 손잡이부를 통하여 대상체가 수용된 제1용기를 세척하는 유체에 침지시켜 흔들어 주거나, 흐르는 세척하는 유체에 위치시키는 등의 방식으로 대상체를 세척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대상체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이 대상체를 다시 오염시키는 것을 최소하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The technique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a method of immersing the first container in which the object is accommodated in the cleaning fluid through the handle for supporting the first container in which the object such as grain is accommodated and shaking it or placing it in the flowing cleaning fluid The object can be cleaned. Thereby minimizing the contamination of the object by the foreign matter separated from the object.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제1용기에 수용된 세척된 대상체를 별도의 과정을 통하여 밥솥 등에 제공할 필요 없이 손잡이부를 통하여 세척된 대상체를 밥솥 등에 바로 제공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In addition, the technique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can provide a cleaned object directly to a rice cooker or the like through a handle without requiring a washed object to be housed in a first container through a separate process, Effect can be provided.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세척된 대상체에 제공되는 유체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는 수위측정기를 포함함으로써 세척된 대상체에 제공되는 유체의 양을 효과적으로 계산할 수 있는 차별화된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In addition, the techniques disclosed herein can provide a differentiated effect that can effectively calculate the amount of fluid provided to a cleaned object by including a level gauge capable of measuring the level of the fluid provided to the cleaned object .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하우징의 내부를 이동할 수 있는 수위측정기를 포함함으로써 세척된 대상체에 제공되는 유체의 양이 많아지더라도 수위측정기가 측정할 수 있는 측정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Further, the technique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a water level gauge capable of moving inside the housing, so that even if the amount of fluid supplied to the cleaned object increases, the effect that the measurement range that the water level gauge can measure can be increased You can provide them.

전술한 내용은 이후 보다 자세하게 기술되는 사항에 대해 간략화된 형태로 선택적인 개념만을 제공한다. 본 내용은 특허 청구 범위의 주요 특징 또는 필수적 특징을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를 제한할 의도로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The foregoing provides only a selective concept in a simplified form as to what is described in more detail hereinafter.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claims or limit the scope of essential features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claims.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곡물세척용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곡물세척용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수위측정기의 예시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수위측정기를 통하여 세척된 대상체에 제공되는 유체의 수위를 측정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 view showing a grain cleaning vessel disclosed herein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2 is a view showing a grain cleaning vessel disclosed herei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ures 3 and 4 are diagrams illustrating examples of a level gauge disclosed herein.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vel of a fluid supplied to a cleaned object is measured through a level gauge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FIG.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자 한다. 본문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도면의 유사한 참조번호들은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도면들 및 청구항들에서 상술하는 예시적인 실시 예들은 한정을 위한 것이 아니며, 다른 실시 예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개시되는 기술의 사상이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른 변경들도 가능하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의 구성요소들, 즉 여기서 일반적으로 기술되고, 도면에 기재되는 구성요소들을 다양하게 다른 구성으로 배열, 구성, 결합, 도안할 수 있으며, 이것들의 모두는 명백하게 고안되며, 본 개시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여러 층(또는 막), 영역 및 형상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또는 형상 등은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 drawings, and the claims are not intended to be limiting, and other embodiments may be utilized, and other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at is, components that are generally described herein and described in the drawings, may be arranged, arranged, combined, or arranged in a variety of different configurations, all of which are expressly And forms par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the drawings, the width, length, thickness or shape of an element, etc. may be exaggerated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various layers (or films), regions and shapes.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마련"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마련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When one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prepared" with another component, it may include a case where the one component is provided directly to the other component as well as a case where an additional component is interposed therebetween.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a "connection" with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include a case where an additional component is interposed therebetween as well as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결합"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결합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When one element is referred to as "coupled" with another element, it may include the case where the one element is directly coupled with the other element, as well as the case where additional elements are interposed therebetween.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description of the disclosed technique is merely an example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explanation and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the embodim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variously embodied and having various forms, so that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s.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ingular " include " or " have " are to be construed as including the stat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bination is intended to specify that it is present and not to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사용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 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disclosed technology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can not be construed as having ideal or overly formal meaning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곡물세척용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의 (a) 및 (b)는 각각 곡물세척용기의 개념도 및 평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곡물세척용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2는 곡물세척용기와 손잡이의 결합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수위측정기의 예시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의 (a) 및 (b)는 수동식 수위측정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의 (c)는 전자식 수위측정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의 (a) 내지 (c)는 각각 하우징을 포함하는 수위측정기의 개념도, AA’선에 따른 수위측정기의 단면도의 일례 및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의 (d)는 제1몸체에 마련되는 제1표지와 하우징에 마련되는 제2표지가 상호 대응되도록 하는 과정을 통하여 하우징의 제2채널을 통하여 제1몸체가 이동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수위측정기를 통하여 세척된 대상체에 제공되는 유체의 수위를 측정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 view showing a grain cleaning vessel disclosed herein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Figs. 1 (a) and 1 (b) are views showing a conceptual diagram and a plan view of a grain cleaning vessel, respectively. 2 is a view showing a grain cleaning vessel disclosed herei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ore specifically, FIG. 2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combining the grain cleaning vessel and the handle. Figures 3 and 4 are diagrams illustrating examples of a level gauge disclosed herein. 3 (a) and 3 (b) are views showing a manual water level meter, and FIG. 3 (c) is a view showing an electronic water level meter. 4 (a) to 4 (c) are views showing a conceptual diagram of a level gauge including a housing, an example of a sectional view of the level gauge according to line AA ', and another example. 4D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body moves through the second channel of the housing through a process in which the first cover provided o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cover provided on the housing correspond to each other .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vel of a fluid supplied to a cleaned object is measured through a level gauge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FIG.

도면을 참조하면, 곡물세척용기(100)는 제1용기(110), 제2용기(120) 및 손잡이부(130)를 포함한다. 몇몇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곡물세척용기(100)는 선택적으로(optionally) 제3용기(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곡물세척용기(100)는 선택적으로 수위측정기(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곡물세척용기(100)는 선택적으로 부유체(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 grain cleaning vessel 100 includes a first vessel 110, a second vessel 120, and a handle 130. In some other embodiments, the grain cleaning vessel 100 may optionally further include a third vessel 140. In some other embodiments, the grain cleaning vessel 100 may further optionally include a level gauge 150. In some other embodiments, the grain cleaning vessel 100 may optionally further include a float 160.

제1용기(110)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관통구(112)가 마련되며 대상체(10)가 수용된다. 제1관통구(112)는 대상체(10)를 세척하는 유체(20)는 이동할 수 있으나 대상체(20)는 제1용기(110)로부터 유출되지 않도록 마련된다. 제1용기(110)의 소재로는 금속, 합성소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대상체(10)를 수용하고 제1관통구(112)가 마련될 수 있는 한 그 소재에는 제한이 없다. 대상체(10)로는 쌀, 보리, 콩 등과 같은 곡물을 예로 들 수 있으나, 그 대상에는 제한이 없다. 유체(20, fluid)로는 물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대상체(10)의 세척에 사용되는 유체와 세척된 대상체(10)에 제공되는 유체는 같은 종류일 수도 있고 다른 종류일 수도 있다. 한편, 제1용기(110)의 내면 또는 외면에는 대상체(10)의 수용량을 확인할 수 있는 수용량확인표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본 기술인 곡물세척용기(100)의 사용자는 상기 수용량확인표지를 통하여 세척되는 대상체(10)의 양을 확인할 수 있다.At least one first through-hole 112 is provided in the first container 110 to accommodate the object 10. The first through hole 112 is provided so that the fluid 20 that cleans the object 10 can move but the object 20 does not flow out of the first container 110. The material of the first container 110 may be a metal, a synthetic material, or the like. The material of the first container 110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can accommodate the object 10 and the first through-hole 112 can be provided. Examples of the object 10 include cereals such as rice, barley, and soybeans, but there is no limitation to the object. The fluid 20 may be wat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fluid used to clean the object 10 and the fluid provided to the cleaned object 10 may be the same type or different types. On the inner surface or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ntainer 110, a capacity check mark (not shown) for checking the capacity of the target object 10 may be provided. The user of the grain cleaning vesse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firm the amount of the object 10 to be cleaned through the capacity confirmation mark.

제2용기(120)는 제1용기(110)를 개폐한다. 제2용기(120)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관통구(122)가 마련될 수 있다. 제2관통구(122)는 대상체(10)를 세척하는 유체(20)는 이동할 수 있으나 대상체(20)는 제2용기(120)로부터 유출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용기(120)의 소재로는 금속, 합성소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제1용기(110)을 개폐할 수 있는 한 그 소재에는 제한이 없다. 일례로, 제2관통구(122)는 제1관통구(11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The second container 120 opens and closes the first container 110. At least one second through-hole 122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container 120. The second through hole 122 may be provided such that the fluid 20 that cleans the object 10 can move but the object 20 does not leak from the second container 120. [ As the material of the second container 120, metal, synthetic material, or the like can be used, and there is no limitation to the material of the second container 120 as long as the first container 110 can be opened and closed. For example, the second through-hole 122 may have substantially the same size as the first through-hole 112.

