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5542B1 -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친환경 조경시설용 자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친환경 조경시설용 자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5542B1
KR101985542B1 KR1020180080290A KR20180080290A KR101985542B1 KR 101985542 B1 KR101985542 B1 KR 101985542B1 KR 1020180080290 A KR1020180080290 A KR 1020180080290A KR 20180080290 A KR20180080290 A KR 20180080290A KR 101985542 B1 KR101985542 B1 KR 101985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ultraviolet
layer
recycled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0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재
Original Assignee
김민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재 filed Critical 김민재
Priority to KR1020180080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55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5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5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2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foa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3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printing or mar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10Intaglio printing ; Gravure prin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10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10Building elements, e.g. bricks, blocks, tiles, panels, posts, bea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플라스틱으로 발포성형되어 자원재활용성이 높으므로 환경친화적이고 경량화되어 취급성도 우수하며, 자외선차단성이 높아서 장기간 사용하여도 자외선에 의해 손상(열화)도 방지되며, 코스트도 저렴한 새로운 구성의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친환경 조경시설용 자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친환경 조경시설용 자재 및 그 제조방법{Forming extruded gardening material using waste plastic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that}
본 발명은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친환경 조경시설용 자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폐플라스틱으로 발포성형되어 환경친화적이며 경량성도 가지며, 자외선차단성이 우수하여 장기간 사용하여도 손상되지 않으며, 코스트로 저렴한 새로운 구성의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친환경 조경시설용 자재 및 그 제조방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고도화, 다양화에 따라 플라스틱제품의 사용량이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폐기되는 폐플라스틱의 양도 증가되고 있다. 대부분의 폐플라스틱은 매립 또는 소각되는 실정이므로 이에 따른 환경오염이 유발된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 폐플라스틱의 다양한 재활용방안이 모색되고 있으나, 폐플라스틱의 재활용량은 미미한 수준에 그치고 있다.
한편,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자연진화적이고 건강한 생활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조경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따라서 아파트나 주택 건축시에 아파트 단지 또는 주택 건축시에 나무나 꽃을 식재하거나 화단이나 산책로를 조성하는 등 조경에 적지 않은 투자를 한다.
이러한 조경을 꾸미기 위해서는 화분, 수목지지대, 경계블록, 바닥재 등 다양한 종류의 조경시설용 자재가 요구되는데, 종래에는 이들 조경시설용 자재들이 거의 대부분 목재로 제조되었다. 그러나 목재는 수급이 일정하지 않아 가격변동이 심하고, 또한, 산림파괴를 초래한다. 뿐만 아니라 목재는 수분에 취약하여 장기간 사용하면 썩어서 보기에 좋지 않으며, 비교적 중량이여서 취급하기도 쉽지 않은 단점을 가진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34850호(2012. 04. 1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56601호(2004. 07. 0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폐플라스틱으로 발포성형되어 자원재활용성이 높으므로 환경친화적이고 경량화되어 취급성도 우수하며, 자외선차단성이 높아서 장기간 사용하여도 자외선에 의해 손상(열화)도 방지되며, 코스트도 저렴한 새로운 구성의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친환경 조경시설용 자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압출 발포 성형된 조경 시설용 자재에 의하면, 열가소성 폐 플라스틱으로 만든 재생수지펠릿을 압출 발포하여 성형된 바디; 상기 바디 표면의 전체 또는 일부에 코팅되는 자외선차단층, 또는 기재필름과 상기 기재필름의 표면에 적층된 이형층과 자외선차단성 잉크를 상기 이형층 위에 무늬를 갖도록 그라비아 인쇄하여 형성된 전사층으로 이루어진 전사필름을 상기 바디 표면에 전사하여 형성된 자외선차단층; 을 포함하되, 상기 재생수지펠릿에는 폐폴리스티렌이 30~50중량% 포함되며, 상기 재생수지펠릿의 나머지 부분은 ABS, HIPS(High Impact Poly Styrene), PE, PP와 같은 다른 종류의 열가소성 폐플라스틱이 포함되고, 상기 자외선차단층은, 자외선차단층의 전체 중량부에 대해 우레탄아크릴레이트(urethane acrylate) 