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7493B1 - 스몰 오버랩 대응 보강부재 및 스몰 오버랩 충돌 대응 방법 - Google Patents

스몰 오버랩 대응 보강부재 및 스몰 오버랩 충돌 대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7493B1
KR101987493B1 KR1020130132096A KR20130132096A KR101987493B1 KR 101987493 B1 KR101987493 B1 KR 101987493B1 KR 1020130132096 A KR1020130132096 A KR 1020130132096A KR 20130132096 A KR20130132096 A KR 20130132096A KR 101987493 B1 KR101987493 B1 KR 101987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reinforcing member
white
side inner
coll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2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0886A (ko
Inventor
최선기
김석주
이영호
곽경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2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7493B1/ko
Publication of KR20150050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0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7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7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36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side panels, sills or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2Side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1Cow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바디 인 화이트(BIW, Body in white) 차체에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바디 인 화이트의 코울(Cowl)과 사이드 인너(Side INR) 사이의 접합 부위에 설치되어, 차량의 충돌시의 하중을 차량의 진행방향에 수직인 종방향으로 분산시켜, 차량의 스몰 오버랩 (Small overlap) 충돌시에도 차량의 바디 인 화이트 차체의 강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몰 오버랩 대응 보강부재 및 스몰 오버랩 충돌 대응 방법 {A reinforcing member for small overlap and a reinforcing method for small overlap collision}
본 발명은 자동차의 차체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몰 오버랩(Small Overlap) 충돌에 강한 자동차의 차체 구조 및 이러한 충돌에의 대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이 증가함에 따라 자동차 사고의 증가도 피할 수 없게 되었다. 자동차 사고로 인한 경제적 손실뿐 아니라, 인명피해의 범위도 나날이 커져서 2002년 국내 기준 약 4조 5000억원에 이르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자동차 사고로 인한 피해가 크기 때문에 제도적 보완 뿐만 아니라 인명의 손실을 줄일 수 있는 기술 개발과 안전한 차체 개발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러한 기술 개발과 안전도 시험을 위해 자동차 제작사들은 실차충돌시험, 대차충돌시험, 대상충격시험, 정적강도시험 등을 하고 있다.
이러한 시험 중에서 차체의 안전 구조물을 빗겨나가게끔 충돌시켜서 현실의 충돌 상황과 가장 유사한 상황에서 차체의 안전을 실험하는 시험 방법으로 스몰 오버랩(Small Overlap) 시험이 있다. 스몰 오버랩 시험은 시속 64 킬로미터(Km)의 속도로 차량을 주행시켜 차체 전면부의 25 퍼센트(%)만을 고정 장애물과 충돌시켜서 차체의 안정성을 확인하는 시험이다.
도면 8도는 기존의 차량의 차체에서 스몰 오버랩 시험을 하였을 경우 충격이 전달되는 경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8도 상에서 하중으로 인가된 충격이 바디 인 화이트(BIW, Body In White)를 타고서 전달되는 경로는 화살표로 표시되었다. 바디 인 화이트란 자동차의 도어나 후드, 그리고 파워트레인이나 샤시를 뺀 부분으로서 자동차의 뼈대라고 할 수 있는 핵심 구조체를 말한다.
스몰 오버랩 시험에서 차량의 정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은 크게 도면 8도의 화살표와 같이 코울(Cowl, 1)에서 대시(Dash, 3)를 거쳐서 사이드 인너(Side Inr, 2)로 전달되거나, 코울(1)에서 사이드 인너(2)로 전달되는 경로를 거치게 된다.
