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6939B1 - 플레임 어레스터 - Google Patents

플레임 어레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6939B1
KR101986939B1 KR1020180013339A KR20180013339A KR101986939B1 KR 101986939 B1 KR101986939 B1 KR 101986939B1 KR 1020180013339 A KR1020180013339 A KR 1020180013339A KR 20180013339 A KR20180013339 A KR 20180013339A KR 101986939 B1 KR101986939 B1 KR 101986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coupling
gas
threaded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3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희승
Original Assignee
윤희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희승 filed Critical 윤희승
Priority to KR1020180013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69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6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6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5/00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 F17D5/02Preventing, monitoring, or locating lo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5/00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 F17D5/005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of gas pipelines, e.g. ala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 배관에 설치되는 가스 누출 감지기에 장착되어 공기 및 가스는 통과시키고 화염은 차단하여 폭발을 방지하되, 특히 2개의 바디의 결합만으로 화염의 차단을 실현한 플레임 어레스터에 관한 것으로, 가스 누출 감지기의 배관 결합부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 이 제1결합부 측에 구비된 유입부 및, 일 측에 구비된 결속부를 포함하는 제1바디, 그리고 배관이 결합되는 제2결합부, 이 제2결합부 측에 구비된 유출부 및, 일 측에 구비되고 상기 결속부에 상응하는 결속대응부를 포함하는 제2바디, 그리고 상기 유입부와 상기 유출부 사이에 연결 구비되고,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화염차단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레임 어레스터{FLAME ARRESTOR}
본 발명은 가연성 가스를 사용하는 배관 또는 방폭형 가스 누출 감지기의 IN PORT 또는 OUT PORT에 장착되어 공기 및 가스는 통과시키고 화염은 차단하여 폭발을 방지하되, 특히 2개의 바디의 결합만으로 화염의 차단을 실현한 플레임 어레스터(FLAME ARRESTOR)에 관한 것이다.
가연성 또는 폭발성 가스를 공급 또는 사용하는 장치 및 설비 배관 라인의 IN , OUT 부분과 가연성 또는 폭발성 가스 누출을 감지하기 위해한 방폭형 가스 감지기에는 플레임 어레스터(FLAME ARRESTOR)를 기능을 가진 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이러한 가스 누출 감지기에는 화염의 유출에 의한 폭발을 방지하기 위해 가스 누출 감지기에 역화방지기를 더한 방폭형 디텍터가 구비된다. 방폭형 디텍터의 화염 유출 방지에 관한 대표적인 예로, 역화방지필터나 소결필터 등이 있는데, 이러한 필터를 활용하는 방식은 화염 유출 방지 기능은 탁월하나 가스를 충분히 통과시키지 못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화염의 유출 방지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 등록특허 제10-1354211호(2014년01월15일)(이하 종래기술)가 있는데, 종래기술은 외부로 돌출된 방출구를 없애고 소형화 슬림화하였고, 역화방지기의 가스의 누설을 방지하거나 육안으로 확인 점검할 수 있는 역화방지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가스 용접 시 역화를 방지하는 기술로, 본 발명과는 그 기술분야에서 현저한 거리가 있으며, 그 구조 또한 복잡하게 이루어져 있어 화염 유출 방지를 구현하기 위해 다소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제1바디와 제2바디 간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화염차단수단을 통해, 별도의 구성이나 복잡한 구조를 채택하지 않고 2개의 바디의 결합만으로 화염의 차단을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제1바디의 내벽부와 제2바디의 외면부 간의 이격에 의해 형성된 미세통로를 통해 화염차단수단을 구현함으로써, 구조의 단순화 및 비용 절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바디의 내벽부와 제2바디의 나사산부에 의해 형성된 나사산통로를 통해 화염차단수단을 구현함으로써, 구조의 단순화 및 비용 절감을 제공함은 물론, 이에 더하여 설계상 또는 제조상의 공차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화염의 유출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다음의 구성 및 특징을 포함한다.
