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8073B1 - 유체 라인용 플러그 접속 장치 및 이와 같은 플러그 접속 장치를 위한 파지부 - Google Patents

유체 라인용 플러그 접속 장치 및 이와 같은 플러그 접속 장치를 위한 파지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8073B1
KR101988073B1 KR1020147032610A KR20147032610A KR101988073B1 KR 101988073 B1 KR101988073 B1 KR 101988073B1 KR 1020147032610 A KR1020147032610 A KR 1020147032610A KR 20147032610 A KR20147032610 A KR 20147032610A KR 101988073 B1 KR101988073 B1 KR 101988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ping
gripping portion
collar
plug
plug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2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3276A (ko
Inventor
요헴안드레아스 헤스
귄터 지퍼
라인하르트 플리에트쉬
Original Assignee
보스 오토모티브 게임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스 오토모티브 게임베하 filed Critical 보스 오토모티브 게임베하
Publication of KR20150023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32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8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8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22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using a retaining member the extremities of which, e.g. in the form of a U, engage behind a shoulder of both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 F16L37/142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where the securing element is inserted tangentially
    • F16L37/14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where the securing element is inserted tangentially the securing element being U-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 라인용 플러그 접속 장치(1)에 관한 것으로서, 이 플러그 접속 장치는 조립가능한 2개의 결합 부재들(2, 3)을 포함하며, 이 플러그 접속 장치는 플러그인 상태에서 잠금 장치(4)에 의해 탈착가능하게 채워질 수 있고, 이때 잠금 장치는 한편으로 외측에 있으며, 방사 방향으로 향해 있고, 플랜지 형태를 취하며 그리고 플러그인 상태에서 축(X-X)에서 플러그 방향(S)으로 인접해 있는, 상기 양 결합 부재들(2, 3)의 파지 웹들(21, 31)로 이루어지고 다른 한편으로는 원주 방향으로 폐쇄되어 있는 환형 윤곽을 갖는 파지부(5)로 이루어지고, 이 파지부는 예비 조립 상태에서 상기 양 결합 부재들(3) 중 어느 하나에서 축방향으로 그리고 방사 방향으로 고정되어 분실 없이 조립될 수 있으며 그리고 조립 상태에서는 축방향 단면상 C-형상을 취하고 2개의 칼라(51, 52)를 가지며 방사상 탄성적으로 운동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파지 영역(53)으로 축방향으로 그리고 방사 방향으로 상기 양 결합 부재(2, 3)의 파지 웹(21, 31) 둘레와 결합한다. 특히 분해 시에, 상기 파지부(5)의 비분실성 및 필요 공간의 최소화를 보장하기 위해, 상기 파지부(5)의 칼라들(51, 52)은 다른 크기 및/또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조립 상태로부터 바깥쪽으로 상기 파지 영역(5)이 방사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운동하면, 조립 상태에서 상기 한 결합 부재(2)의 파지 웹(21)에 인접하는 칼라(52)가 상기 결합 부재(2)의 파지 웹(21)을 해제하는 반면, 다른 칼라(51)는, 적어도 국지적으로, 상기 다른 칼라와 인접하는 다른 결합 부재(3)의 파지 웹(31) 뒤에서 여전히 결합하고 있다.

Description

유체 라인용 플러그 접속 장치 및 이와 같은 플러그 접속 장치를 위한 파지부{PLUG CONNECTION FOR FLUID LINES AND HOLDING PART FOR SUCH A PLUG CONNECTION}
본 발명은 유체 라인용 플러그 접속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 플러그 접속 장치는 조립가능한 2개의 결합 부재들을 포함하며, 이 플러그 접속 장치는 플러그인 상태에서 잠금 장치에 의해 탈착가능하게 채워질 수 있고, 이때 잠금 장치는 한편으로 외측에 있으며, 방사 방향으로 향해 있고, 플랜지 형태를 취하며 그리고 플러그인 상태에서 축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양 결합 부재들의 파지 웹들로 이루어지고 다른 한편으로는 원주 방향으로 폐쇄되어 있는 환형 윤곽을 갖는 파지부로 이루어지고, 이때 환형 윤곽은 예비 조립 상태에서 상기 양 결합 부재들 중 어느 하나에서 축방향으로 그리고 방사 방향으로 고정되어 상실 없이 조립될 수 있으며 그리고 조립 상태에서는 축방향 단면상 C-형상을 취하고 2개의 칼라를 가지며 방사상 탄성적으로 운동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파지 영역으로 축방향으로 그리고 방사 방향으로 상기 양 결합 부재의 파지 웹 둘레와 결합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플러그 접속 장치용 파지부에 관한 것이다.
앞에서 설명한 플러그 접속 장치와 유사한 플러그 접속 장치는 WO 2006/018384 A1호에 공지되어 있으며, 이 종래 기술은 공지된 잠금 원리에서 출발하고 있으며, 이에 따르면 파지부의 C-형상 파지 영역은 결합 부재들의 파지 웹들 둘레와 형상 결합 방식으로 결합하고 이것으로 잠궈진다. 상기 파지부의 상실 위험을 줄이기 위해 그리고, 특히 조립 지점에서 작은 환경 공간만이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결합 부재들 안에 적어도 하나의 밸브가 통합되어 있는 적용예들에서도,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파지부는, 이 파지부가 한편으로 축방향으로 유극 없이 그리고 방사 방향으로 분실 없이 고정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파지 영역의 범위에서는 방사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양 결합 부재들 중 그 어느 하나에서 분실 없이 예비 조립되거나 혹은 예비 조립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파지부는 상기 파지 영역의 범위에서 및 상기 다른 결합 부재의 파지 웹이 플러그인 방향으로 작용하여 형상 결합적인 로킹 접속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에게 적응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결합 부재들의 조립 시에 상기 파지 영역은 이것에 상대적으로 운동가능한 파지 웹을 통해 방사 방향으로 바깥을 향해 운동되고 이어서 플러그인 상태에서 방사 방향 회복을 통해 잠그기 위해 안쪽을 향해 상기 양 결합 부재들의 파지 웹들 둘레와 결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지부는 일체형 환형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 환형 부재는 한 둘레 지점에서 축방향으로 그리고 방사 방향으로 연속하는 슬롯 리세스를 갖는다. 이런 종래 플러그 접속 장치는 간단한, 신속한 그리고 편리한 및 매우 안전한 한손(one hand) 조립을 가능하게 한다. 만약 상기 파지부가 이들 결합 부재로부터 풀릴 경우, 이 분실 위험을 줄이기 위해, WO 2006/018384 A1호에 따르면 추가적인, 특히 밴드 또는 끈 형태의, 결합 부재에 한쪽 단부에서 그리고 파지부에 다른 단부에서 고정될 수 있는 고정 엘리먼트에 의해 분실 방지를 위해 상기 어느 한 결합 부재와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방식의 플러그 접속 장치는 WO 2009/156399 A1호에 공지되어 있다. 이 종래 기술에서 고정 엘리먼트가 추가되면 불리한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종류의 추가적인 고정 엘리먼트의 제거하에, 적은 노력으로 상기 파지부의 분실 위험이 작을 때 상기 파지부의 위치 선정 및 재조립이 용이해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파지부는 환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파지부는 원주 방향으로 폐쇄된 환형 윤곽을 이용해 예비 조립 상태에서 그리고 조립 상태에서 상기 양 결합 부재들 중 적어도 하나의 결합 부재의 둘레와 결합한다. 이때 상기 파지부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러그 부재에서 분실 없이 예비 조립될 수 있으며, 이것은 2개의 위치, 즉 예비 조립 위치 및 조립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방사 방향 이동을 통해 예비 조립 위치로부터 조립 위치로 또는 분해를 위해 반대 방향 이동을 통해 조립 위치로부터 원위치에 도달한다. 이 경우, 특히 형상 디자인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환형 윤곽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환형 개구는 횡단면적으로 볼 때 상기 파지 영역의 범위에서 중점을 갖는 제1의 원형 부분 개구로 그리고 제2의 원형의 부분 개구로 이루어지고, 이의 중점은 상기 파지부의 고정 영역 내에 위치하고, 이때 상기 양 부분 개구들이 관통해 있다. 그러므로 반드시 상기 파지부는 확대된 방사 방향 연장부를 가지며, 이는, 만약 단지 매우 적은 조립 공간이 이용될 때, 특히 불리한 것으로 보인다.
