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7298B1 - 답력 조절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답력 조절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7298B1
KR101987298B1 KR1020130008143A KR20130008143A KR101987298B1 KR 101987298 B1 KR101987298 B1 KR 101987298B1 KR 1020130008143 A KR1020130008143 A KR 1020130008143A KR 20130008143 A KR20130008143 A KR 20130008143A KR 101987298 B1 KR101987298 B1 KR 101987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pedal
adjusting
leg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8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5312A (ko
Inventor
최호진
이광기
차홍준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8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7298B1/ko
Publication of KR20140095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5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7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7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60K26/021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with means for providing feel, e.g. by changing pedal force characteristic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38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comprising means to continuously detect ped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Arrangement And Mounting Of Devices That Control Transmission Of Motive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답력 조절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페달을 밟는 위치와 차량의 주행 상태 등을 고려하여 용이하게 답력을 조절할 수 있는 답력 조절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답력 조절 장치는 차량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페달 암, 상기 페달 암의 일단에 연결되는 페달 패드, 상기 페달 패드의 일단에 연결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을 조절하여 상기 페달 패드에서 발생되는 답력의 크기를 조절하는 답력 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답력 조절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of pedal effort}
본 발명은 답력 조절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페달을 밟는 위치와 차량의 주행 상태 등을 고려하여 용이하게 답력을 조절할 수 있는 답력 조절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구비된 가속 페달은 운전자가 페달을 밟는 힘에 의해 페달이 회전하는 각도에 따라서 엔진에 흡입되는 공기량이나 엔진에 분사되는 연료량을 조절하여 차량을 가속시키는 장치이다.
운전자가 가속 페달을 밟거나 놓는 경우에는 답력이 발생하게 되며, 발생되는 답력은 링크 또는 케이블 등을 매개로 엔진으로 전달되어 차량의 속도가 조절되거나, 답력에 의해 페달이 회전 시 페달과 결합된 센서 레버가 함께 회전하여 그 출력값을 엔진 제어부로 보내어 전자식으로 차량의 속도를 조절한다.
한편, 가속 페달은 운전자가 페달을 밟을 때의 답력과 운전자가 페달을 밟지 않고 놓아줄 때의 답력을 다르게 함으로써, 가속 페달의 조작 시 운전자가 느끼는 피로도를 크게 줄여줄 수 있는 히스테리시스(hysteresis) 발생 장치가 함께 구비되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다.
이러한 가속 페달은 운전자가 페달 전체를 골고루 밟을때에 비하여 일측으로 치우지도록 밟은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더 큰 답력이 발생하여 운전자의 피로도가 증가하게 되며, 이와 더불어 차량이 시내 주행과 같이 지속적으로 가다 서다를 반복하는 경우 답력을 조절하지 않게 되면 운전자의 피로도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운전자가 페달을 밟는 위치나 차량의 주행 상태를 고려하여 운전자의 발에 가해지는 답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31272호 (2004.04.13)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운전자가 페달을 밟는 위치나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페달 암의 일단에 연결되는 페달 패드와 연결되는 탄성 부재의 탄성력을 조절하여 답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답력 조절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운전자의 취향에 따라 페달 패드에 연결되는 탄성 부재의 탄성력을 조절하여 최적의 답력을 제공할 수 있는 답력 조절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답력 조절 장치는 차량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페달 암, 상기 페달 암의 일단에 연결되는 페달 패드, 상기 페달 패드의 일단에 연결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을 조절하여 상기 페달 패드에서 발생되는 답력의 크기를 조절하는 답력 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답력 조절 방법은 답력 조절을 위한 조건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답력 조절이 요구되는 경우, 차량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페달 암의 일단에 연결되는 페달 패드에 연결된 탄성 부재의 탄성력을 조절하여 답력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답력 조절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운전자가 페달을 밟는 위치나 차량의 주행 상태를 고려하여 발생되는 답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운전자가 느끼게 되는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답력 조절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답력 조절부가 도시된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답력 조절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가 도시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부재가 도시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답력 조절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답력 조절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답력 조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답력 조절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답력 조절 장치(1)는, 페달 암(100), 페달 패드(200), 탄성 부재(300) 및 답력 조절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답력 조절 장치(1)가 가속 페달의 답력을 조절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브레이크 페달이나 클러치 페달 등과 같이 답력이 발생되는 다양한 종류의 페달에도 적용될 수 있다.
페달 암(100)은 차량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페달 패드(200)는 페달 암(100)의 일단에 연결되어 운전자로 하여금 페달 패드(200)를 밟아 페달 암(100)이 회전축(110)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페달 암(100)과 페달 패드(200)가 별도로 구성되어 서로 연결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페달 암(100)이 페달 패드(200)의 역할까지 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페달 패드(200)는 생략될 수도 있다.
