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7116B1 - 차량용 대쉬패널 모듈 - Google Patents

차량용 대쉬패널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7116B1
KR101987116B1 KR1020180131749A KR20180131749A KR101987116B1 KR 101987116 B1 KR101987116 B1 KR 101987116B1 KR 1020180131749 A KR1020180131749 A KR 1020180131749A KR 20180131749 A KR20180131749 A KR 20180131749A KR 101987116 B1 KR101987116 B1 KR 101987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sh panel
fixed
vehicle
panel
cow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1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호
박현경
정지원
Original Assignee
동해금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해금속(주) filed Critical 동해금속(주)
Priority to KR1020180131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71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7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7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4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01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characterised by combining metal and synthet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3Reducing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용 대쉬패널 모듈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대쉬패널 모듈은: 차량의 엔진룸과 차실을 구획하며 하측에 절개된 중공부를 구비하는 대쉬패널과, 중공부와 마주하는 대쉬패널에 고정되며 상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터널부와, 대쉬패널의 양측에 고정되는 날개부 및 대쉬패널의 상측에 수평방향으로 고정되는 카울부를 포함하며, 대쉬패널은 마그네슘을 포함하는 재질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대쉬패널 모듈{DASH PANEL MODULE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대쉬패널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 강성을 유지하면서도 차량의 중량을 감소시켜 연비를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대쉬패널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엔진과 변속기 등이 설치되는 엔진룸과 운전자와 탑승객들이 승차하는 차실이 대쉬패널에 의해 구분된다. 상기 대쉬패널은 엔진룸과 차실을 차단하여 엔진룸에서 발생하는 열과 소음이 차의 내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또한 차량의 차폭 방향 전체를 가로지르는 상태로 설치되어 구조적으로 차체 횡강성의 일부를 담당하고 있다.
그리고 차량의 정면 충돌시에는 엔진룸의 변형을 차단하여 차실의 수축 변형을 억제함으로써 탑승객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차량의 대쉬패널은 에어컨, 히터, 브레이크 페달 및 엑셀 페달을 장착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된다. 대쉬패널의 카울부는 차량용 앞 유리창의 빗물이 흘러내려 엔진룸으로 스며드는 현상을 방지하며, 차량의 정면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여 승객을 보호하고, 와이퍼 모터 장착, 카울 커버 장착, 와이퍼 피봇 장착 등의 역할을 한다.
종래에는 대쉬패널의 재질이 철로 이루어지므로 차량의 중량이 증가되어 연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035152호(2014.03.21 공개, 발명의 명칭: 차량용 대쉬 패널)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 강성을 유지하면서도 차량의 중량을 감소시켜 연비를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대쉬패널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대쉬패널 모듈은: 차량의 엔진룸과 차실을 구획하며 하측에 절개된 중공부를 구비하는 대쉬패널과, 중공부와 마주하는 대쉬패널에 고정되며 상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터널부와, 대쉬패널의 양측에 고정되는 날개부 및 대쉬패널의 상측에 수평방향으로 고정되는 카울부를 포함하며, 대쉬패널은 마그네슘을 포함하는 재질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대쉬패널은, 차량의 엔진룸과 차실을 구획하며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패널몸체 및 패널몸체의 하측으로 연장되며 패널몸체의 일측을 향하여 굽어진 형상으로 설치되는 연장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연장부재는 터널부를 사이에 두고 패널몸체의 하부 양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터널부와 날개부는 초고장력강판(AHSS;Advanced High Strength Steel)으로 성형되며, 카울부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재질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대쉬패널과 카울부는 서로 접한 상태에서 펀치에 의해 가압되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펀치에 접하는 대쉬패널 또는 카울부는, 펀치에 의해 소성 변형되며 마주하는 