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7069B1 - 유해가스 검출기용 기체 유도장치 - Google Patents

유해가스 검출기용 기체 유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7069B1
KR101987069B1 KR1020170113151A KR20170113151A KR101987069B1 KR 101987069 B1 KR101987069 B1 KR 101987069B1 KR 1020170113151 A KR1020170113151 A KR 1020170113151A KR 20170113151 A KR20170113151 A KR 20170113151A KR 101987069 B1 KR101987069 B1 KR 101987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xious gas
gas
noxious
detection sensor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3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6361A (ko
Inventor
이종덕
Original Assignee
(주)한국산업기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산업기기 filed Critical (주)한국산업기기
Priority to KR1020170113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7069B1/ko
Publication of KR20190026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6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7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7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4Suction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해가스 검출기용 기체 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로 다른 유해가스의 성분을 각각 검출하도록 유해가스 검출장치의 하우징에 내설되는 다수의 센서 사이에 설치되어 팬 구동시 유해가스 검출장치 주변에 정체되어 있는 유해가스를 다수의 센서측으로 각각 유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속하고 정확한 센서들의 검출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유해가스 검출기용 기체 유도장치{Gas Induction Device for Hazardous Gas Detector}
본 발명은 유해가스 검출기용 기체 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유해가스의 성분을 각각 검출하도록 유해가스 검출장치의 하우징에 내설되는 다수의 센서 사이에 설치되어 팬 구동시 유해가스 검출장치 주변에 정체되어 있는 유해가스를 다수의 센서측으로 각각 유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속하고 정확한 센서들의 검출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유해가스 검출기용 기체 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맨홀 내부나 펌프장과 같은 특정 지하공간의 공사시 작업자가 유해가스에 중독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이는 공사 현장의 작업자 투입 시, 사전에 내부공간에 대한 유해가스 검출에 따른 안전 준비 과정이 없었으며, 또 최초에는 유해가스가 존재하지 않다가 작업 중 발생하는 경우도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종래에도 이러한 맨홀이나 지하공간에 대한 유해가스를 검출하는 가스센서 개발되었다.
이러한 가스센서는, 벌크타입(bulk type), 튜브타입(tube type), 틱 타입(thick type)이 있으나, 일체화된 센서 패키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최근 대량생산이 가능한 스크린 프린팅 기법을 이용한 평면형 후막 가스센서 또는 PECVD 장비를 활용하여 nm급의 박막형 가스센서를 개발하고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가스센서는, 상측에 덮개로 형성되어 있으면서 내측면에 필터망이 형성되어 있는 덮개부재와, 상기 덮개부재의 하단부에 결착되어 있는 몸체인 지지몸체부재와, 상기 지지몸체부재에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절연글라스의 사이에 각각 삽입되어 있는 복수개의 연결핀부재와, 상기 복수개의 연결핀부재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와이어와 연결에폭시부에 의해 연결되어 가스를 감지하는 가스센서칩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가스센서는 가스센서칩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개의 연결와이어에 의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용접하기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사용중에 외부의 충격이 발생시 흔들림이 발생하여 연결부분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기존의 이러한 가스센서를 포함하여 습도센서, 온도센서는 각각의 기능을 하도록 개별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자동차의 실내 온도를 감지하기 위해서는 온도센서를 설치하여야 하고, 유해가스를 감지하기 위해서는 가스 감지센서를 설치하여야 하고, 습도를 감지하기 위해서는 습도센서를 각각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설치하기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한편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특허출원번호 10-2003-0068658호에 다기능을 가진 복합센서가 게시된 바 있다.
