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4671B1 - Method of automatically calibrating sensor output characteristic of gas detector - Google Patents

Method of automatically calibrating sensor output characteristic of gas det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4671B1
KR101984671B1 KR1020160178145A KR20160178145A KR101984671B1 KR 101984671 B1 KR101984671 B1 KR 101984671B1 KR 1020160178145 A KR1020160178145 A KR 1020160178145A KR 20160178145 A KR20160178145 A KR 20160178145A KR 101984671 B1 KR101984671 B1 KR 101984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nomial
interpolation
output
interpolation polynomial
interpo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81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75670A (en
Inventor
박규태
유근준
이연재
Original Assignee
한국가스안전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가스안전공사 filed Critical 한국가스안전공사
Publication of KR20170075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56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4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46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6Calibrating gas analys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06F17/11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for solving equations, e.g. nonlinear equations, general mathematical optimization probl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Immunology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lgebr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 검지기 출력 특성 자동 교정 방법은 단조 증가하는 시험농도들을 갖는 표준가스를 가스 검지기에 주입하여 상기 시험농도들에 대응하는 측정 평균값들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시험농도들과 상기 측정 평균값들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제1 보간 다항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시험농도들을 상기 제1 보간 다항식에 대입하여 제1 보간 다항식 출력값들을 연산하는 단계, 상기 시험농도들에 대응하는 측정 평균값들과 제1 보간 다항식 출력값들의 오차에 따라 최대 오차가 발생하는 보정대상농도가 중간에 위치하는 보정대상구간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보정대상농도와 상기 보정대상구간의 최저농도 사이의 구간인 이전 구간의 중간 농도를 상기 제1 보간 다항식에 대입하여 이전 구간 중간값을 연산하고, 상기 보정대상농도와 상기 보정대상구간의 최대농도 사이의 구간인 이후 구간의 중간 농도를 상기 제1 보간 다항식에 대입하여 이후 구간 중간값을 연산하는 단계, 상기 시험농도들, 상기 이전 구간의 중간 농도, 상기 이후 구간의 중간 농도를 포함하는 입력값들과 상기 측정 평균값들, 상기 이전 구간 중간값, 상기 이후 구간 중간값을 포함하는 출력값들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제2 보간 다항식을 생성하는 제2 보간 다항식 생성단계 및 상기 제2 보간 다항식을 역변환하여 농도출력 교정함수를 생성하는 농도출력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연성 또는 유해 가스 등의 검출에 사용되는 센서들의 응답특성을 다종의 농도를 갖는 표준가스를 사용하여 입력 가스에 대응하는 센서의 출력 전압이나 전류를 표현할 수 있는 최적의 근사방정식을 구하여 정확한 농도를 산출하는 방법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automatically calibrating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a gas de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the steps of injecting a standard gas having monotonically increasing test concentrations into a gas detector to obtain measured mean values corresponding to said test concentrations, Generating a first interpolation polynomial representing a relationship between measured averages, computing the first interpolation polynomial output values by substituting the test concentrations into the first interpolating polynomial, The interpolation polynomial equation comprising: extracting a correction object interval in which a correction object density having a maximum error occurs in accordance with an error of interpolation polynomial output values, Into the first interpolation polynomial to calculate a median value of the previous section, Calculating a median value of a subsequent interval by substituting the median density of a subsequent interval between the maximum density of the correction target interval and the first interpolation polynomial, A second interpolating polynomial generating step of generating a second interpolating polynomial expressing a relationship between input values including the intermediate density and output values including the measurement average values, the previous section intermediate value, and the subsequent section intermediate value, 2 interpolating the interpolation polynomial to produce a density output calibr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esponse characteristic of sensors used for detecting flammable or noxious gas can be expressed by an optimal approximation equation that can express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of a sensor corresponding to input gas by using a standard gas having various concentrations And a method of calculating an accurate concentration is provided.

Description

가스 검지기의 센서의 출력 특성을 자동으로 교정하는 방법{METHOD OF AUTOMATICALLY CALIBRATING SENSOR OUTPUT CHARACTERISTIC OF GAS DETECTOR}METHOD OF AUTOMATICALLY CALIBRATING SENSOR OUTPUT CHARACTERISTIC OF GAS DETECTOR [0002]

본 발명은 가스 검지기의 출력 특성을 자동으로 교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automatically calibrating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a gas detector.

종래의 가스검지기에 사용되고 있는 가스센서는 대부분 비선형성이 존재하여 이를 해결하려고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Most of the gas sensors used in the conventional gas detectors have nonlinearity, and therefore, much efforts have been made to solve them.

