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8010B1 - 여성 질환 치료를 위한 훈증장치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여성 질환 치료를 위한 훈증장치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8010B1
KR101988010B1 KR1020190046889A KR20190046889A KR101988010B1 KR 101988010 B1 KR101988010 B1 KR 101988010B1 KR 1020190046889 A KR1020190046889 A KR 1020190046889A KR 20190046889 A KR20190046889 A KR 20190046889A KR 101988010 B1 KR101988010 B1 KR 101988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mposition
mugwort
extract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6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남
박성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진테크
김상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진테크, 김상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진테크
Priority to KR1020190046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80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8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8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34Urogenital system, e.g. vagina, uterus, cervix, penis, scrotum, urethra, bladder; Personal lubric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44Oils, fats or waxes according to two or more groups of A61K47/02-A61K47/42; Natural or modified natural oils, fats or waxes, e.g. castor oil, polyethoxylated castor oil, montan wax, lignite, shellac, rosin, beeswax or lano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46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skin, bone, milk, cotton fibre, eggshell, oxgall or 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31Rectum, an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02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disorders of the vagin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5/00Anti-perspirants or body deodor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docri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여성 질환 치료를 위한 훈증장치용 조성물은 쑥 추출물, 유칼립투스오일, 멘톨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되, 상기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중량 대비, 쑥 추출물 70 내지 90중량%, 유칼립투스오일 1 내지 15중량%, 멘톨 5 내지 25중량%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훈증장치용 조성물로서 쑥 추출물, 유칼립투스오일, 멘톨을 포함함으로써 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탈취 작용, 피부 탄력 등의 부가적인 효능 또한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여성 질환 치료를 위한 훈증장치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COMPOSITION OF FUMIGATION APPARATUS FOR TREATING FEMALE DISEAS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여성 질환 치료를 위한 훈증장치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훈증장치용 조성물로서 쑥 추출물, 유칼립투스오일, 멘톨을 포함함으로써 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탈취 작용, 피부 탄력 등의 부가적인 효능 또한 기대할 수 있는, 여성 질환 치료를 위한 훈증장치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성의 몸에 있어서 자궁이란 제 2의 심장이라고도 불리며 여성의 몸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무엇보다 철저한 건강관리가 필요하다. 특히, 임산부, 갱년기 여성들을 포함한 성인 여성들은 세균성 질염, 자궁경관염, 자궁근종, 외음부 소양증 등 다양한 여성 질환으로 고민하고 있으며, 이러한 고민을 해결하기 위해 약을 쓰지 않고도 여성 건강을 지킬 수 있는 좌훈을 찾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좌훈이란, 고대한방의 8법 중 하나로 약초를 데워 그 연기나 열로 인체의 건강을 지키는 방법으로, 약재를 태워 그 연기를 자궁 및 항문, 회음부에 쏘이는 방법을 좌훈 요법이라고 한다. 보통, 여성 건강을 위한 좌훈의 약재로는 쑥이 널리 쓰이며, 이러한 좌훈은 환부나 생식 기관의 가려움증, 냉대하 등에 대한 살균 작용, 하복부의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생리통, 하복부 통증, 신경통에 효과적이고, 피부 질환과 피부 세포의 재생, 출산으로 인해 늘어난 자궁 및 질 수축에 효과적이고 출산 후의 질병 예방에 도움이 되며, 위장병과 변비에도 효과적이다.