가스 누출 감지기의 배관 결합부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 이 제1결합부 측에 구비된 유입부 및, 일 측에 구비된 결속부를 포함하는 제1바디, 그리고 배관이 결합되는 제2결합부, 이 제2결합부 측에 구비된 유출부 및, 일 측에 구비되고 상기 결속부에 상응하는 결속대응부를 포함하는 제2바디, 그리고 상기 유입부와 상기 유출부 사이에 연결 구비되고,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화염차단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화염차단수단은, 상기 제2바디에 구비되고 상기 유입부에 연결된 진입공, 상기 제2바디에 구비되고 상기 유출부에 연결된 진출공 및, 상기 진입공과 진출공 모두에 연통되고 상기 제1바디의 내벽부와 상기 제2바디의 외면부 간의 이격에 의해 형성된 미세통로를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화염차단수단은, 상기 제2바디에 구비되고 상기 유입부에 연결된 진입공, 상기 제2바디에 구비되고 상기 유출부에 연결된 진출공 및, 상기 진입공과 진출공 모두에 연통되고 상기 제1바디의 내벽부와 상기 제2바디의 외면부에 구비된 나사산부에 의해 형성된 나사산통로를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미세통로는 폭이 0.252 내지 0.3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별도의 구성이나 복잡한 구조를 채택하지 않고 2개의 바디의 결합만으로 화염의 차단을 실현함으로써 구조의 단순화 및 비용 절감을 제공하고, 또한 미세통로를 통한 화염차단수단의 구현, 나사산통로를 통한 화염차단수단의 구현을 제시함으로써 구조의 단순화 및 비용 절감을 제공함은 물론 이에 더하여 설계상 또는 제조상의 공차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화염의 유출 차단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이 설치되는 가스 누출 감지기의 일 예.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평단면도와 일 측면도.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분해도.
도 4는 제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평단면도와 일 측면도.
도 5는 제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분해도.
도 6은 제3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평단면도 및 측면도.
도 7은 제4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평단면도 및 측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연성 가스를 사용하는 배관 또는 방폭형 가스 누출 감지기의 IN PORT 또는 OUT PORT에 장착되어 공기 및 가스는 통과시키고 화염은 차단하여 폭발을 방지하되, 특히 2개의 바디의 결합만으로 화염의 차단을 실현한 플레임 어레스터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레임 어레스터(이하 본 장치(F))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이해를 돕기 위한 몇 가지 개념을 정리하기로 한다.
먼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대략적인 방향을 특정하면, 도 2에 도시된 상태 그대로를 기준으로, 좌측을 전방, 우측을 후방으로 하고, 일반적인 상식 하에서 내측과 외측을 구별하기로 한다. 또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청구범위'에서도 이를 따르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 언급되는 '가스'는 연소를 위한 연료로서의 가스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공기를 포함하는 모든 기체를 포함하는 광의적 개념으로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설명에서 언급되는 '일 측'이라 함은 임의로 특정될 수 있는 어느 한 방향을 의미하는 바, 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 측'의 방향이 반드시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장치(F)는 도 1에 도시된 가스 누출 감지기(S)의 배관 결합부(C)에 결합되어 장착되고, 배관 결합부(C)와 결합된 반대편에 배관이 결합되어, 가스 누출 감지기(S)와 배관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 한정될 수 있다. 이러한 한정은 본 발명의 목적이 가스 누출 감지기(S)에서 가스의 누출을 감지하는 상황에서 발생하는 화염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라는 것에 주목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한정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축소되어 가스 누출 감지기(S) 이외의 장비에 설치되는 실시가 배제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A1)를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도 2 [A]는 평단면도, 도 2 [B]는 일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3은 도 2 [A]의 평단면도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A2)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A]는 평단면도, 도 4 [B]는 일 측면도, 도 5는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A3)를, 도 7은 제4실시예(A4)를 도시하고 있는데, 제3실시예(A3)는 제1실시예(A1)에서 약간 변형된 것이고, 제4실시예(A4)는 제2실시예(A2)에서 약간 변형된 것이다.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장치(F)는 상호 결합되는 제1바디(1)와 제2바디(2), 그리고 이들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화염차단수단(3)을 포함한다.
각 구성 별로 구체적인 설명을 진행하면, 제1바디(1)는 2개의 분체로 구성되는 본 장치(F)의 일 구성으로, 가스 누출 감지기(S) 측에 결합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제1바디(1)는 가스 누출 감지기(S)의 배관 결합부(C)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11), 이 제1결합부(11) 측에 구비된 유입부(12) 및, 일 측에 구비된 결속부(13)를 포함한다.
각 부 별로, 제1결합부(11)는 가스 누출 감지기(S)의 배관 결합부(C)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 결합부(C)가 암나사산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 제1결합부(11)는 수나사산을 구비할 수 있다.