손잡이부(130)는 제1용기(110)를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손잡이부(130)는 도면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릇(30)에 쉽게 넣을 수 있도록 꺾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손잡이부(130)의 길이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손잡이부(130)의 소재로는 금속, 합성수지, 목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제1용기(110)를 지지할 수 있는 한 그 소재에는 제한이 없다. 일례로, 손잡이부(130)의 일측에는 제1용기(110)와 결합되는 결합부(132)가 마련될 수 있다. 결합부(132)는 예로서 손잡이부(130)의 상기 일측에 탈부착되는 방식으로 마련되거나 손잡이부(130)의 상기 일측의 구조 또는 형상을 변화시켜 마련될 수도 있다. 일례로, 수위측정기(150)는 손잡이부(130)에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일례로, 손잡이부(130)의 타측에는 수위측정기(150)가 거치되는 거치부(134)가 마련될 수 있다. 거치부(134)는 예로서 손잡이부(130)의 상기 타측에 탈부착되는 방식으로 마련되거나 손잡이부(130)의 상기 타측의 구조 또는 형상을 변화시켜 마련될 수도 있다. 수위측정기(150)는 예로서 나사결합 방식으로 거치부(134)와 결합할 수 있다.The handle 130 is provided to support the first container 110. The grip portion 130 may be formed in a bent shape so as to be easily inserted into the bowl 30, as shown in the example of the drawing. The length of the handle 130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Metal, synthetic resin, wood, or the like can be used as the material of the handle 130, and there is no limitation as long as it can support the first container 110. For example, a coupling portion 132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andle 130 to be coupled to the first container 110. The engaging portion 132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one side of the handle 130 or may be formed by changing the structure or shape of the handle 130 at one side of the handle 130. For example, the level gauge 150 may be provided on the handle 130. In this case, for example, a mounting portion 134 on which the level gauge 150 is mounted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grip portion 130. The mounting portion 134 may be provided in a manner such that it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other side of the knob portion 130 or may be provided by changing the structure or shape of the other side of the knob portion 130, for example. The level gauge 150 may be coupled to the mounting portion 134 in a threaded manner, for example.

한편, 손잡이부(130)는 제1용기(110)에 고정된 형태로 제1용기(110)를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손잡이부(130)는 예로서 결합부(132)를 통하여 제1용기(110)에 고정될 수 있다.Meanwhile, the handle 130 may be provided to support the first container 110 in a fixed manner to the first container 110. [ The handle 130 may be fixed to the first container 110 via the coupling portion 132 as an example.

또 한편, 손잡이부(130)는 회동 가능한 형태로 제1용기(110)를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손잡이부(130)는 예로서 결합부(132)를 통하여 회동 가능한 형태로 제1용기(110)를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Meanwhile, the handle 130 may be provided to support the first container 110 in a rotatable manner. The handle 130 may be provided to support the first container 110 in a rotatable manner, for example,

또 한편, 손잡이부(130)는 제1용기(110)에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제1용기(110)를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손잡이부(130)는 예로서 결합부(132)를 통하여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제1용기(110)를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부(130)는 결합부(132)를 통하여 제2용기(120)의 일측(128)과 제2용기(120)의 일측(128)에 대응되는 제1용기(110)의 대응부(118)를 서로 고정하는 방식으로 제1용기(110)를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손잡이부(130)는 탈부착되는 방식으로 제2용기(120)의 일측(128) 및 제1용기(110)의 대응부(118)를 서로 고정할 수 있다. 제2용기(120)의 일측(128) 및 제1용기(110)의 대응부(118)에 대한 탈부착을 통한 손잡이부(130)의 고정방식으로는 압박방식, 나사결합방식, 끼움결합방식, 끼운 후 회전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활용될 수 있다. 도면에는 제2용기(120)의 일측(128)과 제1용기(110)의 대응부(118)의 예로서 돌출형상을 가지는 경우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Meanwhile, the handle 130 may be provided to support the first container 110 in a detachable form in the first container 110. [ The handle 130 may be provided to support the first container 110 in a detachable form, for example, 2, the handle 130 is connected to one side 128 of the second container 120 and one side 128 of the second container 120 through the engaging portion 132 And may be provided to support the first container 110 in such a manner that the corresponding portions 118 of the first container 110 are fixed to each other. In this case, the handle 130 can be fixed to one side 128 of the second container 120 and the corresponding portion 118 of the first container 110 in a detachable manner. The fixing method of the handle 130 by detaching and attaching the one end 128 of the second container 120 and the corresponding portion 118 of the first container 110 may be a pressing method, And a method of rotating after inserting can be utilized. In the figure, a case where one side 128 of the second container 120 and the corresponding portion 118 of the first container 110 have a protruding shape is shown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압박방식으로는 제2용기(120)의 일측(128)과 제1용기(110)의 대응부(118)를 서로 대향시킨 후 결합부(132)를 통하여 대향된 제2용기(120)의 일측(128) 및 제1용기(110)의 대응부(118)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면서 압박하는 방식이 예로서 활용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력을 증가하기 위하여 결합부(132)에는 조임부(132a)가 마련될 수 있다. 도 2에는 압박방식의 경우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One side 128 of the second container 120 and the corresponding portion 118 of the first container 110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the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ontainer 120 opposed to the first container 110 through the engaging portion 132 The second container 128 and the corresponding portion 118 of the first container 110 may be utilized as an example. In this case, in order to increase the coupling force, the coupling portion 132 may be provided with the throttling portion 132a. In Fig. 2, the case of the compression method is shown as an example.

나사결합방식으로는 제2용기(120)의 일측(128)과 제1용기(110)의 대응부(118)를 서로 대향시킨 후 대향된 제2용기(120)의 일측(128) 및 제1용기(110)의 대응부(118)의 적어도 일부를 결합부(132)에 마련된 함몰부(미도시)에 회전방식으로 삽입시키는 방식이 예로서 활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용기(120)의 일측(128)의 외면 및 제1용기(110)의 대응부(118)의 외면에는 결합부(132)의 상기 함몰부의 내면의 나사산 형상(미도시)에 대응되는 나사산(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The first container 128 and the first container 110 are disposed in the first container 128 and the second container 120, respectively, A method of rotationally inserting at least a part of the corresponding portion 118 of the container 110 into a depression (not shown) provided in the engaging portion 132 can be used as an example. In this case, on the outer surface of one side 128 of the second container 12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orresponding portion 118 of the first container 110, a threaded shape (not show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depressed portion of the engaging portion 132 Corresponding threads (not shown) may be provided.

끼움결합방식으로는 제2용기(120)의 일측(128)과 제1용기(110)의 대응부(118)를 서로 대향시킨 후 대향된 제2용기(120)의 일측(128) 및 제1용기(110)의 대응부(118)의 적어도 일부를 결합부(132)에 마련된 함몰부(미도시)에 삽입시키는 방식이 예로서 활용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제2용기(120)의 일측(128)의 외면 또는 제1용기(110)의 대응부(118)의 외면에는 결합부(132)의 상기 함몰부의 내면의 함몰 또는 돌출 형상(미도시)에 대응되는 돌출부(미도시) 또는 함몰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In the fitting method, one side 128 of the second container 120 and the corresponding portion 118 of the first container 110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then one side 128 of the second container 120 and the second side 120 A method of inserting at least a part of the corresponding portion 118 of the container 110 into a depression (not shown) provided in the engaging portion 132 can be utilized as an example. In this case, in order to increase the bonding force, the outer surface of one side 128 of the second container 120, or the outer surface of the corresponding portion 118 of the first container 110, (Not shown) or depressions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shape (not shown) may be provided.

끼운 후 회전하는 방식으로는 제2용기(120)의 일측(128)과 제1용기(110)의 대응부(118)를 서로 대향시킨 후 대향된 제2용기(120)의 일측(128) 및 제1용기(110)의 대응부(118)의 적어도 일부를 결합부(132)에 마련된 함몰부(미도시)에 삽입시킨 후 회전시키는 방식이 예로서 활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례로, 대향된 제2용기(120)의 일측(128) 및 제1용기(110)의 대응부(118)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결합부(132)의 상기 함몰부의 내면에는 제1돌출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대향된 제2용기(120)의 일측(128)의 외면 또는 제1용기(110)의 대응부(118)의 외면에는 상기 제1돌출부가 이동할 수 있는 제1홈(미도시) 및 상기 제1돌출부가 회전할 수 있는 제2홈(미도시)이 상기 제1홈의 횡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대향된 제2용기(120)의 일측(128)의 외면 또는 제1용기(110)의 대응부(118)의 외면에는 제2돌출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대향된 제2용기(120)의 일측(128) 및 제1용기(110)의 대응부(118)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결합부(132)의 상기 함몰부의 내면에는 상기 제2돌출부가 이동할 수 있는 제3홈(미도시) 및 상기 제2돌출부가 회전할 수 있는 제4홈(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One side 128 of the second container 120 and the corresponding portion 118 of the first container 110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then the other side 128 of the second container 120 and the second container 120 are opposed to each other. A method of inser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corresponding portion 118 of the first container 110 into a depression (not shown) provided in the engaging portion 132 and then rotating the inserted portion 118 may be utilized as an example. To this end, for example, an inner surface of the depressed portion of the engaging portion 132 into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opposed second container 120 and at least a part of the corresponding portion 118 of the first container 110 are inserted, 1 protrusion (not shown) may be provided. A first groove (not shown) through which the first protrusion can move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one side 128 of the opposing second container 120 or an outer surface of a corresponding portion 118 of the first container 110, A second groove (not shown) in which the first projection can rotate can be provid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first groove. As another example, a second protrusion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one side 128 of the opposing second container 120 or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rresponding portion 118 of the first container 110. At this tim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epressed portion of the engaging portion 132 into which the one side 128 of the opposed second container 120 and the corresponding portion 118 of the first container 110 are inserted, A movable third groove (not shown) and a fourth groove (not shown) in which the second projection can rotate can be provided.

