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6377B1 - 조이스틱을 이용한 건설기계의 디스플레이를 조작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조이스틱을 이용한 건설기계의 디스플레이를 조작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6377B1
KR101986377B1 KR1020120148199A KR20120148199A KR101986377B1 KR 101986377 B1 KR101986377 B1 KR 101986377B1 KR 1020120148199 A KR1020120148199 A KR 1020120148199A KR 20120148199 A KR20120148199 A KR 20120148199A KR 101986377 B1 KR101986377 B1 KR 101986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ystick
mode
display
signal
op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8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0771A (ko
Inventor
이창호
신중묵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8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6377B1/ko
Publication of KR20140080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0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6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6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04Control mechanisms, e.g. control 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 기계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조작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설기계를 조작하는 조이스틱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조작할 수 있는 버튼(또는 제어 키, 또는 기능 키)들을 더 구성시키고; 조이스틱의 모드를 건설기계의 작업을 위한 작업용 조작모드와, 디스플레이 장치를 원격 조작할 수 있는 계기판 조작 모드를 제공하고; 상기 조이스틱에 구성된 각 버튼들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조작할 수 있는 각 기능들을 매핑시켜, 디스플레이를 조이스틱으로 원격 조작함으로써, 작업의 안전성 및 능률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Description

조이스틱을 이용한 건설기계의 디스플레이를 조작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OPERATING DISPLAY OF CONSTRUCTION EQUIPMENT USING JOYSTICK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조작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설 기계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조작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설기계는 토목공사 또는 건축공사에 사용되며, 그 종류는 굴착기, 그레이더, 크레인, 운반기계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건설기계는 핸들, 페달, 스틱 또는 조이스틱 등을 조작하여 작동시킨다. 또한, 최근 생산되는 건설기계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건설기계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장비의 상태 및 중요 데이터를 사용자(즉, 작업자)에게 표시하여 준다. 따라서, 건설기계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장비의 상태 및 정보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건설기계를 작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건설기계의 캐빈 배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건설기계의 캐빈은 작업자(또는 사용자)가 건설기계를 작동하기 위한 조작 장치가 구비된 공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설기계의 캐빈은 조작장치로써, 핸들(11)과, 한 쌍의 조이스틱(12 및 13)과, 디스플레이(또는 계기판)(14)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종래의 건설기계의 캐빈에서 건설기계를 조작하는 작업자의 동선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20)는 의자(21)에 착석한 상태에서 조이스틱(22)을 조작하여 건설기계를 작동시키며, 또한 디스플레이(또는 모니터)(23)에 표시된 장비의 상태 및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2의 모니터(23)는 입력장치(미도시)가 병행하여 구비하고 있다고 가정하자. 이때, 만일 작업자(20)가 조이스틱(22)을 상하좌우로 조작하여 건설기계를 작동시키는 중, 모니터(23)에 구비된 특정 입력장치를 이용하려면, 조이스틱(22)을 조작한 손을 이탈시켜야 한다. 또한, 모니터(23)에 구비된 입력장치를 조작하기 위해, 작업자(20)는 전방으로 허리를 굽혀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20)가 입력장치를 조작하면서, 조이스틱(22)을 건드리는 경우, 의도하지 않은 건설기계의 작동으로 인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다. 