유입부(12)는 제1결합부(11) 측에 구비되어 가스 누출 감지기(S)에서 유출되는 가스가 유입되는 부분으로, 일 측이 개구된 통로의 형태로 이루어져, 개구된 측으로 가스가 유입되고 통로를 따라 제2바디(2)의 유출부(22) 측으로 이동한다. 이 때 화염 역시 유입부(12)를 통해 유입될 수 있는데, 후술하는 화염차단수단(3)이 유입된 화염을 차단하고 가스만을 통과시켜 결과적으로 유출부(22)로는 가스만이 토출된다.
결속부(13)는 제2바디(2)와의 결합을 제공하는 부분으로, 제1바디(1)의 일 측에 구비된다. 여기에서 제1바디(1)의 일 측이라 함은 제1바디(1)의 전체 부분 중 어느 한 부분을 의미하는 것이며, 특별한 방향성을 갖는 것은 아니다. 다만 결속부(13)가 제2바디(2)와의 결합을 위한 것이라는 점에서 제2바디(2)에 근접한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3에서는 결속부(13)가 제1바디(1)의 후방에 구비된 실시가 도시되어 있다.
본 장치(F)를 이루는 다음 구성으로, 제2바디(2)는 역시 2개의 분체로 구성되는 본 장치(F)의 일 구성이며, 배관 측에 결합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제2바디(2)는 배관이 결합되는 제2결합부, 이 제2결합부 측에 구비된 유출부(22) 및, 일 측에 구비되고 결속부(13)에 상응하는 결속대응부(23)를 포함한다.
각 부 별로, 제2결합부는 배관이 결합되는 부분으로, 유출부(22)에서 토출되는 가스를 배관 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배관의 결합을 제공한다. 제2결합부는 배관의 형태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출부(22)는 제2결합부 측에 구비되어 후술하는 화염차단수단(3)을 통과하여 이동한 가스를 배관 측으로 토출하는 부분으로, 유입부(12)와 마찬가지로 일 측이 개구된 통로의 형태로 이루어져, 개구된 측으로 가스가 토출된다. 이 유출부(22) 측으로는 화염이 제거된 순수한 가스만이 토출된다.
결속대응부(23)는 제1바디(1)와의 결합을 제공하는 부분으로, 제2바디(2)의 일 측에 구비된다. 역시 마찬가지로 일 측이라 함은 특별한 방향성을 가지지 않으며, 결속대응부(23)는 결속부(13)의 구비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다. 도 3에서는 결속대응부(23)가 제2바디(2)의 후방에 구비된 실시가 도시되어 있다.
결속부(13) 및 결속대응부(23)에 관한 일 실시예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부(13)는 암나사산 또는 수나사산으로 이루어지고, 결속대응부(23)는 수나나산 또는 암나사산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결속부(13) 및 결속대응부(23)가 나사 결합하는 특징을 통해 제1바디(1)와 제2바디(2)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핵심 특징인 화염차단수단(3)에 관한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화염차단수단(3)은 유입부(12)로 유입되는 가스를 유출부(22)로 유출시키는 과정에서 가스와 함께 유입되는 화염을 유출부(22) 측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부(12)와 유출부(22) 사이에 연결 구비된다. 즉 가스는 유입부(12)를 통과하여 화염차단수단(3)을 거쳐 유출부(22)를 통과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핵심 특징은 이러한 화염차단수단(3)이 제1바디(1)와 제2바디(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다는 것인데, 이에 복잡한 구조나 별도의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제1바디(1)와 제2바디(2)의 결합만으로 구비되어, 부품 수 절감, 비용 절감, 구조의 단순화 및 제조 용이성 향상 등의 장점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실시예(A1~A4)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핵심 특징인 화염차단수단(3)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A1)에 따르면, 본 장치(F)는 화염차단수단(3)이 제2바디(2)에 구비되고 유입부(12)에 연결된 진입공(31), 제2바디(2)에 구비되고 유출부(22)에 연결된 진출공(32) 및, 진입공(31)과 진출공(32) 모두에 연통되고 제1바디(1)의 내부 중공부(14)와 제2바디(2)의 외면부(24) 간의 이격에 의해 형성된 미세통로(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역화방지필터나 소결필터 등을 활용하는 방식은 화염 유출 방지 기능은 탁월하나 가스를 충분히 통과시키지 못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제1바디(1)와 제2바디(2) 간의 결합 시 설계상 두 바디의 결합 부위에 두 바디의 결합만으로 구비되는 미세한 통로를 구비함으로써, 화염은 통과하지 못하고 가스는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을 제안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입공(31)은 유입부(12)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2바디(2)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진입공(31)은 