제3용기(140)는 대상체 투입구(144)가 마련되며 제1용기(110)에 탈부착 가능할 수 있다. 제3용기(140)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3관통구(142)가 마련될 수 있다. 제3관통구(142)는 대상체(10)를 세척하는 유체(20)는 이동할 수 있으나 대상체(20)는 제3용기(140)로부터 유출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대상체(10)는 대상체 투입구(144)를 통하여 제1용기(110)에 수용될 수 있다. 제3용기(140)의 소재로는 금속, 합성소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대상체 투입구(144)를 포함하고 제1용기(110)에 탈부착될 수 있는 한 그 소재에는 제한이 없다. 일례로, 세척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유물, 불순물 등의 효과적인 배출을 위하여 제3관통구(142)의 크기는 제1관통구(112)의 크기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The third container 140 is provided with an object inlet 144 and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rst container 110. At least one third through-hole 142 may be provided in the third container 140. The third through-hole 142 may be provided such that the fluid 20 that cleans the object 10 can move but the object 20 does not leak out of the third container 140. The object 10 can be received in the first container 110 through the object input port 144. [ As the material of the third container 140, a metal, a synthetic material, or the like can be used, and there is no limitation as long as it can include the object input port 144 and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first container 110. For example, the size of the third through-hole 142 may be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through-hole 112 for effective discharge of floating matters, impurities, and the like generated in the cleaning process.

한편, 도 1에는 대상체 투입구(144)를 포함하는 제3용기(140)가 결합된 제1용기(110)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다르게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달리, 제1용기(110)가 대상체 투입구(144)를 구비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용기(140)는 생략될 수 있다. 제1용기(110)와 제3용기(140)의 결합은 앞서 손잡이부(130)의 고정방식과 관련하여 상술한 압박방식, 나사결합방식, 끼움결합방식, 끼운 후 회전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앞서 상술한 손잡이부(130)의 고정방식을 제1용기(110)와 제3용기(140)의 결합에 쉽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1, a first container 110 coupled with a third container 140 including a target object inlet 144 is illustrated as an example. Alternatively, unlike the drawing, the first container 110 may be provided in a shape having the object inlet 144. In this case, the third container 140 may be omitted. The first container 110 and the third container 14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in various ways such as the above-described pressing method, screw coupling method, fitting method, Can be utiliz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it is possible to easily apply the fixing method of the grip part 130 to the first container 110 and the third container 140. Therefore, For the sake of simplicity.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곡물세척용기(100)는 도 2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용기(110)에 수용되며, 제2용기(120)에 의하여 갇힌 대상체(10)를 손잡이부(130)를 통하여 흐르는 유체(20) 또는 유체받이 그릇(30, bowl)에 담긴 유체(20)를 통하여 세척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다시 말하면, 본 명세서의 곡물세척용기(100)는 손잡이부(130)를 통하여 대상체(10)가 수용된 제1용기(110)를 세척하는 유체(20)에 침지시켜 흔들어 주거나, 흐르는 세척하는 유체(20)에 위치시키는 등의 방식으로 대상체(10)를 세척할 수 있어 대상체(10)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이 대상체(10)를 다시 오염시키는 것을 최소할 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도 5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곡물세척용기(100)는 제1용기(110)에 수용된 세척된 대상체(20)를 별도의 과정을 통하여 밥솥 등과 같은 그릇(30)에 제공할 필요 없이 손잡이부(130)를 통하여 세척된 대상체(10)를 밥솥 등과 같은 그릇(30)에 바로 제공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The cereal cleaning container 100 disclosed herein is housed in a first container 110 as shown by way of example in FIG. 2 and includes a grip portion 130 Or through the fluid 20 contained in the fluid 20 or the bowl 30 flowing through the fluid passage 20. In other words, the grain cleaning contain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by immersing and immersing the first container 110 in which the object 10 is accommodated in the cleaning fluid 20 through the handle 130, 20, the object 10 can be cleaned, thereby providing a technique capable of minimizing contamination of the object 10 by the foreign matter separated from the object 10. 5, the cereal cleaning container 100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a container for cleaning a washed object 20 accommodated in the first container 110 through a separate process such as a rice cooker or the like 30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object 10, which has been cleaned through the handle 130, directly to the bowl 30 such as a rice cooker, thereby providing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working time.

제1용기(110)와 제2용기(120)는 다양한 방식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으며, 예로서 아래에 제시하는 방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아래의 예시는 본 기술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되는 제1용기(110)와 제2용기(120)의 연결의 예시일 뿐 아래에 제시하는 방식으로 제1용기(110)와 제2용기(120)가 연결됨을 한정할 의도가 아님을 분명히 밝혀둔다.The first container 110 and the second container 120 may be interconnected in a variety of ways, for example, in the manner described below. The following example illustrates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container 110 and the second container 120, which are provided for the sake of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tainer 110 and the second container 120 )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connection.

제1용기(110)와 제2용기(120)는 자석, 연결고리, 끼움방식 등을 활용하여 서로 연결되는 둘 이상의 연결부들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둘 이상의 상기 연결부들은 제1용기(110) 및 제2용기(120)에 각각 마련되는 서로 대응되는 극성을 가지는 자석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용기(110)와 제2용기(120)는 서로 대응되는 극성을 가지는 자석들간의 자기력을 통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용기(120)에 자기력 이상의 힘을 가함으로써 제1용기(110)를 개폐할 수 있다. 자기력 이상의 힘이 가해지기 전까지는 제1용기(110)가 개폐되지 않으므로 제2용기(120)에 닫힌 대상체(20)은 세척 유체(20)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세척될 수 있다.The first container 110 and the second container 120 may have two or more connection portions connected to each other by utilizing a magnet, a connection ring, a fitting method, or the like. For example, the two or more connecting portions may include magnets having polariti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provided in the first container 110 and the second container 120,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first container 110 and the second container 120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magnetic force between magnets having polariti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he user can open or close the first container 110 by applying a force greater than a magnetic force to the second container 120. [ Since the first container 110 is not opened or closed until a force exceeding the magnetic force is applied, the closed object 20 can be stably cleaned by the cleaning fluid 20 in the second container 120.

다른 예로, 둘 이상의 상기 연결부들은 제1용기(110), 제2용기(120)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자석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자석들에 대향하는 제1용기(110) 또는 제2용기(120)는 자석에 붙는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two or more of the connection portions may include magnets provided in any one of the first container 110, the second container 120, and a combination thereof. In this case, the first container 110 or the second container 120 facing the magnets may be made of a material adhered to the magnets.

또 다른 예로, 둘 이상의 상기 연결부들은 제1용기(110)와 제2용기(120)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회동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동연결부를 통하여 사용자는 제1용기(110)와 제2용기(120)가 분리되지 않는 상태에서 제2용기(120)를 통하여 제1용기(110)를 개폐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at least two connection portions may include a pivotal connection portion for pivotably coupling the first and second containers 110 and 120. The user can open and close the first container 110 through the second container 120 without separating the first container 110 and the second container 120 from each other.

상술한 예시의 경우, 손잡이부(130)는 고정 또는 회동고정 방식으로 제1용기(110)에 고정되게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세척 유체(20)를 활용하여 세척된 대상체(10)는 제2용기(120)를 분리하거나 회동방식으로 회전시킨 후 도 5에 도시된 방식으로 그릇(30)에 옮겨 담을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곡물세척용기(100)는 제1용기(110)에 수용된 세척된 대상체(20)를 별도의 과정을 통하여 밥솥 등과 같은 그릇(30)에 제공할 필요 없이 손잡이부(130)를 통하여 세척된 대상체(10)를 밥솥 등과 같은 그릇(30)에 바로 제공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xample, the handle 130 may be fixed to the first container 110 in a fixed or pivotal manner. In this case, the cleaned object 10 utilizing the cleaning fluid 20 can be transferred to the bowl 30 in the manner shown in Fig. 5 after the second container 120 is detached or rotated in a pivoting manner. Accordingly, the grain cleaning vessel 100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can be used in the same manner as the grain cleaning vessel 100 without the need to provide the washed object 20 accommodated in the first vessel 110 to the vessel 30 such as a rice cooker, So that the object 10 can be directly supplied to the bowl 30 such as a rice cooker, thereby minimizing the working time.

한편,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2용기(120)의 일측과 제2용기(120)의 일측(128)에 대응되는 제1용기(110)의 대응부(118)는 손잡이부(130)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회동연결부는 손잡이부(130)가 마련된 위치에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회동연결부의 위치는 손잡이부(130)가 마련된 상기 위치에 대응하는 제2용기(120)의 타측과 제1용기(110)의 타측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회동연결부와 손잡이부(130)를 통하여 제1용기(110)는 제2용기(120)에 의하여 닫힌 상태를 자석연결방식에 비하여 보다 더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제1용기(110)가 제2용기(120)에 의하여 닫힌 상태에서 손잡이부(130)를 통하여 제1용기(110)에 수용된 대상체(10)를 유체(20)를 이용하여 세척할 수 있다. 유체(20)에 의하여 세척된 대상체(10)는 손잡이부(130)를 분리하고 제1용기(110)를 개방한 후 원하는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The corresponding portion 118 of the first container 110 corresponding to one side of the second container 120 and one side 128 of the second container 120 may be held by the handle 130, Can be fixed. In this case, the pivot connection portion may be locat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position where the handle 130 is provided. The position of the pivotal connection part may be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ontainer 120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ntainer 110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handle 130 is provided. The first container 110 can be more stably held in the closed state by the second container 120 than the magnet connection method through the pivot connection portion and the handle 130. [ The user can clean the object 10 received in the first container 110 through the handle 130 in the state where the first container 110 is closed by the second container 120 by using the fluid 20 can do. The object 10 to be cleaned by the fluid 20 may be provided at a desired position after the handle 130 is separated and the first container 110 is opened.

