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7458B1 -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 - Google Patents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7458B1
KR101927458B1 KR1020180114949A KR20180114949A KR101927458B1 KR 101927458 B1 KR101927458 B1 KR 101927458B1 KR 1020180114949 A KR1020180114949 A KR 1020180114949A KR 20180114949 A KR20180114949 A KR 20180114949A KR 101927458 B1 KR101927458 B1 KR 101927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ing means
hole forming
hole
city gas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4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금재
Original Assignee
위드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드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드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4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74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7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7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16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the branch pipe comprising fluid cut-off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16L55/11Plugs
    • F16L55/1108Plugs fixed by screwing or by means of a screw-threaded 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16L55/115Caps
    • F16L55/1152Caps fixed by screwing or by means of a screw-threaded 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00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 G01M1/14Determining imbal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04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by using materials which expand, contract, disintegrate, or decompose in contact with a fl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peline Systems (AREA)

Abstract

개시되는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이 메인 관 부재와, 분지 관 부재와,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와, 착탈식 막음 부재와, 이중 덮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에 상기 착탈식 막음 부재 및 상기 이중 덮개 부재가 순차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가 이중으로 밀폐되고, 그에 따라 가스 누설없이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과 신규 도시가스 배관이 연결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Non-exposure gas branching T-type pipe unit for gas line construction}
본 발명은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에 관한 것이다.
신축 건물을 건설하는 등의 경우, 상기 신축 건물에 도시가스를 공급하기 위하여는, 지중에 매설된 상태의 피연결 대상인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에 연결 대상인 신규 도시가스 배관을 연결하는 공사를 수행해주어야 한다.
이러한 상기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에 상기 신규 도시가스 배관을 연결하기 위하여는, 상기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을 천공한 후 상기 신규 도시가스 배관과 연결해주어야 한다.
그러나, 아래 특허문헌들에 제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도시가스 배관 관련된 특허문헌들은 배관커버나 방범커버 등 그 커버에 대한 것이 대부분이고, 위와 같이 가스 누설없이 상기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과 상기 신규 도시가스 배관의 연결을 위한 구조물에 대한 것은 거의 제시된 바가 없다.
등록실용신안 제 20-0175026호, 등록일자: 2000.01.05., 고안의 명칭: 도난방지용 도시가스배관커버 공개특허 제 10-2013-0038678호, 등록일자: 2013.04.18., 발명의 명칭: 건축물 도시가스 배관용 방범커버
본 발명은 가스 누설없이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과 신규 도시가스 배관이 연결될 수 있는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은 피연결 대상인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에 연결 대상인 신규 도시가스 배관을 연결하는 공사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에 연결되는 메인 관 부재; 상기 메인 관 부재에서 분지되어, 상기 신규 도시가스 배관에 연결되는 분지 관 부재; 상기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 중 상기 메인 관 부재와 연결된 부분에 가스 연통 홀을 형성하기 위한 연통 홀 형성 수단이 삽입되는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를 밀폐시킬 수 있는 착탈식 막음 부재; 및 상기 착탈식 막음 부재를 덮으면서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를 이중으로 밀폐시킬 수 있는 이중 덮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관 부재가 상기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과 연결되고, 상기 분지 관 부재가 상기 신규 도시가스 배관과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연통 홀 형성 수단이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 및 상기 메인 관 부재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 중 상기 메인 관 부재와 연결된 부분을 뚫어 상기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 상기 메인 관 부재, 상기 분지 관 부재 및 상기 신규 도시가스 배관이 서로 연통되도록 하고, 그러한 상태에서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에 상기 착탈식 막음 부재 및 상기 이중 덮개 부재가 순차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가 이중으로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에 의하면,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이 메인 관 부재와, 분지 관 부재와,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와, 착탈식 막음 부재와, 이중 덮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에 상기 착탈식 막음 부재 및 상기 이중 덮개 부재가 순차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가 이중으로 밀폐되고, 그에 따라 가스 누설없이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과 신규 도시가스 배관이 연결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의 분해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의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B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에서 변형 부재가 부풀어오른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에서 변형 부재 상에 균형 감지 부재가 올려진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변형 부재가 부풀어올라서 균형 감지 부재가 기울어진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을 구성하는 균형 감지 부재의 내부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C부분에 대한 확대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의 분해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부분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의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B부분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에서 변형 부재가 부풀어오른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100)은 피연결 대상인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10)에 연결 대상인 신규 도시가스 배관(20)을 연결하는 공사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메인 관 부재(110)와, 분지 관 부재(115)와,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130)와, 착탈식 막음 부재(150)와, 이중 덮개 부재(17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관 부재(110)는 상기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10)에 연결되는 것으로, 그 내부가 빈 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10)에 수직으로 세워지되, 상기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10)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다.