부재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돌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대쉬패널과 카울부는 서로 접한 상태에서 고정리벳부의 가압에 의해 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고정리벳부는, 대쉬패널 또는 카울부에 걸리는 걸림몸체부재 및 걸림몸체부재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대쉬패널 또는 카울부를 관통한 후 마주하는 부재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다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대쉬패널 모듈에서, 대쉬패널은 마그네슘 합금으로 성형되고 카울부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재질로 성형되므로 구조 강성을 유지하면서도 차량의 중량을 감소시켜 연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3개의 부재로 분리되어 추가적인 용접을 적용하던 대쉬패널을 일체로 성형하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대쉬패널과 카울부는 별도의 소모재 없이 펀치의 가압에 의한 소성가공을 통해 기계적으로 체결되므로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리벳부를 사용하여 대쉬패널과 카울부를 고정시키므로 생산공정이 단축되며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대쉬패널 모듈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대쉬패널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대쉬패널 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리벳부에 의해 대쉬패널과 카울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펀치의 가압으로 대쉬패널과 카울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펀치의 가압으로 대쉬패널과 카울부가 소성변형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대쉬패널 모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대쉬패널 모듈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대쉬패널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대쉬패널 모듈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리벳부에 의해 대쉬패널과 카울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펀치의 가압으로 대쉬패널과 카울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펀치의 가압으로 대쉬패널과 카울부가 소성변형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대쉬패널 모듈(1)은, 차량의 엔진룸과 차실을 구획하며 하측에 절개된 중공부(16)를 구비하는 대쉬패널(10)과, 중공부(16)와 마주하는 대쉬패널(10)에 고정되며 상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터널부(20)와, 대쉬패널(10)의 양측에 고정되는 날개부(30) 및 대쉬패널(10)의 상측에 수평방향으로 고정되는 카울부(40)를 포함하며, 대쉬패널(10)은 마그네슘을 포함하는 재질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대쉬패널 모듈(1)은 걸림돌기(60)와 결합홈부(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쉬패널(10)은, 차량의 엔진룸과 차실을 구획하며 하측에 절개된 중공부(16)를 구비하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패널몸체(12) 및 패널몸체(12)의 하측으로 연장되며 패널몸체(12)의 일측을 향하여 굽어진 형상으로 설치되는 연장부재(14)를 포함한다.
연장부재(14)는 패널몸체(12)의 하부 양측에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며, 연장부재(14)와 패널몸체(12)의 연결부위에 응력이 집중되므로 해당 부위의 구조강성이 높아지도록 별도의 보강구조가 추가될 수 있다. 또한 연장부재(14)는 터널부(20)를 사이에 두고 패널몸체(12)의 하부 양측에 위치하므로 차량용 대쉬패널 모듈(1)의 구조강성이 보다 강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대쉬패널(10)은 마그네슘을 포함하는 재질로 성형된다.
대쉬패널(10)의 기존 양산품은 마일드강과 고강도강과 초고강도강이 적용되며, 철강소재의 특성인 고중량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사이드 필러부와 일부 브라켓에 고강도 강제가 적용되고, 멤버 일부에 초고강도강이 적용되어 하중을 지지하지만, 패널류는 마일드강이 적용되어 구조적으로 강도가 높지 않아 경량 소재 적용이 용이한 구조이다. 따라서 대쉬패널(10)의 고중량 개선을 위하여 기존 소재를 경량소재인 알루미늄 및 마그네슘 합금판재로 대체한다면 종래 모듈 기준 20% 이상의 경량화가 가능하다.
또한 대쉬패널(10)을 성형하기 위한 마그네슘 합금은 치수안정성이 높아 충격에 대한 저항이 크고, 진동 흡수성이 높아 소음을 감소시키는데 높은 효과가 있다.
마그네슘 합금은 밀도가 1.74g/㎤으로 스틸의 1/4, 알루미늄 합금의 2/3에 불과하여 경량화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소음진동 감소 및 차폐, 치수안정성, 기계 절삭성 등이 우수하여 엔진과의 격벽역할을 하는 대쉬패널(10)에 적합한 소재라고 할 수 있다.
마그네슘 합금은 대부분 다이캐스팅 공정과 용탕단조법으로 제조되고 있으나, 소재를 액상 또는 반용융상으로 가열하여 제조하므로 기계적 특성이 나빠지거나 주조결함이 발생할 수 있으며, 판재 성형의 경우 조밀육방격자(HCP) 구조로 인하여 상온에서 소성가공 능력이 떨어져 온간성형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마그네슘은 비중이 1.74로서 가벼운 동시에 단위 중량당 강도는 매우 크므로 경량소재로 각광받고 있으나, 상온에서의 연신율이 낮아 성형성 확보에 애로사항이 발생하며, 마그네슘의 결정구조가 조밀육방격자(HCP)로 소성변형의 슬립면이 한정되어 있다.
