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5743B1 -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 - Google Patents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5743B1
KR101985743B1 KR1020170176674A KR20170176674A KR101985743B1 KR 101985743 B1 KR101985743 B1 KR 101985743B1 KR 1020170176674 A KR1020170176674 A KR 1020170176674A KR 20170176674 A KR20170176674 A KR 20170176674A KR 101985743 B1 KR101985743 B1 KR 101985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shopping
personalized
content
instruction
inte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6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원장
Original Assignee
애니포인트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니포인트미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애니포인트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6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5743B1/ko
Priority to PCT/KR2018/014244 priority patent/WO2019124764A1/ko
Priority to JP2020533104A priority patent/JP7220925B2/ja
Priority to EP18892963.2A priority patent/EP3731167A4/en
Priority to CN201880081475.4A priority patent/CN111602163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5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5743B1/ko
Priority to US16/896,198 priority patent/US11044531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4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statis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1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1Arrangements for services using the result of monitoring, identification or recognition covered by groups H04H60/29-H04H60/54
    • H04H60/63Arrangements for services using the result of monitoring, identification or recognition covered by groups H04H60/29-H04H60/54 for services of sa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2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for selling goods, e.g. TV s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04N21/25891Management of end-user data being end-user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22Analytics of user selections, e.g. selection of programs or purchase activity
    • H04N21/44224Monitoring of user activity on external systems, e.g. Internet brow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4662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characterized by learning algorithms
    • H04N21/4665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characterized by learning algorithms involving classification methods, e.g. Decision tre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15Electronic s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2Data stored in the client, e.g. viewing habits, hardware capabilities, credit card num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9Arrangements for monitoring broadcast services or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31Arrangements for monitoring the use made of the broadcast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하나 이상의 메모리;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메모리에 저장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홈쇼핑 채널에 대한 시청 이력을 생성하여 미리 지정된 방송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1 인스트럭션; 상기 홈쇼핑 채널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제2 인스트럭션; 및 관심 상품 분류 그룹을 이용하여 상기 방송 시스템에 의해서 제공 가능한 제1 개인화 컨텐츠 내지 제m 개인화 컨텐츠(단 m은 1 이상의 자연수) 및 기본 컨텐츠 중에서 선택되는 컨텐츠를 신호 처리하여 제공하는 제3 인스트럭션(단 상기 관심 상품 분류 그룹은 제1 상품 분류 내지 제k 상품 분류(단 k는 2이상의 자연수)를 포함하는 상품 분류 기준 중에서 상기 시청 이력을 기초로 추출된 것임)을 포함하는 것인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APPARATUS OF PROVIDING PERSONALIZED HOME SHOPPING CONTENTS}
본 발명은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 및 컴퓨팅 기술의 발전에 따라서, 방송 서비스도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한편 방송 서비스의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방송 서비스의 시청률이 측정된다. 예컨대 방송 서비스 제공자는 방송 서비스를 시청하는 시청자의 방송 서비스 만족도와 같은 품질을 파악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시청률을 사용할 수 있고, 광고주는 방송 서비스에 광고를 내는 경우 광고 효과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시청률을 사용할 수 있다.
시청률은 예컨대 지역, 나이, 성별 및 학력 별로 고르게 분포된 표본 집단을 선정한 뒤 표본 집단에 제공된 방송 서비스에 대한 시청 행태 정보를 수집하는 것에 의해서 측정된다.
그러나 종래의 시청률을 측정하는 방식은 표본 집단에 대해서 측정되므로, 실제 시청률과는 차이가 있다. 또한 시청률을 측정하기 위해서 복잡한 방식을 사용하므로, 표본 집단에 대한 시청률조차도 정확하게 측정되지 못하는 단점도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예컨대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 의해서 2012년 8월 17일자로 출원되고 2017년 6월 22일자로 등록된 "시청행태 인식기반의 시청률 및 광고효과 분석 방법 및 시스템"이라는 명칭의 한국 등록특허 제10-1751708호(특허문헌 1)는 시청자를 촬영한 영상을 입력받고 이를 기초로 시청자 인식 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기초로 시청 행태 정보를 생성하는 것에 의해서, 보다 정확하게 표본 집단의 시청률을 측정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등록특허 제10-1751708호에 개시된 방식 역시 시청률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미리 시청자를 등록하는 것과 같은 복잡한 방식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한편 반송률은 일반적으로 웹 사이트의 접속자가 웹 사이트에 접속했으나 사이트 내에서 다른 페이지로 접속하거나 정보를 얻지 않고 그냥 이탈하는 비율을 지칭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반송률은 예컨대 웹 사이트가 시작 페이지 및 시작 페이지에 링크되는 하위 계층 페이지를 구비하는 경우, 접속자가 시작 페이지에 접속했지만 하위 계층 페이지로 접속하지 않고 이탈하는 비율을 지칭한다. 반송률이 높다는 것은 접속자가 웹 사이트를 접속하더라도 제품을 구매하는 것과 같은 행동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낮다는 것을 의미하고, 반송률이 낮다는 것은 접속자가 제품을 구매하는 것과 같은 행동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반송률은 특히 인터넷의 웹 사이트를 평가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반송률은 특히 웹 페이지와 같은 인터넷 서비스에서 적용되는 기준으로서, 방송 서비스에서는 적용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즉 방송 서비스는 웹 페이지와는 달리 컨텐츠가 연속적으로 제공되는 방식을 취하고 있으므로, 시작 페이지가 존재하지 않으며, 마찬가지로 하위 계층 페이지도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방송 서비스에서는, 인터넷 서비스에 적용되는 반송률을 그대로 적용하지 못한다.
한편 일반적으로, 홈쇼핑은 다양한 상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하기 위해서 방송 네트워크 또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를 지칭한다. 홈쇼핑은, 예컨대 방송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경우, 홈쇼핑 사업자가 미리 지정된 채널을 통하여 시청자의 수신기로 상품에 대한 홈쇼핑 컨텐츠를 전송하고 시청자가 홈쇼핑 컨텐츠를 시청하다가 해당 상품을 구매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구현된다.
