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8206B1 - 적외선카메라를 이용한 온도측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적외선카메라를 이용한 온도측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8206B1
KR101988206B1 KR1020170138277A KR20170138277A KR101988206B1 KR 101988206 B1 KR101988206 B1 KR 101988206B1 KR 1020170138277 A KR1020170138277 A KR 1020170138277A KR 20170138277 A KR20170138277 A KR 20170138277A KR 101988206 B1 KR101988206 B1 KR 101988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target
measurement value
infrared camera
temperature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8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5952A (ko
Inventor
반창우
권오성
신승민
김혜민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한국전자기계융합기술원
(주)혜진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한국전자기계융합기술원, (주)혜진시스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한국전자기계융합기술원
Priority to KR1020170138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8206B1/ko
Publication of KR20190045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5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8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8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48Thermography; Techniques using wholly visual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30Transforming light or analogous information into electric information
    • H04N5/33Transforming infrared rad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Radiation Pyrometer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온도측정용 적외선카메라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촬영범위 내에 배치되는 온도레퍼런스; 및 물체에서 방출되는 적외선을 집속하고 집속된 적외선에 상응하는 온도측정값을 생성하는 적외선검출부, 온도레퍼런스의 절대온도를 기준절대온도로서 입력받는 기준온도 입력부, 촬영범위 내에서 타겟 및 온도레퍼런스를 인식하여 타겟 및 온도레퍼런스에 해당하는 화소들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물체인식부, 및 물체인식부로부터 타겟 및 온도레퍼런스에 해당하는 화소들의 위치정보를 전달받아 적외선검출부로부터 타겟의 화소에 상응하는 제1온도측정값 및 온도레퍼런스의 화소에 상응하는 제2온도측정값을 전달받고 기준온도 입력부로부터 기준절대온도를 전달받고 제2온도측정값과 기준절대온도 간의 편차를 구하여 온도보정값을 얻고 온도보정값을 제1온도측정값에 보상하여 타겟의 최종 온도측정값을 얻는 연산부를 포함하는 적외선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카메라를 이용한 온도측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적외선카메라를 이용한 온도측정 시스템{Temperature Measurement System using an Infrared Camera}
본 개시는 적외선카메라를 이용한 온도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개시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에 적외선카메라는 많은 분야에서 감시목적으로 이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적외선카메라가 측정대상에서 방출되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측정대상의 온도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측정대상을 이상을 감시하는 방식이다.
적외선카메라를 감시목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측정범위 내에서 측정대상을 인식할 수 있어야 하고, 그와 더불어 영상 내에서 인식된 측정대상의 이상을 감지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조건적인 측면에서 적외선카메라는 측정대상의 감시목적에 적합한 수단이라고 볼 수 있다.
적외선카메라는 측정대상의 온도측정값을 이용하여 측정대상의 온도변화를 지속적으로 감시할 수 있으며, 측정대상의 온도측정값이 일정 온도범위에서 벗어날 경우 측정대상에 위험 상황이 발생했다고 판단하여 이에 대한 긴급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적외선카메라는 측정대상으로부터 방출되는 적외선을 집속하여 측정대상의 온도측정값을 얻을 때, 적외선카메라 자체의 온도에 따라 동일한 온도의 물체에 대해서도 상이한 온도측정값을 출력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적외선카메라는 측정범위 내에서 각 사물간의 상대적인 온도 차는 비교적 정확하게 알 수 있으나 측정대상의 절대온도는 정확히 알아내기 어려운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적외선카메라의 렌즈를 가릴 수 있는 흑체(black body)를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적외선카메라의 초기 설정단계에서, 측정 온도 범위에서 흑체의 온도를 변화시켜 가면서 각각의 온도에 해당하는 온도측정값을 정리한 온도테이블을 얻고, 이 온도테이블을 이용하여 적외선카메라에 촬영된 물체들의 온도측정값을 얻는 방식이다.
