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7602B1 - 자동 박피 장치용 칼날 - Google Patents

자동 박피 장치용 칼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7602B1
KR101987602B1 KR1020180145262A KR20180145262A KR101987602B1 KR 101987602 B1 KR101987602 B1 KR 101987602B1 KR 1020180145262 A KR1020180145262 A KR 1020180145262A KR 20180145262 A KR20180145262 A KR 20180145262A KR 101987602 B1 KR101987602 B1 KR 101987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member
blade
rotating body
bending
flan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5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용대
Original Assignee
원용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용대 filed Critical 원용대
Priority to KR1020180145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76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7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7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8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 B26D3/282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by peeling-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5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travels with the work otherwise than in the direction of the cut, i.e. flying cutter
    • B26D1/58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travels with the work otherwise than in the direction of the cut, i.e. flying cutter and is mounted on a movable arm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38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means operable by the moving work to initiate the cutting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26D7/2614Means for mounting the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2001/006Cutting members therefor the cutting blade having a special shape, e.g. a special outline, ser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Abstract

본 기술은 자동 박피 장치용 칼날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의 자동 박피 장치용 칼날은, 대상물을 박피하는 자동 박피 장치에 적용되는 칼날에 있어서, 좌우에 마련되는 나란한 제1 및 제2 플랜지부들; 및 상기 제1 플랜지부로부터 하방 굴곡되어 상기 제2 플랜지부로 연장하는 작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작용부는, 상기 제1 플랜지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제1 측부 날부재; 제1 굴곡 날부재를 통해 상기 제1 측부 날부재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하부 날부재; 및 제2 굴곡 날부재를 통해 상기 하부 날부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여 상기 제2 플랜지부로 이어지는 제2 측부 날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 박피 장치용 칼날{BLADE FOR AUTOMATIC PEELING DEVICE}
본 발명은 자동 박피 장치용 칼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와 같은 채소의 껍질을 벗겨내는 자동 박피 장치에 적용되는 칼날에 관한 것이다.
구근류는 땅속에 구형의 저장기관을 형성하는 작물이다. 무, 당근, 마늘, 양파 등 그 종류가 다양하다. 그 중에서도 무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채소 중 하나로서, 다양한 메뉴에 다양한 조리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무는 조리에 들어가기 전에 가공이 필요하다. 알뿌리이므로 표면에 묻은 흙을 제거해야 하며 껍질을 벗겨내야 한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세척과정을 거친 후 사람이 직접 칼날을 손에 들고서 무를 깎아냈다. 이때 무를 회전시켜줄 수도 있었고, 손으로 칼날을 세게 잡고서 회전하는 무의 표면에 직접 적용해 깎아내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수공이 많이 들어간다. 각종 기기들이 자동화되고 인공지능화되는 추세에 맞지 않다. 시간과 비용 측면에서 불리하며, 혹여나 칼날을 손에서 놓치는 경우 회전체에 의해 칼날이 튕겨져 나올 수 있는 안전사고의 문제도 상존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 특허공보 제10-2012-0024068호는 자동 박피 장치를 보여준다. 수직 회전축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무의 외면에 일정한 압력이 가해지는 칼날을 회동시켜 접촉시킴으로써 무의 껍질을 자동으로 벗기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특허를 포함한 기존의 연구들은 칼날 자체에 대해서는 연구가 부족하다. 칼날은 직접 박피 대상물의 표면에 적용되는 핵심 부품임에도 단순히 일상적으로 떠올리는 대패와 같은 형상의 칼날만이 존재할 뿐이다. 이는 수많은 가동시간을 갖는 자동 박피 장치의 내구성을 떨어뜨리고 결국 비용을 지불하게 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핵심부품으로서 자동 박피 장치의 내구성을 높이고 자동 박피 장치의 설계를 간소화할 수 있는 박피 장치용 칼날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박피 장치용 칼날은, 대상물을 박피하는 자동 박피 장치에 적용되는 칼날로서, 좌우에 마련되는 나란한 제1 및 제2 플랜지부들; 및 상기 제1 플랜지부로부터 하방 굴곡되어 상기 제2 플랜지부로 연장하는 작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작용부는, 상기 제1 플랜지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제1 측부 날부재; 제1 굴곡 날부재를 통해 상기 제1 측부 날부재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하부 날부재; 및 제2 굴곡 날부재를 통해 상기 하부 날부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여 상기 제2 플랜지부로 이어지는 제2 측부 날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들은 동일한 평면에 놓일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들과 상기 하부 날부재는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부 날부재와 상기 제2 측부 날부재는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굴곡 날부재와 상기 제2 굴곡 날부재는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굴곡질 수 있다.