홈쇼핑에 이용되는 방송 방식은 디지털 방송 또는 아날로그 방송일 수 있으며, 수신기는 예컨대 홈쇼핑 컨텐츠를 수신하여 제공하는 텔레비전, 셋탑박스, 개인용 컴퓨터 및 컴퓨팅 기능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즉 스마트 폰)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시청자는 예컨대 수신기에 표시되는 결제 인터페이스 또는 전화 주문과 같은 방식을 이용하여 홈쇼핑 컨텐츠를 통하여 방송되는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홈쇼핑은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홈쇼핑 사업자는 방송 편성표에 따라서 홈쇼핑 컨텐츠를 다수의 시청자에게 일괄적으로 전송한다. 즉 기존의 홈쇼핑 컨텐츠는 브로드캐스트 형태로 모든 시청자를 대상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특정 그룹의 시청자들 및 특정 시청자와 같은 한정된 대상을 위한 홈쇼핑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방송 편성표에 따라서 미리 지정된 홈쇼핑 컨텐츠가 일괄적으로 다수의 시청자에게 전송되기 때문에, 시청자는 자신이 원하는 상품을 구매하기 위해서는 해당 상품을 판매하는 홈쇼핑 컨텐츠가 방송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주) 씨제이오쇼핑에 의해서 2012년 7월 5일자로 출원되고 2014년 1월 16일자로 공개된 "온라인-홈쇼핑 연동 판매 시스템 및 서버"라는 명칭의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06383호(특허문헌 2)는 홈쇼핑과 온라인 쇼핑의 연동을 통해 시청자에게 적합한 상품을 홈쇼핑 채널을 통해 판매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06383호에 개시된 방법 역시 온라인 서버로부터 수신한 판매 상품의 정보를 기초로 홈쇼핑 채널을 통해 판매할 상품을 선정하는 것만을 개시한다. 따라서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06383호에 개시된 방법은 비록 보다 많은 시청자들에게 적합한 상품을 선택하여 방송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지만,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다.
1. 한국 등록특허 제10-1751708호. 2.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0638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시청자가 홈쇼핑 채널을 선택한 시각 및 홈쇼핑 채널로부터 이탈하는 시각을 기초로 추출된 관심 상품 분류 그룹을 이용하여 특정 시청자에게 적합한 홈쇼핑 컨텐츠를 동적으로 선택하여 제공할 수 있는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하나 이상의 메모리;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메모리에 저장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홈쇼핑 채널에 대한 시청 이력을 생성하여 미리 지정된 방송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1 인스트럭션; 상기 홈쇼핑 채널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제2 인스트럭션; 및 관심 상품 분류 그룹을 이용하여 상기 방송 시스템에 의해서 제공 가능한 제1 개인화 컨텐츠 내지 제m 개인화 컨텐츠(단 m은 1 이상의 자연수) 및 기본 컨텐츠 중에서 선택되는 컨텐츠를 신호 처리하여 제공하는 제3 인스트럭션(단 상기 관심 상품 분류 그룹은 제1 상품 분류 내지 제k 상품 분류(단 k는 2이상의 자연수)를 포함하는 상품 분류 기준 중에서 상기 시청 이력을 기초로 추출된 것임)을 포함하는 것인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청자가 홈쇼핑 채널을 선택한 시각 및 홈쇼핑 채널로부터 이탈하는 시각을 기초로 추출된 관심 상품 분류 그룹을 이용하여 특정 시청자에게 적합한 홈쇼핑 컨텐츠를 동적으로 선택하여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서 정의된 반송률을 기초로 산출된 관심 지수를 이용하여 관심 상품 분류 그룹을 추출할 수 있으므로, 시청자에게 보다 개인화된 홈쇼핑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가 실행되는 시스템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가 저장 및 실행하는 프로그램의 예시적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에 있어서, 홈쇼핑 채널에 대한 시청 이력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품 분류 기준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에 있어서, 관심 상품 분류 그룹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에 있어서, 개인화 컨텐츠를 수신하여 제공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에 있어서, 기본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의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실제 구성 중 일부만을 도시하거나 일부를 생략하여 도시하거나 변형하여 도시하거나 또는 축척이 다르게 도시될 수 있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0)와, 하나 이상의 메모리(130)와, 하나 이상의 메모리(130)에 저장되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0)에 의해서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150)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0)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13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150)을 판독하고 실행한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0)는 예컨대 x개(단 x는 자연수)로 도시되었지만, 예컨대 1개일 수도 있으며 또는 복수 개일 수도 있다. 즉 하나의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100)의 기능을 실행할 수도 있으며,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가 연동하여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100)의 기능을 실행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 프로세서가 연산 기능을 실행하고, 제2 프로세서가 통신 기능을 실행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100)의 기능을 실행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메모리(130)는 프로그램(150)을 저장한다. 하나 이상의 메모리(130)는 예컨대 기록 및 판독이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같은 기록 매체이다. 하나 이상의 메모리(130)는 1개로 도시되었지만 복수 개일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150)은 예컨대 y개(단 y는 자연수)로 도시되었지만, 예컨대 1개일 수도 있으며 또는 복수 개일 수도 있다. 즉 하나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100)의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으며, 또는 복수 개의 프로그램이 연동하여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100)의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 프로그램이 연산 기능을 구현하고, 제2 프로그램이 통신 기능을 구현하는 방식으로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100)의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다.
이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0), 하나 이상의 메모리(130) 및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150)은 각각 "프로세서(110)", "메모리(130)" 및 "프로그램(150)"으로 지칭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가 실행되는 시스템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가 실행되는 시스템 환경은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100)와, 홈쇼핑 채널을 운영하는 사업자의 방송 시스템(200)을 포함한다.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가 실행되는 시스템 환경은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100)는 예컨대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여 제공하는 셋탑박스, 텔레비전, 개인용 컴퓨터 및 컴퓨팅 기능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원 명세서에서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지상파 방송, 디지털 케이블 방송, 디지털 위성 방송, DMB 방송, IP-TV, OTT(Over The Top) 및 VOD 방송과 같은 형태의 방송 서비스를 지칭한다.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100)의 상세한 구성은 후술한다.
