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8214B1 - 방재용품 캐비넷 - Google Patents

방재용품 캐비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8214B1
KR101988214B1 KR1020190022868A KR20190022868A KR101988214B1 KR 101988214 B1 KR101988214 B1 KR 101988214B1 KR 1020190022868 A KR1020190022868 A KR 1020190022868A KR 20190022868 A KR20190022868 A KR 20190022868A KR 101988214 B1 KR101988214 B1 KR 1019882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aster prevention
prevention door
door
emergency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2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신
배석원
Original Assignee
경남재난안전 협동조합
정영신
배준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남재난안전 협동조합, 정영신, 배준혁 filed Critical 경남재난안전 협동조합
Priority to KR1020190022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82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8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82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9/00Order telegraph apparatus, i.e. means for transmitting one of a finite number of different orders at the discretion of the user, e.g. bridge to engine room orders in ships
    • G08B9/08Order telegraph apparatus, i.e. means for transmitting one of a finite number of different orders at the discretion of the user, e.g. bridge to engine room orders in ships mechanic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방이 개구되며, 방재용품이 수납되는 방재함; 상기 방재함의 전방 양측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방재도어; 상기 방재도어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개폐감지부; 및 상기 개폐감지부가 상기 방재도어의 개방여부를 감지하거나 화재발생상황을 감지하면 소음을 발생시키는 소음부;를 포함하는 방재용품 캐비넷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재용품 캐비넷{Cabinet for disaster prevention products}
본 발명은 화재 발생시 사용자가 비상 캐비넷의 위치를 간편하게 찾거나 식별할 수 있는 방재용품 캐비넷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는 발생하는 대상에 따라서 건축물에 발생하는 건물화재, 산림 또는 들에 발생하는 임야화재, 자동차에 발생하는 차량화재, 선박에 발생하는 선박화재, 비행기 등에 발생하는 항공기화재, 기타 화재의 여섯종으로 대별된다.
원인에 따라 분류하면 방화, 실화, 자연발화, 천재지변에 의한 발화, 기타의 종류로 구분되고, 소실 정도에 따르면 전소, 반소, 부분연소로 분류할 수 있다.
최근 도시 건축물의 고층, 심층, 대규모화, 산업시설의 발달 등 경제의 고도성장에 수반한 전기, 유류, 가스, 화공약품 등 각종 위험물질 취급의 급증, 농촌지역에의 산업시설의 유치, 전화사업의 확장 등 여건의 급변으로 말미암아 화재의 양상이 복잡 다양화되고 대형화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건축물의 화재의 진압에는 시설물이 자체적으로 보유한 스프링클러, 소화전, 소화기 등으로 초기진압하는 방법과 소방차로 완전히 진압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건축 화재시 연기의 발생을 줄이기 위해 난염 및 방염의 제품으로 시설물 전체를 시공하기에는 비용이 너무 많이 들고, 부분방염으로 시공하여도 화재시 유독가스의 발생을 전적으로 막기는 어렵다.
따라서 화재시 대피자들은 옷가지나 수건 등으로 코나 입을 가려서 유독가스가 호흡기를 통해 인체내로 침투하는 것을 어느 정도 차단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유독가스의 흡입량이 많아지게 되면 구토나 근육의 경련과 같은 육체적 인 고통을 수반하고, 심리적으로도 상당한 불안감을 느끼게 되기 때문에 대피자들은 침착성을 잃고 우왕좌왕하게 되어 통제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구조작업에 많은 어려움이 있음은 물론 인명피해가 더욱 커지게 된다.
그래서 사람의 출입이 빈번하여 화재시 대량의 인명피해가 우려되는 공공장소나 대형건물에는 방연마스크, 방독면, 손전등 등의 방재용품을 일정량 구비하고 있지만, 실제로 화재 등의 비상시에는 정전이 되기 쉽고 순식간에 인명피해가 늘어나기 때문에 구비된 방재용품의 신속한 공급 및 식별이 이루어지지 않는 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비상시에는 대피자들이 매우 당황하기 때문에 대피자들 간의 질서있는 방재용품 전달과 공급을 크게 기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침착한 사용이 거의 불가능하므로, 짧은 시간 내에 도처에 분산되어 있는 대피자들에게 한꺼번에 공급하여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 어려움도 있었다.
이러한 방재용품의 보관에 관한 기술로서, 한국공개실용 제2013-0002693호는 전방 개구부를 개폐하는 제 1 도어를 포함하며, 내부에 비상물품의 수용공간을 가지는 비상 물품 캐비넷과, 상기 비상 물품 캐비넷의 상부에 일체 또는 분리형으로 체결되며, 전방 개구부를 개폐하는 제 2 도어를 포함하며, 내부에 소화기 수용공간을 가지는 소화기 캐비넷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형 비상 캐비넷이 공개된 적이 있었다.