상기 자동 박피 장치는 상기 칼날의 거치를 위한 아암부를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부들에는 상기 아암부와의 체결을 위한 관통형의 체결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들은 그 아랫면이 상기 아암부의 윗면에 마주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대상물은 제자리에서 회전하는 회전체이고, 상기 칼날은 상기 회전체에 직접 작용하여 상기 회전체를 박피할 수 있다.
상기 칼날은 상기 회전체의 외면을 따르는 이동 괘적을 갖도록 상하로 기울어지는 회동 운동, 좌우로 기울어지는 회동 운동 및 수평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칼날의 상기 이동 괘적을 따르는 이동간에 상기 제1 측부 날부재, 제1 굴곡 날부재, 하부 날부재, 제2 굴곡 날부재 및 제2 측부 날부재 중 하나 이상이 상기 회전체의 박피면에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칼날의 상기 이동 괘적을 따르는 이동간에 상기 제1 측부 날부재, 제1 굴곡 날부재, 하부 날부재, 제2 굴곡 날부재 및 제2 측부 날부재 중 2 이상이 상기 회전체의 박피면에 작용할 수 있다.
본 기술은 자동 박피 장치에 적용되는 핵심부품으로서 자동 박피 장치의 내구성을 높이고 그 설계를 간소화하는 박피 장치용 칼날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기술은 박피를 위한 칼날의 회동 각도를 최소화함으로써 박피 압력을 한 곳으로 집중시켜 박피의 효율 및 수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칼날이 적용된 자동 박피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칼날 없이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측면도로서, x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하로 기울어지는 시소 운동을 보다 명확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칼날과 아암부를 중심으로 한 정면도로서, y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좌우로 기울어지는 틸팅 운동을 보다 명확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칼날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칼날의 배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칼날의 좌측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칼날의 우측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칼날이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회전체를 박피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면에 있어서, 두께와 간격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표현된 것이며, 실제 물리적 두께에 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공지의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칼날(100)이 적용된 자동 박피 장치(10)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칼날(100) 없이 도시하였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박피 장치(10)(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박피 장치'라고 함)는 칼날(100)을 이용하여 박피 대상물(20)을 박피한다.
칼날(100)은 수평 이동 레일(11)을 따라 양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다. 칼날의 수평 이동 방향이 도면에서 I로 참조된다. 예를 들어, 일방향에서 타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박피 대상물을 박피한다.
무와 같은 채소는 이상적인 원통형이 아니고 울퉁불퉁한 외면을 갖고 있으므로, 칼날(10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의 회동(시소 운동)과 좌우 방향으로의 회동(틸팅 운동) 또한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칼날(100)은 아암부(12)에 단단히 거치된다. 아암부(12)는 구동부(13)에 결합된다. 구동부(13)는 수평 이동 레일(11) 위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즉, 칼날은 아암부에 거치된 채로 구동부를 통해 수평 이동 가능하다.
박피 대상물(20)은 회전축(14)에 의해 양단이 고정된 상태로 제자리에서 회전하도록 구비된다. 회전축의 회전방향이 도면에서 R로 표시된다. 즉, 박피 대상물은 R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박피 대상물을 회전체(20)로도 참조한다.
회전체는 무와 같은 채소일 수 있다.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조리 전 가공이 필요한 다양한 종류의 채소가 적용될 수 있다.