방송 시스템(200)은 방송 네트워크 또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홈쇼핑 컨텐츠를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100)로 전송한다. 방송 시스템(200)은 하나 이상의 홈쇼핑 컨텐츠를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방송 시스템(200)은 시청자가 홈쇼핑 채널을 선택한 시각 및 홈쇼핑 채널로부터 이탈하는 시각을 기초로 지정된 상품 분류 그룹을 이용하여 홈쇼핑 컨텐츠(개인화 홈쇼핑 컨텐츠)를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100)로 제공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100)에 의해서 신호 처리되어 제공되는 홈쇼핑 컨텐츠를 표시한다. 예컨대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100)가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여 제공하는 셋탑박스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100)와는 별도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예컨대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100)가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여 제공하는 텔레비전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텔레비전과 일체형으로, 즉 텔레비전의 화면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가 저장 및 실행하는 프로그램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로그램(150)은 제1 인스트럭션(150-1) 내지 제3 인스트럭션(150-3)을 포함한다. 프로그램(150)은 제4 인스트럭션(150-4) 내지 제9 인스트럭션(150-9)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8 인스트럭션(150-8)은 제1 서브인스트럭션(150-8-1) 내지 제4 인스트럭션(150-8-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인스트럭션(150-1)은 홈쇼핑 채널에 대한 시청 이력을 생성하여 미리 지정된 방송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홈쇼핑 채널에 대한 시청 이력은 홈쇼핑 채널이 제공되기 시작한 시각(즉 시청자가 홈쇼핑 채널을 선택한 시각); 및 홈쇼핑 채널의 제공이 종료된 시각(즉, 시청자가 홈쇼핑 채널로부터 이탈하는 시각) 및 홈쇼핑 채널의 제공이 종료된 시각과 홈쇼핑 채널이 제공되기 시작한 시각과의 차이값(즉 지속 시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에 있어서, 홈쇼핑 채널에 대한 시청 이력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예컨대 홈쇼핑 채널이 채널 53번인 경우, 제1 인스트럭션(150-1)은 예컨대 홈쇼핑 채널이 제공되기 시작한 시각 및 홈쇼핑 채널의 제공이 종료된 시각을 포함하는 시청 이력을 생성한다. 홈쇼핑 채널이 제공되기 시작한 시각은 예컨대 시청자가 리모컨을 통하여 채널 53번을 선택하는 경우의 시각이다. 홈쇼핑 채널의 제공이 종료된 시각은 예컨대 시청자가 채널 53번을 시청하고 있다가 리모컨을 통하여 다른 채널을 선택하거나 또는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100)의 전원을 종료하는 버튼을 입력한 시각이다.
도 4는 홈쇼핑 채널에 대한 시청 이력이 홈쇼핑 채널이 제공되기 시작한 시각 및 홈쇼핑 채널의 제공이 종료된 시각을 포함하는 경우를 기초로 도시되었지만, 홈쇼핑 채널에 대한 시청 이력은 홈쇼핑 채널의 제공이 종료된 시각 대신에 전술한 지속 시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인스트럭션(150-2)은 홈쇼핑 채널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즉 제1 인스트럭션(150-2)이 수행된 후에,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100)의 시청자는 예컨대 셋탑박스 또는 텔레비전의 리모컨을 통하여 홈쇼핑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제3 인스트럭션(150-3)은 관심 상품 분류 그룹을 이용하여 방송 시스템(200)에 의해서 제공 가능한 제1 개인화 컨텐츠 내지 제m 개인화 컨텐츠(단 m은 1 이상의 자연수) 및 기본 컨텐츠 중에서 선택되는 컨텐츠를 신호 처리하여 제공한다.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100)는 제3 인스트럭션(150-3)을 통하여 컨텐츠를 신호 처리하여 제공할 수 있다.
관심 상품 분류 그룹은 제1 상품 분류 내지 제k 상품 분류(단 k는 2이상의 자연수)를 포함하는 상품 분류 기준 중에서 전술한 시청 이력을 기초로 추출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품 분류 기준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품 분류 기준은 계층적으로 설정되며, 예컨대, "생활/주방" 내지 "식품/건강"으로 표시된 제1 계층과, 제1 계층에 종속적인 제2 계층, 예컨대 "생활/주방" 계층에 대한 "인테리어" 내지 "침구"로 표시된 제2 계층과, 제2 계층에 종속적인 제3 계층, 예컨대 "침구" 계층에 대한 "이불" 내지 "매트리스"로 표시된 제3 계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상품 분류 내지 제k 상품 분류는 예컨대 제1 계층에 따른 상품 분류일 수 있다. 하지만, 제1 상품 분류 내지 제k 상품 분류는 예컨대 제2 계층에 따른 상품 분류일 수도 있고, 제3 계층에 따른 상품 분류일 수도 있다. 즉 상품 분류 기준의 상품 분류의 개수 k개는 제1 계층에 따른 상품 분류의 개수일 수도 있고, 제2 계층에 따른 상품 분류의 개수일 수도 있고, 제3 계층에 따른 상품 분류의 개수일 수도 있다. 어느 계층을 사용하는 지는, 방송 시스템(200), 예컨대 홈쇼핑 채널에 대한 사업자에 의해서 유지되는 방송 시스템(200)의 관리자에 의해서 적절히 결정될 수 있다.
관심 상품 분류 그룹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관심 상품 분류 그룹은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100)의 시청자가 관심을 가질 것으로 예상되는 상품 분류를 포함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에 있어서, 관심 상품 분류 그룹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관심 상품 분류 그룹은 예컨대 "인테리어", "과일" 및 "음료"의 3개의 상품 분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관심 상품 분류 그룹은 제1 상품 분류 내지 제k 상품 분류 중 하나 이상의 상품 분류를 포함할 수 있다. 관심 상품 분류 그룹을 추출하는 상세한 구성은 후술한다.
제1 개인화 컨텐츠 내지 제m 개인화 컨텐츠 및 기본 컨텐츠는 방송 시스템(200)으로부터 방송 네트워크 또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100)로 실시간 또는 준-실시간으로 전송될 수 있다.
컨텐츠는 제1 개인화 컨텐츠 내지 제m 개인화 컨텐츠 및 기본 컨텐츠 중 어느 하나이며, 컨텐츠를 전송하고 수신하는 방식은 예컨대 다음과 같다.
우선 컨텐츠가 방송 시스템(200)으로부터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100)로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전송되는 경우이다. 즉 컨텐츠는 방송 시스템(200)의 홈쇼핑 채널을 이용하여 방송 시스템(200)에 가입된 모든 수신기에게로 전송될 수 있다.
예컨대 m이 2인 경우, 홈쇼핑 채널에 대해서 기본 컨텐츠, 제1 개인화 컨텐츠 및 제2 개인화 컨텐츠 모두가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100)로 전송된다.
다음으로, 컨텐츠가 방송 시스템(200)으로부터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100)로 멀티캐스트 방식 또는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전송되는 경우이다. 예컨대 컨텐츠는 방송 시스템(200)의 홈쇼핑 채널을 이용하여 방송 시스템(200)에 가입된 수신기들 중 특정 그룹에 속하는 수신기 또는 특정 수신기로만 전송될 수 있다. 예컨대 m이 2인 경우, 홈쇼핑 채널에 대해서 기본 컨텐츠, 제1 개인화 컨텐츠 및 제2 개인화 컨텐츠 중 선택된 컨텐츠만이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100)로 전송된다.
컨텐츠는 방송 시스템(200)의 홈쇼핑 채널을 이용하여 방송 시스템(200)에 가입된 수신기들 중 특정 그룹에 속하는 수신기 또는 특정 수신기로만 전송될 수 있다. 예컨대 m이 2인 경우, 홈쇼핑 채널에 대해서 기본 컨텐츠, 제1 개인화 컨텐츠 및 제2 개인화 컨텐츠 중 선택된 컨텐츠만이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100)로 전송된다.