본 발명의 과제는 앞서 언급한 방식의 플러그 접속 장치 및 이와 같은 방식의 플러그 접속 장치를 위한 파지부를 개선하기 위해, 종래 잠금 원리 및 파지부를 위한 분실 위험 감소의 장점들을 유지하면서 조립 및 분해가 계속 용이해질 수 있으며, 심지어는 조립 지점에서, 특히 분해를 위해 단지 하나의 매우 작은 환경 공간이 이용되는 특히 적용예들에서도, 용이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플러그 접속 장치 및 파지부에 대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상기 파지부의 칼라들은, 조립 상태로부터 바깥으로 상기 파지 영역이 방사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운동할 때, 상기 조립 상태에서 그 어느 한 결합 부재의 파지 웹에 인접하는 칼라가 상기 결합 부재의 파지 웹을 해제하는 동안, 그 다른 칼라, 적어도 국지적으로, 이것이 인접해 있는 다른 결합 부재의 파지 웹을 뒤에서 여전히 결합하도록, 다른 크기 및/또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 경우, 특히 상기 양 칼라들 중 어느 하나는 캠 형상을 취하며 원주 방향으로 연장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추가로 방사상 안쪽으로 돌출한 숄더를 가지며, 이 숄더를 통해 이것은 다른 칼라의 크기와 형상에서 구별되며 그만큼 이것은 - 축방향 투영에서 볼 때 - 다른 칼라에 비해 돌출해 있다.
한편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접속 장치에서 종래의 잠금 원리의 장점들이 스냅핏(snap-fit) 원리의 장점들과 결합되어 있다. 만약 상기 파지부는 분실 없이 상기 한 결합 부재에서 예비 조립되어 있으면, 상기 다른 결합 부재는 조립을 위해 단지 축방향으로 끼워질 필요가 있으며, 이는 용이하고 신속하며 편리하고 그리고 안전한 자동적인 또는 한손 조립을 가능하게 한다.
이 경우, 다른 한편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를 통해 상기 접속 장치를 풀을 때 상당히 공간을 차지하는 방사 방향 이동이 상기 파지부의 분해를 위해 실시될 필요가 없고, 이는 특히 유리하게는 단지 작은 환경 공간을 가지는 조립 위치들에서 방사 방향으로 향해 있다.
이 경우, 상기 파지부에서 바람직하게는 압축면에 작동 또는 압력을 가하여 또는 도구로 인장 또는 리프팅을 통해 둘레에서 2개의 파지 영역들 사이에 있는 탄성 영역과의 결합 하에 방사 방향 확장이 야기될 수 있으며, 이는 결합 부재를 다시 상기 접속 장치로부터 축방향으로 끄집어내는 데 충분하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파지부는 바람직하게는 캠 형상 돌출부들에 의해, 이것이 조립 상태에서 인접하는 다른 결합 부재의 파지 웹을 뒤에서 여전히 결합하는 파지 영역의 양 칼라들 중 더 큰 것에서 상기 결합 부재의 환형 홈 안에서 축방향으로 고정되어 그 결과 클램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 특징들은 종속항들 및 하기의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복수의 실시예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더 정확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상기 결합 부재들이 끼워져 잠궈진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파지부의 일 실시예를 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접속 장치를 부분적으로 절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플러그 접속 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파지부의 도 1,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를 (축 Y1 - Y1을 따라) 절개한 종단면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접속 장치의, 플러그 부재로서 형성된 일 결합 부재의 일 실시예의 축방향 단면도로서, 양 도면 절반부들에서 - 도 1과 유사하게 - 예를 들어 45°만큼 절단면들이 오프셋되어 있으며,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접속 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일 파지부의 도 1,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4b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파지부의 중앙 평면(IV-IV)을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접속 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일 파지부의 제1의 실시예를 위에서 본 평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파지부를 밑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조립 시에, 예비 조립 상태에 있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접속 장치를 축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분해 시에,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플러그 접속 장치를 부분적으로 절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분해 시에,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플러그 접속 장치를 절개한 단면도로서, 이 단면도는 도 7의 축적에 비해 축소한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도 7의 절단선 X-X, XI-XI 그리고 XII-XII에 따라 절개한, 분해 때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플러그 접속 장치의 다양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접속 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파지부의 제2의 실시예의 제1의 환형 부재를 밑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접속 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파지부의 제2의 실시예의 제2의 환형 부재를 밑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파지부의, 도 13 및 도 1에 도시된 양 환형 부재로 형성된 제2의 실시예를 밑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선 XVI-XVI을 따라 절개한 본 발명에 따른 파지부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5와 유사하게,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접속 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파지부의 제2의 실시예를 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접속 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파지부의 제3의 실시예의 제1의 개별 부재를 다른 시각에서 위에서 본 2가지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5 및 도 17에서 표현된 것과 유사하게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개별 부재로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파지부의 제3의 실시예를 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2의 선 XXI-XXI을 따라 절개한 파지부의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15와 유사한 표현이지만, 다른 시각에서 본, 본 발명에 따른 파지부의 제3의 실시예를 밑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0과 유사한 표현이지만, 본 발명에 따른 파지부의 제4의 실시예를 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5와 유사한 표현으로, 본 발명에 따른 파지부의 제5의 실시예를 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3과 유사한 표현이지만, 다른 시각에서 본, 본 발명에 따른 파지부의 제6의 실시예를 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7의 선 XXVI-XXVI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파지부의 제7의 실시예이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파지부의 제7의 실시예로서, 도 4b와 유사한 표현이지만 회전된 확대도이다.
도 28은 도 27과 유사한 표현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파지부의 제8의 실시예에 관한 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특히 유의할 점은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리고 이때 설명한 특징 조합들의 모든 특징들 또는 복수의 특징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오히려 각 실시예의 개별 부분 특징 모두가 이것과 관련하여 설명한 다른 모든 부분 특징들과 독립하여 그 자체로 그리고 다른 일 실시예의 어떤 특징과 조합하여도 발명적 의미를 갖는다는 것이다.
상기 다양한 도면들에서 동일한 부재들은 항상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므로 일반적으로 각각의 경우에 한 번만 설명한다.
