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5289B1 -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 - Google Patents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5289B1
KR101985289B1 KR1020190011594A KR20190011594A KR101985289B1 KR 101985289 B1 KR101985289 B1 KR 101985289B1 KR 1020190011594 A KR1020190011594 A KR 1020190011594A KR 20190011594 A KR20190011594 A KR 20190011594A KR 101985289 B1 KR101985289 B1 KR 101985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oon
pipe
gas
hole forming
city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1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금재
Original Assignee
이금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금재 filed Critical 이금재
Priority to KR1020190011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52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5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5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 F16L41/021T- or cross-pie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16L55/1011Soluble clos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16L55/1022Fluid cut-off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개시되는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이 메인 관 부재와, 분지 관 부재와,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와, 착탈식 막음 부재와, 이중 덮개 부재와, 한 쌍의 보강 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에 상기 착탈식 막음 부재 및 상기 이중 덮개 부재가 순차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가 이중으로 밀폐되고, 그에 따라 가스 누설없이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과 신규 도시가스 배관이 연결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Non-exposure gas branching T-type pipe unit for gas line construction}
본 발명은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에 관한 것이다.
신축 건물을 건설하는 등의 경우, 상기 신축 건물에 도시가스를 공급하기 위하여는, 지중에 매설된 상태의 피연결 대상인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에 연결 대상인 신규 도시가스 배관을 연결하는 공사를 수행해주어야 한다.
이러한 상기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에 상기 신규 도시가스 배관을 연결하기 위하여는, 상기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을 천공한 후 상기 신규 도시가스 배관과 연결해주어야 한다.
그러나, 아래 특허문헌에 제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도시가스 배관 관련된 특허문헌은 배관커버나 방범커버 등 그 커버에 대한 것이 대부분이고, 위와 같이 가스 누설없이 상기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과 상기 신규 도시가스 배관의 연결을 위한 구조물에 대한 것은 거의 제시된 바가 없다.
또한, 종래에는, 상기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에 연결 완료된 상기 신규 도시가스 배관에서 임의적인 가스 누설이 발생되는 경우, 이에 대한 대비책이 없는 실정이다.
공개특허 제 10-2013-0038678호, 등록일자: 2013.04.18., 발명의 명칭: 건축물 도시가스 배관용 방범커버
본 발명은 가스 누설없이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과 신규 도시가스 배관이 연결될 수 있는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에 연결 완료된 상기 신규 도시가스 배관에서 임의적인 가스 누설이 발생된 경우, 이러한 가스 누설이 차단될 수 있는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은 피연결 대상인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에 연결 대상인 신규 도시가스 배관을 연결하는 공사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에 연결되는 메인 관 부재; 상기 메인 관 부재에서 분지되어, 상기 신규 도시가스 배관에 연결되는 분지 관 부재; 상기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 중 상기 메인 관 부재와 연결된 부분에 가스 연통 홀을 형성하기 위한 연통 홀 형성 수단이 삽입되는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를 밀폐시킬 수 있는 착탈식 막음 부재; 상기 착탈식 막음 부재를 덮으면서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를 이중으로 밀폐시킬 수 있는 이중 덮개 부재; 상기 메인 관 부재와 상기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의 연결되는 모서리를 따라 둘러져서 고정됨으로써, 상기 메인 관 부재와 상기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의 고정 상태를 보강하는 한 쌍의 보강 링 부재; 상기 메인 관 부재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 관 부재의 내부에서 팽창되면서 상기 메인 관 부재의 내면과 전체적으로 접하여 상기 메인 관 부재의 내부를 밀폐시키거나, 상기 메인 관 부재의 내부에서 수축된 상태로 상기 메인 관 부재의 내부를 개방시킬 수 있는 벌룬 부재; 상기 벌룬 부재가 부풀어 오를 때, 상기 벌룬 부재가 상기 메인 관 부재의 내면과 접하는 부분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벌룬 부재와 함께 부풀어 오름으로써, 상기 벌룬 부재가 상기 메인 관 부재의 내면과 접하는 부분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벌룬 부재와 별도로 상기 메인 관 부재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이격 밀폐 확장 부재; 및 상기 벌룬 부재가 부풀어 오를 때, 상기 벌룬 부재의 내부에서 부풀어 오름으로써, 상기 벌룬 부재를 상기 메인 관 부재의 내면 쪽으로 밀어주는 내부 확장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에서 가스 누출이 없는 평상 시에는, 상기 벌룬 부재가 상기 메인 관 부재의 내부에서 수축된 상태가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메인 관 부재의 내부가 개방되어, 상기 가스가 상기 메인 관 부재를 따라 유동될 수 있고,
