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5085B1 - 전동렌치 및 체결방법 - Google Patents

전동렌치 및 체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5085B1
KR101985085B1 KR1020170096925A KR20170096925A KR101985085B1 KR 101985085 B1 KR101985085 B1 KR 101985085B1 KR 1020170096925 A KR1020170096925 A KR 1020170096925A KR 20170096925 A KR20170096925 A KR 20170096925A KR 101985085 B1 KR101985085 B1 KR 101985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bolt
unit
shaft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6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3023A (ko
Inventor
이현주
나환선
박동수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70096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5085B1/ko
Publication of KR20190013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3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5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5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14Arrangement of torque limiters or torque indicators in wrenches or screwdrivers
    • B25B23/147Arrangement of torque limiters or torque indicators in wrenches or screwdriver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ally operated wrenches or screwdr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1/00Portable power-driven 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tools; Attachments for drilling apparatus serving the same purpose

Abstract

본 발명은, 볼트에 너트를 체결하는 전동렌치에 관한 것으로서, 볼트의 헤드에 의해 지지된 볼트의 축을, 헤드에서 멀어지는 방향인 제1 방향으로 당기기 위해 회전하는 제1 회전부, 볼트의 축에 끼워진 너트를 회전시켜 볼트에 체결시키기 위해 회전하는 제2 회전부 및 제1 회전부와 제2 회전부의 회전을 위해, 제1 회전부와 제2 회전부에, 발생시킨 토크를 개별적으로 전달하는 토크 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동렌치 및 체결방법{Electric Wrench and Fastening Method}
본 발명은 전동렌치 및 체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볼트와 너트의 체결 시, 너트에 가해지는 체결토크와, 볼트의 축에 작용하는 축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식은 T=K*D*N(T:체결토크 K:토크계수, D:볼트지름, N:축력)이다.
볼트와 너트를 체결하기 위하여, 체결토크를 결정해야 하나, 작업자가 시공 상태에 따라 체결토크를 결정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는, 토크계수의 변화에 따라, 체결토크를 다르게 해줘야 하며, 토크계수는 외부 환경적인 요인 등에 의해 값이 달라지게 되며, 토크계수의 변화에 따라, 축력도 달라진다.
일예로, 토크계수는 잠그려고 하는 볼트의 자리면과 나사 표면의 저항, 접촉면의 상태일 수 있으며, 토크계수에 따라 축력은 달라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사 표면에 윤활제를 도포하면 토크계수는 낮아지고 축력을 얻기 위한 체결토크는 낮아질 수 있다.
이는, 체결토크를 기준으로 전동렌치를 구동시킬 시, 축력의 최적화된 체결이 어려우며, 체결토크를 가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축력 변동이 큰 체결토크를 기준으로 한 체결법이 아닌, 축력을 기준으로 볼트 및 너트를 체결할 수 있는 장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축력 변동이 큰 체결토크를 기준으로 한 체결이 아닌, 볼트의 축에 작용하는 볼트축력을 기준으로 하여 볼트 및 너트가 체결되는 전동렌치 및 체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볼트축력을 목표축력에 도달시키기 위하여 볼트의 축을 당겨, 목표축력에 맞춘 후, 볼트 및 너트를 체결시킴으로써, 보다 최적화된 조립이 가능한 전동렌치 및 체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볼트의 축의 직경에 따른, 목표축력이 설정됨으로써, 최적화된 조립이 가능한 전동렌치 및 체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사용자가 볼트축력을 정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전동렌치 및 체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볼트에 너트를 체결하는 전동렌치에 관한 것으로서, 볼트의 헤드에 의해 지지된 볼트의 축을, 헤드에서 멀어지는 방향인 제1 방향으로 당기기 위해 회전하는 제1 회전부, 볼트의 축에 끼워진 너트를 회전시켜 볼트에 체결시키기 위해 회전하는 제2 회전부 및 제1 회전부와 제2 회전부의 회전을 위해 제1 회전부와 제2 회전부에, 발생시킨 토크를 개별적으로 전달하는 토크 발생부를 포함한다.
외부 환경적인 요인 등에 의해 달라지는 체결토크를 기준으로 한 체결이 아닌, 볼트축력을 기준으로 볼트 및 너트가 체결될 수 있어, 보다 최적화된 조립이 가능하다.
또한, 볼트축력을 목표축력에 도달시키기 위하여 볼트의 축을 당겨, 목표축력에 맞도록 볼트 및 너트를 체결시킴으로써, 체결토크를 상시 가변해줘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볼트의 축의 직경에 따른, 목표축력이 설정됨으로써, 최적화된 조립이 가능하다.