그러나 자연계의 물리 화학적량을 수치적으로 정량화하기는 쉽지 않다. 그래서 대부분의 가스검지기는 2 또는 3종의 농도를 가진 표준시료를 제작하여 센서의 입출력 응답특성 시험을 실시하여 1차 직선의 방정식 또는 2차식의 방정식을 도출하여 농도에 산출에 활용하고 있어 비교적 큰 오차가 존재한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t is not easy to numerically quantify physicochemical quantities in the natural world. Therefore, most gas detectors are made of standard specimens with 2 or 3 kinds of concentrations, and the input and output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sensor are tested to derive the first-order linear equation or the second-order equ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an error exists.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31589호(등록일자: 2008년 05월 16일, 명칭: 가스센서의 출력 특성 추출방법과 이를 이용한 가스농도측정장치 및 그 방법)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831589 (Registered Date: May 16, 2008, Name: Method of Extracting Output Characteristics of Gas Sensor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Gas Concentration Using It)

본 발명의 과제는 가연성 또는 유해 가스 등의 검출에 사용되는 센서들의 응답특성을 다종의 농도를 갖는 표준가스를 사용하여 입력 가스에 대응하는 센서의 출력 전압이나 전류를 표현할 수 있는 최적의 근사방정식을 구하여 정확한 농도를 산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response characteristics of sensors used for detecting combustible or noxious gases by using a standard gas having various concentrations to obtain an optimal approximate equation expressing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of a sensor corresponding to input gas And to provide a method for calculating an accurate concentration.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스 검지기 출력 특성 자동 교정 방법은 단조 증가하는 시험농도들을 갖는 표준가스를 가스 검지기에 주입하여 상기 시험농도들에 대응하는 측정 평균값들을 획득하는 시험농도별 측정 평균값 획득단계, 상기 시험농도들과 상기 측정 평균값들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제1 보간 다항식을 생성하는 제1 보간 다항식 생성단계, 상기 시험농도들을 상기 제1 보간 다항식에 대입하여 제1 보간 다항식 출력값들을 연산하는 제1 보간 다항식 출력값 연산단계, 상기 시험농도들에 대응하는 측정 평균값들과 제1 보간 다항식 출력값들의 오차에 따라 최대 오차가 발생하는 보정대상농도가 중간에 위치하는 보정대상구간을 추출하는 보정대상구간 추출단계, 상기 보정대상농도와 상기 보정대상구간의 최저농도 사이의 구간인 이전 구간의 중간 농도를 상기 제1 보간 다항식에 대입하여 이전 구간 중간값을 연산하고, 상기 보정대상농도와 상기 보정대상구간의 최대농도 사이의 구간인 이후 구간의 중간 농도를 상기 제1 보간 다항식에 대입하여 이후 구간 중간값을 연산하는 중간값 연산단계, 상기 시험농도들, 상기 이전 구간의 중간 농도, 상기 이후 구간의 중간 농도를 포함하는 입력값들과 상기 측정 평균값들, 상기 이전 구간 중간값, 상기 이후 구간 중간값을 포함하는 출력값들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제2 보간 다항식을 생성하는 제2 보간 다항식 생성단계 및 상기 제2 보간 다항식을 역변환하여 농도출력 교정함수를 생성하는 농도출력 교정함수 생성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automatically calibrating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a gas detector, comprising the steps of: injecting a standard gas having test concentrations for monotonic increasing into a gas detector to obtain measurement average values corresponding to the test concentrations; A first interpolating polynomial generating step of generating a first interpolating polynomial expressing a relation between the test concentrations and the measured average values, a step of calculating the first interpolating polynomial output values by substituting the test concentrations into the first interpolating polynomial, A first interpolation polynomial expression output value calculation step of calculating a first interpolation polynomial expression output value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terpolation polynomial expression value and a second interpolation polynomial expression value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terpolation polynomial expression output value, An extraction step of extracting an object to be corrected, Wherein the intermediate concentration of the previous interval is calculated by substituting the intermediate concentration of the previous interval into the first interpolation polynomial to calculate the intermediate concentration of the interval between the correction target concentration and the maximum concentration of the correction target interval, An intermediate value calculation step of calculating an intermediate value of a subsequent interval by substituting the intermediate value of the previous interval and the intermediate value of the previous interval into the interpolation polynomial, A second interpolating polynomial generating a second interpolating polynomial expressing a relation between output values including an intermediate value and an intermediate value of the subsequent section, and a second interpolating polynomial generating a density output correcting function for inverting the second interpolating polynomial to generate a density output correcting function Generating step.

본 발명에 따른 가스 검지기 출력 특성 자동 교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농도별 측정 평균값 획득단계에서 획득되는 측정 평균값들은 전류값, 전압값, 전력값 중에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ethod of automatically calibrating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gas de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asured average values obtained in the step of acquiring the measured average value by concentration are one of a current value, a voltage value and a power value.

본 발명에 따른 가스 검지기 출력 특성 자동 교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간 다항식 생성단계에서 생성되는 제1 보간 다항식은 라그랑지 보간 다항식(Lagrange interpolation polynomial) 또는 네빌레 보간 다항식(Neville interpolation polynomial) 또는 뉴턴 보간 다항식(Newton interpolation polynomial)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interpolation polynomial generated in the first interpolating polynomial generating step may be a Lagrange interpolation polynomial or a Neville interpolation polynomial or a Newton interpolation polynomial, And is an interpolation polynomial (Newton interpolation polynomial).

본 발명에 따른 가스 검지기 출력 특성 자동 교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보간 다항식 생성단계에서는, 상기 시험농도들, 상기 이전 구간의 중간 농도, 상기 이후 구간의 중간 농도를 포함하는 입력값들을 복수의 구간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구간별로 상기 제2 보간 다항식을 생성하기 위한 구간별 보간 다항식들을 생성하고, 상기 구간별 보간 다항식을 연결하여 상기 제2 보간 다항식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ethod of automatically calibrating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a gas de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cond interpolation polynomial generation step, input values including the test concentrations, the intermediate concentration of the previous section, , Generating interpolation polynomials for each section to generate the second interpolation polynomial for each divided section, and connecting the interpolation polynomials for each section to generate the second interpolating polynomial.