30~40중량부,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 diisocyanate) 5~10중량부,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Pentaerythritol Triacrylate) 20~25중량부,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20~30중량부, 메틸이소부틸케톤(methyl isobutylketone) 5~10중량부, 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dibutyltin dilaurate) 0.01~0.1중량부, 테트라에톡시실란(Tetraethoxy silane) 15~20중량부, 글리사이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glycidoxypropyl trimethoxy silane) 10~15 중량부, 산화안티몬, 산화주석, 텅스텐, 이산화티타늄 중에서 선택되는 무기계 자외선차단제 20~30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 에테르(polyoxyethylene alkyl ether) 0.1~0.4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사층은, 전사층 전체 중량부에 대해 우레탄아크릴레이트(urethane acrylate) 30~40중량부,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 diisocyanate) 5~10중량부,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Pentaerythritol Triacrylate) 20~25중량부,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20~30중량부, 메틸이소부틸케톤(methyl isobutylketone) 5~10중량부, 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dibutyltin dilaurate) 0.01~0.1중량부, 테트라에톡시실란(Tetraethoxy silane) 15~20중량부, 글리사이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glycidoxypropyl trimethoxy silane) 10~15 중량부, 산화안티몬, 산화주석, 텅스텐, 이산화티타늄 중에서 선택되는 무기계 자외선차단제 20~30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 에테르(polyoxyethylene alkyl ether) 0.1~0.4중량부, 안료 7~20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경시설용 자재는 화분, 화단경계블록, 조경수 보호지지대, 울타리, 바닥재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압출 발포 성형된 조경 시설용 자재 제조방법에 의하면, 열가소성 폐플라스틱으로 만든 재생수지펠릿을 압출발포하여 바디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바디 표면의 전체 또는 일부에 코팅되는 자외선차단층을 형성하거나, 또는 기재필름과 상기 기재필름의 표면에 적층된 이형층과 자외선차단성 잉크를 상기 이형층 위에 무늬를 갖도록 그라비아 인쇄하여 형성된 전사층으로 이루어진 전사필름을 상기 바디 표면에 전사하여 형성된 자외선차단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재생수지펠릿에는 폐폴리스티렌이 30~50중량% 포함되며, 상기 재생수지펠릿의 나머지 부분은 ABS, HIPS(High Impact Poly Styrene), PE, PP와 같은 다른 종류의 열가소성 폐플라스틱이 포함되고, 상기 자외선차단층은, 자외선차단층의 전체 중량부에 대해 우레탄아크릴레이트(urethane acrylate) 30~40중량부,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 diisocyanate) 5~10중량부,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Pentaerythritol Triacrylate) 20~25중량부,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20~30중량부, 메틸이소부틸케톤(methyl isobutylketone) 5~10중량부, 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dibutyltin dilaurate) 0.01~0.1중량부, 테트라에톡시실란(Tetraethoxy silane) 15~20중량부, 글리사이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glycidoxypropyl trimethoxy silane) 10~15 중량부, 산화안티몬, 산화주석, 텅스텐, 이산화티타늄 중에서 선택되는 무기계 자외선차단제 20~30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 에테르(polyoxyethylene alkyl ether) 0.1~0.4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사층은, 전사층 전체 중량부에 대해 우레탄아크릴레이트(urethane acrylate) 30~40중량부,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 diisocyanate) 5~10중량부,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Pentaerythritol Triacrylate) 20~25중량부,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20~30중량부, 메틸이소부틸케톤(methyl isobutylketone) 5~10중량부, 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dibutyltin dilaurate) 0.01~0.1중량부, 테트라에톡시실란(Tetraethoxy silane) 15~20중량부, 글리사이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glycidoxypropyl trimethoxy silane) 10~15 중량부, 산화안티몬, 산화주석, 텅스텐, 이산화티타늄 중에서 선택되는 무기계 자외선차단제 20~30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 에테르(polyoxyethylene alkyl ether) 0.1~0.4중량부, 안료 7~20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경시설용 자재는 화분, 화단경계블록, 조경수 보호지지대, 울타리, 바닥재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폐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제조되므로 자원재활용성이 우수하고, 폐플라스틱의 재활용률을 높임으로써 폐플라스틱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한다.
