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8316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8316B1
KR101988316B1 KR1020120085835A KR20120085835A KR101988316B1 KR 101988316 B1 KR101988316 B1 KR 101988316B1 KR 1020120085835 A KR1020120085835 A KR 1020120085835A KR 20120085835 A KR20120085835 A KR 20120085835A KR 101988316 B1 KR101988316 B1 KR 101988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glass
waterproof
holder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5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7988A (ko
Inventor
최현용
김봉주
박재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13152955.4A priority Critical patent/EP2620806B1/en
Priority to US13/753,780 priority patent/US9426909B2/en
Priority to CN201310036658.3A priority patent/CN103226921B/zh
Publication of KR20130087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7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8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8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5Mounting of picture tube on chassis or in hou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2Mechanical guidance or alignment of LCD panel support compon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1Cover gla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글라스를 탈착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어 글라스의 수리 및 교체시 A/S 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A/S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유닛; 디스플레이 유닛의 전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글라스 유닛; 글라스 유닛이 디스플레이 유닛에 탈착될 수 있도록 글라스 유닛에 마련되는 홀더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글라스(Glass)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문자나 도형의 형식을 이용하여 데이터(data)를 디스플레이 유닛면에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여러 종류의 장치를 포괄하여 일컫는 말이다.
구체적으로 평판형 표시장치의 일종인 액정표시장치는 컴퓨터용 모니터, TV 등에 이르기까지 그 적용 범위가 점점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며, 그에 대한 수요도 늘어나고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신호 처리된 영상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방법에 따라 여러 가지로 나뉠 수 있는데, 최근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방식, PDP(Plasma Diplay Panel) 방식이 많이 사용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면에서 보았을 때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 전면에 장착되는 글라스와, 글라스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두리부측에 마련되어 베젤을 형성하고 글라스 및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프레임 역할을 하는 프론트와, 디스플레이 유닛의 후방을 지지하고 외체를 형성하는 케이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글라스가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되기 때문에 조립 후 글라스의 수리 또는 교체시 디스플레이 장치 전체를 분리하여야하므로 A/S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베젤 안쪽에 글라스 장착에 의한 디자인을 고려하여야 하므로 베젤이 두꺼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탈착 가능한 글라스(Glass)를 갖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글라스가 탈착 가능하여 글라스의 수리 및 교체시 A/S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글라스 장착 모델과 글라스 비장착 모델로 이원화할 수 있어, 다양한 제품군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전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글라스 유닛; 상기 글라스 유닛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탈착될 수 있도록 상기 글라스 유닛에 마련되는 홀더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홀더 유닛은 상기 글라스 유닛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글라스 유닛은 글라스와, 상기 글라스의 외곽에 마련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부에는 상기 힌지부가 결합되기 위한 홀더 유닛 설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홀더 유닛 설치부는 상기 테두리부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홈과, 상기 가이드홈으로부터 상기 테두리부의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힌지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힌지부는 상기 힌지홈에 결합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힌지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외곽에 마련되는 베젤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후면에 결합되는 후면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 케이스에는 상기 홀더 유닛이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제1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홀더 유닛의 상기 고정부는 상기 글라스 유닛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제1 결합부에 대응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는 돌기와 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전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글라스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글라스 유닛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탈착될 수 있도록 상기 글라스 유닛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를 결합하는 홀더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홀더 유닛은 상기 글라스 유닛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힌지 돌기를 갖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외곽에 마련되는 베젤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후면에 결합되는 후면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 케이스에는 상기 홀더 유닛이 고정되도록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결합홈에 대응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글라스 유닛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글라스 유닛은 글라스와, 상기 글라스의 외곽에 마련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부에는 