또한, 볼트축력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어, 정량적으로 체결이 잘되었는지에 대한 확인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볼트 및 너트와 분리된 전동렌치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볼트 및 너트와 결합된 전동렌치의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방법의 블럭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선을 기준으로, 볼트의 축을 제1 방향으로 연장시키기 위한, 유성기어 유닛의 구동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은 도 4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A-A'선을 기준으로, 볼트의 축에 너트 체결을 위한, 유성기어 유닛의 구동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2의 A-A'선을 기준으로, 볼트의 축과 전동렌치를 분리시키기 위한, 유성기어 유닛의 구동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반적으로, 볼트와 너트를 체결하기 위하여, 체결토크를 결정해야 하나, 작업자가 시공 상태에 따라 체결토크를 결정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는, 토크계수의 변화에 따라, 체결토크를 다르게 해줘야 하며, 토크계수는 외부 환경적인 요인 등에 의해 값이 달라지게 되며, 토크계수의 변화에 따라, 볼트축력이 달라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볼트의 축에 작용하는 볼트축력의 변동이 큰 체결토크를 기준으로 한 체결법이 아닌, 볼트축력을 목표축력에 도달시켜, 볼트 및 너트가 최적화된 조립상태로 체결될 수 있는 전동렌치 및 체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볼트 및 너트와 분리된 전동렌치의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볼트 및 너트와 결합된 전동렌치의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방법의 블록도이다. 먼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1)의 축(2)에 너트(3)를 체결하는 전동렌치(700)는 후술할 제2 회전부(200)에 너트(3)가 삽입될 수 있다. 부재(4)에 볼트(1) 및 너트(3)를 체결하기 위하여, 볼트(1)의 축(2)에 너트(3)를 끼운 후, 너트(3)를 제2 회전부(200)가 회전시켜, 볼트(1) 및 너트(3)를 체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너트에 가해지는 체결토크만으로는 볼트 및 너트의 체결상태를 정확히 판단할 수 없다.
이에, 볼트의 축에 작용하는 볼트축력을 기준으로 볼트 및 너트가 체결되었는지를 인지하기 위하여,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렌치(700)는 제1 회전부(100), 제2 회전부(200), 토크 발생부(30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부(100)는 볼트(1)의 축(2)에 작용하는 볼트축력을 기설정된 목표축력에 도달시키기 위하여, 제1 회전부(100)는 볼트(1)의 헤드(6)에 의해 지지된 볼트(1)의 축(2)을, 헤드(6)에서 멀어지는 방향인 제1 방향으로 당기기 위하여 회전할 수 있다. 제1 회전부(100)의 회전동작은 후술하기로 한다.
축(2)에 작용하는 볼트축력이, 제1 방향으로 당겨짐으로써 목표축력에 도달하면, 제2 회전부(200)는 볼트(1)의 축(2)에 끼워진 너트(3)를 회전시켜, 볼트(1)에 너트(3)를 체결시킬 수 있다.
토크 발생부(300)는 제1 회전부(100)와, 제2 회전부(200)의 회전을 위해, 제1 회전부(100) 및 제2 회전부(200)에 토크를 개별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토크 발생부(300)가 토크를 개별적으로 전달하는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렌치(700)는 토크 발생부(300)를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제1 회전부(100)가 회전하여 볼트(1)의 축(2)을 제1 방향으로 당기도록 토크 발생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축(2)에 작용하는 볼트축력이 기설정된 목표축력에 도달할 때까지, 축(2)을 제1 방향으로 당기도록 토크 발생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기설정된 목표축력을 제공받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렌치(700)는 입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미도시)는 볼트(1)의 축(2)의 직경을 제어부(600)에 제공할 수 있으며, 제어부(600)는, 입력부(미도시)에서 입력받은 직경에 기초하여, 목표축력을 설정할 수 있다. 일예로, 볼트(1)의 직경이 M16일 경우, 목표축력은 110~133kN의 범위일 수 있으며, 볼트(1)의 직경이 M20일 경우, 목표축력은 172~207kN의 범위일 수 있으며, M22일 경우, 목표축력은 212~256kN의 범위일 수 있으며, M24일 경우, 목표축력은 247~298kN의 범위일 수 있으며, M27일 경우, 목표축력은 322~388kN의 범위일 수 있으며, M30일 경우, 목표축력은 394~474KN의 범위일 수 있다.
일예로, 제어부(600)는 목표축력은 직경별 중간값으로 초기 설정 될 수 있으며, 목표축력을 가감시키기 위하여, 목표축력을 설정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일예로, 제어부(600)는 동절기, 하절기, 장마 등에 따라, 목표축력을 가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입력부(미도시)에서 입력받은 직경에 기초하여, 목표축력을 설정하는 구성뿐만 아니라, 입력부(미도시) 자체에서, 볼트의 직경에 기초한 목표축력을 설정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제어부(600)는 볼트축력이 목표축력에 도달하면, 제1 회전부(100)가 정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제1 회전부(100)가 정지될 시, 제1 방향으로 당겨진 볼트(1)의 축(2)에 너트(3)를 체결시키기 위하여, 제2 회전부(200)가 회전하도록 토크 발생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제어부(600)는 너트(3)가 볼트(1)에 체결된 것을 직경별 최소 토크로인지할 수 있으며 제어부(600)는 토크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직경별 최소토크는 볼트(1)의 직경이 M16일 경우, 213Nm 일 수 있으며, M20일 경우, 최소토크는416Nm 일 수 있으며, M22일 경우, 최소토크는 566Nm 일 수 있으며, M24일 경우, 최소토크는 719Nm 일 수 있으며, M27일 경우, 최소토크는 1054Nm 일 수 있으며, M30일 경우, 최소토크는 1432Nm일 수 있다.