살펴보면 상기한 다기능을 가진 복합센서는, 상측에 덮개로 형성되어 있으면서 그 내측에 필터망이 형성되어 있는 덮개부재와, 상기 덮개부재의 하단부에 결착되어 있는 몸체인 지지몸체부재와, 상기 지지몸체부재에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절연글라스의 사이에 각각 삽입되어 있는 복수개의 연결핀부재와, 상기 지지몸체부재의 상단부에 온도, 습도 및 가스를 검출하기 위한 칩(chip)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센서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일반적인 다기능을 가진 복합센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몸체부재의 상면에 온도, 습도 및 가스를 검출하기 위한 가스감지수단과, 습도감지수단 그리고 온도감지수단이 설치되므로 인해 일체화된 하나의 패키지(package)로 형성할 수 있어서 소형화함과 동시에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는 있으나, 덮개부재의 상면에 구비된 필터망을 통하여 가스, 습도 그리고 온도 감지시 온도, 습도 및 가스를 검출하기 위한 칩(chip)측으로 공기가 유입되어야 하나 온도감지수단, 습도감지수단 및 가스감지수단 사이의 공간으로 유동되면서 덮개부재 외주면에 부딪쳐 필터망을 통하여 유입되는 것이 아니라 정체 상태를 유지하거나 외부로 유츨되므로 인해 검출효과가 떨어질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특허출원번호 10-2003-0068658호, 출원일;2003년10월02일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서로 다른 유해가스의 성분을 각각 검출하도록 유해가스 검출장치의 하우징에 내설되는 다수의 센서 사이에 설치되어 팬 구동시 유해가스 검출장치 주변에 정체되어 있는 유해가스를 다수의 센서측으로 각각 유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속하고 정확한 센서들의 검출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유해가스 검출기용 기체 유도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기술이 진행되면서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해가스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유입구가 상면 일측에 형성되어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평되게 설치되되, 일측에는 유입홀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기판과, 상기 하우징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것에 의해 기판에 형성된 유입홀 하부에 위치되어 전원이 인가되는 것에 대응되게 구동하여 유해가스를 유입구측으로 흡입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흡입팬과, 상기 기판 일측 상면에 서로에 대하여 이격되게 안착 설치되는 것에 의해 흡입팬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흡입팬의 구동으로 유입구를 통하여 공기와 함께 유입된 유해가스를 온도 및 습도와 함께 유해가스를 검출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감지센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유해가스 검출기의 감지센서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팬이 구동하는 것에 의해 유입되는 유해가스를 상기 다수의 감지센서부 상면측으로 유도시키면서 기판에 형성된 유입홀측으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한 유해가스 검출기용 기체 유도장치로서, 중앙부로 관통홀이 형성된 다각 형상의 유해가스 유도용 기둥체로 형성되되, 상기 유해가스 유도용 기둥체의 외주면은 상기 다수의 감지센서부의 외주면과 근접되도록 대응되는 단면 형상의 평면부와 곡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감지센서부의 외주면과 접촉하지 않는 외주면은 유동하는 유해가스를 차단시켜 상기 다수의 감지센서부의 상면측으로 유도시킬 수 있도록 수직면으로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유해가스 유도용 기둥체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홀은 상기 흡입팬이 구동하는 것에 대응되게 주변의 유해가스가 유입될 때 맴돌이 현상 없이 빨려들어갈 수 있도록 상부는 경사부로 형성되고, 하부는 수직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해가스 검출기용 기체 유도장치에 따르면, 흡입팬이 구동하는 것에 의해 유해가스가 유해가스 유도용 기둥체로 인해 다수의 감지센서부 상면을 유동하게 되므로 인해 신속하고 정확한 센서들의 검출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해가스 검출기용 기체 유도장치가 내설된 유해가스 검출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해가스 검출기용 기체 유도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해가스 검출기용 기체 유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해가스 검출기용 기체 유도장치에 의해 흡입팬 구동에 따른 유해가스의 유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유해가스 검출기용 기체 유도장치의 일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해가스 검출기용 기체 유도장치는, 다수의 센서 사이에 설치되어 팬 구동시 유해가스 검출장치 주변에 정체되어 있는 유해가스를 다수의 센서측으로 각각 유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유해가스 검출기용 기체 유도장치(100)는, 유해가스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유입구(11a)가 상면 일측에 형성되어 구비되는 하우징(11)과, 상기 하우징(11)의 내부에 수평되게 설치되되, 일측에는 유입홀(미도시함)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기판(12)(도 2참조)과, 상기 하우징(11)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것에 의해 기판(12)에 형성된 유입홀 하부에 위치되어 전원이 인가되는 것에 대응되게 구동하여 유해가스를 유입구측으로 흡입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흡입팬(13)(도 4참조)과, 상기 기판(12) 일측 상면에 서로에 대하여 이격되게 안착 설치되는 것에 의해 흡입팬(13)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흡입팬(13)의 구동으로 유입구를 통하여 공기와 함께 유입된 유해가스를 온도 및 습도와 함께 유해가스를 검출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감지센서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된 유해가스 검출기(10)의 감지센서부(14)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팬(13)이 구동하는 것에 의해 유입되는 유해가스를 상기 다수의 감지센서부(14) 상면측으로 유도시키면서 기판(12)에 형성된 유입홀측으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중앙부로는 관통홀(110)이 형성된 다각 형상의 유해가스 유도용 기둥체로 형성되되, 상기 유해가스 유도용 기둥체의 외주면은 상기 다수의 감지센서부(14)의 외주면과 근접되도록 대응되는 단면 형상의 평면부(120)와 곡면부(130)가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감지센서부(14)의 외주면과 접촉하지 않는 외주면은 유동하는 유해가스를 차단시켜 상기 다수의 감지센서부(14)의 상면측으로 유도시킬 수 있도록 수직면(140)으로 형성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유해가스 유도용 기둥체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홀(110)은 상기 흡입팬(13)이 구동하는 것에 대응되게 주변의 유해가스가 유입될 때 맴돌이 현상 없이 빨려들어갈 수 있도록 상부는 경사부(111)로 형성되고, 하부는 수직부(112)로 형성된 "Y"자 형상의 단면 형상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한 관통홀(110)의 경사부(111) 깊이는 수직부(112)에 대한 2~3.5배로 형성되어 구비된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유해가스 검출기용 기체 유도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된 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해가스 검출기용 기체 유도장치가 내설된 유해가스 검출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해가스 검출기용 기체 유도장치가 내설된 유해가스 검출기(10)는
한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하우징(11)과, 상기한 하우징(11)의 상면 일측에 형성되어 유해가스가 유입가능하도록 유입구(11a)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검출된 유해가스의 성분을 디스플레이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5)가 갖추어져 있다.