그러나, 흑체를 이용한 방식은, 촬영이 이루어지는 주위 환경이 변화하면서 온도측정값의 정확도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적외선카메라와 측정대상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 경우에, 흑체와 측정대상 사이의 거리도 멀어지면서 온도측정값의 오차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적외선카메라의 촬영범위 내에 배치되어 적외선카메라에 기준절대온도를 제공하는 온도레퍼런스를 이용하여, 측정대상의 절대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고, 이를 통해, 측정대상에게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온도측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촬영범위 내에 배치되는 온도레퍼런스; 및 물체에서 방출되는 적외선을 집속하고 집속된 적외선에 상응하는 온도측정값을 생성하는 적외선검출부, 온도레퍼런스의 절대온도를 기준절대온도로서 입력받는 기준온도 입력부, 촬영범위 내에서 타겟 및 온도레퍼런스를 인식하여 타겟 및 온도레퍼런스에 해당하는 화소들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물체인식부, 및 물체인식부로부터 타겟 및 온도레퍼런스에 해당하는 화소들의 위치정보를 전달받아 적외선검출부로부터 타겟의 화소에 상응하는 제1온도측정값 및 온도레퍼런스의 화소에 상응하는 제2온도측정값을 전달받고 기준온도 입력부로부터 기준절대온도를 전달받고 제2온도측정값과 기준절대온도 간의 편차를 구하여 온도보정값을 얻고 온도보정값을 제1온도측정값에 보상하여 타겟의 최종 온도측정값을 얻는 연산부를 포함하는 적외선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카메라를 이용한 온도측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온도측정용 적외선카메라는 측정대상의 절대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측정대상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를 통해, 측정대상에게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촬영범위 내에 배치되는 온도레퍼런스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온도보정이 이루어지므로, 보다 정확한 온도측정값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촬영범위 내에 측정대상과 온도레퍼런스를 함께 위치시킴으로써 적외선카메라와 측정대상 사이의 거리가 멀어진 경우에도 정확한 온도측정값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시시예에 따른 적외선카메라를 이용한 온도측정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레퍼런스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카메라를 이용한 온도측정 시스템의 구현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를 포함하는 적외선카메라를 이용한 온도측정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카메라를 이용한 온도측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i), ii),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나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사용되는 타겟(10)이라는 개념은 적외선카메라(100)의 측정대상이 될 수 있는 모든 사물을 일컫는 개념이다. 예를 들면, 타겟(10)은, 판단능력 부족 또는 신체능력 부족 등으로 지속적인 감시를 필요로 하는 유아, 환자, 노인, 가축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시설물, 건물 등의 비생물 또한 포함할 수 있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카메라를 이용한 온도측정 시스템은, 유아, 환자, 노인, 가축 등의 질병발생 여부를 파악하거나, 시설물의 안전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시시예에 따른 적외선카메라를 이용한 온도측정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레퍼런스(200)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적외선카메라를 이용한 온도측정 시스템은 적외선카메라(100) 및 온도레퍼런스(200)를 포함하고, 적외선카메라(100)는 적외선검출부(110), 물체인식부(120), 기준운도 입력부(130) 및 연산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검출부(110)는 물체에서 방출되는 적외선을 집속하고 집속된 적외선에 상응하는 온도측정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적외선검출부(110)는 적외선렌즈, 이축주사장치 및 적외선검출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준온도 입력부(130)는 온도레퍼런스(200)의 절대온도를 기준절대온도로서 입력 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준온도 입력부(130)와 온도레퍼런스(200) 사이에서는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기준온도 입력부(130)와 온도레퍼런스(200)가 무선통신을 하는 경우,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및 와이파이(WiFi) 등과 같은 무선통신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기준온도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직접 기준절대온도를 입력하는 방식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온도레퍼런스(200)는 특정한 값의 절대온도를 가지도록 설정되고 설정된 절대온도를 기준절대온도로서 사용자가 직접 기준온도 입력부(130)에 입력하는 방식일 수도 있다.