특히, 본 발명은 발포 성형에 의해 경량화되어 취급성이 좋으며, 또한, 다소의 쿠션도 가지므로 특히, 본 발명이 조경용 바닥재에 적용되고, 이러한 바닥재로 산책로나 데크 등을 조성하면 보행자의 발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화된다.
또한, 본 발명은 자외선차단층이 형성되어, 자외선에 의한 손상(열화)이 방지되기 때문에 야외에 장기간 설치되어 사용되어도 초기의 품질이 장기간 지속적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을 기존 목재로 된 조경시설용 자재를 대체하기에 적합하다.
더욱이 자외선차단층이 다양한 무늬를 갖도록 전사되어 형성되면, 우수한 자외선차단성을 가짐과 더불어 조경시설용 자재의 외관도 미려하여 제품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조경수 보호지지대에 적용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울타리재에 적용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바닥재에 적용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이 운동장용 바닥재에 적용된 것을 보인 사시도
이하에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압출발포성형된 조경시설용 자재에 관한 것으로서, 조경시설용 자재로는 화단 경계블록, 바닥재, 조경수 보호지지대, 화분, 울타리(펜스)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조경수 보호지지대에 적용된 것을 보인 것이고, 도 2는 울타리재, 도 3은 산책로 등의 바닥재, 도 4는 운동장용 바닥재에 적용된 것을 보인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조경시설용 자재들은 재생수지펠릿으로 압출발포하여 성형된 바디(100)의 표면에 자외선차단층(200)이 코팅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재생수지펠릿은 열가소성 폐플라스틱을 세척하고 파쇄하여 펠릿형태로 만든 것이며, 상기 바디(100)는 이러한 재생수지펠릿에 발포제를 비롯하여 구연산 등의 통상적인 첨가제를 혼합하고 압출기로 발포압출하여 성형된다. 바디(100)는 제품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단면형상을 가짐은 당연하다.
바람직하게는 재생수지펠릿에는 폐폴리스티렌이 30~50중량% 정도 포함된다. 폴리스티렌은 다른 수지들에 비해 재료의 조달이 용이하고, 발포성도 좋은 장점을 가지므로 본 발명에서는 폐 폴리스티렌이 필수적으로 함유된 재생수지펠릿을 사용한다. 상기 재생수지펠릿의 나머지 부분은 ABS, HIPS(High Impact Poly Styrene), PE, PP계열의 열가소성 폐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바디(100)가 압출발포됨에 따라 바디(100)가 경량화되고, 또한, 다소의 완충성도 가진다.
한편, 상기 자외선차단층(200)은 바디(100)가 자외선에 의해 열화되어 손상되는 것은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바디(100) 표면의 전체 또는 일부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외선차단층(200)은, 자외선차단층(200)의 전체 중량부에 대해 우레탄아크릴레이트(urethane acrylate) 30~40중량부,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 diisocyanate) 5~10중량부,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Pentaerythritol Triacrylate) 20~25중량부,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20~30중량부, 메틸이소부틸케톤(methyl isobutylketone) 5~10중량부, 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dibutyltin dilaurate) 0.01~0.1중량부, 테트라에톡시실란(Tetraethoxy silane) 15~20중량부, 글리사이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glycidoxypropyl trimethoxy silane) 10~15 중량부, 산화안티몬, 산화주석, 텅스텐, 이산화티타늄 중에서 선택되는 무기계 자외선차단제 20~30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 에테르(polyoxyethylene alkyl ether) 0.1~0.4중량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조성을 가지는 자외선차단층(200)은 자외선 차단효과가 우수하여 자외선에 의한 손상(열화)이 방지됨은 물론이며, 내마모성, 내스크랫치성도 우수하고, 부착성도 우수한 장점을 가진다. 따라서, 조경시설용 자재를 장기간 사용하여도 자외선차단층(200)이 훼손될 우려가 적으며, 자외선차단층(200)에 의한 효과가 장기간 지속적으로 유지되므로 조경시설용 자재의 손상이 방지된다.
