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6519B1 - 송풍기능이 구비된 유아용 포대 장치 - Google Patents

송풍기능이 구비된 유아용 포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6519B1
KR101986519B1 KR1020170146588A KR20170146588A KR101986519B1 KR 101986519 B1 KR101986519 B1 KR 101986519B1 KR 1020170146588 A KR1020170146588 A KR 1020170146588A KR 20170146588 A KR20170146588 A KR 20170146588A KR 101986519 B1 KR101986519 B1 KR 101986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exhaust
circulation
circulation unit
inf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6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1204A (ko
Inventor
시대성
Original Assignee
시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대성 filed Critical 시대성
Priority to KR1020170146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6519B1/ko
Publication of KR20190051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1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6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6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Portable Outdo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송풍기능이 구비된 유아용 포대 장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송풍팬 및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공급받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를 구비하는 배기유닛, 통기성 있는 외피 내부에 구비되어 유아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배기유닛과 연통되도록 착탈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배기부로부터 공급받은 공기를 순환하여 유아의 신체와 면접하는 부위에 배출하는 제1순환유닛 및 통기성 있는 외피 내부에 구비되어 보호자가 착용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배기유닛 및 상기 제1순환유닛과 연통되도록 착탈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배기부 및 상기 제1순환유닛으로부터 공급받는 공기를 순환하여 보호자의 신체와 면접하는 부위에 배출하는 제2순환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송풍기능이 구비된 유아용 포대 장치{Baby Carring Device Having Air Blowing Function}
본 발명은 송풍기능이 구비된 유아용 포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아와 보호자의 신체에 송풍을 제공하는 송풍기능이 구비된 유아용 포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배낭형 아기포대기는 유아를 수용하는 아기몸고정대와 배낭이 결합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배낭형 아기포대기는 아기몸고정부가 유아의 신체를 감싸고, 배낭의 어깨끈 및 등판부가 보호자의 어깨 및 등에 밀착되므로, 여름과 같이 더운 날씨에 야외에 있는 경우, 아기몸고정부와 접촉된 유아와 배낭의 어깨끈 및 등판부와 접촉된 보호자의 어깨 및 등의 체온 상승 및 과도한 땀 배출이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본 발명을 배기유닛, 제1순환유닛 및 제2순환유닛으로 구성하여, 배기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송풍이 유아를 감싸는 제1순환유닛 및 보호자가 착용하는 제2순환유닛으로 순환되고 순환된 송풍이 유아와 보호자의 신체에 배출되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배기유닛과 제2순환유닛의 결합상태를 유지한 채로 제1순환유닛의 전후 방향을 바꾸어 상기 배기유닛 및 제2순환유닛에 연통되도록 결합함으로써, 유아가 보호자 방향뿐만 아니라 전방을 바라보는 경우에도 유아 및 보호자에게 송풍을 배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버클유닛, 제1순환유닛 및 제2순환유닛으로 구성하여, 착석상태가 유지되지 못하는 유아의 신체를 감싸듯이 수용하고자 한다.
본 출원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송풍기능이 구비된 유아용 포대 장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송풍팬 및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공급받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를 구비하는 배기유닛, 통기성 있는 외피 내부에 구비되어 유아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배기유닛과 연통되도록 착탈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배기부로부터 공급받은 공기를 순환하여 유아의 신체와 면접하는 부위에 배출하는 제1순환유닛 및 통기성 있는 외피 내부에 구비되어 보호자가 착용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배기유닛 및 상기 제1순환유닛과 연통되도록 착탈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배기부 및 상기 제1순환유닛으로부터 공급받는 공기를 순환하여 보호자의 신체와 면접하는 부위에 배출하는 제2순환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배기유닛은 상기 제1순환유닛 및 상기 제2순환유닛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순환유닛 및 상기 제2순환유닛에 공기를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순환유닛은 유아의 등, 둔부 및 복부의 면접 부위를 따라 연장형성되어 상기 배기유닛으로부터 공급받는 공기를 유아의 등, 둔부 및 복부의 면접 부위에 배출하는 메인순환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순환유닛은 상기 메인순환유로의 양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메인순환유로부터 공급받는 공기를 상기 제2순환유닛으로 공급하는 공급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순환유닛은 상기 공급유로로부터 공급받는 공기를 보호자의 어깨 및 등과 면접하는 부위에 배출하는 사이드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순환유닛은 