본 발명에 따른 가스 검지기 출력 특성 자동 교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보간 다항식 생성단계에서 생성되는 제2 보간 다항식은 라그랑지 보간 다항식(Lagrange interpolation polynomial) 또는 네빌레 보간 다항식(Neville interpolation polynomial) 또는 뉴턴 보간 다항식(Newton interpolation polynomial)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interpolation polynomial generated in the second interpolating polynomial generating step may be a Lagrange interpolation polynomial or a Neville interpolation polynomial or a Newton interpolation polynomial, And is an interpolation polynomial (Newton interpolation polynomial).

본 발명에 따른 가스 검지기 출력 특성 자동 교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농도출력 교정함수 생성단계에서는, 상기 구간별 보간 다항식들을 역변환하여 구간별 역변환 함수들을 생성하고, 구간별 역변환 함수들을 연결하여 상기 농도출력 교정함수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ethod of automatically calibrating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gas de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of generating the concentration output calibration function, the inverse interpolation polynomials are inversely transformed to generate the inverse inverse transform functions, Thereby generating a function.

본 발명에 따르면, 가연성 또는 유해 가스 등의 검출에 사용되는 센서들의 응답특성을 다종의 농도를 갖는 표준가스를 사용하여 입력 가스에 대응하는 센서의 출력 전압이나 전류를 표현할 수 있는 최적의 근사방정식을 구하여 정확한 농도를 산출하는 방법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esponse characteristic of sensors used for detecting flammable or noxious gas can be expressed by an optimal approximation equation that can express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of a sensor corresponding to input gas by using a standard gas having various concentrations And a method of calculating an accurate concentration is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스 검지기 출력 특성 자동 교정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스 검지기 출력 특성 자동 교정 방법이 수행되는 장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보정대상구간 추출단계와 중간값 연산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가스 검지기의 센서출력전압에 따른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FIG. 1 is a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automatically calibrating a gas sensor output characterist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configuration in which an automatic gas sensor output characteristic corre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rrection object section extraction step and an intermediate value calculation step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graph showing the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sensor output voltage of the gas de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herei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can take various forms, so that the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erei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 요소는 제1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may be nam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right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element, The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ar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herei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of the context in the relevant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herein, are to be interpreted as ideal or overly formal Do not.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스 검지기 출력 특성 자동 교정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스 검지기 출력 특성 자동 교정 방법이 수행되는 장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llustrates a method of automatically calibrating a gas sensor output characterist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llustrates an apparatus configuration in which an automatic gas sensor output characteristic corre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스 검지기 출력 특성 자동 교정 방법은 시험농도별 측정 평균값 획득단계(S10), 제1 보간 다항식 생성단계(S20), 제1 보간 다항식 출력값 연산단계(S30), 보정대상구간 추출단계(S40), 중간값 연산단계(S50), 제2 보간 다항식 생성단계(S60) 및 농도출력 교정함수 생성단계(S7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a method of automatically calibrating gas sensor outpu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of obtaining a measured average value by test concentration (S10), a first interpolating polynomial generating step (S20) An output value calculation step S30, a correction target section extraction step S40, an intermediate value calculation step S50, a second interpolation polynomial generation step S60 and a density output correction function generation step S70.

시험농도별 측정 평균값 획득단계(S10)에서는, 단조 증가하는 시험농도들을 갖는 표준가스를 가스 검지기(10)에 주입하여 상기 시험농도들에 대응하는 측정 평균값들을 획득하는 과정이 수행된다.In the measurement average value acquiring step (S10), a process of injecting a standard gas having monotonously increasing test concentrations into the gas detector 10 and obtaining measurement average values corresponding to the test concentrations is perform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가스 검지기(10)에 적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부(12)의 최적의 입출력 응답특성곡선을 구하는 교정(calibration) 과정과 보다 정확하게 농도를 산출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먼저, 표준가스를 시험농도별로 제조한다. 예를 들어, 표준가스는 가연성 가스의 경우, 0(zero)에서 폭발한계(100%LEL) 사이의 농도를 일정한 비율로 증가하도록 즉, 단조 증가하도록 약 10종 이상을 제조할 수 있다. 독성이나 유해가스의 경우, 0(zero)에서 허용농도(TLV: threshold limit value) 중에서 약 10종 이상을 제조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calibration process of obtaining optimal input / output response characteristic curves of various kinds of sensor units 12 applied to the gas detector 10 and a more accurate concentration calculation. To do this, first, a standard gas is prepared for each test concentration. For example, in the case of flammable gases, the standard gas can produce more than ten species so that the concentration between 0 (zero) and the explosion limit (100% LEL) is increased at a constant rate, that is, monotonously increased. In the case of toxic or noxious gases, it is possible to produce more than 10 kinds of threshold limit value (TLV) at 0 (zero).

예를 들어, 시험농도별 측정 평균값 획득단계(S10)의 세부 과정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detailed procedure of the measurement average value acquiring step (S10) for each test concentration may be configured as follows.

