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4367B1 - 통신 디바이스들, 시스템들 및 방법들 - Google Patents

통신 디바이스들, 시스템들 및 방법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4367B1
KR101984367B1 KR1020167024030A KR20167024030A KR101984367B1 KR 101984367 B1 KR101984367 B1 KR 101984367B1 KR 1020167024030 A KR1020167024030 A KR 1020167024030A KR 20167024030 A KR20167024030 A KR 20167024030A KR 101984367 B1 KR101984367 B1 KR 101984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ceiver
noise
signal
reference noise
rv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4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7540A (ko
Inventor
블라디미르 옥스먼
Original Assignee
란티크 베테일리궁스-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란티크 베테일리궁스-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란티크 베테일리궁스-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60117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7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4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4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02Details
    • H04B3/46Monitoring; Testing
    • H04B3/487Testing crosstalk eff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02Details
    • H04B3/32Reducing cross-talk, e.g. by compensa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02Details
    • H04B3/46Monitoring;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8Formatting
    • H04L1/003Adaptive formatting arrangements particular to signalling, e.g. variable amount of b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2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using signal quality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49Demodul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04L5/0046Determination of how many bits are transmitted on different sub-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Quality of the received signal, e.g. BER, SNR, water f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26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only
    • H04L27/2627Modu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Abstract

비트 로딩을 계산하기 위해 참조 가상 잡음을 사용하는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이 제시된다.

Description

통신 디바이스들, 시스템들 및 방법들{COMMUNICATIO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본 출원은 통신 디바이스들, 시스템들 및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가입자 회선(Digital Subscriber Line, DSL) 통신 기법들이 데이터 서비스들, 예를 들어 인터넷 접속을 고객들에게 제공하기 위해 종종 사용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DSL이란 용어는 ADSL, ADSL2, VDSL, VDSL2 또는 또한 신흥 G.fast 같은 복수의 이른바 DSL 변종들 중 임의의 것을 커버하는 것이다.
디지털 가입자 회선 기술은, 모든 그것의 역사 동안, 고객에게 더욱 광대역 서비스들을 전달할 목적으로 비트 레이트를 증가시키는 것을 시도하였다. 실제 중앙 오피스(Central Office)(CO)로부터 고객 구내(customer premises)(CPE)로 전개된 구리 루프들(copper loops)은 꽤 길고 수 Mb/s를 초과하는 비트 레이트들을 이용하는 데이터의 송신을 통상 허용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고객 이용가능 비트 레이트들을 증가시키기 위해, 현대의 액세스 네트워크들은 거리 캐비닛들(street cabinets), MDU(mains distribution unit) 캐비닛들, 및 유사한 배열체들을 사용하고: 그 캐비닛은 고속 섬유 통신 회선, 예컨대, 기가비트 수동형 광 네트워크(gigabit passive optical network)(GPON)에 의해 중앙 오피스에 접속되고 고객 구내에 가깝게 설치된다. 이들 캐비닛들로부터, 고속 DSL 시스템들, 이를테면 초고속(Very-High-Bit-Rate) DSL(VDSL2)이, CPE에의 접속을 제공한다.
단순화를 위해, 다음에서의 "중앙 오피스" 또는 "중앙 오피스 장비"라는 용어는 실제 중앙 오피스, 즉, 제공자의 중앙 로케이션뿐만 아니라, 제공자 측의 모든 다른 장비, 예를 들어 위에서 언급된 거리 캐비닛들 또는 MDU 캐비닛들과 디지털 가입자 회선 접속 다중화기들(digital subscriber line access multiplexers)(DSLAMS) 같은 다른 장비도 지칭하는데 사용될 것이다.
소비 전력이 캐비닛 전개들에 대한 핵심 문제들 중 하나이다. DSL 회선들의 대부분이 상시 접속(always on)이므로, 그 DSL 회선들은, 고객이 그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상관없이, 전력을 항시 소비한다.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특히 그 회선이 적극적으로 사용되지 않거나 또는 감소된 비트 레이트와 함께 사용되는 시간 동안 송신 전력을 감소시키는 전력 절감의 기법들이 필요하다.
전력을 감소시키는 한 가지 확실한 방도는 사용되는 DSL 모뎀을 스위치 오프하는 것이고, (CPE 측의) 고객들은 그것을 하는 것을 환영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고객들은 자신들의 DSL을 스위치 오프하지 않고, DSL 시동을 위한 긴 대기 시간(특히 벡터링된 VDSL2 시동의 경우 60~90 초까지 지속될 수도 있음)을 피하기 위해 심지어 야간 시간에도 회선을 유지하고 있다. 동일한 이유로 하루 동안 더 짧은 중지들(스위치 오프 기간들)에 의해 이 방도로 전력을 절약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ITU-T 권고 G.922.3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ADSL2에서 현재 사용되는 이른바 "저 전력 모드"가 어느 시점에 VDSL2에 대해 또한 제한되었다. 이 ADSL 저 전력 모드로, 모뎀이 들어오는 데이터 트래픽을 모니터링하고 요구된 비트 레이트가 실질적으로 떨어질 때 낮은 송신 전력 및 낮은 비트 로딩으로 바뀐다. 서비스 비트 레이트가 높은 값들로 다시 돌아올 때, 모뎀은 저 전력 모드에서 퇴장하고 정상 동작으로 복귀한다. 이 방법은 꽤 효율적인데, 모뎀의 소비 전력이 송신 전력의 값에 상당히 의존하기 때문이다.
데이터의 손실을 피하기(프로세스 무결절성을 유지하기) 위해, ADSL2에서의 저 전력 모드로부터의 퇴장은 매우 빨라야 하고; 그렇지 않으면 들어오는 데이터가 모뎀의 버퍼를 오버플로우하여 손실될 수도 있다. 이는 다수의 서비스들을 수용하는 매우 높은 비트 레이트를 제공하는 VDSL2에서의 경우만은 아니다. VDSL2 회선(예컨대, 회선에 커플링된 모뎀들)이, 예컨대 특정 서비스의 시작으로 인해 저 전력 모드로부터 전환할 때, 제공된 용량의 부분만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저 전력 모드(L2 상태라고 지칭됨)로부터 정상 동작(L0 상태라고 지칭됨)으로의 전환은, VDSL2 표준에의 추가사항으로서, 여러 단계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다-단계 퇴장).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은 ADSL에서 사용되는 저 전력(L2) 모드의 단점이, 사용되는 통신의 비-정상(non-stationary) 거동으로 인해 문제들이 발생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회선이 L2로 가려고 할 때, 이 회선이 다른 회선들 속으로 발생시키는 누화(crosstalk)는 감소하고 다른 회선들은 이 누화 감소를 이용하여 자신들의 비트 레이트들을 증가시킨다. 그 회선이 정상 동작으로 신속하게 되돌아갈 때, 이 회선에 의해 생성된 누화는 갑자기 증가하며, 이는 다른 회선들의 성능을 상당히 감소시키고 심지어 그 다른 회선들이 동기화를 놓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저 전력 모드는 불안정 접속을 유발할 수도 있다.