도면 9도는 기존의 차량의 차체 구조에서 대시(3)와 사이드 인너(20) 사이의 연결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기존의 차체 구조에서 코울(1), 대시(3), 사이드 인너(2)와 레인프 브라켓(Reinf BRKT)사이의 연결은 볼트로 이루어져 있다.(J1) 그리고, 그 아래로는 코울(1), 대시(3), 사이드 인너(2)만이 볼트로 연결되어 있으며(J2), 이 연결부위에서는 레인프 브라켓(40)은 함께 연결되지 않는다. 또한, 이러한 연결 구조 속에서 코울(1), 대시(2) 그리고 사이드 인너(2)간에 비용접 구간이 있었다.(J3)
이러한 기존 차체 구조에서는 코울(1)과 사이드 인너(2) 사이의 연결구조가 미확보되어 있고, 대시(3)와 사이드 인너(2)간의 연결구조가 단지 볼트만으로 미흡하게 이루어져 있어서 비용접 구간이 과다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구조상의 문제점은 코울(1), 사이드 인너(2) 그리고 대시(3)간의 연결 구조가 모두 횡방향으로 되어 있어서, 스몰 오버랩 충돌 시험에서 종방향으로 충돌 에너지를 전달하지 못하여 도면 10도와 도면 11도와 같이 대시(3)와 사이드 인너(2) 사이의 용접점이 분리되어 스몰 오버랩 충돌 시험시 성능 평가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스몰 오버 랩 충돌시의 하중을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분산시켜 차량 차체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자동차 차체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바디 인 화이트(BIW, Body in white) 차체에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상기 바디 인 화이트의 코울(Cowl)과 사이드 인너(Side INR) 사이의 접합 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충돌시의 하중을 상기 차량의 진행방향에 수직인 종방향으로 분산시켜, 상기 차량의 스몰 오버랩 (Small overlap) 충돌시에도 상기 차량의 바디 인 화이트 차체의 강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몰 오버랩 대응 보강부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스몰 오버랩 대응 보강부재는 상기 바디 인 화이트의 코울과 사이드 인너를 지면으로부터 평행인 횡방향으로 결합시키는 동시에 상기 바디 인 화이트의 대시와 사이드 인너를 횡방향으로 연결시켜 상기 차량의 충돌시의 하중을 상기 차량의 진행방향에 수직인 종방향으로 분산시키는 제1 보강부재; 상기 제1 보강부재, 상기 바디 인 화이트의 사이드 인너와 사이드 아웃터 레인프(Side Outer Reinf)를 결합시키는 동시에 상기 바디 인 화이트의 대시와 결합되는 제2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몰 오버랩 대응 보강부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바디 인 화이트의 코울, 사이드 인너, 사이더 아웃터 레인프 및 대시와 상기 제1 보강부재, 상기 제2 보강부재 사이의 결합은 볼트나 너트 또는 용접을 통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몰 오버랩 대응 보강부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보강부재는 상기 차량의 바디 인 화이트의 카울과 사이드 인너의 접합 부위에 설치되기 위하여, ?트나 너트를 이용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나 이상의 개구부들과 용접면을 구비하고; 상기 차량의 충돌시의 하중을 상기 차량의 진행방향에 수직인 종방향으로 분산시키기 위하여, 상기 바디 인 화이트의 코울과 사이드 인너의 접합 부분의 상측에서부터 상기 바디 인 화이트의 대시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몰 오버랩 대응 보강부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 보강부재는 상기 차량의 바디 인 화이트의 카울과 사이드 인너의 접합 부위에 설치되기 위하여 볼트나 너트를 이용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나 이상의 개구부들을 구비하고; 상기 차량의 충돌시의 하중을 상기 차량의 진행방향에 수직인 종방향으로 분산시키기 위하여, 상기 바디 인 화이트의 코울과 사이드 인너의 접합 부분의 상측에서부터 상기 바디 인 화이트의 대시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몰 오버랩 대응 보강부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차량이 주행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정면부가 외부 물체와 충돌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충돌시의 하중이 상기 차량의 정면부로부터 전달되는 단계; 및 상기 전달된 충돌시의 하중이 상기 차량의 코울과 사이드 인너 사이에 설치된 스몰 오버랩 대응 보강부재에 의하여, 상기 차량의 진행방향에 수직인 종방향으로 분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몰 오버랩 충돌 대응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전달된 충돌시의 하중이 상기 차량의 코울과 사이드 인너 사이에 