상기 배기유닛으로터 공급받는 공기를 보호자의 허리 둘레에 면접하는 부위에 배출하는 서클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순환유닛은 상기 배기유닛 및 상기 제2순환유닛에 전후 방향이 바뀌도록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기부는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제2순환유닛의 서클유로에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기부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제1순환유닛의 메인순환유로에 공급하는 프런트배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순환유닛이 일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경우 상기 제1순환유닛의 메인순환유로가 상기 프런트배기부에 연통되도록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기부는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제1순환유닛의 메인순환유로에 공급하는 리어배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순환유닛이 타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경우 상기 제1순환유닛의 메인순환유로가 상기 리어배기부에 연통되도록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기유닛의 하우징은 상면이 일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유아의 신체가 보호자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버클유닛, 통기성 있는 외피 내부에 구비되어 유아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버클유닛과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순환유닛 및 통기성 있는 외피 내부에 구비되어 보호자가 착용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버클유닛 및 상기 제1순환유닛과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순환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버클유닛은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에 구비되며 상기 제1순환유닛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베이스부재에 구비되며 상기 제2순환유닛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송풍기능이 구비된 유아용 포대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배기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송풍이 유아를 감싸는 제1순환유닛 및 보호자가 착용하는 제2순환유닛으로 순환되고 순환된 송풍이 유아와 보호자의 신체에 배출됨으로써, 유아와 보호자에게 쾌적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유아가 보호자 방향뿐만 아니라 전방을 바라보는 경우에도 유아 및 보호자에게 송풍을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착석상태가 유지되지 못하는 유아의 신체 전체를 감싸듯이 수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송풍기능이 구비된 유아용 포대 장치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송풍기능이 구비된 유아용 포대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송풍기능이 구비된 유아용 포대 장치의 메인순환유로, 서클유로 및 사이드유로의 공기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송풍기능이 구비된 유아용 포대 장치의 배기부와 플러그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송풍기능이 구비된 유아용 포대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송풍기능이 구비된 유아용 포대 장치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상세한 설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그 형상에 대하여는 제한 없이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을 명시한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통풍기능이 구비된 유아용 포대기는 배기유닛(200), 제1순환유닛(300) 및 제2순환유닛(500)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개략적인 작동구조는 배기유닛(200)으로부터 배출되는 송풍이 유아를 감싸는 제1순환유닛(300) 및 보호자가 착용하는 제2순환유닛(500)으로 순환되고 순환된 송풍이 유아와 보호자의 신체에 배출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배기유닛(200)은 하우징(230)과 배기부(250)로 구성된다.
하우징(230)은 내부에 배터리(미도시)와 상기 배터리와 연결되는 복수개의 송풍팬(미도시)이 구비된다. 상기 송풍팬은 하우징(230) 외면에 구비되는 전원스위치(미도시)에 의해 온 및 오프되며, 별도의 제어부(미도시)와 연결되어 송풍되는 공기의 강약이 조절될 수 있다.
배기부(250)는 프런트배기부(251), 사이드배기부(252) 및 리어배기부(253)를 포함하며, 상기 배기부(250)는 상기 배기부(250)에 각각 연결되는 송풍팬으로부터 공급받은 공기를 선택적으로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배기부(25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제1순환유닛(300)은 유아를 감싸는 포대기 형상의 통기성 있는 외피 내부에 구비되며, 배기유닛(200)과 연통되도록 착탈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배기부로부터 공급받은 공기를 순환하여 유아의 신체와 면접하는 부위에 배출하는 기능을 한다.
포대기는 유아를 수용하는 몸체부(310) 및 상기 몸체부(310)로부터 양방향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연결띠(320) 로 구성된다. 상기 포대기의 몸체부(310) 및 연결띠(320)는 공기 배출이 용이하도록 메쉬 구조의 섬유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순환유닛(300)은 포대기 몸체부(310)의 내부에 수용되는 메인순환유로(350) 및 포대기 연결띠(320) 의 내부에 수용되는 공급유로(360)를 포함한다.
메인순환유로(350)는 "J 자" 형상으로 유아의 등, 둔부 및 복부의 면접 부위를 따라 굴곡지도록 연장형성되어 배기유닛(200)으로부터 공급받는 공기를 유아의 등, 둔부 및 복부의 면접 부위에 배출한다.
공급유로(360)는 상기 메인순환유로(350)의 양측으로부터 연통되도록 상향 연장형성되어 상기 메인순환유로(350)부터 공급받는 공기를 제2순환유닛(500)에 공급한다. 상기 공급유로(360)가 상기 제2순환유닛(500)에 공기를 공급하는 구체적인 구성은 후술한다.