요컨대, 회전체(20)가 회전축(14)에 고정된 상태로 제자리에서 회전하고, 칼날(100)은 아암부(12)에 의해 거치된 상태로 양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회전체(20)의 표면을 깎아낸다. 이때, 칼날(100)은 슬라이딩 이동간 울통불퉁한 회전체의 표면에 직접 컨택하여 작용할 수 있도록(즉, 최대한 밀착되어 회전체의 표면을 깎아낼수 있도록) 상하로 기울어지는 회동(시소 운동)이나 좌우로 기울어지는 회동(틸팅 운동)이 가능하다.
도면에 도시된 xyz좌표계를 따르면, 칼날(100)은 x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고, x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하로 기울어지는 시소 운동이 가능하며, y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좌우로 기울어지는 틸팅 운동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러한 칼날의 슬라이딩 이동, 시소 운동 및 틸팅 운동이 아암부, 구동부 및 수평 이동 레일에 의해 달성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들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여러 가지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의 측면도를 보여준다. x방향을 회전축(C1)으로 하여 상하로 기울어지는 시소 운동이 보다 명확하게 도시된다. 상하로 기울어지는 각도가 도면에서 α로 도시된다. 각도량은 도면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더 크거나 작을 수 있다.
즉, 구동부(13)가 회전축(C1)을 기준으로 상하로 기울어지는 시소 운동을 하면, 구동부에 아암부를 통해 결합된 칼날(100)도 상하로 기울어지는 시소 운동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는 도 1의 칼날과 아암부를 중심으로 한 정면도를 보여준다. y축을 회전축(C2)으로 하여 좌우로 기울어지는 틸팅 운동이 보다 명확하게 도시된다. 좌우로 기울어지는 각도가 도면에서 β로 도시된다. 각도량은 도면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더 크거나 작을 수 있다.
즉, 아암부(12)가 회전축(C2)을 기준으로 좌우로 기울어지는 틸팅 운동을 하면, 아암부에 결합된 칼날(100)도 좌우로 기울어지는 틸팅 운동을 할 수 있다. 한편, 이를 위해, 아암부는 구동부에 베어링 등을 통해 틸팅 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날(100)은 수평 이동 레일(11), 아암부(12) 및 구동부(13)를 통해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x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고, 상하로 기울어지는 회동(x축을 회전축으로 하는 시소 운동)이 가능하며, 좌우로 기울어지는 회동(y축을 회전축으로 하는 틸팅 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그 아래로 위치하는 박피 대상물의 표면의 높이에 맞게 근접하고 밀착되어 일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껍질을 벗겨낼 수 있도록 한다. 상하 시소 운동을 통해 회전체의 표면에 근접할 수 있는 것이고, 상하 시소 운동 및 좌우 틸팅 운동에 의해 회전체의 표면 골곡에 맞게 밀착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칼날(100)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칼날은 핵심부품으로서 자동 박피 장치의 내구성을 높이고 자동 박피 장치의 설계를 간소화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칼날(100)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예리한 날 부분이 보이도록 도시된다.
도 6은 그 배면도를, 도 7은 그 좌측면도를, 그리고, 도 8은 그 우측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날(100)은 플랜지부들(110, 120) 및 작용부(130)를 포함한다.
플랜지부들(110, 120)은 제1 플랜지부(110) 및 제2 플랜지부(120)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플랜지부들은 박피 장치의 아암부에 결합되는 요소이다. 결합을 위해 플랜지부들을 관통하는 체결홀들(H)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홀들(H)에 대응하여 아암부에도 체결홀(h, 도 1 참조)들이 형성되고, 이러한 체결홀들을 통해 칼날은 아암부에 볼팅 체결될 수 있다. 칼날에는 체결홀만 형성되면 충분하므로 칼날의 구조를 간소화한다. 교체가 용이하면서도 박피 대상물의 규격에 따라 칼날의 설계변경을 용이하게 한다.