상기 힌지부가 결합되기 위한 홀더 유닛 설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홀더 유닛 설치부는 상기 테두리부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홈과, 상기 가이드홈으로부터 상기 테두리부의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힌지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면과 후면에 개구가 마련되는 하우징 유닛과, 상기 하우징 유닛의 상기 전면에 마련되는 글라스 유닛과, 상기 하우징 유닛의 상기 후면에 마련되는 백커버 유닛과, 상기 하우징 유닛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글라스 유닛의 후방에 배치되어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유닛 내부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유닛과 상기 글라스 유닛 사이에 마련되는 방수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수 유닛은 상기 글라스 유닛에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글라스 홀더와, 상기 글라스 홀더에 마련되는 러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수 유닛은 상기 러버에 접촉하도록 상기 하우징 유닛에 마련되는 방수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글라스 홀더는 상기 글라스 유닛의 배면에 부착되는 지지부와, 상기 러버가 부착되도록 마련되는 러버 부착부와, 상기 하우징 유닛과의 체결 위한 체결홀이 형성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수 유닛은 상기 글라스 유닛의 배면 테두리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수 유닛은 상기 하우징 유닛과 상기 백커버 유닛 사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수 유닛은 상기 백커버 유닛 테두리에 마련되는 러버와, 상기 러버와 접촉하도록 상기 하우징 유닛에 형성되는 방수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수 브라켓은 상기 러버와 접촉하도록 상기 백커버 유닛에 마련되는 제1 방수 브라켓과, 상기 제1 방수 브라켓의 외측에서 감싸도록 마련되는 제2 방수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수 유닛은 상기 하우징 유닛과 상기 백커버 유닛의 테두리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백커버는 공기가 흡입되기 위한 유입구와 공기가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킨 후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공기순환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순환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키도록 송풍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면과 후면이 개구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유닛의 상기 전면에 마련되는 글라스 유닛과, 상기 하우징 유닛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글라스 유닛의 후방에 배치되어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유닛과, 상기 하우징 유닛의 상기 후면에 마련되며 공기가 흡입되는 유입구와 공기가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는 백커버 유닛과,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과하여 열을 냉각시킨 후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공기순환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유닛 내부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유닛과 상기 글라스 유닛 사이와 상기 하우징 유닛과 상기 백커버 유닛 사이에 마련되는 방수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수 유닛은 러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수 유닛은 상기 글라스 유닛에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글라스 홀더와, 상기 글라스 홀더에 마련되는 러버와, 상기 러버에 접촉하도록 상기 하우징 유닛에 마련되는 방수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글라스 홀더는 상기 글라스 유닛의 배면에 부착되는 지지부와, 상기 러버가 부착되도록 마련되는 러버 부착부와, 상기 하우징 유닛과의 체결 위한 체결홀이 형성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글라스 홀더의 상기 체결부는 상기 하우징 유닛의 방수 브라켓과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수 유닛은 상기 백커버 유닛 테두리에 마련되는 러버와, 상기 러버와 접촉하도록 상기 하우징 유닛에 형성되는 방수 브라켓을 더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글라스를 탈착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어 글라스의 수리 및 교체시 A/S 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A/S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글라스 장착 모델과 글라스 비장착 모델로 이원화할 수 있어, 다양한 제품군을 갖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부품들의 분해가 가능하여 각 부품의 수리 및 교체 시 A/S 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A/S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방수 성능이 향상됨으로써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글라스 유닛과 디스플레이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글라스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유닛에 마련되는 홀더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더 유닛에 의해 디스플레이 유닛에 장착된 글라스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더 유닛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7 내지 도 8 은 도 5 의 " A - A' "부분의 단면도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더 유닛의 개폐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1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방수 유닛이 장착되는 글라스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유닛에 마련되는 방수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14 는 도 12 의 "A" 부분의 확대도,
도 15 는 도 12 의 "B" 부분의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글라스 유닛과 디스플레이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는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유닛(10)과, 디스플레이 유닛(10)을 보호하도록 그 전면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글라스 유닛(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유닛(10)은 영상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패널(미도시)와, 디스플레이 패널 테두리 외측에 배치되는 베젤(미도시), 디스플레이 패널 후면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패널을 지지하는 후면 케이스(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글라스 유닛(20)은 글라스(21)와, 글라스(21) 외곽에 마련되는 테두리부(22)를 포함하고, 테두리부(22)에는 디스플레이 유닛(10)과의 결합을 위해 마련되는 홀더 유닛(30)을 포함한다.
홀더 유닛(30)은 글라스 유닛(20) 테두리부(22)의 상하 좌우 각 부분에 적어도 한 개 이상 복수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유닛(10)의 후면 케이스(11)에는 홀더 유닛(30)이 체결 될 수 있도록 제1 결합부(12)가 마련된다.