또한 마그네슘 합금은 가공시 기계적 특성인 이방성(Mechanical anisotropy)이 나타나서 마그네슘 합금을 250℃이상으로 가열해야 하므로, 냉간 성형보단 온간 성형을 적용해야한다.
순수 마그네슘의 용융점은 650℃로 발화온도는 일반적으로 용융점에 가까우나, 어느 형상에 있어서는 용융점보다 낮은 분위기 온도에서 발화하는 경우도 있ㄷ다. 마그네슘 합금의 경우에는 합금 원소로 첨가되는 금속과의 관계로 용융온도가 결정되는데, 순수 마그네슘보다도 낮은 427℃에서 공정온도를 나타내어 발화를 고려해야 한다.
패널몸체(12)는 차량의 엔진룸과 차실을 구획하며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의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몸체(12)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판 형상이며, 이러한 패널몸체(12)에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다.
연장부재(14)는 패널몸체(12)의 하측으로 연장되며, 패널몸체(12)의 일측을 향하여 굽어진 형상으로 설치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의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연장부내는 패널몸체(12)의 하부 양측에 위치한다.
패널몸체(12)와 연장부재(14)는 일체로 성형되므로 별도의 용접작업이 생략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패널몸체(12)와 연장부재(14)는 마그네슘을 포함하는 재질로 성형되어 제품의 중량이 감소되며 구조강성은 확보하여 연비를 절감할 수 있다.
대쉬패널(10)이 충분한 강도를 가지면서도 스틸에 비해 경량이고, 진동 소음 저감측면에서도 우수한 재질로 구성하기 위하여, 마그네슘(Mg)을 주재로 하고 알루미늄(Al) 2.5 ∼ 3.5 중량%, 망간(Mn) 0.20 ∼ 1.0 중량%, 아연(Zn) 0.6 ∼ 1.4 중량%, 구리(Cu) 0.04 이하, 규소(Si) 0.10 이하, 니켈(Ni) 0.005 이하, 철(Fe) 0.005 이하 등의 성분으로 조성된 마그네슘 합금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쉬패널(10)의 경량화 및 진동 소음 저감이 가능하고, 궁극적으로는 차량의 경량화와 연비 향상을 이룰 수 있다.
터널부(20)는 중공부(16)와 마주하는 대쉬패널(10)에 고정되며 상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다. 또한 터널부(20)와 날개부(30)는 초고장력강판(AHSS;Advanced High Strength Steel)으로 성형되므로 차량용 대쉬패널 모듈(1)의 구조강성을 보다 강화시킬 수 있다.
상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터널부(20)의 내측에는 "ㄷ"자 형상의 몸체보강부(22)가 추가로 설치된다. 몸체보강부(22)는 터널부(20)의 내측에 스팟용접으로 고정되며, 터널부(20)의 구조강성을 보강한다.
또한 터널부(20)와 마주하는 연장부재(14)의 하측에는 하부보강부(24)가 추가로 설치된다. 하부보강부(24)는 상측이 개구되고 하측이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연장부재(14)의 하측에 스팟용접으로 고정된다. 또한 하부보강부(24)가 연장부재(14)의 하측에 고정되어 폐곡선의 단면을 형성하므로 연장부재(14)의 뒤틀림을 방지하며, 연장부재(14)와 터널부(20)로 전달된 응력이 용이하게 분산될 수 있다.
대쉬패널(10)의 양측에 고정되는 날개부(30)는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며, 대쉬패널(10)의 양측에 스팟용접으로 고정된다.
카울부(40)는 대쉬패널(10)의 상측에 수평방향으로 고정되며,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재질로 성형된다. 카울부(40)는 다른 부품 대비 응력을 많이 받는 부분이 아니므로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재질로 성형되어 차량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연비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측연결부(50)는 대쉬패널(10)의 상측에 고정되며, 카울부(40)에서 연장된 브라켓에 의해 이동이 구속된다. 또한 상측연결부(50)도 대쉬패널(10)의 상측에 고정되어 흔들림이 구속된다. 상측연결부(50)는 빗물이나 이물질의 이동을 안내하여 대쉬패널(10)의 내측으로 빗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됨을 방지한다.