물체인식부(120)는 촬영범위 내에서 타겟(10) 및 온도레퍼런스(200)를 인식하여 타겟(10) 및 온도레퍼런스(200)에 해당하는 화소들의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물체인식부(120)는 Ferns, SIFT 및 SURF 등의 물체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물체인식부(120)는, 앞서 설명한 별도의 물체인식 알고리즘 없이, 적외선검출부(110)로부터 각 화소에 해당하는 온도측정값을 전달받아 어떤 위치의 화소가 타겟(10) 또는 온도레퍼런스(200)에 해당하는지를 인식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타겟(10)이 유아, 환자, 노인 등의 사람이어서 타겟(10)의 온도 범위를 35도에서 40도라고 하였을 때, 물체인식부(120)는 적외선검출부(110)로부터 전달받은 온도측정값들 중에서, 35도에서 40도 범위 내의 온도측정값을 가지는 화소를 타겟(10)에 해당하는 화소라고 판단하여 타겟(10)을 인식할 수 있다.
그 외에 물체인식부(120)가 온도레퍼런스(200)를 인식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은 도 3과 관련하여 기술하도록 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연산부(140)는 물체인식부(120)로부터 타겟(10) 및 온도레퍼런스(200)에 해당하는 화소들의 위치정보를 전달받아 적외선검출부(110)로부터 타겟(10)의 화소에 상응하는 제1온도측정값 및 온도레퍼런스(200)의 화소에 상응하는 제2온도측정값을 전달받을 수 있다.
여기서, 제1온도측정값은 타겟(10)에 해당하는 화소들의 온도측정값의 평균값일 수도 있으며, 제2온도측정값은 온도레퍼런스(200)에 해당하는 화소들의 온도측정값의 평균값일 수도 있다.
또한, 연산부(140)는 기준온도 입력부(130)로부터 기준절대온도를 전달받고 제2온도측정값과 기준절대온도 간의 편차를 구하여 온도보정값을 얻을 수 있으며, 온도보정값을 제1온도측정값에 보상하여 타겟(10)의 최종 온도측정값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연산부(140)에서 최종적으로 얻어진 타겟(10)의 온도측정값을 최종 온도측정값이라고 칭하도록 한다.
온도레퍼런스(200)는 적외선카메라(100)의 촬영범위 내에 배치된다. 따라서,본 개시에 따른 적외선카메라를 이용한 온도측정 시스템은, 흑체를 이용하여 렌즈의 전체 화각을 가리는 종래의 방식과는 달리, 타겟(10)의 촬영과 온도측정값의 보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타겟(10)과 온도레퍼런스(200)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짐으로써 거리에 따른 온도측정값의 오차 또한 적게 발생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온도레퍼런스(200)는 기준온도 측정부(220), 기준온도 송신부(230) 및 기준온도 제어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준온도 측정부(220)는 온도레퍼런스(200)의 절대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기준온도 측정부(220)는 온도측정을 위한 온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기준온도 측정부(220)는, 원격으로 물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적외선카메라와 달리, 물체와 접촉하여 온도를 측정하는 방식일 수 있다. 따라서, 기준온도 측정부(220)에서 측정되는 온도레퍼런스(200)의 온도측정값은 온도레퍼런스(200)의 실제 절대온도와 거의 동일한 값이 될 수 있다.
기준온도 송신부(230)는 기준온도 측정부(220)로부터 온도레퍼런스(200)의 온도측정값을 전달받아 기준온도 입력부(130)에 기준절대온도로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기준온도 송신부(230)와 기준온도 입력부(130) 사이에서는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기준온도 송신부(230)와 기준온도 입력부(130) 사이에서 무선통신이 이루어질 경우,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및 와이파이(WiFi) 등과 같은 무선통신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기준온도 제어부(210)는 기준온도 측정부(220)로부터 온도레퍼런스(200)의 온도측정값을 전달받아 온도레퍼런스(200)가 특정한 온도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준온도 제어부(210)는 가열장치 및 온도제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카메라를 이용한 온도측정 시스템의 구현도이다.