즉, 이와 같이 조이스틱(22)을 조작하고 있던 작업자(20)의 손이, 타 장치를 조작하기 위해 조이스틱을 이탈하는 경우, 작업의 능률이 저하되고, 또한, 작업의 안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은 조이스틱과 타 조작장치가 서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의 능률성이 저하되고, 또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내재 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조이스틱으로 붐과 암, 버켓을 조작하면서, 동시에 조이스틱으로 디스플레이를 원격에서 조작함으로써,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키고, 또한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이스틱을 이용한 건설기계의 디스플레이 조작 장치는, 건설기계의 현재 모드와, 건설기계의 상태 및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 키를 포함하는 조이스틱; 및 상기 조이스틱의 기능 키로부터 조이스틱의 모드 전환을 요청하는 신호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조이스틱의 기능 키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그 신호가 조이스틱의 모드 전환을 요청하는 신호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에 따라 상기 조이스틱의 모드를 디스플레이를 원격으로 조작할 수 있는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조이스틱의 기능 키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를 원격으로 조작하는 차량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이스틱을 이용한 건설기계의 디스플레이 조작 방법은, 조이스틱으로부터의 신호를 탐색하는 신호 탐색 단계; 상기 탐색한 신호가 조이스틱의 모드를 전환 요청하는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전환 신호 판단 단계; 상기 요청 신호가 디스플레이를 조이스틱으로 원격 조작하기 위한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조작 신호 판단 단계; 상기 요청 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조이스틱으로 원격 조작하기 위한 신호로 판단된 경우, 상기 조이스틱의 기능 키들에 상기 디스플레이를 조작하는 기능을 매핑하는 조작 매핑 단계; 및 상기 조이스틱의 기능 키들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를 조작하기 위한 해당 신호가 수신되면, 그 수신한 신호를 매핑된 해당 조작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조작하는 조작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건설기계의 조이스틱의 모드를, 작업용 조작모드와, 계기판 조작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조이스틱의 기능 키 입력으로 "계기판 조작 모드"로 모드를 전환하여, 조이스틱으로 디스플레이를 원격으로 조작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건설기계의 캐빈 배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건설기계의 캐빈에서 건설기계를 조작하는 작업자의 동선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3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건설기계의 조이스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도 3의 조이스틱에 구성된 기능 키들에 매핑된 동작을 표시한 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건설기계의 조이스틱으로 계기판을 조작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건설기계의 조이스틱으로 계기판을 조작하는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조이스틱의 모드 전환 시 계기판에 표시되는 알림 팝업 창과 모드 상태를 알리는 아이콘의 일 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건설기계의 조이스틱으로 입력된 계기판 조작신호를 처리하는 동작을 도시한 일 예이다.
본 발명은 건설기계에 적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기술 분야에 적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각각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용어, "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복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기술용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장치를 통칭하는 포괄적인 의미이고, 약칭으로 "디스플레이" 또는, "모니터" 또는 "계기판"이라고 칭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나 이상의 모니터 또는 계기판으로 구성된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또는 프로세서)와 통합 또는 독립 구성된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기술용어, "조이스틱"은 작동자의 의자에 장착된 건설기계를 조작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조이스틱"은 좌우 한 쌍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작동자의 의자 좌측 또는 우측에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의 "조이스틱"은 건설기계의 붐과 암, 그리고 버켓을 원격 조작할 수 있는 조작장치이면서도, 또한 계기판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조작하기 위해 "조이스틱"에 별도의 버튼(또는 스위치, 기능 키 또는 제어 키)들을 부가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의 "조이스틱"은 이미 구성된 버튼들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조작할 수 있는 단축 키(또는 HOT Key)들을 매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기술용어, "건설기계"는 문자 그대로 건설용도로 사용되는 기계만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조이스틱 및 디스플레이 장치가 적용되는 모든 차량을 통칭하는 포괄적인 의미이다.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은: 1) 건설기계를 조작하는 조이스틱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조작할 수 있는 버튼(또는 제어 키, 또는 기능 키)들을 더 구성시키고; 2) 조이스틱의 모드를 건설기계의 작업을 위한 작업용 조작모드와, 디스플레이 장치를 원격 조작할 수 있는 계기판 조작 모드를 제공하고; 3) 상기 조이스틱에 구성된 각 버튼(즉, 기능 키)들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조작할 수 있는 각 기능들을 매핑시키는 것이다.