그러나 종래기술도 화재 발생시 사용자가 비상 캐비넷의 위치를 찾거나 식별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실용 제2013-0002693호(2013.05.06)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 발생시 사용자가 비상 캐비넷의 위치를 간편하게 찾거나 식별할 수 있는 방재용품 캐비넷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재용품 캐비넷는 전방이 개구되며, 방재용품이 수납되는 방재함; 상기 방재함의 전방 양측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방재도어; 상기 방재도어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개폐감지부; 및 상기 개폐감지부가 상기 방재도어의 개방여부를 감지하거나 화재발생상황을 감지하면 소음을 발생시키는 소음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개폐감지부는 상기 방재함과 방재도어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자력에 의해 상기 방재도어의 개방여부를 감지하는 전자석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화재발생시 시설물의 소화수에 의해 상기 방재도어를 개방시키는 비상개방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비상개방부는 상기 방재함의 하측에 설치되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하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고정자와, 상기 고정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결합되는 회전플로팅과, 하단이 상기 회전축의 타단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중앙이 상기 수조의 내부에 힌지 결합되며 상단이 상기 방재함과 방재도어 사이에 설치되는 작동축을 포함하며, 상기 수조에 소화수가 유입되면 상기 회전플로팅이 부력에 의해 상기 회전축의 일단을 회전시켜서 상기 회전축의 타단이 상기 작동축의 하단을 푸싱함에 따라 상기 작동축의 상단이 상기 방재도어를 푸싱하여 상기 방재도어의 개방을 유도한다.
또한, 상기 비상개방부는 상기 회전축의 타단에 결합되며 상기 플로팅보다 무게가 가볍게 구성되는 무게추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비상개방부는 상기 방재함의 하측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바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가이드플로팅과, 하단이 상기 가이드플로팅의 외주면에 밀착되며 상단이 상기 방재함과 방재도어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레축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에 소화수가 유입되면 상기 가이드플로팅이 부력에 의해 상기 지레축의 하단을 푸싱함에 따라 상기 지레축의 상단이 상기 방재도어를 푸싱하여 상기 방재도어의 개방을 유도한다.
또한, 상기 지레축은 하단이 경사진 구조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방재용품 캐비넷는 화재 발생시 사용자가 비상 캐비넷의 위치를 간편하게 찾거나 식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재용품 캐비넷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재용품 캐비넷를 나타난 다른 사시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개방부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개방부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재용품 캐비넷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재용품 캐비넷를 나타난 다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재용품 캐비넷는 방재함(100), 방재도어(200), 개폐감지부(300) 및 소음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방재함(100)은 전방이 개구되며, 방재용품이 수납된다. 이 때, 상기 방재함(100)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화재나 화활 물질 유출시에 비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각종 구급 약품함, 마스크, 보호복, 장갑, 유기용매용 장갑, 고글, 패드형 흡착재가 수용된다.
상기 방재도어(200)는 한 쌍이 상기 방재함(100)의 전방 양측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면에 손잡이용으로 활용된 도어홈이 형성된다.
상기 개폐감지부(300)는 상기 방재함(100)과 방재도어(20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방재도어(200)의 개폐여부를 감지(즉, 센싱)한다.
상기 소음부(400)는 상기 방재함(100)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개폐감지부(300)가 방재도어(200)의 개방여부를 감지하거나 화재발생상황을 감지하면 소음을 발생시킨다. 즉, 상기 소음부(400)에는 화재상황을 감지할 수 있는 연기센서(미도시)나, 열기센서(미도시)가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방재용품 캐비넷는 화재 발생시 사용자가 비상 캐비넷의 위치를 간편하게 찾거나 식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개폐감지부(300)는 상기 방재함(100)과 방재도어(200)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자력에 의해 상기 방재도어(200)의 개방여부를 감지하는 전자석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상기 전자석센서는 상기 방재함(100)과 방재도어(200) 양측에서 자력에 의한 부착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방재도어(200)의 개방여부를 감지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방재용품 캐비넷는 상기 전자석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방재함(100)과 방재도어(200)의 개방 여부를 간편하게 센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재용품 캐비넷는 화재발생시 상기 방재도어(200)가 자동으로 개방되어 상기 소음부(400)에서 소음이 발생하여 상기 방재함(100)의 위치가 좀 더 용이하게 파악되도록 화재발생시 시설물의 소화수에 의해 상기 방재도어(200)를 개방시키는 비상개방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상개방부(500)의 제1실시예>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개방부(500)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상개방부(500)의 제1실시예는 수조(511), 고정자(512), 회전축(513), 회전플로팅(514), 작동축(515)을 포함한다.