설치된 스몰 오버랩 대응 보강부재에 의하여, 상기 차량의 진행방향에 수직인 종방향으로 분산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코울과 사이드 인너 사이에 설치된 제1 보강부재와 제 2 보강부재를 통하여 상기 차량의 진행방향에 수직인 종방향으로 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몰 오버랩 충돌 대응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차량의 정면부가 외부 물체와 충돌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정면부의 25 퍼센트(%)가 외부 물체와 충돌하는 스몰 오버랩 충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몰 오버랩 충돌 대응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몰 오버랩 보강부재는 스몰 오버랩 충돌을 포함한 차량의 충돌시, 차량 정면부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종방향으로 분산시킴으로써, 차량의 차체구조의 강성을 증강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면 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몰 오버랩 보강부재가 차량의 바디 인 화이트에 설치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2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몰 오버랩 보강부재의 제1 보강부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3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몰 오버랩 보강부재의 제2 보강부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4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몰 오버랩 보강부재의 제1 보강부재와 제2 보강부재가 차량의 바디 인 화이트에 설치되어 있는 모습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 5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몰 오버랩 보강부재의 제1 보강부재와 제2 보강부재 사이의 연결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6도는 도면 5도의 스몰 오버랩 보강부재의 A-A'의 단면을 상부에서 바라본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7도는 도면 5도의 스몰 오버랩 보강부재의 B-B'의 단면을 상부에서 바라본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8도는 기존의 차량의 차체에서 스몰 오버랩 시험을 하였을 경우 충격이 전달되는 경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9도는 기존의 차량의 차체 구조에서 대시와 사이드 인너 사이의 연결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0도는 스몰 오버랩 충돌시 기존의 차량의 차체 구조가 파손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1도는 스몰 오버랩 충돌시 기존의 차량의 차체 구조가 파손된 모습을 다른 각도에서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 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몰 오버랩 보강부재가 차량의 바디 인 화이트에 설치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차량의 정면부의 약 25% 정도만 충돌시키는 스몰 오버랩 충돌은 차체의 안전 구조물을 빗겨나가게끔 충돌시켜서 가장 현실적인 차량 충돌 상황을 연출하는 충돌 테스트이다. 이런 스몰 오버랩 충돌시에 차량의 정면부로부터 발생하는 하중은 도면 1도의 화살표와 같이 전달되게 된다. 기존의 차량의 차체구조는 이러한 스몰 오버랩 충돌시의 하중이 주로 충돌 전면부에서 후면으로 직진성을 가지고 전달되는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충돌 에너지를 적절히 분산시키지 못하여 차량의 차체가 과다하게 파손되어 차량 내부의 운전자 등을 충분히 보호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스몰 오버랩 보강부재는 이러한 스몰 오버랩 충돌을 포함하여, 차량의 정면부에서 전달되는 전달되는 하중을 종방향으로 분산시켜서 차량의 차체가 파손되어 운전자 등이 상해를 입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몰 오버랩 보강부재는 차량의 차체의 바디 인 화이트의 코울(Cowl)과 사이드 인너(Side INR)가 결합되는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바디 인 화이트의 코울(또는 '카울'이라고 함)은 프런트 윈도와 연결되는 앞쪽 패널 부분을 가르키는 것이며, 사이드 인너는 바디 인 화이트의 옆 측면으로서 도어 등이 설치되는 부분을 가르킬 수 있다. 바디 인 화이트의 코울과 사이드 인너가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스몰 오버랩 보강부재는 두 개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 부재는 서로 약간씩 오버랩하도록 하여 설치될 수 있다.