다음으로, 컨텐츠가 방송 시스템(200)으로부터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100)로 VOD 방식으로 전송되는 경우이다. 예컨대 컨텐츠는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100)가 컨텐츠를 전송하는 요청을 방송 시스템(200)으로 전송한 경우, 방송 시스템(200)은 컨텐츠를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100)로 전송된다.
이하 제3 인스트럭션(150-3)을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를 선택하는 구성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술하듯이, 프로그램(150)은 제4 인스트럭션(150-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 인스트럭션(150-4)은 제1 개인화 컨텐츠 내지 제m 개인화 컨텐츠 및 기본 컨텐츠 중에서 관심 상품 분류 그룹을 기초로 컨텐츠를 동적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컨텐츠를 방송 시스템(200)으로부터 수신한다.
즉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100)는 제4 인스트럭션(150-4)을 통하여 제1 개인화 컨텐츠 내지 제m 개인화 컨텐츠 및 기본 컨텐츠 중에서 컨텐츠를 선택하고, 선택된 컨텐츠를 방송 시스템(200)으로부터 수신한다. 컨텐츠는 예컨대 전술하듯이 방송 시스템(200)으로부터 브로드캐스트 방식, 멀티캐스트 방식 또는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제4 인스트럭션(150-4)을 통하여 선택되고 수신된 컨텐츠는 이후 제3 인스트럭션(150-3)을 통해 신호 처리되어 시청자에게 제공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에 있어서, 개인화 컨텐츠를 수신하여 제공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예컨대 m이 3인 경우, 방송 시스템(200)은 예컨대 기본 컨텐츠, 제1 개인화 컨텐츠, 제2 개인화 컨텐츠 및 제3 개인화 컨텐츠를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100)로 전송한다.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100)는 제4 인스트럭션(150-4)을 통하여 예컨대 제1 개인화 컨텐츠를 선택하고, 제3 인스트럭션(150-3)을 통해 신호 처리하여 시청자에게 제공한다.
전술하듯이, 프로그램(150)은 제5 인스트럭션(150-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5 인스트럭션(150-5)은 방송 시스템(200)이 관심 상품 분류 그룹을 기초로 선택한 컨텐츠를 수신한다.
즉 제4 인스트럭션(150-4)과는 달리 컨텐츠는 방송 시스템(200)에 의해서 선택되며,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100)는 방송 시스템(200)에 의해서 선택된 컨텐츠를 제5 인스트럭션(150-5)을 통하여 수신하는 것이다. 컨텐츠는 예컨대 방송 시스템(200)으로부터 브로드캐스트 방식, 멀티캐스트 방식 또는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에 있어서, 개인화 컨텐츠를 수신하여 제공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예컨대 m이 3인 경우, 방송 시스템(200)은 예컨대 기본 컨텐츠, 제1 개인화 컨텐츠, 제2 개인화 컨텐츠 및 제3 개인화 컨텐츠 중에서 관심 상품 분류 그룹을 기초로 선택한 컨텐츠, 예컨대 제3 개인화 컨텐츠만을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100)로 전송하고,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100)는 방송 시스템(200)에 의해서 선택된 컨텐츠, 예컨대 제3 개인화 컨텐츠를 제5 인스트럭션(150-5)을 통하여 수신한다.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100)는 이후 제3 인스트럭션(150-3)을 통해 제3 개인화 컨텐츠를 신호 처리하여 시청자에게 제공한다.
전술하듯이, 프로그램(150)은 제6 인스트럭션(150-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6 인스트럭션(150-6)은 제1 개인화 컨텐츠 내지 제m 개인화 컨텐츠 및 기본 컨텐츠 중에서 관심 상품 분류 그룹을 기초로 컨텐츠를 동적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컨텐츠를 전송하라는 요청을 방송 시스템(200)으로 전송하고, 방송 시스템(200)으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한다. 즉,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100)는 제4 인스트럭션(150-4)을 통하여 제1 개인화 컨텐츠 내지 제m 개인화 컨텐츠 및 기본 컨텐츠 중에서 컨텐츠를 선택한다. 그러나 제4 인스트럭션(150-4)의 경우와는 다르게,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100)는 선택된 컨텐츠를 전송하라는 요청을 방송 시스템(200)으로 전송하고, 방송 시스템(200)으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한다. 즉 컨텐츠는 예컨대 VOD 방식으로 방송 시스템(200)으로부터 수신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에 있어서, 개인화 컨텐츠를 수신하여 제공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예컨대 m이 3인 경우,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100)는 제6 인스트럭션(150-6)을 통하여 제1 개인화 컨텐츠 내지 제m 개인화 컨텐츠 및 기본 컨텐츠 중에서 관심 상품 분류 그룹을 기초로 예컨대 제3 개인화 컨텐츠를 선택한다. 이후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100)는 제6 인스트럭션(150-6)을 통하여 선택된 컨텐츠, 즉 제3 개인화 컨텐츠를 전송하라는 요청을 방송 시스템(200)으로 전송하고, 방송 시스템(200)으로부터 제3 개인화 컨텐츠를 수신한다.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100)는 이후 제3 인스트럭션(150-3)을 통해 제3 개인화 컨텐츠를 신호 처리하여 시청자에게 제공한다.
전술하듯이, 제4 인스트럭션(150-4) 및 제6 인스트럭션(150-6)은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해서 관심 상품 분류 그룹을 이용한다. 이를 위해서 전술하듯이, 프로그램(150)은 제7 인스트럭션(150-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7 인스트럭션(150-7)은 방송 시스템(200)으로부터 관심 상품 분류 그룹을 수신하여 저장한다. 예컨대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100)는 제7 인스트럭션(150-7)을 통하여 주기적으로 방송 시스템(200)으로부터 관심 상품 분류 그룹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관심 상품 분류 그룹은 바람직하게는 방송 시스템(200)에 의해서 추출될 수 있다.
방송 시스템(200)은 예컨대 다음과 같은 제1 처리 내지 제4 처리를 수행하는 것에 의해서 관심 상품 분류 그룹을 추출할 수 있다.
제1 처리는 홈쇼핑 채널에 대한 편성 정보와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홈쇼핑 채널에 대한 시청 이력을 분석하여,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제1 상품 분류에 속하는 상품이 홈쇼핑 채널이 선택된 시점부터 홈쇼핑 채널을 통하여 제1 임계값 이상 제공된 제1 기준 횟수 내지 제k 상품 분류에 속하는 상품이 홈쇼핑 채널이 선택된 시점부터 홈쇼핑 채널을 통하여 제1 임계값 이상 제공된 제k 기준 횟수를 결정하고,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제1 상품 분류에 속하는 상품이 홈쇼핑 채널이 선택된 시점부터 홈쇼핑 채널을 통하여 제1 임계값 이상이고 제2 임계값 이하의 시간 동안 제공된 제1 반송 횟수 내지 제k 상품 분류에 속하는 상품이 홈쇼핑 채널이 선택된 시점부터 홈쇼핑 채널을 통하여 제1 임계값 이상이고 제2 임계값 이하의 시간 동안 제공된 제k 반송 횟수를 각각 결정한다.