제어부(600)는, 볼트(1) 및 너트(3)가 체결되면, 제2 회전부(200)가 정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볼트(1) 및 너트(3)의 체결이 완료되면, 제어부(600)는 제1 회전부(100)가, 축(2)을 당길 때의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축(2)에서 분리되도록 토크 발생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축(2)을 당기는 제어, 볼트(1) 및 너트(3) 체결하는 제어, 볼트(1)의 축(2)으로부터 전동렌치(700)를 분리하는 제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렌치(700)는 하우징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하우징부(500)는 제1 회전부(100), 제2 회전부(200) 및 토크 발생부(300)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토크 발생부(300)는 제1 회전부(100) 및 제2 회전부(200)의 토크를 개별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선기어(303), 캐리어(301), 유성기어(302), 링기어(308)를 구비하는 유성기어 유닛(3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부(100)는 캐리어(301)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회전부(100)는 제1 몸체(105)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제1 몸체(105)의 제1 방향 측의 말단부는 캐리어(301)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캐리어(301)의 회전에 따라 같이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몸체(105)의, 제1 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 방향 측의 말단부는 볼트(1)의 축(2)을 향해 개구된 제1-1 중공(102)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1 중공(102)의 내주면은 축(2)의 나사산(5)에 맞물리는 나사산(10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1 중공(102)은 축(2)의 직경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몸체(105)는 축(2)의 직경에 따라, 교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캐리어(301)에 제1 몸체(105)는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덮개(405)에 제1 몸체(105)는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1 중공(102)에 의해 정의되는 내주면은, 축(2)의 나사산(5)에 맞물리게 구성됨으로써, 제1 회전부(100)가 회전 시, 볼트(1)의 축(2)을, 헤드(6)로부터 멀어지는 제1 방향으로 인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회전부(200)는 링기어(308)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회전부(200)는 제2 몸체(205)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제2 몸체(205)의 제1 방향 측의 말단부는 링기어(308)에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링기어(308)의 회전에 따라 제2 몸체(205)는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링기어(308)는 하우징부(500)의 내면을 둘러싸게 배치될 수 있다. 링기어(308)는 하우징부(500)의 내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링기어(308)의 내측은, 제2 몸체(205)의 제1 방향 측의 말단부까지 연장되어, 제2 몸체(205)에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몸체(205)는 제1 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 방향 측의 말단부에서 너트(3)를 향해 개구되는 제2-1 중공(201)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하우징부(500)의 제2 방향 측의 말단부는 제3-1중공(501)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3-1중공(501)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은 제3-2 중공(502)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3-1중공(501)보다, 제3-2 중공(502)의 직경이 보다 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3-2중공(502)에는 제어부(600), 제1 회전부(100), 후술할 측정부(400), 토크 발생부(300)가 수용될 수 있으며, 제3-1중공(501)에는 제2 회전부(200)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몸체(205)의 너트(3)를 향해 개구되는 제2-1 중공(201)을 형성할 수 있다. 제2-1 중공(201)에 의해 정의되는 내주면은 너트(3)의 외주면에 맞물리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1 중공(201)에는 너트(3)가 맞물리게 배치될 수 있다.
제2-1 중공(201)의 내주면에 맞물린 너트(3)는 제2 회전부(200)가 회전하게 됨으로써, 볼트(1)의 축(2)에 끼워진 너트(3)를 회전시켜, 볼트(1) 및 너트(3)를 결합시킬 수 있다. 제2-1 중공(201)을 형성한 외면은 제3-1 중공(501)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몸체(205)는 제1 방향 측의 말단부에서 개구되어, 제1 회전부(100)의 적어도 일부가 제2 몸체(205)에 간섭되지 않게 수용되는 제2-2 중공(202)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몸체(205)는 제2-1 중공(201)과, 제2-2 중공(202)을 구획하는 구획판(20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일예로, 제3-1중공(501)에서, 제3-2 중공(502)의 연장된 부분에 의하여, 턱이 형성될 수 있으며, 턱이 형성된 부위에 구획판(203)이 배치될 수 있다. 구획판(203)은 직경이 보다 작게 형성된 제3-1중공(501)에 의하여, 제2 방향의 이동이 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부(500)의 제3-2 중공(502)의 제2 방향 측의 말단부에 제1 몸체(105)는 지지된 상태에서, 내주면의 나사산(101)이 축(2)의 나사산(5)에 맞물리게 회전하여 축(2)을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구획판(203)은 제1 방향으로 돌출되는 축(2)의 말단부가 통과되는 통과홀(204)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획판(203)은 제3-1중공(501)에서, 제3-2 중공(502)의 연장된 부분에 의한, 턱에 지지됨으로써, 통과홀(204)을 축(2) 방향과 일직선상이 되도록 배치시킬 수 있다.
일예로 구획판(203)은 하우징부(500)의 내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하우징부(500)의 내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된 링기어(308)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몸체(205)는 축(2)의 직경에 따라, 교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링기어(308)에 제2 몸체(205)는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제2 몸체(205)의 제2-1 중공(201)의 내주면은 너트(3)의 형상, 직경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링기어(308)는 제2 몸체(205)는 제1 방향 측의 말단부 측에 의하여 단차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링기어(308)의 내측은 제2 몸체(205)의 제1 방향 측의 말단부 및 제2-2중공(202)을 형성한 외면, 구획판(203)의 제1 방향을 향한 부위와 결합될 수 있으며, 링기어(308)는 회전력을 제2 몸체(205)에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링기어(308)의 내측과 접촉되는 제2 몸체(205)의 제1 방향 측의 말단부 및 제2-2중공(202)을 형성한 외면, 구획판(203)의 제1 방향을 향한 부위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링기어(308)에 의해 마련되는 내부공간에, 제2 몸체(205)와 캐리어(301) 사이에 제1 회전부(100)가 마련될 수 있다.