특히 유체 라인을 연결하는 데 이용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접속 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조립 상태에서 서로에게 끼워져 이런 상태에서 잠금 장치(4)에 의해 풀 수 있게 채워질 수 있는 조립가능한 2개의 결합 부재들(2, 3)을 포함하고 있다. 조립가능한 상기 양 결합 부재들(2, 3)은 특히 슬리브 부재(2)이고 플러그 부재(3)이며, 이때 플러그 부재는 플러그 샤프트(30)를 이용해 상기 슬리브 부재(2)의 수납 개구(20) 안에 축방향으로(축 X-X) 기밀하게 끼워질 수 있으며 거기에서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잠금 장치(4)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양 결합 부재들(2, 3)은 바람직하게는 둘 다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잠금 장치(4)는 상기 양 결합 부재들(2, 3)에서 한편으로는 외측에 있고 방사 방향을 취하며 플랜지 형상을 가지고 끼워진 상태에서 축방향으로, 플러그 방향(화살표 S)으로 인접하는 2개의 파지 웹들(21, 31)로 이루어지고 다른 한편으로는 하나의 파지부(5)로 이루어진다. 상기 파지부(5) 역시 특히 더 작은 유체 압력에서 사용하기 위해 유리하게는 플라스틱 성형 부재로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재료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플러그 접속 장치를 밀봉하기 위해 - 도 1, 도 3, 도 7,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러그 샤프트(30)에 환형 홈(32)이 제공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원주 방향 씰이, 특히 밀봉 링의 형태로, 상기 환형 홈 안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 도 4a 그리고 도 4b 및 도 5 내지 도 12에서 제1의 실시예로 도시되어 있는 파지부(5)가 자세하게 표시되어 있지 않지만 원주 방향으로 폐쇄된 하나의 환형 윤곽을 가지며 및 도 7에 도시된 예비 조립 상태에서 상기 양 결합 부재들(2, 3) 중 어느 하나에 -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플러그 부재(3)에 - 축방향으로 그리고 방사 방향으로 상실되지 않게 조립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스프링 탄성적 확장이, 그 다음에 상기 결합 부재(2, 3)에 의한 상기 파지부(5)의 슬립 오버(slip over)가 그리고 상기 링의 스프링 탄성적 추후 회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파지부(5)의 비상실성은 폐쇄된 환형 형상을 통해 보장된다. 상기 결합 부재들(2, 3) 중 어느 하나의 상기 파지부(5)가 360E의 각도로, 즉 완전히 둘러싸고 있으므로, 유리하게는 추가적인 고정 요소가 불필요하다.
도 1에 도시된 조립 상태의 표현에서, 상기 파지부(5)는 축방향 단면상으로 C-형상을 취하고 2개의 칼라(51, 52)를 가지며 방사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운동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파지 영역(53)을 가지며, 이때 파지 영역은 조립 후에 축방향으로 그리고 방사 방향으로 형상 결합 방식으로 상기 양 결합 부재들(2, 3)의 파지 웹(21, 31) 둘레와 결합한다. 도시된 모든 실시예들에서 각각 2개의, 상기 파지부(5)의 종축 Y1-Y1과 관련해 대칭적으로 횡축(Y2-Y2)에서 지름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파지 영역(53)이 제공되어 있으며(참고, 도 2, 도 4a, 도 4b, 도 10 내지 도 12), 이때 상기 파지 영역(53)을 원주 방향으로 선택에 따라 세그멘터링하면 더 많은 수의 파지 영역들이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파지 영역(53)의, 도 1, 도 2 및 도 5에서 위쪽에 있는 제1의 칼라(51)에 대한 예시적 실시예가 도 4a에서 매우 분명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도 1, 도 2 및 도 5에서 아래쪽에 있는 제2의 칼라(52)에 대한 예시적 실시예는 도 4b에서 파악할 수 있다. 모든 도시된 실시예들에서 각각 2개의, 지름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며 그와 같은 칼라들(51, 52)을 갖는 파지 영역들(53)이 제공되어 있으며, 이는 특히 도 5, 도 6, 도 15, 도 17, 도 19 및 도 22 내지 도 25에서 파지 엘리먼트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한 각 개별 사시도를 통해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파지부(5)의 각 파지 영역(53)의 제2의 칼라(52)는 방사 방향을 향하는 내측 경사면(54)을 포함하는 로킹 엘리먼트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 경사면은 바람직하게는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플러그 과정에서 상기 슬리브 부재(2)를 대향하는 쪽에 위치한다. 만약 -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 상기 파지부(5)가 예비 조립되어 있는 상기 플러그 부재(3)는 로킹을 통해 마무리되는 조립을 위해 축 X-X을 따라서 상기 슬리브 부재(2)의 수납 개구(20) 안에 삽입되면, 상기 경사면(54)은 파지부(5)를 위한 확장면으로서, 또는 더 정확하게는 제2의 칼라(52)를 위한 확장면으로서 작용한다.
상기 확장면(54)은 상대 로킹 엘리먼트로서 작용하는 파지 웹(21)의 상대 확장면(22)과 관련해서 유도되도록, 이는 플러그인 할 때 조립하는 힘의 작용을 받아 일정한 축방향 조립 경로만큼 축 X-X에 대해 횡방향으로, 방사 방향으로 확장 경로만큼, 상기 파지부(5)가 방사 방향으로 바깥을 향해 확장하게 하는 운동을 야기한다. 상기 확장 경로의 끝에 도달한 후, 상기 칼라(52)는 로킹되도록 형상 결합 방식으로 방사 방향의 파지 에지(55)로 상기 슬리브 부재(2)의 파지 웹(21) 뒤와 결합하므로,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플러그 방향(S)으로 작용하는 형상 결합 방식 로킹 접속 장치가 형성된다. 즉, 상기 결합 부재들(2, 3)을 조립할 때 상기 파지 영역(53)이 이와 관련해 운동하는 파지 웹(21)을 통해 방사 방향으로 바깥을 향한 운동되고 그리고 후속 방사 방향 역운동 후에 안쪽을 향해 이것은 플러그인 상태에서 C-형상으로 잠궈져 상기 양 결합 부재들(2, 3)의 파지 웹(21, 31) 둘레와 결합한다.
이때,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상대 확장면(22)을 대향하는, 상기 확장면(54)의 윤곽은 상기 상대 확장면(22)의, 상기 확장면(54)을 대향하는 상대 윤곽에 맞게 적응되어, 상기 확장 경로가 플러그인 시에 조립 경로에 따라서 비선형적으로, 특히 다양한 조립 단계들에서 플러그인 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초과 불균형적으로, 비례적으로 및/또는 미달 불균형적으로 변한다. 그러므로 한편으로 상기 플러그인 동안 최대 사용되는 조립 힘이 감소될 수 있도록, 조립 경로-조립힘-특성이 최적화되면 상기 플러그인 동안 나타나는 조립힘 피크의 높이를 줄이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른 한편으로 이런 조립에 사용되는 일의 고른 분포를 전체 플러그 과정 동안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유리하게는 추가로 평평한 확장면(54)과 함께 형성하기 위해 전체 조립 경로를 단축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는 특히 필수적 설치 공간의 최소화의 양상 하에서 장점들을 야기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접속 장치(1)에서 또는 본 발명에 따른 파지부(5)를 위해, 상기 칼라들(51, 52)은 파지부(5)의 파지 영역(53)에서 다양한 크기 및/또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어, 조립 상태로부터 바깥을 향해 상기 파지 영역(53)이 방사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운동할 때, 상기 조립 상태에서 그 어느 한 결합 부재(2)의 파지 웹(21)에 인접하는 칼라(52)가 상기 결합 부재(2)의 파지 웹(21)을 해제하는 반면, 그 다른 칼라(51)는, 적어도 국지적으로, 이것과 인접하는 상기 다른 결합 부재(3)의 파지 웹(31) 뒤와 여전히 결합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런 형성은 특히 도 8 내지 도 12를 통해 도시되어 있다. 이때, 도 12에는 제2의 하측 칼라(52)를 통한 상기 슬리브 부재(2)의 파지 웹(21)의 해제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0 및 도 11에는 상기 플러그 부재(3)의 샤프트(30)에서 제1의 상측 칼라(51)와의 인접이 도시되어 있다.