도 3에서 타겟(10)이 유아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일 뿐, 타겟(10)이 유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을 참조하면, 타겟(10) 및 온도레퍼런스(200)는 적외선카메라(100)의 촬영범위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적외선카메라(100)는, 타겟(10)이 이동 가능한 물체인 경우, 활동 범위에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아가 타겟(10)인 경우, 모빌, 유아용 침대 위 및 장난감 집 내부 등 타겟(10)이 활동할 수 있는 범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온도레퍼런스(200)는 적외선카메라(100)의 촬영범위, 즉 타겟(10)의 행동범위 내에 배치된다. 예를 들면, 유아가 타겟(10)인 경우, 온도레퍼런스(200)는 유아가 가지고 놀 수 있는 장난감, 인형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영상 내에서 타겟(10)과 온도레퍼런스(200)를 용이하게 구별하기 위해, 온도레퍼런스(200)의 온도, 즉 기준절대온도는 타겟(10)의 절대온도보다 5도 이상 높거나 타겟(10)의 절대온도보다 5도 이상 낮을 수 있다.
또한, 기준절대온도는 영상 내에서 타겟(10)과 온도레퍼런스(200)의 구별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고정된 온도 값이 아닌, 일정 온도범위에서 일정 주기를 가지고 변하는 온도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때, 구별의 용이함을 더하기 위해, 기준절대온도가 변하는 주기는 타겟(10)의 절대온도가 변하는 주기보다 빠를 수 있다.
여기서 일정 주기는, 온도레퍼런스(200)가 특정 온도범위 내에서 온도가 변하는 주기로서, 사전에 정해진 시간 간격을 의미할 수 있다. 물체인식부(120)는 일정 주기로 특정 온도범위 내에서 온도가 변동하는 물체를 식별할 수 있고, 식별된 물체를 온도레퍼런스(200)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적외선카메라를 이용한 온도측정 시스템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복수의 온도레퍼런스(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온도레퍼런스(200)는 일정한 패턴을 형성하도록 배치되고, 적외선카메라(100)의 물체인식부(120)는 이러한 패턴을 인식하여 영상 내에서 온도레퍼런스(200)를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온도레퍼런스(200)가 형성하는 패턴은 직선일수도 있으나,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 또는 원의 형상일 수도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적외선카메라를 이용한 온도측정 시스템은, 타겟(10) 및 온도레퍼런스(200)가 적외선카메라(100)의 촬영범위에 함께 위치하여, 타겟(10)의 촬영과 온도측정값의 보정을 동시에 수행하는 데 특이점이 있다. 따라서, 영상 내에서 타겟(10)과 온도레퍼런스(200)를 구별하는 것이 본 발명에서 특히나 중요한 부분이라고 볼 수 있다.
온도레퍼런스(200)는 타겟(10)에 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람이 타겟(10)인 경우, 온도레퍼런스(200)는 의류 및 장신구 등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타겟(10)의 자세, 위치 등에 따라 타겟(10)에 부착된 온도레퍼런스(200)가 가려서 적외선카메라(100)에 측정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온도레퍼런스(200)가 타겟(10)에 다각도로 부착될 수 있다.