제1 결합부(12)는 홀더 유닛(30)의 위치와 개수에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유닛에 마련되는 홀더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더 유닛에 의해 디스플레이 유닛에 장착된 글라스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더 유닛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라스 유닛(20)의 테두리부(22)에는 홀더 유닛(30)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홀더 유닛 설치부(23)가 형성된다.
또한, 홀더 유닛(30)은 글라스 유닛(2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마련되는 힌지부(31)와, 힌지부(31)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디스플레이 유닛(10)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홀더 유닛(30)은 대략 "ㄱ" 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고정부(33)는 힌지부(31)로부터 절곡되어 마련된다.
힌지부(31)의 양측 단부에는 힌지 돌기(32)가 돌출 형성된다.
글라스 유닛(20)의 홀더 유닛 설치부(23)는 힌지부(31)의 힌지 돌기(32)가 결합될 수 있도록 테두리부(22)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홈(24)과, 가이드 홈(24)으로부터 테두리부(22)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힌지홈(2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가이드 홈(24)은 홀더 유닛(30)의 설치시 힌지 돌기(32)의 이동 및 회전을 가이드 할 수 있도록 힌지 돌기(32) 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힌지홈(25)은 홀더 유닛(30)의 고정을 위해 힌지 돌기(32)와 같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홀더 유닛(30)은 글라스 유닛(20) 테두리부(22)에 형성된 홀더 유닛 설치부(23)의 가이드 홈(24)에 힌지부(31)의 힌지 돌기(32)를 끼워 조립하고, 예를 들어,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라스 유닛(20)의 상단 테두리부(22)에 형성된 가이드 홈(24)은 힌지 돌기(32)를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이동 시킨 후, 가이드 홈(24)에 연결 형성된 힌지홈(25)으로 힌지 돌기(32)를 수평 이동시켜 안착시키고, 힌지홈(25)에 안착된 힌지 돌기(32)를 회전시켜 글라스 유닛(20)과 디스플레이 유닛(10)을 고정 시킬 수 있다.
또한, 측면 테두리부(22)에 형성된 가이드 홈(24)은 힌지 돌기(32)를 측면으로 이동 시킨 후, 가이드 홈(24)에 연결 형성된 힌지홈(25)으로 이동시켜 안착시키고, 힌지홈(25)에 안착된 힌지 돌기(32)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켜 글라스 유닛(20)과 디스플레이 유닛(10)을 고정 시킬 수 있다.
홀더 유닛(30)의 고정부(33) 단부 내측에는 제2 결합부(34)가 형성된다. 제2 결합부(34)는 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홀더 유닛(30)의 제2 결합부(34)에 대응하도록 후면 케이스(11)에 마련되는 제1 결합부(12)에 결합된다.
이때, 제1 결합부(12)는 제1 결합부(12)의 원형 돌기가 수용될 수 있도록 원 형상의 함몰된 홈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결합부(12)와 제2 결합부(34)의 홈과 돌기는 제1 결합부(12)에 홈을 형성하고 제2 결합부(34)에 돌기를 형성하거나 원형 이외의 다양한 결합 형상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라스 유닛(20)의 홀더 유닛 설치부(23)에 힌지 고정된 홀더 유닛(30)을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홀더 유닛(30)의 고정부(33)에 형성된 제2 결합부(34)가 디스플레이 유닛(10)위 후면 케이스(11)에 형성된 제1 결합부(12)에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더 유닛(30)의 개폐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별도로 마련되는 글라스 유닛(20)과 디스플레이 유닛(10)의 결합 시, 글라스 유닛(20)과 디스플레이 유닛(10)을 각자 위치에 배치하고 조립 준비를 한다.
이때, 글라스 유닛(20) 테두리부(22)의 홀더 유닛 설치부(23)에 설치된 홀더 유닛(30)은 힌지부(31)의 힌지 돌기(32)가 힌지홈(25)에 고정된 상태로 홀더 유닛(30)의 고정부(33)가 상측 방향으로 올려진 상태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 유닛(10)이 글라스 유닛(20)의 조립 위치에 배치되면 홀더 유닛(30)을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부(33)의 제2 결합부(34)를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면 케이스(11)에 형성된 제1 결합부(12)에 결합시킨다.
글라스 유닛(20)의 테두리부(22)에 설치된 복수의 홀더 유닛(30)을 모두 후면 케이스(11)에 고정시키면 글라스 유닛(20)과 디스플레이 유닛(10)이 고정되게 된다.
