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6885B1 - 착유 장치 - Google Patents

착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6885B1
KR101986885B1 KR1020170071766A KR20170071766A KR101986885B1 KR 101986885 B1 KR101986885 B1 KR 101986885B1 KR 1020170071766 A KR1020170071766 A KR 1020170071766A KR 20170071766 A KR20170071766 A KR 20170071766A KR 101986885 B1 KR101986885 B1 KR 101986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milking
raw material
plate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1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4199A (ko
Inventor
한병석
Original Assignee
한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병석 filed Critical 한병석
Priority to KR1020170071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6885B1/ko
Publication of KR20180134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4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6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6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0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1/06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by press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2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ion or working-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04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 rams
    • B30B9/06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 rams co-operating with permeable casings or stra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0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1/02Pretreatment
    • C11B1/04Pretreatment of vegetable raw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곡물이나 씨로부터 식용유와 같은 기름을 짜내는 친환경적인 착유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착유 장치는 원료가 내부에 공급되고 실린더 로드가 상기 원료에 압력을 가하여 착유가 이루어지는 착유통; 상기 착유통을 지지하도록 상기 착유통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착유통 내측을 따라 흘러내린 기름이 모여 배출되는 기름 유로를 구비한 착유판; 을 포함하고, 상기 착유통은 방사방향을 따라 절개된 복수개의 절편부재가 원통형을 이루도록 조립되고, 상기 복수개의 절편부재의 일측면에는 수직방향을 따라 돌출부가 구비되고 타측면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제1홈부가 구비되어 조립되고, 상기 착유통의 외면에는 상기 복수개의 절편부재가 벌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밴드부재가 설치된다.

Description

착유 장치 {Oil press apparatus}
본 발명은 곡물이나 씨로부터 식용유와 같은 기름을 짜내는 친환경적인 착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착유 장치는 압력을 이용하여 곡물이나 씨로부터 기름을 짜내는 장치이다. 여기서 짜낸 기름은 통상 식용유로 사용되어 진다.
종래 착유 장치 일례로는 들깨나 참깨와 같은 곡물을 압착시켜 기름을 짜는 장치가 공지되어 있고, 그 구조는 공지된 바와 같이 내통과 외통으로 형성되며, 내통에는 다수개의 기름 이동홈이 형성되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피스톤에 의해서 상. 하로 이동되며, 내부에는 참깨나 들깨와 같은 곡물이 담겨지는 착유통과, 상기 착유통의 하부에 삽입되어 착유통의 내부에서 피스톤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표면에는 다수개의 기름배출공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착유판과, 상기 착유통의 상부에 고정되어 피스톤에 의해 이동되는 착유판에 의해서 곡물이 착유통의 상부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상부누름판이 고정되는 버팀대와, 착유판 구동수단 및 가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착유기를 이용하여 식물성기름을 압착하여 착유할 때는 착유판으로 착유통의 하부를 밀폐시킨 상태에서 헝겊으로 형성되는 하부여과재를 착유판에 깔은 상태에서 참깨나 들깨와 같은 곡물을 착유통에 넣고 그 위에 상부여과재와 상부누름판을 올려놓은 다음 착유통을 회전시켜 버팀대와 착유통의 내부를 일치시킨 상태에서 착유판을 상부로 올려 참깨나 들깨와 같은 곡물이 압착되면서 기름이 짜지면서 착유판에 형성된 기름배출공과 착유통의 내통에 형성되는 기름이동홈을 통해 기름이 모여지도록 형성하였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한 착유장치는 기름이 짜내지면서 직접 접촉하게 되는 착유통이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철재로 제조되는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기름이 직접 철재에 접촉하게 되면 바로 산화가 시작되어 기름의 품질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렇게 