온도레퍼런스(200)가 타겟(10)에 부착될 경우, 타겟(10)이 이동함에 따라 온도레퍼런스(200)와 타겟(10)이 적외선카메라(100)의 촬영범위 내에 함께 위치하지 못하여 타겟(10)의 절대온도를 측정하지 못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온도레퍼런스(200)가 의류 및 장신구 등의 방식으로 타겟(10)에 부착된 경우, 적외선카메라(100)는 온도레퍼런스(200)를 향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타겟(10)이 다소 이동하더라도 지속적으로 타겟(10)을 감시할 수 있으며, 온도레퍼런스(200) 및 타겟(10) 중 하나 이상이 적외선카메라(100)의 촬영범위에서 벗어나 타겟(10)의 절대온도를 측정하지 못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50)를 포함하는 적외선카메라를 이용한 온도측정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의한 적외선카메라(100)는 통신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연산부(140)로부터 타겟(10)의 최종 온도측정값에 상응하는 통신신호를 전달받고, 전달받은 통신신호에 상응하는 외부통신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외부통신신호를 컴퓨터(20A), 휴대폰(20B)과 같은 외부단말기(20)에 전달함으로써 타겟(10)의 절대온도 또는 그에 따른 타겟(10)의 현재 상태를 외부단말기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또한, 통신부(150)는 타겟(10)의 최종 온도측정값이 일정 온도범위에서 벗어났을 때, 외부알람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외부알람신호를 외부단말기에 전달함으로써 타겟(10)이 위험한 상황에 놓여있음을 사용자에게 즉시 알려줄 수 있다.
통신부(150)는 외부단말기(20)에 외부통신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통신부(150)와 외부단말기(20) 사이에서는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통신부(150)와 외부단말기(20)가 무선통신을 하는 경우,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및 와이파이(WiFi) 등과 같은 무선통신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카메라를 이용한 온도측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적외선카메라(100)는 물체에서 방출되는 적외선을 집속하고 집속된 적외선에 상응하는 온도측정값을 생성하는 적외선검출부(110), 및 촬영범위 내에서 타겟(10) 및 온도레퍼런스(200)를 인식하여 타겟(10) 및 온도레퍼런스(200)에 해당하는 화소들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물체인식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적외선카메라를 이용한 온도측정 방법은 크게 네가지 단계(S100, S200, S300, S400)로 이루어진다.
먼저, 온도레퍼런스(200)의 기준절대온도를 기준절대온도로서 입력 받는다(S100). 이를 위해, 적외선카메라(100)는 기준온도 입력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온도레퍼런스(200)는, 기준절대온도를 전달하기 위해, 기준온도 입력부(130)와 통신할 수 있는 기준온도 송신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물체인식부(120)로부터 타겟(10) 및 온도레퍼런스(200)에 해당하는 화소들의 위치정보를 전달받아 적외선검출부(110)로부터 타겟(10)의 화소에 상응하는 제1온도측정값 및 온도레퍼런스(200)의 화소에 상응하는 제2온도측정값을 전달받는다(S200).
적외선검출부(110)는 적외선카메라(100)의 온도에 따라 동일한 온도를 가지는 물체에 대해서도 상이한 온도측정값을 출력할 수 있으므로, 제1온도측정값 및 제2온도측정값은 타겟(10)의 절대온도 및 온도레퍼런스(200)의 절대온도와 각각 상이한 값을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제2온도측정값과 기준절대온도 간의 편차를 구하여 온도보정값을 얻는다(S300).
적외선카메라(100)의 촬영범위 내에 있는 임의의 물체에 대한 온도측정값과 절대온도의 온도 차이는 동일한 값을 가진다. 따라서, 기준절대온도와 제2온도측정값의 온도 차이를 의미하는 온도보정값은, 타겟(10)의 절대온도와 제1온도측정값의 온도 차이와 동일한 값을 가진다.