이때, 좌훈기용 조성물에 관한 선행기술로 한국 공개 특허 제 10-2005-0001739호(발명의 명칭 : 좌훈기용 생약 조성물의 제조방법)가 공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인진쑥 분말과 보조 생약제 분말을 혼합하는 혼합물을 형성하는 혼합공정과, 상기 혼합공정을 통해 혼합된 혼합물에 밀 및 메밀 등으로 이루어진 무독성 접착제를 배합하는 배합공정과, 상기 배합공정을 통해 접착성분이 배합된 혼합물을 소정의 금형기를 이용하여 통상의 형상으로 성형하여 성형물을 형성하는 성형공정과, 상기 성형공정을 통해 성형된 성형물을 통상의 원적외선 건조기를 통해 3-5시간 동안 원적외선 건조를 하는 1차 건조공정과, 상기 1차 건조공정을 통해 1차 건조된 성형물을 음지에서 20-28시간 동안 자연 건조시키는 2차 건조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훈기용 생약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에 따르면 쑥을 주원료로 하고 보조 생약제를 첨가하여 항문 및 음부에 훈증함으로써 각종 피부질환의 치료 및 예방은 물론 항문 및 음부의 건강 증진에 효과가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쑥과 약재로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러한 향에 거부감을 느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쑥을 포함하되, 약재의 향에 대한 거부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유칼립투스오일, 멘톨 등을 함께 포함한 훈증장치용 조성물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쑥 추출물, 유칼립투스오일, 멘톨을 포함하여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여성 질환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으며, 유칼립투스오일 및 멘톨이 함께 함유되어 있어 쑥 또는 약재의 향으로 인한 거부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성물에 유근피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포함함으로써 여성 질환의 예방 및 방지에 더욱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상처 치료 및 염증 완화, 피부의 개선 등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귤껍질과 무화과껍질을 포함하는 기능성분말을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혈액 순환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비타민을 효과적으로 제공하여 여성 질환의 예방에 도움을 주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조성물에 탈취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함으로써 여성 질환으로 인해 발생되는 불쾌한 냄새의 감소에 도움을 주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여성 질환 치료를 위한 훈증장치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은, 쑥 추출물, 유칼립투스오일, 멘톨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되, 상기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중량 대비, 쑥 추출물 70 내지 90중량%, 유칼립투스오일 1 내지 15중량%, 멘톨 5 내지 25중량%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쑥 추출물은, 건조된 쑥을 90 내지 200mesh의 크기로 분쇄하여 쑥 분말을 제조하는, 쑥 분쇄 단계; 전체 침적 용액 중량 대비, 에탄올 85 내지 95중량%, 쑥 분말 5 내지 15중량%을 혼합하여 5 내지 10일 동안 침적시킨 뒤 침적 용액을 제조하는, 침적 단계; 상기 침적 용액을 건조시킨 뒤 잔여물인 쑥 파우더를 수득하는, 건조 단계; 상기 쑥 파우더를 n-헥산을 통해 1 내지 5회 세척한 후 감압 농축하여 잔여물인 쑥 추출물을 수득하는, 세척 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조성물은, 유근피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되,
상기 유근피 추출물을 포함한 상기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중량 대비, 쑥 추출물 70 내지 85중량%, 유칼립투스오일 1 내지 10중량%, 멘톨 5 내지 20중량%, 상기 유근피 추출물 1 내지 10중량%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조성물은, 귤껍질과 무화과껍질을 포함하는 기능성분말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되, 상기 기능성분말을 포함한 상기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중량 대비, 쑥 추출물 70 내지 80중량%, 유칼립투스오일 1 내지 10중량%, 멘톨 5 내지 15중량%, 유근피 추출물 1 내지 10중량%, 상기 기능성분말 1 내지 10중량%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여성 질환 치료를 위한 훈증장치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은,
1) 효과적으로 여성 질환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으며, 유칼립투스오일 및 멘톨이 함께 함유되어 있어 쑥 또는 약재의 향으로 인한 거부감을 감소시킬 수 있고,
2) 조성물에 유근피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포함함으로써 여성 질환의 예방 및 방지에 더욱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상처 치료 및 염증 완화, 피부의 개선 등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3) 귤껍질과 무화과껍질을 포함하는 기능성분말을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혈액 순환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비타민을 효과적으로 제공하여 여성 질환의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4) 탈취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함으로써 여성 질환으로 인해 발생되는 불쾌한 냄새의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훈증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쑥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유근피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탈취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여성의 몸에 있어서 자궁이란 제 2의 심장이라고도 불리며 여성의 몸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무엇보다 철저한 건강관리가 필요하다. 특히, 임산부, 갱년기 여성들을 포함한 성인 여성들은 세균성 질염, 자궁경관염, 자궁근종, 외음부 소양증 등 다양한 여성 질환으로 고민하고 있으며, 이러한 고민을 해결하기 위해 약을 쓰지 않고도 여성 건강을 지킬 수 있는 좌훈을 찾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고대한방의 8법 중 하나로 알려진 좌훈은 약초를 데워 그 연기나 열로 인체의 건강을 지키는 방법으로 약재를 태워 그 연기를 자궁 및 항문, 회음부에 쏘이는 방법을 좌훈 요법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좌훈에 사용되는 약재로는 쑥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좌훈은 환부나 생식 기관의 가려움증, 냉대하 등에 대한 살균 작용, 하복부의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생리통, 하복부 통증, 신경통에 효과적이고, 피부 질환과 피부 세포의 재생, 출산으로 인해 늘어난 자궁 및 질 수축에 효과적이고 출산 후의 질병 예방에 도움이 되며, 위장병과 변비에도 효과적이다.