상기 메인순환유로(350) 및 공급유로(360)는 내부를 따라 공기가 연통되는 유로가 형성되는 연질의 튜브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측으로 복수개의 배출통공이 형성되어 유로를 따라 순환되는 공기가 상기 배출통공 및 메쉬구조의 포대기 몸체부(310) 및 연결띠(320)를 통하여 유아의 신체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배기유닛(20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메인순환유로(350)로 공급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배기유닛(200)의 프런트배기부(251)는 하우징(230)의 전면 상부에 구비되며, 하우징(230) 내부에 구비된 송풍팬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후술할 버클부(352)에 공급한다.
제1순환유닛(300)의 메인순환유로(350)의 하부에는 상기 메인순환유로(350)와 연통되는 버클부(352)가 형성되며, 상기 버클부(352)는 프런트배기부(251)와 연통되어 상기 프런트배기부(251)로부터 공기를 공급받는다. 상기 버클부(352)를 통과한 공기는 송풍팬의 송풍압에 의해 메인순환유로(350) 내부로 순환하게 된다.
상기 프런트배기부(251) 및 버클부(352)는 안전벨트의 버클과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외에 공기가 연통되도록 서로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순환유로(350)를 순환하는 공기는 배출통공을 통하여 유아의 등, 둔부 및 복부의 면접 부위에 배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메인순환유로(350)와 연결되는 배기유닛(200)의 프런트배기부(251)는 하나만 도시되어 있으나, 송풍팬(미도시), 프런트배기부(251) 및 상기 프런트배기부(251)와 연결되는 메인순환유로(350)의 플러그(352)를 복수개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순환유로(350)의 경우, 공급유로(360)를 통하여 제2순환유닛(500)의 사이드유로(550)에도 공기를 공급해야 하므로, 송풍팬, 프런트배기부(251) 및 메인순환유로(350)의 플러그(352)를 복수개로 형성하여, 보다 원활하게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2순환유닛(500)은 보호자가 착용가능한 배낭 형상의 통기성 있는 외피 내부에 구비되며, 배기유닛(200) 및 제1순환유닛(300)과 연통되도록 착탈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배기부 및 상기 제1순환유닛(300)으로부터 공급받는 공기를 순환하여 보호자의 신체와 면접하는 부위에 배출하는 기능을 한다.
배낭은 보호자의 허리를 감싸는 벨트부(510)와 보호자의 어깨 및 등을 감싸는 어깨끈부(520)로 구성된다. 상기 배낭의 벨트부(510) 및 어깨끈부(520)는 공기 배출이 용이하도록 메쉬 구조의 섬유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순환유닛(500)은 배낭의 벨트부(510) 내부에 수용되는 서클유로(560) 및 배낭의 어깨끈부(520) 내부에 수용되는 사이드유로(550)를 포함한다.
제2순환유닛(500)의 서클유로(560)는 배기유닛(200)으로부터 공급받는 공기를 보호자의 허리 둘레에 면접하는 부위에 배출한다. 상기 서클유로(560) 역시 전술한 메인순환유로(350) 및 공급유로(360)와 같이 내부를 따라 공기가 연통되는 유로가 형성되는 연질의 튜브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측으로 복수개의 배출통공이 형성되어 유로를 따라 순환되는 공기가 상기 배출통공 및 메쉬 구조의 배낭 벨트부(510)를 통하여 보호자의 허리 둘레에 면접하는 부위에 배출한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배기유닛(20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서클유로(560)로 공급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배기유닛(200)의 사이드배기부(252)는 각각 하우징(230)의 양측에 구비되어 송풍팬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선택적으로 후술할 제2순환유닛(500) 서클유로(560)의 버클부(562)에 공급한다.
제1순환유닛(300) 서클유로(560)의 양측 끝단에는 버클부(562)가 형성되며, 상기 버클부(562)는 하우징(230)의 양측에 구비된 사이드배기부(252)와 각각 연통되어 상기 버클부(562)를 통과한 공기는 송풍팬의 송풍압에 의해 서클유로(560) 내부로 순환하게 된다. 상기 사이드배기부(252) 및 버클부(56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안전벨트의 버클과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외에 서로 공기가 연통되며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서클유로(560)를 순환하는 공기는 배출통공을 통하여 보호자의 허리 둘레에 면접하는 부위에 배출된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제1순환유닛(300)의 공급유로(360) 및 상기 공급유로(360)와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보호자의 어깨 및 등과 면접하는 부위에 공기를 배출하는 제2순환유닛(500)의 사이드유로(55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순환유닛(300)의 공급유로(360)는 메인순환유로(350)의 양측으로부터 상향 연장형성되어 상기 메인순환유로(350)부터 공급받는 공기를 제2순환유닛(500)의 사이드유로(550)로 공급한다.