제2-2 중공(202)에는 제1 회전부(100)가 수용될 수 있으며, 제1 회전부(100)는 통과홀(204)에 의해 통과된 축(2)을 제1-1 중공(102)과의 맞물림에 의하여, 축(2)을 제1 방향으로 당기거나, 축(2)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제1 회전부(100) 및 제2 회전부(200)의 토크를 개별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전술한 캐리어(301)와, 링기어(308)는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토크 발생부는 모터(307), 회전축(306), 베벨기어(305), 동력전달기어(304), 유성기어 유닛(320)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성기어 유닛(320)은 선기어(303), 캐리어(301), 유성기어(302), 링기어(308)를 구비할 수 있다.
모터(307)는 토크 발생부(300)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터(307)의 축에는 회전축(306)이 연결될 수 있으며, 회전축(306)은 제1 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베벨기어(305)는 회전축(306)의 말단에 구비될 수 있으며, 회전축(306)의 회전에 의하여, 베벨기어(305)는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베벨기어(305)는 회전축(306)의 길이방향을 축방향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동력전달기어(304)는 베벨기어(305)에 맞물려서, 제1 방향을 축방향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동력전달기어(304)는 선기어(303)에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자신의 회전으로, 선기어(303)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동력전달기어(304)는 선기어(303)의 제1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유성기어(302)는 복수 개 배치될 수 있으며, 선기어(303)의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유성기어(302)는 선기어(303)의 잇수와 맞물리게 배치될 수 있다.
캐리어(301)는 선기어(303)의 제2 방향에 배치될 수 있으며, 캐리어(301)는 복수 개의 유성기어(302)의 축에 연결될 수 있다. 캐리어(301)가 유성기어(302)의 축에 연결된 구조뿐만 아니라, 유성기어(302)의 축이 캐리어(301)에 연장된 구성 또한 가능하다.
캐리어(301)는 제1 회전부(100)와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개의 유성기어(302)의 외측에 링기어(308)가 배치될 수 있으며, 링기어(308)는 복수 개의 유성기어(302)의 잇수와 맞물리게 배치될 수 있다.
일예로, 링기어(308)는 역회전 시, 너트(3)를 볼트(1)에 체결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정회전 시, 너트(3)를 볼트(1)로부터 분리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토크 발생부(300)가 제1 회전부(100) 및 제2 회전부(200)에 별개의 토크를 전달하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회전부(100) 및 제2 회전부(200)에 별개의 토크를 전달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렌치(700)는 클러치(3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클러치(321)는 링기어(308)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클러치(321)는 유압구동에 의하여, 실린더가 제1 방향 제2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린더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시, 링기어(308)를 가압할 수 있으며, 링기어(308)는 클러치(321)에 의하여, 회전을 멈춘 고정상태로 구성될 수 있다.
실린더는 제1 방향으로 이동 시, 링기어(308)는 다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600)는 볼트(1)의 축(2)에 결합된 너트(3)의 회전이 불필요하다 생각되면, 클러치(321)를 작동시켜, 제2 회전부(200)를 고정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입력부(미도시)로부터 목표축력을 제공받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후술할, 로드셀(403)로부터의 볼트축력을 제공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600)는 목표축력과, 볼트축력을 비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1)의 축(2)에 발생하는 볼트축력을 기준으로 한 볼트(1) 및 너트(3)를 체결하기 위하여, 먼저, 볼트(1)의 축(2)에 작용하는 볼트축력을 기설정된 목표축력과 비교할 수 있다(S810).
제어부(600)는 볼트축력이 목표축력에 도달하지 못하다고 판단하면, 볼트축력을 목표축력에 대응시키도록, 볼트(1)의 축(2)을 인장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S820).
도 4는 도 2의 A-A'선을 기준으로, 볼트의 축을 제1 방향으로 연장시키기 위한, 유성기어 유닛의 구동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정면도이다.
도 2 및 도 4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600)는 축(2)을 제1 방향으로 연장시키기 위하여, 제어부(600)는 축(2)의 나사산(5)에 맞물린 제1 회전부(100) 역회전(-), 링기어가 직접 혹은 간접으로 연결된 제2 회전부(200) 고정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2 회전부(200)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도 2 에 도시된 클러치(321)는 링기어(308)를 가압하여, 링기어(308)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정회전(+)이라 함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 것일 수 있으며, 역회전(-)이라 함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일 수 있으며, 정지는 회전하지 않는 상태일 수 있다.
링기어(308)는 고정되고, 선기어(303)는 역회전(-), 유성기어(302)는 정회전(+)하면서, 유성기어(302)는 선기어(303)의 외면을 따라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캐리어(301)는 유성기어(302)를 따라 선기어(303)와 대응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링기어(308)가 정지 시, 선기어(303)와 유성기어(302)는 서로 반대되게 회전될 수 있으며, 링기어(308)의 회전 시, 선기어(303)와 캐리어(301)는 서로 대응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예로, 선기어(303)가 역회전(-)시, 선기어(303)의 잇수에 맞물리게 배치된 유성기어(302)는 역회전(-)하여, 링기어(308)를 역회전(-)시킬 수 있으나, 링기어(308)가 정지됨으로써, 선기어(303)와 유성기어(302)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일예로, 제어부(600)는 모터(307), 베벨기어(305), 동력전달기어(304)는 선기어(302)를 역회전(-)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링기어(308)는 고정시킬 수 있다.
링기어(308)가 정지됨으로써, 유성기어(302)는 선기어(303)와 반대방향인 정회전(+)을 하여, 선기어(303) 및 링기어(308) 사이에 맞물리게 회전할 수 있다.