이러한 자외선차단층(200)은, 바디(100)의 표면에 코팅 또는 전사에 의해 형성된다. 자외선차단층(200)을 코팅하여 형성하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바디(100)의 표면에 무늬를 전사한 다음, 그 위에 자외선차단층(200)을 코팅한다. 코팅은 분사, 롤링, 딥핑 등 통상적인 방법으로 행해진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조경시설용 자재를 기본 목재로 된 조경시설용 자재로 대체하면 목재에 비해 장기간 손상없이 사용이 가능하며, 또한, 목재용 조경시설용 자재에 비해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고, 코스트도 저렴하므로 경제적이며, 목재사용을 줄인다는 측면에서 환경보호에 이바지할 수 있다.
< 실험예 >
자외선 차단층의 전체 중량부에 대해, 우레탄아크릴레이트 30중량부,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10중량부,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25중량부, 에틸아세테이트 20중량부, 메틸이소부틸케 5중량부, 디부틸틴디라우레이 0.1중량부, 테트라에톡시실란 17중량부, 글리사이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 15중량부, 산화안티몬 15중량부, 산화주석 10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 에테르 0.4중량부를 포함하는 자외선차단층을 광학용 폴리이미드 필름에 20㎛ 두께로 형성하여, 자외선차단층의 자와선차단성, 내마모성, 내스크랫치성, 부착성 등의 물성을 테스트하였다. 상기 자외선차단층은 상기와 같은 조성을 가지는 컴파운드에 유기용제를 혼합하여 폴리이미드필름에 도포하여 형성하였다. 테스트결과는 다음과 같다.
* 자외선차단성
-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필름의 분광 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하고, 380㎚에서의 투과율을 구한 결과, 투과율은 20%이였다. 즉, 상기 자외선차단층의 자외선차단성이 80% 로서, 상당히 우수함을 알 수 있다.
* 내마모성
- KS L 2007 : 2008에 의거하여 마모 전의 시험편을 헤이즈미터로 3회 측정 후 평균값을 산출하고 테버형의 마모 시험기를 사용하여 각 마모휠에 49N의 하중을 걸고 75rpm 속도로 시험편을 500회 회전시켜 마모시킨다. 마모 후 시험편을 헤이즈미터로 3회 측정 후 평균값을 산출하여 마모 후의 평균값에서 마모 전의 평균값을 빼서 마모에 따른 흐림값 결과를 얻었다. 흐림값이 작을 수록 내마모성이 우수한 것인데, 상기 자외선차단층은 내마모성 haze가 3.8%로서, 상당히 우수한 내마모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 내스크랫치성
- 테스트기(WT-LCM100, 한국 프로텍사)를 이용하여 1kg/(2㎝×2㎝) 하에서 10회 왕복운동시켜 스크랫치 발생여부를 시험하였다. 3회 테스트결과스크랫치가 발생되지 않았다. 따라서 상기 자외선차단층의 내스크랫치성이 상당히 우수함을 알 수 있다.