위에서 언급된 VDSL2 저 전력 모드에서 제안된 다-단계 퇴장은 이 문제를 부분적으로 해결하는데, 이는, L2로부터 L0로 복귀하는 회선이 다수의 단계들에 의해, 매번 전력 스펙트럼 밀도(power spectral density)(PSD)의 작은 증가(3-5 dB)에 의해 다-단계 퇴장을 수행하는 반면, 단계들 간의 시구간들은 다른 시스템들이 온라인 재구성(on-line reconfiguration)(OLR)을 수행하는 것을 허용하고 따라서 PSD 증가 단계로의 그 시스템들의 비트 로딩을 수용하도록 설정되기 때문이다. 문제는 현재 정의된 OLR 절차들로는, 단계들 간의 시간은 꽤 길어(약 30~40 초) 정상 동작(L0)으로의 더 빠른 전환이 요구되는 일부 경우들에서 불편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비-정상 잡음에 의해 유발되는 다른 문제는 케이블 바인더에서의 상이한 회선들이 L2로부터 L0로 그리고 L0로부터 L2로 전환할 때, 동일한 케이블 바인더에서의 회선들이 누화를 통해 서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으므로, 각각의 회선 속으로 생성되는 전체 누화는 변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하나의 회선이 L2로부터 L0로 전환하는 동안 모든 다른 회선들이 L2 모드에 있을 때, 이 회선에는, 낮은 SNR에 기초하여, 매우 높은 비트 로딩이 배정될 수도 있다. 게다가, 하나 이상의 회선들이 L2로부터 L0로 전환하기로 결정할 때, 이는 첫 번째 회선 속으로 높은 누화가 생성되는 것을 초래할 것이며, 이는, 초기에 선택된 비트 로딩이 이 누화로 인해 더 이상 지원될 수 없다면, 첫 번째 회선의 장애를 유발할 수도 있다. 과도한 누화의 다른 소스가 L2 동안 비활동으로 설정되는 톤들일 수도 있다 - 이들 톤들이 (예컨대, 퇴장 절차의 제1 단계에서) 원상태로 회복될 때, 그 톤들은 L0 회선들, 즉, 정상 동작하고 있는 다른 회선들을 심각하게 교란시킬 수도 있다 - 는 것이 지적되었다.
비-정상 잡음을 극복하기 위해 두 가지 기법들이 제안되었다:
1. 이른바 COMB 신호의 사용. 이 방법에 의해, 저 전력 모드(예컨대 L2)와 전(full) 전력 모드(예컨대 L0) 둘 다에서 변경 없이 송신되는 톤들의 미리 결정된 세트가 있지만, 모든 다른 톤들은 상당히 감소된 전력을 갖는 저 전력 모드에서 송신된다. 이러한 지정된 "상시 접속" 톤들은 모뎀의 실제 전력 관리 상태에 무관하게 전 전력에서 송신된다. 이 접근법으로, 이웃하는 회선들은 "상시 접속" 톤들에 의해 생성된 저 전력 모드에서의 회선으로부터의 누화를 이들 톤들에 대한 SNR(신호 대 잡음 비) 측정값에 기초하여 평가하고, 감소된 전력으로 현재 송신되는 다른 톤들에 대한 SNR을 (보간 또는 외삽에 의해) 추정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매 10번째 톤을 모니터링하는 톤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COMB 신호의 사용은 비-정상 누화의 영향의 완화를 허용하는데, 회선들이 L0 상태에 있는지 또는 L2 상태에 있는지에 모니터링하는 톤들에 대한 SNR이 의존하지 않기 때문이다.
COMB 시스템의 단점은 그 시스템이 모든 회선들(이것들은 일부 톤들이 RFI 또는 브리지된 탭들로 인해 일부 회선들에서 이용 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작동하지 않음) 상의 톤들을 모니터링하는 동일한 표준을 적용하는 것 또는 어떤 모니터링하는 톤들이 사용될 것인지에 대해 바인더에서 모든 VDSL2 회선들 간을 조정하는 것(이는 언번들링된 환경(unbundled environment)에서 가능하지 않음) 중 어느 하나를 요구한다는 것이다. 그밖에:
- 보간을 사용한 SNR의 추정은 브리지 탭들로 인해 루프 전달 함수에서의 협대역 잡음 또는 노치들의 경우 부정확하며;
- 모니터링하는 톤들 간의 충분히 정확한 SNR 추정을 위해 너무 많은 톤들이 액티브로 있어야만 하기 때문에 성취 가능한 절전들은 제한된다.
COMB 동작을 개선하기 위해, 다른 제안은 선택된 톤들을 하나의 심볼에서부터 다른 심볼로 회전시켜서, 모든 심볼들에서 측정된 평균 SNR이 모든 톤들을 위한 것이 되게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 방법은 매우 긴 평균화 시간을 요구하고 (슈퍼프레임들이 동기화되지 않고 SNR의 추정을 위해 너무 긴 시간이 요구되기 때문에) 몇몇 시스템들만이 참여하고 있다면 잘 작동하지 않는다.
2. 비트 로딩이 설정될 때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수신기가 일부 잡음 오프셋 값을 적용하는 것을 요구하는 가상 잡음(Virtual Noise)(VN)의 사용. ITU-T 권고 G.993.2는 초기화 동안 적용될 송신기-관련 및 수신기-관련 VN을 정의했다. VN의 사용은 비트 로딩 계산에서 일정한 정상 잡음 성분을 야기함으로써 잡음의 비-정상 성분의 영향을 감소시킨다.