먼저, 1종의 시험농도(예 : 0%)를 갖는 표준가스를 가스 검지기(10)의 센서부(12)에 주입하면, 가스 검지기(10)의 연산/출력부(14)가 측정값을 출력한다. 오실로스코프나 정밀한 전압 또는 전류측정기와 같은 출력 측정기(20)를 사용하여 전압이나 전류의 평균값을 10회 측정하여 표(lookup table)에 기록할 수 있다.First, when standard gas having one kind of test concentration (for example, 0%) is injected into the sensor section 12 of the gas detector 10, the calculation / output section 14 of the gas detector 10 measures the measured value Output. An average of the voltage or current can be measured 10 times and recorded in a lookup table using an output meter 20 such as an oscilloscope or a precision voltage or current meter.

다음으로, 위에서 기록한 전압이나 전류의 측정값의 10회분의 산술평균을 계산하여 기록할 수 있다.Next, an arithmetic average of the measured values of the voltage or current written in the above can be calculated and recorded.

위의 과정과 같이 표준가스 9종(0.25%, 0.5%, 0.75%, 1.0%, 1.25%, 1.5%, 1.75%, 2.0%, 2.25%)의 시험농도를 단조 증가의 형태로 제조한 가스를 각각 가스 검지기(10)에 주입하여 전압이나 전류를 각각 10회 측정하고 평균값을 구한다.As the above procedure, the test gas concentration of 9 standard gas (0.25%, 0.5%, 0.75%, 1.0%, 1.25%, 1.5%, 1.75%, 2.0%, 2.25% Are respectively injected into the gas detector 10, and the voltage and the current are measured 10 times each, and an average value is obtained.

예를 들어, 농도별 측정 평균값 획득단계에서 획득되는 측정 평균값들은 전류값, 전압값, 전력값 중에서 하나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measured average values obtained in the step of acquiring the measured average value by concentration may be one of a current value, a voltage value, and a power value.

제1 보간 다항식 생성단계(S20)에서는,센서 특성 교정장치(30)가, 시험농도들과 측정 평균값들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제1 보간 다항식을 생성하는 과정이 수행된다.In the first interpolation polynomial generating step S20, the sensor characteristic correcting apparatus 30 performs a process of generating a first interpolation polynomial expre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st concentrations and the measured average values.

예를 들어, 표준가스 10종 시험농도와 이를 주입하여 측정된 전압 평균값들은 아래 표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각각 10개가 된다. 10종의 시험농도(Xi, i=0~9)를 갖는 표준가스 10종을 센서부(12)에 주입하여 측정된 10개의 전압 평균값을 Yi, i=0~9라고 정의하고, Xi와 Yi 에 대한 관계를 고차방정식 또는 다항식(P(x))으로 나타낸다. 다항식은 입력에 대한 출력을 추정할 수 있는 근사 다항식으로서, 이를 제1 보간 다항식으로 명명한다.For example, the test concentrations of 10 kinds of standard gases and the average values of the voltages measured by injecting them are 10 as shown in Table 1 below. The 10 average values of the ten measured voltages obtained by injecting 10 kinds of standard gases having 10 kinds of test concentrations (Xi, i = 0 to 9) into the sensor unit 12 are defined as Yi, i = 0 to 9 and Xi and Yi (P (x)). A polynomial is an approximate polynomial that can estimate the output to the input, which is termed a first interpolating polynomial.

시험농도
(%, X)
Test concentration
(%, X)
00 0.250.25 0.50.5 0.750.75 1.01.0 1.251.25 1.51.5 1.751.75 2.02.0 2.252.25
출력
(V, Y)
Print
(V, Y)
0.42350.4235 0.59250.5925 0.62450.6245 0.7240.724 0.84750.8475 1.03551.0355 1.1251.125 1.18251.1825 1.3451.345 1.471.47

예를 들어, 제1 보간 다항식 생성단계(S20)에서 생성되는 제1 보간 다항식은 라그랑지 보간 다항식(Lagrange interpolation polynomial) 또는 네빌레 보간 다항식(Neville interpolation polynomial) 또는 뉴턴 보간 다항식(Newton interpolation polynomial)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interpolating polynomial generated in the first interpolating polynomial generating step S20 may be a Lagrange interpolation polynomial or a Neville interpolation polynomial or a Newton interpolation polynomial. .

제1 보간 다항식 출력값 연산단계(S30)에서는, 센서 특성 교정장치(30)가, 시험농도들을 제1 보간 다항식에 대입하여 제1 보간 다항식 출력값들을 연산하는 과정이 수행된다.In the first interpolation polynomial output value calculation step (S30), the sensor characteristic correction apparatus (30) performs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first interpolation polynomial output values by substituting the test concentrations into the first interpolation polynomial.

예를 들어, 제1 보간 다항식 생성단계(S20)에서 생성된 제1 보간 다항식(P(x))에 다시 X 즉, 시험농도들을 대입해서 10개의 출력을 구해서 2차원 평면에 그 결과를 도시해 보면, 선형회귀 방정식 보다는 오차가 줄었지만, 여전히 비선형성 때문에 센서부(12)의 출력(Y) 곡선과는 완벽하게 일치하지는 않으며, 오차가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by substituting X, i.e., test concentrations, into the first interpolation polynomial P (x) generated in the first interpolation polynomial generation step S20, 10 outputs are obtained and the result is shown on the 2-dimensional plane Although the error is smaller than that of the linear regression equation, it is still not perfectly matched with the output (Y) curve of the sensor unit 12 due to nonlinearity,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re is an error.