도면 번호 120은 상기 메인 관 부재(110)와 상기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10)의 연결되는 모서리를 따라 둘러져서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상기 메인 관 부재(110)와 상기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10)의 고정 상태를 보강하는 보강 링 부재이다.
상기 분지 관 부재(115)는 상기 메인 관 부재(110)에서 분지되어, 상기 신규 도시가스 배관(20)에 연결되는 것으로, 그 내부가 빈 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신규 도시가스 배관(20)에서 연장된 형태로 연결되되, 상기 신규 도시가스 배관(20)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130)는 상기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10) 중 상기 메인 관 부재(110)의 내부와 연결된 부분에 가스 연통 홀(111)을 형성하기 위한 연통 홀 형성 수단이 삽입되는 것으로, 홀 형성 수단 관통 몸체(131)와, 홀 형성 수단측 내부 연결 나사산(132)과, 홀 형성 수단측 테이퍼 경사홀 형성체(133)와, 링 대면체(134)와, 홀 형성 수단측 외부 연결 나사산(135)과, 홀 형성 수단측 돌출 걸림체(136)를 포함한다.
상기 연통 홀 형성 수단은 상기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10)을 천공할 수 있는 드릴의 드릴 팁으로 제시될 수 있고, 상기 연통 홀 형성 수단이 외부에서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130)와 상기 메인 관 부재(110)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10) 중 상기 메인 관 부재(110)의 내부에 위치된 부분을 천공함으로써, 상기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10) 중 상기 메인 관 부재(110)의 내부에 상기 가스 연통 천공홀(111)을 형성한다.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몸체(131)는 상기 메인 관 부재(110)의 상부에 형성되되 그 내부가 원형 단면으로 관통되어 상기 메인 관 부재(110)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것으로, 그 내부가 관통된 형태의 실린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홀 형성 수단측 내부 연결 나사산(132)은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몸체(131)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후술되는 막음 외벽 나사산(152)과 맞물리는 것이다.
상기 홀 형성 수단측 테이퍼 경사홀 형성체(133)는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몸체(131)의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메인 관 부재(110) 쪽으로부터 그 상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테이퍼 형태의 경사홀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링 대면체(134)는 상기 홀 형성 수단측 테이퍼 경사홀 형성체(133)의 상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후술되는 밀폐 링(155)과 맞물리는 것이다.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몸체(131)의 내부 하측에 상기 홀 형성 수단측 내부 연결 나사산(132)이 형성되고, 상기 홀 형성 수단측 내부 연결 나사산(132)의 상측에 상기 홀 형성 수단측 테이퍼 경사홀 형성체(133)가 형성되며, 상기 홀 형성 수단측 테이퍼 경사홀 형성체(133)의 상측에 상기 링 대면체(134)가 형성된다.
상기 홀 형성 수단측 외부 연결 나사산(135)은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몸체(131)의 외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후술되는 이중 덮개측 내부 연결 나사산(172)과 맞물리는 것이다.
상기 홀 형성 수단측 돌출 걸림체(136)는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몸체(131) 중 상기 홀 형성 수단측 외부 연결 나사산(135)의 하측에 형성되되 외측으로 일정 높이로 돌출된 띠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후술되는 이중 덮개 몸체(171)의 하단이 걸쳐지는 것이다.
상기 착탈식 막음 부재(150)는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130)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130)를 밀폐시킬 수 있는 것으로, 막음 몸체(151)와, 막음 외벽 나사산(152)과, 막음측 테이퍼 경사 삽입체(153)와, 외력 인가 연결 홀(154)과, 밀폐 링(155)을 포함한다.
