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4226B1 - 탄소나노튜브섬유 제조에서 배출되는 수소 처리용 노즐 장치 - Google Patents

탄소나노튜브섬유 제조에서 배출되는 수소 처리용 노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4226B1
KR101984226B1 KR1020180034821A KR20180034821A KR101984226B1 KR 101984226 B1 KR101984226 B1 KR 101984226B1 KR 1020180034821 A KR1020180034821 A KR 1020180034821A KR 20180034821 A KR20180034821 A KR 20180034821A KR 101984226 B1 KR101984226 B1 KR 101984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or
nozzle
ring chamber
carbon nanotube
nozz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4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기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남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남텍
Priority to KR1020180034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42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4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4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4/00Feed or outlet devices; Feed or outlet control devices
    • B01J4/001Feed or outlet devices as such, e.g. feeding tubes
    • B01J4/002Nozzle-typ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0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 B01J19/002Avoiding undesirable reactions or side-effects, e.g. avoiding explosions, or improving the yield by suppressing side-rea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58Carbon nanotubes
    • C01B32/16Pr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274Sequential or parallel reactions; Apparatus and devices for combinatorial chemistry or for making arrays; Chemical library technology
    • B01J2219/00277Apparatus
    • B01J2219/00452Means for the recovery of reactants or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761Details of the react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소나노튜브섬유 제조에서 배출되는 수소 처리용 노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원통형 구조를 가지는 노즐 장치의 중앙에는 관통된 관통부를 형성하고, 노즐 장치에는 관통부보다 지름이 큰 링 구조의 공간을 가지는 링챔버를 형성하며, 외부에서 링챔버로 이어지는 주입구를 형성하고, 링챔버에서 안쪽 하부 방향으로 각도를 가지는 분사부가 형성되어, 노즐 장치를 탄소나노튜브섬유 제조 장치에 포함된 반응기의 배출구 쪽에 설치하고, 주입구로 질소를 주입하여, 링챔버와 분사부를 거치면서 균일한 압력으로 질소를 분사하면, 배출구로 배출되는 수소 가스와 질소가 혼합되어 수소 농도를 희석함에 따라, 배출 가스를 대기로 배출하여도 안전하도록 한다.