도면 2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몰 오버랩 보강부재의 제1 보강부재(100)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1 보강부재(100)은 충돌시 차량의 정면부로부터의 하중을 차량의 진행방향과 수직인 종방향으로 분산시키기 위하여 세로로 길게 연장되는 모습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1 보강부재(100)의 외곽선은 코울, 사이드 인너, 그리고 코울의 하부와 사이드 인너 사이에 설치되는 대시(Dash)에 딱 맞아떨어지는 형상을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1 보강부재(100)에는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개구부와 용접 작업을 통하여 제1 보강부재(100)는 코울, 사이드 인너, 대시와 결합되어 차량의 차체를 지지할 수 있다.
도면 3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몰 오버랩 보강부재의 제2 보강부재(200)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2 보강부재(200)도 충돌시 차량의 정면부로부터의 하중을 차량의 진행방향과 수직인 종방향으로 분산시키기 위하여 세로로 길게 연장되는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보강부재(200)의 외곽선은 제1 보강부재(100), 코울, 대시 그리고 사이드 인너와 밀착되게 부착될 수 있는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제2 보강부재(200)도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보강부재(200)는 대시, 사이드 인너, 제1 보강부재(100) 및 사이드 아웃터 레이프(Side Outer REINF)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면 4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몰 오버랩 보강부재의 제1 보강부재(100)와 제2 보강부재(200)가 차량의 바디 인 화이트에 설치되어 있는 모습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2 보강부재(200)가 코울과 사이드 인너가 접하는 부분에 먼저 설치되고, 그 위에 제1 보강부재(100)가 제2 보강부재(200)와 일부만 오버랩되도록 하여 설치될 수 있다.
도면 5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몰 오버랩 보강부재의 제1 보강부재(100)와 제2 보강부재(200)사이의 연결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2 보강부재(200)는 제1 보강부재(100), 사이드 인너 그리고 사이드 아웃터 레인프를 볼팅 결합(J20)으로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대시와 사이드 인너 사이의 연결도 역시 볼팅 결합(J20)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보강부재(200)의 볼팅 결합(J20)중 일부분만이 제1 보강부재(100)와의 볼팅 결합에 사용될 수 있다.
제1 보강부재(100)는 코울, 사이드 인너, 대시 그리고 제2 보강부재(200)를 볼팅 결합(J20), 너팅 결합(J10) 그리고 용접 결합(J30)을 통하여 연결할 수 있다. 제1 보강부재(100)와 코울 사이의 연결은 너팅 결합(J10)을 통하여 이루어지며, 제1 보강부재(100)와 대시 사이의 연결은 용접 결합(J30)을 통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보강부재(200)와 제1 보강부재(100)의 연결은 볼팅 결합(J20)을 통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러한 결합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몰 오버랩 보강부재의 제1 보강부재(100)와 제2 보강부재(200)를 적절히 차량의 바디 인 화이트에 결합시킬 수 있으면 다른 결합방법으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면 6도는 도면 5도의 스몰 오버랩 보강부재의 A-A'의 단면을 상부에서 바라본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차량의 바디 인 화이트의 코울과 사이드 인너의 상측에서는 제1 보강부재(100)와 제2 보강부재(200)는 너팅 결합(J10)과 볼팅 결합(J20)을 통하여 결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측이라 하면, 차량의 차체의 바디 인 화이트 구조에서 지면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있는 부분을 지칭하는 용어일 수 있다.