미리 지정된 기간은 예컨대 1일, 1주일 및 1개월과 같은 기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1 임계값은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100)가 홈쇼핑 채널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후 신호 처리하여 제공하기까지의 지연 시간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값이다. 예컨대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100)가 홈쇼핑 채널, 예컨대 채널 53번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후 채널 53번을 신호 처리하여 제공하기까지 소정의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또한 시청자가 홈쇼핑 채널을 선택하기 위해서 채널 번호가 아니라 채널 업 버튼을 누르는 것에 의해서 채널을 변경할 수도 있다. 제1 임계값은 이러한 시간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예컨대 제1 임계값은 3초일 수 있다.
제2 임계값은 시청자가 홈쇼핑 채널을 선택한 후 그 내용을 확인하고 계속 시청할 지 또는 다른 채널을 시청할 지를 결정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한다. 즉 제2 임계값은 채널 재핑(zapping)을 배제하면서도 시청자가 홈쇼핑 채널을 계속 시청할지를 선택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한다. 제2 임계값은 예컨대 30초일 수 있다.
홈쇼핑 채널에 대한 편성 정보를 이용하면, 시청 이력에 포함된 홈쇼핑 채널이 제공되기 시작한 시각에 어떤 상품이 제공되고 있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기준 횟수 내지 제k 기준 횟수 및 제1 반송 횟수 내지 제k 반송 횟수는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100)에서 시청자가 홈쇼핑 채널을 선택한 시점에 해당 상품이 방송되고 있는 경우를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다. 즉 시청자가 채널 전환 없이 홈쇼핑 채널을 계속 시청하고 있는 경우 또는 홈쇼핑 채널이 선택된 시점에서 상품이 아니라 광고가 제공되는 경우는 제1 기준 횟수 내지 제k 기준 횟수 및 제1 반송 횟수 내지 제k 반송 횟수를 결정하는 것에서 제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처리는 제1 반송 횟수 대 제1 기준 횟수의 비율인 제1 상품 분류에 대한 제1 반송률 내지 제k 반송 횟수 대 제k 기준 횟수의 비율인 제k 상품 분류에 대한 제k 반송률을 각각 결정한다.
제1 반송률은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100)의 시청자가 제1 상품 분류에 속하는 상품에 대한 관심도를 유추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즉 제1 반송률이 낮으면,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100)의 시청자는 제1 상품 분류에 속하는 상품에 대해서는 관심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반대로 제1 반송률이 높으면,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100)의 시청자는 제1 상품 분류에 속하는 상품에 대해서는 관심도가 낮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k 반송률도 마찬가지로 사용될 수 있다.
제3 처리는 시청 이력을 분석하여, 전술한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홈쇼핑 채널을 통하여 제1 상품 분류에 속하는 상품이 제공된 제1 평균 시청 시간 내지 전술한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홈쇼핑 채널을 통하여 제k 상품 분류에 속하는 상품이 제공된 제k 평균 시청 시간을 각각 산출한다.
제4 처리는 제1 평균 시간 및 제1 반송률을 기초로 추출된 제1 상품 분류에 대한 관심 지수 내지 제k 반송률을 기초로 추출된 제k 상품 분류에 대한 관심 지수를 미리 지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제1 상품 분류 내지 제k 상품 분류 중에서 임계값 이상의 관심 지수를 가지는 상품 분류를 관심 상품 분류 그룹으로 지정한다.
제1 상품 분류 내지 제k 상품 분류 중의 제j 상품 분류(단 j는 1이상 k이하의 자연수)에 대한 관심 지수는, 예컨대 제1 가중치와 정규화된 제j 평균 시청 시간을 곱한 값에서 제2 가중치와 정규화된 제j 반송률을 곱한 값을 감산한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정규화된 제j 평균 시청 시간은 예컨대 1 내지 100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고, 정규화된 제j 반송률은 예컨대 1 내지 100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제1 가중치와 제2 가중치는 양수이고, 제1 가중치와 제2 가중치의 합은 1일 수 있다. 제1 가중치가 0.8, 제2 가중치가 0.2, 임계값이 50, 정규화된 제j 평균 시청 시간이 80, 정규화된 반송률이 60이라면, 제1 가중치와 정규화된 제j 평균 시청 시간을 곱한 값에서 제2 가중치와 정규화된 제j 반송률을 곱한 값을 감산한 값은 52로서, 임계값보다 높다. 이 경우, 제j 상품 분류는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100)에 대한 관심 상품 분류 그룹에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제1 처리 내지 제4 처리를 j를 적절히 변경하여 수행하는 것에 의해서,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100)에 대한 관심 상품 분류 그룹을 추출할 수 있다.
방송 시스템(200)은 추출된 관심 상품 분류 그룹을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100)로 전송한다.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100)는 관심 상품 분류 그룹을 저장하고, 예컨대 제4 인스트럭션(150-4) 및 제6 인스트럭션(150-6)을 통하여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해서 관심 상품 분류 그룹을 이용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제1 실시예는 예컨대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100)가 제7 인스트럭션(150-7)을 통하여 방송 시스템(200)으로부터 관심 상품 분류 그룹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구성을 예로 들어서 설명하였지만,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100)가 관심 상품 분류 그룹을 추출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 전술하듯이, 프로그램(150)은 제8 인스트럭션(150-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8 인스트럭션(150-8)은 홈쇼핑 채널에 대한 편성 정보와 시청 이력을 기초로 관심 상품 분류 그룹을 추출한다.
전술하듯이, 제8 인스트럭션(150-8)은 제1 서브인스트럭션(150-8-1) 내지 제4 인스트럭션(150-8-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인스트럭션(150-8-1)은 홈쇼핑 채널에 대한 편성 정보와 제1 인스트럭션(150-1)을 통하여 생성된 홈쇼핑 채널에 대한 시청 이력을 분석하여,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제1 상품 분류에 속하는 상품이 홈쇼핑 채널이 선택된 시점부터 홈쇼핑 채널을 통하여 제1 임계값 이상 제공된 제1 기준 횟수 내지 제k 상품 분류에 속하는 상품이 홈쇼핑 채널이 선택된 시점부터 홈쇼핑 채널을 통하여 제1 임계값 이상 제공된 제k 기준 횟수를 결정하고,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제1 상품 분류에 속하는 상품이 홈쇼핑 채널이 선택된 시점부터 홈쇼핑 채널을 통하여 제1 임계값 이상이고 제2 임계값 이하의 시간 동안 제공된 제1 반송 횟수 내지 제k 상품 분류에 속하는 상품이 홈쇼핑 채널이 선택된 시점부터 홈쇼핑 채널을 통하여 제1 임계값 이상이고 제2 임계값 이하의 시간 동안 제공된 제k 반송 횟수를 각각 결정한다.