상기 막음 몸체(151)는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몸체(131)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막음 외벽 나사산(152)은 상기 막음 몸체(151)의 외벽에 형성되어 상기 홀 형성 수단측 내부 연결 나사산(132)과 맞물리는 것이다.
상기 막음측 테이퍼 경사 삽입체(153)는 상기 막음 몸체(151)의 상부와 연결되되 상기 홀 형성 수단측 테이퍼 경사홀 형성체(133)에 삽입되도록 그 상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테이퍼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외력 인가 연결 홀(154)은 상기 막음측 테이퍼 경사 삽입체(153)의 상단의 중앙부에 함몰 형성되되 외력 인가를 위한 외력 인가 도구가 삽입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외력 인가 도구는 렌치 등으로 제시될 수 있다.
상기 밀폐 링(155)은 상기 막음측 테이퍼 경사 삽입체(153)의 상부 외곽을 따라 배치되고 고무 등 탄성을 가진 물질로 이루어져서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막음측 테이퍼 경사 삽입체(153)와 상기 링 대면체(134) 사이를 밀폐시키는 것이다.
상기 착탈식 막음 부재(150)가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130)에 삽입될 때, 상기 링 대면체(134)에 맞닿은 상기 밀폐 링(155)이 눌려서 변형되면서, 상기 착탈식 막음 부재(150)와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130) 사이를 밀폐시킨다.
상기 이중 덮개 부재(170)는 상기 착탈식 막음 부재(150)를 덮으면서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130)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130)를 이중으로 밀폐시킬 수 있는 것으로, 이중 덮개 몸체(171)와, 이중 덮개측 내부 연결 나사산(172)과, 탄성 변형체(173)와, 몸체측 관통홀(174)과, 변형체측 변형홀(175)을 포함한다.
상기 이중 덮개 몸체(171)는 상기 착탈식 막음 부재(150)가 삽입된 상태의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130)를 덮을 수 있는 것으로, 원형 실린더 형태로 형성되되 그 하단으로부터 그 상측으로 원형 단면 형태로 일정 깊이 함몰된다.
상기 이중 덮개측 내부 연결 나사산(172)은 상기 이중 덮개 몸체(171)의 저면으로부터 함몰된 내면에 형성되되 상기 홀 형성 수단측 외부 연결 나사산(135)과 맞물리는 것이다.
상기 탄성 변형체(173)는 상기 이중 덮개 몸체(171)의 상단을 전체적으로 덮되 고무 등 탄성을 가진 물질로 이루어져서 탄성 변형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몸체측 관통홀(174)은 상기 이중 덮개 몸체(171)의 상부를 관통하는 것으로, 상기 이중 덮개 몸체(171)의 함몰된 내부와 상기 이중 덮개 몸체(171)의 외부인 후술되는 상기 변형체측 변형홀(175)을 연통시키는 것이다.
상기 변형체측 변형홀(175)은 상기 몸체측 관통홀(174)과 연통되도록 상기 탄성 변형체(173)의 저면 일부가 그 상측으로 함몰된 홀 형태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착탈식 막음 부재(150)와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130) 사이로 누설되어 상기 이중 덮개 몸체(171)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가스가 상기 몸체측 관통홀(174)을 통해 상기 변형체측 변형홀(175)로 유입되면, 상기 가스의 압력에 의해 상기 변형체측 변형홀(175)이 부풀어오르면서 탄성 변형되고, 그에 따라 외부에서 상기 가스의 누출이 시각적으로 인지될 수 있다.
상기 메인 관 부재(110)가 상기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10)과 용접 등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분지 관 부재(115)가 상기 신규 도시가스 배관(20)과 용접 등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착탈식 막음 부재(150) 및 상기 이중 덮개 부재(170)가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13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연통 홀 형성 수단이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130) 및 상기 메인 관 부재(110)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10) 중 상기 메인 관 부재(110)의 내부와 연결된 부분을 뚫어 상기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10), 상기 메인 관 부재(110), 상기 분지 관 부재(115) 및 상기 신규 도시가스 배관(20)이 서로 연통되도록 한 다음, 상기 연통 홀 형성 수단이 외부로 제거된다.