캐리어(301)는 선기어(303) 회전방향에 대응되게 회전할 수 있으며, 캐리어(301)와 직접 혹은 간접으로 연결된, 도 2에 도시된 제1 회전부(100)는 캐리어(301)에 대응된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제1 회전부(100)에 개구된 제1-1 중공(102)의 내주면에 맞물린 축(2)은 회전하여, 제1 방향으로 당겨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도 2의 A-A'선을 기준으로, 볼트의 축에 너트 체결을 위한, 유성기어 유닛의 구동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정면도이다.
도 2 내지 3 및 도 6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1)의 축(2)에 작용하는 볼트축력이 인장으로 인해 목표축력에 도달하면, 볼트(1)와 너트(3)를 체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S830).
제어부(600)는 축(2)에 너트(3)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제2 회전부(200)와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연결된 링기어(308)를 정회전(+)시킬 수 있으며, 캐리어(301)는 고정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600)는 캐리어(301) 고정, 링기어(308)를 역회전(-)시키기 위하여, 선기어(303)를 정회전(+)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선기어(303)와 맞물린 유성기어(302)는 역회전(-)하면서, 링기어(308)를 역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캐리어(301)가 고정일 시, 링기어(308)를 역회전(-)시킬 경우, 선기어(303)는 정회전(+)하도록 구동될 수 있으며, 선기어(303)와 맞물린 유성기어(302)는 역회전(-)하면서, 링기어(308)를 역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기어(308)의 내측은 제2 몸체(205)의 제1 방향 측의 말단부 및 제2-2중공(202)을 형성한 외면, 구획판(203)의 제1 방향을 향한 부위와 결합될 수 있으며, 링기어(308)는 회전력을 제2 몸체(205)에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1 중공(201)에는 너트(3)가 맞물리게 배치될 수 있으며, 링기어(308)의 역회전(-)에 따라, 제2-1 중공(201)의 내주면에 맞물린 너트(3)는 역회전(-)함으로써, 볼트(1)에 결합될 수 있다.
일예로, 링기어(308)는 역회전하여, 볼트(1)에 체결된 너트(3)를 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볼트(1) 및 너트(3)가 결합되도록, 제어부(600)는 모터(307), 베벨기어(305), 동력전달기어(304), 선기어(303)를 정회전(+)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캐리어(301)를 고정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캐리어(301)의 고정에 의하여, 유성기어(302)는 선기어(303)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링기어(308)를 역회전(-)시킴으로써, 볼트(1) 및 너트(3)는 결합될 수 있다.
도 8은 도 2의 A-A'선을 기준으로, 볼트의 축과 전동렌치를 분리시키기 위한, 유성기어 유닛의 구동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정면도이다.
도 2 내지 3 및 도 8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600)는 볼트(1) 및 너트(3) 체결이 완료되었음을 감지하면, 제어부(600)는 축(2)과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연결된 선기어(303)를 정회전(+)시키고, 링기어(308)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링기어(308)는 고정되고, 선기어(303)는 정회전(+), 유성기어(302)는 역회전(-)하면서, 유성기어(302)는 선기어(303)의 외면을 따라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캐리어(301)는 유성기어(302)를 따라 선기어(303)와 대응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제어부(600)는 모터(307), 베벨기어(305), 동력전달기어(304)는 선기어(302)를 정회전(+)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링기어(308)는 고정시킬 수 있다.
캐리어(301)는 선기어(303)의 회전에 대응되게 회전하여, 캐리어(301)에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연결된 제1 회전부(100)는 정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회전부(100)는 정회전을 하여, 제1-1 중공(102)의 내주면과 맞물린 축(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제1 회전부(100)가 정회전하여 축(2)과 분리될 경우, 전동렌치(700)를 제1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제2 회전부(200)의 제2-1 중공(201)의 내주면에 배치된 너트(3)와 분리될 수 있다. 볼트(1)의 축(2)에 너트(3)가 체결된 채로, 전동렌치(700)는 축(2) 및 너트(3)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4,6,8의 링기어(308)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길이가 짧은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가 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6,8의 링기어(308)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향 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제2 회전부(20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몸체(105)가 축을 제1 방향으로 당길 시, 축에 작용하는 볼트축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렌치(700)는 측정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측정부(400)는 제1 회전부(10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측정부(400)는 제1 회전부(100)가 축을 제1 방향으로 당김에 따라 가압될 수 있으며, 가압의 정도에 기초하여, 볼트축력을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측정부(400)는 연결축(401), 가압판(402), 로드셀(40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연결축(401)의 일단은 제1 몸체(105)의, 제1 방향 측의 말단부에서 개구되는 제1-1 중공(103)에 삽입될 수 있다. 연결축(401)은 제1 몸체(105)에 고정되고, 연결축(401)의 타단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결축(401)은 유성기어 유닛(320)의 중심을 관통하여, 유성기어 유닛(320)에서 제1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 연결축(401)과, 유성기어(302)는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결축(401)의 타단에는 제1 방향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가압판(402)이 배치될 수 있다.