도 2, 도 4a, 도 4b, 및 도 5 및 도 6, 도 15, 도 17, 도 20 및 도 22 내지 도 25에 상기 파지부(5)의 각 개별 부품이 도시된 것처럼, 상기 파지부(5)의 폐쇄된 환형 형상은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 특히 달걀 모양의 또는 타원형의 기본 형상을 가지며, 이때 상기 파지 영역들(53)은 종방향 측면들에 위치한다.
각 파지 영역(53)의 칼라들(51, 52)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것처럼, 바람직하게는 낫 형상 형태를 가지므로, 이것은 조립 상태에서 플러그 부재(3)의 샤프트(30) 둘레와 결합하고, 바람직하게는 플러그 부재(3)의 환형 홈(33)의 영역에서, 그리고 파지 웹(21) 아래에 상기 슬리브 부재(2)와 결합하는, 즉 상기 플러그 부재(3)를 배향하는 측면에,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리브 부재(2)의 환형 홈(23)의 영역에서 형상 결합 방식으로 결합한다. 이때, 도 3의 표현 및 도 10의 단면도는 환형 홈(33) 안에 - 유리하게는 한편으로는 질량 감소하는, 그 결과 재료를 줄이는, 그러나 이때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안정된 실시예와 관련해 리브들(30a)이 제공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상기 파지부(5)의 예비 조립-고정을 위해 관련 결합 부재(2, 3)가 바람직하게는 - 도 1 및 도 3 및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 상기 파지부(5)의 대응 방사 방향 칼라(51)를 수납하는 환형 홈(33)의 형성을 위해 추가적인 고정 링 웹(34)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고정 링 웹은 바람직하게는 파지 웹(31)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그 대신에, 상기 파지 웹(31)의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칼라들(51, 52) 사이 한 내면 영역에서 대략 상기 파지 영역(53)의 내경에 상응한다.
상기 도 4a 및 도 4b의 비교를 통해,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바는 캠 형상을 취하고 원주 방향으로 연장해 있으며, 선택에 따라서는 추가로 용이하게 방사상 안쪽으로 돌출한 제1의 상측 칼라(51)의 숄더(56)에까지 상기 양 칼라(51, 52)가 - 위에서 볼 때 - 바람직하게는 합동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만큼 이 칼라(51)는 제2의 하측 칼라(52)에 비해 튀어나와 있다. 이 숄더(56) 때문에 조립 상태에서 상기 제1의 상측 칼라(51)는 제2의 하측 칼라(52)가 슬리브 부재(2)를 둘러싸는 것보다 더 큰 각도 범위에 걸처 상기 플러그 부재(3)를 둘러싼다.
다시 말해서, 조립 상태에서 상기 제1의 칼라(51)의 고정 효과 영역의 시작과 끝 사이에 펼쳐져 있는 중앙 각도(
Figure 112014112120130-pct00001
)(도 4a)가 상기 제2의 칼라(52)의 대응 각도(
Figure 112014112120130-pct00002
)(도 4b)보다 더 크다. 그러므로 상기 파지 영역들(53)의 상측 칼라(51)는 항상 - 즉 이와 같은 예비 조립 후, 상기 조립 후 그리고 분해 시에도 - 원주각(
Figure 112014112120130-pct00003
)만큼 연장되어 있으며, - 상기 환형 홈(33)의 영역에서 상기 플러그 부재(3)의 직경(D3)의 경우에 - 개방 간극과 관련하여 이 원주각은, 최대로 확장된 상태에서 숄더들(56) 사이 거리(A)(참고, 특히 분해에 대해 도 10 및 도 11)가 관련 결합 부재(2, 3)의 각 해당 직경(D2, D3)보다 항상 더 작은 크기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파지부(5)는, 상기 양 칼라들(51, 52) 중 어느 하나가 캠 형상을 취하고 원주 방향으로 연장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추가로 방사상 안쪽을 향해 돌출한 숄더(56)를 갖는 크기를 취하며, 이 숄더를 통해 이것은 다른 칼라(52, 51)의 크기 및 형상에서 구별되며 이것은 - 축방향 투영면에서 볼 때 - 상기 다른 칼라(52, 51)보다 돌출해 있다. 각각의 경우에 2개의 동종으로 형성된 칼라들(51, 52)이 존재하는 경우 각각의 경우에 상기 숄더(56)를 갖는 칼라(51)는 - 상기 양 결합 부재들(2, 3)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파지부(5)의 예비 조립 후에도 양 결합 부재들(2, 3)과의 조립 후에도 그리고 상기 파지부(5)의 분해 시에도 - 적어도 하나의 결합 부재(2, 3)의 원주각(
Figure 112014112120130-pct00004
)만큼 연장해 있으며, 이것은 최대로 확장된 상태에서 지름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2개의 칼라들(51)의 숄더들(56) 사이 거리(A)가 상기 칼라(51)와 인접해 있는 결합 부재(2, 3)의 직경(D2, D3)보다 항상 더 작은 크기를 갖는다.
상기 파지부(5)의 가로 측면에, 바람직하게는 원주 방향으로 상기 파지 영역들(53)의 칼라들(51, 52) 사이에 있는 탄성 작동 영역들(57, 58)이 형성될 수 있으며, 압축면(57)에 대한 작동 또는 압력의 인가를 통해(도 8 내지 도 12에서 압축 화살표 p) 또는 인장 영역(58)과의 결합 하에 공구에 의한 인장 또는 리프팅을 통해(도 8 내지 도 12에서 인장 화살표 z) 분해 시에 상기 파지 영역들(53)의 방사 방향 확장이 야기될 수 있으며, 이런 확장은 다시 축방향으로 접속 장치로부터 하나의 결합 부재(2, 3)를 - 이 경우에 슬리브 부재(2) - 빼내기에 충분하다.
분해 시에 대응 칼라들(52) 사이에 있으며 횡축(Y2-Y2)에 있는 최소 거리(B)는 상기 결합 부재의 관련 직경(D2, D3)보다 더 크다 - 이 경우 환상 홈(23)의 영역에서 상기 슬리브 부재(2)의 직경(D2)보다 더 크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파지부(5)는 캠 형상 돌출부(56)에 의해, 다른 결합 부재(3, 2)의 파지 웹(31, 32) - 플러그 부재(3)의 경우에 - 뒤와 여전히 결합하고, 이것은 조립 상태에서 (및 예비 조립 상태에서) 플러그 부재에 인접하고, 결합되어 상기 결합 부재(3)의 환형 홈(33) 안에 축방향으로 고정되고 클램핑되어 있다.