상기 사이드유로(550) 역시 내부를 따라 공기가 연통되는 유로가 형성되는 연질의 튜브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측으로 복수개의 배출통공이 형성되어 유로를 따라 순환되는 공기가 상기 배출통공 및 배낭의 어깨끈부(520)를 통하여 보호자의 어깨 및 등과 면접하는 부위에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제1순환유닛(300) 공급유로(360)의 양 끝단에는 버클부(362)가 형성되며, 제2순환유닛(500) 사이드유로(550)의 양 끝단에는 버클수용부(552)가 형성된다. 상기 버클부(362)와 버클수용부(552)는 서로 연통되도록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공급유로(360)로부터 상기 사이드유로(550)로 공기가 이동하게 된다. 사이드유로(550)로 이동된 공기는 배출통공을 통하여 보호자의 어깨 및 등과 면접하는 부위에 배출된다.
상기 버클부(362) 및 버클수용부(552)는 서로 연통가능하며,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공급유로(360)의 내측에 배출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배출통공으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공급유로(360)는 유아나 보호자의 신체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고 주 기능이 사이드유로(550)에 공기를 공급하는 것이므로, 상기 공급유로(360)에 배출통공을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보다 많은 양의 공기를 사이드유로(550)에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풍기능이 구비된 포대 장치는 배기유닛(200)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제1순환유닛(300)은 유아의 신체에 송풍을 배출하고, 제2순환유닛(500)은 보호자의 신체에 송풍을 배출하여 유아와 보호자 모두에게 쾌적함을 제공하게 된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순환유닛(300)의 버클부(352)는 배기유닛(200)의 프런트배기부(251)와 연결된다. 이 경우, 유아는 보호자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위치하고 있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순환유닛(300)은 전후 방향을 바꾸어 배기유닛(200)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유아는 전방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위치하게 된다.
배기유닛(200) 하우징(230)의 후면 상부에는 송풍팬과 연결되는 리어배기부(253)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리어배기부(253)에는 제1순환유닛(300)의 버클부(352)가 서로 연통되도록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경우, 공급유로(360)의 버클부(362)는 뒤집힌 상태로 사이드유로(550)의 버클수용부(552)와 서로 연통되도록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결국, 리어배기부(253)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메인순환유로(350)를 순환하여 유아의 신체에 배출되며, 상기 메인순환유로(350)로부터 공급유로(360)를 통하여 사이드유로(550)로 공기가 순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배기유닛(200)과 제2순환유닛(500)의 결합상태를 유지한 채로 제1순환유닛(300)이 전후 방향을 바꾸어 상기 배기유닛(200) 및 제2순환유닛(500)에 연통되도록 결합되므로, 유아가 보호자 방향뿐만 아니라 전방을 바라보는 경우에도 유아 및 보호자에게 송풍을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배기유닛(200)의 하우징(230)은 상면이 일측으로 완만하게 기울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30)의 상면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완만하게 하향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유아는 제1순환유닛(300)의 몸체부(310)에 감싸져 있고 동시에 하우징(230)의 상면에 착석한 상태에 있게 된다.