상기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에서 상기 가스 누출이 발생된 비상 시에는, 상기 벌룬 부재가 상기 메인 관 부재의 내부에서 팽창된 상태가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메인 관 부재의 내부가 밀폐되어, 상기 메인 관 부재에서의 상기 가스의 유동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에 의하면, 상기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이 메인 관 부재와, 분지 관 부재와,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와, 착탈식 막음 부재와, 이중 덮개 부재와, 한 쌍의 보강 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에 상기 착탈식 막음 부재 및 상기 이중 덮개 부재가 순차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가 이중으로 밀폐되고, 그에 따라 가스 누설없이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과 신규 도시가스 배관이 연결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의 분해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B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을 구성하는 벌룬 부재, 내부 확장 부재 및 이격 밀폐 확장 부재가 팽창된 모습을 보이는 확대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의 분해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부분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B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100)은 피연결 대상인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10)에 연결 대상인 신규 도시가스 배관(20)을 연결하는 공사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메인 관 부재(110)와, 분지 관 부재(115)와,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130)와, 착탈식 막음 부재(150)와, 이중 덮개 부재(170)와, 한 쌍의 보강 링 부재(105, 12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관 부재(110)는 상기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10)에 연결되는 것으로, 그 내부가 빈 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10)에 수직으로 세워지되, 상기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10)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다.
한 쌍의 상기 보강 링 부재(105, 120)는 상기 메인 관 부재(110)와 상기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10)의 연결되는 모서리를 따라 둘러져서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상기 메인 관 부재(110)와 상기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10)의 고정 상태를 보강하는 것이다.
한 쌍의 상기 보강 링 부재(105, 120) 중 하나(120)가 상기 메인 관 부재(110)와 상기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10)의 연결되는 모서리를 따라 고정된 상태에서, 한 쌍의 상기 보강 링 부재(105, 120) 중 다른 하나(105)가 한 쌍의 상기 보강 링 부재(105, 120) 중 하나(120)를 덮는 형태로 상기 메인 관 부재(110)와 상기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10)의 연결되는 모서리를 따라 고정됨으로써, 상기 메인 관 부재(110)와 상기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10)의 연결되는 모서리 부분이 이중으로 보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분지 관 부재(115)는 상기 메인 관 부재(110)에서 분지되어, 상기 신규 도시가스 배관(20)에 연결되는 것으로, 그 내부가 빈 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신규 도시가스 배관(20)에서 연장된 형태로 연결되되, 상기 신규 도시가스 배관(20)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130)는 상기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10) 중 상기 메인 관 부재(110)의 내부와 연결된 부분에 가스 연통 홀(111)을 형성하기 위한 연통 홀 형성 수단이 삽입되는 것으로, 홀 형성 수단 관통 몸체(131)와, 홀 형성 수단측 내부 연결 나사산(132)과, 홀 형성 수단측 테이퍼 경사홀 형성체(133)와, 링 대면체(134)와, 홀 형성 수단측 외부 연결 나사산(135)과, 홀 형성 수단측 돌출 걸림체(136)를 포함한다.
상기 연통 홀 형성 수단은 상기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10)을 천공할 수 있는 드릴의 드릴 팁으로 제시될 수 있고, 상기 연통 홀 형성 수단이 외부에서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130)와 상기 메인 관 부재(110)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10) 중 상기 메인 관 부재(110)의 내부에 위치된 부분을 천공함으로써, 상기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10) 중 상기 메인 관 부재(110)의 내부에 상기 가스 연통 천공홀(111)을 형성한다.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몸체(131)는 상기 메인 관 부재(110)의 상부에 형성되되 그 내부가 원형 단면으로 관통되어 상기 메인 관 부재(110)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것으로, 그 내부가 관통된 형태의 실린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홀 형성 수단측 내부 연결 나사산(132)은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몸체(131)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후술되는 막음 외벽 나사산(152)과 맞물리는 것이다.