마그네슘을 포함하는 대쉬패널(10)과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카울부(40)는 서로 접한 상태에서 펀치(62)에 의해 가압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펀치(62)에 접하는 대쉬패널(10) 또는 카울부(40)는, 펀치(62)에 의해 소성 변형되며 마주하는 부재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돌기(60)를 형성한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다이(64) 위에 대쉬패널(10)과 카울부(40)를 겹치게 설치하며, 고정다이(64) 위에 설치된 펀치(62)가 하강하며 대쉬패널(10)과 카울부(40)를 하측으로 가압한다.
펀치(62)와 접하는 대쉬패널(10)은 펀치(62)와 함께 하측으로 이동되며 결합홈부(66)를 형성하며, 결함홈부의 하측에는 카울부(40)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60)가 형성된다. 걸림돌기(60)가 카울부(40)의 내측으로 돌출되므로 카울부(40)와 대쉬패널(10)의 기계적 연결이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쉬패널(10)과 카울부(40)는 서로 접한 상태에서 고정리벳부(70)의 가압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고정리벳부(70)는, 대쉬패널(10) 또는 카울부(40)에 걸리는 걸림몸체부재(72) 및 걸림몸체부재(72)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대쉬패널(10) 또는 카울부(40)를 관통한 후 마주하는 부재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다리부재(74)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리벳부(70)의 걸림몸체부재(72)는 대쉬패널(10)의 상측에 걸리며, 다리부재(74)는 대쉬패널(10)을 관통하여 대쉬패널(10)의 하측에 설치된 카울부(40)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다리부재(74)와 걸림몸체부재(72)의 측면은 오목한 곡면을 형성하며, 다리부재(74)의 내측은 하측을 향하여 오목한 홈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하측을 향하여 고정리벳부(70)를 강제압입 하는 동작시 다리부재(74)에 걸리는 마찰이 최소화되므로, 다리부재(74)가 대쉬패널(10)과 카울부(40)를 관통하는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대쉬패널(10)과 카울부(40)는 펀치(62)를 사용하여 걸림돌기(60)와 결합홈부(66)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고정리벳부(70)를 대쉬패널(10)과 카울부(40)의 연결부위에 설치하여 고정될 수 있다. 또는 펀치(62)를 사용하는 방법과 고정리벳부(70)를 사용하는 방법을 둘 다 사용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대쉬패널(10)과 상측연결부(50)도 펀치(62)를 사용하여 걸림돌기(60)와 결합홈부(66)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고정리벳부(70)를 대쉬패널(10)과 상측연결부(50)의 연결부위에 설치하여 고정될 수 있다. 또는 펀치(62)를 사용하는 방법과 고정리벳부(70)를 사용하는 방법을 둘 다 사용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대쉬패널 모듈(1)의 조립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그네슘 합금으로 만들어진 대쉬패널(10)의 좌우 양측에는 날개부(30)가 스팟용접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대쉬패널(10)의 하부 중앙에는 터널부(20)가 스팟용접으로 고정되며, 터널부(20)의 상부 내측에는 몸체보강부(22)가 추가로 설치되어 터널부(20)의 구조강성을 보강한다.
터널부(20)와 마주하는 연장부재(14)의 하측에도 하부보강부(24)가 스팟용접으로 고정되며,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카울부(40)는 대쉬패널(10)과 기계적 결합으로 고정된다.