또 다른 예로, 둘 이상의 상기 연결부들은 제1용기(110)와 제2용기(120)가 끼움연결되도록 하는 끼움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끼움연결부를 구현하기 위하여 제1용기(110)에는 제3돌출부(미도시)가 마련되고, 상기 제3돌출부에 대응되는 제2용기(120)의 위치에는 상기 제3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는 제5홈(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끼움연결부를 구현하기 위하여 제1용기(110)에는 제6홈(미도시)이 마련되고, 상기 제6홈에 대응되는 제2용기(120)의 위치에는 상기 제6홈에 삽입될 수 있는 제4돌출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2용기(120)의 일측(128)과 제2용기(120)의 일측(128)에 대응되는 제1용기(110)의 대응부(118)는 손잡이부(130)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끼움연결부는 손잡이부(130)가 마련된 위치에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끼움연결부의 위치는 손잡이부(130)가 마련된 상기 위치에 대응하는 제2용기(120)의 타측과 제1용기(110)의 타측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끼움연결부와 손잡이부(130)를 통하여 제1용기(110)는 제2용기(120)에 의하여 닫힌 상태를 자석연결방식에 비하여 보다 더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제1용기(110)가 제2용기(120)에 의하여 닫힌 상태에서 손잡이부(130)를 통하여 제1용기(110)에 수용된 대상체(10)를 유체(20)를 이용하여 세척할 수 있다. 유체(20)에 의하여 세척된 대상체(10)는 손잡이부(130)를 분리하고 상기 끼움연결부의 연결을 해제하는 과정을 통하여 제1용기(110)를 개방한 후 원하는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도면에는 제1용기(110)와 제2용기(120)를 서로 연결하는 둘 이상의 연결부들로서 제1용기(110)에 마련되는 제1자석(114), 제1자석(114)에 대항하여 제2용기(120)에 마련되는 제2자석(124) 및 제1용기(110)와 제2용기(120)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회동연결부(116)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at least two connection portions may include a fitting connection for allowing the first container 110 and the second container 120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A third protrusion (not shown) is provided in the first container 110 to implement the fitting connection, and the third protrusion can be inserted into the second container 120 corresponding to the third protrusion A fifth groove (not shown) may be provided. Alternatively, a sixth groove (not shown)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container 110 to implement the fitting connection, and a second groove 120 may be formed in the sixth container 120 corresponding to the sixth groove, A fourth protrusion (not shown) may be provided. As described above, the corresponding portion 118 of the first container 110 corresponding to the one side 128 of the second container 120 and the one side 128 of the second container 120 is connected to the handle portion 130 ). In this case, the fitting connection portion may be located at a position spaced from the position where the handle 130 is provided. The position of the fitting connection portion may be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ontainer 120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ntainer 110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handle 130 is provided. The first container 110 can be held in a more closed state by the second container 120 than the magnet connection method through the fitting connection portion and the handle 130. [ The user can clean the object 10 received in the first container 110 through the handle 130 in the state where the first container 110 is closed by the second container 120 by using the fluid 20 can do. The object 10 cleaned by the fluid 20 may be provided at a desired position after opening the first container 110 through the process of removing the handle 130 and disconnecting the fitting connection. In the drawing, two or more connecting portions connecting the first container 110 and the second container 120 to each other include a first magnet 114 provided in the first container 110, a second magnet 114 provided in the first container 110, A second magnet 124 provided in the container 120 and a pivotal connection portion 116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first container 110 and the second container 120 are shown as an example.

수위측정기(150)는 제1용기(110), 제2용기(120), 손잡이부(130)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수위측정기(150)는 세척된 대상체(10)에 제공되는 유체(20)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 도면에는 수위측정기(150)로서 손잡이부(130)에 탈부착 가능하게 마련된 경우가 예시되어 있으나, 수위측정기(150)는 제1용기(110), 제2용기(120)에 마련되거나 손잡이부(130)에 고정형으로 마련될 수 있는 등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정형으로 마련될 경우에는 수위측정기(150)는 후술하는 수위측정기(150)의 제1몸체(152)의 제1채널(152a)의 개구부(opening)가 외부를 향하도록 손잡이부(130)에 마련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손잡이부(150)에 탈부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수위측정기(150)를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설명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수위측정기(150)의 권리범위를 제한할 용도가 아님을 분명히 밝혀둔다.The level gauge 150 may be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tainer 110, the second container 120, the handle 130, and a combination thereof. The level gauge 150 may measure the level of the fluid 20 provided to the cleaned object 10. The water level gauge 150 may be provided on the first container 110 and the second container 120 or may be provided on the handle 130. In this cas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water level gauge 150 is provided on the handle 130 so that the opening of the first channel 152a of the first body 152 of the water level gauge 150, . A water level gauge 150 detachably attached to the handle 150 will be describ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clear that this description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scope of the level gauge 150 disclosed herein.

수위측정기(150)는 세척된 대상체(10)에 제공되는 유체(20)의 수위를 측정하여 대상체에 공급되는 유체(20)의 적정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해 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곡물세척용기(100)를 통하거나 다른 방식을 통하여 세척된 대상체(10)에는 유체(20)가 제공되거나 제공될 필요가 있다. 일례로, 대상체(10)로서 곡물이 사용될 수 있고, 세척된 곡물인 대상체(10)에는 조리를 위하여 유체(20)의 일례인 물이 공급될 수 있다. 곡물인 대상체(10)의 종류와 양에 따라 요구되는 유체(20)로서의 물의 양은 달라진다. 수위측정기(150)를 통하여 유체(20)로서의 물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어 대상체(10)로서 세척된 곡물에 제공되는 유체(20)인 물이 적절히 제공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곡물세척용기(100)는 수위측정기(150)를 포함함으로써 대상체(10)의 세척기능과 함께 세척된 대상체(10)에 제공되는 유체(20)의 수위 측정을 통하여 대상체(10)에 제공되는 유체(20)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세척된 대상체(10)에 제공되는 유체(20)를 제공유체라 칭하기로 한다.The water level gauge 150 can provide a function of measuring the level of the fluid 20 provided to the cleaned object 10 and checking the proper amount of the fluid 20 supplied to the object. More specifically, fluid 20 needs to be provided or provided to the cleaned object 10 through the cereal cleaning container 100 disclosed herein or otherwise. As an example, cereal may be used as the object 10, and the object 10, which is the washed cereal, may be supplied with water, which is an example of the fluid 20, for cooking. The amount of water required as the fluid 20 varies depending on the kind and amount of the object 10 being a grain. The level of the water as the fluid 20 can be measured through the level gauge 150 and it can be confirmed whether or not the water as the fluid 20 provided to the washed cereal object as the target body 10 is properly provided. The grain cleaning vessel 100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the level gauge 150 to measure the level of the fluid 20 supplied to the cleaned object 10 together with the cleaning function of the object 10,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effect of adjusting the amount of the fluid 20 provided in the fluid 10.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fluid 20 provided to the cleaned object 10 will be referred to as providing fluid.