로드셀(403)은 가압판(402)과 마주하게 배치되어, 가압판(402)의 가압에 의하여, 축(2)에 작용하는 볼트축력을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로드셀(403)은 가압판(402)의 양면 중에서, 제2 방향을 향하는 면에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로드셀(403)은 제1 몸체(105)가 축을 제1 방향으로 당김에 따라, 가압판(402)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로드셀(403)에 하중을 보다 잘 전달하기 위하여, 하우징부(500)에는 돌출부(510)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510)는 제1 방향에 수직된 방향으로 하우징부(500) 내측으로부터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돌출부(510)는 연결축(401)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축(401)과 간섭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돌출부(510)는 토크 발생부(300)와 로드셀(403)을 분리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압판(402)이 로드셀(403)을 가압할 시, 로드셀(403)은 돌출부(510) 및 가압판(402) 사이에 개재될 수 있으며, 돌출부(510)에 의하여, 로드셀(403)이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돌출부(510)는 로드셀(403)의 제2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510)는 가압판(402)이 로드셀(403)을 가압하면, 가압판(402)으로부터 받는 가압력을 로드셀(403)에 전달시키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제1 몸체(105)가 축을 제1 방향으로 당기는 힘에 의한, 반작용으로 제1 몸체(105)는 제2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1 몸체(105)가 제2 방향으로 이동 시, 연결축(401)의 이동을 전달시키기 위하여, 측정부(400)는 고정판(40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판(404)은 연결축(401)의 일단에서 제1 방향에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고정판(404)은 제1-1 중공(103)에 삽입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회전부(100)는 덮개(4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덮개(405)는 제1 몸체(105)의 제1 방향 측의 말단부에 고정되어 제1-1 중공(103)을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회전부(100)의 제1-1 중공(103)은 연결축(401)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덮개(405)는 고정판(404)의 통과는 허용하지 않는 크기의 관통홀(407)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정판(404)은 제1-1 중공(103)에 삽입된 상태에서, 덮개(405)에 의하여, 제1 방향으로 이동이 저지될 수 있다. 관통홀(407)에는 연결축(401)이 관통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관통홀(407)은 고정판(404)이 제1 방향으로 이동 시, 통과를 허용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결축(401)에는 베어링(480)이 결합될 수 있다. 베어링(480)은 고정판(404)과 관통홀(407)과 인접한 덮개(40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베어링(490)에 의하여, 연결축(401)은 제1 회전부(100)에 결속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제1 방향 혹은 제2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1 몸체(105)가 축을 제1 방향으로 당기는 힘에 의한, 반작용으로 제1 몸체(105)는 제2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고정판(404) 및 덮개(405)의 결속에 의하여, 가압판(402)은 로드셀(403)을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로드셀(403)은 가압력에 의하여 볼트축력을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로드셀(403)에 한정하지 않고, 볼트축력을 측정하는 센서이면 모두 만족하다.
일예로, 링기어(308)는 제1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턱(311)이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돌출턱(311)은 연결축(401)을 향해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돌출턱(311)은 캐리어(301)와 덮개(40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예로, 돌출턱(311)은 덮개의 제1 방향 측의 말단부의 일부를 가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돌출턱(311)에 의하여, 제1 회전부(100), 덮개(405)는 제 1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상의 이동은 저지될 수 있다.
일예로, 돌출턱(311)에서, 돌출부(510)까지의 거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301), 유성기어(302), 동력전달기어(304), 베벨기어(305)의 순의 결합에 대응된 거리로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입력부(미도시)로부터 목표축력을 제공받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로드셀(403)로부터의 볼트축력을 제공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600)는 목표축력과, 볼트축력을 비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600)는 볼트축력이 목표축력 미만에 해당된다고 판단하면, 캐리어(301)와 제1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연결된 회전부(100)를 회전시켜, 축(2)을 제1 방향으로 이동시켜, 볼트축력을, 목표축력에 도달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볼트축력이 목표축력 이상에 해당된다고 판단하면, 제1 회전부(100)의 회전을 멈추고, 링기어(308)와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연결된 제2 회전부(200)를 회전시켜, 축에 너트(3)를 결합시키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볼트(1) 및 너트(3) 체결이 완료되었음을 판단하며, 캐리어(301)와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연결된 제1 회전부(10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축(2)과 제1 회전부(100)와의 결합을 분리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렌치(700)는 전원공급을 위한 스위치(710), 표시부(72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가 스위치(710)를 키면, 제어부(600)의 판단에 따른 토크 발생부(300), 측정부(400)는 구동될 수 있다.