도 3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건설기계의 조이스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작동자의 의자(30)에 한 쌍의 조이스틱(31 및 32)이 구성된 예이다. 그리고 도 3은 한 쌍의 조이스틱(31 및 32) 중에서, 오른쪽 조이스틱(31)에 4개의 물리적 키를 구성한 일 실시 예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이스틱(31)은 4개의 기능 키(31-1, 31-2, 31-3 및 31-4)를 구성한 실시 예이다. 한편, 예를 들어, 상기 4개의 기능 키 종류는 push 스위치이거나, 또는 다른 종류의 스위치로 구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도 3의 조이스틱에 구성된 기능 키들에 매핑된 동작을 표시한 표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이스틱(31)은 "작업용 조작 모드"와 "계기판 조작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기능 키(예를 들어, 기능 키 31-2)를 일정 시간(예를 들어, N 초로 설정) 누르면, "작업용 조작 모드"에서 "계기판 조작 모드"로, 또는 그 반대로 전환된다. 한편, "계기판 조작 모드"는 "기본 계기판 조작 모드"와 "계기판 HOT Key 매핑 동작모드"로 구분하여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기능 키(예를 들어, 기능 키 31-2)를 일정 시간(예를 들어, N + 1 초로 설정) 동안 누르면, "계기판 조작모드" 중 "계기판 HOT Key 매핑 동작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즉, 상기 특정 기능 키를 누르는 시간에 따라, 3 가지 모드, 즉 "작업용 조작 모드"와 "기본 계기판 조작모드"와 "계기판 HOT Key 매핑 동작모드"로 토글(toggle)될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기능 키는, 현재 시스템인 건설기계의 조작을 위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능 키 1(31-1)"은 "승압/브레이커" 동작에 적용되고; "기능 키 2(31-2)는 "사용 안 함"에 적용되고; "기능 키 3(31-3)"은 "TWO WAY OPEN"에 적용되고; "기능 키4(31-4)"는 "TWO WAY CLOSED"에 적용된다. 즉, 4개의 기능 키는 건설기계의 작동을 위해, 특정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이 적용된 것이다. 즉, 작업자는 조이스틱이 "작업용 조작 모드"에서 조이스틱과 기능 키들을 이용하여 건설기계의 붐, 암과 버켓을 조작함으로써, 의도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라, 상기 4개의 기능 키(31-1 ~ 31-4)는 계기판 조작을 위한 기능들에 매핑 시킬 수 있다. 또한, 4 개의 기능 키는 "기본 계기판 조작 모드"와 "계기판 HOT Key 매핑 동작 모드"으로 구분하여 적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표 1]과 같이, 4 개의 기능 키를 "기본 계기판 조작 모드"의 기능들에 적용할 수 있다. 즉, "기능 키 1(31-1)"은 "ENTER"에 적용되고; "기능 키 2(31-2)는 "ESC"에 적용되고; "기능 키 3(31-3)"은 "UP"에 적용되고; "기능 키4(31-4)"는 "DOWN"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가 현재 설정된 "작업용 조작 모드"에서 "기능 키1(31-1)"을 이용하여, 현재 조작 중인 건설기계를 "승압 또는 브레이커"로 동작시킬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기능 키 2(31-2)를 일정 시간(예를 들어, 2초 ~ 3초) 동안 눌러서 계기판을 조작할 수 있는 "기본 계기판 조작 모드"로 모드 전환을 할 수 있다. 현재 시스템인 건설기계가 "기본 계기판 조작 모드"로 전환되면, 작업자는 계기판에 표시된 정보를 보면서, 편집 등이 필요할 때 "ENTER" 기능에 해당하는 "기능 키1(31-1)"을 누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작업자가 현재 계기판에 표시된 페이지에서 벗어나고 싶을 때, "ESC" 기능에 해당하는 "기능 키2(31-2)"를 누를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현재 계기판에 표시된 페이지를 "UP" 및/또는 "DOWM"에 해당하는 기능 키 3(31-3) 및/또는 기능 키 4(31-4)를 눌러, 계기판(즉,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페이지 화면을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계기판을 조작하기 위해, 조이스틱에서 조작 중인 손을 이탈하지 않으면서도, 계기판을 조작하며 현재 진행 중인 작업(즉, 건설기계의 조이스틱으로 조작하는 작업)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이스틱(31)의 4개 기능 키(31-1 ~ 31-4)는 "계기판 조작모드" 중 "계기판 HOT Key 매핑 동작모드"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능 키 2(31-2)"를 일정시간 (예를 들어, 3 ~ 