수위측정기(150)로는 도 3의 (a) 내지 (c)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동식 수위 측정방식 및 자동식 수위측정방식이 활용될 수 있다. 수동식 수위 측정방식의 경우, 도 3의 (a)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수위측정기(150)의 제1몸체(152)로 유입되는 상기 제공유체의 수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다르게는, 도 3의 (b)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제공유체에 부유하는 부유체(160)를 통하여 상기 제공유체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육안 확인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수위를 안내하는 표시부가 활용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대상체(10)의 종류, 대상체(10)가 수용되는 그릇(30)의 단면적 등을 고려하여 차등화되어 수위측정기(150)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공유체의 실제 정확한 수위를 안내하는 표지뿐만 아니라 대상체(10)로서 곡물이 사용되는 경우에 1인분, 2인분 등과 같이 곡물을 활용하여 음식을 만들기에 필요한 유체(20)의 일례로서의 물의 높이를 안내하는 표지 등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표시부로서 제1표지(152b)가 제1몸체(152)에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수위측정기(150)를 이용한 상기 제공유체의 수위는 도 5에 예로서 도시한 방식과 같이 세척된 대상체(10) 및 상기 제공유체가 마련된 그릇(30)에 수위측정기(150)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측정될 수 있다. 다르게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달리, 수위측정기(150)가 손잡이부(130)에 일체형으로 마련된 경우에는 손잡이부(130)를 활용하여 수위측정기(150)를 세척된 대상체(10) 및 상기 제공유체가 마련된 그릇(30)에 수위측정기(150)를 삽입하는 방식이 활용될 수도 있다. 이때, 제1몸체(152)로 유입되는 상기 제공유체의 수위가 낮을 경우에 그릇(30), 그릇(30)에 제공된 상기 제공유체 등에 의하여 사용자의 시야를 가릴 수 있어 상기 제공유체의 수위를 육안을 직접 수위를 측정하기에는 어려움이 존재할 수 있다. 도 3의 (b)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부유체(160)를 활용하여 수위를 측정할 경우, 부유체(160)의 길이를 충분히 길게 마련하면 제1몸체(152)로 유입되는 상기 제공유체의 수위가 낮더라도 부유체(160)의 끝단은 그릇(30), 그릇(30)에 제공된 상기 제공유체 등에 방해 받지 않고 외부로 노출될 수 있어 사용자는 안정적으로 수위를 측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As shown in FIG. 3 (a) to FIG. 3 (c), the water level measuring apparatus 150 may be a manual water level measuring system or an automatic water level measuring system. 3 (a), the user can visually confirm the water level of the supplied fluid flowing into the first body 152 of the water level gauge 150. In the case of the manual water level measuring method, as shown in FIG. Alternatively, as shown by way of example in FIG. 3 (b), the user can check the level of the providing fluid through the float 160 floating in the providing fluid. On the other hand, a display unit for guiding the water level can be utilized to help the user's visual confirmation. The display unit may be differentiated in consideration of the type of the object 10,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vessel 30 in which the object 10 is accommodated, and the like, and the display unit may be provided in the level gauge 150.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not only a mark guiding the actual accurate water level of the providing fluid but also a mark for guiding the actual fluid level of the fluid 20 necessary for making food using cereals such as one, two, A sign for guiding the height of the water as an example, and the like. As shown in the figure, the first cover 152b may be provided on the first body 152 as the display unit. The level of the supplied fluid using the level gauge 150 may be measured by inserting the level gauge 150 into the cleaned object 10 and the vessel 30 provided with the provided fluid, . ≪ / RTI > Alternatively, when the level gauge 150 is integrally formed in the grip 130, the level gauge 150 may be provided to the cleaned object 10 and the supply fluid 130 using the grip 130, A method of inserting the water level gauge 150 into the bowl 30 may be utilized. At this time, when the level of the supply fluid flowing into the first body 152 is low, the visual field of the user can be obscured by the vessel 30, the providing fluid provided in the vessel 30, It may be difficult to measure the water level directly. As shown in FIG. 3 (b), when the float 160 is used to measure the water level, if the length of the float 160 is sufficiently long, Even if the level of the supplied fluid is low, the end of the float 160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without being disturbed to the vessel 30, the provided fluid provided in the vessel 30, and the user can stably measure the water level Can be provided.

자동식 수위 측정방식의 경우, 사용자는 수위측정기(150)으로 유입되는 상기 제공유체의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부(156a) 및 센서부(156a)가 감지한 값으로부터 측정된 수위를 시각적 수단, 음향적 수단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하여 알려주는 통지부(156b)를 통하여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센서부(156a)가 측정한 값을 활용하여 통지부(156b)를 제어하는 제어부(156c)가 활용될 수 있다. 도 3의 (c)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부(156a), 통지부(156b) 및 제어부(156c)는 제2몸체(156)에 마련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automatic water level measurement method, the user can measure the water level measured from the sensor portion 156a that senses the level of the supplied fluid flowing into the level gauge 150 and the value sensed by the sensor portion 156a, The water level can be measured through a notifying part 156b which notifies the user through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n this case, a control unit 156c that controls the notifying unit 156b using the value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56a may be utilized. The sensor unit 156a, the notifying unit 156b and the control unit 156c may be provided on the second body 156 as shown in FIG. 3 (c).

자동식 수위 측정방식은 예로서 다음의 과정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수위측정기(150)의 제2몸체(156)는 센서부(156a)를 포함하며, 통지부(156b), 제어부(156c) 및 전원공급부(156d)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utomatic water level measurement method can be carried out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as an example. The second body 156 of the level gauge 150 includes a sensor unit 156a and may further include a notification unit 156b, a control unit 156c and a power supply unit 156d.

센서부(156a)는 상기 제공유체와 접하여 상기 제공유체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통지부(156b)는 센서부(156a)가 감지한 값으로부터 측정된 수위를 시각적 수단, 음향적 수단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하여 알려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통지부(156b)로서 감지한 값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감지한 값을 음성으로 알려주는 스피커 등이 예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156c)는 센서부(156a), 통지부(156b) 및 전원공급부(156d)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6c)는 예로서 센서부(156a)가 측정한 값을 활용하여 통지부(156b)를 제어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56d)는 센서부(156a), 통지부(156b) 및 제어부(156c)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56d)는 수위측정기(150)에 일체형으로 마련되거나 전원공급부 덮개(156da)를 통하여 착탈가능한 분리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 덮개(156da)는 제2몸체(156)와 나사결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ensor unit 156a may sense the level of the providing fluid by contacting the providing fluid. The notification unit 156b can perform the function of notifying the measured water level from the value sensed by the sensor unit 156a through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visual means, an acoustic means and a combination thereof. A display for displaying the sensed value as the notification unit 156b, a speaker for notifying the sensed value by voice, and the like may be used as an example. The control unit 156c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ensor unit 156a, the notifying unit 156b, and the power supply unit 156d. The control unit 156c can control the notification unit 156b using the value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56a as an example. The power supply unit 156d can supply power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sensor unit 156a, the notifying unit 156b, and the control unit 156c. The power supply unit 156d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level gauge 150 or may be detachable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cover 156da. The power supply cover 156da may be screwed to the second body 156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일례로, 센서부(156a)는 제2몸체(156)에 서로 이격되어 마련되는 복수의 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극들은 모두 제2몸체(156)의 측면에 마련될 수도 있다. 다르게는, 일부는 제2몸체(156)의 일측에 마련되고 나머지 일부는 측면에 마련될 수도 있다. 또 다르게는, 상기 복수의 전극들 중 적어도 일부는 제2몸체(156)에 마련되는 상기 제공유체의 이동통로(미도시)의 내면에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제공유체의 상기 이동통로를 구비한 제2몸체(156)의 구성은 수동식 수위 측정방식의 수위측정기(150)로부터 통상의 기술자는 쉽게 유추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도 3의 (c)에 예로서 도시한, 제2몸체(156)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1전극(156aa)과 제2몸체(156)의 측면에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복수의 제2전극(156ab)을 활용하여 센서부(156a)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설명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의 권리범위를 제한할 의도가 아님을 밝혀둔다.For example, the sensor unit 156a may include a plurality of electrod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second body 156. [ The plurality of electrodes may be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body 156. Alternatively, a portion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cond body 156 and the remaining portion may be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Alternatively, at least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may be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a passage (not shown) of the providing fluid provided in the second body 156. 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body 156 having the moving passage of the providing fluid can be easily deduced from the water level measuring instrument 150 of the manual water level measuring system,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for the sake of convenience do.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156aa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cond body 156 and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156b provid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second body 156, which ar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econd body 156 as shown in FIG. 3 (c) The operation of the sensor unit 156a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econd electrode 156ab. It is to be understood that such description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수위측정기(150)를 상기 제공유체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제1전극(156aa)과 복수의 제2전극(156a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공유체와 접할 수 있다. 제어부(156c)는 제2몸체(156)가 상기 제공유체와 접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공유체와 접하는 제1전극(156aa)과 제2전극(156ab) 사이의 전기저항값, 정전용량값 등과 같은 전기적인 특성값으로부터 계산을 통하거나 미리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를 통하여 제2몸체(156)가 상기 제공유체에 삽입되는 깊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56c)는 제2몸체(156)가 상기 제공유체에 삽입되는 깊이에 따른 전기저항값, 정전용량값 등과 같은 전기적인 특성값이 미리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first electrode 156aa and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156ab may be in contact with the providing fluid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level gauge 150 into the providing fluid. The controller 156c may be electricall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156aa and the second electrode 156ab in contact with the supply fluid in the process of contacting the second body 156 with the supply fluid, The depth at which the second body 156 is inserted into the providing fluid can be extracted through calculations from the property values or by comparison with previously stored data. To this end, the controller 156c may include a database (not shown) in which electric characteristic values such as an electric resistance value and a capacitance value according to the depth of the second body 156 are inserted into the providing fluid in advance have.

이하 수동식 수위 측정방식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앞서 상술한 자동식 수위 측정방식이 이하 설명하는 수동식 수위 측정방식과 상호 결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Hereinafter, the manual level measuring method will be mainly described.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the automatic leveling method described above can be combined with the manual leveling method described below.

수위측정기(150)는 제1몸체(152)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수위측정기(150)는 제2채널(154a)이 마련된 하우징(154)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evel gauge 150 may include a first body 152. In some other embodiments, the level gauge 150 may further include a housing 154 having a second channel 154a.