보정대상구간 추출단계(S40)에서는, 센서특성 교정장치가, 시험농도들에 대응하는 측정 평균값들과 제1 보간 다항식 출력값들의 오차에 따라 최대 오차가 발생하는 보정대상농도가 중간에 위치하는 보정대상구간을 추출하는 과정이 수행된다.In the correction target section extracting step S40, the sensor characteristic correcting apparatus corrects the calibration target density in which the correction target density in which the maximum error occurs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average values corresponding to the test concentrations and the error of the first interpolation polynomial output values, A process of extracting a section is performed.

예를 들어, 도 3을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보정대상농도는 X2이고, 보정대상구간은 X1부터 X3까지의 구간이다.For example, referring additionally to FIG. 3, the correction target density is X2, and the correction target section is a section from X1 to X3.

예를 들어, 센서부(12)의 출력값과 제1 보간 다항식의 출력의 오차가 ±5%이상이 되거나 기울기가 급격하게 변하는 구간과 그러하지 않은 구간을 구분하는 방식으로 보정대상구간을 추출할 수 있다. 다만, 센서부(12)의 용도에 따라 편차는 ±3% ±7%,±10% 등으로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rrection object section can be extracted in such a manner that the error between the output value of the sensor section 12 and the output of the first interpolation polynomial becomes ± 5% or more, or the section in which the gradient changes abruptly and the section in which the gradient changes abruptly are distinguished . However, the deviation can be arbitrarily changed by ± 3% ± 7%, ± 10%, etc. depending on the use of the sensor unit 12.

중간값 연산단계(S50)에서는, 센서특성 교정장치가, 보정대상농도와 보정대상구간의 최저농도 사이의 구간인 이전 구간의 중간 농도를 제1 보간 다항식에 대입하여 이전 구간 중간값을 연산하고, 보정대상농도와 보정대상구간의 최대농도 사이의 구간인 이후 구간의 중간 농도를 제1 보간 다항식에 대입하여 이후 구간 중간값을 연산하는 과정이 수행된다.In the intermediate value calculation step (S50), the sensor characteristic correction apparatus calculates the intermediate value of the previous section by substituting the intermediate concentration of the previous section, which is a section between the concentration target concentration and the lowest concentration of the correction target section, into the first interpolation polynomial, The intermediate concentration of the subsequent section, which is a section between the correction target concentration and the maximum concentration of the correction target section, is substituted into the first interpolation polynomial, and then the intermediate value of the section is calculated.

예를 들어, 오차를 보다 줄이기 위하여 오차가 가장 큰 값이 x2라면 x1과 x2의 중간 농도(x1.5)를 구하고, x2와 x3의 중간 농도(x2.5)를 구하고, x1.5를 제1 보간 다항식에 대입하여 이전 구간 중간값인 P(x1.5)을 연산하고, x2.5를 제1 보간 다항식에 대입하여 이후 구간 중간값인 P(x2.5)을 연산한 후, 네점 P(x1), P(x1.5), P(x2.5), P(x3)를 연결하는 곡선을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o reduce the error more, if the largest error is x2, find the intermediate concentration (x1.5) between x1 and x2, find the intermediate concentration (x2.5) between x2 and x3, (X1.5) which is an intermediate value of the previous section is substituted into the interpolation polynomial, and x2.5 is substituted into the first interpolation polynomial to calculate P (x1), P (x1.5), P (x2.5), and P (x3).

예를 들어, 오차가 심한 구간을 위와 같이 이전 구간 중간값과 이후 구간 중간값을 구하여 서로 이어주는 방법 즉, x2 지점을 필터링하는 방법으로 오차를 줄일 수 있다. 그 외 구간에도 x2처럼 오차가 큰 구간이 있으면 이와 같은 방법으로 처리할 수 있다.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error by using the method of finding the intermediate value of the previous section and the intermediate value of the subsequent section and connecting them to each other, that is, by filtering the x2 point. If there is a section with a large error such as x2 in the other section, it can be processed in this manner.

제2 보간 다항식 생성단계(S60)에서는, 센서 특성 교정장치(30)가, 시험농도들, 이전 구간의 중간 농도, 이후 구간의 중간 농도를 포함하는 입력값들과 측정 평균값들, 이전 구간 중간값, 이후 구간 중간값을 포함하는 출력값들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제2 보간 다항식을 생성하는 과정이 수행된다.In the second interpolating polynomial generating step S60, the sensor characteristic correcting apparatus 30 calculates the average values of the test concentration, the intermediate concentration of the previous section, the intermediate values of the following section and the measured average values, , And then generating a second interpolation polynomial expre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utput values including the intermediate value of the interval.

예를 들어, 제2 보간 다항식 생성단계(S60)에서는, 시험농도들, 이전 구간의 중간 농도, 이후 구간의 중간 농도를 포함하는 입력값들을 복수의 구간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구간별로 제2 보간 다항식을 생성하기 위한 구간별 보간 다항식들을 생성하고, 구간별 보간 다항식을 연결하여 제2 보간 다항식을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second interpolation polynomial generation step (S60), the input values including the test concentrations, the intermediate concentration of the previous section, and the intermediate concentration of the following section ar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A second interpolation polynomial can be generated by generating interpolation polynomials for each section to generate a polynomial and connecting interpolation polynomials for each section.