4초)를 누르면, 상기 조이스틱(31)의 4개 기능 키는 "계기판 HOT Key 매핑 동작모드"로 전환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이스틱(31)의 4개 기능 키는 작업자가 원하는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는 계기판 조작을 위한 단축키(Hot key)로서, "기능 키 1(31-1)"은 "Power Mode"에 적용되고; "기능 키 2(31-2)는 "Work Mode"에 적용되고; "기능 키 3(31-3)"은 "Auto Idle"에 적용되고; "기능 키4(31-4)"는 "Camera Mode"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계기판 HOT Key 매핑 동작모드"는 상기 조이스틱(31)에 구현하지 않고, 또 다른 조이스틱(32)의 기능 키들(미도시)에 매핑하여 적용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건설기계의 조이스틱으로 계기판을 조작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작업자가 조이스틱(31)을 조작하여, 현재 시스템인 건설기계를 작동시켜 작업을 진행한다. 이때, 작업자가 "작업용 조작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조이스틱의 기능 키(31-1 ~ 31-4)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일명 차량 제어기(VCU: vehicle control unit)(또는 제어부)는 조이스틱(31)의 기능 키(31-1 ~ 31-4)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수신하여 조이스틱(31)의 모드 전환을 요청하는 신호인지를 판단한다(S52). 특히, 작업자가 계기판을 조작하기 위해, 조이스틱(31)의 기능 키2(31-2)를 일정시간(예를 들어, "기본 계기판 모드"에 해당하는 2초 ~ 3초, 또는 "계기판 HOT Key 매핑 동작 모드"에 해당하는 3초 ~ 4초) 동안 누른 경우라면, 차량 제어기는 상기 조이스틱 기능 키2(31-2)로부터 신호가 "기본 계기판 모드"인지를 먼저 판단한다(S53). 예를 들어, 작업자가 조이스틱(31)의 기능 키(31-2)를 일정시간 동안(예를 들어, 2초 ~ 3초) 눌렀다면, 차량 제어기는 이를 "기본 계기판 조작 모드" 전환을 요청하는 신호로 판단하고, 상기 조이스틱(31)의 기능 키(31-1 ~ 31-4)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기판을 조작할 수 있는 각각의 해당 기능 키(즉, "ENTER", "ESC", "UP" 및 "DOWN")로 전환한다(S54). 한편, 예를 들어, 작업자가 조이스틱(31)의 기능 키2(31-2)를 일정시간 동안(예를 들어, 3초 ~ 4초) 눌렀다면, 차량 제어기는 상기 기능 키2(31-2)로부터의 신호를 "계기판 HOT Key 매핑 동작 모드"로 전환 요청하는 신호로 판단하고(S55), 상기 조이스틱(31)의 기능 키(31-1 ~ 31-4)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기판을 조작할 수 있는 각각의 해당 기능 키(즉, "Power Mode", "Work Mode", "Auto Idle" 및 "Camera Mode")로 전환한다(S56).
한편, 상기 S52 단계에서, 상기 조이스틱(31)의 기능 키(31-1 ~ 31-4)로부터의 신호가 상기 기능 키(31-2)의 신호가 아니면, 차량 제어기는 "작업용 조작 모드"에서의 조이스틱의 기능 키의 입력으로 판단하고, 해당 각 기능 키의 입력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해당 기계부(예를 들어, 붐과 암, 또는 버켓)를 제어한다(S57).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건설기계의 조이스틱으로 계기판을 조작하는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설기계(60)의 구성요소 중 계기판을 조작하는 구성요소만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간략히 설명하기 위하여, 도 6은 조이스틱(61), 차량제어기(62), 기계부(63) 및 계기판(또는 디스플레이)(64)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하는 건설기계(60)는, 본 발명의 동작 및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그 외 물리적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조이스틱(61)은 건설기계(60)의 기계부(63)를 물리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해, 원격으로 기계부(예를 들어, 붐과 암, 또는 버켓)를 조작할 수 있는 조정 장치이다. 특히, 조이스틱(6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 또는 한 개의 조이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이스틱(61)은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기능 키 세트(61-1 ~ 61-4)를 더 구성할 수 있고, 각 기능 키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계기판(64)을 조작하는 기능 키(61-1 ~ 61-4)로 매핑시킬 수 있다.