이때, 좌훈을 위한 훈증 장치의 일 실시예로서 도 1과 같은 구성이 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자면, 훈증 장치는 발열체(20), 챔버(30), 컨트롤러(50)가 구비된 본체(10)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으며, 챔버(30)의 내부엔 훈증을 위한 조성물이 함침된 패드(40, 패드뿐만 아니라 조성물이 포함된 그물망 등이 될 수도 있음)가 발열체(20)의 위해 존재할 수 있다. 전원이 공급되면 발열체(20)에서 열이 발산되며, 이로 인해 가열된 공기가 조성물이 함침된 패드(40)를 통과하여 이로 인한 공기를 좌훈에 이용하는 것이다. 더하여, 컨트롤러(50)는 작동 On/Off 버튼 또는 온도 조절 버튼 등이 포함되어 이러한 훈증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좌훈 방식에서 더 나아가 약재에 열을 가하는 발열체(20)와 이로 인한 증기를 체내(體內)에 직접적으로 삽입하여 그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헤드를 갖는 훈증발생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여성 질환 치료를 위해 좌훈을 포함한 훈증발생장치 등에 약재로서 사용될 수 있는 조성물을 제조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기본적으로 쑥 추출물, 유칼립투스오일, 멘톨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은 함께 혼합되어 패드(40)나 그물망 등에 포함되어 훈증발생장치에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조성물을 통해 효과적으로 여성 질환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으며, 유칼립투스오일 및 멘톨이 함께 함유되어 있어 쑥 또는 약재의 향으로 인한 거부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쑥 추출물은 후술할 과정을 통해 쑥에서 추출한 것이며, 쑥은 무기질과 비타민의 함량이 매우 많은 식물로서 특히 비타민A와 비타민C의 함량이 많아 면역력 및 감기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이다. 특히, 쑥은 적대하증, 하혈, 생리불순 등 각종 여성 질환에 특별한 효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유칼립투스오일은 '시네올'이라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항균작용과 항바이러스 작용을 수행할 수 있으며, 가벼운 상처 및 진균 감염 등의 치료, 알레르기 증상 완화 작용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유칼립투스오일은 상쾌한 향이 나기 때문에 스트레스를 풀어주며 심신에 안정을 줄 수 있으며, 살균 소독 작용을 통해 불쾌한 냄새의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더하여, 멘톨은 허브 식물에 속하는 박하의 잎이나 줄기에서 얻을 수 있는 물질로서 염증을 완화시키는 소염작용, 진통을 멈추거나 피부의 가려움의 완화에 효과적이며, 늘어난 피부를 당겨주고 모공을 수축하는 작용이 있어 피부의 탄력에도 효과적이다. 이러한 성분들을 통해 항균, 살균, 알레르기 완화 등의 효능을 제공할 수 있어 기본적인 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탈취 작용, 피부 탄력 등의 부가적인 효능 또한 있어 사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은 구체적으로 전체 조성물 중량 대비, 쑥 추출물 70 내지 90중량%, 유칼립투스오일 1 내지 15중량%, 멘톨 5 내지 25중량%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비율을 통해 혼합된 조성물은 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이며, 패드(40) 혹은 주머니 형태의 망 내에 포함되어 원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쑥 추출물은 쑥 분쇄 단계(S100), 침적 단계(S110), 건조 단계(S120), 세척 단계(S130)를 거쳐 제조될 수 있다.
먼저, 쑥 분쇄 단계(S100)는 건조된 쑥을 90 내지 200mesh의 크기로 분쇄하여 쑥 분말을 제조하는 과정으로서, 분쇄 과정은 별도의 분쇄기기를 통해 진행될 수 있으며 건조된 쑥을 분쇄하는 이유는 쑥의 표면적을 넓게 하여 추출물을 더욱 잘 추출하기 위해서이다.