따라서, 제1순환유닛(300)의 버클부(352)가 배기유닛(200)의 프런트배기부(251)와 연결되어 유아가 보호자를 바라보고 있는 경우 유아의 신체는 보호자 방향으로 기울어지므로 유아가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마찬가지로, 제1순환유닛(300)의 버클부(352)가 배기유닛(200)의 리어배기부(253)와 연결되어 유아가 전방을 바라보고 있는 경우에도 유아의 신체는 보호자 방향으로 기울어지므로 유아가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도 4를 참조하면,
프런트배기부(251), 사이드배기부(252) 및 리어배기부(253)와 각각 연결되는 버클부(352, 562)의 결합구조는 소켓(C)과 플러그(P)의 구성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소켓(C)은 일측에 컴프레셔 등이 연결되어 공기를 공급받는데, 상기 소켓(C)은 평상시에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 상태에 있으나, 플러그(P)와 결합된 경우는 소켓 내부의 밸브(V)가 오픈되면서 공기가 서로 연통되는 구성이다. 상기 소켓(C) 및 플러그(P)는 공지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배기유닛(200)의 프런트배기부(251), 사이드배기부(252) 및 리어배기부(253)를 소켓(C)과 같은 구성으로 형성하고, 상기 프런트배기부(251), 사이드배기부(252) 및 리어배기부(253)에 각각 연결되는 버클부(352, 562)를 플러그(P)와 같이 구성하여, 배기부(250) 및 버클부(352, 562)가 결합된 경우에만 공기가 연통되도록 본 발명을 구성할 수 있다. 즉, 위와 같은 경우, 배기유닛(200)은 제1순환유닛(300) 및 제2순환유닛(500)과 결합된 상태에서만 상기 제1순환유닛(300) 및 상기 제2순환유닛(500)에 공기를 배출하게 된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아는 제1순환유닛(300)의 몸체부(310)에 감싸져 있고, 동시에 배기유닛(200) 하우징(230)의 상면에 착석한 상태에 있게 된다. 유아가 착석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는 유아가 생후 최소 6개월 이상이어야 한다. 유아가 생후 6개월 이하인 경우는 유아가 착석 상태를 유지하지 못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버클유닛(700), 제1순환유닛(300) 및 제2순환유닛(500)으로 구성된다. 즉, 배기유닛(200)을 대신하여 버클유닛(700)이 제1순환유닛(300) 및 제2순환유닛(5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유아 및 보호자에게 송풍을 배출하지는 못하게 된다.
버클유닛(700)은 베이스부재(705), 제1연결부(730) 및 제2연결부(710)로 구성된다. 상기 제1연결부(730)는 제1순환유닛(300)의 버클부(352)와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연결부(710)는 제2순환유닛(500)의 버클부(562)와 착탈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버클유닛(700)을 이용하여 제1순환유닛(300) 및 제2순환유닛(500)을 연결하게 되면 본 발명의 전체적인 형태가 주머니 형상을 이루게 되므로, 생후 6개월 이하의 유아와 같이 착석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유아의 신체 전체를 감싸듯이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200: 배기유닛
230: 하우징
250: 배기부
251: 프런트배기부
252: 사이드배기부
253: 리어배기부
300: 제1순환유닛
310: 몸체부
320: 연결띠
350: 메인순환유로
352, 362, 562: 버클부
360: 공급유로
500: 제2순환유닛
510: 벨트부
520: 어깨끈부
550: 사이드유로
560: 서클유로
700: 버클유닛
705: 베이스부재
710: 제2연결부
730: 제1연결부

Claims (15)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송풍팬 및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공급받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를 구비하는 배기유닛;
    통기성 있는 외피 내부에 구비되어 유아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배기유닛과 연통되도록 착탈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배기부로부터 공급받은 공기를 순환하여 유아의 신체와 면접하는 부위에 배출하는 제1순환유닛; 및
    통기성 있는 외피 내부에 구비되어 보호자가 착용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배기유닛 및 상기 제1순환유닛과 연통되도록 착탈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배기부 및 상기 제1순환유닛으로부터 공급받는 공기를 순환하여 보호자의 신체와 면접하는 부위에 배출하는 제2순환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제1순환유닛은
    유아의 등, 둔부 및 복부의 면접 부위를 따라 연장형성되어 상기 배기유닛으로부터 공급받는 공기를 유아의 등, 둔부 및 복부의 면접 부위에 배출하는 메인순환유로를 포함하는 송풍기능이 구비된 유아용 포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유닛은
    상기 제1순환유닛 및 상기 제2순환유닛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순환유닛 및 상기 제2순환유닛에 공기를 배출하는 송풍기능이 구비된 유아용 포대 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순환유닛은
    상기 메인순환유로의 양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메인순환유로로부터 공급받는 공기를 상기 제2순환유닛으로 공급하는 공급유로를 포함하는 송풍기능이 구비된 유아용 포대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순환유닛은
    상기 공급유로로부터 공급받는 공기를 보호자의 어깨 및 등과 면접하는 부위에 배출하는 사이드유로를 포함하는 송풍기능이 구비된 유아용 포대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순환유닛은
    상기 배기유닛으로부터 공급받는 공기를 보호자의 허리 둘레에 면접하는 부위에 배출하는 서클유로를 포함하는 송풍기능이 구비된 유아용 포대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순환유닛은
    상기 배기유닛 및 상기 제2순환유닛에 전후 방향이 바뀌도록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송풍기능이 구비된 유아용 포대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는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제2순환유닛의 서클유로에 공급하는 사이드배기부를 포함하는 송풍기능이 구비된 유아용 포대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제1순환유닛의 메인순환유로에 공급하는 프런트배기부를 포함하는 송풍기능이 구비된 유아용 포대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순환유닛이 일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경우 상기 제1순환유닛의 메인순환유로가 상기 프런트배기부에 연통되도록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송풍기능이 구비된 유아용 포대 장치.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는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제1순환유닛의 메인순환유로에 공급하는 리어배기부를 포함하는 송풍기능이 구비된 유아용 포대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순환유닛이 타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경우 상기 제1순환유닛의 메인순환유로가 상기 리어배기부에 연통되도록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송풍기능이 구비된 유아용 포대 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유닛의 하우징은
    상면이 일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유아의 신체가 보호자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된 송풍기능이 구비된 유아용 포대 장치.