플랜지부들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세로 방향으로도 연장 형성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비스듬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플랜지부들은 아암부와의 결합을 위한 요소로서, 플랜지부들의 연장 형성 방향은 아암부 형상과의 관계에서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칼날의 플랜지부들의 아랫면(112, 122, 도 6 참조)이 아암부의 윗면(TS, 도 4 참조)을 마주하도록 장착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플랜지부들의 윗면(111, 121)이 아암부의 아랫면(BS)을 마주하도록 장착될 수도 있다. 다만, 전자는 아암부와 칼날 사이의 거리를 보다 짧게 하여 칼날이 회전체의 표면에 밀착시킬 때 필요한 외력을 보다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구조를 갖는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플랜지부들(110, 120)은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플랜지부들은 서로 동일한 평면에 놓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는 플랜지부들은 서로 평행한 평면에 놓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박피 과정 중에는 칼날과 박피 대상물 사이에 발생하는 저항이 크므로, 좌우 균형 배치를 통해 아암부에 결합됨으로써 저항에 대응하는 견고한 지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동일한 이유로, 플랜지부들에 형성되는 체결홀들(H)도 좌우 균형 배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용부(130)는 제1 플랜지부(110)로부터 하방 굴곡되어 제2 플랜지부(120)로 연장한다. 대체로 U자 형상을 갖는다. 반대로, 제2 플랜지부로부터 하방 굴곡되어 제1 플랜지부로 연장하는 것으로 보아도 무방하다.
작용부(130)는 측부 날부재들(132, 136), 하부 날부재(134) 및 굴곡 날부재들(133, 135)을 포함한다.
측부 날부재들은 제1 측부 날부재(132) 및 제2 측부 날부재(136)를 포함할 수 있다. 굴곡 날부재들은 제1 굴곡 날부재(133) 및 제2 굴곡 날부재(1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부 날부재(132)는 제1 플랜지부(110)의 내측단으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연장한다.
제2 측부 날부재(136)는 제2 플랜지부(120)의 내측단으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연장한다.
그리고, 하부 날부재(134)는 측부 날부재들(132, 136)을 서로 연결한다.
즉, 하부 날부재(134)는 제1 굴곡 날부재(133)를 통해 제1 측부 날부재(132)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한다. 그리고, 하부 날부재(134)는 제2 굴곡 날부재(135)를 통해 제2 측부 날부재(136)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한다.
전체적으로 U자 형상의 작용부는, 수직 요소들이 측부 날부재들(132, 136), 수평 요소가 하부 날부재(134), 그리고, 수직 요소와 수평 요소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 굴곡 날부재들(133, 135)로서 존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부 날부재들(132, 136)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하부 날부재(134)는 상술한 플랜지부들(110, 120)과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굴곡 날부재들(133, 135)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굴곡질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아래로 오목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작용부는 전체적으로 좌우 대칭형의 U자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계속하여,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작용부는 날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박피 대상물과 최초로 맞닿는 부분이 예리하게 형성된다. 예리하게 형성되는 부분을 도입부로 참조한다. 그리고 나머지 부분을 몸통부로 참조한다. 도입부의 각도가 도면에서 θ로 참조된다. 도입부의 외면이 경사짐으로써 θ가 도면상 -방향으로의 각도를 갖도록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반대로, 도입부의 내면이 경사짐으로써 예리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며, 이 경우 θ가 도면상 +방향으로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측부 날부재(132)는 예리한 도입부(1332)와 나머지인 몸통부(1334)를 갖는다. 제1 굴곡 날부재(133)는 예리한 도입부(1332)와 나머지인 몸통부(1334)를 갖는다. 하부 날부재(134)는 예리한 도입부(1342)와 나머지인 몸통부(1344)를 갖는다. 제2 굴곡 날부재(135)는 예리한 도입부(1352)와 나머지인 몸통부(1354)를 갖는다. 그리고, 제2 측부 날부재(136)는 예리한 도입부(1362)와 나머지인 몸통부(1364)를 갖는다.