또한, 상기한 하우징(11) 내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구와 동일한 위치에 유입홀이 형성된 기판(12)이 갖추어져 있고, 아울러 상기한 유입홀이 형성된 기판(12)의 하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해가스를 흡입시키기 위한 흡입팬(13)이 구동가능하게 갖추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한 기판(12)에 형성된 유입홀 주위에는 흡입팬(13)의 구동으로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유해가스의 성분 즉, 온도, 습도와, 휘발성유기화합물과, 일산화탄소(CO)와 그리고 포름알데히드를 검출가능하도록 사각 형상의 온도 및 습도 감지센서부(14a)와, 원기둥 형상의 휘발성유기화합물 감지센서부(14b), 일산화탄소(CO) 감지센서부(14c), 그리고 포름알데히드 감지센서부(14d)가 서로에 대하여 이격되어 상기 유입구를 기준으로 방사방향으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한 기판(12)에 형성된 유입홀 주위에 구비된 온도 및 습도 감지센서부(14a)와, 휘발성유기화합물 감지센서부(14b)부, 일산화탄소(CO) 감지센서부(14c), 그리고 포름알데히드 감지센서부(14d)는 작업환경 즉, 유해가스의 검출 성분에 따라 그에 대응되게 교체가능하게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유해가스 검출기용 기체 유도장치(100)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유해가스 검출기의 온도 및 습도 감지센서부(14a)와, 휘발성유기화합물 감지센서부(14b)부, 일산화탄소(CO) 감지센서부(14c), 그리고 포름알데히드 감지센서부(14d) 사이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흡입팬(13)이 구동하는 것에 의해 유입되는 유해가스를 상기 다수의 감지센서부(14) 상면측으로 각각 유도시키면서 기판(12)에 형성된 유입홀측으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유해가스 검출기용 기체 유도장치(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각 형상의 온도 및 습도 감지센서부(14a)와, 원기둥 형상의 휘발성유기화합물 감지센서부(14b), 일산화탄소(CO) 감지센서부(14c), 그리고 포름알데히드 감지센서부(14d) 사이에 삽입 설치가능하도록 외주면은 상기 온도 및 습도 감지센서부(14a)에 대응되는 단면 형상의 평면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평면부(120)를 기준으로 서로에 대하여 이격되어 방사방향으로 상기 휘발성유기화합물 감지센서부(14b), 일산화탄소(CO) 감지센서부(14c), 그리고 포름알데히드 감지센서부(14d)에 대응되는 단면 형상의 제1,2,3곡면부(131,132,133)가 형성된 곡면부(130)를 갖는 다각 형상의 기둥체로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흡입팬이 구동하는 것에 의해 유해가스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관통홀(110)이 형성되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유해가스 유도용 기둥체의 높이는 다수의 감지센서부(14)의 높이와 동일 높이 즉, 상기 유해가스 유도용 기둥체의 상면과 다수의 감지센서부(14)의 상면이 동일면을 이루도록 하여 유해가스 유동시 다수의 감지센서부(14) 상면으로 유동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유해가스 유도용 기둥체에 형성된 관통홀(110)은 상기 흡입팬(13)이 구동하는 것에 대응되게 주변의 유해가스가 유입될 때 벤츄리 효과에 의해 빨려들어갈 수 있도록 상부는 중앙부측으로 경사면(111)이 형성되고, 하부는 수직면(112)로 형성된 "Y"자 형상의 단면 형상으로 구비되되, 상기한 관통홀(110)의 경사면 깊이는 수직면에 대한 2~3.5배로 형성되어 구비된다.