차량 제어기(VCU)(62)는 조이스틱(61)으로부터 조작 신호 및 조이스틱(61)의 기능 키(61-1 ~ 61-4 즉, 도 3의 31-1 ~ 31-4)로부터의 신호를 모니터링한다. 차량 제어기(62)는 조이스틱(61)으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그 신호가 조이스틱의 모드 전환을 요청하는 신호인지를 먼저 판단한다. 그리고 차량 제어기(62)는 상기 신호가 조이스틱의 모드 전환을 요청하는 신호로 판단(편의상 제1 판단)되면, 다시 상기 신호가 "기본 계기판 조작 모드"인지 또는 "계기판 HOT Key 매핑 동작 모드"인지를 판단(편의상 제2 판단)한다. 한편, 차량 제어기(62)가 상기 각 모드 들을 판단하는 방법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다. 또한, 차량 제어기(62)는 "기본 계기판 조작 모드" 또는 "계기판 HOT Key 매핑 동작 모드"에서 계기판(64)을 조작하기 위한 특정 기능의 신호를 받아서, CAN(Controller Area Network) 신호로 전환하여 그 신호에 해당하는 기능이 계기판(64)을 통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즉, 차량 제어기(62)는 조이스틱(61)의 기능 키(61-1 ~ 61-4)에서 송신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인 CAN 신호로 변환하여 그 기능 키에 해당하는 동작이 계기판에서 조작되도록 계기판을 제어한다. 한편, 차량 제어기(62)는 현재 시스템이 어떤 모드에 있는지를 확인하고, 현재 시스템의 모드를 계기판에 아이콘 등으로 표시하도록 계기판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차량 제어기(62)는 계기판(64)에 "조이스틱" 아이콘을 표시하여, 현재 시스템이 "계기판 조작 모드"임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제어기(62)는 현재 시스템의 모드에서 모드 전환이 발생할 때, 도 7과 같이, 계기판(64)에 알림 표시, 예를 들어 알림 팝업창을 표시하도록 계기판을 제어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건설기계의 조이스틱으로 입력된 계기판 조작신호를 처리하는 동작을 도시한 일 예이다. 다만, 도 8에서 조이스틱(61)은 도 3의 조이스틱(31)에 상응하고, 또한 조이스틱(61)의 기능 키(61-1 ~ 61-4) 각각은 도 3의 조이스틱(31)의 해당 기능 키(31-1 ~ 31-4)에 각각에 상응한다.
도 8은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이다. 즉, 작업자가 조이스틱(61)의 기능 키(61-1 ~ 61-4)로 계기판 조작을 위한 신호를 요청하면, 차량 제어기(62)는 그 신호를 CAN 신호로 전환하여 계기판(64)을 조작한다. 예를 들어, 현재 시스템이 "계기판 조작 모드" 상태라고 가정할 때, 작업자가 조이스틱(61)의 기능 키 중 "UP" 기능이 설정된 기능 키(예를 들어, 도 3의 31-3)를 누르면, 차량 제어기(62)는 그 기능 키(즉, 도 3의 31-3)의 신호를 수신하여, 계기판(64)을 제어할 수 있는 해당 CAN 신호로 전환하고 또한 계기판(64)에 표시된 현재 페이지를 위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건설기계의 현재 모드와, 건설기계의 상태 및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 키를 포함하는 조이스틱; 및
    상기 조이스틱의 기능 키로부터 조이스틱의 모드 전환을 요청하는 신호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조이스틱의 기능 키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그 신호가 조이스틱의 모드 전환을 요청하는 신호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에 따라 상기 조이스틱의 모드를 디스플레이를 원격으로 조작할 수 있는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조이스틱의 기능 키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를 원격으로 조작하는 차량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제어기는,
    상기 조이스틱의 모드 전환을 요청하는 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조작할 수 있는 모드로 전환 요청하는 신호로 판단한 경우, 상기 요청 신호가 제1 모드 요청신호인지 또는 제2 모드 요청신호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을 이용한 건설기계의 디스플레이 조작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조작할 수 있는 기능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조작할 수 있는 단축키 기능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을 이용한 건설기계의 디스플레이 조작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이스틱의 모드는,
    상기 건설기계를 물리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작업용 조작 모드와,
    상기 디스플레이를 상기 조이스틱의 기능 키로 조작하기 위한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을 이용한 건설기계의 디스플레이 조작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기는,
    상기 조이스틱의 모드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조작하는 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 일부에 상기 조이스틱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조작할 수 있는 모드인 것을 나타내는 심볼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을 이용한 건설기계의 디스플레이 조작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기는,
    상기 조이스틱의 모드가 전환될 때, 상기 조이스틱의 모드가 전환된 것을 알리는 알림 창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을 이용한 건설기계의 디스플레이 조작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기는,
    상기 조이스틱의 모드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조작하는 모드인 경우, 상기 조이스틱의 기능 키들로부터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디스플레이를 조작할 수 있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을 이용한 건설기계의 디스플레이 조작 장치.