도면 7도는 도면 5도의 스몰 오버랩 보강부재의 B-B'의 단면을 상부에서 바라본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차량의 바디 인 화이트 차체 구조의 하측인 대시가 설치되는 부분에서, 제1 보강부재(100)와 제2 보강부재(200)는 볼팅 결합(J20)과 용접 결합(J30)을 통하여 코울과 사이드 인너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을 통하여, 제1 보강부재(100)는 카울과 사이드 인너를 연결하는 횡방향 부재의 역할 뿐 아니라, 대시와 사이드 인너를 이어주는 대시와도 용접 밀 볼팅 연결되어 종방향으로 하중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보강부재(200)는 제1 보강부재(100)를 보강해 주고, 사이드 인너와 사이드 아웃터 레인프를 연결시키고, 대시에 마운팅되어, 역시 횡방향의 충격 하중을 종방향으로 분산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몰 오버랩 보강부재는 이러한 보강 구조를 통하여 충돌시의 하중의 전달경로를 추가적으로 확보하고, 충돌시 전달되는 에너지를 분산시켜 차량의 차체의 충돌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사이드와 언더 바디(Under body)의 연결구조로 인하여 차량의 바디 인 화이트의 강성이 증대되는 효과(비틀림, 정강성, 동강성이 향상됨)를 기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코울
2 : 사이드 인너
3 : 대시
100 : 제1 보강부재
200 : 제2 보강부재
J10 : 너팅 결합
J20 : 볼팅 결합
J30 : 용접 결합

Claims (8)

  1. 차량의 바디 인 화이트(BIW, Body in white) 차체에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상기 바디 인 화이트의 코울(Cowl)과 사이드 인너(Side INR) 사이의 접합 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충돌시의 하중을 상기 차량의 진행방향에 수직인 종방향으로 분산시켜, 상기 차량의 스몰 오버랩 (Small overlap) 충돌시에도 상기 차량의 바디 인 화이트 차체의 강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바디 인 화이트의 코울과 사이드 인너를 지면으로부터 평행인 횡방향으로 결합시키는 동시에 상기 바디 인 화이트의 대시와 사이드 인너를 횡방향으로 연결시켜 상기 차량의 충돌시의 하중을 상기 차량의 진행방향에 수직인 종방향으로 분산시키는 제1 보강부재;
    상기 제1 보강부재, 상기 바디 인 화이트의 사이드 인너와 사이드 아웃터 레인프(Side Outer Reinf)를 결합시키는 동시에 상기 바디 인 화이트의 대시와 결합되는 제2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몰 오버랩 대응 보강부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인 화이트의 코울, 사이드 인너, 사이더 아웃터 레인프 및 대시와 상기 제1 보강부재, 상기 제2 보강부재 사이의 결합은 볼트나 너트 또는 용접을 통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몰 오버랩 대응 보강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부재는
    상기 차량의 바디 인 화이트의 코울과 사이드 인너의 접합 부위에 설치되기 위하여, ?트나 너트를 이용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나 이상의 개구부들과 용접면을 구비하고;
    상기 차량의 충돌시의 하중을 상기 차량의 진행방향에 수직인 종방향으로 분산시키기 위하여, 상기 바디 인 화이트의 코울과 사이드 인너의 접합 부분의 상측에서부터 상기 바디 인 화이트의 대시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몰 오버랩 대응 보강부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강부재는
    상기 차량의 바디 인 화이트의 코울과 사이드 인너의 접합 부위에 설치되기 위하여 볼트나 너트를 이용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나 이상의 개구부들을 구비하고;
    상기 차량의 충돌시의 하중을 상기 차량의 진행방향에 수직인 종방향으로 분산시키기 위하여, 상기 바디 인 화이트의 코울과 사이드 인너의 접합 부분의 상측에서부터 상기 바디 인 화이트의 대시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몰 오버랩 대응 보강부재.