유입부(12)를 통과한 가스와 화염이 미세통로(33)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출공(32)은 유출부(22)에 연결되어 있으며, 역시 제2바디(2)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진출공(32)은 미세통로(33)를 통과한 가스를 유출부(22)로 유출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통로(33)는 진입공(31)과 진출공(32) 모두에 연통되어 화염의 통과는 차단하고 가스만을 통과시키는데, 이러한 미세통로(33)는 제1바디(1)의 내벽부(15)와 제2바디(2)의 외면부(24) 간의 이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내벽부(15)는 제1바디(1)의 내부에 위치한 빈 공간인 중공부(14)를 형성하는 벽면이며, 이 중공부(14)에 제2바디(2)가 삽입되게 된다. 또한 외면부(24)는 제2바디(2)의 외측 노출면이며, 제1바디(1)의 중공부(14)에 제2바디(2)가 삽입됨으로써 제1바디(1)의 내벽부(15)와 제2바디(2)의 외면부(24) 간의 이격에 의해 미세통로(33)가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미세통로(33)는 화염은 통과하지 못하고 가스만이 통과할 수 있는 폭을 갖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 폭(d33)은 0.252 내지 0.3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미세통로(33)의 폭(d33)이 0.15mm가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미세통로(33)는 일반적으로 원형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이는 제1바디(1)와 제2바디(2)가 원형 단면을 갖기 때문이다. 그러나 미세통로(33)가 원형 단면 형상을 가지지 않는 경우를 가정 할 때, 상기한 미세통로(33)의 폭 규격은 가장 넓은 폭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령 미세통로(33)의 폭(d33)이 0.252mm보다 작으면 가스의 통과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미세통로(33)의 폭(d33)이 0.3mm보다 크면 화염 차단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예를 들면, 중공부(14)의 직경을 10mm이고, 외면부(24)의 직경이 9.85mm라 가정하면, 제1바디(1)의 내벽부(15)와 제2바디(2)의 외면부(24) 간의 이격 거리가 0.15mm가 되고, 이에 미세통로(33)는 그 폭(d33)이 0.15mm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제2실시예(A2)에 따르면 본 장치(F)는 화염차단수단(3)이 제2바디(2)에 구비되고 유입부(12)에 연결된 진입공(31), 제2바디(2)에 구비되고 유출부(22)에 연결된 진출공(32) 및, 진입공(31)과 진출공(32) 모두에 연통되고 제1바디(1)의 내벽부(15)와 제2바디(2)의 외면부(24)에 구비된 나사산부(25)에 의해 형성된 나사산통로(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제1실시예(A1)에서, 설계상의 공차나 제조상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 화염의 차단이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A2)에서는 이러한 공차에 따른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여 보다 용이하게 화염을 차단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A2)에서도 화염차단수단(3)이 진입공(31) 및 진출공(32)을 포함하는데, 이는 제1실시예(A1)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한 것으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산통로(34)는 진입공(31)과 진출공(32) 모두에 연통되어 화염의 통과는 차단하고 가스만을 통과시키는데, 이러한 나사산통로(34)는 제1바디(1)의 내벽부(15)와 제2바디(2)의 외면부(24)에 구비된 나사산부(25)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실시예(A1)에서처럼 내벽부(15)는 제1바디(1)의 내부에 위치한 빈 공간인 중공부(14)를 형성하는 벽면이며, 이 중공부(14)에 제2바디(2)가 삽입되게 된다. 또한 외면부(24)는 제2바디(2)의 외측 노출면이며, 제1바디(1)의 중공부(14)에 제2바디(2)가 삽입됨으로써 제1바디(1)의 내벽부(15)와 제2바디(2)의 외면부(24)에 구비된 나사산부(25)에 의해 나사산통로(34)가 형성되게 된다. 이 때 나사산부(25)의 마루(251)(최대 높이)는 제1바디(1)의 내벽부(15)에 접촉하여 가스가 골(252)을 따라 이동하게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나사산통로(34)는 가스가 나사산의 골(252)을 따라 이동하게 함으로써 가스의 이동거리를 늘려서 화염 차단 효율을 향상시키는 한편, 일반적으로 화염은 직진성을 갖기 때문에 나사산통로(34)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화염은 나사산통로(34)를 통과하지 못하고 차단되게 된다.