VN의 단점은, 오랜 실제 경험이 보여주는 바와 같이, 그것의 세팅이 사용자에게 문제가 되고(사용자는 VN의 어떤 적절한 값을 선택해야 함) VN은 특정 회선의 실제 실태를 해결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VN은 정당하지 않은 성능 손실을 종종 유발하고 더 많은 송신 전력을 요구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수신기 측 및/또는 송신기 측에서 결정될 수도 있는 참조 가상 잡음(reference virtual noise)을 사용하는 기법들이 제시된다. 참조 가상 잡음은 비트 로딩의 계산들에 추가될 수도 있다. 참조 가상 잡음은, 일부 실시예들에서, 종종 임의적인,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이전에 언급된 기존의 가상 잡음(VN)보다 더욱 현실적인 값을 제공할 수도 있는 실제 잡음 측정들에 기초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들 실제 잡음 측정들은 초기화 및 쇼타임 둘 다 동안 수행될 수도 있고 쇼타임 동안 필요한 대로 업데이트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실제 잡음 측정들은 초기화 동안에만 또는 쇼타임 동안에만 수행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참조 가상 잡음을 생성하는 단계와 참조 가상 잡음에 기초하여 비트 로딩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수신기를 포함하며, 그 수신기는 회선 상의 실제 잡음 측도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측정된 잡음 값을 송신기에 송신하고 송신기로부터 참조 가상 잡음을 수신하는 것; 또는 측정된 잡음에 기초하여, 예컨대, 국부적으로, 참조 가상 잡음을 계산하는 것 중 하나를 행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통신 회선을 통해 잡음 측정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와 통신 회선들을 통해 참조 가상 잡음을 송신하는 송신기를 포함하는 그리고 참조 가상 잡음이 잡음 측정에 기초하고 있는 통신 디바이스가 제공될 수도 있다.
위의 발명의 내용은 일부 실시예들의 일부 양태들 및 특징들에 대한 단지 짧은 개요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고 제한으로서 해석되지 않는다. 특히, 다른 실시예들이 위에서 열거된 것들과는 다른 특징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예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시버를 예시한다.
도 3은 기존의 표준들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정상 동작 및 저 전력 모드 간의 다-단계 전환을 예시한다.
도 4는 기존의 표준들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저 전력 모드들의 사용을 예시한다.
도 5는 내지 도 7은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의 흐름도들을 예시한다.
다음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이들 실시예들은 예증하는 목적들만으로 제공되고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이 복수의 특징들 또는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설명될 수도 있지만, 다른 실시예들에서 이들 특징들 또는 엘리먼트들의 일부는 생략될 수도 있고 그리고/또는 대안적 특징들 또는 엘리먼트들에 의해 대체될 수도 있다. 더욱이,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면들에서 명시적으로 도시되고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것들 외에도 추가적인 특징들 또는 엘리먼트들이 제공될 수도 있다.
상이한 실시예들의 특징들 또는 엘리먼트들이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추가의 실시예들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조합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 중 하나에 대해 설명되는 수정들 및 변형들이 다른 실시예들에 또한 적용 가능할 수도 있다.
블록들, 엘리먼트들, 디바이스들 등 사이의 임의의 접속들 또는 커플링들은, 예를 들어 특정 종류의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또는 특정 종류의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접속 또는 커플링의 일반적인 목적이 본질적으로 유지되는 한, 직접 접속들 또는 커플링들, 즉, 추가적인 개재 엘리먼트들들이 없는 접속들, 또는 간접 접속들 또는 커플링들, 즉,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개재 엘리먼트들을 갖는 접속들 또는 커플링들일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비-정상 잡음을 완화시키고, 따라서 회선들(L2 회선들 및 L0 회선들 양쪽 모두) 간에 상당한 외란 없이, L2 모드 안밖에서 유연한 전환을 제공할 수 있는 방법들 및 대응 디바이스들이 제공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른바 참조 가상 잡음(RVN)이 사용될 수도 있는데, 이 잡음은 수신기(예컨대 CPE 수신기)에 의해 (어쩌면 송신기, 예컨대 CO 측 송신기의 지원을 받아) 생성될 수도 있고, 예컨대 쇼타임 동안, 회선에서의 잡음의 실제 레벨을 반영할 수도 있다. 새로운 회선들이 바인더에 들어가고 있을 그리고/또는 회선들이 감소할 시, RVN의 값은 시스템 동작 동안 업데이트될 수도 있다. 비트 로딩을 결정할 때 RVN을 적용하는 것에 의해, L2 모드 및 L0 모드 동안 둘 다에서, 수신기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비-정상 잡음을 실질적으로 완화시킬 수도 있다. RVN의 레벨이 케이블 바인더에서의 특정한 조건들을 충족시킬 수도 있고, 따라서 최소 성능 손실이 일부 실시예들에서 보장될 수도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예시한다. 도 1의 실시예는 중앙 오피스 측 통신 디바이스(10)를 포함하는데, 이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중앙 오피스, 거리 캐비닛, DSLAM, MDU 캐비닛 등에 위치될 수도 있다. 그 통신 디바이스는 총칭하여 트랜시버들(11)이라 하는 복수의 트랜시버들(11_1 내지 11_N)을 포함한다. 트랜시버들(11)의 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특정 적용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트랜시버들(11)은 총칭하여 통신 회선들(13)이라고 하는 각각의 복수의 통신 회선들(13_1 내지 13_N)을 통해, 총칭하여 CPE 트랜시버들(14)이라고 하는 각각의 복수의 고객 구내 장비CPE) 트랜시버들(14_1 내지 14_N)과 커플링된다.
통신 회선들(13)은 예를 들어 구리 회선들, 예를 들어 연선(twisted pair) 회선들일 수도 있다. 트랜시버들(11)은 트랜시버들(14)과 예를 들어 VDSL2 또는 G.fast 같은 DSL 통신 기법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도 있다.