기름이 금속에 접촉하게 되면 기름 속의 일부 불포화 지방산이 포화지방산으로 변질되어 기름의 맛에 확연하게 영향을 미치게 되고 결국 품질 저하를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20-0236930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름이 직접 접촉하게 되는 착유통을 목재로 제작되되 충분히 프레스 압력을 견딜 수 있는 구조를 가지도록 제작된 착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원료가 내부에 공급되고 실린더 로드가 상기 원료에 압력을 가하여 착유가 이루어지는 착유통; 상기 착유통을 지지하도록 상기 착유통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착유통 내측을 따라 흘러내린 기름이 모여 배출되는 기름 유로를 구비한 착유판;을 포함하고, 상기 착유통은 방사방향을 따라 절개된 복수개의 절편부재가 원통형을 이루도록 조립되고, 상기 복수개의 절편부재의 일측면에는 수직방향을 따라 돌출부가 구비되고 타측면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제1홈부가 구비되어 조립되고, 상기 착유통의 외면에는 상기 복수개의 절편부재가 벌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밴드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와 제1홈부의 횡단면은 모서리가 직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착유통의 내면에는 수직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제2홈부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착유판 상면에는 중앙으로부터 방사형으로 복수개의 가이드 홈이 상기 기름 유로까지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은 외측으로 갈수록 깊이가 깊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료 상부를 덮고 상기 실린더 로드에 의해 상기 원료에 압력을 가하게 되는 가압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가압판의 하면에는 중앙으로부터 방사형으로 복수개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은 외측으로 갈수록 깊이가 깊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착유통의 내면은 밀랍 코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밀랍코팅은 중탕의 밀랍에 들기름이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밴드부재는 그 내경이 상기 착유통의 외경보다 작게 이루어지고, 상기 밴드부재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되, 가열한 상태에서 상기 착유통 외면에 삽입되어 조립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본 발명은 철재로 이루어진 착유통 대신 목재로 이루어진 착유통을 적용함으로써 친환경적이고 기름의 산화를 지연시켜 기름의 품질을 고품질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2) 본 발명은 목재로 이루어진 착유통을 적용하면서도 절편부재를 벌어지지 않도록 제작하기 때문에 충분히 압력에 견딜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착유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착유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착유 장치의 반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착유 장치의 부분 절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착유 장치의 일부 구성요소인 절편부재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유 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착유 장치는, 도 1 내지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유통(20), 착유판(30), 밴드부재(22), 가압판(23)을 포함한다.
상기 착유통(20)은, 도 1을 참고하면, 원료가 내부에 공급되고 실린더 로드(11)가 상기 원료에 압력을 가하여 착유가 이루어진다.
이때, 도 1을 참고하면, 상하부 지지판(12,13)이 4개의 기둥(14)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지지되고, 상부 지지판(12) 상부에 유압 실린더(10)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유압 실린더(10)는 유압에 의해 실린더 로드(11)를 승강시키게 된다. 여기서는 하강하면서 기름을 착유하기 위한 원료에 압력을 가하게 된다.
도 1을 참고하면, 하부 지지판(13) 상부에 받침대(40)가 놓이고, 상기 받침대(40) 상부에 착유판(30)이 놓이게 된다.
이때, 상기 착유판(30) 상부에는 상기 착유통(20)이 안착되고, 상기 착유통(20) 내부에는 원료가 소위 면보 등에 의해 싸여 놓이게 되고, 그 상부에 가압판(23)이 조립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유압 실린더(10)가 동작하면, 실린더 로드(11)가 하강하면서 상기 가압판(23)을 가압하게 되고, 그에 따라 원료로부터 기름이 짜지게 된다.
이때, 상기 가압판(23) 상부에는 원료의 부피에 따라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가압판(23)과 유사한 형태의 원기둥형으로 이루어진 가압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원료가 많은 경우에는 가압판(23)만을 적용해도 되나, 원료가 적은 경우에는 실린더 행정 길이가 증가되어야하기 때문에 이를 줄일 수 있도록 가압판(23)과 실린더 로드(11) 사이에 가압부재를 더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실린더 로드(11)가 하강하면서 상기 원료를 가압시키면 원료로부터 착유가 이루어지고, 기름은 상기 착유통(20) 내부를 타고 흘러내리고, 외부로는 배출되지 않는다. 이것은 상기 착유통(20)의 구조 때문이다.