제1 서브인스트럭션(150-8-1)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한 제1 처리를 참조할 수 있으므로 생략한다.
제2 서브인스트럭션(150-8-2)은 제1 반송 횟수 대 제1 기준 횟수의 비율인 제1 상품 분류에 대한 제1 반송률 내지 제k 반송 횟수 대 제k 기준 횟수의 비율인 제k 상품 분류에 대한 제k 반송률을 각각 결정한다.
제2 서브인스트럭션(150-8-2)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한 제2 처리를 참조할 수 있으므로 생략한다.
제3 서브인스트럭션(150-8-3)은 시청 이력을 분석하여, 전술한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홈쇼핑 채널을 통하여 제1 상품 분류에 속하는 상품이 제공된 제1 평균 시청 시간 내지 전술한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홈쇼핑 채널을 통하여 제k 상품 분류에 속하는 상품이 제공된 제k 평균 시청 시간을 각각 산출한다.
제3 서브인스트럭션(150-8-3)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한 제3 처리를 참조할 수 있으므로 생략한다.
제4 인스트럭션(150-8-4)은 제1 평균 시간 및 제1 반송률을 기초로 추출된 제1 상품 분류에 대한 관심 지수 내지 제k 반송률을 기초로 추출된 제k 상품 분류에 대한 관심 지수를 미리 지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제1 상품 분류 내지 제k 상품 분류 중에서 임계값 이상의 관심 지수를 가지는 상품 분류를 관심 상품 분류 그룹으로 지정한다.
제4 인스트럭션(150-8-4)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한 제4 처리를 참조할 수 있으므로 생략한다.
<제3 실시예>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개인화 컨텐츠 내지 상기 제m 개인화 컨텐츠 및 기본 컨텐츠 중 어느 하나가 제공된다.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100)를 통하여 제1 개인화 컨텐츠 내지 제m 개인화 컨텐츠 중 어느 하나가 제공되는 경우에도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100)의 시청자는 기본 컨텐츠를 시청하기를 원할 수 있다.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100)를 통하여 제1 개인화 컨텐츠 내지 제m 개인화 컨텐츠 중 어느 하나가 제공되는 경우라도, 제3 실시예에 따르면, 기본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하듯이, 프로그램(150)은 제9 인스트럭션(150-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9 인스트럭션(150-9)은 제3 인스트럭션(150-3)을 수행하기 전 또는 제3 인스트럭션(152-3)을 수행하는 도중에 기본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에 있어서, 기본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3 인스트럭션(152-3)을 수행하는 도중에 기본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화면(310)에는, 제1 개인화 컨텐츠 내지 제m 개인화 컨텐츠 중 어느 하나(320)가 제3 인스트럭션(150-3)을 통하여 표시된다. 제1 개인화 컨텐츠 내지 제m 개인화 컨텐츠 중 어느 하나(320)가 화면(310)에 표시되는 도중에, 기본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330)가 화면(310)의 적어도 일부에 표시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330)는 예컨대 "현재 방송중인 기본 홈쇼핑 컨텐츠를 시청하길 원하시는 경우 녹색 버튼을 누르세요."와 같은 안내 문구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시청자가 홈쇼핑 채널을 선택한 시각 및 홈쇼핑 채널로부터 이탈하는 시각을 기초로 추출된 관심 상품 분류 그룹을 이용하여 특정 시청자에게 적합한 홈쇼핑 컨텐츠를 동적으로 선택하여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서 정의된 반송률을 기초로 산출된 관심 지수를 이용하여 관심 상품 분류 그룹을 추출할 수 있으므로, 시청자에게 보다 개인화된 홈쇼핑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구성이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지만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청자가 홈쇼핑 채널을 선택한 시각 및 홈쇼핑 채널로부터 이탈하는 시각을 기초로 추출된 관심 상품 분류 그룹을 이용하여 특정 시청자에게 적합한 홈쇼핑 컨텐츠를 동적으로 선택하여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서 정의된 반송률을 기초로 산출된 관심 지수를 이용하여 관심 상품 분류 그룹을 추출할 수 있으므로, 시청자에게 보다 개인화된 홈쇼핑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100: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 110: 프로세서
130: 메모리 150: 프로그램
200: 방송 시스템 300: 디스플레이 장치
310: 화면 320: 개인화 컨텐츠
330: 사용자 인터페이스

Claims (15)

  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하나 이상의 메모리;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메모리에 저장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홈쇼핑 채널에 대한 시청 이력을 생성하여 미리 지정된 방송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1 인스트럭션;
    상기 홈쇼핑 채널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제2 인스트럭션;
    관심 상품 분류 그룹을 이용하여 상기 방송 시스템에 의해서 제공 가능한 제1 개인화 컨텐츠 내지 제m 개인화 컨텐츠(단 m은 1 이상의 자연수) 및 기본 컨텐츠 중에서 선택되는 컨텐츠를 신호 처리하여 제공하는 제3 인스트럭션(단 상기 관심 상품 분류 그룹은 제1 상품 분류 내지 제k 상품 분류(단 k는 2이상의 자연수)를 포함하는 상품 분류 기준 중에서 상기 시청 이력을 기초로 추출된 것임); 및
    홈쇼핑 채널에 대한 편성 정보와 상기 시청 이력을 기초로 상기 관심 상품 분류 그룹을 추출하는 제8 인스트럭션
    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제8 인스트럭션은,
    상기 홈쇼핑 채널에 대한 편성 정보와 상기 시청 이력을 분석하여,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상기 제1 상품 분류에 속하는 상품이 상기 홈쇼핑 채널이 선택된 시점부터 상기 홈쇼핑 채널을 통하여 제1 임계값 이상 제공된 제1 기준 횟수 내지 상기 제k 상품 분류에 속하는 상품이 상기 홈쇼핑 채널이 선택된 시점부터 상기 홈쇼핑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1 임계값 이상 제공된 제k 기준 횟수를 결정하고, 상기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상기 제1 상품 분류에 속하는 상품이 상기 홈쇼핑 채널이 선택된 시점부터 상기 홈쇼핑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1 임계값 이상이고 제2 임계값 이하의 시간 동안 제공된 제1 반송 횟수 내지 상기 제k 상품 분류에 속하는 상품이 상기 홈쇼핑 채널이 선택된 시점부터 상기 홈쇼핑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1 임계값 이상이고 상기 제2 임계값 이하의 시간 동안 제공된 제k 반송 횟수를 각각 결정하는 제1 서브인스트럭션;
    상기 제1 반송 횟수 대 상기 제1 기준 횟수의 비율인 상기 제1 상품 분류에 대한 제1 반송률 내지 상기 제k 반송 횟수 대 상기 제k 기준 횟수의 비율인 상기 제k 상품 분류에 대한 제k 반송률을 각각 결정하는 제2 서브인스트럭션;
    상기 시청 이력을 분석하여, 상기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상기 홈쇼핑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1 상품 분류에 속하는 상품이 제공된 제1 평균 시청 시간 내지 상기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상기 홈쇼핑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k 상품 분류에 속하는 상품이 제공된 제k 평균 시청 시간을 각각 산출하는 제3 서브인스트럭션; 및