다음, 침적 단계(S110)는 전체 침적 용액 중량 대비, 에탄올 85 내지 95중량%, 쑥 분말 5 내지 15중량%을 혼합하여 5 내지 10일 동안 침적시킨 뒤 침적 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쑥이 에탄올에 침적되는 과정을 통해 쑥의 성분들이 에탄올에 추출되어 침적 용액이 되며, 후술할 과정을 통해 쑥의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이후, 건조 단계(S120)는 침적 용액을 건조시킨 뒤 잔여물인 쑥 파우더를 수득하는 과정이며, 세척 단계(S130)는 쑥 파우더를 n-헥산을 통해 1 내지 5회 세척한 후 감압 농축하여 잔여물인 쑥 추출물을 수득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건조 과정은 여과 과정을 거친 후 잔여물을 건조시켜 쑥 파우더를 수득할 수 있으며, 이렇게 얻어진 쑥 파우더를 n-헥산을 통해 세척하는 이유는 본 발명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기타 부수물들을 제거하기 위해서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어진 쑥 추출물은 일반적인 쑥을 사용할 때보다 상술한 쑥에 의한 효능을 더욱 잘 발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조성물에 유근피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여성 질환의 예방 및 방지에 더욱 도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유근피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되, 유근피 추출물을 포함한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중량 대비, 쑥 추출물 70 내지 85중량%, 유칼립투스오일 1 내지 10중량%, 멘톨 5 내지 20중량%, 상기 유근피 추출물 1 내지 10중량%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유근피 추출물은 유근피 분쇄 단계(S200), 유근피 추출액 제조 단계(S210), 유근피 추출물 완성 단계(S220)를 거쳐 제조될 수 있다.
먼저, 유근피 분쇄 단계(S200)는 유근피의 근피를 벗겨 건조시킨 후 100 내지 200mesh의 크기로 분쇄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유근피를 분쇄하는 이유는 유근피의 표면적을 넓혀 유근피의 성분이 많이 추출되기 위해서이며, 유근피는 느릅나무과에 속하는 느릅나무의 코르크층을 벗긴 수피를 건조한 것으로 유피라고도 불리며, 환부에 접촉되어 붓기를 빼주는 소염제로서 역할을 수행하며 상처 치료 및 염증 완화에도 효과적이다. 더하여, 피부의 개선에 효과적이기 때문에 여성 질환의 개선 및 치료와 추가적으로 피부 개선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다음, 유근피 추출액 제조 단계(S210)는 전체 유근피 추출액 중량 대비, 70% 에탄올 60 내지 80중량%, 유근피 분말 20 내지 40중량%을 혼합한 후 40 내지 70℃에서 1 내지 5시간 동안 가열하여 유근피 추출액을 제조하는 과정으로서, 이 과정을 2 내지 3회 반복하여 유근피 추출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70℃ 에탄올은 유근피 분말의 성분들을 추출하기 위한 용매로서 사용되었으며, 유근피 추출액은 이러한 유근피의 성분들이 추출되어진 용액이다.
마지막으로, 유근피 추출물 완성 단계(S220)는 유근피 추출액을 여과한 후 잔여물을 제외한 여과액을 농축시켜 유근피 추출물을 완성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여과 과정은 감압 여과, 필터 여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방법에는 제한이 없다. 더하여, 여과한 후의 찌꺼기 즉, 잔여물을 제외한 액체를 농축시킨 것이 유근피 추출물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제조된 유근피 추출물은 일반 유근피를 사용할 때 보다 같은 양 대비 고 효능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으며, 상처 치료 및 염증 완화, 피부의 개선 등에 효과가 있어 여성 질환의 개선 및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조성물은 귤껍질과 무화과껍질을 포함하는 기능성분말을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혈액 순환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비타민을 효과적으로 제공하여 여성 질환의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능성분말을 포함한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중량 대비, 쑥 추출물 70 내지 80중량%, 유칼립투스오일 1 내지 10중량%, 멘톨 5 내지 15중량%, 유근피 추출물 1 내지 10중량%, 상기 기능성분말 1 내지 10중량%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성분말은 재료 준비 단계, 재료 분쇄 단계, 기능성분말 완성 단계를 거쳐 제조될 수 있다.