또, 글라스 유닛(20)을 디스플레이 유닛(10)로부터 분리 시, 홀더 유닛(30) 고정부(33)의 제2 결합부(34)를 후면 케이스(11)의 제1 결합부(12)로부터 분리시켜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이동시킨다.
글라스 유닛(20) 테두리부(22)의 복수의 홀더 유닛(30)을 모두 분리시키면 글라스 유닛(20)과 디스플레이 유닛(10)은 쉽게 분리되게 된다.
이렇게 글라스 유닛(20)이 디스플레이 유닛(10)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글라스(21)의 수리 및 교체 시 A/S 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A/S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9 내지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며 전면과 후면에 각각 전면 개구(120a)와 후면 개구(120b)가 형성되는 하우징 유닛(120)과, 하우징 유닛(120)의 전면 개구(120a)에 마련되는 글라스 유닛(110)과, 하우징 유닛(120)의 후방 외관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백커버 유닛(40)과, 하우징 유닛(120) 내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유닛(1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우징 유닛(120)은 전면 개구(120a)와 후면 개구(120b)를 가지는 직사각 형상으로 상면을 형성하는 제1 패널(121)과, 바닥을 지지하도록 하면을 형성하는 제3 패널(123)과, 제1 패널(121)과 제2 패널(122) 사이 좌우 측을 각각 연결하여 측면을 형성하는 제2 패널(122)과 제4 패널(1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우징 유닛(120)의 전면 개구(120a)에 마련되는 글라스 유닛(110)은 충분한 강성을 가지면서도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 글라스 유닛(110)은 하우징 유닛(120)의 전면 개구(120a)에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으로 마련되는 판형상의 글라스(111) 또는 강화 유리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하우징 유닛(120)의 내부에는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유닛(160)이 마련되고, 디스플레이 유닛(160)은 글라스(111)의 후방에 배치되어 외측에서 디스플레이 유닛(16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한다.
디스플레이 유닛(160)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는 액정 패널과, 액정 패널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액정 패널에 광을 조사하는 백라이트 유닛과, 백라이트 유닛의 후방측에 배치되며 회로 기판을 내장하여 액정 패널과 백라이트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백커버 유닛(140)은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하부에 유입구(141)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유입구(141)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145)가 형성된다.
그리고, 백커버 유닛(140)의 하부에는 디스플레이 유닛(160)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기 위한 공기순환유닛(130)이 설치된다.
이렇게 실외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면 글라스 유닛(110)을 통해 전달되는 태양광에 의해 가열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내부가 열화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는 외부의 공기가 하우징 유닛(120)의 내부를 순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부의 온도가 일정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하는 공기순환유닛(130)이 마련된다.
또한, 실외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로부터 물이나 먼지 등이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물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본 실시예에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수 유닛(150)이 마련된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방수 유닛이 장착되는 글라스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유닛에 마련되는 방수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4 는 도 13 의 "A"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15 는 도 13 의 "B"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 유닛(150)은 하우징 유닛(120)과 글라스 유닛(110) 사이와, 하우징 유닛(120)과 백커버 유닛(140) 사이에 마련된다.
방수 유닛(150)은 글라스 유닛(110)에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글라스 홀더(151)와 글라스 홀더(151)에 마련되는 러버(15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글라스 홀더(151)는 글라스 유닛(110)의 글라스(111) 배면 테두리에 부착되도록 마련되는 지지부(152)와, 러버(156)가 부착되도록 지지부(152)의 대향되는 면에 마련되는 러버 부착부(153)와, 하우징 유닛(120)과의 체결을 위해 마련되는 체결부(154)를 포함한다.
이때, 러버 부착부(153)는 글라스 홀더(151) 외측 테두리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체결부(154)에는 하우징 유닛(120)과의 고정을 위한 볼트(B) 체결홀(155)이 형성된다.
하우징 유닛(120)에는 방수 유닛(150)의 러버(156)와 접촉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수 브라켓(157)이 형성된다.
방수 브라켓(157)에는 방수 유닛(150)의 체결부(154)와 볼트(B) 결합될 수 있도록 볼트홀(157a)이 형성된다.