상기 홀 형성 수단측 테이퍼 경사홀 형성체(133)는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몸체(131)의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메인 관 부재(110) 쪽으로부터 그 상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테이퍼 형태의 경사홀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링 대면체(134)는 상기 홀 형성 수단측 테이퍼 경사홀 형성체(133)의 상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후술되는 밀폐 링(155)과 맞물리는 것이다.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몸체(131)의 내부 하측에 상기 홀 형성 수단측 내부 연결 나사산(132)이 형성되고, 상기 홀 형성 수단측 내부 연결 나사산(132)의 상측에 상기 홀 형성 수단측 테이퍼 경사홀 형성체(133)가 형성되며, 상기 홀 형성 수단측 테이퍼 경사홀 형성체(133)의 상측에 상기 링 대면체(134)가 형성된다.
상기 홀 형성 수단측 외부 연결 나사산(135)은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몸체(131)의 외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후술되는 이중 덮개측 내부 연결 나사산(172)과 맞물리는 것이다.
상기 홀 형성 수단측 돌출 걸림체(136)는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몸체(131) 중 상기 홀 형성 수단측 외부 연결 나사산(135)의 하측에 형성되되 외측으로 일정 높이로 돌출된 띠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후술되는 이중 덮개 몸체(171)의 하단이 걸쳐지는 것이다.
상기 착탈식 막음 부재(150)는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130)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130)를 밀폐시킬 수 있는 것으로, 막음 몸체(151)와, 막음 외벽 나사산(152)과, 막음측 테이퍼 경사 삽입체(153)와, 외력 인가 연결 홀(154)과, 밀폐 링(155)을 포함한다.
상기 막음 몸체(151)는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몸체(131)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막음 외벽 나사산(152)은 상기 막음 몸체(151)의 외벽에 형성되어 상기 홀 형성 수단측 내부 연결 나사산(132)과 맞물리는 것이다.
상기 막음측 테이퍼 경사 삽입체(153)는 상기 막음 몸체(151)의 상부와 연결되되 상기 홀 형성 수단측 테이퍼 경사홀 형성체(133)에 삽입되도록 그 상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테이퍼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외력 인가 연결 홀(154)은 상기 막음측 테이퍼 경사 삽입체(153)의 상단의 중앙부에 함몰 형성되되 외력 인가를 위한 외력 인가 도구가 삽입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외력 인가 도구는 렌치 등으로 제시될 수 있다.
상기 밀폐 링(155)은 상기 막음측 테이퍼 경사 삽입체(153)의 상부 외곽을 따라 배치되고 고무 등 탄성을 가진 물질로 이루어져서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막음측 테이퍼 경사 삽입체(153)와 상기 링 대면체(134) 사이를 밀폐시키는 것이다.
상기 착탈식 막음 부재(150)가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130)에 삽입될 때, 상기 링 대면체(134)에 맞닿은 상기 밀폐 링(155)이 눌려서 변형되면서, 상기 착탈식 막음 부재(150)와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130) 사이를 밀폐시킨다.
상기 이중 덮개 부재(170)는 상기 착탈식 막음 부재(150)를 덮으면서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130)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130)를 이중으로 밀폐시킬 수 있는 것으로, 이중 덮개 몸체(171)와, 이중 덮개측 내부 연결 나사산(172)을 포함한다.
상기 이중 덮개 몸체(171)는 상기 착탈식 막음 부재(150)가 삽입된 상태의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130)를 덮을 수 있는 것으로, 원형 실린더 형태로 형성되되 그 하단으로부터 그 상측으로 원형 단면 형태로 일정 깊이 함몰된다.
상기 이중 덮개측 내부 연결 나사산(172)은 상기 이중 덮개 몸체(171)의 저면으로부터 함몰된 내면에 형성되되 상기 홀 형성 수단측 외부 연결 나사산(135)과 맞물리는 것이다.