* 부착성
- 자외선차단층이 코팅된 필름의 도포된 면에 1mm 간격으로 가로 세로 각각 11개의 직선을 그어 100개의 정사각형을 만든 후, 테이프(CT-24, 일본 니치방사)를 이용하여 3회 박리 테스트를 하였다. 3회 테스트 결과 절단된 부위가 하나도 박리되지 않았다. 따라서 상기 자외선차단층이 부착성이 상당히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효과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외선차단층(200)은 무늬를 갖도록 전사에 의해 형성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압출발포성형된 바디(100)의 표면에 자외선차단층을 전사하여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전사필름은 기재필름, 이형층, 전사층으로 형성되고, 전사는 이러한 전사필름을 피전사면에 가압가열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사층이, 전사층 전체 중량부에 대해 우레탄아크릴레이트(urethane acrylate) 30~40중량부,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 diisocyanate) 5~10중량부,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Pentaerythritol Triacrylate) 20~25중량부,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20~30중량부, 메틸이소부틸케톤(methyl isobutylketone) 5~10중량부, 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dibutyltin dilaurate) 0.01~0.1중량부, 테트라에톡시실란(Tetraethoxy silane) 15~20중량부, 글리사이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glycidoxypropyl trimethoxy silane) 10~15 중량부, 산화안티몬, 산화주석, 텅스텐, 이산화티타늄 중에서 선택되는 무기계 자외선차단제 20~30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 에테르(polyoxyethylene alkyl ether) 0.1~0.4중량부, 안료 7~20중량부를 포함하는 자외선차단 잉크를 그라비아 인쇄 등으로 무늬가 형성되도록 인쇄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조성의 전사층을 가지는 전사필름을 바디(100) 표면에 전사하면, 상기 전사층이 전사되어 무늬를 갖는 자외선차단층(200)이 형성된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서는 자외선차단층(200) 자체가 무늬를 가지므로 바디(100)에 무늬를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을 가진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조성을 가지는 전사층, 즉, 자외선코팅층(200)의 내구성, 내스크랫치성, 부착성이 우수하므로 자외선코팅층(200)이 손상될 우려도 적고, 자외선차단효과가 우수하여 조경시설용 자재가 자외선에 의해 손상(열화)될 우려가 적다.

Claims (4)

  1. 삭제
  2.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압출 발포 성형된 조경 시설용 자재에 있어서,
    열가소성 폐 플라스틱으로 만든 재생수지펠릿을 압출 발포하여 성형된 바디(100);
    상기 바디 표면의 전체 또는 일부에 코팅되는 자외선차단층(200), 또는 기재필름과 상기 기재필름의 표면에 적층된 이형층과 자외선차단성 잉크를 상기 이형층 위에 무늬를 갖도록 그라비아 인쇄하여 형성된 전사층으로 이루어진 전사필름을 상기 바디(100) 표면에 전사하여 형성된 자외선차단층(200);
    을 포함하되,
    상기 재생수지펠릿에는 폐폴리스티렌이 30~50중량% 포함되며, 상기 재생수지펠릿의 나머지 부분은 ABS, HIPS(High Impact Poly Styrene), PE, PP계열의 열가소성 폐플라스틱이 포함되고,
    상기 자외선차단층(200)은,
    자외선차단층의 전체 중량부에 대해 우레탄아크릴레이트(urethane acrylate) 30~40중량부,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 diisocyanate) 5~10중량부,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Pentaerythritol Triacrylate) 20~25중량부,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20~30중량부, 메틸이소부틸케톤(methyl isobutylketone) 5~10중량부, 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dibutyltin dilaurate) 0.01~0.1중량부, 테트라에톡시실란(Tetraethoxy silane) 15~20중량부, 글리사이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glycidoxypropyl trimethoxy silane) 10~15 중량부, 산화안티몬, 산화주석, 텅스텐, 이산화티타늄 중에서 선택되는 무기계 자외선차단제 20~30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 에테르(polyoxyethylene alkyl ether) 0.1~0.4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사층은,
    전사층 전체 중량부에 대해 우레탄아크릴레이트(urethane acrylate) 30~40중량부,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 diisocyanate) 5~10중량부,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Pentaerythritol Triacrylate) 20~25중량부,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20~30중량부, 메틸이소부틸케톤(methyl isobutylketone) 5~10중량부, 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dibutyltin dilaurate) 0.01~0.1중량부, 테트라에톡시실란(Tetraethoxy silane) 15~20중량부, 글리사이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glycidoxypropyl trimethoxy silane) 10~15 중량부, 산화안티몬, 산화주석, 텅스텐, 이산화티타늄 중에서 선택되는 무기계 자외선차단제 20~30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 에테르(polyoxyethylene alkyl ether) 0.1~0.4중량부, 안료 7~20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경시설용 자재는 화분, 화단경계블록, 조경수 보호지지대, 울타리, 바닥재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친환경 조경시설용 자재.