이때, 상기 작동 영역들(57, 58)은 바람직하게는 정지부들을 형성할 수 있으고, 이들 정지부는 만약 이들이 상기 파지부(5)의 종축 Y1-Y1의 방향으로 운동되면, 결합 부재(3)와 접하고, 특히 예를 들어 -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 이의 샤프트(30)에 접하고, 도면 좌측 절반부들에 위치하는 작동 영역(57)이 상기 샤프트(30)의 고정링 웹(34)에 접하고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파지부(5)의 확장 운동을, 즉 각 파지 영역(53)의 바깥을 향하는 방사상 탄성적인 확장 또는 운동을 제한한다. 그러므로 인가되는 압축 응력 및/또는 인장 응력의 제거 후한 위치로 상기 파지 영역들(53)의 스프링 탄성적 회복은, 이것이 변형 전에 있었던 것처럼, 쉽게 가능하다. 상기 다른 결합 부재(2)가 제거되면, 다시 예비 조립 상태가 제공된다.
상기 파지부(5)의 예비 조립-고정은 - 적어도 도 1 내지 도 12에 따른 실시예에서 상기 일체형 파지부(5)가 상기 결합 부재(3) 쪽으로 축방향으로 이동한 후 - 상기 결합 부재(3)로 파지 영역들(53)의 억지끼워 맞춤식 방사상 로킹을 통해 이루어지고, 상기 작동 영역들(57, 58) 중 적어도 하나에서 작동을 통해 상기 파지부는 자신의 파지 영역들(53)의 범위에서 최대로 확장된다. 그런 경우, 이런 예비 조립 후 상기 결합 부재를 위한 상기 파지 영역들(53)의 원주각이 제공되고, 이것은 90E보다 더 크며, 이 각도는 결과적으로 도 4a에 도시된 원주각(
Figure 112014112120130-pct00005
)의 두배 값이다.
도 13 내지 도 17에는 파지부(5)의 본 발명에 따른 제2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8 내지 도 22에는 제3의 실시예가 그리고 도 23 내지 도 25에는 제4의 실시예, 제5의 실시예 그리고 제6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런 실시예들에서(제3의 실시예 제외) 기본적으로 유리하게는 결합 부재(2, 3)로 상기 파지부(5)의 축방향 이동 없이 상기 파지부(5)의 예비 조립-고정이 실시될 수 있는 데, 그 이유는 이 파지부(5)는 2개의, 특히 탈착가능하게 및/또는 관절 연결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개별 부품들(5a, 5b)로 이루어지거나(제2의 실시예 및 제5의 실시예)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형상 결합 방식으로 및/또는 억지끼워 맞춤 방식으로 작용하는 폐쇄부를 가지는 단일 부품으로 이루어지며, 이때 폐쇄부를 통해 이의 폐쇄된 환형 윤곽이 개방될 수 있다(제4의 실시예 및 제6의 실시예).
상기 제2의 실시예에서 상기 파지부(5)는 2개의, 조인트(59)에 의해 탈착가능하게 서로 연결될 수 있는 개별 부품들(5a, 5b)로 이루어지고, 이들은 도 13 및 도 14에서 각각 별도로 그리고 도 15 내지 도 17에서는 조립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파지부(5)의 적절한 사용을 위해 탈착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또는 제공될 필요도 없다. 이때, 제1의 개별 부품(5a)(도 13)에서 상기 C-형상 파지 영역(53)이 위치하는 반면, 제1의 개별 부품(5a)에서 유리하게 클립될 수 있는 제2의 개별 부품(5b)은 상기 양 작동 영역들(57, 58) 중 어느 하나를, 특히 압축면(57)을 갖는 작동 영역을 형성한다.
상기 조인트(59)는 파지부(5)의 확장을 용이하게 하고, 그 결과 제2의 개별 부품(5b)은 덜 탄성적인, 즉 강도가 더 큰 또는 탄성 계수가 더 큰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의 실시예에서 이것은 작동 압력(p) 하에서 대응 작동 영역(57)보다 더 적게 변형된다.
상기 조인트(59)는 특히 힌지 조인트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힌지 부싱(59a)은 그 한 개별 부품(5a)에 그리고 상기 힌지 핀(59b)은 상기 파지부(5)의 다른 개별 부품(5b)에 위치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힌지 핀들(59b)은 - 특히 도 14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 로킹 헤드(59c)를 가지며, 이것을 이용해 이들은 힌지 부싱(59a)에서 용이한 클램핑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파지부(5)에 대해 개별 부품들(5a, 5b)을 연결하는 이와 같은 고정은 특히 도 15 및 도 16을 통해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의 경우에 (도 18 내지 도 22) 상기 파지부(5)는 마찬가지로 힌지 형태의 조인트(59)에 의해 서로 간에 연결될 수 있는 2개의 개별 부품들(5a, 5b)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는 다른 시각에서 도 18 및 도 19에서 별도로 도시되어 있다. 제2의 실시예에 비해 상기 파지부(5)의 특수성은 이 경우 상기 개별 부품들(5a, 5b)은 2-요소-사출 성형 방법으로 만들어지고, 도 20 내지 도 22는 다양한 시각에서 다시 상기 파지부(5)를 전체로서 도시하고 있다. 이때, 상기 제1의 개별 부품(5a)은, 제2의 컴포넌트로 이루어지는 제2의 개별 부품(5b)이 성형되어 있는 제1의 컴포넌트로 프리폼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 개별 부품들(5a, 5b)의 인젝션 후 접착되고, 이는 예를 들어 상기 프리폼의 표면에 대응 분리 수단의 제공을 통해 또는 상기 컴포넌트들의 적절한 재료 선택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이때, 특히 도 16 및 도 21의 단면도들의 비교 및 도 18의 표현에서 C-형상 파지 영역(53)이 위치하는 제1의 개별 부품(5a)에서, 다시 상기 힌지 부싱(59a)이 위치하지만, 이것은 한쪽에서 폐쇄되어 있으며 폐쇄 영역에서 축방향으로 - 못 유형에 따라 - 추가적인 파지핀(59d)이 형성되고, 이것은 완성 상태에서 제2의 개별 부품(5b)의 재료에 의해 형상 결합 방식으로 둘러싸여 있다. 이런 접속은 해제될 수 없다.