    상기 제1 평균 시간 및 상기 제1 반송률을 기초로 추출된 상기 제1 상품 분류에 대한 관심 지수 내지 상기 제k 반송률을 기초로 추출된 상기 제k 상품 분류에 대한 관심 지수를 미리 지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상기 제1 상품 분류 내지 상기 제k 상품 분류 중에서 상기 임계값 이상의 관심 지수를 가지는 상품 분류를 상기 관심 상품 분류 그룹으로 지정하는 제4 서브인스트럭션
    을 포함하는 것인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 이력은,
    상기 홈쇼핑 채널이 제공되기 시작한 시각; 및
    상기 홈쇼핑 채널의 제공이 종료된 시각 및 상기 홈쇼핑 채널의 제공이 종료된 시각과 상기 홈쇼핑 채널이 제공되기 시작한 시각과의 차이값 중 어느 하나
    를 포함하는 것인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컨텐츠 및 상기 제1 개인화 컨텐츠 내지 상기 제m 개인화 컨텐츠는 상기 방송 시스템으로부터 방송 네트워크 또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실시간 또는 준-실시간으로 전송되는 것인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상기 방송 시스템으로부터 방송 네트워크 또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브로드캐스트 방식, 멀티캐스트 방식, 유니캐스트 방식 및 VOD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전송되는 것인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상기 제1 개인화 컨텐츠 내지 상기 제m 개인화 컨텐츠 및 상기 기본 컨텐츠 중에서 상기 관심 상품 분류 그룹을 기초로 상기 컨텐츠를 동적으로 선택하고, 상기 컨텐츠를 상기 방송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는 제4 인스트럭션
    을 더 포함하는 것인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상기 제1 개인화 컨텐츠 내지 상기 제m 개인화 컨텐츠 및 상기 기본 컨텐츠 중에서 상기 방송 시스템이 상기 관심 상품 분류 그룹을 기초로 선택한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는 제5 인스트럭션
    을 더 포함하는 것인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상기 제1 개인화 컨텐츠 내지 상기 제m 개인화 컨텐츠 및 상기 기본 컨텐츠 중에서 상기 관심 상품 분류 그룹을 기초로 상기 컨텐츠를 동적으로 선택하고, 상기 컨텐츠를 전송하라는 요청을 상기 방송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방송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는 제6 인스트럭션
    을 더 포함하는 것인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상기 방송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관심 상품 분류 그룹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제7 인스트럭션
    을 더 포함하는 것인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상품 분류 그룹은,
    상기 시청 이력을 분석하여,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상기 제1 상품 분류에 속하는 상품이 상기 홈쇼핑 채널이 선택된 시점부터 상기 홈쇼핑 채널을 통하여 제1 임계값 이상 제공된 제1 기준 횟수 내지 상기 제k 상품 분류에 속하는 상품이 상기 홈쇼핑 채널이 선택된 시점부터 상기 홈쇼핑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1 임계값 이상 제공된 제k 기준 횟수를 결정하고, 상기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상기 제1 상품 분류에 속하는 상품이 상기 홈쇼핑 채널이 선택된 시점부터 상기 홈쇼핑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1 임계값 이상이고 제2 임계값 이하의 시간 동안 제공된 제1 반송 횟수 내지 상기 제k 상품 분류에 속하는 상품이 상기 홈쇼핑 채널이 선택된 시점부터 상기 홈쇼핑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1 임계값 이상이고 상기 제2 임계값 이하의 시간 동안 제공된 제k 반송 횟수를 각각 결정하는 제1 처리;
    상기 제1 반송 횟수 대 상기 제1 기준 횟수의 비율인 상기 제1 상품 분류에 대한 제1 반송률 내지 상기 제k 반송 횟수 대 상기 제k 기준 횟수의 비율인 상기 제k 상품 분류에 대한 제k 반송률을 각각 결정하는 제2 처리;
    상기 시청 이력을 분석하여, 상기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상기 홈쇼핑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1 상품 분류에 속하는 상품이 제공된 제1 평균 시청 시간 내지 상기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상기 홈쇼핑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k 상품 분류에 속하는 상품이 제공된 제k 평균 시청 시간을 각각 산출하는 제3 처리; 및
    상기 제1 평균 시간 및 상기 제1 반송률을 기초로 추출된 상기 제1 상품 분류에 대한 관심 지수 내지 상기 제k 반송률을 기초로 추출된 상기 제k 상품 분류에 대한 관심 지수를 미리 지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상기 제1 상품 분류 내지 상기 제k 상품 분류 중에서 상기 임계값 이상의 관심 지수를 가지는 상품 분류를 상기 관심 상품 분류 그룹으로 지정하는 제4 처리
    를 상기 방송 시스템이 수행하는 것에 의해서 추출되는 것인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제j 상품 분류(단 j는 1이상 k이하의 자연수)에 대한 관심 지수는,
    제1 가중치와 정규화된 제j 평균 시청 시간을 곱한 값에서 제2 가중치와 정규화된 제j 반송률을 곱한 값을 감산한 것인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중치와 상기 제2 가중치는 양수이고, 상기 제1 가중치와 상기 제2 가중치의 합은 1인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상품 분류 그룹은 상기 제1 상품 분류 내지 상기 제k 상품 분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상기 제1 개인화 컨텐츠 내지 상기 제m 개인화 컨텐츠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상기 제3 인스트럭션을 수행하기 전 또는 상기 제3 인스트럭션을 수행하는 도중에 상기 기본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제9 인스트럭션
    을 더 포함하는 것인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
KR1020170176674A 2017-12-21 2017-12-21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 KR101985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674A KR101985743B1 (ko) 2017-12-21 2017-12-21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
PCT/KR2018/014244 WO2019124764A1 (ko) 2017-12-21 2018-11-20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
JP2020533104A JP7220925B2 (ja) 2017-12-21 2018-11-20 個人向けホームショッピング提供装置
EP18892963.2A EP3731167A4 (en) 2017-12-21 2018-11-20 DEVICE FOR PROVIDING PERSONALIZED HOME SHOPPING
CN201880081475.4A CN111602163B (zh) 2017-12-21 2018-11-20 个人化家庭购物提供装置
US16/896,198 US11044531B2 (en) 2017-12-21 2020-06-08 Personalized home shopping provid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674A KR101985743B1 (ko) 2017-12-21 2017-12-21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5743B1 true KR101985743B1 (ko) 2019-06-04

Family

ID=66811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6674A KR101985743B1 (ko) 2017-12-21 2017-12-21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44531B2 (ko)
EP (1) EP3731167A4 (ko)
JP (1) JP7220925B2 (ko)
KR (1) KR101985743B1 (ko)