그러한 상태에서, 상기 막음 몸체(151)가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몸체(131)에 삽입되면서, 상기 막음 외벽 나사산(152)과 상기 홀 형성 수단측 내부 연결 나사산(132)이 맞물리고, 상기 막음측 테이퍼 경사 삽입체(153)와 상기 홀 형성 수단측 테이퍼 경사홀 형성체(133)가 서로 맞대어지고, 상기 밀폐 링(155)이 상기 링 대면체(134)에 맞대어지면서 탄성 변형되고, 그에 따라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130)와 상기 착탈식 막음 부재(150)가 결합되고,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130)와 상기 착탈식 막음 부재(150) 사이가 밀폐된다.
그러한 상태에서, 상기 착탈식 막음 부재(150)가 삽입되어 있는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130)를 상기 이중 덮개 몸체(171)가 덮으면서, 상기 이중 덮개측 내부 연결 나사산(172)과 상기 홀 형성 수단측 외부 연결 나사산(135)이 서로 맞물리고, 그에 따라 상기 착탈식 막음 부재(150)가 삽입되어 있는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130)에 상기 이중 덮개 부재(170)가 결합되고,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130)와 상기 이중 덮개 부재(170) 사이가 밀폐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100)이 상기 메인 관 부재(110)와, 상기 분지 관 부재(115)와,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130)와, 상기 착탈식 막음 부재(150)와, 상기 이중 덮개 부재(170)를 포함하고,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130)에 상기 착탈식 막음 부재(150) 및 상기 이중 덮개 부재(170)가 순차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130)가 이중으로 밀폐되고, 그에 따라 가스 누설없이 상기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10)과 상기 신규 도시가스 배관(20)이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에서 변형 부재 상에 균형 감지 부재가 올려진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변형 부재가 부풀어올라서 균형 감지 부재가 기울어진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을 구성하는 균형 감지 부재의 내부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C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6 내지 도 9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은 탄성 변형체(273)의 상단에 배치되어, 상기 탄성 변형체(273)의 변형에 따른 수직도를 감지하는 균형 감지 부재(290)를 더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균형 감지 부재(290)는 상기 탄성 변형체(273)의 상단에 부착되고 그 내부가 빈 원형 실린더 형태로 형성되는 균형 감지 부재 케이스(291)와, 상기 균형 감지 부재 케이스(291) 내부의 상단에서 그 하측으로 돌출되는 회동 연결부(292)와, 상기 회동 연결부(292)에 회동 가능하게 걸려 중력 방향으로 향하도록 회동될 수 있는 회동체(293)와, 상기 회동체(293)의 말단부에 배치되는 영구 자석인 회동 마그넷(294)과, 상기 균형 감지 부재 케이스(291)의 내부의 저면에 배치되어 상기 회동체(293)에 매달려 회동되는 상기 회동 마그넷(294)의 자력 변화를 감지하는 균형 감지 홀 센서(296)와, 상기 균형 감지 부재 케이스(291)의 각 내측면의 각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회동체(293)에 매달려 회동되는 상기 회동 마그넷(294)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는 압력 감지 센서 등의 균형 감지 접촉 센서(295)를 포함한다.
상기 회동체(293)와 상기 회동 마그넷(294)은 자중에 의해 상기 회동 연결부(292)에 연결된 상태로 항상 중력 방향을 향하게 된다.
감지 효과를 증진하기 위하여, 상기 균형 감지 홀 센서(296)는 상기 균형 감지 부재 케이스(291)의 내부의 저면 상의 중앙과 그 양 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세 개 이상으로 설치된다.