이미 언급한 것처럼, 상기 파지 엘리먼트의, 도 23에 도시된 제4의 실시예는 단일 부재로 이루어지고, 이때 이 단일 부재는 폐쇄부(60)를 가지며, 이 폐쇄부를 통해 자신의 폐쇄된 환형 윤곽이 개방될 수 있다. 이 폐쇄부(60)는 스냅인 조인트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압축면(57)으로부터 뒤쪽에서 돌출하는 버섯 모양 바브(barb)(60a)가 상보적으로 형성된 로킹 개구(60b)와 함께 작용하고, 이때 로킹 개구는 특히 캠 형상 돌출부(56)의 영역에 위치한다. 일체성을 포기하면 2개의 이런 종류의 폐쇄부들 역시 특히 축상 대칭적인 배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 폐쇄부는 순수하게 형상 결합 방식으로 또는 억지 끼워 맞춤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5의 실시예에서도 상기 파지부(5)는 2개의 서로 연결될 수 있는 개별 부품들(5a, 5b)로 이루어지고, 이들 중 상기 제1의 개별 부품은 다시 파지 영역(53)을 그리고 제2의 개별 부품은 압축면(57)을 포함한다. 제2의 개별 부품(5b)은 요크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은 형상 결합 방식으로 작용하는 2개의 폐쇄부(61)에 의해 제1의 개별 부품에 고정되어 있거나 또는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폐쇄부(61)의 제조를 위해 제1의 개별 부품(5a)의 바브 형태로 형성된 자유단들(61a)은 탄성적으로 회전되고 상기 요크의 개구들(61b)을 통해 안내될 수 있다. 상기 단부들(61a)의 역회전 후 상기 바브 단부들은 상기 개구를 차단하고 도 24에 도시된 것처럼 개별 부품들(5a, 5b)의 풀림을 억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지부(5)의 도 25에 도시된, 제6의 실시예의 경우에 래칭 폐쇄부(62)가 제공되어 있으며, 이때 래칭 폐쇄부 역시 마찬가지로 형상 결합 방식으로 작용한다. 상기 폐쇄부(62)의 제조를 위해 상기 래칭 부재(62a)는 상기 파지부의 폐쇄 영역(62c) 안에 위치하는 개구(62b)를 통해 안내될 수 있고, 이것은 특히 압축면(57)으로부터 뒤쪽으로 돌출해 있다. 상기 래칭 부재(62a)는 다시 - 제5의 실시예에서처럼 - 제1의 개별 부품(5a)의, 바브 형상으로 형성된 자유단(61a)을 통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대안적인 제조 방식으로 상기 폐쇄 메커니즘(62a, 62b, 62)은 - 도 25에 도시된 것처럼 - 이미 상기 파지부(5)의 성형, 즉 바람직하게는 사출 성형 공정에서 형성되고 이것을 풀을 수 없어야 한다.
상기 파지 영역들(53) 사이 상기 파지부(5)의 가로 측면들에서 탄성적인 작동 영역들(57, 58)이 형성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파지부(5)의 앞서 설명한 모든 실시예들과 반대로, 본 발명에 따른 파지부(5)의, 도 26과 도 27에 도시된 제7의 실시예는 파지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이때 - 2개의 이런 종류의 압축면들(57a)이 도시된 (도 26에서 압축 화살표 p) - 적어도 하나의 압축면(57a)에 작동 또는 압력 인가가 이루어지고, 투입되는 압력은 상기 확장의 운동 평면에 있지 않고 오히려 실질적으로 이것에 수직 방향으로 있다. 이 경우, 시져스 원리에 근거하는 고무 탄성적인 브래킷 부재(70)가 이용되고, 이것은 - 도 26 및 도 27에 도시된 것처럼 - 상기 파지 영역(53)에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연결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이와 같은 브래킷 부재(70)에서 상기 작동 변형은 수평면 Y1-Y1 (도 10 내지 도 12)에 있지 않고 오히려 수직 평면 X-X(도 26)에 제공되기 때문이며, 상기 파지부(5)는 유리한 방식으로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비해 자신의 종방향 연장부(축 Y1-Y1)에서 더 짧게 실시될 수 있다.
같은 내용이 도 28에 도시된 제8의 실시예에서도 그렇다. 이 경우, 상기 작동 웨지(72)가 사용되고, 이것은 - 특히 엄지 손가락을 이용해 - 바람직하게는 작동 영역으로서 그를 위해 제공된 손가락 작동 트러프(73)에 압력을 가하여 수직 방향 X-X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동 웨지(72)의 가이드(74)는 파지 영역(53)에서 더브테일 가이드로서 실시될 수 있다. 이런 확장은 로킹 기능을 갖는 경사 평면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미 앞의 실시예들에서 도출된 것처럼,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고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본 발명의 의미에서 동일 효과를 갖는 모든 실시예들을 포함한다. 즉, 상기 파지부(5)가 플러그 부재(3)에 예비 조립되어 있고 그 결과 상기 플러그 샤프트(30)를 동축으로 에워싸고 있는, 도면에 도시되고 설명된 실시예들과 다르게, 물론 상기 파지부(5)의 대응하는 예비 조립 역시 슬리브 부재(2)에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접속 장치(1)에 대해 설명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파지부(5)와 결합 부재(2, 3)로 이루어지는 예비 조립된 유닛에 마찬가지로 독립적인 발명 의미가 부여된다.
또 유의할 점은, 상기 파지부(5)의 확장 시에 전술한 플러그 힘-최적화를 달성하기 위해, 상기 슬리브 부재(2)의 파지 웹(22)에서 확장면(54)에 상응하는 경사면을 실시하는 것이 운동 변환 시에 가능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결합 부재들(2, 3)은 자신의, 플러그 접속 장치 측면의 반대편에 있는 측면들에서 기본적으로 임의의 연결 엘리먼트들을 가질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플러그 부재(3)는 유체 라인(파이프 또는 호스)용 연결 바브(connection barb)(35)를 갖는다. 상기 슬리브 부재(2)는 고유 형성부를 가지지 않지만, 예를 들어 스크루인 소켓(screw in socket)을 가질 수 있지만, 상기 결합 부재들(2, 3) 중 적어도 하나는, 바람직하게는 슬리브 부재(2)처럼, 직접 (일체로) 특정 어셈블리에 형성될 수 있다.
그 외에도, 본 발명은 지금까지 제1항 내지 제13항에 정의된 특징 조합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전반적으로 공개된 모든 개별 특징들의 특정 특징들의 임의의 다른 모든 조합을 통해서도 정의될 수 있다. 이는 기본적으로 실제로 독립항들의 모든 개별 특징이 생략되거나 본 출원의 다른 곳에서 공개된 적어도 하나의 개별 특징으로 대체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런 경우, 상기 청구항들은 본 발명을 위한 첫번째 서술 작성 시도이다.