이때, 상기 착유통(20) 내부에서 착유된 기름은 상기 착유통(20) 내부를 타고 흘러내린 다음, 상기 착유판(30)의 기름 유로(32)를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착유통(20)은, 도 2와 도 5를 참고하면, 방사방향을 따라 절개된 복수개의 절편부재(21)가 원통형을 이루도록 조립되고, 상기 복수개의 절편부재(21)의 일측면에는 수직방향을 따라 돌출부(21)가 구비되고 타측면에는 상기 돌출부(21a)가 삽입되는 제1홈부(21c)가 구비되어 조립되며, 상기 착유통(20)의 외면에는 상기 복수개의 절편부재(21)가 벌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밴드부재(22)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착유통(20)은 방사방향을 따라 절개된 복수개의 절편부재(21)로 이루어지고, 상기 절편부재(21)는 평면상 부채꼴 모양으로 절개가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절편부재(21)는 대략 25-30개로 이루어지는 바, 일정각도마다 방사방향을 따라 절개된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복수개의 절편부재(21)를 모두 조립하게 되면 원통형의 착유통(20) 형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 복수개의 절편부재(21)는 전술한 바와 같이 부채꼴의 일부 형태를 가지고, 일측면에는 돌기부(21a)가 타측면에는 제1홈부(21c)가 구비되어 연속적으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돌출부(21a)와 제1홈부(21c)의 횡단면은 모서리가 직각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절편부재(21) 사이가 약간 벌어지더라도 상기 돌출부(21a)와 제1홈부(21c) 사이로는 기름이 통과할 수 없게 된다.
이때, 상기 착유통(20)의 내면에는 수직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제2홈부(21b)가 구비된다. 상기 제2홈부(21b)는 상기 착유통(20) 내부에서 착유된 기름이 흘러내리는 유로를 제공하게 된다. 즉 원활하게 기름이 흘러내릴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착유통(20)의 내면은 밀랍 코팅된다. 이때, 상기 밀랍 코팅은 중탕의 밀랍에 들기름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이렇게 상기 착유통(20)의 내면이 밀랍 코팅이 되어야만 기름이 원활하게 흘러내릴 수 있게 된다.
상기 밴드부재(22)는,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양단에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볼트부재(22a)와 너트부재가 설치된다. 즉 너트부재는 한쪽에 고정되고 반대쪽에는 볼트부재(22a)가 고정되되, 상기 볼트부재(22a)와 너트부재가 어느 정도 체결되느냐에 따라 상기 밴드부재(22)의 길이가 정해진다.
따라서 연속된 사용으로 상기 밴드부재(22)가 상기 착유통(20)을 조여 고정하지 못할 정도가 심해지면 상기 볼트부재(22a)를 더 조여 그 길이를 짧게 함으로써 상기 착유통(20)을 다시 조이게 된다.
이때, 상기 밴드부재(22)는 그 내경이 상기 착유통(20)의 외경보다 작게 이루어지고, 가열한 상태에서 상기 착유통(20) 외면에 삽입되어 조립되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이때에는 볼트부재(22a)와 너트부재를 삭제한다. 이렇게 상기 밴드부재(22)를 상기 착유통(20)의 외면을 조이도록 조립하게 되면, 상기 밴드부재(22)는 파괴될 때까지 상기 착유통(20)을 계속 조이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착유판(30)은,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착유통(20)을 지지하도록 상기 착유통(20)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착유통(20) 내측을 따라 흘러내린 기름이 모여 배출되는 기름 유로(32)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착유판(30) 상면에는 중앙으로부터 방사형으로 복수개의 가이드 홈(31a)이 상기 기름 유로(32)까지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31a)은 외측으로 갈수록 깊이가 깊어지도록 형성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원료 상부를 덮고 상기 실린더 로드(11)에 의해 상기 원료에 압력을 가하게 되는 가압판(23)을 더 구비한다.