따라서, 하우징 유닛(120)의 방수 브라켓(157) 볼트홀(157a)과 글라스 홀더(151) 체결부(154)의 체결홀(155)을 관통하는 볼트(B)에 의해 하우징 유닛(120)과 방수 유닛(150), 그리고 글라스 유닛(110)이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글라스 유닛(110) 배면에 마련되는 방수 유닛(150)의 러버(156)가 하우징 유닛(120)의 방수 브라켓(157)에 접촉됨으로써 하우징 유닛(120)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러버(156)는 방수 브라켓(157)에 의해 압축됨으로써 글라스 유닛(110)과 하우징 유닛(120) 사이를 완전히 밀폐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구성되어지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글라스 유닛(110)의 글라스(111)의 수리 및 교체시 하우징 유닛(120)과 글라스 유닛(110)을 고정하는 볼트(B)를 해체하여 글라스 유닛(110)을 분해할 수 있어, A/S를 원활하게 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방수 유닛(150)는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유닛(120)과 백커버 유닛(140) 사이에 마련된다.
이때, 방수 유닛(150)은 백커버 유닛(140)에 마련되는 러버(156)와, 러버(156)와 접촉되도록 하우징 유닛(120)에 형성되는 방수 브라켓(15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러버(156)는 백커버 유닛(140)의 내측면 테두리부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방수 브라켓(157)은 러버(156)와 접촉하도록 하우징 유닛(120) 제1 패널(121)의 저면으로부터 하측에서 백커버 유닛(140) 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제1 방수 브라켓(158)과, 제1 방수 브라켓(158)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2 방수 브라켓(159)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하우징 유닛(120)과 백커버 유닛(140) 사이에 마련되는 방수 유닛(150)에 의해 외부로부터 하우징 유닛(120) 내부로 물 또는 먼지 등의 유입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어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이 구성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외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공기순환유닛(130)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하우징 유닛(120) 내부를 순환하도록 함으로써 하우징 유닛(120) 내부 온도가 일정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한다.
백커버 유닛(140) 후면 하부에 형성된 유입구(141)를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되고 백커버 유닛(140) 후면 상부에 형성된 배출구(145)를 통해 하우징 유닛(120) 내부를 순환하여 열교환된 공기가 배출된다.
이때, 유입구(141)에는 제1 필터(132)가 마련되고, 배출구(141)에는 제2 필터(136)가 마련되어 유입되는 공기와 배출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거르도록 한다.
공기순환유닛(130)는 회전하며 흡입력 및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송풍팬(133)과, 회전력을 발생시켜 송풍팬(133)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내부 송풍팬(133)에 의해 유입구(145)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하우징 유닛(120) 내부를 순환한 후 배출구(145)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
이러한 하우징 유닛(120)은 전면에 글라스 유닛(110)이 장착되고, 후면에 백커버 유닛(140)이 장착되게 되는데, 본 실시예의 하우징 유닛(120)과 글라스 유닛(110) 사이, 하우징 유닛(120)과 백커버 유닛(140) 사이에는 방수 유닛(150)이 마련되어, 실외로부터 수분 또는 먼지 등이 하우징 유닛(120)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리 또는 부품의 교환 등의 A/S 시 하우징 유닛(120)과 글라스 유닛(110), 하우징 유닛(120)과 백커버 유닛(140)의 분해가 가능하여 A/S 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 그에 따른 시간을 줄 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해 그 실시예를 기술하였으나, 당업자라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변경 및 대체될 수 있다.