CN (1) CN111602163B (ko)
WO (1) WO201912476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6465B1 (ko) * 2018-10-16 2020-01-15 애니포인트미디어 주식회사 홈쇼핑 방송 제공 장치 및 홈쇼핑 방송 제공 방법
KR102079002B1 (ko) * 2018-10-16 2020-02-19 애니포인트미디어 주식회사 홈쇼핑 방송 제공 장치 및 홈쇼핑 방송 제공 방법
US11044531B2 (en) 2017-12-21 2021-06-22 Anypoint Media Co., Ltd. Personalized home shopping provid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6428B1 (ko) * 2017-12-21 2019-05-10 애니포인트미디어 주식회사 개인화 홈쇼핑 방송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6694A (ko) * 2010-07-13 2012-01-19 (주)팍스넷 모바일 쇼핑몰에서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06383A (ko) 2012-07-05 2014-01-16 (주) 씨제이오쇼핑 온라인-홈쇼핑 연동 판매 시스템 및 서버
KR20160041437A (ko) * 2014-10-07 2016-04-18 주식회사 케이티 가변형 홈쇼핑 채널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서버
KR101751708B1 (ko) 2012-08-17 2017-07-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시청행태 인식기반의 시청률 및 광고효과 분석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35778B2 (en) * 2000-01-19 2004-05-11 Denis Khoo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home shopping programs
JP2002149941A (ja) 2000-11-13 2002-05-24 Mitsubishi Electric Corp ネットワークを利用したマーケティング方法およびその装置、ならびに商品情報閲覧装置
CN1882073A (zh) * 2005-06-17 2006-12-20 乐金电子(沈阳)有限公司 家庭购物入口系统及其控制方法
KR20130089794A (ko) * 2012-01-02 2013-08-13 이재명 스마트 티비를 이용한 홈쇼핑 관심채널 정보 제공시스템 및 관심채널 정보 제공방법
KR102104100B1 (ko) * 2013-01-23 2020-04-2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실사용 이력 기반 디지털 컨텐츠 추천 방법 및 그 장치
KR101539182B1 (ko) * 2014-09-29 2015-07-29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셋톱박스의 id별 시청이력을 이용한 tv 데이터방송 홈쇼핑에서의 상품 추천 방법
JP6730046B2 (ja) * 2016-02-25 2020-07-29 カルチュア・コンビニエンス・クラブ株式会社 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80079885A (ko) * 2017-01-03 2018-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387304B1 (ko) * 2017-04-03 2022-04-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985743B1 (ko) 2017-12-21 2019-06-04 애니포인트미디어 주식회사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6694A (ko) * 2010-07-13 2012-01-19 (주)팍스넷 모바일 쇼핑몰에서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06383A (ko) 2012-07-05 2014-01-16 (주) 씨제이오쇼핑 온라인-홈쇼핑 연동 판매 시스템 및 서버
KR101751708B1 (ko) 2012-08-17 2017-07-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시청행태 인식기반의 시청률 및 광고효과 분석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41437A (ko) * 2014-10-07 2016-04-18 주식회사 케이티 가변형 홈쇼핑 채널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서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44531B2 (en) 2017-12-21 2021-06-22 Anypoint Media Co., Ltd. Personalized home shopping providing apparatus
KR102066465B1 (ko) * 2018-10-16 2020-01-15 애니포인트미디어 주식회사 홈쇼핑 방송 제공 장치 및 홈쇼핑 방송 제공 방법
KR102079002B1 (ko) * 2018-10-16 2020-02-19 애니포인트미디어 주식회사 홈쇼핑 방송 제공 장치 및 홈쇼핑 방송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508194A (ja) 2021-02-25
EP3731167A4 (en) 2021-07-28
EP3731167A1 (en) 2020-10-28
WO2019124764A1 (ko) 2019-06-27
CN111602163B (zh) 2023-08-29
JP7220925B2 (ja) 2023-02-13
US11044531B2 (en) 2021-06-22
US20200304877A1 (en) 2020-09-24
CN111602163A (zh) 2020-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5743B1 (ko) 개인화 홈쇼핑 제공 장치
JP4212773B2 (ja) 加入者プロファイルベクトルを生成するためのデータ処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11711828B (zh) 一种信息处理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01971203A (zh) 用于定向广告的装置和方法
KR102141172B1 (ko) 인공지능 및 사물인터넷을 적용한 키오스크 주문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20144419A1 (en) Interactive television
KR102081221B1 (ko) 방송 서비스의 반송률 측정 장치
KR102030439B1 (ko) 방송 서비스의 반송률 측정 장치
JP576934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端末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1976428B1 (ko) 개인화 홈쇼핑 방송 시스템
KR102074635B1 (ko) Iptv 기반의 호스피탤러티 서비스 사용자 맞춤형 미디어 커머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면세상품 구매방법
CN111768250A (zh) 方法、装置、计算机可读介质及电子设备
JP7066429B2 (ja) 広告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視聴端末、広告配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30031987A (ko)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설문 조사를 제공하는 설문 조사 서버 및 방법
JP2001357191A (ja) コマーシャルメッセージ反応調査方法およびシステム、ならびに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KR100330253B1 (ko) 디지털미디어를 이용한 설문조사장치 및 그 방법
CN103679505A (zh) 用于提供和计费广告机会的系统和方法
Gunawan et al. Examination of Advertising on Social Media: The Role of Endorsers in Creating Brand Awareness
RU2553073C2 (ru)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выбор информации, основанный на классификации заинтересованности
Kimani et al. FACTORS AFFECTING THE UPTAKE OF PAY TV AMONG NAIROBI RESIDENTS IN KENYA
CN117651165A (zh) 基于客户数据的视频推荐方法及装置
Lee Conjoint analysis for effective use of online video advertising on video sharing websites
KR20000049449A (ko) 인터넷을 이용한 시청률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0205496A (ja) 発行サーバ、配信サーバおよび解析サーバ
Chattopadhyay et al. Electronic Program Guide for RF fed TV Chann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