앞서 설명한 중간값 연산단계(S50)를 통해 연산된 데이터들이 추가되었기 때문에, 보간 다항식 생성을 위한 데이터, 달리 말해, 그래프 상에 표시되는 점은 10개에서 12개로 증가되었다. 따라서, 12개의 점을 지나는 11차 출력 교정 함수를 만들 수 있지만 방정식의 차수가 높아지면 속도가 느려질 수 있으므로, 구간별로 나누어 그 구간을 대표할 수 있는 수식. 달리 말해, 구간별 보간 다항식을 수치해석법을 이용하여 구한다.Since the computed data has been added through the intermediate value computation step (S50) described above, the data for interpolation polynomial creation, in other words, the number of points displayed on the graph has been increased from 10 to 12.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ake the eleventh order output correction function passing through 12 points. However, since the speed of the equation can be slowed down by the degree of the equation, In other words, the interpolation polynomial of each section is obtained by numerical analysis.

예를 들어, 제2 보간 다항식 생성단계(S60)에서 생성되는 제2 보간 다항식은 라그랑지 보간 다항식(Lagrange interpolation polynomial) 또는 네빌레 보간 다항식(Neville interpolation polynomial) 또는 뉴턴 보간 다항식(Newton interpolation polynomial)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interpolating polynomial generated in the second interpolating polynomial generating step S60 may be a Lagrange interpolation polynomial or a Neville interpolation polynomial or a Newton interpolation polynomial. .

농도출력 교정함수 생성단계(S70)에서는, 센서 특성 교정장치(30)가, 제2 보간 다항식을 역변환하여 농도출력 교정함수를 생성하는 과정이 수행된다.In the density output calibration function generating step S70, the sensor characteristic correcting device 30 performs a process of inverting the second interpolation polynomial to generate the density output calibration function.

예를 들어, 농도출력 교정함수 생성단계(S70)에서는, 구간별 보간 다항식들을 역변환하여 구간별 역변환 함수들을 생성하고, 구간별 역변환 함수들을 연결하여 상기 농도출력 교정함수를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step of generating the density output calibration function (S70), it is possible to generate the density output calibration function by inverting the interpolation polynomials of each section to generate the inverse inverse transform functions and connecting the inverse inverse transform functions to each other.

구간별로 역 변환된 다항식 즉, 구간별 역변환 함수들을 모두 연결하면 전 구간의 최적 농도출력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곡선식, 달리 말해, 농도출력 교정함수를 도출할 수 있다. By connecting all of the inverse transformed polynomials, that is, the inverse transform functions of each interval, it is possible to derive the optimal concentration output calibration curve, in other words, the density output correction function.

이후, 단계 S80, 단계 S90의 과정을 통해, 도출된 식을 가스 검지기(10)에 반영하여 미지의 농도를 주입하였을 때, 가스 검지기(10)의 연산/출력부(14)에서 해당되는 센서 출력 구간을 파악하여 제2 보간 다항식에 대입하여 미지의 농도를 최종 결정할 수 있다.When the unknown concentration is injected into the gas detector 10 through the process of steps S80 and S90, the calculation / output unit 14 of the gas detector 10 outputs the corresponding sensor output And the unknown concentration can be finally determined by assigning it to the second interpolation polynomial.

결론적으로 위의 과정을 요약해 보면, 아무리 다양한 센서가 존재할지라도 우선 오차 범위를 정의하고, 센서별 입력에 대한 출력 값을 측정하여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을 만들고 다종의 시험농도에 대한 평균 출력을 구한 후 오차 범위를 벗어난 구간에 대하여 구역을 구분하고, 구역별로 보간 다항식을 구하고, 구간별 함수를 역변환을 하여 연속으로 역변환된 다항식을 연결하면 전체를 대표할 수 있는 가스농도 측정용 교정 곡선식이 된다.  In conclusion, the above procedure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no matter how various sensors exist, the error range is defined first, and the output value of each sensor is measured to make a lookup table. After obtaining the interpolation polynomials, the interpolation polynomials are obtained for each zone, and the inverse transformed polynomials are connected to the inversely transformed polynomials to obtain a calibration curve for measuring the gas concentration .

도 4에는, 가스검 지기의 센서출력전압과 메탄가스의 농도 간의 상관도를 보여주고 있다. 이는 구간별 적용된 보간 다항식을 전 구간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합성하여 보여 준 것이다.FIG. 4 show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ensor output voltage of the gas detector and the concentration of methane gas. This shows that the interpolation polynomial applied to each section is synthesized so as to express the entire section.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가연성 또는 유해 가스 등의 검출에 사용되는 센서들의 응답특성을 다종의 농도를 갖는 표준가스를 사용하여 입력 가스에 대응하는 센서의 출력 전압이나 전류를 표현할 수 있는 최적의 근사방정식을 구하여 정확한 농도를 산출하는 방법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xpress the response characteristic of the sensors used for detecting flammable or noxious gas by using the standard gas having various concentrations to express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of the sensor corresponding to the input gas There is an effect that a method of calculating an accurate approximate equation by calculating an optimal approximate equation is provided.