마지막으로, 온도보정값을 제1온도측정값에 보상하여 타겟(10)의 최종 온도측정값을 얻는다(S400). 타겟(10)의 최종 온도측정값은 타겟(10)의 실제 절대온도와 거의 동일한 값을 가진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촬영범위 내에 배치되는 온도레퍼런스; 및
    물체에서 방출되는 적외선을 집속하고 집속된 적외선에 상응하는 온도측정값을 생성하는 적외선검출부,
    상기 온도레퍼런스의 절대온도를 기준절대온도로서 입력받는 기준온도 입력부,
    촬영범위 내에서 타겟 및 상기 온도레퍼런스를 인식하여 상기 타겟 및 상기 온도레퍼런스에 해당하는 화소들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물체인식부, 및
    상기 물체인식부로부터 상기 타겟 및 상기 온도레퍼런스에 해당하는 화소들의 위치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적외선검출부로부터 상기 타겟의 화소에 상응하는 제1온도측정값 및 상기 온도레퍼런스의 화소에 상응하는 제2온도측정값을 전달받고 상기 기준온도 입력부로부터 상기 기준절대온도를 전달받고 상기 제2온도측정값과 상기 기준절대온도 간의 편차를 구하여 온도보정값을 얻고 상기 온도보정값을 상기 제1온도측정값에 보상하여 상기 타겟의 최종 온도측정값을 얻는 연산부를 포함하는 적외선카메라를 포함하되,
    상기 기준절대온도는 일정 온도범위에서 일정 주기를 가지고 변하고,
    상기 온도레퍼런스는 상기 타겟에 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적외선카메라는 상기 온도레퍼런스를 향해 회전 가능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카메라를 이용한 온도측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레퍼런스는,
    상기 온도레퍼런스의 절대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기준온도 측정부; 및
    상기 기준온도 측정부로부터 상기 온도레퍼런스의 온도측정값을 전달받아 상기 기준온도 입력부에 기준절대온도로서 전달하는 기준온도 송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카메라를 이용한 온도측정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레퍼런스는,
    상기 기준온도 측정부로부터 상기 온도레퍼런스의 온도측정값을 전달받아 상기 온도레퍼런스가 특정한 온도를 가지도록 하는 기준온도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카메라를 이용한 온도측정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로부터 상기 최종 온도측정값에 상응하는 통신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통신신호에 상응하는 외부통신신호를 생성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통신부는 상기 최종 온도측정값이 일정 온도범위에서 벗어났을 때, 외부알람신호를 생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카메라를 이용한 온도측정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절대온도는 상기 타겟의 절대온도보다 5도 이상 높거나 상기 타겟의 절대온도보다 5도 이상 낮은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카메라를 이용한 온도측정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절대온도가 변하는 주기는 타겟의 절대온도가 변하는 주기보다 빠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카메라를 이용한 온도측정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온도레퍼런스를 포함하되,
    상기 온도레퍼런스는 일정한 패턴을 형성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물체인식부는 상기 패턴을 통해 상기 온도레퍼런스를 인식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카메라를 이용한 온도측정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70138277A 2017-10-24 2017-10-24 적외선카메라를 이용한 온도측정 시스템 KR101988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8277A KR101988206B1 (ko) 2017-10-24 2017-10-24 적외선카메라를 이용한 온도측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8277A KR101988206B1 (ko) 2017-10-24 2017-10-24 적외선카메라를 이용한 온도측정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5952A KR20190045952A (ko) 2019-05-07
KR101988206B1 true KR101988206B1 (ko) 2019-06-13

Family

ID=66656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8277A KR101988206B1 (ko) 2017-10-24 2017-10-24 적외선카메라를 이용한 온도측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82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2248B1 (ko) 2019-12-27 2020-09-04 주식회사 가스디엔에이 레이저 포인터(laser pointer)를 이용한 적외선 온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80812A (ko) * 2020-12-07 2022-06-15 주식회사 콕스 열상 카메라 시스템에서 온도 교정기를 자동으로 인식하는 방법
KR20220087593A (ko) * 2020-12-17 2022-06-27 주식회사 콕스 열상 카메라 온도 교정용 적외선 방사체의 온도 측정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4551B1 (ko) 2011-02-14 2012-02-27 유덕봉 비접촉 온도 감시 장치