상기 수조(511)는 상면이 개구되며 상기 방재함(100)의 하측에 설치된다.
상기 고정자(512)는 지주로서, 상기 수조(511)의 하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회전축(513)은 중앙이 상기 고정자(5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플로팅(514)은 상기 회전축(513)의 일단에 결합되며, 부력 있는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작동축(515)은 하단이 상기 회전축(513)의 타단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중앙이 상기 수조(511)의 내부에 힌지 결합되며 상단이 상기 방재함(100)과 방재도어(200) 사이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수조(511)에 소화수가 유입되면 상기 회전플로팅(514)이 부력에 의해 상기 회전축(513)의 일단을 회전시켜서 상기 회전축(513)의 타단이 상기 작동축(515)의 하단을 푸싱함에 따라 상기 작동축(515)의 상단이 상기 방재도어(200)를 푸싱하여 상기 방재도어(200)의 개방을 유도한다.(도 4 참조)
즉, 상기 비상개방부(500)의 제1실시예는 화재상황에 의해 시설물의 소화수가 상기 수조(511)가 채워지면 상기 고정자(512), 회전축(513), 회전플로팅(514), 작동축(515)의 상술한 봐와 같은 복합적인 작용에 의해 상기 방재도어(200)를 개방시켜서 상기 소음부(400)가 상기 방재도어(200)의 개방을 감지하여 소음을 발생시켜서 사용자에게 상기 방재함(100)의 위치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비상개방부(500)의 제1실시예는 상기 회전축(513)의 타단에 결합되며 상기 플로팅보다 무게가 가볍게 구성되는 무게추(515)를 포함한다.
상기 무게추(515)는 상기 회전축(513)의 타단이 상기 작동축(515)의 하단을 푸싱할 때, 상기 작동축(515)에 좀 더 하중이 가해져서 상기 방재도어(200)가 좀 더 용이하게 개방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비상개방부(500)의 제2실시예>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개방부(500)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상개방부(500)의 제2실시예는 하우징(521), 가이드바(522), 가이드플로팅(523) 및 지레축(524)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521)은 상면이 개구되며 상기 방재함(100)의 하측에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바(522)는 지주로서, 상기 하우징(521)의 하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가이드플로팅(523)은 상기 가이드바(522)에 중심축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가이드바(522)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며, 부력 있는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레축(524)은 하단이 상기 가이드플로팅(523)의 외주면에 밀착되며 상단이 상기 방재함(100)과 방재도어(200)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521)에 소화수가 유입되면 상기 가이드플로팅(523)이 부력에 의해 상기 지레축(524)의 하단을 푸싱함에 따라 상기 지레축(524)의 상단이 상기 방재도어(200)를 푸싱하여 상기 방재도어(200)의 개방을 유도한다.
즉, 상기 비상개방부(500)의 제2실시예는 화재상황에 의해 시설물의 소화수가 상기 하우징(521)에 채워지면 상기 하우징(521), 가이드바(522), 가이드플로팅(523) 및 지레축(524)의 상술한 봐와 같은 복합적인 작용에 의해 상기 방재도어(200)를 개방시켜서 상기 소음부(400)가 상기 방재도어(200)의 개방을 감지하여 소음을 발생시켜서 사용자에게 상기 방재함(100)의 위치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지레축(524)은 하단이 경사진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플로팅(523)의 상승을 유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재용품 캐비넷는 상기 방재함(100)에 경고등과 비상배터리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경고등은 화재상황을 감지하면 켜진다.
상기 비상배터리는 외부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상기 소음부(400)와 경고등의 구동이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방재함(100)과 방재도어(200) 사이에 스프링(미도시)이 설치되어 상기 방재도어(200)의 개방각도를 좀 더 넓힐 수 있다.