10: 가스 검지기
12: 센서부
14: 연산/출력부
20: 출력 측정기
30: 센서 특성 교정장치
S10: 시험농도별 측정 평균값 획득단계
S20: 제1 보간 다항식 생성단계
S30: 제1 보간 다항식 출력값 연산단계
S40: 보정대상구간 추출단계
S50: 중간값 연산단계
S60: 제2 보간 다항식 생성단계
S70: 농도출력 교정함수 생성단계
10: Gas detector
12:
14: Arithmetic /
20: Output Meter
30: Sensor characteristic correcting device
S10: Measurement value acquisition step by test concentration
S20: First interpolation polynomial generation step
S30: First interpolation polynomial output value calculation step
S40: Extraction step of the region to be corrected
S50: intermediate value calculation step
S60: Second interpolation polynomial generation step
S70: Step of generating density output calibration function

Claims (6)

단조 증가하는 시험농도들을 갖는 표준가스를 가스 검지기에 주입하여 상기 시험농도들에 대응하는 측정 평균값들을 획득하는 시험농도별 측정 평균값 획득단계;
상기 시험농도들과 상기 측정 평균값들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제1 보간 다항식을 생성하는 제1 보간 다항식 생성단계;
상기 시험농도들을 상기 제1 보간 다항식에 대입하여 제1 보간 다항식 출력값들을 연산하는 제1 보간 다항식 출력값 연산단계;
상기 시험농도들에 대응하는 측정 평균값들과 제1 보간 다항식 출력값들의 오차에 따라 최대 오차가 발생하는 보정대상농도가 중간에 위치하는 보정대상구간을 추출하는 보정대상구간 추출단계;
상기 보정대상농도와 상기 보정대상구간의 최저농도 사이의 구간인 이전 구간의 중간 농도를 상기 제1 보간 다항식에 대입하여 이전 구간 중간값을 연산하고, 상기 보정대상농도와 상기 보정대상구간의 최대농도 사이의 구간인 이후 구간의 중간 농도를 상기 제1 보간 다항식에 대입하여 이후 구간 중간값을 연산하는 중간값 연산단계;
상기 시험농도들, 상기 이전 구간의 중간 농도, 상기 이후 구간의 중간 농도를 포함하는 입력값들과 상기 측정 평균값들, 상기 이전 구간 중간값, 상기 이후 구간 중간값을 포함하는 출력값들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제2 보간 다항식을 생성하는 제2 보간 다항식 생성단계; 및
상기 제2 보간 다항식을 역변환하여 농도출력 교정함수를 생성하는 농도출력 교정함수 생성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보간 다항식 생성단계에서는, 상기 시험농도들, 상기 이전 구간의 중간 농도, 상기 이후 구간의 중간 농도를 포함하는 입력값들을 복수의 구간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구간별로 상기 제2 보간 다항식을 생성하기 위한 구간별 보간 다항식들을 생성하고, 상기 구간별 보간 다항식을 연결하여 상기 제2 보간 다항식을 생성하고,
상기 농도출력 교정함수 생성단계에서는, 상기 구간별 보간 다항식들을 역변환하여 구간별 역변환 함수들을 생성하고, 구간별 역변환 함수들을 연결하여 상기 농도출력 교정함수를 생성하는, 가스 검지기 출력 특성 자동 교정 방법.
Obtaining a measured average value for each test concentration by injecting a standard gas having monotonic increasing test concentrations into a gas detector to obtain measurement average values corresponding to the test concentrations;
A first interpolating polynomial generating step of generating a first interpolating polynomial expressing a relationship between the test concentrations and the measured average values;
A first interpolating polynomial output value calculating step of calculating first interpolation polynomial output values by substituting the test concentrations into the first interpolating polynomial;
A correction object interval extracting step of extracting a correction object interval in which a correction object density in which a maximum error occurs in the middle is in the middle of the measurement average values corresponding to the test concentrations and the error of the first interpolation polynomial output values;
Calculating a median value of the previous section by substituting the intermediate concentration of the previous section, which is a section between the correction target concentration and the lowest concentration of the correction target section, into the first interpolation polynomial, An intermediate value calculation step of calculating an intermediate value of the interval by substituting the intermediate density of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intervals into the first interpolation polynomial;
Wherein the test results include input values including the test concentrations, the intermediate concentration of the previous interval, and the intermediate concentration of the following interval, and output values including the measured average values, the previous interval interval, A second interpolating polynomial generating step of generating a second interpolating polynomial; And
And a density output calibration function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a density output calibration function by inversely converting the second interpolation polynomial,
In the second interpolating polynomial generation step, the input values including the test concentrations, the intermediate density of the previous section, and the intermediate density of the following section ar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and the second interpolation polynomial is divided And generating the second interpolation polynomial by concatenating the interpolation polynomials of each section,
Wherein the density output calibration function generation step generates the density output calibration function by inverting the interpolation polynomials of each section to generate the inverse inverse transform functions and connecting the inverse inverse transform functions to each other to generate the density output correction fun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농도별 측정 평균값 획득단계에서 획득되는 측정 평균값들은 전류값, 전압값, 전력값 중에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검지기 출력 특성 자동 교정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easurement average values obtained in the measurement average value acquisition step for each test concentration are one of a current value, a voltage value, and a power valu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간 다항식 생성단계에서 생성되는 제1 보간 다항식은 라그랑지 보간 다항식(Lagrange interpolation polynomial) 또는 네빌레 보간 다항식(Neville interpolation polynomial) 또는 뉴턴 보간 다항식(Newton interpolation polynomia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검지기 출력 특성 자동 교정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interpolating polynomial generated in the first interpolating polynomial generating step is a Lagrange interpolation polynomial or a Neville interpolation polynomial or a Newton interpolation polynomial. How to calibrate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prob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간 다항식 생성단계에서 생성되는 제2 보간 다항식은 라그랑지 보간 다항식(Lagrange interpolation polynomial) 또는 네빌레 보간 다항식(Neville interpolation polynomial) 또는 뉴턴 보간 다항식(Newton interpolation polynomia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검지기 출력 특성 자동 교정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interpolating polynomial generated in the second interpolating polynomial generating step is a Lagrange interpolation polynomial or a Neville interpolation polynomial or a Newton interpolation polynomial. How to calibrate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probe.
삭제delete
KR1020160178145A 2015-12-23 2016-12-23 Method of automatically calibrating sensor output characteristic of gas detector KR10198467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901 2015-12-23
KR20150184901 2015-12-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5670A KR20170075670A (en) 2017-07-03
KR101984671B1 true KR101984671B1 (en) 2019-07-05