이러한 나사산통로(34) 역시 상기한 미세통로(33)와 마찬가지로, 그 폭(d34)이 0.1 내지 0.5mm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3mm가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장치(F)는 제1바디(1)가 전방에 구비되는 전방몸체(1A), 이 전방몸체(1A)의 후방에 구비되는 후방몸체(1B) 및, 전방몸체(1A)와 후방몸체(1B)의 경계에 형성된 단턱부(16)를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제1바디(1)의 전방몸체(1A)와 후방몸체(1B)는 단턱부(16)를 경계로 구분되는데,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전방몸체(1A)의 직경이 후방몸체(1B)의 직경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전방몸체(1A)와 후방몸체(1B)는 일체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한 중공부(14)는 후방몸체(1B) 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장치(F)는 제2바디(2)가 전방에 구비되는 주 몸체(2A), 주 몸체(2A)의 후방에 구비되는 부 몸체(2B), 주 몸체(2A)의 전방 부분인 전방단부(2C)의 외곽 측에 형성된 경사부(26)를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도 3 및 도 5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주 몸체(2A)는 실린더형 몸체로 구비될 수 있으며, 부 몸체(2B)는 너트 유사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화염차단수단(3)은 주 몸체(2A) 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아울러 상기한 제1바디(1)의 후방몸체(1B)와 제2바디(2)의 부 몸체(2B)는 그 직경이 동일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로, 제2바디(2)의 경사부(26)는 제2바디(2)가 제1바디(1) 내부 중공부(14)로 삽입될 때, 걸림 없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구비되는 구성으로,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경사는 45도를 가져, 상호 대칭되는 일 경사부(26)와 타 경사부(26)가 이루는 각도(a26)가 90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장치(F)는 나사산부(25)가 제2바디(2)의 외면부(24)에 걸쳐 다수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사산부(25)를 다수 형성하게 되면 나사산통로(34)가 다수로 구획되어 화염 차단 효과가 향상되는 장점을 갖게 된다.
일 실시예로, 도 4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산부(25)는 제2바디(2)의 외면부(24)의 원형 단면을 기준으로, 24도 마다 형성되어 총 15개가 구비될 수 있고, 각 피치는 7.5mm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나사산통로(34)는 총 15개로 구획되며 가스는 나사산통로(34)를 고르게 통과하게 되고, 화염은 각 구획에서 효과적으로 차단되게 된다.
추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산부(25)는 마루(251)에는 평평한 평활부가 구비되고, 골(252)에는 굴곡진 라운드부가 구비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나사산부(25)의 마루(251)는 제1바디(1)의 내벽부(15)에 밀착되어야 하는 바, 그 단부가 첨예하게 구성되는 경우 그 밀폐력이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나사산부(25)의 마루(251)에 평활부를 구비하여 나사산부(25)의 마루(251)가 제1바디(1)의 내벽부(15)에 충분한 면적으로 접촉하여 밀폐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나사산부(25)의 골(252)이 일반적인 나사산과 같이 첨예하게 패여 있는 경우, 가스가 이동하는 단면적이 작아 원활한 가스의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이 설계상 또는 제조상의 공차가 발생하는 경우 나사산통로(34)의 단면적이 상당히 줄어들어들 수 있는 가능성도 있다. 본 발명은 나사산부(25)의 골(252)에 굴곡진 라운드부를 구비하여 나사산통로(34)의 단면적을 최대한 확보함으로써 가스의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게 하였다.
더하여, 도 5를 참고하면, 상기한 나사산부(25)의 나사산 각도(a25)는 30 내지 40도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5도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나사산의 각도(a25)는 상충 관계에 있는 화염의 차단과 가스의 이동을 모두 고려한 것으로, 가령 나사산의 각도(a25)가 30도보다 작은 경우 나사산통로(34)의 단면적(폭)이 너무 작아 가스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나사산의 각도(a25)가 40도보다 큰 경우 나사산통로(34)의 단면적이 너무 커서 화염의 차단 효율이 저하된다.
도 6은 제3실시예(A3)에 관한 것으로, 상기한 제1실시예(A1)에서 제1바디(1)의 전방몸체(1A)와 제2바디(2)의 부 몸체(2B)의 형태가 변형된 실시이다.
또한 도 7은 제4실시예(A4)에 관한 것으로, 상기한 제2실시예(A2)에서 제1바디(1)의 전방몸체(1A)와 제2바디(2)의 부 몸체(2B)의 형태가 변형된 실시이다.