한편, 상기한 경사면(111)의 깊이가 수직면(112)에 대해서 2배 이하 또는 이상으로 형성될 경우, 상기 기판(12) 하부에 구비된 흡입팬(13)의 구동시 벤츄리 효과를 얻을 수 없어 유해가스가 쉽게 빨려들어가지 못하게 되므로 상기 관통홀(110)의 경사면 깊이는 수직면에 대한 2~3.5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유해가스 검출기용 기체 유도장치(100)를 유해가스 검출기(10)에 설치하여, 상기 유해가스 검출기(10)를 사용하게 되면,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2)의 일측 하부에 구비된 흡입팬(13)이 구동하게 된다.
상기 흡입팬(130)의 구동으로 유해가스가 하우징(11)에 형성된 유입구(11a)를 통하여 내측으로 유입된다.
상기 유입구(11a)로 유입된 유해가스는 수직면(112)보다 3배 더 깊은 깊이를 갖는 경사면(111)과 수직면(112)로 형성된 유해가스 유도용 기둥체의 관통홀(110)을 통하여 벤츄리 작용에 의해 빨려들어 간다.
아울러, 온도 및 습도 감지센서부(14a)와, 휘발성유기화합물 감지센서부(14b)부, 일산화탄소(CO) 감지센서부(14c), 그리고 포름알데히드 감지센서부(14d) 주위에 있는 유해가스는 상기 온도 및 습도 감지센서부(14a)와, 휘발성유기화합물 감지센서부(14b)부, 일산화탄소(CO) 감지센서부(14c), 그리고 포름알데히드 감지센서부(14d) 사이에 삽입 설치된 유해가스 유도용 기둥체의 수직면(140)과 부딪히므로 인해 기판(12)에 형성된 유입홀측으로 직접 유입되지 않고 상기 온도 및 습도 감지센서부(14a)와, 휘발성유기화합물 감지센서부(14b)부, 일산화탄소(CO) 감지센서부(14c), 그리고 포름알데히드 감지센서부(14d) 상면을 지나면서 관통홀(110)측으로 유입된다.
그로 인해, 상기한 온도 및 습도 감지센서부(14a)와, 휘발성유기화합물 감지센서부(14b)부, 일산화탄소(CO) 감지센서부(14c), 그리고 포름알데히드 감지센서부(14d)는 신속하고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유해가스 검출기 11 ; 하우징
12 ; 기판 13 ; 흡입팬
14 ; 감지센서부 100 ; 유해가스 검출기용 기체 유도장치
110 ; 관통홀 120 ; 평면부
130 ; 곡면부 140 ; 수직면

Claims (5)

  1. 유해가스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유입구(11a)가 상면 일측에 형성되어 구비되는 하우징(11)과, 상기 하우징(11)의 내부에 수평되게 설치되되, 일측에는 유입홀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기판(12)과, 상기 하우징(11)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것에 의해 기판(12)에 형성된 유입홀 하부에 위치되어 전원이 인가되는 것에 대응되게 구동하여 유해가스를 유입구측으로 흡입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흡입팬(13)과, 상기 기판(12) 일측 상면에 서로에 대하여 이격되게 안착 설치되는 것에 의해 흡입팬(13)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흡입팬(13)의 구동으로 유입구를 통하여 공기와 함께 유입된 유해가스를 온도 및 습도와 함께 유해가스를 검출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감지센서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된 유해가스 검출기(10)의 다수의 감지센서부(14)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팬(13)이 구동하는 것에 의해 유입되는 유해가스를 상기 다수의 감지센서부(14) 상면측으로 유도시키면서 기판(12)에 형성된 유입홀측으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한 유해가스 검출기용 기체 유도장치는,
    중앙부로 관통홀(110)이 형성된 다각 형상의 유해가스 유도용 기둥체로 형성되되,
    상기 유해가스 유도용 기둥체의 외주면은 상기 다수의 감지센서부(14)의 외주면과 근접되도록 대응되는 단면 형상의 평면부(120)와 곡면부(130)가 형성되어 구비되고,
    상기 다수의 감지센서부(14)의 외주면과 접촉하지 않는 상기 유해가스 유도용 기둥체의 외주면은, 유동하는 유해가스를 차단시켜 상기 다수의 감지센서부(14)의 상면측으로 유도시킬 수 있도록 수직면(140)으로 형성되며,
    상기 유해가스 유도용 기둥체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홀(110)은 상기 흡입팬(13)이 구동하는 것에 대응되게 주변의 유해가스가 유입될 때 맴돌이 현상 없이 빨려들어갈 수 있도록 상부는 경사부(111)로 형성되고, 하부는 수직부(112)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유해가스 유도용 기둥체의 높이는 다수의 감지센서부(14)의 높이와 동일 높이로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가스 검출기용 기체 유도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해가스 유도용 기둥체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홀(110)의 경사부(111) 깊이는 수직부(112)에 대한 2~3.5배로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가스 검출기용 기체 유도장치.