JP2012254222A (ja) 2011-06-09 2012-12-27 Teikyo Heisei Univ サーモグラフィによるヒトの動的顔面温度変化測定のための装置及び測定方法並びにこれに使用する較正器
KR101322801B1 (ko) 2011-11-03 2013-11-04 한국 전기안전공사 기준패턴을 이용한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의 방사율 설정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8029671A (ja) 2016-08-22 2018-03-01 学校法人慶應義塾 行動検知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3635A (ja) * 1997-09-02 1999-03-26 Fujitsu Ltd 赤外線映像装置
KR20050009060A (ko) * 2003-07-15 2005-01-24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절대온도 측정 가능 열상장치
KR20150129937A (ko) * 2014-05-12 2015-11-23 (주)유틸리온 객체 건강 상태 판단 방법 및 시스템
KR101806400B1 (ko) * 2015-11-02 2018-01-10 홍미선 흑체를 이용한 듀얼 카메라 기반 체온 감시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4551B1 (ko) 2011-02-14 2012-02-27 유덕봉 비접촉 온도 감시 장치
JP2012254222A (ja) 2011-06-09 2012-12-27 Teikyo Heisei Univ サーモグラフィによるヒトの動的顔面温度変化測定のための装置及び測定方法並びにこれに使用する較正器
KR101322801B1 (ko) 2011-11-03 2013-11-04 한국 전기안전공사 기준패턴을 이용한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의 방사율 설정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8029671A (ja) 2016-08-22 2018-03-01 学校法人慶應義塾 行動検知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2248B1 (ko) 2019-12-27 2020-09-04 주식회사 가스디엔에이 레이저 포인터(laser pointer)를 이용한 적외선 온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80812A (ko) * 2020-12-07 2022-06-15 주식회사 콕스 열상 카메라 시스템에서 온도 교정기를 자동으로 인식하는 방법
KR102581989B1 (ko) 2020-12-07 2023-09-26 주식회사 콕스 열상 카메라 시스템에서 온도 교정기를 자동으로 인식하는 방법
KR20220087593A (ko) * 2020-12-17 2022-06-27 주식회사 콕스 열상 카메라 온도 교정용 적외선 방사체의 온도 측정 방법
KR102593382B1 (ko) * 2020-12-17 2023-10-26 주식회사 콕스 열상 카메라 온도 교정용 적외선 방사체의 온도 측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5952A (ko) 201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8206B1 (ko) 적외선카메라를 이용한 온도측정 시스템
US8825112B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electromagnetic radiation sensors
US8275413B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integrated electromagnetic radiation sensors
MX2021002150A (es) Dispositivo de conteo de ocupantes.
US20200210733A1 (en) Enhanced video-based driver monitoring using phase detect sensors
JP2018097487A (ja) 監視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2037999B1 (ko) 레이더 측정 거리를 이용한 열영상 체온 보정 시스템 및 방법
JP5924820B2 (ja) トイレ見守り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るトイレ見守り装置
De Guzman et al. Social Distancing Violation Monitoring Using YOLO for Human Detection
KR102443785B1 (ko) 감시 시스템
JP2012103809A (ja) 複合型センサ
KR20170100892A (ko) 위치 추적 장치
US10739190B2 (en) Motion sensor using linear array of infrared detectors
KR20170017401A (ko) 이미지 처리 장치
CN106667450A (zh) 一种测温方法及装置
KR200488699Y1 (ko) 유아교육기관용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JP7335899B2 (ja) 測定システム、測定装置、測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652418B1 (ko) 볼로미터형 적외선 검출기를 내장한 육아용 헬스케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육아 헬스케어 방법
KR101444270B1 (ko) 무인 이동식 감시 시스템
JP2022533495A (ja) 体温監視システム
CN111414967A (zh) 提高测温系统鲁棒性的方法及监测系统
JP2012155531A (ja) 複合型センサ
US20220061696A1 (en) Optical image physiological monitoring system with radar detection assistance
JP5679173B2 (ja) 画像監視センサ
WO2021100656A1 (ja) 放射温度測定システム、放射温度測定プログラム、放射温度測定方法及び携帯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