기계적 결합은 펀치(62)를 사용하여 결합홈부(66)와 걸림돌기(60)를 형성하는 방법과 고정리벳부(70)를 사용하는 방법이 모두 사용되거나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대쉬패널(10)은 마그네슘 합금으로 성형되고 카울부(40)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재질로 성형되므로 구조 강성을 유지하면서도 차량의 중량을 감소시켜 연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기존 3개의 부재로 분리되어 추가적인 용접을 적용하던 대쉬패널(10)을 일체로 성형하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대쉬패널(10)과 카울부(40)는 별도의 소모재 없이 펀치(62)의 가압에 의한 소성가공을 통해 기계적으로 체결되므로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고정리벳부(70)를 사용하여 대쉬패널(10)과 카울부(40)를 고정시키므로 생산공정이 단축되며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차량용 대쉬패널 모듈
10: 대쉬패널 12: 패널몸체 14: 연장부재 16: 중공부
20: 터널부 22: 몸체보강부 24: 하부보강부
30: 날개부
40: 카울부
50: 상측연결부
60: 걸림돌기 62: 펀치 64: 고정다이 66: 결합홈부
70: 고정리벳부 72: 걸림몸체부재 74: 다리부재

Claims (8)

  1. 차량의 엔진룸과 차실을 구획하며 하측에 절개된 중공부를 구비하는 대쉬패널;
    상기 중공부와 마주하는 상기 대쉬패널에 고정되며, 상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터널부;
    상기 대쉬패널의 양측에 고정되는 날개부; 및
    상기 대쉬패널의 상측에 수평방향으로 고정되는 카울부;를 포함하며,
    상기 대쉬패널은 마그네슘을 포함하는 재질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대쉬패널은, 차량의 엔진룸과 차실을 구획하며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패널몸체; 및
    상기 패널몸체의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패널몸체의 일측을 향하여 굽어진 형상으로 설치되는 연장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재는 상기 터널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패널몸체의 하부 양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터널부와 상기 날개부는 초고장력강판(AHSS;Advanced High Strength Steel)으로 성형되며, 상기 카울부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재질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대쉬패널 모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쉬패널과 상기 카울부는 서로 접한 상태에서 펀치에 의해 가압되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대쉬패널 모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펀치에 접하는 상기 대쉬패널 또는 상기 카울부는, 상기 펀치에 의해 소성 변형되며 마주하는 부재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돌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대쉬패널 모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쉬패널과 상기 카울부는 서로 접한 상태에서 고정리벳부의 가압에 의해 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대쉬패널 모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리벳부는,
    상기 대쉬패널 또는 상기 카울부에 걸리는 걸림몸체부재; 및
    상기 걸림몸체부재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대쉬패널 또는 상기 카울부를 관통한 후 마주하는 부재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다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대쉬패널 모듈.
KR1020180131749A 2018-10-31 2018-10-31 차량용 대쉬패널 모듈 KR101987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749A KR101987116B1 (ko) 2018-10-31 2018-10-31 차량용 대쉬패널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749A KR101987116B1 (ko) 2018-10-31 2018-10-31 차량용 대쉬패널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7116B1 true KR101987116B1 (ko) 2019-06-10

Family

ID=66847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1749A KR101987116B1 (ko) 2018-10-31 2018-10-31 차량용 대쉬패널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711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0954A (ja) * 1999-07-21 2001-02-06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の車体前部構造
JP2001225766A (ja) * 2000-02-18 2001-08-21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の車体構造
JP2008195237A (ja) * 2007-02-13 2008-08-28 Honda Motor Co Ltd 車両用車体板材の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0954A (ja) * 1999-07-21 2001-02-06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の車体前部構造
JP2001225766A (ja) * 2000-02-18 2001-08-21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の車体構造
JP2008195237A (ja) * 2007-02-13 2008-08-28 Honda Motor Co Ltd 車両用車体板材の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87035B2 (en) Frame structure for a motor vehicle
US9731766B2 (en) Front vehicle body structure
JP6020944B2 (ja) 自動車の車体構造
CN107128372B (zh) 汽车车身结构
US8801087B2 (en) Cowl cross assembly
CA2673742C (en) Component integration panel system with closed box section
US8888171B2 (en) Selectively detachable fender brace system
US9132865B2 (en) Cowl structure of vehicle
US10086881B2 (en) Front vehicle body structure
JP2018039501A (ja) 自動車ボデー用のbピラーならびにこのようなbピラーを備えた自動車ボデー
KR20210037043A (ko) 차량용 대시패널
JP5245639B2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US20130221709A1 (en) Side member for a rear frame of a vehicle body
US10676132B2 (en) Suspension member
US10906590B2 (en) Vehicle assembly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CN109982918B (zh) 包括冷弯的片状件的加强构件
KR101987116B1 (ko) 차량용 대쉬패널 모듈
CN107042846B (zh) 汽车的车身结构以及该汽车的车身结构的制造方法
US8857869B2 (en) Bumper system for a vehicle
WO2017069015A1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JP2003191750A (ja) ウインドシールドガラス支持構造
KR20200050043A (ko) 차량용 대쉬패널
JP6724762B2 (ja) サスペンションメンバ
KR100435346B1 (ko) 자동차용 카울크로스바 어셈블리와 그 제조방법
EP4159547A1 (en) Front structure of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