상기 메인 관 부재(110)가 상기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10)과 용접 등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분지 관 부재(115)가 상기 신규 도시가스 배관(20)과 용접 등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착탈식 막음 부재(150) 및 상기 이중 덮개 부재(170)가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13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연통 홀 형성 수단이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130) 및 상기 메인 관 부재(110)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10) 중 상기 메인 관 부재(110)의 내부와 연결된 부분을 뚫어 상기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10), 상기 메인 관 부재(110), 상기 분지 관 부재(115) 및 상기 신규 도시가스 배관(20)이 서로 연통되도록 한 다음, 상기 연통 홀 형성 수단이 외부로 제거된다.
그러한 상태에서, 상기 막음 몸체(151)가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몸체(131)에 삽입되면서, 상기 막음 외벽 나사산(152)과 상기 홀 형성 수단측 내부 연결 나사산(132)이 맞물리고, 상기 막음측 테이퍼 경사 삽입체(153)와 상기 홀 형성 수단측 테이퍼 경사홀 형성체(133)가 서로 맞대어지고, 상기 밀폐 링(155)이 상기 링 대면체(134)에 맞대어지면서 탄성 변형되고, 그에 따라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130)와 상기 착탈식 막음 부재(150)가 결합되고,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130)와 상기 착탈식 막음 부재(150) 사이가 밀폐된다.
그러한 상태에서, 상기 착탈식 막음 부재(150)가 삽입되어 있는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130)를 상기 이중 덮개 몸체(171)가 덮으면서, 상기 이중 덮개측 내부 연결 나사산(172)과 상기 홀 형성 수단측 외부 연결 나사산(135)이 서로 맞물리고, 그에 따라 상기 착탈식 막음 부재(150)가 삽입되어 있는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130)에 상기 이중 덮개 부재(170)가 결합되고,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130)와 상기 이중 덮개 부재(170) 사이가 밀폐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100)이 상기 메인 관 부재(110)와, 상기 분지 관 부재(115)와,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130)와, 상기 착탈식 막음 부재(150)와, 상기 이중 덮개 부재(170)와, 한 쌍의 상기 보강 링 부재(105, 120)를 포함하고,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130)에 상기 착탈식 막음 부재(150) 및 상기 이중 덮개 부재(170)가 순차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130)가 이중으로 밀폐되고, 그에 따라 가스 누설없이 상기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10)과 상기 신규 도시가스 배관(20)이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을 구성하는 벌룬 부재, 내부 확장 부재 및 이격 밀폐 확장 부재가 팽창된 모습을 보이는 확대도이다.
도 4 및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은 벌룬 부재(290) 및 이격 밀폐 확장 부재(295)와 함께, 내부 확장 부재(291)를 더 포함한다.
상기 벌룬 부재(290)는 메인 관 부재(210)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 관 부재(210)의 내부에서 팽창되면서 상기 메인 관 부재(210)의 내면과 전체적으로 접하여 상기 메인 관 부재(210)의 내부를 밀폐시키거나, 상기 메인 관 부재(210)의 내부에서 수축된 상태로 상기 메인 관 부재(210)의 내부를 개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에서 가스 누출이 없는 평상 시에는, 상기 벌룬 부재(290)가 상기 메인 관 부재(210)의 내부에서 수축된 상태가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메인 관 부재(210)의 내부가 개방되어, 상기 가스가 상기 메인 관 부재(210)를 따라 유동될 수 있다.
반면, 상기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에서 가스 누출이 발생된 비상 시에는, 상기 벌룬 부재(290)가 상기 메인 관 부재(210)의 내부에서 팽창된 상태가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메인 관 부재(210)의 내부가 밀폐되어, 상기 메인 관 부재(210)에서의 상기 가스의 유동이 정지된다.
상기 벌룬 부재(290)는 탄성이 있는 물질, 예를 들어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외부에 대해 밀폐된 형태로 이루어져서 구(sphere) 형태로 부풀어 오르거나 수축될 수 있는 것이다.
도면 번호 206은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10)과 상기 벌룬 부재(290) 내부를 연통시키는 벌룬 팽창 배관이고, 도면 번호 207은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벌룬 팽창 배관(206)을 개폐시킬 수 있는 개폐 밸브이다.