일예로, 제어부(600)는 앰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로드셀(403)은 가압판(402)으로부터 받는 가압력을 제1 저항값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앰프(미도시)는 로드셀(403)로부터 받은 제1 저항값을 볼트축력값으로 변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600)는 목표축력에 따른 목표축력값을 입력부(미도시)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으며, 제어부(600)는 목표축력에 대응되는 목표축력값과, 볼트(1)의 축(2)에 작용하는 볼트축력값을 비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600)는 볼트축력값이 목표축력값에 도달하지 못했음을 판단 할 시, 볼트축력값이 목표축력값에 도달하지 못했음을 판단하여, 제1 회전부(100)를 역회전 시켜, 축(2)을 제1 방향으로 당기도록 토크 발생부(30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600)는 볼트축력값이 목표축력값에 대응된다고 판단 할 시, 제1 회전부(600)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표시부(720)에는 목표축력값, 볼트축력값 등이 표시될 수 있다. 표시부(720)는 발광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표시부(720)에는 볼트축력값, 목표축력값이 표시될 수 있어, 사용자가 정량적으로 볼트의 축에 작용하는 축력 확인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일예로, 표시부(720)에는 설정버튼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설정버튼을 통해, 동절기, 하절기, 장마의 버튼을 선택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부(600)는 해당 버튼에 따라, 목표축력을 가변시키도록 제어하는 구성 또한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제1 회전부 200: 제2 회전부
300: 토크 발생부 400: 측정부
500: 하우징부 600: 제어부
700: 전동렌치

Claims (22)

  1. 볼트에 너트를 체결하는 전동렌치에 있어서,
    상기 볼트의 헤드에 의해 지지된 상기 볼트의 축을, 상기 헤드에서 멀어지는 방향인 제1 방향으로 당기기 위해 회전하는 제1 회전부;
    상기 볼트의 축에 끼워진 상기 너트를 회전시켜 상기 볼트에 체결시키기 위해 회전하는 제2 회전부;
    상기 제1 회전부와 상기 제2 회전부의 회전을 위해 상기 제1 회전부와 상기 제2 회전부에, 발생시킨 토크를 개별적으로 전달하는 토크 발생부; 및
    상기 제1 회전부가 회전하여 상기 축을 상기 제1 방향으로 당기도록 상기 토크 발생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축에 작용하는 볼트축력이 기설정된 목표축력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축이 상기 제1 방향으로 당겨지게 상기 토크 발생부를 제어하며, 상기 볼트축력이 상기 목표축력에 도달하면, 상기 제1 회전부가 정지되도록, 그리고 상기 제2 회전부가 회전을 시작하여 상기 너트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토크 발생부를 더 제어하는 전동렌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너트가 상기 볼트에 체결되면, 상기 제2 회전부가 정지되도록, 그리고 상기 제1 회전부가, 상기 축을 당길 때의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축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토크 발생부를 더 제어하는, 전동렌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부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회전부가 상기 축을 상기 제1 방향으로 당김에 따라 가압되고, 상기 가압의 정도에 기초해서 상기 볼트축력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전동렌치.
  6. 볼트에 너트를 체결하는 전동렌치에 있어서,
    상기 볼트의 헤드에 의해 지지된 상기 볼트의 축을, 상기 헤드에서 멀어지는 방향인 제1 방향으로 당기기 위해 회전하는 제1 회전부;
    상기 볼트의 축에 끼워진 상기 너트를 회전시켜 상기 볼트에 체결시키기 위해 회전하는 제2 회전부;
    상기 제1 회전부와 상기 제2 회전부의 회전을 위해 상기 제1 회전부와 상기 제2 회전부에, 발생시킨 토크를 개별적으로 전달하는 토크 발생부;
    상기 제1 회전부가 회전하여 상기 축을 상기 제1 방향으로 당기도록 상기 토크 발생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볼트의 직경을 입력받는 입력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축에 작용하는 볼트축력이 기설정된 목표축력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축이 상기 제1 방향으로 당겨지게 상기 토크 발생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받은 직경에 기초해서 상기 목표축력을 설정하는 전동렌치.
  7. 볼트에 너트를 체결하는 전동렌치에 있어서,
    상기 볼트의 헤드에 의해 지지된 상기 볼트의 축을, 상기 헤드에서 멀어지는 방향인 제1 방향으로 당기기 위해 회전하는 제1 회전부;
    상기 볼트의 축에 끼워진 상기 너트를 회전시켜 상기 볼트에 체결시키기 위해 회전하는 제2 회전부; 및
    상기 제1 회전부와 상기 제2 회전부의 회전을 위해 상기 제1 회전부와 상기 제2 회전부에, 발생시킨 토크를 개별적으로 전달하는 토크 발생부;
    상기 제1 회전부가 회전하여 상기 축을 상기 제1 방향으로 당기도록 상기 토크 발생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축에 작용하는 볼트축력이 기설정된 목표축력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축이 상기 제1 방향으로 당겨지게 상기 토크 발생부를 제어하며,
    상기 목표축력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전동렌치.
  8. 볼트에 너트를 체결하는 전동렌치에 있어서,
    상기 볼트의 헤드에 의해 지지된 상기 볼트의 축을, 상기 헤드에서 멀어지는 방향인 제1 방향으로 당기기 위해 회전하는 제1 회전부;
    상기 볼트의 축에 끼워진 상기 너트를 회전시켜 상기 볼트에 체결시키기 위해 회전하는 제2 회전부;및
    상기 제1 회전부와 상기 제2 회전부의 회전을 위해 상기 제1 회전부와 상기 제2 회전부에, 발생시킨 토크를 개별적으로 전달하는 토크 발생부;
    를 포함하고,
    상기 토크 발생부는, 선기어, 캐리어, 유성기어 및 링기어를 구비하는 유성기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부,는 상기 캐리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회전부는, 상기 링기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전동렌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부는, 상기 제1 방향 측의 말단부에서 상기 캐리어에 연결되어 상기 캐리어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1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몸체는,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 방향 측의 말단부에서 상기 축을 향해 개구되는 제1-1 중공을 갖고, 상기 제1-1 중공에 의해 정의되는 내주면에, 상기 축의 나사산에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전동렌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부, 상기 제2 회전부 및 상기 토크 발생부를 수용하는 하우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는, 상기 하우징부의 상기 제2 방향 측의 말단부가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내주면의 나사산이 상기 축의 나사산에 맞물리게 회전하여, 상기 축을 상기 제1 방향으로 당기는, 전동렌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가 상기 축을 상기 제1 방향으로 당김에 따라 상기 축에 작용하는 볼트축력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는, 상기 제1 방향 측의 말단부에서 개구되는 제1-2 중공을 더 갖고,
    상기 측정부는,
    일단이 상기 제1-2 중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몸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축;
    상기 연결축의 상기 타단에서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가압판;
    상기 가압판의 양면 중에서 상기 제2 방향을 향하는 면에 대향되게 구비되어, 상기 제1 몸체가 상기 축을 상기 제1 방향으로 당김에 따라, 상기 가압판에 의해 가압되는 로드셀을 포함하는, 전동렌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연결축의 상기 일단에서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하게 연장되되, 상기 제1-2 중공에 삽입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고정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부는, 상기 연결축의 통과는 허용하되, 상기 고정판의 통과는 허용하지 않는 크기의 관통홀을 갖는 덮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덮개는, 상기 고정판이 상기 제1-2 중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축이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게, 상기 제1 몸체의 상기 제1 방향 측의 말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제1-2 중공을 덮는, 전동렌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은, 상기 유성기어 유닛의 중심을 관통하여, 상기 유성기어 유닛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까지 연장되는, 전동렌치.