1,100 : 디스플레이 장치 10,160 : 디스플레이 유닛
11 : 후면 케이스 12 : 제1 결합부
20,110 : 글라스 유닛 21,111 : 글라스
22 : 테두리부 23 : 홀더 유닛 설치부
24 : 가이드 홈 25 : 힌지홈
30 : 홀더 유닛 31 : 힌지부
32 : 힌지돌기 33 : 고정부
34 : 제2 결합부 120 : 하우징 유닛
130 : 공기순환유닛 140 : 백커버 유닛
150 : 방수유닛 151 : 글라스 홀더
156 : 러버

Claims (32)

  1.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전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글라스 유닛;
    상기 글라스 유닛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탈착될 수 있도록, 상기 글라스 유닛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홀더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 유닛은,
    상기 글라스 유닛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글라스 유닛의 테두리부에는 상기 힌지부가 결합되기 위한 홀더 유닛 설치부가 마련되고,
    상기 홀더 유닛 설치부는 상기 테두리부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홈과, 상기 가이드홈으로부터 상기 테두리부의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힌지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힌지홈에 결합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힌지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외곽에 마련되는 베젤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후면에 결합되는 후면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 케이스에는 상기 홀더 유닛이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제1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유닛의 상기 고정부는 상기 글라스 유닛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제1 결합부에 대응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부는 돌기와, 상기 돌기가 수용되는 홈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돌기와 상기 홈 중 다른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전면과 후면에 개구가 마련되는 하우징 유닛과,
    상기 하우징 유닛의 상기 전면에 마련되는 글라스 유닛과,
    상기 하우징 유닛의 상기 후면에 마련되는 백커버 유닛과,
    상기 하우징 유닛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글라스 유닛의 후방에 배치되어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유닛 내부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유닛과 상기 글라스 유닛 사이에 마련되는 방수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유닛은 상기 글라스 유닛에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글라스 홀더와, 상기 글라스 홀더에 마련되는 러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유닛은 상기 러버에 접촉하도록 상기 하우징 유닛에 마련되는 방수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홀더는 상기 글라스 유닛의 배면에 부착되는 지지부와, 상기 러버가 부착되도록 마련되는 러버 부착부와, 상기 하우징 유닛과의 체결 위한 체결홀이 형성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유닛은 상기 글라스 유닛의 배면 테두리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유닛은 상기 하우징 유닛과 상기 백커버 유닛 사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유닛은 상기 백커버 유닛 테두리에 마련되는 러버와, 상기 러버와 접촉하도록 상기 하우징 유닛에 형성되는 방수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브라켓은 상기 러버와 접촉하도록 상기 백커버 유닛에 마련되는 제1 방수 브라켓과, 상기 제1 방수 브라켓의 외측에서 감싸도록 마련되는 제2 방수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유닛은 상기 하우징 유닛과 상기 백커버 유닛의 테두리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5.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백커버는 공기가 흡입되기 위한 유입구와 공기가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킨 후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공기순환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키도록 송풍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홀더의 상기 체결부는 상기 하우징 유닛의 방수 브라켓과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2. 삭제
KR1020120085835A 2012-01-30 2012-08-06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88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3152955.4A EP2620806B1 (en) 2012-01-30 2013-01-28 Display apparatus with detachable glass panel
US13/753,780 US9426909B2 (en) 2012-01-30 2013-01-30 Display apparatus with a detachable glass plate
CN201310036658.3A CN103226921B (zh) 2012-01-30 2013-01-30 显示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09005 2012-01-30
KR1020120009123 2012-01-30
KR20120009123 2012-01-30
KR1020120009005 2012-0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7988A KR20130087988A (ko) 2013-08-07
KR101988316B1 true KR101988316B1 (ko) 2019-06-13

Family

ID=49214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5835A KR101988316B1 (ko) 2012-01-30 2012-08-06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8316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0709B1 (ko) * 1998-10-28 2001-12-17 윤종용 액정표시장치컴퓨터액정표시장치모듈
KR20050064260A (ko) * 2003-12-23 2005-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평판 표시 장치
US7495846B1 (en) * 2006-09-12 2009-02-24 Kantek, Inc. Adjustable computer monitor optica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7988A (ko) 2013-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6909B2 (en) Display apparatus with a detachable glass plate
US11380224B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assembling method thereof
EP3490354B1 (en) Outdoor display apparatus having enhanced temperature stability
EP3631571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737391B1 (ko)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
EP2797395B1 (en) Digital signage
JP2006330196A (ja) プラズマテレビジョンおよび映像表示装置
US8259251B2 (en) Back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JP4221076B2 (ja) 液晶表示装置
WO2005109870A1 (en) Projection apparatus
JP2001100650A (ja) 情報表示装置
CN110689822A (zh) 室外显示装置
JP2007219447A (ja) リアプロジェクション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23319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98831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34345A (ko) 실외 광고용 모니터의 구조
CN109222899A (zh) 监护仪
KR20070080383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70077361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94271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케이스
KR20160139215A (ko) 디스플레이장치
JP2007219446A (ja) リアプロジェクションディスプレイ装置
WO2008012964A1 (fr) Dispositif d'illumination pour dispositif d'affichage
CN205582402U (zh) Led显示屏
CN220924302U (zh) 一种驾驶座舱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