상기 벌룬 팽창 배관(206)의 일 측 말단은 상기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10)과 연결되고, 상기 벌룬 팽창 배관(206)의 타 측 말단은 상기 벌룬 부재(290)의 내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벌룬 팽창 배관(206)의 내부에는 팽창용 가스 유동홀(208)이 형성되고, 상기 벌룬 팽창 배관(206) 중 상기 벌룬 부재(290)의 내부에 해당되는 부분에는 상기 팽창용 가스 유동홀(208)과 상기 벌룬 부재(290)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팽창용 가스 분출 노즐(209)이 복수 개 형성된다.
상기 평상 시에는, 상기 개폐 밸브(207)가 닫힌 상태여서, 상기 벌룬 팽창 배관(206)도 닫힌 상태이고, 상기 비상 시에는, 상기 개폐 밸브(207)가 열리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벌룬 팽창 배관(206)도 열리게 되어, 상기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10) 내부의 상기 가스 중 일부가 상기 벌룬 팽창 배관(206)의 상기 팽창용 가스 유동홀(208)을 통해 유동된 다음 상기 팽창용 가스 분출 노즐(209)을 통해 상기 벌룬 부재(290) 내부로 분출됨으로써, 상기 벌룬 부재(290)가 팽창되어, 상기 벌룬 부재(290)의 표면이 상기 메인 관 부재(210)의 내면과 접하면서, 상기 메인 관 부재(210)를 막게 된다.
상기 이격 밀폐 확장 부재(295)는 상기 벌룬 부재(290)가 부풀어 오를 때, 상기 벌룬 부재(290)가 상기 메인 관 부재(210)의 내면과 접하는 부분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벌룬 부재(290)와 함께 부풀어 오름으로써, 상기 벌룬 부재(290)가 상기 메인 관 부재(210)의 내면과 접하는 부분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벌룬 부재(290)와 별도로 상기 메인 관 부재(210)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이격 밀폐 확장 부재(295)는 전측 이격 밀폐 확장 벌룬(296)과, 후측 이격 밀폐 확장 벌룬(297)을 포함한다.
상기 전측 이격 밀폐 확장 벌룬(296)은 상기 벌룬 부재(290)의 표면 중 상기 벌룬 부재(290)가 최대로 부풀어 올랐을 때의 최고점으로부터 상기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10) 쪽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되, 상기 벌룬 부재(290)의 내부와 전측 연통 홀(298)을 통해 연통됨으로써, 상기 벌룬 부재(290)가 부풀어 오를 때 상기 벌룬 부재(290)의 내부로 공급되는 상기 가스 중의 일부가 상기 전측 연통 홀(298)을 통해 인입되어 상기 벌룬 부재(290)의 표면으로부터 별도로 부풀어 오를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전측 이격 밀폐 확장 벌룬(296)은 고무 재질 등 탄성이 있는 물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측 이격 밀폐 확장 벌룬(296)은 상기 벌룬 부재(290)의 표면 중 상기 벌룬 부재(290)가 최대로 부풀어 올랐을 때의 최고점으로부터 상기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10) 쪽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그 단면이 원형인 링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메인 관 부재(210)의 내부와 전체적으로 접하도록 부풀어 오를 수 있다.