  14.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부는, 상기 제1 방향 측의 말단부에서 상기 링기어에 연결되어 상기 링기어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2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 방향 측의 말단부에서 상기 너트를 향해 개구되는 제2-1 중공을 갖고, 상기 제2-1 중공에 의해 정의되는 내주면이 상기 너트의 외주면에 맞물리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전동렌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제1 방향 측의 말단부에서 개구되어, 상기 제1 회전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몸체에 간섭되지 않게 수용되는 제2-2 중공과,
    상기 제2-1 중공과 상기 제2-2 중공을 구획하되, 상기 너트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되는 상기 축의 말단부가 통과되는 통과홀을 갖는 구획판을 더 구비하는, 전동렌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링기어는, 상기 제2 몸체의 상기 제1 방향 측의 말단부까지 연장되어 상기 제2 몸체에 직접 연결되고,
    상기 제1 회전부는, 상기 제2 몸체와 상기 캐리어의 사이에서 상기 링기어에 의해 마련되는 내부 공간에 구비되는, 전동렌치.
  17.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상기 링기어의 정지 중에 상기 선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선기어의 회전방향에 대응되게 회전하여 상기 제1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전동렌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토크 발생부는, 상기 링기어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클러치를 더 포함하는, 전동렌치.
  1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링기어는, 상기 캐리어의 정지 중에 상기 선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선기어의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에 대응되게 회전하여 상기 제2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전동렌치.
  2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토크 발생부는,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고,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말단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축방향으로 하여 상기 회전축에 의해 회전하는 베벨기어;
    상기 베벨기어에 맞물려서 상기 제1 방향을 축방향으로 하여 회전하고, 상기 선기어에 연결되어 자신의 회전으로 상기 선기어를 회전시키는 동력전달기어를 더 포함하는, 전동렌치.
  2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부는, 상기 축의 직경에 따라, 교체 가능한 전동렌치.
  22. 삭제
KR1020170096925A 2017-07-31 2017-07-31 전동렌치 및 체결방법 KR101985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925A KR101985085B1 (ko) 2017-07-31 2017-07-31 전동렌치 및 체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925A KR101985085B1 (ko) 2017-07-31 2017-07-31 전동렌치 및 체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3023A KR20190013023A (ko) 2019-02-11
KR101985085B1 true KR101985085B1 (ko) 2019-05-31

Family

ID=65370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6925A KR101985085B1 (ko) 2017-07-31 2017-07-31 전동렌치 및 체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50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5604B1 (ko) * 2021-04-07 2022-10-18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전동 렌치 및 이를 이용한 체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9448A (ja) * 1994-07-26 1996-02-13 Maeda Kinzoku Kogyo Kk ボルト締付機
KR102302489B1 (ko) * 2015-08-31 2021-09-16 한국전력공사 고력볼트의 축력 도입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고력볼트의 축력 도입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3023A (ko) 201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63594B1 (en) Electric socket ratchet wrench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4215594A (en) Torque responsive speed shift mechanism for power tool
US6554255B2 (en) Lifting gear
US4966057A (en) Power wrench
CN104608086B (zh) 紧固装置以及紧固方法
US5399129A (en) Wrap spring downshift mechanism
KR101165343B1 (ko) 왼나사 및 오른나사 겸용 토크 제어용 렌치
EP2394797B1 (en) Power tool
KR101985085B1 (ko) 전동렌치 및 체결방법
US5573472A (en) Wrap spring downshift mechanism
US10751860B2 (en) Electric rapid ratchet wrench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N108136572A (zh) 手持式工具机
US20110198102A1 (en) Attachment for a Portable Power Tool
US10099351B2 (en) Torque delivering power tool with flywheel
JPH03117568A (ja) パワー・レンチ
CN100390001C (zh) 电动动力转向装置的减速装置
CN101699018B (zh) 自动无级变速钻修井顶驱
US20170082135A1 (en) Device for Securing a Tension Element Against Unintentional Release
JP6863813B2 (ja) アタッチメントおよび締付工具
CN110614393A (zh) 动力工具
CN102207119B (zh) 一种双螺母同轴联接机构
JP5254345B2 (ja) 車輌のレンジ切換え装置
US20090173194A1 (en) Impact wrench structure
CN113226654B (zh) 用于张紧至少一个连接元件的系统
CN217596955U (zh) 一种扭力可调式电动扳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