이때, 상기 가압판(23)의 하면에는 중앙으로부터 방사형으로 복수개의 가이드 홈(23a)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23a)은 외측으로 갈수록 깊이가 깊어지도록 형성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유압 실린더(10)를 작동시켜 착유하는 동작을 볼 수 있다. 유압 실린더(10)의 로드(11) 하부에는 착유통(20), 착유판(30), 그리고 받침대(40)가 하부 지지판(13) 상부에 차례로 배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착유통(20), 착유판(30), 그리고 받침대(40)는 모두 목재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하부 지지판(13)은 압력에 잘 버틸 수 있도록 강성도가 강한 두꺼운 철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착유통(20) 내부에는 면보에 싸인 원료가 제공되고, 그 상부에 가압판(23)이 삽입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 로드(11)가 하강하고, 상기 가압판(23)에 압력을 가하게 되면, 원료로부터 착유가 이루어지기 시작한다.
상기 원료로부터 착유된 기름은 상기 착유통(20)의 내면을 타고 하강하여 상기 착유판(30)에 링 형태의 홈으로 형성된 기름 유로(32)로 모이게 된다. 이때 기름은 대부분이 상기 착유통(20)의 내면에 형성된 제2홈부(21b)를 따라 흘러내리게 된다. 또한 착유판(30) 상면으로 착유된 기름은 상기 착유판(30)의 가이드 홈(31a)을 따라 상기 기름 유로(32)로 흘러가게 된다.
상기 기름 유로(32)로 모인 기름은 착유판(30)에 상기 기름 유로(32)에 연통되도록 형성된 배출구(30a)를 통하여 배출되고, 상기 배출구(30)에 억지끼움식으로 설치되고 목재로 이루어진 가이드 관(34)을 따라 병이나 기타 기름을 포장할 용기에 모이게 된다. 결국 원료로부터 착유되는 기름은 용기에 담길 때까지 목재로만 이루어진 부품들에 접촉하게 되기 때문에 산화를 방지하여 그 품질을 고품질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착유하기 위한 유압 실린더(11)의 압력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압력보다 매우 고압이다. 따라서 복수개의 절편부재(21)로 이루어진 착유통(200은 내부에 심한 압력을 받게 되고, 상기 복수개의 절편부재(21)가 서로 벌어지려고 하는 힘을 지속적으로 받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복수개의 절편부재(21) 사이에는 틈새가 생기게 되고 그 사이로 기름이 들어갈 수도 있다.
이때,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절편부재(21)의 돌출부(21a)가 제1홈부(21c)에 모서리가 직각형태로 삽입되어 조립된 형태이기 때문에 기름은 상기 착유통(20) 외면 쪽으로 유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 착유통(20)을 여러 번 반복하여 사용한 다음, 제작된 재질이 목재이기 때문에 볼트를 조여 견고하게 조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착유판(30) 상부에 상기 착유통(30)이 배치되는데, 상기 착유판(30)은 링 형태의 기름 유로(32)를 기준으로 내측부(31)와 외측부(33)로 나뉘게 되고, 상기 내측부(31)에는 상기 가이드 홈(31a)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착유판(30)에서, 상기 내측부(31)는 상기 외측부(33)보다 약간 돌출되도록 높이가 상이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착유통(20)이 놓이게 되면 상기 내측부(31)는 상기 착유통(20)에 그 높이의 차이만큼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착유통(20) 내부에서 착유된 기름은 상기 제2홈부(21b), 가이드 홈(31a), 그리고 기름 유로(32)를 통하여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 유압 실린더
11 : 실린더 로드 20 : 착유통
21 : 절편부재 22 : 밴드부재
23 : 가압판 30 : 착유판

Claims (8)

  1. 원료가 내부에 공급되고 실린더 로드가 상기 원료에 압력을 가하여 착유가 이루어지는 목재로 이루어진 착유통;
    상기 착유통을 지지하도록 상기 착유통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착유통 내측을 따라 흘러내린 기름이 모여 배출되는 기름 유로를 구비한 착유판;
    을 포함하고,
    상기 착유통은 방사방향을 따라 절개된 목재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절편부재가 원통형을 이루도록 조립되고, 상기 복수개의 절편부재의 일측면에는 수직방향을 따라 돌출부가 구비되고 타측면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제1홈부가 구비되어 조립되고,
    상기 착유통의 외면에는 상기 복수개의 절편부재가 벌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밴드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절편부재 사이로 기름이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원호 방향을 따라 상기 돌출부와 제1홈부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와 제1홈부의 횡단면은 모서리가 직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착유통의 내면에는 짜여진 기름이 상기 착유판으로 흘러 내릴 수 있도록 수직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제2홈부가 구비되어,
    상기 착유통에서 기름이 짜여질 때 짜여진 기름은 상기 복수개의 제2홈부를 따라 상기 착유판으로 흘러 내리고, 압력에 의해 상기 절편부재 사이가 벌어지더라도 상기 돌출부와 제1홈부에 의해 절편부재 외측으로 기름 유출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유판 상면에는 중앙으로부터 방사형으로 복수개의 가이드 홈이 상기 기름 유로까지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은 외측으로 갈수록 깊이가 깊어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 상부를 덮고 상기 실린더 로드에 의해 상기 원료에 압력을 가하게 되는 가압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가압판의 하면에는 중앙으로부터 방사형으로 복수개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은 외측으로 갈수록 깊이가 깊어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유통의 내면은 밀랍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밀랍코팅은 중탕의 밀랍에 들기름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재는 그 내경이 상기 착유통의 외경보다 작게 이루어지고, 상기 밴드부재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되, 가열한 상태에서 상기 착유통 외면에 삽입되어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 장치.