먼저, 재료 준비 단계는 전체 재료 중량 대비, 귤껍질 30 내지 50중량%, 무화과껍질 50 내지 80중량%을 물을 통해 1 내지 3회 세척한 후 수분 함유량이 1 내지 15%가 되도록 건조하여 재료를 준비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귤껍질과 무화과껍질은 비타민P의 종류인 루틴(rutin), 헤스페리딘(hesperidin) 등이 풍부하여 혈액 순환과 피부의 개선이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헤스페리딘이 풍부하여 피부의 보습에 효과적이며, 항염, 항균, 항산화의 기능을 수행하여 여성 질환의 예방에 효과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다. 더하여, 자연 건조하는 과정은 실온에서 자연건조 할 수도 있고, 건조기를 사용하여 건조를 진행할 수도 있다.
다음, 재료 분쇄 단계는 재료를 100 내지 200mesh의 크기로 분쇄하는 과정이며, 기능성분말 완성 단계는 분쇄한 재료를 멸균 처리하여 기능성분말을 완성하는 과정이다. 이때, 분쇄는 별도의 분쇄기기 등을 사용하여 진행될 수 있으며, 멸균 처리는 귤껍질과 무화과껍질에 남아있는 농약 등의 이물질의 제거를 위해 진행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조된 기능성분말은 조성물에 추가적으로 함유되어 혈액 순환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항염, 항균, 항산화의 기능을 수행하여 여성 질환의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여성 질환은 가려움과 불쾌한 냄새를 동반하는 경우가 다반사이며 잘 걷지 못하는 임산부, 앉아 있는 시간이 긴 직장인, 다리에 딱 붙는 레깅스나 스키니 진 등을 즐겨 입는 여성 등은 하반신에 통풍이 잘 되지 않아 여성 질환에 노출 될 확률이 높으며, 이로 인해 불쾌한 냄새가 동반될 수 있다.
따라서 조성물에 탈취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함으로써 이러한 현상을 완화시키거나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탈취제를 포함한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중량 대비, 쑥 추출물 60 내지 75중량%, 유칼립투스오일 1 내지 10중량%, 멘톨 1 내지 10중량%, 유근피 추출물 1 내지 10중량%, 탈취제 1 내지 10중량%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탈취제는 참나무액 수득 단계(S300), 목초액 수득 단계(S310), 탈취제 완성 단계(S330)를 거쳐 제조될 수 있다.
먼저, 참나무액 수득 단계(S300)는 참나무를 80 내지 200℃에서 연소하여 생성되는 연기를 응축시켜 참나무액을 수득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참나무는 참나무과에 속하는 낙엽활엽수를 총칭하는 것으로서 보통 도토리나 상수리가 열리는 나무를 참나무라고 부르며, 상수리나무, 가시나무, 굴참나무, 떡갈나무가 이러한 참나무의 종류에 속한다. 이러한 참나무과의 나무들은 악창, 종기 등을 치료하는 데 효과가 있으며, 원적외선이 방사되어 여성 질병의 방지 및 치료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때, 참나무를 연소하는 과정에서는 공기가 없거나 제한된 상태에서 불완전 연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과정에서 나오는 연기(수증기를 포함한다)를 응축시키면 갈색 빛의 참나무액을 수득할 수 있다. 더하여, 연기를 응축시키는 과정은 냉각을 통해 진행될 수 있다.
다음, 목초액 수득 단계(S310)는 참나무액을 숙성시켜 층 분리시킨 후 목초액을 수득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참나무액을 숙성시키면 3개의 층으로 분리가 되는데, 이때 맨 위층은 가벼운 기름 모양의 물질인 테르펜유 등의 경유질층이며 맨 아래층은 끈적끈적한 기름 모양의 타르층 및 수지이고, 가운데층이 탈취제의 재료가 되는 참나무의 목초액이다. 구체적으로, 참나무의 목초액은 항균 및 바이러스 억제에 효과적이고 우수한 탈취 효과를 보이며 질 내의 세균 감염의 방지와 여성 질환으로 인한 냄새의 제거에 탁월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탈취제 완성 단계(S330)는 목초액 70 내지 80중량%, 피톤치드 오일 20 내지 30중량%를 혼합하여 탈취제를 완성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피톤치드 오일은 항균 및 살균 효과를 통해 여성 질환으로 인한 불쾌한 냄새의 제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물질이다. 이때, 피톤치드 오일의 구체적인 제조 방법은 후술하도록 한다.