탄성 부재(300)는 페달 패드(200)의 일단, 예를 들어 하단에 연결되어 탄성력에 따른 답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답력 조절부(400)는 탄성 부재(300)의 탄성력을 조절함으로써 발생되는 답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즉, 탄성 부재(300)는 소정 곡률을 가지며, 양단이 각각 페달 패드(200)와 답력 조절부(400)에 연결될 수 있고, 답력 조절부(400)에 의해 곡률이 조절되는 경우 탄성력이 조절될 수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발생되는 답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탄성 부재(300)는 다관절 구조를 가지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곡률 조절 등과 같이 탄성 부재(300)는 탄성력의 조절이 가능하며, 탄성력에 따른 답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답력 조절부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답력 조절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서 케이스가 생략된 경우의 일 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답력 조절부(400)는 탄성 부재(300)의 일단과 연결되며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부재(410), 이동 부재(410)를 이동시키는 구동부(420) 및 구동부(420)를 수용하는 케이스(4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케이스(430)가 구동부(420)만을 수용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케이스(430)는 이동 부재(410) 및 구동부(420) 중 하나 이상을 수용할 수 있으며, 수용하는 구성 요소에 따라 그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
이동 부재(410)는 케이스(430)의 일면을 따라 일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탄성 부재(300)의 일단이 결합되는 결합 홈(411)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케이스(430)에서 이동 부재(410)가 이동하게 되는 일면은 소정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동 부재(410)가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탄성 부재(300)의 곡률을 변경하여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이동 부재(410)가 이동하는 일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동 부재(410)의 이동시 탄성 부재(300)의 곡률을 조절할 수 있도록 다양한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케이스(430)에서 이동 부재(410)가 이동하는 일면을 경사면이라 칭하기로 한다.
다시 말해서, 탄성 부재(300)에서 페달 패드(200)와 연결된 일단은 그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동 부재(410)가 케이스(430)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 도 도 5 및 도 6과 같이 탄성 부재(300)의 곡률이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도 6은 도 5에 비하여 이동 부재(410)가 경사면의 상측, 즉 지면으로부터 높아지는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의 일 예로서, 도 5의 탄성 부재(300)는 도 6의 탄성 부재(300)보다 큰 곡률을 가지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곡률이 크다는 것은 탄성 부재(300)가 구부러진 정도가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도 5에서의 탄성력이 도 6에서의 탄성력보다 크기 때문에 도 5에서 발생되는 답력이 도 6에서 발생되는 답력보다 크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도 5 및 도 6에서는 이동 부재(410)가 케이스(430)의 경사면 상측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로서, 이동 부재(410)는 도 5에서의 이동 부재(410)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측으로 이동할수록 답력의 크기는 작아지고, 하측으로 이동할수록 답력의 크기는 커지게 된다.
구동부(420)는 이동 부재(410)를 케이스(430)의 경사면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며, 도 7과 같이 이동 부재(410)에서 케이스(430)의 경사면을 마주보는 일면, 예를 들어 하면에 형성된 삽입 홈(412)에 삽입되는 삽입부(421), 삽입부(421)에 형성된 관통 홀(412a)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제 1기어(422) 및 제 1기어(422)와 맞물려 회전하며 모터(424)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모터(424)의 회전력을 제 1기어(422)에 전달하는 제 2기어(42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1기어(422)는 스크류 기어로 이루어지고, 제 2기어(423)는 피니언 기어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삽입부(421)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필요한 기어의 수나 종류 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삽입부(421)는 케이스(430)의 경사면에 형성된 가이드 홀(431)를 통해 이동 부재(410)의 삽입 홈(412)에 삽입될 수 있으며, 케이스(430)의 경사면에는 가이드 홀(431)에 인접한 일측에 형성되어 이동 부재(410)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 돌기(432)가 형성될 수 있고, 가이드 돌기(432)는 삽입부(421)와 유사하게 전술한 도 7과 같이 이동 부재(410)에서 경사면을 마주보는 일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413)에 삽입될 수 있다.