  3. 삭제
  4.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압출 발포 성형된 조경 시설용 자재 제조방법에 있어서,
    열가소성 폐플라스틱으로 만든 재생수지펠릿을 압출발포하여 바디(100)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바디 표면의 전체 또는 일부에 코팅되는 자외선차단층(200)을 형성하거나, 또는 기재필름과 상기 기재필름의 표면에 적층된 이형층과 자외선차단성 잉크를 상기 이형층 위에 무늬를 갖도록 그라비아 인쇄하여 형성된 전사층으로 이루어진 전사필름을 상기 바디(100) 표면에 전사하여 형성된 자외선차단층(200)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재생수지펠릿에는 폐폴리스티렌이 30~50중량% 포함되며, 상기 재생수지펠릿의 나머지 부분은 ABS, HIPS(High Impact Poly Styrene), PE, PP계열의 열가소성 폐플라스틱이 포함되고,
    상기 자외선차단층(200)은,
    자외선차단층의 전체 중량부에 대해 우레탄아크릴레이트(urethane acrylate) 30~40중량부,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 diisocyanate) 5~10중량부,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Pentaerythritol Triacrylate) 20~25중량부,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20~30중량부, 메틸이소부틸케톤(methyl isobutylketone) 5~10중량부, 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dibutyltin dilaurate) 0.01~0.1중량부, 테트라에톡시실란(Tetraethoxy silane) 15~20중량부, 글리사이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glycidoxypropyl trimethoxy silane) 10~15 중량부, 산화안티몬, 산화주석, 텅스텐, 이산화티타늄 중에서 선택되는 무기계 자외선차단제 20~30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 에테르(polyoxyethylene alkyl ether) 0.1~0.4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사층은,
    전사층 전체 중량부에 대해 우레탄아크릴레이트(urethane acrylate) 30~40중량부,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 diisocyanate) 5~10중량부,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Pentaerythritol Triacrylate) 20~25중량부,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20~30중량부, 메틸이소부틸케톤(methyl isobutylketone) 5~10중량부, 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dibutyltin dilaurate) 0.01~0.1중량부, 테트라에톡시실란(Tetraethoxy silane) 15~20중량부, 글리사이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glycidoxypropyl trimethoxy silane) 10~15 중량부, 산화안티몬, 산화주석, 텅스텐, 이산화티타늄 중에서 선택되는 무기계 자외선차단제 20~30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 에테르(polyoxyethylene alkyl ether) 0.1~0.4중량부, 안료 7~20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경시설용 자재는 화분, 화단경계블록, 조경수 보호지지대, 울타리, 바닥재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친환경 조경시설용 자재 제조방법.