제1몸체(152)에는 세척된 대상체(10)에 제공되는 유체(20)가 이동할 수 있는 제1채널(152a)이 마련될 수 있다. 세척된 대상체(10)에 제공되는 유체(20)인 상기 제공유체는 개구부(opening)를 통하여 제1채널(152a)로 유입되거나 유출될 수 있다. 부유체(160)가 사용될 경우에는 도면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부유체(16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부유체 이탈방지부(152f)가 제1채널(152a)에 마련될 수 있다. 제1몸체(152)에는 제1채널(152a)와 외부를 연결하는 제1공기이동통로(152d)가 마련될 수 있다. 제1공기이동통로(152d)를 통하여 상기 제공유체는 제1채널(152a)을 통하여 쉽게 이동할 수 있다. 도면에는 제1몸체(152)의 내부에 마련되며, 개구부(opening)를 통하여 외부와 연통되는 제1채널(152a)이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도면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채널(152a)의 측면은 막힌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채널(152a)을 통하여 이동하는 상기 제공유체의 수위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1몸체(152)는 속이 비치는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르게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달리, 제1채널(152a)의 측면은 제1몸체(152)를 관통하여 외부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공기이동통로(152d)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외부와 연통된 제1채널(152a)의 상기 측면을 통하여 제1채널(152a)을 통하여 이동하는 상기 제공유체의 수위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제1몸체(152)는 속이 비치는 소재나 불투명 소재 등 어떠한 소재를 사용하여도 무방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몸체(152)는 하우징(154)의 제2채널(154a)을 통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채널(152a)과 제2채널(154a)은 서로 연통할 수 있다.The first body 152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channel 152a through which the fluid 20 supplied to the cleaned object 10 can move. The providing fluid, which is the fluid 20 provided to the cleaned object 10, may flow into or out of the first channel 152a through an opening. When the float 160 is used, as shown in the figure, the anti-fluid detachment preventing portion 152f for preventing the floating of the float 160 may be provided on the first channel 152a. The first body 152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air movement passage 152d connecting the first channel 152a and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air transfer passage 152d, the providing fluid can be easily moved through the first channel 152a. In the figure, a first channel 152a provided inside the first body 152 and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through an opening is shown as an example. As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figures,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channel 152a may have a clogged shape.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body 152 is made of a hollow material so that the level of the supplying fluid moving through the first channel 152a can be visually confirmed easily. Alternatively, the side of the first channel 152a may be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body 152, as shown in the drawing. In this case, the first air moving passage 152d may be omitted. Further, since the water level of the supplying fluid moving through the first channel 152a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channel 152a communicated with the outside can be visually confirmed easily, the first body 152 can be made of a material Any material such as opaque material can be used. 4, the first body 152 can be moved through the second channel 154a of the housing 154.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first channel 152a and the second channel 154a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공유체의 수위를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곡물세척용기(100)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도 3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표시부로서 제1몸체(152)에는 세척된 대상체(10)에 제공되는 유체(20)인 상기 제공유체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는 복수의 제1표지들(152b)이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의 제1표지들(152b)을 통하여 제1채널(152a)을 통하여 유입되는 상기 제공유체의 수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grain cleaning vessel 100 disclosed herein may include a display so that the user can easily ascertain the level of the providing fluid. 3, the first body 152 as the display unit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rst (first) and second (second) Signs 152b may be provided. The user can visually confirm the water level of the supply fluid flowing through the first channel 152a through the plurality of first signs 152b.

다른 예로, 도 4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몸체(152)는 하우징(154)의 제2채널(154a)을 통하여 이동할 수 있으며, 제1채널(152a)과 제2채널(154a)은 서로 연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표시부로서 제1몸체(152) 및 하우징(154)에는 각각 세척된 대상체(10)에 제공되는 유체(20)인 상기 제공유체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는 복수의 제1표지들(152b) 및 복수의 제2표지들(154b)이 마련될 수 있다. 도 4의 (d)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복수의 제1표지들(152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복수의 제2표지들(154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호 대응되도록 하는 과정을 통하여 제1몸체(152)를 제2채널(154a)을 통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4, the first body 152 may move through the second channel 154a of the housing 154 and may include a first channel 152a and a second channel 154a,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this case, the first body 152 and the housing 154 as the display unit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rst indicators 152b that can confirm the level of the providing fluid, which is the fluid 20 provided to the cleaned object 10, And a plurality of second indicia 154b may be provided. As shown in FIG. 4D as an example, the user may perform a process of making at least one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signs 152b correspond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signs 154b The first body 152 can be moved through the second channel 154a.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제2채널(154a)이 마련된 하우징(154)을 통하여 제1몸체(152)가 하우징(154) 밖으로 돌출되거나 인입될 수 있다. 하우징(154)에는 제2채널(154a)과 외부를 연결하는 제2공기이동통로(154d)가 마련될 수 있다. 제2공기이동통로(154d)를 통하여 상기 제공유체는 제2채널(154a)을 통하여 쉽게 이동할 수 있다. 제1채널(152a)과 제2채널(154a)은 서로 연통되므로 하우징(154)을 통한 제1몸체(152)의 인출은 대상체(10)에 공급되는 상기 제공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채널이 실질적으로 길어지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도 4의 (d)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대상체(10)에 제공되는 상기 제공유체는 제1채널(152a)을 경유하여 제2채널(154a)로 이동할 수 있어 제1몸체(152)의 제1채널(152a)만을 활용하는 것에 비하여 깊은 수위의 측정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도 4의 (d)의 좌측 도면은 상기 제공유체의 수위가 낮을 경우에 제1몸체(152)의 제1채널(152a)만을 활용하여 수위를 측정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한편, 복수의 제1표지들(152b)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제2표지들(154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2채널(154a)을 따라 이동하는 제1채널(152a)의 이동 거리를 가이드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제1몸체(152)를 하우징(154)의 제2채널(154a)을 따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제1몸체(152)에 표시되는 복수의 제1표지들(152b) 중 어느 하나와 복수의 제2표지들(154b) 중 어느 하나를 서로 포개어지도록 정렬하는 상호 대응과정을 통하여 정확한 수위를 측정할 수 있는 제1몸체(152)의 이동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4의 (d)의 우측 도면은 상기 제공유체의 수위가 높을 경우에 제1몸체(152)의 제1채널(152a)과 하우징(154)의 제2채널(154a)을 활용하여 수위를 측정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 경우, 제1몸체(152)에 표시되는 복수의 제1표지들(152b) 중 어느 하나와 복수의 제2표지들(154b) 중 어느 하나를 서로 포개어지도록 정렬하는 상호 대응과정을 통하여 정확한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body 152 can be protruded or drawn out of the housing 154 through the housing 154 provided with the second channel 154a. The housing 154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air passage 154d for connecting the second channel 154a to the outside. The providing fluid can be easily moved through the second air passage 154d through the second channel 154a. The first channel 152a and the second channel 154a communicate with each other so that the drawing of the first body 152 through the housing 154 allows the channel through which the providing fluid supplied to the object 10 can m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engthening effect. 4 (d), the providing fluid provided to the object 10 can move to the second channel 154a via the first channel 152a, so that the first body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of enabling a measurement of a deep water level compared with the use of only the first channel 152a of the first channel 152. 4 (d) shows a state in which the water level is measured by utilizing only the first channel 152a of the first body 152 when the level of the supplied fluid is low.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markers 152b or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markers 154b may include a first channel 152a that moves along the second channel 154a, It can serve as a guiding role. For example, when the first body 152 is moved along the second channel 154a of the housing 154, any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signs 152b displayed on the first body 152 and a plurality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moving position of the first body 152, which can accurately measure the water level, through the mutual correspondence process of arranging any one of the second signs 154b of the first body 152 to overlap each other. 4 (d), the water level is measured by utilizing the first channel 152a of the first body 152 and the second channel 154a of the housing 154 when the level of the providing fluid is high. . In this case, a mutual correspondence process in which any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signs 152b displayed on the first body 152 and the plurality of second signs 154b are superimposed on each other, Can be measured.

정리하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곡물세척용기(100)는 제2채널(154a)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제1몸체(152)를 활용함으로써 상기 제공유체의 양이 늘어나더라도 수위를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곡물세척용기(100)는 복수의 제1표지들(152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복수의 제2표지들(154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호 대응되도록 하는 과정을 통하여 정확한 수위 측정을 할 수 있는 기술을 아울러 제공해 줄 수 있다.In summary, the grain cleaning vessel 100 disclosed herein utilizes a first body 152 that can move along the second channel 154a, thereby effectively measuring the water level even when the amount of the providing fluid is increased Technology can be provided. In addition, the grain cleaning vessel 100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configured to accurately match at least any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marks 152b and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marks 154b You can also provide a technique for level measurement.

한편, 도면에는 하우징(154)의 내부에 마련되며, 개구부를 통하여 외부와 연통되는 제2채널(154a)이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제2채널(154a)의 측면은 막힌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2채널(154a)을 통하여 이동하는 제1몸체(152)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하우징(154)은 속이 비치는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르게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달리, 제2채널(154a)의 측면은 하우징(154)을 관통하여 외부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공기이동통로(154d)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외부와 연통된 제2채널(154a)의 상기 측면을 통하여 제1채널(152a)을 통하여 이동하는 상기 제공유체의 수위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하우징(154)은 속이 비치는 소재나 불투명 소재 등 어떠한 소재를 사용하여도 무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second channel 154a, which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54 and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is shown as an example.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channel 154a may have a clogged shape.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housing 154 is made of a hollow material so that the first body 152 moving through the second channel 154a can be visually confirmed easily. Alternatively,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channel 154a may be provid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through the housing 154, as shown in the figure. In this case, the second air moving passage 154d may be omitted. In addition, since the level of the supplying fluid moving through the first channel 152a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channel 154a communicated with the outside can be easily confirmed, the housing 154 can be made of any material such as a hollow material or an opaque material Materials may be used.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제1몸체(152)가 제2채널(154a)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곡물세척용기(100)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도 4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몸체(152)는 외면에 마련되는 제1가이드부(152c)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54)은 내면에 마련되는 제2가이드부(154c)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가이드부(152c) 및 제2가이드부(154c)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져 제1몸체(152)가 제2가이드부(154c)에 의해 가이드 되어 제2채널(154a)에서 이동할 수 있다. 제1가이드부(152c)와 제2가이드부(154c)는 예로서 제1채널(152a)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형으로 마련되거나 제1채널(152a)의 길이 방향을 회전중심으로 하는 나선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가이드부(154c)의 길이에 대한 제1가이드부(152c)의 길이의 비율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나선형의 경우에는 제1가이드부(512)의 길이는 제2가이드부(154c)의 길이보다 충분히 작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grain cleaning vessel 100 disclosed herein may include a guide portion such that the first body 152 can move stably along the second channel 154a.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the first body 152 may include a first guide 152c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thereof. The housing 154 may include a second guide portion 154c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thereof. In this case, the first guide part 152c and the second guide part 154c have shap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body 152 is guided by the second guide part 154c, Can be moved. The first guide portion 152c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154c may be formed linear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channel 152a or in a spiral shape hav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channel 152a as the rotational center . The length of the first guide portion 152c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length but may be a length of the second guide portion 154c. It may be desirable to be provided sufficiently smaller than the length.