착탈식 막음 부재와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 사이로 가스 미누설의 정상적인 상태여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 변형체(273)가 정상적인 자세를 유지하는 동안에는, 상기 회동 마그넷(294)은 상기 균형 감지 홀 센서(296) 중 중앙의 것에 의해 감지되는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다가, 상기 착탈식 막음 부재와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 사이로 가스 누설이 발생된 비정상적인 상태여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 변형체(273)의 상기 변형체측 변형홀 부분이 부풀어올라서 상기 탄성 변형체(273)가 임의로 기울어지기 시작하면, 상기 탄성 변형체(273)의 기울어지는 정도만큼 상기 회동체(293)가 중력에 의해 회동되면서 상기 회동 마그넷(294)의 위치가 변동됨에 따라 상기 균형 감지 홀 센서(296)에 의해 감지되는 자력이 변화됨으로써, 상기 탄성 변형체(273)의 기울어지기 시작함이 감지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변형체(273)가 최대값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회동 마그넷(294)의 위치 변동에 따른 자력 변화 최대값이 상기 균형 감지 홀 센서(296)에 의해 감지됨과 함께, 상기 회동 마그넷(294)이 상기 균형 감지 접촉 센서(295)와 접촉됨으로써, 상기 탄성 변형체(273)의 최대 기울어짐이 감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가스 누출에 따른 상기 탄성 변형체(273)의 변형이 상기 균형 감지 부재(290)에 의해 외부에서 신속하게 육안으로 감지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동 연결부(292)는 상기 균형 감지 부재 케이스(291)의 상단면으로부터 그 하방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는 회동 연결 몸체(297)와, 상기 회동 연결 몸체(297)의 저면으로부터 그 상방으로 일정 깊이 함몰 형성되는 회동 연결 홈(298)과, 상기 회동체(293)의 상단에 연결되는 구 형태의 것으로 상기 회동 연결 홈(298)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동구체(293a)와, 상기 회동 연결 몸체(297)의 각 내면에서 상기 회동 연결 홈(298) 내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상기 회동 연결 홈(298)에 삽입된 상기 회동구체(293a)가 걸리도록 하는 구체 걸림 돌기(299)를 포함한다.
상기 구체 걸림 돌기(299)는 상기 회동 연결 몸체(297)의 서로 다른 높이 상에 복수 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복수 개의 상기 구체 걸림 돌기(299) 중 최상측의 것에 상기 회동구체(293a)가 걸린 상태로 상기 회동체(293)가 중력 방향을 향하게 회동되다가, 상기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이 낙하되는 등 상기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에 중력 방향으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그러한 충격에 의해 상기 회동구체(293a)가 복수 개의 상기 구체 걸림 돌기(299) 중 최상측의 것에서 이탈되어 복수 개의 상기 구체 걸림 돌기(299) 중 상기 최상측의 것 바로 아래의 것으로 하강되어 걸리게 되고, 이러한 상기 회동구체(293a)의 낙하로 인해 상기 회동체(293) 및 상기 회동 마그넷(294)도 함께 낙하되고, 그에 따라 상기 회동 마그넷(294)과 상기 균형 감지 홀 센서(296)가 상대적으로 더 근접되면서 상기와 같은 상기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에 중력 방향으로 가해진 충격이 감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상기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에 중력 방향으로 가해진 충격이 신속하게 감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에 의하면, 가스 누설없이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과 신규 도시가스 배관이 연결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00 :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
110 : 메인 관 부재
115 : 분지 관 부재
130 :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
150 : 착탈식 막음 부재
170 : 이중 덮개 부재

Claims (3)

  1. 피연결 대상인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에 연결 대상인 신규 도시가스 배관을 연결하는 공사에 적용되는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으로서,