KR1020170071766A 2017-06-08 2017-06-08 착유 장치 KR101986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1766A KR101986885B1 (ko) 2017-06-08 2017-06-08 착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1766A KR101986885B1 (ko) 2017-06-08 2017-06-08 착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4199A KR20180134199A (ko) 2018-12-18
KR101986885B1 true KR101986885B1 (ko) 2019-06-07

Family

ID=64952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1766A KR101986885B1 (ko) 2017-06-08 2017-06-08 착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68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5047B1 (ko) * 2023-02-23 2023-09-06 (주)풍진식품기계 착유기용 착유부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9724Y1 (ko) * 1996-11-21 1999-06-15 서홍원 착유기용 착유통
KR200241419Y1 (ko) * 2001-05-03 2001-10-12 박인숙 착유기 및 착유판
KR200341669Y1 (ko) * 2003-11-13 2004-02-14 김원호 꿀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6930Y1 (ko) 1999-05-14 2001-09-25 장창희 참기름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9724Y1 (ko) * 1996-11-21 1999-06-15 서홍원 착유기용 착유통
KR200241419Y1 (ko) * 2001-05-03 2001-10-12 박인숙 착유기 및 착유판
KR200341669Y1 (ko) * 2003-11-13 2004-02-14 김원호 꿀 용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imilrang님의 블로그, 네이버 블로그, [online], 2010.11.25. [2018.07.24. 검색], 인터넷:<URL : https://blog.naver.com/kimilrang/7009790378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4199A (ko) 2018-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6885B1 (ko) 착유 장치
DE2306927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druckkochen von kochgut
KR20150011080A (ko) 곡류 세척장치
JP2022022591A (ja) ヨーグルト圧搾器
US20140272060A1 (en) Chicken Ring Cooking Device and Method
EP0687154A1 (de) Stapel-topfset
KR101609511B1 (ko) 스팀 조리 용기
US4183495A (en) Base support mount for heat pumps and like machinery
US3545366A (en) Apparatus for storing wheels of cheeses
CN211337037U (zh) 一种豆干储存箱
US10869490B2 (en) Method of and press for separating cocoa mass into cocoa butter and cocoa cake
KR101846745B1 (ko) 위생 착유기
KR100325255B1 (ko) 착유기의 압력용기부
KR200482318Y1 (ko) 식품건조기의 양면 건조망
KR20160067263A (ko) 무성형포 두부성형형틀
KR200173959Y1 (ko) 착유기용 착유통
US1705780A (en) Method of making composition tubs
CN211430875U (zh) 一种豆干压制设备
KR20110127066A (ko) 즉석찜기
US2619029A (en) Cheese mold
JP3725593B2 (ja) 減圧フライ方法及び装置
JP3035636B2 (ja) 抄造方法並びに装置
US2248957A (en) Cooking utensil
KR101941371B1 (ko) 스팀조리용 이중용기
US3573059A (en) Method of preventing the deterioration of frying oils in frying apparatuses and a hood for use on such apparatu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