상기 후측 이격 밀폐 확장 벌룬(297)은 상기 벌룬 부재(290)의 표면 중 상기 벌룬 부재(290)가 최대로 부풀어 올랐을 때의 최고점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되, 상기 벌룬 부재(290)가 최대로 부풀어 올랐을 때의 최고점을 기준으로 상기 전측 이격 밀폐 확장 벌룬(296)과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벌룬 부재(290)의 내부와 후측 연통 홀(299)을 통해 연통됨으로써, 상기 벌룬 부재(290)가 부풀어 오를 때 상기 벌룬 부재(290)의 내부로 공급되는 상기 가스 중의 일부가 상기 후측 연통 홀(299)을 통해 인입되어 상기 벌룬 부재(290)의 표면으로부터 별도로 부풀어 오를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후측 이격 밀폐 확장 벌룬(297)은 고무 재질 등 탄성이 있는 물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후측 이격 밀폐 확장 벌룬(297)은 상기 벌룬 부재(290)의 표면 중 상기 벌룬 부재(290)가 최대로 부풀어 올랐을 때의 최고점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그 단면이 원형인 링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메인 관 부재(210)의 내부와 전체적으로 접하도록 부풀어 오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스의 공급에 의해, 상기 전측 이격 밀폐 확장 벌룬(296), 상기 벌룬 부재(290) 및 상기 후측 이격 밀폐 확장 벌룬(297)이 각각 이격된 위치에서 독립적으로 상기 메인 관 부재(210)의 내면과 각각 전체적으로 접하면서 상기 메인 관 부재(210)의 내부를 복수 지점에서 밀폐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내부 확장 부재(291)는 상기 벌룬 부재(290)가 부풀어 오를 때, 상기 벌룬 부재(290)의 내부에서 부풀어 오름으로써, 상기 벌룬 부재(290)를 상기 메인 관 부재(210)의 내면 쪽으로 밀어주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내부 확장 부재(291)는 내부 벌룬체(292)와, 내부 벌룬 연결 배관(293)과, 탄성 부재(294)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 확장 부재(291)는 서로 이격된 복수 지점에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부 벌룬체(292)는 상기 벌룬 부재(29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벌룬 부재(290)의 내부에서 부풀어 오를 수 있도록 고무 재질 등 탄성이 있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내부 벌룬체(292)는 구(sphere) 형태로 부풀어 오를 수 있다.
상기 내부 벌룬 연결 배관(293)은 상기 내부 벌룬체(292)와 복수 개의 상기 팽창용 가스 분출 노즐(209) 중 하나를 연통시켜, 상기 팽창용 가스 분출 노즐(209)을 통해 분출되는 상기 가스를 상기 내부 벌룬체(292)로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탄성 부재(294)는 상기 내부 벌룬체(292)와 상기 벌룬 팽창 배관(206)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 벌룬체(292)가 부풀어 오를 때 압축되면서 그 복원력에 의해 상기 내부 벌룬체(292)를 상기 메인 관 부재(210)의 내면 쪽으로 밀어주는 것으로, 압축 스프링 등이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가스의 공급에 의해, 상기 벌룬 부재(290) 및 상기 내부 벌룬체(292)가 함께 부풀어 올라서, 상기 벌룬 부재(290)가 상기 메인 관 부재(210)의 내면에 전체적으로 접하고, 상기 내부 벌룬체(292)가 상기 벌룬 부재(290)의 내부에서 상기 벌룬 부재(290)를 밀어서 상기 벌룬 부재(290)가 상기 메인 관 부재(210)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하고, 상기 탄성 부재(294)가 압축되면서 그 복원력에 의해 상기 내부 벌룬체(292)를 상기 메인 관 부재(210)의 내면 쪽으로 밀어줌으로써 상기 벌룬 부재(290)가 상기 메인 관 부재(210)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내부 벌룬체(292)가 구 형태로 부풀어 오르는 것으로 제시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고, 상기 내부 벌룬체(292)는 원형 단면을 가진 링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벌룬 부재(290)의 내면과 전체적으로 접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상기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10)에 연결 완료된 신규 도시가스 배관과 상기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에서 임의적인 가스 누설이 발생된 경우, 이러한 가스 누설이 차단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에 의하면, 가스 누설없이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과 신규 도시가스 배관이 연결될 수 있고, 상기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에 연결 완료된 상기 신규 도시가스 배관에서 임의적인 가스 누설이 발생된 경우, 이러한 가스 누설이 차단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00 :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
110 : 메인 관 부재
105, 120 : 보강 링 부재

Claims (2)

  1. 피연결 대상인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에 연결 대상인 신규 도시가스 배관을 연결하는 공사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에 연결되는 메인 관 부재;
    상기 메인 관 부재에서 분지되어, 상기 신규 도시가스 배관에 연결되는 분지 관 부재;
    상기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 중 상기 메인 관 부재와 연결된 부분에 가스 연통 홀을 형성하기 위한 연통 홀 형성 수단이 삽입되는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를 밀폐시킬 수 있는 착탈식 막음 부재;