    상기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에 연결되는 메인 관 부재; 상기 메인 관 부재에서 분지되어, 상기 신규 도시가스 배관에 연결되는 분지 관 부재; 상기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 중 상기 메인 관 부재와 연결된 부분에 가스 연통 홀을 형성하기 위한 연통 홀 형성 수단이 삽입되는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를 밀폐시킬 수 있는 착탈식 막음 부재; 및 상기 착탈식 막음 부재를 덮으면서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를 이중으로 밀폐시킬 수 있는 이중 덮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관 부재가 상기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과 연결되고, 상기 분지 관 부재가 상기 신규 도시가스 배관과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연통 홀 형성 수단이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 및 상기 메인 관 부재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 중 상기 메인 관 부재와 연결된 부분을 뚫어 상기 기설치 도시가스 배관, 상기 메인 관 부재, 상기 분지 관 부재 및 상기 신규 도시가스 배관이 서로 연통되도록 하고, 그러한 상태에서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에 상기 착탈식 막음 부재 및 상기 이중 덮개 부재가 순차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가 이중으로 밀폐되고,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는 상기 메인 관 부재의 상부에 형성되되 상기 메인 관 부재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홀 형성 수단 관통 몸체와,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홀 형성 수단측 내부 연결 나사산과,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메인 관 부재 쪽으로부터 그 상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테이퍼 형태의 경사홀을 형성하는 홀 형성 수단측 테이퍼 경사홀 형성체와, 상기 홀 형성 수단측 테이퍼 경사홀 형성체의 상측에 형성되는 링 대면체와,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몸체의 외부에 형성되는 홀 형성 수단측 외부 연결 나사산과,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몸체 중 상기 홀 형성 수단측 외부 연결 나사산의 하측에 형성되되 외측으로 일정 높이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홀 형성 수단측 돌출 걸림체를 포함하고,
    상기 착탈식 막음 부재는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몸체에 삽입되는 막음 몸체와, 상기 막음 몸체의 외벽에 형성되어 상기 홀 형성 수단측 내부 연결 나사산과 맞물리는 막음 외벽 나사산과, 상기 막음 몸체와 연결되되 상기 홀 형성 수단측 테이퍼 경사홀 형성체에 삽입되도록 그 상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테이퍼 형태로 형성되는 막음측 테이퍼 경사 삽입체와, 상기 막음측 테이퍼 경사 삽입체의 상단에 함몰 형성되되 외력 인가를 위한 외력 인가 도구가 삽입되는 외력 인가 연결 홀과, 상기 막음측 테이퍼 경사 삽입체의 상부 외곽을 따라 배치되어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막음측 테이퍼 경사 삽입체와 상기 링 대면체 사이를 밀폐시키는 밀폐 링을 포함하고,
    상기 이중 덮개 부재는 상기 착탈식 막음 부재가 삽입된 상태의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를 덮을 수 있는 이중 덮개 몸체와, 상기 이중 덮개 몸체의 내면에 형성되되 상기 홀 형성 수단측 외부 연결 나사산과 맞물리는 이중 덮개측 내부 연결 나사산과, 상기 이중 덮개 몸체의 상단을 덮되 탄성을 가진 물질로 이루어져서 탄성 변형될 수 있는 탄성 변형체와, 상기 이중 덮개 몸체의 상부를 관통하는 몸체측 관통홀과, 상기 몸체측 관통홀과 연통되도록 상기 탄성 변형체의 일부가 그 상측으로 함몰된 홀 형태로 형성된 변형체측 변형홀을 포함하고,
    상기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은 상기 탄성 변형체의 상단에 배치되어, 상기 탄성 변형체의 변형에 따른 수직도를 감지하는 균형 감지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균형 감지 부재는 상기 탄성 변형체의 상단에 부착되고 그 내부가 빈 원형 실린더 형태로 형성되는 균형 감지 부재 케이스와, 상기 균형 감지 부재 케이스의 내부의 상단에서 그 하측으로 돌출되는 회동 연결부와, 상기 회동 연결부에 회동 가능하게 걸려 중력 방향으로 향하도록 회동될 수 있는 회동체와, 상기 회동체의 말단부에 배치되는 영구 자석인 회동 마그넷과, 상기 균형 감지 부재 케이스의 내부의 저면에 배치되어 상기 회동체에 매달려 회동되는 상기 회동 마그넷의 자력 변화를 감지하는 균형 감지 홀 센서와, 상기 균형 감지 부재 케이스의 각 내측면의 각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회동체에 매달려 회동되는 상기 회동 마그넷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는 균형 감지 접촉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체와 상기 회동 마그넷은 자중에 의해 상기 회동 연결부에 연결된 상태로 항상 중력 방향을 향하게 되고, 상기 균형 감지 홀 센서는 상기 균형 감지 부재 케이스의 내부의 저면 상의 중앙과 그 양 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복수 개 설치되고, 상기 착탈식 막음 부재와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 사이로 가스 미누설의 정상적인 상태여서, 상기 탄성 변형체가 정상적인 자세를 유지하는 동안에는, 상기 회동 마그넷은 상기 균형 감지 홀 센서 중 중앙의 것에 의해 감지되는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착탈식 막음 