전술한 답력 조절부(400)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답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하 각각의 경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답력 조절부(400)가 답력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경우, 답력 조절부(400)는 운전자가 페달 패드(200)를 밟은 위치나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이동 부재(410)를 이동시켜 답력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답력 조절부(400)는 운전자가 페달 패드(200)를 전체적으로 골고루 밟지 않고 하부로 치우치게 밟는 경우 운전자가 느끼게 되는 답력이 상대적으로 커지기 때문에 이동 부재(410)를 케이스(430)의 경사면 상측으로 이동시켜 답력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답력 조절부(400)는 차량이 지속적으로 가다 서다를 반복하는 경우에 운전자의 피로도가 증가할 수 있기 때문에 이동 부재(410)를 케이스(430)의 경사면 상측으로 이동시켜 답력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답력을 감소시키는 경우만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답력을 증가시키는 방향, 즉 케이스(430)의 경사면 하측으로 이동 부재(410)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이때, 답력 조절부(4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운전자가 페달 패드(200)를 밟는 위치나 차량의 주행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감지부의 일 예로는 운전자가 페달 패드(200)를 밟는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압전 센서나 광학 센서, 차량의 주행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각종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답력 조절부(4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감지부(미도시)의 감지 결과를 기초로 답력의 크기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운전자에 의해 수동으로 답력이 조절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답력 조절부(400)는 차량 내부에 스위치나 버튼 등으로 이루어져 운전자로부터 답력 조절을 위한 입력값을 입력받는 입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운전자마다 선호하는 답력의 크기는 서로 상이하다는 점을 고려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자신이 선호하는 답력의 크기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운전자로부터 입력되는 입력값에 따라 답력을 조절하는 경우, 운전자가 달라지는 경우에도 추후 용이한 조절이 가능하도록 운전자별 답력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 등에 저장할 수 있으며, 운전자별 답력의 크기는 운전자의 이름이나 전화 번호 등과 같은 식별 정보와 함께 저장되어 운전자가 매번 답력의 크기를 조절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자신이 원하는 답력의 크기를 가지도록 조절할 수도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차량에 탑승한 후 자신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답력의 크기를 선택할 수 있고, 답력 조절부(400)는 선택된 답력의 크기에 따라 이동 부재(410)를 이동시켜 답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답력 조절부(400)는 각 구성 요소(410, 420, 430)들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컨트롤러(미도시)는 전술한 감지부(미도시)의 감지 결과나 입력값 등을 기초로 하여 각 구성 요소(410, 420, 430)들을 제어하여 이동 부재(410)를 이동시켜 답력이 증가 또는 감소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답력 조절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며, 도 8은 운전자가 페달 패드(200)를 밟는 위치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답력을 조절하는 경우의 일 예로서,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답력을 조절하는 경우에도 그 판단 기준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답력 조절 방법은, 먼저 감지부(미도시)를 통해 운전자가 페달 패드(200)를 밟는 위치를 감지하게 된다(S110).
감지된 위치가 페달 패드(200)의 하부인 경우(S120), 답력 조절부(400)는 이동 부재(410)를 케이스(430)의 경사면 상측으로 이동시켜 답력을 감소시키게 된다(S130).
이때, 도 8에서는 답력을 감소시키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전술한 S130단계에서 이동 부재(410)를 케이스(430)의 경사면 하측으로 이동시켜 답력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답력 조절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9는 운전자로부터 입력된 입력값에 따라 답력을 조절하는 경우의 일 예로서, 입력값이 입력되기 이전에 이동 부재(410)는 기준 위치에 있거나 이전의 위치를 센서 등을 통해 감지하여 이미 알고 있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답력 조절 방법은, 먼저 운전자로부터 답력 조절을 위한 입력값이 입력되면(S210), 답력 조절부(400)는 이동 부재(410)의 현재 위치로부터 입력된 입력값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 부재(410)를 이동시키게 된다(S220). 이후, 운전자는 최적의 답력이 발생될때까지 입력값을 입력하여 S210 단계 및 S220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전술한 도 8 및 도 9에서 운전자가 페달 패드(200)를 밟는 위치, 차량의 주행 상태, 입력값 등은 답력 조절을 위한 조건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답력 조절을 위한 조건들은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도 8 및 도 9와 같이 자동으로 답력을 조절하는 경우와 수동으로 답력을 조절하는 경우를 나누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전술한 도 8 및 도 9의 답력 조절 방법은 서로 병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도 8의 답력 조절 방법을 통해 답력을 조절한 이후에도 운전자는 입력부를 통해 답력 조절을 위한 입력값을 입력하여 최적의 답력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페달 암
110: 회전축
200: 페달 패드
300: 탄성 부재
400: 답력 조절부
410: 이동 부재
420: 구동부
430: 케이스

Claims (15)

  1. 차량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페달 암;
    상기 페달 암의 일단에 연결되는 페달 패드;
    상기 페달 패드의 일단에 연결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을 조절하여 상기 페달 패드에서 발생되는 답력의 크기를 조절하는 답력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답력 조절부는,
    일단이 상기 페달 패드에 연결되는 상기 탄성 부재의 타단의 위치를 이동시켜 상기 탄성 부재의 곡률을 조절하는 답력 조절 장치.
  2. 차량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페달 암;
    상기 페달 암의 일단에 연결되는 페달 패드;
    상기 페달 패드의 일단에 연결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을 조절하여 상기 페달 패드에서 발생되는 답력의 크기를 조절하는 답력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답력 조절부는,
    상기 탄성 부재와 일단이 연결되며,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부재;
    상기 이동 부재를 이동시키는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을 조절하는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답력 조절 장치.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다관절 구조를 가지는 답력 조절 장치.