  5. 삭제
KR1020170113151A 2017-09-05 2017-09-05 유해가스 검출기용 기체 유도장치 KR101987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151A KR101987069B1 (ko) 2017-09-05 2017-09-05 유해가스 검출기용 기체 유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151A KR101987069B1 (ko) 2017-09-05 2017-09-05 유해가스 검출기용 기체 유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361A KR20190026361A (ko) 2019-03-13
KR101987069B1 true KR101987069B1 (ko) 2019-06-10

Family

ID=65762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3151A KR101987069B1 (ko) 2017-09-05 2017-09-05 유해가스 검출기용 기체 유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706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1934B1 (ko) * 2001-07-28 2004-05-17 씨멘스브이디오한라 주식회사 유해가스 감지장치
KR100786328B1 (ko) 2007-07-03 2007-12-14 주식회사 미리코 방폭형 진공펌프 구조를 갖는 가스 검출기
KR101039416B1 (ko) 2009-12-18 2011-06-07 대아산업주식회사 휴대형 가스 경보장치
JP2014222244A (ja) * 2008-03-19 2014-11-27 エプコ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Epcos Ag 流れ媒体の湿度および温度の測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670B1 (ko) 2002-02-15 2004-09-04 주식회사 젠콤 Gps수신기 원격감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1934B1 (ko) * 2001-07-28 2004-05-17 씨멘스브이디오한라 주식회사 유해가스 감지장치
KR100786328B1 (ko) 2007-07-03 2007-12-14 주식회사 미리코 방폭형 진공펌프 구조를 갖는 가스 검출기
JP2014222244A (ja) * 2008-03-19 2014-11-27 エプコ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Epcos Ag 流れ媒体の湿度および温度の測定装置
KR101039416B1 (ko) 2009-12-18 2011-06-07 대아산업주식회사 휴대형 가스 경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361A (ko) 2019-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01552B2 (ja) 配管構造、航空機、およびリーク検知にロバスト性を与える方法
EP3896427A1 (en) Particulate matter sensor device
JP6846168B2 (ja) 感知器
EP1370844B1 (en) Method and device at testing for leaks and leakage finding
CN108700495B (zh) 开放型排放分析的泄漏检测方法及开放型排放分析装置
JP5873413B2 (ja) 安全キャビネット
CN1366651A (zh) 管道式测试工具
JP2015081804A (ja) 排ガス採取装置及び排ガス分析システム
KR101987069B1 (ko) 유해가스 검출기용 기체 유도장치
KR101606864B1 (ko) 스왈러와 가이드 부재를 구비한 국소배기장치
KR20190003320A (ko) 복합센서 하우징
CN109789366B (zh) 防尘和防溅过滤器
CN107448974A (zh) 通风及泄漏检测系统及其组装方法以及气体燃料模块
JP6654350B2 (ja) 配管構造および航空機
CN215573616U (zh) 压力传感器密封性检测装置
KR200493661Y1 (ko) 핸드헬드 장치에 적용되는 가스 센서
CN106017818A (zh) 一种吸入式氮氢检漏仪的吸枪探头
CN205691302U (zh) 一种吸入式氮氢检漏仪的吸枪探头
JP2019533146A (ja) 細長いガスガイド部材を備えたガス導入用プローブ装着具
CN205861557U (zh) 量程自适应VOCs在线监测系统
JP4679103B2 (ja) ガス検知装置
CN205861535U (zh) 冗余在线光离子分析系统
JP6251315B2 (ja) 風量計測装置
JP2009150341A (ja) 内燃機関の吸気構造
JP2015072238A (ja) パーティクル捕集治具およびパーティクル捕集方法、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パーティクル計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