부재와 상기 홀 형성 수단 관통 부재 사이로 가스 누설이 발생된 비정상적인 상태여서, 상기 탄성 변형체의 상기 변형체측 변형홀 부분이 부풀어올라서 상기 탄성 변형체가 임의로 기울어지기 시작하면, 상기 탄성 변형체의 기울어지는 정도만큼 상기 회동체가 중력에 의해 회동되면서 상기 회동 마그넷의 위치가 변동됨에 따라 상기 균형 감지 홀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자력이 변화됨으로써, 상기 탄성 변형체의 기울어지기 시작함이 감지될 수 있고, 상기 탄성 변형체가 최대값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회동 마그넷의 위치 변동에 따른 자력 변화 최대값이 상기 균형 감지 홀 센서에 의해 감지됨과 함께, 상기 회동 마그넷이 상기 균형 감지 접촉 센서와 접촉됨으로써, 상기 탄성 변형체의 최대 기울어짐이 감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
  2. 삭제
  3. 삭제
KR1020180114949A 2018-09-27 2018-09-27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 KR101927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4949A KR101927458B1 (ko) 2018-09-27 2018-09-27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4949A KR101927458B1 (ko) 2018-09-27 2018-09-27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7458B1 true KR101927458B1 (ko) 2018-12-10

Family

ID=64670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4949A KR101927458B1 (ko) 2018-09-27 2018-09-27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74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5289B1 (ko) * 2019-01-30 2019-06-03 이금재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
GB2601797A (en) * 2020-12-10 2022-06-15 Hp1 Tech Limited A cap for sensing one or more conditions within a pip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047B1 (ko) * 2009-03-03 2011-06-13 추창오 유체홀 밀폐마개
JP2014196759A (ja) * 2013-03-29 2014-10-16 クボタシーアイ株式会社 分岐サドル継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047B1 (ko) * 2009-03-03 2011-06-13 추창오 유체홀 밀폐마개
JP2014196759A (ja) * 2013-03-29 2014-10-16 クボタシーアイ株式会社 分岐サドル継手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5289B1 (ko) * 2019-01-30 2019-06-03 이금재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
GB2601797A (en) * 2020-12-10 2022-06-15 Hp1 Tech Limited A cap for sensing one or more conditions within a pip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7458B1 (ko)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
MX2013002447A (es) Sistemas y metodos para monitorear un parametro de una formacion subterranea utilizando materiales hinchables.
CN111699299B (zh) 用于检测管道吊架的降落的系统
WO2001018440A3 (en) Tube fitting
CN106197899B (zh) 密封检测装置
US9632512B2 (en) Well containment device
CA2880049C (en) Fluid release mechanism for a chemically-inflatable bag
JPS6323100A (ja) 貯蔵施設およびその耐漏洩性監視方法
US20200048974A1 (en) Fluid release mechanism for a chemically-inflatable bag
KR101532741B1 (ko) 기밀 및 수밀 탐지기능이 구비된 접속관
US10450818B2 (en) Fluid release mechanism for a chemically-inflatable bag
US7350243B2 (en) Closet flange with knockout
JP3975437B2 (ja) 高圧気体貯蔵施設
US4183246A (en) Insulation presence sensing probe
US10317208B2 (en) Tilt sensor
KR101985289B1 (ko) 도시가스 배관 공사용 무노출 가스 분기 티형 관 유닛
CN108119086A (zh) 接口转换装置
WO2005031205A3 (en) Radial penetrator assembly and method
CN109681145A (zh) 油管悬挂设备
CN211777486U (zh) 管幕端头的水平控制装置
CN216383077U (zh) 一种智能企口式复合管
JP6577225B2 (ja) バルブ用開度計と開度計付き仕切弁
GB2454222A (en) Flush Control Assembly
JP3434404B2 (ja) 屋外排水管と排水桝との接続構造
BR202021016377U2 (pt) Conexão para grauteamento e vedação entre tubulação e alvenar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