이때, 목초액 수득 단계(S310) 다음에는 목초액 정제 단계(S320)를 포함하여 목초액 내의 이물질 및 유해 물질을 제거하고 탈취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목초액 정제 단계(S320)는 전체 정제 목초액 중량 대비, 목초액 95 내지 99중량%, 흡착제 1 내지 5중량%를 혼합한 뒤 필터 여과하여 목초액을 정제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흡착제로는 활성탄이나 규조토(celite)가 사용될 수 있으며 강한 흡착 능력을 가지고 있어 목초액 내의 메탄올, 초산, 기타 유기물 등을 흡착하여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여과용 필터는 나일론 필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0.3 내지 0.5㎛의 필터를 통해 여과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목초액 정제 단계(S320)를 진행한 후에는 탈취제 완성 단계(S330)를 진행하여 탈취제를 완성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피톤치드 오일은 잣송이 준비 단계, 증류 단계, 피톤치드 오일 수득 단계를 거쳐 제조될 수 있다.
먼저, 잣송이 준비 단계는 잣송이를 1 내지 3cm의 크기로 분쇄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잣송이란 잣나무의 열매 송이로서 피부의 개선과 세균의 번식을 방지하는 데에 효과적이어서 식용 및 약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더하여, 피톤치드가 풍부하여, 본 발명의 피톤치드 오일의 제조에 필요한 재료로서 바람직하다.
다음, 증류 단계는 전체 증류 용액 중량 대비, 물 60 내지 80중량%, 분쇄된 잣송이 20 내지 40중량%를 혼합하여 증류 용액을 제조한 뒤 90 내지 110℃에서 20 내지 60분 동안 가열하여 발생한 수증기를 증류하여 용액을 생성시키는 과정으로서, 잣송이로부터 피톤치드 오일을 수득하기 위해 가열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증류 과정은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물과 잣송이를 넣어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생성되는 수증기는 둥근 바닥 플라스크와 연결된 냉각장치를 통과하며 액화되어 냉각용액이 되어 모여진다.
마지막으로, 피톤치드 오일 수득 단계는 냉각용액을 수상과 오일상으로 분리시킨 뒤 오일상인 상등액을 분리하여 피톤치드 오일을 수득하는 과정이다.
이때, 냉각용액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비중의 차로 인하여 수상과 오일상으로 분리되는데 이때 상등액인 오일상이 바로 피톤치드 오일이며, 피톤치드 오일을 수득한 다음에는 밀봉한 뒤 냉장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방법은 수율 즉, 에너지 대비 피톤치드 오일의 수득량이 다른 방법에 비해 높다는 장점이 있으며,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피톤치드 오일은 목초액과 혼합되어 탈취제로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 및 대조예를 들어 비교함으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후술될 실시예 및 대조예에 대해서는 25명의 여성 평가단이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적용한 훈증장치를 사용한 후 평가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이 적용된 훈증장치와 시판 훈증장치의 피부개선 효과 및 탈취 효과를 각각 매우 좋음(5), 좋음(4), 보통(3), 나쁨(2), 매우 나쁨(1)의 5단계로 평가하여 그 평균점을 판정하였다.
이때 피부개선 효과는 평가단이 본 발명의 조성물이 적용된 훈증장치를 사용하였을 경우 느껴지는 환부의 피부 개선 효과에 대한 평가단의 평가이고, 탈취 효과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적용된 훈증장치를 사용하였을 경우 느껴지는 탈취 성능의 정도에 대한 평가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적용된 훈증장치를 사용했을 경우 느껴지는 피부개선 효과 및 탈취 효과가 좋을수록 매우 좋음(5)에 가깝게, 조성물이 적용된 훈증장치를 사용했을 경우 느껴지는 피부개선 효과 및 탈취 효과가 느껴지지 않거나 나쁠수록 매우 나쁨(1)에 가깝게 평가하도록 하였다.
<실시예 1>
쑥 추출물 80g, 유칼립투스오일 5g, 멘톨 10g을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 하였다. 다음, 유근피 추출물과 귤껍질과 무화과껍질을 포함하는 기능성분말을 제조한 뒤 각각 10g 씩 조성물에 추가하였다. 이후, 탈취제를 제조한 뒤 10g을 조성물에 추가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유근피 추출물과 귤껍질과 무화과껍질을 포함하는 기능성분말을 각각 10g 씩 조성물에 첨가하는 과정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을 제조한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탈취제 10g을 첨가하는 과정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을 제조한다.