다시 말해, 작용부를 구성하는 모든 요소들(제1 측부 날부재, 제1 굴곡 날부재, 하부 날부재, 제2 굴곡 날부재 및 제2 측부 날부재)은 그 끝이 날카롭게 형성되어 회전체를 깎는 날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작용부를 갖는 칼날은 자동 박피 장치에 적용시 날로서 작용하는 범위를 최대화시킨다. 작용부의 모든 요소들이 회전체의 표면을 깎기 위해 날로 작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칼날은 슬라이딩 이동간 울통불퉁한 회전체의 표면에 직접 컨택하여 작용할 수 있도록(즉, 최대한 밀착되어 회전체의 표면을 깎아낼수 있도록) 상하로 기울어지는 회동(시소 운동)이나 좌우로 기울어지는 회동(틸팅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칼날은 이러한 회동간에 날로 작용할 수 있는 범위가 최대화된다. 회전체의 박피 표면에 작용하는 모든 요소들(제1 측부 날부재, 제1 굴곡 날부재, 하부 날부재, 제2 굴곡 날부재 및 제2 측부 날부재)이 날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칼날이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회전체를 박피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면상 왼쪽에서부터 박피를 시작하여 오른쪽으로 진행해 나간다.
칼날이 지나온 과거의 위치를 점선으로, 현재의 위치를 실선으로 도시한다. 그리고, 회전체(20)의 박피 전 외곽라인이 점선으로, 박피 후 외곽라인이 실선으로 도시된다. 회전체의 박피 깊이가 도면부호 PD로 표시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칼날이 적용된 경우에는, 칼날(100)의 작용부(120)를 구성하는 모든 요소들(132 내지 136)이 예리한 도입부를 갖고 있으므로, 어떠한 틸팅 각도(β)에서도 회전체의 표면에 적용되어 박피가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일례로, 아암부(12)가 회전체(20)의 표면과 간섭하지 않는 최소의 틸팅 각도(β1)에서도 박피가 가능하다. 즉, 하부 날부재(134)와 제1 굴곡 날부재(133)가 회전체의 표면에 작용하여 박피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아암부의 두께가 크게 도시되었지만(따라서 제1 측부 날부재(132)가 박피 표면에 작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측부 날부재가 노출되도록 아암부의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제1 측부 날부재(132) 또한 박피에 관여할 수 있다. 작용부의 모든 요소들이 예리한 날 형상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플랜지부와 아암부의 결합이 도면에 도시된 것과 다르게, 플랜지부의 윗면이 아암부의 아랫면과 마주하도록 결합된다면 제1 측부 날부재(132)가 완전히 노출되므로 박피 표면에 작용하기 더욱 유리하다.
박피가 거의 완료되어 빠져나가는 시점인 우측 실선으로 도시된 칼날을 참조하면, 이때에도 아암부(12)가 회전체(20)의 표면과 간섭하지 않는 최소의 틸팅 각도(β2)에서도 박피가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하부 날부재(134)와 제2 굴곡 날부재(135)가 회전체의 표면에 작용하여 박피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측부 날부재(136)도 아암부의 두께가 얇게 형성되면 아암부의 밖으로 노출됨으로써 박피 표면에 작용할 수 있다.
만약 측부 날부재들이 도입부를 갖고 있지 않다면 측부 날부재들로는 박피를 진행할 수 없으므로 그만큼 더 큰 틸팅 각도를 가져야 한다. 나아가 굴곡 날부재들도 도입부를 갖고 있지 않다면 그보다 더 큰 틸팅 각도를 가져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아암부(또는 플랜지부)가 회전체와 간섭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틸팅 각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아암부의 두께에 관한 언급과 유사하게,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플랜지부의 폭이 다소 크게 도시되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플랜지부의 폭은 아암부와의 견고한 체결을 위해 필요한 면적만 확보되면 충분하다. 즉, 아암부와의 견고한 체결을 위해 필요한 면적만 확보되는 범위 내에서는 회전체와 간섭하지 않도록 보다 짧게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칼날의 회동 각도를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좌우로 기울어지는 회동 각도를 최소화하면서 원하는 박피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는 회동 반경을 최소화함으로써 박피 장치의 설계를 간소히 한다. 또한 빅피 장치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박피 압력을 한 곳으로 집중시켜 박피의 효율 및 수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회동 각도를 최소화한다는 것은 칼날의 플랜지부의 폭을 최대화하는 설계가 가능함을 의미한다. 이는 플랜지부와 박피 장치의 결속을 보다 견고히 함으로써 무와 같은 단단한 채소에 대해 박피 작업을 오랫동안 지속하더라도 장치의 불량 발생률을 줄이고 내구성을 높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록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자동 박피 장치