Family

ID=59357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8145A KR101984671B1 (en) 2015-12-23 2016-12-23 Method of automatically calibrating sensor output characteristic of gas det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467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2903A (en) * 2021-11-18 2023-05-25 한국가스안전공사 Concentration value calculation method of gas detector using first-order equation for each section
KR20230096713A (en) 2021-12-23 2023-06-3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Calibration apparatus and calibration method for testing gas sens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4603B1 (en) * 2019-03-05 2020-10-13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of calibrating Difference of Individual Analog Sensor and using the same
KR102409396B1 (en) * 2020-04-21 2022-06-15 (주)이노링크 Gas detector and gas detector calibration method
KR102441849B1 (en) 2020-09-04 2022-09-08 한국표준과학연구원 Quantifying Method of Uncertainty of Measured Value by Close Match Span Calibration And The Apparatus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589B1 (en) 2007-02-02 2008-05-23 주식회사 과학기술분석센타 Method for extracting property of gas sensor output, and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gas density using it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avel Ripka and Alois Tipek, Modern Sensors Handbook, 2nd ed, 2007, pp. 49-82.
박규태 외., '라그랑지 보간을 이용한 적외선 가연성 가스누출검지기의 성능향상 연구', 정보 및 제어학술대회 논문집, 2013, pp. 1-2.
박규태 외., '방폭형 적외선 가연성가스 누출검지기 개발 및 정확도 향상 연구', 한국가스학회지, 제18권, 제3호, 2014, pp.1-12.*
박규태,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휴대용 가연성 가스검지기의 측정 정확도 향상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공학박사 학위논문, 2014.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2903A (en) * 2021-11-18 2023-05-25 한국가스안전공사 Concentration value calculation method of gas detector using first-order equation for each section
KR102653175B1 (en) * 2021-11-18 2024-04-02 한국가스안전공사 Concentration value calculation method of gas detector using first-order equation for each section
KR20230096713A (en) 2021-12-23 2023-06-3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Calibration apparatus and calibration method for testing gas sen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5670A (en) 2017-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4671B1 (en) Method of automatically calibrating sensor output characteristic of gas detector
DE502008003209D1 (en) METHOD FOR CALIBRATING A COORDINATE MEASURING DEVICE
EP3182086B1 (en) Exhaust gas measuring system
CN111998919B (en) Gas meter calibration method and device
CN116337783A (en) Multi-point calibration method and system for gas analyzer
CN103475369B (en) The high-precision ADC test of identification is disposably calibrated based on signal source error
CN112946560A (en) Electric energy meter calibration method and device, electric energy meter and electric energy meter system
KR20180006527A (en) Automatic Calibration Gas Concentration Measurement Method Using the Standard Gas Concentration
CN102684696A (en) Test apparatus and test method for a/d converter
CN104458630B (en) A kind of data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of ultraviolet difference gas analyzer
KR20200071027A (en) A method for calculating calibration equation of a gas sensor
JP2007218809A (en) Material testing machine
KR20090011396A (en) Calibration method for current-driven sensor and the apparatus thereof
TWI497374B (en) Baseline calibration for touch panel and system thereof
KR10100346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requency measurement based on modified zero-crossing
US20130282332A1 (en) Method of obtaining linear curve fitting conversion equation for use with non-linear measurement system
KR102653175B1 (en) Concentration value calculation method of gas detector using first-order equation for each section
CN108345573B (en) Differential expansion determining function calculation method for differential expansion measuring probe of high-pressure cylinder of steam turbine
KR20230073414A (en) Concentration value calculation method of gas detector
CN113687125A (en) Offset voltage correction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onal amplifier in current detection circuit
JP2013024808A (en) Measuring apparatus and measuring method
Urzędniczok A numerical method of correcting the influence of the additional quantities for nonselective sensors
RU2199088C1 (en) Method for correcting static characteristics of measuring transducers
Wang et al. Evaluation of measurement uncertainty based on monte carlo method
CN110554350B (en) Calibration method of measur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