<대조예>
시판 훈증장치조성물.
Figure 112019041391978-pat00001
<본 발명의 조성물을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 표>
도 6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에 나타난 바를 통해, 평가단이 실시예와 대조예를 사용한 후 냄새 제거, 스트레스 완화 효과를 평균 점수로 표현하여 표로 나타낸 것이며, 앞서 설명과 같이 실시예 1 내지 3는 대조예와 비교하여 높은 평가 점수를 얻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훈증장치용 조성물(실시예 1 내지 3)은 대조예인 시판 훈증장치용 조성물보다 피부개선 효과 및 탈취 효과가 더욱 좋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유근피 추출물 및 기능성분말과 탈취제를 제조하는 단계의 중요성을 파악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여성 질환 치료를 위한 훈증장치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본체 20: 발열체
30: 챔버 40: 패드
50: 컨트롤러 S100: 쑥 분쇄 단계
S110: 침적 단계 S120: 건조 단계
S130: 세척 단계 S200: 유근피 분쇄 단계
S210: 유근피 추출액 제조 단계 S220: 유근피 추출물 완성 단계
S300: 참나무액 수득 단계 S310: 목초액 수득 단계
S320: 목초액 정제 단계 S330: 탈취제 완성 단계

Claims (10)

  1. 훈증장치용 조성물에 있어서,
    쑥 추출물, 유칼립투스오일, 멘톨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되,
    상기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중량 대비, 쑥 추출물 70 내지 90중량%, 유칼립투스오일 1 내지 15중량%, 멘톨 5 내지 25중량%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증장치용 조성물.
  2. 제 1항에 따른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쑥 추출물은,
    건조된 쑥을 90 내지 200mesh의 크기로 분쇄하여 쑥 분말을 제조하는, 쑥 분쇄 단계;
    전체 침적 용액 중량 대비, 에탄올 85 내지 95중량%, 쑥 분말 5 내지 15중량%을 혼합하여 5 내지 10일 동안 침적시킨 뒤 침적 용액을 제조하는, 침적 단계;
    상기 침적 용액을 건조시킨 뒤 잔여물인 쑥 파우더를 수득하는, 건조 단계;
    상기 쑥 파우더를 n-헥산을 통해 1 내지 5회 세척한 후 감압 농축하여 잔여물인 쑥 추출물을 수득하는, 세척 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증장치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유근피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되,
    상기 유근피 추출물을 포함한 상기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중량 대비, 쑥 추출물 70 내지 85중량%, 유칼립투스오일 1 내지 10중량%, 멘톨 5 내지 20중량%, 상기 유근피 추출물 1 내지 10중량%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증장치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귤껍질과 무화과껍질을 포함하는 기능성분말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되,
    상기 기능성분말을 포함한 상기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중량 대비, 쑥 추출물 70 내지 80중량%, 유칼립투스오일 1 내지 10중량%, 멘톨 5 내지 15중량%, 유근피 추출물 1 내지 10중량%, 상기 기능성분말 1 내지 10중량%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증장치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탈취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되,
    상기 탈취제를 포함한 상기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중량 대비, 쑥 추출물 75 내지 85중량%, 유칼립투스오일 1 내지 5중량%, 멘톨 5 내지 10중량%, 상기 탈취제 1 내지 10중량%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증장치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제는,
    참나무를 80 내지 200℃에서 연소하여 생성되는 연기를 응축시켜 참나무액을 수득하는, 참나무액 수득 단계;
    상기 참나무액을 숙성시켜 층 분리시킨 후 목초액을 수득하는, 목초액 수득 단계;
    상기 목초액 70 내지 80중량%, 피톤치드 오일 20 내지 30중량%를 혼합하여 탈취제를 완성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증장치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목초액 수득 단계 이후에는,
    전체 정제 목초액 중량 대비, 목초액 95 내지 99중량%, 흡착제 1 내지 5중량%를 혼합한 뒤 필터 여과하여 목초액을 정제하는, 목초액 정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증장치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피톤치드 오일은,