    상기 착탈식 막음 부재를 덮으면서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를 이중으로 밀폐시킬 수 있는 이중 덮개 부재;
    상기 메인 관 부재와 상기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의 연결되는 모서리를 따라 둘러져서 고정됨으로써, 상기 메인 관 부재와 상기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의 고정 상태를 보강하는 한 쌍의 보강 링 부재;
    상기 메인 관 부재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 관 부재의 내부에서 팽창되면서 상기 메인 관 부재의 내면과 전체적으로 접하여 상기 메인 관 부재의 내부를 밀폐시키거나, 상기 메인 관 부재의 내부에서 수축된 상태로 상기 메인 관 부재의 내부를 개방시킬 수 있는 벌룬 부재;
    상기 벌룬 부재가 부풀어 오를 때, 상기 벌룬 부재가 상기 메인 관 부재의 내면과 접하는 부분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벌룬 부재와 함께 부풀어 오름으로써, 상기 벌룬 부재가 상기 메인 관 부재의 내면과 접하는 부분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벌룬 부재와 별도로 상기 메인 관 부재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이격 밀폐 확장 부재; 및
    상기 벌룬 부재가 부풀어 오를 때, 상기 벌룬 부재의 내부에서 부풀어 오름으로써, 상기 벌룬 부재를 상기 메인 관 부재의 내면 쪽으로 밀어주는 내부 확장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에서 가스 누출이 없는 평상 시에는, 상기 벌룬 부재가 상기 메인 관 부재의 내부에서 수축된 상태가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메인 관 부재의 내부가 개방되어, 상기 가스가 상기 메인 관 부재를 따라 유동될 수 있고,
    상기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에서 상기 가스 누출이 발생된 비상 시에는, 상기 벌룬 부재가 상기 메인 관 부재의 내부에서 팽창된 상태가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메인 관 부재의 내부가 밀폐되어, 상기 메인 관 부재에서의 상기 가스의 유동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
  2. 삭제
KR1020190011594A 2019-01-30 2019-01-30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 KR101985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594A KR101985289B1 (ko) 2019-01-30 2019-01-30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594A KR101985289B1 (ko) 2019-01-30 2019-01-30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5289B1 true KR101985289B1 (ko) 2019-06-03

Family

ID=66848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1594A KR101985289B1 (ko) 2019-01-30 2019-01-30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528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8678A (ko) 2011-10-10 2013-04-18 홍중근 건축물 도시가스 배관용 방범커버
KR101927458B1 (ko) * 2018-09-27 2018-12-10 위드건설 주식회사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8678A (ko) 2011-10-10 2013-04-18 홍중근 건축물 도시가스 배관용 방범커버
KR101927458B1 (ko) * 2018-09-27 2018-12-10 위드건설 주식회사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90343B2 (ja) 持ち運び可能な詰替え式スプレーボトル
US8006868B2 (en) Dispenser cap for pressurised fluids
US6164314A (en) Oversized air valve for use with inflatable devices and method
US5061253A (en) Fluid-communicating device with valve function
KR101107409B1 (ko) 압력패키지시스템
US7481329B2 (en) Trash receptacle having a depressurization apparatus
US20190381528A1 (en) Pump type liquid airtight container
CN102046488A (zh) 用于容器的封闭装置
JP2018016349A (ja) 吐出キャップ
KR101985289B1 (ko)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
EP4309557A3 (en) Vacuum cleaner filter cartridge
CN105065684A (zh) 预作用式阀门
US7431047B2 (en) Device for underpressure-activated dispensing of fluids
KR101927458B1 (ko)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
KR101618122B1 (ko) 공기 유입 차단이 가능한 튜브용기
KR200373343Y1 (ko) 공압식 패커
KR100849536B1 (ko) 진공펌프가 일체로 형성된 밀폐 용기
EP0227049A2 (en) Single stage aerosol pressurization grommet
JPH02104372A (ja) 使用時連通具
KR101825008B1 (ko) 형상지지 튜브용기
KR101513113B1 (ko) 누출 방지용 용기뚜껑
KR200255230Y1 (ko) 소리를 발생시키는 진공보존용기의 공기유출입밸브
US20050098757A1 (en) Leak-proof gate valve
JP2017106493A (ja) バルブ装置およびポンプ装置
JP3231899U (ja) 手動式空気ポンプ付き軟質樹脂製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