트랜시버들(11, 14)은 송신될 데이터가 없거나 거의 없을 때 저 전력 모드로 진입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저 전력 모드 진입 및 퇴장에 대한 예들은 나중에 설명될 것이다. 더구나, 통신 회선들(13)은 서로 가까이 있어, 예를 들어 공통 케이블 바인더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이는 그 통신 회선들이 누화하기 쉽게 하며, 즉, 통신 회선들(13) 중 하나의 통신 회선에서 송신되는 신호들은 통신 회선들(13) 중 하나 이상의 다른 통신 회선들에서 송신되는 신호들에 영향을 미칠(그 신호들을 변화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누화의 영향들을 완화시키기 위해, 통신 디바이스(10)는, 트랜시버들(11)에 의해 송신된 신호들의 합동 프로세싱 또는 트랜시버들(14)로부터의 디바이스(10)에서 수신된 신호들의 합동 프로세싱에 의해 누화를 감소시키는 벡터링 디바이스(12)를 포함할 수도 있다. 벡터링은 예를 들어 VDSL2의 경우 ITU-T 권고 G.993.5에 의해 표준화된 기법이고 그러므로 상세히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벡터링 디바이스(12)는 생략될 수도 있다. 다르게 말하면, 본원에서 논의된 바와 같은 참조 가상 잡음을 사용하는 기법들은 벡터링과 함께 또는 벡터링 없이 사용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에서, 트랜시버들(11) 및/또는 트랜시버들(14)은, 톤들이라고도 또한 지칭되는 복수의 캐리어들 상으로 데이터가 변조되는 이산 멀티톤 변조(discrete multitone modulation) 기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DMT 변조 기법들은 많은 DSL 시스템들에서 사용된다. 각각의 톤 상에, 하나 이상의 비트들이 "로딩될" 수도 있다. 각각의 톤 상에 로딩된 비트들의 수는 예를 들어 이른바 비트 로딩 테이블에서 제공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비트 로딩은 각각의 톤 상으로 로딩될 비트들의 수를 결정하는 프로세스를 지칭할 수도 있는 반면, 그것의 비트들의 수 또는 가능한 최대값은, 예를 들어, 누화 또는 다른 잡음 유형들에 의존할 수도 있다. 비트 로딩은 동작 모드, 예컨대 정상 모드 또는 저 전력 모드에 따라 또한 달라질 수도 있다.
실시예들에서, 회선들(13)의 수신기 측에서(예를 들어 하류 방향, 즉, 디바이스(10)로부터 트랜시버들(14)로의 방향에 대해 CPE 트랜시버들(14)에서, 또는 상류 방향, 즉, 트랜시버들(14)로부터 디바이스(10)로의 통신 방향에 대해 트랜시버들(11)에서), 참조 가상 잡음(RVN)이, 예컨대 실제 측정들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는데, 이는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이 참조 가상 잡음은 비트 로딩을 결정할 때 고려될 것이다. 이는 비-정상 잡음에 의해 유발된 부정적 영향들을 완화시킬 수도 있는데, 그렇지 않으면 비-정상 잡음에 의한 부정적 영향들이 통신 회선들(13) 중 하나가 절전 상태(예를 들어 L2 상태)로부터 정상 동작으로 전환하는 경우 발생할 수도 있다. RVN은 비-정상 잡음의 다른 경우들을 또한 해결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시버(20)를 예시한다. 트랜시버(20)는 예를 들어 도 1의 트랜시버들(11) 또는 트랜시버들(14) 중 어느 하나를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트랜시버(20)는 송신기(21)와 수신기(22)를 포함한다. 송신기(21)와 수신기(22)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참조 잡음 첨가 회로(23)를 제외하면, 임의의 기존의 송신기 또는 수신기로서 구현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푸리에 변환 또는 역 푸리에 변환을 위한 필터들, 변조기들, 복조기들, 증폭기들, 디바이스들 또는 송신기들 또는 수신기들을 위한 임의의 다른 기존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참조 잡음 첨가 회로(23)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바와 같이, 참조 가상 잡음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공되고, 그리고/또는 비트 로딩을 결정할 때 참조 가상 잡음을 추가 또는 그렇지 않으면 고려할 수도 있다. 이런 식으로, 동작의 저 전력 모드로부터 정상 모드로 전환하는 회선의 영향들은 일부 실시예들에서 완화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RVN의 사용은 비-정상 잡음의 다른 유형들의 영향들을 완화시킬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대한 근거로서, 배경기술 구역에서 언급된 바와 같은 그리고 대량의 트래픽이 존재하는 때에 신호 송신 전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성취되는 저 전력 모드(L2)가 사용될 수도 있다. 저 전력 모드로 전환할 때의 송신 전력의 감소는 하나 이상의 단계들에서 수행될 수도 있으며: 각각의 단계에서 송신 전력은 감소되고 비트 레이트(비트 로딩)는 그에 따라 감소된다. 정상 동작 상태 L0(고 전력)로부터 저 전력 상태 L2로의 완전한 전환의 일 예가 도 3에 제시되어 있다.
높은 트래픽이 발생할 때, 시스템은 다수의 단계들을 다시 사용하여 L2로부터 다시 L0로 전환할 수도 있다. L2에 진입하기 위한 그리고 L2로부터 퇴장하기 위한 단계들의 수는 보통 동일하지만, 이것이 반드시 그런 경우일 필요는 없다. 시스템은 트래픽이 변화한다면 그에 따라 자신의 L2로의 전환 동안 다시 L0로 퇴장할 수도 있다.
도 3은 하나 이상의 중간 저 전력 모드들(L2.1)을 통해 정상 모드(L0)로부터 저 전력 모드(L2.2)로의 및 그 역으로의 전환을 위한 일 예를 예시한다. 도 3을 참조하여 논의된 바와 같은 그리고 실시예들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서의 저 전력 모드들은, 적용 가능한 DSL 표준들, 예컨대 ITU-T G.993.2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저 전력 모드들에 대응할 수도 있고, 그러므로 더 상세히 논의되지 않을 것이다. 특히, 도 3에서의 곡선(30)이 시간 경과에 따른 통신 회선에 대한 전력 스펙트럼 밀도(PSD) 레벨을 예시한다. PSD는 먼저, 채널 발견에서 사용되는 레벨로부터 정상 동작(L0)에서 사용되는 레벨로 떨어진다. 저 전력 모드로의 전환이 이루어질 때, 도 3의 예에서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네 개의 단계들에 속하고, 도 3의 예에서의 각각의 단계 사이즈는 동일한 ΔPSD이다. L0로 되돌아가는 전환은 유사한 방식으로 발생한다. 네 개의 단계들의 수는 예증하는 예로서만 제공되고, 단계들의 임의의 수가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더구나, 단계들의 각각에 대한 단계 사이즈들은 동일할 필요는 없다.