KR1020180080290A 2018-07-11 2018-07-11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친환경 조경시설용 자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985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290A KR101985542B1 (ko) 2018-07-11 2018-07-11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친환경 조경시설용 자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290A KR101985542B1 (ko) 2018-07-11 2018-07-11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친환경 조경시설용 자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5542B1 true KR101985542B1 (ko) 2019-06-03

Family

ID=66848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0290A KR101985542B1 (ko) 2018-07-11 2018-07-11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친환경 조경시설용 자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554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8359A (ko) 2022-03-23 2023-10-05 주식회사 엘지화학 Abs 재생 수지의 제조방법
KR20240042877A (ko) 2022-09-26 2024-04-02 주식회사 엘지화학 Abs 재생 수지의 제조방법
KR20240044734A (ko) 2022-09-29 2024-04-05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올레핀 재생 수지의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6601Y1 (ko) 2004-04-23 2004-07-19 범우건설엔지니어링(주) 조경용 화단 경계구조물
KR20070008310A (ko) * 2005-07-13 2007-01-17 주식회사 진영엘디엠 항곰팡이성을 가지는 건축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93303A (ko) * 2007-04-16 2008-10-21 강세근 재생 폴리에틸렌을 이용한 고발포 강화 판넬과 그 제조방법
KR20120034850A (ko) 2010-10-04 2012-04-13 곽성철 폐석재를 이용한 조경용 화단
KR101447280B1 (ko) * 2013-05-29 2014-10-08 대흥화학공업주식회사 단열성을 지닌 태양열차단 코팅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6601Y1 (ko) 2004-04-23 2004-07-19 범우건설엔지니어링(주) 조경용 화단 경계구조물
KR20070008310A (ko) * 2005-07-13 2007-01-17 주식회사 진영엘디엠 항곰팡이성을 가지는 건축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93303A (ko) * 2007-04-16 2008-10-21 강세근 재생 폴리에틸렌을 이용한 고발포 강화 판넬과 그 제조방법
KR20120034850A (ko) 2010-10-04 2012-04-13 곽성철 폐석재를 이용한 조경용 화단
KR101447280B1 (ko) * 2013-05-29 2014-10-08 대흥화학공업주식회사 단열성을 지닌 태양열차단 코팅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8359A (ko) 2022-03-23 2023-10-05 주식회사 엘지화학 Abs 재생 수지의 제조방법
KR20240042877A (ko) 2022-09-26 2024-04-02 주식회사 엘지화학 Abs 재생 수지의 제조방법
WO2024071600A1 (ko) 2022-09-26 2024-04-04 주식회사 엘지화학 Abs 재생 수지의 제조방법
KR20240044734A (ko) 2022-09-29 2024-04-05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올레핀 재생 수지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5542B1 (ko)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친환경 조경시설용 자재 및 그 제조방법
CN105899362B (zh) 装饰片和装饰板、以及它们的制造方法
CN103339188B (zh) 低光泽表层料
CA2974527C (en) Protective and decorative deck covering
CN105602441A (zh) 涂覆剂组合物及使用其的片材
CN102099186A (zh) 生物层压复合组件和相关方法
KR101187660B1 (ko) 친환경 고기능 무늬목 보드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친환경, 고기능 무늬목 보드
EP1664193B2 (de) Holz-kunststoff-compound
KR20190087591A (ko) 눈부심 방지 uv 경화성 코팅 조성물, 이의 적용 방법 및 이로 코팅된 기판
WO2016035078A1 (en) System and method for applying abrasion and weather resistant coating to profiles
CN108300277A (zh) 一种3d镭雕高柔韧性uv型pvd面漆
CN107418410A (zh) 低voc水性uv固化单层涂料组合物、涂覆方法和经其涂覆的基底
CN104015546A (zh) 一种工艺沙画及其制作方法
JP2004225456A (ja) 床材
CN103802416A (zh) 高光亮耐磨建材装饰膜及其生产方法
CN103396732A (zh) 一种pvc弹性镜面抗刮剂及应用其制备弹性镜面抗刮pvc薄膜的工艺
US9566607B2 (en) Surface appearance simulation systems and methods
CN103429654B (zh) 基于离聚物的低光泽表面料
CN109843825A (zh) 涂覆板和用于制造涂覆板的方法
KR102238771B1 (ko) 우수한 표면 질감을 갖는 데코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CA2830597C (en) Plastic protective and decorative panels having improved resistance to heat build
KR101109937B1 (ko)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WO2017062822A1 (en) Surface appearance simulation system and method
US20080070055A1 (en) Adhesive decorative pap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207484888U (zh) 一种具有耐磨防水效果的环保bspc地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