  8. 조이스틱으로부터의 신호를 탐색하는 신호 탐색 단계;
    상기 탐색한 신호가 조이스틱의 모드를 전환 요청하는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전환 신호 판단 단계;
    상기 요청 신호가 디스플레이를 조이스틱으로 원격 조작하기 위한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조작 신호 판단 단계;
    상기 요청 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조이스틱으로 원격 조작하기 위한 신호로 판단된 경우, 상기 조이스틱의 기능 키들에 상기 디스플레이를 조작하는 기능을 매핑하는 조작 매핑 단계; 및
    상기 조이스틱의 기능 키들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를 조작하기 위한 해당 신호가 수신되면, 그 수신한 신호를 매핑된 해당 조작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조작하는 조작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 매핑 단계는,
    상기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를 상기 조이스틱의 기능 키들로 조작하는 모드로 전환하거나,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조작하기 위해 상기 조이스틱의 기능 키들을 단축키로 사용하는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을 이용한 건설기계의 디스플레이 조작 방법.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조이스틱의 기능 키들로 조작하는 모드로 전환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에 조이스틱의 모드 전환을 알리는 창과 심볼을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을 이용한 건설기계의 디스플레이 조작 방법.
KR1020120148199A 2012-12-18 2012-12-18 조이스틱을 이용한 건설기계의 디스플레이를 조작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986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8199A KR101986377B1 (ko) 2012-12-18 2012-12-18 조이스틱을 이용한 건설기계의 디스플레이를 조작하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8199A KR101986377B1 (ko) 2012-12-18 2012-12-18 조이스틱을 이용한 건설기계의 디스플레이를 조작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0771A KR20140080771A (ko) 2014-07-01
KR101986377B1 true KR101986377B1 (ko) 2019-06-05

Family

ID=51732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8199A KR101986377B1 (ko) 2012-12-18 2012-12-18 조이스틱을 이용한 건설기계의 디스플레이를 조작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63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0383B1 (ko) 2019-12-10 2021-05-12 주식회사 호룡 굴착기의 조이스틱 각도 조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97108B2 (en) 2015-06-16 2022-07-26 Marquardt Gmbh Multi-function controller and method of using same
US10527462B2 (en) 2016-07-08 2020-01-07 Marquardt Gmbh Encode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11866909B2 (en) 2020-11-04 2024-01-09 Caterpillar Inc. Machine control component with input device to control machine displa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8136A (ja) * 2003-04-02 2004-11-04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作業機械の入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083U (ja) * 1991-09-26 1993-04-20 株式会社タダノ デイスプレイを備えた作業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8136A (ja) * 2003-04-02 2004-11-04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作業機械の入力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0383B1 (ko) 2019-12-10 2021-05-12 주식회사 호룡 굴착기의 조이스틱 각도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0771A (ko) 2014-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4800B2 (en) Left/right hand operated sensing intelligent mouse
KR101986377B1 (ko) 조이스틱을 이용한 건설기계의 디스플레이를 조작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80040930A (ko)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0207108A (ja) キ―ボ―ド切換装置および方法
WO2014097615A1 (ja) タッチパネルを有するコンピュータ、その作動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1996031A (zh) 具有触摸输入功能的电子装置及其触摸输入方法
CN101382851A (zh) 计算机系统
US9921792B2 (en) Vehicle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US20130117705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06244041A (ja) 入力装置
JP6039151B1 (ja) 入力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
JP7137962B2 (ja) スイッチ装置および制御装置
CN101859112A (zh) 医疗设备操作控制系统及方法
CN100485841C (zh) 电子设备
JP6915492B2 (ja) 表示制御装置
JP6109103B2 (ja) プラント監視画面表示装置
US20160348341A1 (en) Outrigger and dozer control using gui
JP7062762B2 (ja)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および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の制御方法
JPH10187342A (ja) 左右両用情報入力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2018106434A (ja) 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イス装置及び電子機器
US2016016205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04871124B (zh) 用于运行车辆中的操作装置的方法
US20210334117A1 (en) Electronic device
CN213780803U (zh) 一种设有触摸显示屏的智能穿戴设备
CN112650397B (zh) 一种kvm切换方法及kvm切换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