회선이 저 전력 모드(예를 들어 도 3에서의 L2.2)로부터 정규 모드(예를 들어 도 3에서의 L0)로 전환할 때, 회선의 송신 전력은 (도 3에서와 같은 또는 임의의 다른 방식에서와 같은 계단식으로) 증가한다. 이는 다른 회선들(정규 모드에서의 회선들 및 저 전력 모드에서의 회선들 양쪽 모두)의 성능에 영향을 줄 수도 있는, 전환하는 회선으로부터 다른 회선들로의 누화가 또한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및 도 2을 참조하여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은 그리고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바와 같은 참조 가상 잡음의 사용은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러한 악 영향들을 완화시키는 것을 도울 수도 있다. 참조 가상 잡음의 개념을 더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추가의 예시 목적들을 위해 도 4는 정상 모드(L0), 저 전력 모드들(L2.1 및 L2.2), 및 파워 다운 모드(L3)(회선 인액티브) 사이의 전환들을 도시하는 상태도를 예시한다. 이러한 전환들은 예를 들어 위에서 언급된 ITU-T 권고 G.993.2에서 정의된다.
상태 40은 초기화 상태를 예시한다. 초기화 후, 회선은 정규 모드에 연관된 상태(41), 예를 들어 L0로 진입한다. 예컨대 트래픽의 변경들에 기초하여, 그 회선은 상태 41과, 예를 들어 각각 L2.1 및 L2.2에 연관되는 저 전력 모드들(43, 44) 사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상태들(43 및 44)에서, 여전히 데이터는 송신될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상태 41에서보다는 더 적은 데이터가 송신될 수도 있다. 상태들(41, 43 및 44) 사이의 전환들은 그러므로, 예를 들어 트래픽으로 인해 그리고/또는 이용 가능한 공급 전압에서의 변경들로 인해, 저 전력 모드 상태들로 그리고 그러한 저 전력 모드 상태들로부터 전환된다.
회선이 비활성화될 때, 회선은 이른바 L3 모드(파워 다운)에 연관될 수도 있는 상태 42로 전환할 수도 있으며, 이 상태에서 데이터는 송신되지 않고 대응하는 수신기, 송신기, 또는 트랜시버는 턴 오프될 수도 있다. 회선이 다시 활성화될 때, 그 회선은 상태 42로부터 이미 언급된 초기화 상태 40으로 전환한다.
다음으로,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참조 가상 잡음의 첨가가 더 상세히 논의될 것이다. 실시예들의 일부는,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이미 논의된 바와 같은 참조 가상 잡음을 첨가함으로써,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논의된 바와 같은 저 전력 모드들 또는 벡터링을 사용하는 시스템들 및 디바이스들에서 구현될 수도 있지만, 이러한 시스템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설명 목적으로, 하나는 중앙 오피스(CO), 캐비닛 등에 있고 하나는 고객의 구내(CPE)에 있는 두 개의 트랜시버들이, 다중-쌍 케이블의 한 쌍(예컨대 연선)에 의해 접속되고 데이터 송신을 시작하였다(쇼타임에 있다)고 가정된다. 이러한 트랜시버들에 대한 예들은 도 1의 트랜시버들(11) 중 하나의 트랜시버와 함께 도 1의 트랜시버들(14) 중 연관된 하나의 트랜시버이다. 단순화를 위해, 처음에는 오직 하류 방향으로(중앙 오피스 측에서부터 CPE 측으로) 따라가는 설명이 고려되는데, 이는 많은 적용에서 절전 관점에서 더욱 중요하다. 그러나, 본원에서 논의되는 기법들은 매우 유사한 방식으로 상류 방향에 또한 적용될 수도 있고, 일부 실시예들에서의 상류와 하류 사이의 차이들은 아래에서 더 설명될 것이다.
쇼타임 동안, 일 실시예에서 CPE에서의 수신기는 인접한 케이블 쌍들로부터의 누화, 회선의 배경 잡음, 및 자체 잡음 플로어(noise floor)에 의해 유발된 실제 총 잡음을 측정한다. 이 측정으로부터, 그 예들이 나중에 주어질 미리 정의된 일부 규칙들을 사용하여, 수신기는 수신기에서의 실제 총 잡음을 반영하는 그리고 실시예들에서 측정 시에 수신기에 의해 실제로 사용되는 비트 로딩 및 SNR 마진을 계산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는 "참조 잡음 패턴"을 생성한다. 이 참조 잡음 패턴의 측정된 잡음 값들(dBm/Hz 단위)로부터, 일부 실시예들에서 CPE에서의 수신기는 주파수의 함수인 "참조 가상 잡음"(RVN)이라고도 지칭되는 잡음 지수(noise figure)를 생성한다. 이 경우, RVN을 생성하는 규칙들(표준에서 정의되거나 또는 CO에서 시스템 관리에 의해 결정됨)은 CPE에 제공되어야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RVN은 이 목적을 위해 CPE에서 수행된 실제 잡음 측정들에 기초하여 CO에서 관리 시스템에 의해 결정되며, CPE는 CO에게 측정된 실제 잡음을 전송할 것이다.
RVN의 값은 VDSL2 수신기-관련 가상 잡음(ITU-T 권고 G.993.2 참조)에서 현재 정의된 바와 어느 정도 유사하게, 비트 로딩을 계산하기 위해 수신기에 의해 추가로 사용된다. 그러나, 기존의 접근법에 대한 차이는, G.993.2에서 현재 정의된 가상 잡음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고 초기화 시에 적용되는 MIB 파라미터인 반면, RVN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실제 측정 및 정의된 규칙들에 기초하여 쇼타임에서 생성된다는 것이다.