11 : 수평 이동 레일
12 : 아암부
13 : 구동부
14 : 회전축
20 : 박피 대상물, 회전체
100 : 칼날
110 : 제1 플랜지부
120 : 제2 플랜지부
111, 121 : 플랜지부의 윗면
112, 122 : 플랜지부의 아랫면
H :체결홀들
130 : 작용부
132 : 제1 측부 날부재
133 : 제1 굴곡 날부재
134 : 하부 날부재
135 : 제2 굴곡 날부재
136 : 제2 측부 날부재
1322, 1332, 1342, 1352, 1362 : 도입부
1324, 1334, 1344, 1354, 1364 : 몸통부
h : 체결홀들
PD : 박피 깊이

Claims (10)

  1. 대상물을 박피하는 자동 박피 장치에 적용되는 칼날에 있어서,
    좌우에 마련되는 나란한 제1 및 제2 플랜지부들; 및
    상기 제1 플랜지부로부터 하방 굴곡되어 상기 제2 플랜지부로 연장하는 작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작용부는,
    상기 제1 플랜지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제1 측부 날부재;
    제1 굴곡 날부재를 통해 상기 제1 측부 날부재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하부 날부재; 및
    제2 굴곡 날부재를 통해 상기 하부 날부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여 상기 제2 플랜지부로 이어지는 제2 측부 날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플랜지부들은 서로 동일한 평면에 놓이며,
    상기 제1 및 제2 플랜지부들과 상기 하부 날부재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대상물은 제자리에서 회전하는 회전체이고, 상기 칼날은 상기 회전체에 직접 작용하여 상기 회전체를 박피하며,
    상기 칼날은 상기 회전체의 외면을 따르는 이동 괘적을 갖도록 상하로 기울어지는 회동 운동, 좌우로 기울어지는 회동 운동 및 수평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칼날의 상기 이동 괘적을 따르는 이동간에 상기 제1 측부 날부재, 제1 굴곡 날부재, 하부 날부재, 제2 굴곡 날부재 및 제2 측부 날부재 중 하나 이상이 상기 회전체의 박피면에 작용하는, 자동 박피 장치용 칼날.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부 날부재와 상기 제2 측부 날부재는 서로 평행한, 자동 박피 장치용 칼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굴곡 날부재와 상기 제2 굴곡 날부재는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굴곡진, 자동 박피 장치용 칼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박피 장치는 상기 칼날의 거치를 위한 아암부를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부들에는 상기 아암부와의 체결을 위한 관통형의 체결홀들이 형성되는, 자동 박피 장치용 칼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들은 그 아랫면이 상기 아암부의 윗면에 마주하도록 체결되는, 자동 박피 장치용 칼날.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은 제자리에서 회전하는 회전체이고, 상기 칼날은 상기 회전체에 직접 작용하여 상기 회전체를 박피하는 자동 박피 장치용 칼날.
  9. 대상물을 박피하는 자동 박피 장치에 적용되는 칼날에 있어서,
    좌우에 마련되는 나란한 제1 및 제2 플랜지부들; 및
    상기 제1 플랜지부로부터 하방 굴곡되어 상기 제2 플랜지부로 연장하는 작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작용부는,
    상기 제1 플랜지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제1 측부 날부재;
    제1 굴곡 날부재를 통해 상기 제1 측부 날부재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하부 날부재; 및
    제2 굴곡 날부재를 통해 상기 하부 날부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여 상기 제2 플랜지부로 이어지는 제2 측부 날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대상물은 제자리에서 회전하는 회전체이고, 상기 칼날은 상기 회전체에 직접 작용하여 상기 회전체를 박피하며,
    상기 칼날은 상기 회전체의 외면을 따르는 이동 괘적을 갖도록 상하로 기울어지는 회동 운동, 좌우로 기울어지는 회동 운동 및 수평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칼날의 상기 이동 괘적을 따르는 이동간에 상기 제1 측부 날부재, 제1 굴곡 날부재, 하부 날부재, 제2 굴곡 날부재 및 제2 측부 날부재 중 하나 이상이 상기 회전체의 박피면에 작용하는, 자동 박피 장치용 칼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의 상기 이동 괘적을 따르는 이동간에 상기 제1 측부 날부재, 제1 굴곡 날부재, 하부 날부재, 제2 굴곡 날부재 및 제2 측부 날부재 중 2 이상이 상기 회전체의 박피면에 작용하는, 자동 박피 장치용 칼날.