  5. 삭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이동 부재의 삽입 홈에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에 형성된 관통 홀에 삽입되어 회전되어 상기 삽입부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1기어;
    상기 제 1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제 1기어에 전달하는 제 2기어를 포함하는 답력 조절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형성된 가이드 홀을 통해 상기 삽입 홈에 삽입되는 답력 조절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가이드 홀에 인접한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삽입 홈에 인접한 일측에 상기 이동 부재의 이동 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답력 조절 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답력 조절부는,
    상기 페달 패드에서 운전자에 의해 밟혀진 위치 또는 차량의 주행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답력 조절 장치.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답력 조절부는,
    운전자로부터 답력 조절을 위한 입력값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답력 조절 장치.
  11. 답력 조절을 위한 조건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답력 조절이 요구되는 경우, 차량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페달 암의 일단에 연결되는 페달 패드에 연결된 탄성 부재의 탄성력을 조절하여 답력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답력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는,
    일단이 상기 페달 패드에 연결되는 상기 탄성 부재의 타단의 위치를 이동시켜 상기 탄성 부재의 곡률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답력 조절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페달 패드에서 운전자에 의해 밟혀지는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답력 조절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을 판단하는 단계는,차량의 주행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답력 조절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을 판단하는 단계는,
    운전자로부터 입력된 답력 조절을 위한 입력값을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답력 조절 방법.
  15. 삭제
KR1020130008143A 2013-01-24 2013-01-24 답력 조절 장치 및 방법 KR101987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143A KR101987298B1 (ko) 2013-01-24 2013-01-24 답력 조절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143A KR101987298B1 (ko) 2013-01-24 2013-01-24 답력 조절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5312A KR20140095312A (ko) 2014-08-01
KR101987298B1 true KR101987298B1 (ko) 2019-06-10

Family

ID=51743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8143A KR101987298B1 (ko) 2013-01-24 2013-01-24 답력 조절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72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4339B1 (ko) * 2019-11-08 2021-01-18 주식회사전우정밀 운행 정보 기록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03086A (ja) * 2009-06-19 2011-01-06 Honda Motor Co Ltd ペダ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5741A (ja) * 1997-05-06 1998-11-17 Kuroishi Tekko Kk 車両用アクセルペダル構造
JP3644253B2 (ja) * 1998-06-09 2005-04-27 三菱ふそうトラック・バス株式会社 車両用アクセルペダル装置
KR100471863B1 (ko) 2002-10-04 2005-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답력 조절 기능을 갖춘 전자식 가속 페달 장치
KR101327045B1 (ko) * 2007-12-13 2013-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능동형 엑셀 페달 시스템
KR101091506B1 (ko) * 2008-12-05 2011-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답력가변형 가속페달장치
KR101143910B1 (ko) * 2009-12-29 2012-07-12 에스엘 주식회사 답력 조절식 페달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03086A (ja) * 2009-06-19 2011-01-06 Honda Motor Co Ltd ペダ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5312A (ko) 2014-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157949A1 (ja) アクセルペダル装置
JPH05231194A (ja) アクセルペダルの踏込反力制御装置
JP2010052722A (ja) アクセルペダル踏力制御装置
WO2016031202A1 (ja) 車両用アクセルペダル反力制御装置
US20120266717A1 (en) Saddle type vehicle
JP2008309184A (ja) 車両のシフト案内装置
KR101987298B1 (ko) 답력 조절 장치 및 방법
JP2006176001A (ja) ペダル反力制御装置
WO2002030699A1 (fr) Dispositif a pedale d'accelerateur
KR101886535B1 (ko) 내리막길에서 무단 변속기의 변속 제어방법
KR101327103B1 (ko) 운전자 운전성향 감응형 가속페달 제어 유닛트
WO2006009014A1 (ja) ベルト式無段変速機、ベルト式無段変速機の制御方法、及び鞍乗型車両
JP4659374B2 (ja) 自動二輪車の制御装置
JP2001253265A (ja) アクセルペダル装置
KR101143910B1 (ko) 답력 조절식 페달 장치
KR20060016380A (ko) 답력 조절식 페달 장치
US9249739B2 (en) Throttle behaviour
JP2020124934A (ja) アクセルペダル装置
JP6109597B2 (ja) 車両用加速ペダルのキックダウン制御装置及び方法
KR102077687B1 (ko) 답력 가변형 페달 장치
JP2015209791A (ja) 車両のパワートレイン制御装置及びパワートレイン制御方法
JP2005075180A (ja) 車両の制御装置
JP7363852B2 (ja) 車両の制御装置
CN108556626B (zh) 踏板和车辆
KR100878081B1 (ko) 자동차의 답력 가변형 클러치 페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