실시예들에서의 RVN이 각각의 CPE에 대해 쇼타임 동안 독립적으로 생성되고 L0, L2, 및 중간 상태들 동안(L0로부터 L2로 및 그 역인 L2로부터 L0로의 전환 동안) 이 회선의 비트 로딩 및 다른 관련 송신 파라미터들을 설정하는데 적용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을 수도 있다:
- 실제 잡음이 RVN 미만이면, RVN은 비트 로딩을 정의하는데 적용되며;
- 실제 잡음이 RVN 이상이면, RVN은 무시된다(그리고 비트 로딩은 실제 잡음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따라서, 모든 상태들에서의 모든 비트 로딩 설정들은 동일한 참조 잡음 레벨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RVN이 적절히 선택된다면, 회선이 전환하는 상태가 어떤 상태인지와 바인더의 다른 회선들이 현재 어떤 상태에 있는지에 상관 없이, 비트 로딩은 모든 다른 회선들이 L0 모드에 있을 때 시나리오에 항상 대응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따라서, 문제들이 비-정상 잡음으로 인해 발생하지 않고 임의의 순서로의 상이한 회선들의 L2 상태로부터 L0 상태로의 빠른 전환들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원하는 확률로 획득된 총 잡음 지수의 상부 경계가 측정되는 것이 가능하다면, 적절히 설정된 RVN이 다른 비-정상 잡음들을 완화시킬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의 RVN의 값은 각각의 회선 상의 링크가 쇼타임으로 전환한 후에 확립될 수도 있고, 새로운 회선들이 바인더에 들어가거나 또는 일부 회선들이 바인더를 떠난다면 업데이트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에서 모든 회선들을 업데이트하는 직접적인 방법이 모든 회선들을 L0 모드로 되게 하는 것이다. 하나의 가능성은 가끔 그리고 각각의 CPE가 자신의 참조 잡음 레벨 Ref_Noise(f)를 측정할 때마다 잠시 모든 회선들을 L0로 전환하는 것이다. 게다가, 이 값으로부터 관리 시스템이 RVN의 값을 계산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의 쇼타임으로의 전환의 조정은, 정확한 시간 정렬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언번들링된 환경들에서도 쉽사리 수행될 수 있으며: 하루 중 시간(time-of-day)(ToD) 시간 스탬프들 또는 다른 글로벌 동기화 신호들을 사용하는 것이 일부 실시예들에서 충분할 수 있다(예컨대, L2에 있는 모든 회선들은 참조 잡음 레벨을 측정하기 위해 야간의 2am에 10분 동안 L0로 전환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RVN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다른 가능성은 자신의 지속되는 최대 값을 선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신기는 잡음 레벨에서의 변경이 검출될 때 RVN을 측정하고, 더 높은 잡음 레벨이 검출될 때 RVN의 값을 그에 따라 업데이트한다. 따라서, 반복들에 의해, 수신기는 최대 잡음 값(이는 예컨대 모든 회선들이 L0에 있을 경우에 대응한다)을 획득한다.
위에서 언급된 RVN의 업데이트들은 (예컨대, 바인더에서의 모든 회선들의 다양한 파라미터들, 이를테면 루프 감쇠, QLN, 누화 커플링 등을 수집하고 예상되는 RVN을 사전 계산하는 원격 관리 시스템에 의해) 가상적으로 또한 행해질 수도 있다.
하류 방향에서, 시스템 동작의 제어를 (CO에서의) 송신기에게 맡기는 것이 종종 유익하다. 원한다면, CPE에서 수신기는 잡음을 그냥 측정하고 이 원시(raw) 데이터를 송신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언급의 편의를 위해, 데이터 전송의 방향에 대응하여, 예를 들어 하류 방향에서 CO 측은 송신기라고 지칭되고 CPE 측은 수신기라고 지칭된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위에서처럼, 수신기가 무엇인가를 송신기로 전송하는 것으로서 설명될 때, 실제로 CPE 측의 송신기가 CO 측에서의 수신기에게, 예를 들어 하류 송신의 백채널(backchannel) 및/또는 eoc 채널을 통해 송신하는 것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DSL 또는 유사한 시스템들에서 보통은 트랜시버들이 CO 측 및 CPE 측 둘 다에 제공된다. 송신기는, 결국, RVN(이는, CO에서 관리 시스템에 의해 사용되는 규칙들에 의존하여, CPE 수신기에 의해 측정된 실제 잡음보다 더 낮거나 또는 더 높을 수도 있음)을 생성할 수 있다. 송신기는 다양한 유형의 평균 또는 외삽을 사용하여, 예컨대, (증가된 안정성을 대가로 성능 저하를 감소시키기 위해) 실제 잡음보다 더 낮은 또는 (더 많은 시스템들이 바인더에 결합할 것으로 예상된다면) 실제 잡음보다 더 높은 RVN을 사용하여 RVN을 또한 생성할 수도 있다. RVN 생성이 수신기에서 일어난다면 유사한 기법들이 RVN을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송신기(CO에서임)가 하나의 링크 상태로부터 다른 링크 상태로의 전환을 요구할 때, 그 송신기는 이 전환을 위해 사용될 RVN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송신기는 하나를 초과하는 RVN을 유지하고 그런 RVN을 적절히 사용할 수도 있다. CO에서 관리 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RVN의 값은 (비트 로딩 및 다른 송신 파라미터들의 계산을 위해) CPE에게 전달되며; 이 통신은 임베디드 동작 채널(embedded operations channel)(eoc) 또는 CO와 CPE 관리 시스템들 간에 확립된 임의의 다른 채널을 통해 행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RVN의 값은 다음의 규준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도 있다:
- 회선의 비트 로딩이 RVN에 기초하여 선택될 때, 바인더의 다른 회선들에서의 송신 PSD의 임의의 변경들(예컨대, L2로부터 L0로의 그리고 되돌아가는 전환)은 정의된 타겟 SNR 마진(G.993.2 또는 G.998.4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TARSNRM)을 넘어서는 누화의 증가를 유발하지 않을 것이다.
실시예들에서의 RVN의 생성은, (CPE에 의해, CO의 지원을 받아 또는 그러한 지원 없이) 자동으로 또는 CO-MIB의 제어 하에(예컨대, CO-MIB는 RVN이 실제 측정된 잡음으로부터 어떻게 생성되어야 하는지 규칙들을 제공함) 중 어느 하나로, 또는 CO에서의 시스템 관리에 의해 자동으로 행해질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MIB는,구현예 및 특정 전개 시나리오에 의존하여, 잡음 측정들, PSD 설정들, 루프 감쇠 측정들, 및 바인더에서의 다수의 회선들로부터의 다른 데이터를 사용하는 원격 관리 시스템에 접속될 수 있다. RVN의 적절한 설정은, 예상되는 잡음 증가의 예비 추정이 있다고 가정하여, 일부 실시예들에서의 액티브 회선들의 수에서의 예상 밖의 증가를 또한 수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7에 관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논의될 것이다. 예시 목적으로, 방법들을 설명할 때 위에서 논의된 기법들 및 실시예들이 참조될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의 방법들은 도 1 및 도 2의 디바이스들에서 예를 들어 구현될 수도 있지만, 그것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5에서는, 50에서 CPE 수신기(예를 들어 도 1의 트랜시버들(14) 중 하나)가 "원시" 참조 가상 잡음(RVN)을 추정한다. 이 원시 RVN은 수신기가 현재 비트 로딩 및 타겟 신호 대 잡음 비(SNR) 마진으로 유지할 수도 있는 잡음일 수도 있다. 수신기는, 예를 들어 수신기가 직접 채널의 감쇠에서의 변경 또는 SNR 마진에서의 변경에 의해 검출하는 잡음 환경에서의 변경들에 기초하여, 또는 특정 스케줄 시간 그리드에 따라 또는 (CO 측에 있는) 송신기로부터의 요청 시, 50에서의 추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하류 방향에서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 측정된 원시 RVN은 CO 측에서의 송신기로 다시 통신된다. 원시 RVN을 전달하기 위해, 일부 실시예들에서 eoc 메시지가 사용될 수도 있다.