제1몸체(152)의 제2채널(154a) 내에서의 이동은 도 4의 (c)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외력 F에 의해 슬라이딩방식으로 제1몸체(152)가 하우징(154)에 대하여 상대이동을 하는 과정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외력 F가 제1몸체(152) 또는 하우징(154)에 인가되면 제1몸체(152) 또는 하우징(154)은 제1가이드부(152c) 및 제2가이드부(154c)에 가이드 되어 상대이동을 할 수 있다.The movement of the first body 152 in the second channel 154a is performed by sliding the first body 152 in the housing 154 by the external force F as shown in the example of FIG. Relative movement with respect to each other. When the external force F is applied to the first body 152 or the housing 154, the first body 152 or the housing 154 is guided by the first guide portion 152c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154c, can do.

다르게는, 도 4의 (b)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방식으로 제1몸체(152)가 하우징(154)에 대하여 상대이동을 하는 과정을 통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154)은 제2채널(154a)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며, 회전축(154e)이 마련된 회전부(154f)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몸체(152)는 회전축(154e)과 결합되는 회전축결합부(152e)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154e)과 회전축결합부(152e)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나사산을 통하여 나사결합될 수 있다. 회전축결합부(152e)는 예로서 회전축(154e)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채널 형상으로 제1몸체(152)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회전부(154f)가 외력인 회전력 T에 의하여 회전하면 제1몸체(152)는 회전부(154f)에 의하여 회전하는 대신에 제1가이드부(152c) 및 제2가이드부(154c)에 가이드 되며, 제1가이드부(152c) 및 제2가이드부(154c)가 직선형 또는 나선형인지 여부에 따라 직선운동 또는 나선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통하여 외력으로서 회전력 T가 제1몸체(152) 또는 하우징(154)에 인가되면 제1몸체(152) 또는 하우징(154)은 제1가이드부(152c) 및 제2가이드부(154c)에 가이드 되어 상대이동을 할 수 있다.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4B, the first body 152 may be moved relative to the housing 154 in a rotating manner. To this end, the housing 154 may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second channel 154a and may include a rotation part 154f provided with a rotation axis 154e. The first body 152 may include a rotation axis coupling portion 152e coupled to the rotation axis 154e. The rotary shaft 154e and the rotary shaft coupling portion 152e can be screwed together through threads of corresponding shapes. The rotary shaft engaging portion 152e may be provided inside the first body 152 in a channel sha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ry shaft 154e. The first body 152 is guided by the first guide portion 152c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154c instead of being rotated by the rotation portion 154f when the rotation portion 154f is rotated by the external force, Linear motion or spiral motion is performed depending on whether the first guide portion 152c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154c are linear or spiral. When the rotational force T is applied to the first body 152 or the housing 154 as an external force, the first body 152 or the housing 154 is guided to the first guide part 152c and the second guide part 154c So that the relative movement can be performed.

부유체(160)는 세척된 대상체(10)에 제공되는 유체(20)에 의해 부유하여 제1채널(152a)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부유체(160)의 소재로는 제공되는 유체(20)인 상기 제공유체보다 밀도가 낮은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수위측정기(150)가 도 4의 (b)의 구조를 가지는 경우, 부유체(160)로서 중공을 가지는 부유체가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수위측정기(150)가 도 4의 (c)의 구조를 가지는 경우, 부유체(160)는 중공을 가지는 구조일 필요는 없다. 도 4의 (c)에는 부유체(160)로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형의 부유체가 예시되어 있으나, 구형, 코쿤형 등의 부유체가 활용될 수 있는 등 상기 제공유체에 부유할 수 있는 한 부유체(160)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도 4의 (c)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부유체(160)로서 판형의 부유체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공유체에 의하여 부유체(160)가 뒤집히거나 제1채널(152a) 또는 제2채널(154a) 경로상에 걸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부유체(160)로서 구형, 코쿤형의 부유체 또는 도 3의 (b)에 예로서 도시한 부유체(160)와 같이 길이가 긴 형상의 부유체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일례로, 부유체(160)의 길이는 부유체(160)의 폭의 길이 이상의 길이를 가지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르게는, 부유체(160)의 길이는 제1채널(152a) 또는 제2채널(154a)의 폭을 감안하여 부유체(160)가 제1채널(152a) 또는 제2채널(154a)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The float 160 may float and move along the first channel 152a by the fluid 20 provided to the cleaned object 10. [ As the material of the float 160, a material having a density lower than that of the providing fluid may be used. For example, when the level gauge 150 has the structure of FIG. 4 (b), a float having a hollow can be used as the float 160. As another example, if the level gauge 150 has the structure of Figure 4 (c), the float 160 need not be hollow. 4 (c) illustrates a floating body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s the float 160, but floating bodies such as a spherical body and a cocoon type body can be utilized,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shape of the protrusion 160. 4 (c), when a floating body of a plate shape is used as the float 160, the float 160 is inverted by the provided fluid, or the first channel 152a or the first channel 152a, There may be a problem that it is caught on the two-channel 154a path. In order to prevent this, a spherical, cocoon-shaped float as the float 160 or a float having a long shape such as the float 160 as shown in FIG. 3 (b) may be used. For example, it may be desirable to design the length of the float 160 to be greater than the length of the width of the float 160. Alternatively, the length of the float 160 may be adjusted such that the float 160 is rotated in the first channel 152a or the second channel 154a in consideration of the width of the first channel 152a or the second channel 154a .

한편, 부유체(160)는 도 4의 (b)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3몸체(162) 및 적어도 하나의 돌기(164)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164)로는 유연성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부유체(160)가 이동하는 제1채널(152a), 제2채널(154a)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면에는 걸림턱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걸림턱은 복수개가 정해진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게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걸림턱은 상기 제공유체에 의하여 부유체(160)가 이동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단면적이 증가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4의 (b)에는 제1채널(152a)의 내면에 마련된 걸림턱(152aa)이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물론, 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제2채널(154a)의 내면에 걸림턱이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제공유체에 의하여 상승한 부유체(160)는 이후 사용자가 수위측정기(150)를 상기 제공유체와 분리하더라도 돌기(164)가 제1채널(152a)의 내면에 마련된 걸림턱(152aa) 또는 제2채널(154a)의 내면에 마련된 걸림턱(미도시)에 걸리게 되어 상승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상기 제공유체에서 수위측정기(150)를 분리하더라도 상기 제공유체의 수위를 안정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돌기(164)는 상기 제공유체에 의하여 부유체(160)가 이동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공유체에 의하여 상승한 부유체(160)는 이후 사용자가 수위측정기(150)를 상기 제공유체와 분리하더라도 돌기(164)의 가장 큰 단면적을 갖는 부분이 상술한 상기 걸림턱에 걸리게 되어 상승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상기 제공유체에서 수위측정기(150)를 분리하더라도 상기 제공유체의 수위를 안정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상술한 수위측정기(150)를 통하여 상기 제공유체의 수위를 측정한 사용자는 수위측정기(150)의 개구부(opening)를 아래로 향하고 흔들어 주거나, 수위측정기(150)의 개구부(opening)의 반대쪽 부분을 잡고 수위측정기(150)를 털어줄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걸림턱에 걸린 부유체(160)는 개구부(opening) 쪽으로 이동하여 계속적인 수위 측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부유체 이탈방지부(152f)는 제1채널(152a)로부터 부유체(16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Meanwhile, the float 160 may include a third body 162 and at least one protrusion 164, as shown by way of example in FIG. 4 (b). As the protrusion 164, a flexible material can be used. At least on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hannel 152a, the second channel 154a, and a combination of the first channel 152a and the second channel 154a through which the float 160 moves may be provided with a latching protrusion. A plurality of the latching jaw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or example, the latching jaw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increases with respect to a direction in which the float 160 moves due to the providing fluid. In FIG. 4 (b), a latching protrusion 152aa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hannel 152a is shown as an example. Of course, a latching jaw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channel 154a in substantially the same manner. The float 160 raised by the providing fluid can be separated from the providing fluid by the user even if the protrusion 164 is caught by the catching protrusion 152aa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hannel 152a, (Not shown)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hannel 154a or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channel 154a, so that the raised position can be maintained. Accordingly, the user can stably check the level of the supplied fluid even if the level gauge 150 is separated from the supplied fluid. As another example, the protrusion 164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decreases with respect to a direction in which the float 160 moves by the provided fluid. In this case, even if the user floats the level gauge 150 with the providing fluid, the float 160 raised by the providing fluid is caught by the above-mentioned catching jaw with the largest cross-sectional area of the projection 164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raised position. Accordingly, the user can stably check the level of the supplied fluid even if the level gauge 150 is separated from the supplied fluid. The user measuring the level of the supply fluid through the level meter 150 may swing the opening of the level gauge 150 downward or may swing the opening of the level gauge 150 It is possible to grasp the level gauge 150 by holding the opposite side. So that the float 160 caught by the latching jaw can move toward the opening to enable continuous level measurement. In this case, the anti-fluid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152f may function to prevent the float 160 from separating from the first channel 152a.