  14. 삭제
  15. 삭제
KR1020170146588A 2017-11-06 2017-11-06 송풍기능이 구비된 유아용 포대 장치 KR101986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588A KR101986519B1 (ko) 2017-11-06 2017-11-06 송풍기능이 구비된 유아용 포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588A KR101986519B1 (ko) 2017-11-06 2017-11-06 송풍기능이 구비된 유아용 포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204A KR20190051204A (ko) 2019-05-15
KR101986519B1 true KR101986519B1 (ko) 2019-09-30

Family

ID=66579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6588A KR101986519B1 (ko) 2017-11-06 2017-11-06 송풍기능이 구비된 유아용 포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65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73180B2 (ja) * 2019-06-24 2023-11-02 株式会社セフト研究所 乳幼児冷却装置
KR102261488B1 (ko) * 2019-07-25 2021-06-07 유로케어주식회사 통풍부를 가진 아기 캐리어의 허리벨트
KR102211451B1 (ko) * 2020-11-09 2021-02-02 시대성 통풍 벨트 모듈, 이를 포함하는 통풍 시팅 라이너 및 시팅 라이너의 제어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4667Y1 (ko) * 2008-06-09 2009-05-27 손성일 선풍기를 구비한 가방
KR101415521B1 (ko) * 2013-10-02 2014-07-04 박재현 송풍기가 장착된 아기띠용 힙시트 부재
US20160286980A1 (en) * 2015-03-31 2016-10-06 The Ergo Baby Carrier, Inc. Hip seat device and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4667Y1 (ko) * 2008-06-09 2009-05-27 손성일 선풍기를 구비한 가방
KR101415521B1 (ko) * 2013-10-02 2014-07-04 박재현 송풍기가 장착된 아기띠용 힙시트 부재
US20160286980A1 (en) * 2015-03-31 2016-10-06 The Ergo Baby Carrier, Inc. Hip seat device and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204A (ko) 201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6519B1 (ko) 송풍기능이 구비된 유아용 포대 장치
US8579168B2 (en) Multifunction infant carrier with lumbar belt
ES2382645T3 (es) Un portabebés
US10195468B2 (en) Garment
ES2363771T3 (es) Arnés de seguridad.
BR112013020616B1 (pt) dispositivo de proteção e sistema de proteção
JPWO2003082034A1 (ja) 大人服、子供服、および、親子服
JP2007143835A (ja) チャイルドシート
US20210145189A1 (en) Baby Carrier
KR102079767B1 (ko) 기능성 보조 팬티
EP3881702A1 (en) Body of air-conditioning garment and air-conditioning garment
KR101415521B1 (ko) 송풍기가 장착된 아기띠용 힙시트 부재
KR101754164B1 (ko) 튜브형 아기띠
JP3237830U (ja) ファン付きウェアのウェア本体及びファン付きウェア
KR20150109532A (ko) 통풍 가방
KR20200132327A (ko) 힙시트용 안장구조체
KR102201987B1 (ko) 힙시트
KR20190118502A (ko)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
KR20060081315A (ko) 국소통풍장치
WO2020262181A1 (ja) 乳幼児冷却装置本体及び乳幼児冷却装置
US11779097B1 (en) Modular spacer device for airflow between a user and a wearable bag
KR200260926Y1 (ko) 통기성 등판
US20230097626A1 (en) Harness for baby
KR20180060186A (ko) 음낭 및 음경 강제 분리형 건강 팬티
KR200254266Y1 (ko) 양복바지의 통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