51에서 CO 측(CO 또는 거리 캐비닛 등에서의 송신기)은 그러면 수신된 원시 RVN을 프로세싱하여 실제 RVN을 생성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51에서의 액션들은, 예컨대 미리 정의된 일부 규칙들, 또는 CO 또는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에 의해 결정된 규칙들, 또는 벤더 자유재량 규칙들을 사용하여, CPE 수신기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생성된 실제 RVN은, 예를 들어 ITU-T G.993.2에서 가상 잡음을 위해 사용된 포맷에서, 중단점들의 세트로서 나타내어질 수도 있다. 그러나, 다른 포맷들이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원격 관리 엔티티(예를 들어 송신기에 의해 사용됨), 예를 들어 네트워크 모니터링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 관리 스테이션(network management station)(NMS)이 실제 가상 잡음을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러한 원격 관리 엔티티는 회선들 간에 개선된 조정을 제공하고 실제 RVN의 최적화된 값을 성취하기 위해 다수의 회선들로부터의 원시 RVN 보고들과 아마도 또한 추가적인 정보를 사용할 수도 있다.
52에서, 송신기는, 예를 들어 저 전력 모드, 예를 들어 L2.1에 진입 및 퇴장하기 위한 모든 L2 상태 진입 커맨드 및 퇴장 커맨드의 부분으로서 실제 RVN을 수신기로 통신한다. 하나의 상태로부터 다른 상태로의 전환 시 또는 임의의 특정한 상태에 존재하는 동안 수신기는 그러면 획득된 RVN과 정의된 타겟 SNR 마진을 사용하여 자신의 비트 로딩을 유지할 수도 있다.
위에서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들에서 실제 RVN에 대한 상이한 값들이 상이한 상황들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수신기는 원시 RVN을 추정 또는 측정하지 못할 수도 있다. 도 6은 이러한 경우에 대한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6에서는, 60에서, CPE 수신기가 원시 RVN을 추정할 수 없는 경우에 어떤 디폴트 원시 RVN이 사용된다. 디폴트 RVN은, 예를 들어 MIB로부터 획득된 어떤 미리 결정된 값, 또는, 예를 들어 더 이른 측정들 또는 간접 측정들에 기초하여, 원격 관리 시스템에 의해 권고된 RVN일 수도 있다.
도 6의 60 및 62는 그러면, 원시 RVN 대신 디폴트 RVN을 사용하여, 도 5의 51 및 52에 대응한다.
위에서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상류 방향에서는 하류 방향에서와는 본질적으로 유사한 기법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7은 상류 방향에서 사용 가능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예시한다.
70에서, 원시 RVN은 CO 수신기에서 결정된다. "CO 수신기"라는 용어는 수신기가 거리 캐비닛, MDU 캐비닛, DSLAM 등 내에 있는 경우들을 또한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추정은 CPE 수신기의 경우에 대해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행해질 수도 있고 예를 들어 평균, 보간, 외삽 등과 같은 기법들을 수반할 수도 있다. 71에서, 실제 RVN은, 도 7의 51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원시 RVN에 기초하여 CO에서 결정된다. 그러므로, 여기서 실제 RVN은 CO에서 내부적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그러나, 또한 관리 시스템들(예컨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CO에서의 시스템 관리 또는 NMS) 또는 다른 관리 엔티티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RVN은 그 다음에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CO 수신기에서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들은 저 전력 모드들 안밖에서의 전환에 연관된 특수 프로토콜과 이들 모드들 동안의 송신 및 수신 신호들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제안된 방법들은 G.993.2, G.993.5, G.998.4, 및 새로운 G.fast 표준들에 대한 확장들 또는 수정들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예들로서만 제공되고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위에서 설명된 기법들은 G.fast 송신기들 및 수신기들을 포함하는 기존의 DSL 송신기들 및 수신기들의 펌웨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조합들을 수정함으로써 송신기들 및/또는 수신기들에서 예를 들어 구현될 수도 있다. 복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위에서 언급되었지만, 다른 실시예들이 위에서 설명된 특징들의 일부만을 포함할 수도 있고 그리고/또는 대안적 또는 추가적인 특징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Claims (27)

  1. 네트워크의 송신 회선을 통해 송신될 신호에 대한 누화 잡음(crosstalk noise)을 완화시키는 디바이스로서,
    상기 송신 회선 상의 잡음의 추정치(estimation)인 참조 잡음 신호(reference noise signal)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트랜시버
    를 포함하며,
    상기 트랜시버는 상기 참조 잡음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누화 잡음을 완화시키는 상기 신호의 비트 로딩 값(bit loading value)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트랜시버는 상기 트랜시버에서의 실제 잡음을 나타내는 상기 참조 잡음 신호의 업데이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는 쇼타임(showtime)에 상기 참조 잡음 신호의 상기 업데이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는 상기 참조 잡음 신호의 상기 업데이트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의 상기 비트 로딩 값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는 서로 인접하게 위치된 케이블들로부터의 누화에 의해 유발된 상기 실제 잡음을 나타내는 상기 참조 잡음 신호의 상기 업데이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는 상기 트랜시버에서의 상기 실제 잡음의 참조 잡음 패턴을 나타내는 상기 참조 잡음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는 상기 참조 잡음 패턴의 측정된 잡음 값들로부터의 상기 참조 잡음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는 상기 트랜시버의 초기화 시에 상기 참조 잡음 신호를 수신하는, 디바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는 상기 트랜시버에 의해 사용되는 신호 대 잡음 비 마진(signal-to-noise-ratio margin)에 대응하는 상기 참조 잡음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는 복수의 통신 모드들에 대한 상기 참조 잡음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비트 로딩 값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는 상기 통신 모드들 사이에서 스위칭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통신 모드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절전 모드(power saving mode)인, 디바이스.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는 다른 송신 회선들에서의 전력 전환들(power transitions)로부터 발생하는(arise) 비-정상 잡음(non-stationary noise)을 나타내는 상기 참조 잡음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는 상기 송신 회선 상의 잡음의 상기 추정치의 주파수 대역의 중단점들(breakpoints)에서 샘플링된 전력 스펙트럼 밀도 신호들(power spectral density signals)의 형태로 상기 참조 잡음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는 다른 송신 회선들에서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의 임의의 변경들이 미리 정의된 신호 대 잡음 비 마진을 넘는 누화의 증가를 유발하지 않도록 상기 비트 로딩 값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는 DSL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G.fast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신호를 송신하는, 디바이스.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는 고객 구내 장비(Customer Premises Equipment) 디바이스의 부분인, 디바이스.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잡음 신호는 가상 잡음을 나타내는, 디바이스.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는 상기 송신 회선을 통해 송신될 상기 신호의 송신 파라미터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는 상기 참조 잡음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KR1020167024030A 2014-03-11 2015-03-11 통신 디바이스들, 시스템들 및 방법들 KR1019843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1950981P 2014-03-11 2014-03-11