    잣송이를 1 내지 3cm의 크기로 분쇄하는, 잣송이 준비 단계;
    전체 증류 용액 중량 대비, 물 60 내지 80중량%, 상기 분쇄된 잣송이 20 내지 40중량%를 혼합하여 증류 용액을 제조한 뒤 90 내지 110℃에서 20 내지 60분 동안 가열하여 발생한 수증기를 증류하여 냉각용액을 생성시키는, 증류 단계;
    상기 냉각용액을 수상과 오일상으로 분리시킨 뒤 오일상인 상등액을 분리하여 피톤치드 오일을 수득하는, 피톤치드 오일 수득 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증장치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190046889A 2019-04-22 2019-04-22 여성 질환 치료를 위한 훈증장치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88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889A KR101988010B1 (ko) 2019-04-22 2019-04-22 여성 질환 치료를 위한 훈증장치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889A KR101988010B1 (ko) 2019-04-22 2019-04-22 여성 질환 치료를 위한 훈증장치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8010B1 true KR101988010B1 (ko) 2019-06-11

Family

ID=66847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6889A KR101988010B1 (ko) 2019-04-22 2019-04-22 여성 질환 치료를 위한 훈증장치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801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34482A (ja) * 2007-07-12 2009-02-19 Momo Hisahiro 発熱体及び発熱体の製造方法
JP2012031074A (ja) * 2010-07-29 2012-02-16 Ogawa & Co Ltd 冷え性および血流改善剤
KR101316701B1 (ko) * 2012-04-04 2013-10-1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쑥 추출물의 신규 용도
CN206630873U (zh) * 2016-12-13 2017-11-14 黄玲 一种女性外阴中药熏蒸器
KR101902300B1 (ko) * 2017-06-21 2018-09-28 김창용 쑥을 함유한 화장지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34482A (ja) * 2007-07-12 2009-02-19 Momo Hisahiro 発熱体及び発熱体の製造方法
JP2012031074A (ja) * 2010-07-29 2012-02-16 Ogawa & Co Ltd 冷え性および血流改善剤
KR101316701B1 (ko) * 2012-04-04 2013-10-1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쑥 추출물의 신규 용도
CN206630873U (zh) * 2016-12-13 2017-11-14 黄玲 一种女性外阴中药熏蒸器
KR101902300B1 (ko) * 2017-06-21 2018-09-28 김창용 쑥을 함유한 화장지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91203B (zh) 一种治疗难愈性创面的外用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Qasem Prospects of wild medicinal and industrial plants of saline habitats in the Jordan valley
KR100606452B1 (ko) 한방 조성물이 함유된 생리대
CN103041173B (zh) 一种治疗皮炎、湿疹的中药外用制剂及其制备方法
CN104585255A (zh) 一种驱蚊杀菌剂
CN102669196A (zh) 植物驱蚊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4855738A (zh) 一种猪配合饲料及其制备方法
CN102038975A (zh) 中草药植物液棉纱布卫生巾
CN104351563A (zh) 一种用于预防猪恶性水肿的功能性饲料及其制备方法
KR200405651Y1 (ko) 한방 조성물이 함유된 생리대
CN103933509A (zh) 用于治疗淡水鱼水霉病的药物及其制备方法
CN106806758A (zh) 一种治疗痤疮的中药制剂
CN104875693A (zh) 一种天然驱蚊植物与活性矿物质组合的汽车用前围隔音垫
CN110037059B (zh) 一种驱蚊防虫香囊及其制备方法
KR101236366B1 (ko) 천연산 조성물을 이용한 입욕제와 손목베개
CN106729070A (zh) 一种减轻关节疼痛的外用能量油及其制备方法
KR101988010B1 (ko) 여성 질환 치료를 위한 훈증장치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5999010A (zh) 复方茶籽粉泡脚剂及其制备方法
CN103721138A (zh) 一种治疗酒糟鼻的中药外用制剂及其制备方法
CN112401403A (zh) 一种太赫兹光波结合中药制成的鞋垫及其制备方法
KR20040001513A (ko) 악취제거 및 치료용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악취제거 및 치료제
JPH02264663A (ja) 芳香消臭剤
KR102276638B1 (ko) 편백유와 편백수를 함유하는 포 및 그 제조방법
CN108355082A (zh) 一种去脚气的中药足浴粉及其制备方法
CN108159366A (zh) 一种用于治疗肌肉酸痛症状的植物提取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