KR1020180145262A 2018-11-22 2018-11-22 자동 박피 장치용 칼날 KR101987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262A KR101987602B1 (ko) 2018-11-22 2018-11-22 자동 박피 장치용 칼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262A KR101987602B1 (ko) 2018-11-22 2018-11-22 자동 박피 장치용 칼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7602B1 true KR101987602B1 (ko) 2019-06-10

Family

ID=66848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5262A KR101987602B1 (ko) 2018-11-22 2018-11-22 자동 박피 장치용 칼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76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574Y1 (ko) 2022-01-24 2022-06-29 손일식 육류의 표피 제거용 박피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44517B2 (ja) * 2005-06-02 2011-08-10 シャープ株式会社 フィルム切断剥離用刃物およびフィルム切断剥離装置
KR101463555B1 (ko) * 2013-11-08 2014-11-20 반중권 과일용 박피기의 컷팅장치
KR101832391B1 (ko) * 2016-04-15 2018-02-26 조인남 무 껍질 제거장치
JP6403856B1 (ja) * 2017-10-25 2018-10-10 株式会社レーベン販売 調理器具用刃部材及び調理器具
KR20180121728A (ko) * 2017-04-28 2018-11-08 송낙호 감 탈피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44517B2 (ja) * 2005-06-02 2011-08-10 シャープ株式会社 フィルム切断剥離用刃物およびフィルム切断剥離装置
KR101463555B1 (ko) * 2013-11-08 2014-11-20 반중권 과일용 박피기의 컷팅장치
KR101832391B1 (ko) * 2016-04-15 2018-02-26 조인남 무 껍질 제거장치
KR20180121728A (ko) * 2017-04-28 2018-11-08 송낙호 감 탈피장치
JP6403856B1 (ja) * 2017-10-25 2018-10-10 株式会社レーベン販売 調理器具用刃部材及び調理器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574Y1 (ko) 2022-01-24 2022-06-29 손일식 육류의 표피 제거용 박피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85061C (en) Fruit and vegetable peeler
KR101987602B1 (ko) 자동 박피 장치용 칼날
JP2006519071A5 (ko)
JP2000201805A (ja) 野菜の皮剥き装置
CN206995060U (zh) 一种紧密贴合刀头水果削皮机
CN108990578A (zh) 一种园林用景观树修剪装置
JPH01309672A (ja) 果実の皮むき装置
EP0467733B1 (fr) Appareil à épiler à brosse
RU2518858C2 (ru) Несущий элемент для бритвен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содержащего пары из режущего элемента и поднимающего волоски элемента
CN109511994A (zh) 一种椰子剥衣装置
CN205142899U (zh) 一种可调距扶叶的采茶机
KR102270312B1 (ko) 자동 박피 장치
JP2001069852A (ja) 苗剪定装置
JP3026002B2 (ja) 玉葱の加工器
HU221143B1 (en) Harvester and conveyor equipment for plants with stem
CN102753059B (zh) 洋葱去皮装置
JP5436946B2 (ja) 農産物切断装置
EP4101273A1 (en) A weeding mechanism and a weeding vehicle including the weeding mechanism
CN109480301A (zh) 一种椰子剥衣设备
SU1741629A1 (ru) Фрезерное почвообрабатывающее орудие
CN215991961U (zh) 一种农业种植用除草机
CN217471784U (zh) 一种自动炒菜装置
CN213343379U (zh) 一种微型农业除草装置
JP5144466B2 (ja) ピーラー
CN209474409U (zh) 胶囊及烹饪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