US61/950,981 2014-03-11
PCT/EP2015/055083 WO2015135993A1 (en) 2014-03-11 2015-03-11 Communicatio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7540A KR20160117540A (ko) 2016-10-10
KR101984367B1 true KR101984367B1 (ko) 2019-05-30

Family

ID=52672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4030A KR101984367B1 (ko) 2014-03-11 2015-03-11 통신 디바이스들, 시스템들 및 방법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70019149A1 (ko)
EP (3) EP3117529B1 (ko)
JP (2) JP6382998B2 (ko)
KR (1) KR101984367B1 (ko)
CN (2) CN108768454B (ko)
TW (1) TWI571084B (ko)
WO (1) WO20151359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85685B2 (en) * 2014-09-26 2018-05-29 Futurewei Technologies, Inc. Power spectrum density optimization
US10141976B2 (en) 2015-02-24 2018-11-27 Lantiq Beteiligungs-GmbH & Co. KG Crosstalk mitigation
US9831947B2 (en) * 2016-04-20 2017-11-28 Ciena Corporation Margin determination systems and methods in optical networks
CN112114874B (zh) * 2020-08-20 2021-10-15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79499A (ja) * 2005-03-29 2006-10-12 Toyota Motor Corp 無線通信装置
US20080031313A1 (en) * 2006-08-07 2008-02-07 Vladimir Oksman Performance stabilization for multi-carrier DSL
JP2012512583A (ja) * 2008-12-18 2012-05-31 アルカテル−ルーセント マルチキャリアデータ通信経路を構成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43658A1 (en) * 2004-10-04 2006-04-05 Sony Deutschland GmbH Power line communication method
DE602004015483D1 (de) * 2004-12-08 2008-09-11 Alcatel Lucen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pektrumverwaltung für Kommunikationskanäle mit Übersprechen
TWI392253B (zh) * 2007-03-13 2013-04-01 Ite Tech Inc 於頻域中估測雜訊功率的裝置與方法
CN101272160B (zh) * 2007-03-20 2013-06-05 华为技术有限公司 Dsl参考虚拟噪声的确定方法及装置、配置方法及系统
US8300518B2 (en) * 2008-04-01 2012-10-30 Alcatel Lucent Fast seamless joining of channels in a multi-channel communication system
JP2009277277A (ja) * 2008-05-13 2009-11-26 Funai Electric Co Ltd 音声処理装置
US8831936B2 (en) * 2008-05-29 2014-09-09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methods,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speech signal processing using spectral contrast enhancement
CN101741426B (zh) * 2008-11-17 2013-11-0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提高dsl线路稳定性的方法、装置及系统
US8280036B2 (en) * 2009-04-06 2012-10-02 Futurewei Technologies Configuring the virtual noise parameters of a digital subscriber line
US8406416B2 (en) * 2009-04-06 2013-03-26 Futurewei Technologies, Inc. Configuring virtual noise parameters of very high-speed digital subscriber line
US9712276B2 (en) * 2009-11-10 2017-07-18 Lantiq Beteiligungs-GmbH & Co. KG Error reporting in multi-carrier signal communication
WO2011100583A2 (en) * 2010-02-12 2011-08-18 Yitran Communications Ltd.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for use in high noise channels
CN202309702U (zh) * 2011-10-19 2012-07-04 上海炜呈智能电力科技有限责任公司 基于信道认知技术的电力线通信设备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79499A (ja) * 2005-03-29 2006-10-12 Toyota Motor Corp 無線通信装置
US20080031313A1 (en) * 2006-08-07 2008-02-07 Vladimir Oksman Performance stabilization for multi-carrier DSL
JP2012512583A (ja) * 2008-12-18 2012-05-31 アルカテル−ルーセント マルチキャリアデータ通信経路を構成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17529B1 (en) 2020-05-13
JP2017508389A (ja) 2017-03-23
CN106063141A (zh) 2016-10-26
EP3694112A1 (en) 2020-08-12
JP6763509B2 (ja) 2020-09-30
CN108768454B (zh) 2022-01-21
EP3117529A1 (en) 2017-01-18
CN106063141B (zh) 2019-06-18
EP4117190A1 (en) 2023-01-11
CN108768454A (zh) 2018-11-06
EP3694112B1 (en) 2022-09-14
US20170019149A1 (en) 2017-01-19
WO2015135993A1 (en) 2015-09-17
KR20160117540A (ko) 2016-10-10
TWI571084B (zh) 2017-02-11
JP2018201221A (ja) 2018-12-20
JP6382998B2 (ja) 2018-08-29
TW201537928A (zh) 2015-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39851B1 (en) Power saving in communication systems
EP3537696B1 (en) Low power state for dsl system and devices
US11233538B2 (en) Interference mitigation
US20050190826A1 (en) Digital subscriber line modem with bitloading using channel condition model
JP6763509B2 (ja) 通信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US9407760B2 (en) Performance monitoring for discontinuous operation modes
BR112016019306B1 (pt) Dispositivo de linha de assinante digital para mitigar ruído de diafon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