Claims (16)

  1. 유체 라인용 플러그 접속 장치(1)로서, 이 플러그 접속 장치는 조립가능한 2개의 결합 부재들(2, 3)을 포함하며, 이 플러그 접속 장치는 플러그인 상태에서 잠금 장치(4)에 의해 탈착가능하게 채워질 수 있고, 상기 잠금 장치는 한편으로 방사 방향 외측의 플랜지 형태를 취하며 그리고 플러그인 상태에서 축(X-X)에서 플러그 방향(S)으로 인접해 있는, 양 결합 부재들(2, 3)의 2개의 파지 웹들(21, 31)로 이루어지고, 다른 한편으로는 원주 방향으로 폐쇄되어 있는 환형 윤곽을 갖는 파지부(5)로 이루어지며, 이 파지부는 예비 조립 상태에서 상기 양 결합 부재들(2, 3) 중 어느 하나에서 축방향으로 그리고 방사 방향으로 고정되어 분실 없이 조립될 수 있으며 그리고 조립 상태에서는 축방향 단면상 C-형상을 취하고 2개의 칼라(51, 52)를 가지며 방사 방향상 탄성적으로 운동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파지 영역(53)으로 축방향으로 그리고 방사 방향으로 상기 양 결합 부재들(2, 3)의 파지 웹(21, 31) 둘레와 결합하고 있는 유체 라인용 플러그 접속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5)의 칼라들(51, 52)은 상이한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조립 상태로부터 바깥쪽으로 상기 파지 영역(53)이 방사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운동하면, 조립 상태에서 상기 한개의 결합 부재(2)의 파지 웹(21)에 인접하는 칼라(52)가 상기 결합 부재(2)의 파지 웹(21)을 결합 해제하는 반면, 다른 칼라(51)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다른 칼라와 인접하는 다른 결합 부재(3)의 파지 웹(31) 뒤에서 여전히 결합하고 있고,
    상기 양 칼라들(51, 52) 중 어느 하나는 캠 형상을 취하고 원주 방향으로 연장해 있는, 추가로 방사 방향 안쪽을 향해 돌출된 숄더(56)를 가지며, 상기 숄더에 의해 상기 칼라는 다른 칼라(52, 51)와 크기 및 형상이 구별되고, 상기 숄더 만큼 상기 칼라는 - 축방향 투영면에서 볼 때 - 상기 다른 칼라(52, 51)에 비해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라인용 플러그 접속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 동종으로 형성된 2개의 칼라들(51, 52)이 제공되면, 상기 숄더(56)를 갖는 칼라(51)는 상기 양 결합 부재들(2, 3)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파지부(5)의 예비 조립 후에도, 양 결합 부재들(2, 3)의 조립 후에도, 그리고 상기 파지부(5)의 분해 시에도 적어도 하나의 결합 부재(2, 3)의 원주각(
    Figure 112019021312508-pct00006
    )에 걸쳐 연장되어 있고,
    상기 파지부(5)의 최대 확장 상태에서 지름 방향으로 대향하는 2개의 칼라들(51)의 숄더들(56) 간 거리(A)가 상기 칼라(51)와 인접하는 결합 부재(2, 3)의 직경(D2, D3)보다 항상 더 작도록, 상기 원주각의 크기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라인용 플러그 접속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5)의 한 칼라(52)는 파지 영역(53)의 범위에서 로킹 엘리먼트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로킹 엘리먼트는 플러그인 과정 동안 상기 결합 부재(2)를 향하는 측면에 확장면으로서 형성된 방사 방향 내측 경사면(54)을 가지며, 이 내측 경사면은 상기 결합 부재(2)의 파지 웹(21)이 플러그인 시에 상대적으로 운동하기 때문에 상기 파지부(5)의 방사 방향으로 바깥을 향하는 확장 운동을 야기하며, 상기 칼라(52)는 방사 방향 파지 에지(28)로 상기 결합 부재(2)를 잠근 후 상기 파지 웹(21) 뒤에서 형상 결합 방식으로 채워지도록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라인용 플러그 접속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경사면(54)은, 이 내측 경사면이 상기 파지 웹(21)의 상대 확장면(22)과 관련하여 유도되도록, 플러그인 시에 조립하는 힘을 가해 조립 경로만큼, 확장 경로만큼 축(X-X)에 대해 횡방향으로 상기 파지부(5)의 확장 운동을 야기하고, 상기 내측 경사면(54)의, 상대 확장면(22)을 향하는 윤곽이 상기 상대 확장면(22)의, 상기 내측 경사면(54)을 향하는 상대 윤곽에 맞게 적응되어, 플러그인 시에 상기 확장 경로가 조립 경로에 의존하여 비선형으로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라인용 플러그 접속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5)는 일체형 탄성 링으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 링은 방사상 대칭적으로 둘레에 분포된 축단면상 C-형상인 적어도 2개의 파지 영역들(53)을 가지며, 상기 파지 영역들은 종방향 측면들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라인용 플러그 접속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영역(53)의 칼라들(51, 52)은 낫 형상의 형태를 가지고, 상기 칼라들은 조립 상태에서 상기 결합 부재(3)의 환형 홈(33)의 영역에서 결합 부재(3)의 샤프트(30) 둘레와 그리고 결합 부재(2)의 환형 홈(23)의 영역에서 상기 결합 부재(2) 둘레와 형상 결합 방식으로 결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라인용 플러그 접속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들(51, 52)은 크기 및 형상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하고, 조립된 상태에서, 하나의 칼라(51)는 결합 부재들(2, 3) 중 하나를, 다른 칼라(52)가 다른 결합 부재를 둘러싸는 각도 범위(중앙 각도(
    Figure 112019021312508-pct00007
    ))보다 큰 각도 범위(중앙 각도(
    Figure 112019021312508-pct00008
    ))에 걸쳐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라인용 플러그 접속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원주 방향으로 2개의 파지 영역들(53) 사이에, 탄성적인 작동 영역들(57, 58)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 영역들에 있어, 압축면(57)에의 작동 또는 압력 인가를 통해, 또는 공구에 의해 인장 영역(58)에 인가하는 인장 또는 리프팅을 통해 각각 상기 파지부(5)의 종축(Y1-Y1)의 방향으로 분해 시에 상기 파지 영역(53)의 방사 방향 확장이 야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라인용 플러그 접속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영역들(57, 58)은 정지부들을 형성하며, 상기 정지부들은, 상기 결합 부재들(2, 3) 중 어느 하나와 접촉할 때, 상기 결합 부재(3)의 샤프트(30)에서, 상기 파지부(5)의 확장 운동인 각 파지 영역(53)의 방사 방향 외측 탄성적 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라인용 플러그 접속 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2개의 파지 영역들(53) 사이에 하나의 브래킷 부재(70) 또는 작동 엘리먼트(72)가 배치되어, 상기 파지부(5)의 수직축(X-X)의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작동 영역들(57a, 73)에 대한 작동 또는 압력 인가를 통해 분해 시에 상기 파지 영역들(53)의 방사 방향 확장이 야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라인용 플러그 접속 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양 결합 부재들(2, 3) 중 어느 하나에, 상기 결합 부재(3)의 샤프트(30)에서 축방향으로 상기 파지 웹(31)과 추가적인 고정 링 웹(34) 사이에 원주 방향의 환형 홈(3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라인용 플러그 접속 장치.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5)는 해제 가능한 방식 및 조인트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연결되어 있는 2개의 개별 부품(5a, 5b)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라인용 플러그 접속 장치.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5)는 형상 결합 방식 및 억지 끼워 맞춤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폐쇄부(60, 61, 62)를 가지며, 상기 폐쇄부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라인용 플러그 접속 장치.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47032610A 2012-05-16 2013-03-25 유체 라인용 플러그 접속 장치 및 이와 같은 플러그 접속 장치를 위한 파지부 KR1019880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104288A DE102012104288A1 (de) 2012-05-16 2012-05-16 "Steckverbindung für Fluid-Leitungen und Halteteil für eine derartige Steckverbindung"
DE102012104288.8 2012-05-16
PCT/EP2013/056178 WO2013170986A1 (de) 2012-05-16 2013-03-25 Steckverbindung für fluid-leitungen und halteteil für eine derartige steckverbind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3276A KR20150023276A (ko) 2015-03-05
KR101988073B1 true KR101988073B1 (ko) 2019-09-30

Family