  6. 차량이 주행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정면부가 외부 물체와 충돌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충돌시의 하중이 상기 차량의 정면부로부터 전달되는 단계;
    상기 전달된 충돌시의 하중이 상기 차량의 코울과 사이드 인너 사이에 설치된 스몰 오버랩 대응 보강부재에 의하여, 상기 차량의 진행방향에 수직인 종방향으로 분산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스몰 오버랩 대응 보강부재는,
    상기 차량의 바디 인 화이트의 코울과 사이드 인너를 지면으로부터 평행인 횡방향으로 결합시키는 동시에 상기 바디 인 화이트의 대시와 사이드 인너를 횡방향으로 연결시켜 상기 차량의 충돌시의 하중을 상기 차량의 진행방향에 수직인 종방향으로 분산시키는 제1 보강부재;
    상기 제1 보강부재, 상기 바디 인 화이트의 사이드 인너와 사이드 아웃터 레인프(Side Outer Reinf)를 결합시키는 동시에 상기 바디 인 화이트의 대시와 결합되는 제2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몰 오버랩 충돌 대응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된 충돌시의 하중이 상기 차량의 코울과 사이드 인너 사이에 설치된 스몰 오버랩 대응 보강부재에 의하여, 상기 차량의 진행방향에 수직인 종방향으로 분산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코울과 사이드 인너 사이에 설치된 제1 보강부재와 제 2 보강부재를 통하여 상기 차량의 진행방향에 수직인 종방향으로 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몰 오버랩 충돌 대응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정면부가 외부 물체와 충돌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정면부의 25 퍼센트(%)가 외부 물체와 충돌하는 스몰 오버랩 충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몰 오버랩 충돌 대응 방법.

KR1020130132096A 2013-11-01 2013-11-01 스몰 오버랩 대응 보강부재 및 스몰 오버랩 충돌 대응 방법 KR101987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2096A KR101987493B1 (ko) 2013-11-01 2013-11-01 스몰 오버랩 대응 보강부재 및 스몰 오버랩 충돌 대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2096A KR101987493B1 (ko) 2013-11-01 2013-11-01 스몰 오버랩 대응 보강부재 및 스몰 오버랩 충돌 대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0886A KR20150050886A (ko) 2015-05-11
KR101987493B1 true KR101987493B1 (ko) 2019-06-10

Family

ID=53388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2096A KR101987493B1 (ko) 2013-11-01 2013-11-01 스몰 오버랩 대응 보강부재 및 스몰 오버랩 충돌 대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74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7273B1 (ko) 2018-11-23 2023-08-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차체구조물
US11180196B2 (en) 2019-01-14 2021-11-23 Fca Us Llc Structural joining part for sorb impact event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37288A (ja) * 2009-08-06 2011-02-24 Mazda Motor Corp 車両のカウル部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37288A (ja) * 2009-08-06 2011-02-24 Mazda Motor Corp 車両のカウル部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0886A (ko) 2015-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29135B2 (ja) 自動車の側部車体構造
CN111169547B (zh) 车身传力结构及汽车
US7954884B2 (en) Structure of vehicle end section
JP2013063758A (ja) 車体構造および車体の製造方法
JP5598596B2 (ja) 前部車体構造
US10710636B2 (en) Vehicle front portion structure
JP6254872B2 (ja) 車体フレーム構造
CN113954970A (zh) 一种车身前部框架结构
JP2021095114A (ja) 前部車体補強構造物
CN203651909U (zh) 一种具有副车架的承载式车身
KR101987493B1 (ko) 스몰 오버랩 대응 보강부재 및 스몰 오버랩 충돌 대응 방법
CN100532143C (zh) 牵引钩安装结构
US11084533B2 (en) Vehicle body structure of vehicle
CN111169268B (zh) 电池包侧碰保护框架及汽车
JP5509265B2 (ja) 車体前部構造
CN102673428A (zh) 汽车及其后排整体式座椅
US20220402550A1 (en) Vehicle cradle assembly with impact detachment script
CN201842044U (zh) 一种汽车前保险杠结构
JP2016187991A (ja) 車両の前輪懸架構造
US20230148335A1 (en) Vehicle with crash impact absorbing arrangement
KR101592115B1 (ko) 자동차용 리어 임팩트 빔 결합구조
CN111169267B (zh) 电池包保护框架及汽车
CN103158788B (zh) 汽车前地板和汽车
CN103522968A (zh) 前防撞梁组件及具有其的车辆
CN202368679U (zh) 汽车前地板和汽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