상기로부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예시를 위해 기술되었으며, 아울러 본 개시의 범주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가능한 다양한 변형 예들이 존재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개시되고 있는 상기 다양한 실시 예들은 본 개시된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진정한 사상 및 범주는 하기의 청구항으로부터 제시될 것이다.From the foregoing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have been describ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and that there are many possible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is disclosure. An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but true ideas and scope will be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10: 대상체 20: 유체 30: 유체받이 그릇
100: 곡물세척용기 110: 제1용기 112: 제1관통구
114: 연결부 116: 회동연결부 118: 대응부
120: 제2용기 122: 제2관통구 124: 연결부
128: 제2용기의 일측 130: 손잡이부 132: 결합부
132a: 조임부 134: 거치부 140: 제3용기
142: 제3관통구 144: 대상체 투입구 150: 수위측정기
152: 제1몸체 152a: 제1채널 152aa: 제1걸림턱
152b: 제1표지 152c: 제1가이드부 152d: 공기이동통로
152e: 회전축결합부 152f: 부유체 이탈방지부
154: 하우징 154a: 제2채널 154b: 제2표지
154c: 제2가이드부 154d: 공기이동통로 154e: 회전축
154f: 회전부 156: 제2몸체 156a: 센서부
156aa: 제1전극 156ab: 제2전극 156b: 통지부
156c: 제어부 156d: 전원공급부 156da: 전원공급부 덮개
160: 부유체 162: 제3몸체 164: 돌기
10: object 20: fluid 30: fluid receptacle
100: grain washing vessel 110: first vessel 112: first through hole
114: connecting portion 116: rotating connecting portion 118:
120: second container 122: second through hole 124:
128: one side of the second container 130: handle portion 132:
132a: throttling portion 134: mounting portion 140: third container
142: third through hole 144: object inlet port 150: water level meter
152: first body 152a: first channel 152aa: first catching jaw
152b: first cover 152c: first guide portion 152d: air moving passage
152e: rotation shaft coupling portion 152f: anti-
154: Housing 154a: Second channel 154b: Second mark
154c: second guide portion 154d: air moving passage 154e:
154f: rotating part 156: second body 156a:
156aa: first electrode 156ab: second electrode 156b:
156c: Control section 156d: Power supply section 156da: Power supply section cover
160: float 162: third body 164: projection

Claims (9)

적어도 하나의 제1관통구가 마련되며 대상체가 수용되는 제1용기;
상기 제1용기의 개폐를 위한 제2용기; 및
상기 제1용기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관통구는 상기 대상체를 세척하는 유체는 이동할 수 있으나 상기 대상체는 상기 제1용기로부터 유출되지 않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1용기, 상기 제2용기, 상기 손잡이부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수위측정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수위측정기는 세척된 상기 대상체에 제공되는 유체의 수위를 측정하며,
상기 수위측정기는 세척된 상기 대상체에 제공되는 상기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제1채널이 마련된 제1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수위측정기는 상기 제1몸체가 이동할 수 있는 제2채널이 마련된 하우징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채널과 상기 제2채널은 서로 연통하며,
상기 제1몸체는 외면에 마련되는 제1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내면에 마련되는 제2가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가이드부 및 상기 제2가이드부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져 상기 제1몸체가 상기 제2가이드부에 의해 가이드 되어 상기 제2채널에서 이동할 수 있는 곡물세척용기.
A first container in which at least one first through-hole is provided and in which a target object is accommodated;
A second contain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container; And
And a grip portion provided to support the first container,
The fluid through which the object is cleaned may move, but the object may be prevented from flowing out of the first container,
Further comprising a level gauge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tainer, the second container, the grip portion, and a combination thereof,
The level gauge measures the level of the fluid supplied to the cleaned object,
The level gauge includes a first body provided with a first channel through which the fluid provided to the object to be cleaned can move,
The level meter may further include a housing provided with a second channel through which the first body can move,
The first channel and the second channel communicate with each other,
Wherein the first body includes a first guide portion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thereof,
Wherein the housing includes a second guide portion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thereof,
Wherein the first guide part and the second guide part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body can be guided by the second guide part and move in the second channel.
제1항에 있어서,
대상체 투입구가 마련되며 상기 제1용기에 탈부착 가능한 제3용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대상체는 상기 대상체 투입구를 통하여 상기 제1용기에 수용되는 곡물세척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third container provided with an object inlet and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rst container,
Wherein the object is received in the first container through the object inl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제2용기의 일측과 상기 제2용기의 상기 일측에 대응되는 상기 제1용기의 대응부를 서로 고정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1용기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곡물세척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andle portion is provided to support the first container in such a manner that one side of the second container and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first container corresponding to the one side of the second container are fixed to each oth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 및 상기 하우징에는 각각 세척된 상기 대상체에 제공되는 상기 유체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는 복수의 제1표지들 및 복수의 제2표지들이 마련되되,
상기 복수의 제1표지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복수의 제2표지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호 대응되도록 하는 과정을 통하여 상기 제1몸체는 상기 제2채널을 통하여 이동하는 곡물세척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body and the housing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rst marks and a plurality of second marks capable of checking the level of the fluid provided to the subject respectively cleaned,
Wherein the first body moves through the second channel by making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marks and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marks correspond to each other.
삭제delete 제7항에 있어서,
세척된 상기 대상체에 제공되는 상기 유체에 의해 부유하여 상기 제1채널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부유체를 더 포함하는 곡물세척용기.
8. The method of claim 7,
Further comprising a float capable of floating along the first channel and floating by the fluid provided to the cleaned object.
KR1020180036313A 2018-03-29 2018-03-29 vessel for washing grain KR1019883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313A KR101988347B1 (en) 2018-03-29 2018-03-29 vessel for washing gra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313A KR101988347B1 (en) 2018-03-29 2018-03-29 vessel for washing grai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8347B1 true KR101988347B1 (en) 2019-06-13

Family

ID=66847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6313A KR101988347B1 (en) 2018-03-29 2018-03-29 vessel for washing grai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8347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215U (en) * 1993-07-26 1995-02-10 鶴治 横田 Rice cooker, pan water meter
JPH08275889A (en) * 1995-04-07 1996-10-22 Yasuo Ozaki Rice washer
JP2002355181A (en) * 2001-05-30 2002-12-10 Hiroaki Takahashi Method of washing grain with bowl-shaped, straing device for washing grain with handle and method of washing grain by using bowl for rinsing grain
JP2009226173A (en) * 2008-03-19 2009-10-08 Yoshiie Ito Rice cooking water measuring tool
KR200471532Y1 (en) * 2012-05-30 2014-03-25 윤창욱 Fried food cooking ware
JP2015228988A (en) * 2014-06-05 2015-12-21 村山 哲夫 Running-water type rice wash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215U (en) * 1993-07-26 1995-02-10 鶴治 横田 Rice cooker, pan water meter
JPH08275889A (en) * 1995-04-07 1996-10-22 Yasuo Ozaki Rice washer
JP2002355181A (en) * 2001-05-30 2002-12-10 Hiroaki Takahashi Method of washing grain with bowl-shaped, straing device for washing grain with handle and method of washing grain by using bowl for rinsing grain
JP2009226173A (en) * 2008-03-19 2009-10-08 Yoshiie Ito Rice cooking water measuring tool
KR200471532Y1 (en) * 2012-05-30 2014-03-25 윤창욱 Fried food cooking ware
JP2015228988A (en) * 2014-06-05 2015-12-21 村山 哲夫 Running-water type rice wash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93269B2 (en) Methods for measuring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in laundry or dishwashing environments
US1156452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fluid consumption
KR101988347B1 (en) vessel for washing grain
CN113317821B (en) Urine collection device and system
CN208511070U (en) A kind of medical experiment urine cup
CN210931530U (en) Urine storage device
JPWO2013021566A1 (en) Microorganism count measuring chip and microorganism count measuring apparatus using the chip
CN111610185A (en) Detection kit capable of automatically diagnosing
CN206868249U (en) A kind of beaker for experiment
CN207528289U (en) Irregularly shaped object volume measurement device
US8344898B2 (en) Liquid level sensor
CN209894273U (en) Accurate measurement sample bottle device
CN209513771U (en) A kind of profundal zone water pollution detection device
KR20160047949A (en) Water sampler
CN214539263U (en) Measuring spoon capable of measuring color
CN104634428A (en) Novel electronic scale for centrifugal tube trimming
CN212514384U (en) Device for measuring pH value and oxidation-reduction potential value
CN214040215U (en) Medical specimen container
CN216294825U (en) Precision metering negative pressure aspirator
JP2018111918A (en) Toilet device
CN209048186U (en) Urine specimen collector
CN211179845U (en) Household urine routine detection device
CN208852853U (en) A kind of integrated sterilizing device
CN212964630U (en) Detection kit capable of automatically diagnosing
CN216704432U (en) Laboratory graduated flask convenient to emp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