ID=48013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2610A KR101988073B1 (ko) 2012-05-16 2013-03-25 유체 라인용 플러그 접속 장치 및 이와 같은 플러그 접속 장치를 위한 파지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429261B2 (ko)
EP (1) EP2850355B1 (ko)
KR (1) KR101988073B1 (ko)
CN (1) CN103423532B (ko)
BR (1) BR112014028248B1 (ko)
DE (1) DE102012104288A1 (ko)
WO (1) WO20131709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100772A1 (de) 2013-01-25 2014-07-31 Voss Automotive Gmbh Steckverbindung für Fluid-Leitungen und Halteteil für eine derartige Steckverbindung
US9845907B2 (en) * 2013-01-25 2017-12-19 Voss Automotive Gmbh Plug connection for fluid lines and retaining part for such a plug connection
US10859194B2 (en) 2013-05-20 2020-12-08 Steere Enterprises, Inc. Clean air duct and retaining clip and assembly thereof
US9664321B2 (en) 2013-05-20 2017-05-30 Steere Enterprises, Inc. Clean air duct and retaining clip and assembly thereof
ES2778454T3 (es) * 2013-11-06 2020-08-10 Becton Dickinson & Co Ltd Sistema conectador con un miembro de bloqueo para un dispositivo médico
DE102014102662B4 (de) 2014-02-28 2021-12-23 Voss Automotive Gmbh Steckverbindung für Fluid-Leitungen und Halteteil für eine derartige Steckverbindung
CN103899861B (zh) * 2014-03-25 2016-08-17 廊坊舒畅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连接接头
DE102015002896A1 (de) * 2015-03-09 2016-09-15 Grohe Ag Rosette für eine Sanitärarmatur
DE102015106063B4 (de) * 2015-04-21 2022-10-06 Voss Automotive Gmbh Steckverbindung für Fluid-Leitungen mit einem Halteteil und einer Sekundärverriegelung
CN106704744A (zh) * 2016-12-19 2017-05-24 河北亚大汽车塑料制品有限公司 一种试验用管接头装置
DE102017208056A1 (de) * 2017-05-12 2018-11-15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andhabung wenigstens eines Batteriemoduls, System zur Handhabung mehrerer Batteriemodule und Kraftfahrzeug
USD859618S1 (en) * 2017-09-15 2019-09-10 Pentair Water Pool And Spa, Inc. Heating apparatus clip
CN108087643A (zh) * 2017-12-18 2018-05-29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一种管连接结构及增压系统
CN109869558B (zh) * 2019-04-18 2020-12-15 嘉兴宸轩管件制造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法兰连接头
US11498087B2 (en) * 2019-06-28 2022-11-15 Medmix Switzerland Ag Connecting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49630A1 (en) * 2004-09-03 2006-03-09 Voss Automotive Gmbh Connection for fluid lines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03621A (en) * 1969-10-27 1971-09-07 Frederick L Parsons Hose coupling
US5048875A (en) * 1989-01-18 1991-09-17 Usui Kokusai Sangyo Daisha Limited Connector interposed between small-diameter metallic pipe and flexible hose
DE3904479A1 (de) * 1989-02-15 1990-08-16 Bosch Gmbh Robert Verbindungselement
US5540463A (en) * 1992-09-25 1996-07-30 Parker Hannifin Corporation Couplings for automobile air conditioning system conduits
US5374084A (en) * 1992-09-25 1994-12-20 Parker Hannifin Corporation Coupling for automobile air conditioning system
US5735555A (en) * 1996-12-18 1998-04-07 Siemens Automotive Corporation Fuel rail to fuel tube end compact connector
DE19756987C2 (de) * 1997-12-20 2001-05-23 Daimler Chrysler Ag Lösbare Rohrverbindung, insbesondere für luftführende Rohre
US6655491B1 (en) * 2000-06-09 2003-12-02 Trw Inc. Power steering apparatus
FR2829219B1 (fr) * 2001-09-04 2004-12-17 Hutchinson Raccord d'etancheite pre-assemble
DE10154840A1 (de) * 2001-11-08 2003-05-22 Bosch Gmbh Robert Befestigungsvorrichtung
DE102004004364B3 (de) * 2004-01-29 2005-01-27 Rasmussen Gmbh Steckkupplung zum Verbinden einer Fluidleitung mit einem Rohr
DE102005038439A1 (de) * 2004-08-16 2006-02-23 Voss Fluid Gmbh + Co. Kg Steckverbindung für Fluid-Leitungen
DE202004012795U1 (de) * 2004-08-16 2005-12-29 Voss Automotive Gmbh Steckverbindung für Fluid-Leitungen
JP4644063B2 (ja) * 2005-07-26 2011-03-02 豊田合成株式会社 管接続構造体
DE502006008249D1 (de) * 2006-01-05 2010-12-16 Norma Germany Gmbh Verbindungsanordnung mit Rohrstutzen zum Verbinden von Fluidaufnahmeteilen
DE102006043461B4 (de) * 2006-09-15 2013-03-21 Norma Germany Gmbh Fluidleitung
DE202008008421U1 (de) 2008-06-24 2009-11-12 Voss Automotive Gmbh Steckverbindung für Fluid-Leitungen
DE102010010522B4 (de) * 2010-03-05 2012-10-25 Voss Automotive Gmbh Steckverbinder für Medienleitunge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49630A1 (en) * 2004-09-03 2006-03-09 Voss Automotive Gmbh Connection for fluid li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4028248B1 (pt) 2020-12-08
WO2013170986A1 (de) 2013-11-21
EP2850355B1 (de) 2017-01-11
BR112014028248A2 (pt) 2017-06-27
US9429261B2 (en) 2016-08-30
DE102012104288A1 (de) 2013-11-21
CN103423532A (zh) 2013-12-04
EP2850355A1 (de) 2015-03-25
CN103423532B (zh) 2017-10-27
US20130313820A1 (en) 2013-11-28
KR20150023276A (ko) 2015-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8073B1 (ko) 유체 라인용 플러그 접속 장치 및 이와 같은 플러그 접속 장치를 위한 파지부
US7249788B2 (en) Connector assembly for male and female members
US8196606B2 (en) Coupling member for pipe coupling
JP6568215B2 (ja) 高速流体輸送継手用複合シール及びこの種の継手
US7404547B2 (en) Multi-component end member assembly and air spring assembly including the same
JP4161300B2 (ja) 解除用スリーブと、カップリングアセンブリ
EP2519766B1 (en) A quick connector element
JPH10281377A (ja) 2つの管状部材の連結機構
JP4807518B2 (ja) 取付け用スリーブを備えたカップリングアセンブリ
US7850210B2 (en) Plug-in coupling for fluid systems
JPS62266292A (ja) シール
US8746750B2 (en) Variable curvature clip for quick connect coupling
US20140210202A1 (en) Plug Connection for Fluid Lines and Retaining Part for Such a Plug Connection
KR200485251Y1 (ko) 관 연결장치
JP2592358B2 (ja) 管継手
JP4148682B2 (ja) 管継手における継手部の接続構造
WO1999039124A1 (en) An improved releasable collet type tube coupling system
JP3386406B2 (ja) 管継手
JP6190605B2 (ja) 管継手
KR101962939B1 (ko) 커플링 장치
CA2556467C (en) Two piece quick connect retainer
CN215173078U (zh) 气动截止管接头
CN112654793B (zh) 活塞组件
CN114174709B (zh) 紧凑且可拆卸的流体连接装置
CN210218988U (zh) 一种燃气软管总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