이러한 전방몸체(1A) 및 부 몸체(2B)의 변경은 가스 누출 감지기(S)의 배관 결합부(C)의 형태, 그리고 배관의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이를 통해 본 장치(F)의 각 바디의 외형은 다양하게 변경 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본 장치(플레임 어레스터)
1: 제1바디
11: 제1결합부 12: 유입부
13: 결속부 14: 중공부
15: 내벽부
2: 제2바디
21: 제2결합부 22: 유출부
23: 결속대응부 24: 외면부
25: 나사산부
3: 화염차단수단
31: 진입공 32: 진출공
33: 미세통로 34: 나사산통로

Claims (4)

  1. 가스 누출 감지기의 배관 결합부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 이 제1결합부 측에 구비된 유입부 및, 일 측에 구비된 결속부를 포함하는 제1바디;
    배관이 결합되는 제2결합부, 이 제2결합부 측에 구비된 유출부 및, 일 측에 구비되고 상기 결속부에 상응하는 결속대응부를 포함하는 제2바디; 및
    상기 유입부와 상기 유출부 사이에 연결 구비되고,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화염차단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화염차단수단은, 상기 제2바디에 구비되고 상기 유입부에 연결된 진입공, 상기 제2바디에 구비되고 상기 유출부에 연결된 진출공 및, 상기 진입공과 진출공 모두에 연통되고 상기 제1바디의 내벽부와 상기 제2바디의 외면부에 구비된 나사산부에 의해 형성된 나사산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산통로의 폭은 0.1 내지 0.5mm 이고,
    나사산부의 마루는 평평한 평활부가 구비되고, 골에는 굴곡진 라운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임 어레스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나사산부는 상기 제2바디의 외면부의 원형 단면으로 24도마다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임 어레스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나사산부의 나사산 각도(a25)는 30 내지 4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임 어레스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가 전방에 구비되는 주 몸체(2A), 상기 주 몸체(2A)의 후방에 구비되는 부 몸체(2B), 상기 주 몸체(2A)의 전방 부분인 전방단부(2C)의 외곽 측에 형성된 경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경사부는 45도의 경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임 어레스터.
KR1020180013339A 2018-02-02 2018-02-02 플레임 어레스터 KR101986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339A KR101986939B1 (ko) 2018-02-02 2018-02-02 플레임 어레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339A KR101986939B1 (ko) 2018-02-02 2018-02-02 플레임 어레스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6939B1 true KR101986939B1 (ko) 2019-06-07

Family

ID=66849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3339A KR101986939B1 (ko) 2018-02-02 2018-02-02 플레임 어레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693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7868A (en) * 1980-09-19 1982-03-02 Gould Inc. Battery vent plug with flame arrestor
JPH10160017A (ja) * 1996-11-26 1998-06-16 Takayasu Sangyo:Kk ガス供給停止装置のフィルター取付構造
KR101722103B1 (ko) * 2009-06-05 2017-03-31 엑스트랄리스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가스 탐지기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7868A (en) * 1980-09-19 1982-03-02 Gould Inc. Battery vent plug with flame arrestor
JPH10160017A (ja) * 1996-11-26 1998-06-16 Takayasu Sangyo:Kk ガス供給停止装置のフィルター取付構造
KR101722103B1 (ko) * 2009-06-05 2017-03-31 엑스트랄리스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가스 탐지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28291B2 (ja) 噴射ポンプを内蔵した液体分離装置
CN101149122B (zh) 管接头
US20060037647A1 (en) Check valve
EP0857271B1 (en) Flow control valve with non-plugging multi-stage valve trim
JP6539482B2 (ja) 遮断開放器
KR101986939B1 (ko) 플레임 어레스터
US10584799B2 (en) Pressure reduction valve device
JP2013072434A (ja) チェックバルブ
US9625917B2 (en) Gas pressure regulator with guide
CA2580594C (en) Fuel manifold with reduced losses
ES2300992T3 (es) Valvula de retencion de caida de presion.
CN105221299A (zh) 排气再循环装置
US7850143B1 (en) Ball valve assembly
US9212819B2 (en) Swirled fuel injection
JP2007198279A (ja) 複合弁、及びその複合弁を備えるエンジンのブローバイガス還元装置
CN117167530A (zh) 可更换的压力控制阀
KR20170137942A (ko) 둥글지 않은 마감부재를 갖는 밸브
CN215110655U (zh) 四通阀
KR101354211B1 (ko) 역화 방지기
GB1398671A (en) Spray apparatus
CN102754041A (zh) 压力调节阀
CN103288176A (zh) 节流装置
CN220286528U (zh) 一种单向阀
JP4898128B2 (ja) 過流防止弁
KR102549666B1 (ko) 화재 예방을 위한 차단밸브가 구비된 배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