미설명된 부호 10은 시설물의 벽체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 벽체
100 : 방재함
200 : 방재도어
300 : 개폐감지부
400 : 소음부
500 : 비상개방부
511 : 수조
512 : 고정자
513 : 회전축
514 : 회전플로팅
515 : 작동축
515 : 무게추
521 : 하우징
522 : 가이드바
523 : 가이드플로팅
524 : 지레축

Claims (7)

  1. 전방이 개구되며, 방재용품이 수납되는 방재함;
    상기 방재함의 전방 양측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방재도어;
    상기 방재도어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개폐감지부; 및
    상기 개폐감지부가 상기 방재도어의 개방여부를 감지하거나 화재발생상황을 감지하면 소음을 발생시키는 소음부;
    상기 개폐감지부는
    상기 방재함과 방재도어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자력에 의해 상기 방재도어의 개방여부를 감지하는 전자석센서;
    화재발생시 시설물의 소화수에 의해 상기 방재도어를 개방시키는 비상개방부;
    상기 비상개방부는
    상기 방재함의 하측에 설치되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하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고정자와,
    상기 고정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결합되는 회전플로팅과,
    하단이 상기 회전축의 타단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중앙이 상기 수조의 내부에 힌지 결합되며 상단이 상기 방재함과 방재도어 사이에 설치되는 작동축을 포함하며,
    상기 수조에 소화수가 유입되면 상기 회전플로팅이 부력에 의해 상기 회전축의 일단을 회전시켜서 상기 회전축의 타단이 상기 작동축의 하단을 푸싱함에 따라 상기 작동축의 상단이 상기 방재도어를 푸싱하여 상기 방재도어의 개방을 유도하는 방재용품 캐비넷.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개방부는
    상기 회전축의 타단에 결합되며 상기 플로팅보다 무게가 가볍게 구성되는 무게추를 포함하는 방재용품 캐비넷.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개방부는
    상기 방재함의 하측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바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가이드플로팅과,
    하단이 상기 가이드플로팅의 외주면에 밀착되며 상단이 상기 방재함과 방재도어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레축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에 소화수가 유입되면 상기 가이드플로팅이 부력에 의해 상기 지레축의 하단을 푸싱함에 따라 상기 지레축의 상단이 상기 방재도어를 푸싱하여 상기 방재도어의 개방을 유도하는 방재용품 캐비넷.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레축은
    하단이 경사진 구조로 형성되는 방재용품 캐비넷.
KR1020190022868A 2019-02-27 2019-02-27 방재용품 캐비넷 KR1019882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868A KR101988214B1 (ko) 2019-02-27 2019-02-27 방재용품 캐비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868A KR101988214B1 (ko) 2019-02-27 2019-02-27 방재용품 캐비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8214B1 true KR101988214B1 (ko) 2019-06-12

Family

ID=66846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2868A KR101988214B1 (ko) 2019-02-27 2019-02-27 방재용품 캐비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821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3870A (ko) * 2010-09-02 2012-03-14 김지신 수난방재설비시스템
KR20130002693A (ko) 2011-06-29 2013-01-08 최명식 자동판매기용 비데팩 성형장치 및 비데팩 성형방법
KR101574757B1 (ko) * 2015-03-30 2015-12-04 송창영 스마트 방재용품 보관 상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3870A (ko) * 2010-09-02 2012-03-14 김지신 수난방재설비시스템
KR20130002693A (ko) 2011-06-29 2013-01-08 최명식 자동판매기용 비데팩 성형장치 및 비데팩 성형방법
KR101574757B1 (ko) * 2015-03-30 2015-12-04 송창영 스마트 방재용품 보관 상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1159B1 (ko) 소화기 거치대
KR101988214B1 (ko) 방재용품 캐비넷
KR101784290B1 (ko) 전개노즐이 구비된 국부용 소방시스템
KR102081720B1 (ko) 도어 개방을 위한 공구가 구비된 친환경 소방기구함
KR101574757B1 (ko) 스마트 방재용품 보관 상자
CN210904778U (zh) 一种消防箱
KR101291157B1 (ko) 선박용 쓰레기통 유닛
CN210433885U (zh) 一种多功能楼道消防柜
JP2008237473A (ja) 警報器に連動するマスク供給装置
EP3375495B1 (en) Self quench waste container
CN109908510A (zh) 防灾应急类智能家居
KR102176735B1 (ko) 낙하캡슐이 수용된 비상구 유도장치
CN208694088U (zh) 一种使用寿命长的灭火器箱
CN102641564A (zh) 多功能应急舱
CN113853723A (zh) 用于存放正在再充电的移动设备的容器
CN106895878B (zh) 一种灭火检测箱
JP3211612U (ja) 消火装置
NO178391B (no) Oppbevaringsskap for lösemidler, brannfarlige væsker o.l.
KR102286479B1 (ko) 화재 대피용 손수건을 내장한 화재감지기
KR102550444B1 (ko) 소방용 건축물 옥내 소화전
CN213724536U (zh) 一种耐火可移动式化学品存储箱
KR200433262Y1 (ko) 가연성 물질 보관함
KR102367912B1 (ko) 소방용 건축물 옥내 소화전
CN209316876U (zh) 一种消防专用的消防箱
KR200335472Y1 (ko) 비상기구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