Description

탄소나노튜브섬유 제조에서 배출되는 수소 처리용 노즐 장치{the nozzle apparatus for hydrogen gas treatment of emission in producing carbon nanotube fibers}
본 발명은 탄소나노튜브섬유 제조에서 배출되는 수소 처리용 노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원통형 구조를 가지는 노즐 장치에 링 구조의 공간을 가지는 링챔버를 형성하고, 링챔버에서 안쪽 하부 방향으로 각도를 가지는 분사부가 형성되어, 노즐 장치는 탄소나노튜브섬유 제조 장치에 포함된 반응기의 배출구 쪽에 설치하며, 질소를 링챔버로 주입하여 분사부를 통해 분사하고, 배출구로 배출되는 수소 가스와 질소가 혼합되어 수소 농도를 희석함에 따라, 반응기의 배출 가스를 대기로 배출하여도 안전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s, CNT, 탄소나노튜브는 탄소 6개로 이루어진 육각형들이 서로 연결되어 관 모양을 이루는 원통(튜브) 형태의 신소재)를 이용해서 탄소나노튜브 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고, 탄소나노튜브 섬유를 연속으로 제조하기 위해서는 직접 방사법(direct spinning)이 이용되고 있으며, 이 직접 방사법은 튜브 구조의 반응기의 유입구에 액상 탄소 전구체와 촉매물질의 혼합액을 수송기체(일반적으로는 수소를 사용한다)와 함께 투입하고, 반응기의 배출구에서 연속상의 탄소나노튜브 집합체를 합성하고 탄소나노튜브 섬유를 제조한다.
한편, 탄소나노튜브 섬유를 제조하는 직접 방사법에서, 반응기의 배출구로는 합성된 탄소나노튜브 집합체와 반응하지 않은 수송기체가 함께 배출되는데, 수송기체로 수소가 적용된 경우, 배출구에서 미반응 탄화수소 가스나 수소 가스와 같은 배출가스를 배출하게 되며, 수소 가스는 일정 농도 이상으로 대기에 노출될 경우 산소와 반응하여 폭발하기 때문에, 배출가스를 공기와 차단하고 회수하거나, 회수된 배출가스를 재처리하여 유입구로 다시 공급하는 재순환 장치를 구성하였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특허출원 제10-2015-0083389호에는, 반응기 본체 외부에 배기구에 연결되는 미반응 가스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탄소나노튜브섬유 제조장치에 대한 내용이 게시되어 있다.
그러나 앞서 예시한 발명에서는, 반응기의 배출구 쪽의 미반응 가스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탄소나노튜브섬유 제조장치를 구성하는데, 미반응 가스 처리 장치는 챔버, 챔버를 가열하는 가열수단, 전이금속을 포함하는 메쉬망, 메쉬망 양단의 스크류컨베이어, 가스 배기구, 재순환장치 등이 포함되어 있고, 또, 반응기의 배출구에는 합성된 탄소나노튜브 집합체, 그 탄소나노튜브 집합체를 처리하여 탄소나노튜브 섬유로 가공하는 처리 장치, 그 탄소나노튜브 섬유를 감는 권취 장치 등이 포함되는데, 이들의 장치들을 반응기 배출구 쪽에 배치하기 위해서 많은 공간이 필요하므로, 탄소나노튜브섬유 제조장치의 설비에 대한 공간 제약이 발생하고, 여러 가지 장치에 의해서 공정 개선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탄소나노튜브섬유 제조에 발생하는 배출 가스의 재처리에 대한 효율이 떨어진다면, 초기 설비 비용과 장기적인 유지 비용으로 인해서 전체적인 생산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므로, 배출가스 처리에 대해서 공간 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재처리 장치의 개발이나, 배출가스를 대기로 바로 배출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방법 등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중앙에 관통된 관통부를 형성하는 노즐 장치를 구성하되, 이 노즐 장치에는 관통부보다 지름이 큰 링 구조의 공간을 가지는 링챔버를 형성하며, 외부에서 링챔버로 이어지는 주입구를 형성하고, 링챔버에서 안쪽 하부 방향으로 각도를 가지는 분사부가 형성된 노즐 장치를 구성하여, 이 노즐 장치를 탄소나노튜브섬유 제조 장치에 포함된 반응기의 배출구 쪽에 설치하며, 질소를 주입구로 주입하여 분사부를 통해 분사하고, 배출구로 배출되는 수소 가스와 분사된 질소가 혼합되어 수소 농도를 희석하여 수소 반응을 안정화함에 따라, 반응기의 배출 가스를 대기로 배출하여도 폭발이나 환경 문제에 안전하도록 하며, 노즐 장치의 설치로 반응기에서 배출되는 배출 가스의 재순환 장치가 필요하지 않아서 공간 활용과 탄소나노튜브섬유 제조에 대한 공정 개선이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노즐 장치의 분사부의 하단면은 내부면과 같은 각도를 가지면서 하부로 돌출된 배출가이드를 형성하여, 배출가이드의 안내에 따라 질소의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 노즐 장치는 반응기 배출구의 끝과 10∼100㎜가 떨어진 반응기 외주연으로 브라켓에 의해 설치하되, 브라켓은 파이프 형태의 연결구와 그 연결구 양단으로 수직 돌출된 플랜지가 일체된 구조에 의해서, 브라켓의 하나의 플랜지를 반응기 쪽에 조립하고, 다른 하나의 플랜지로 노출 장치를 조립하여 조립이 용이하도록 한다.
그리고 노즐 장치는 반응기와 결합되어, 반응기의 외부면과 관통부의 내부면은 5∼50㎜의 간격을 유지하고, 브라켓의 연결구와 반응기의 외부면은 5∼50㎜의 간격을 유지하여, 반응기의 열이 노즐 장치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원통형 구조를 가지는 노즐 장치에 큰 링 구조의 공간을 가지는 링챔버를 형성하고, 링챔버에서 안쪽 하부 방향으로 각도를 가지는 분사부가 형성된 노즐 장치가 구성되어, 그 노즐 장치는 탄소나노튜브섬유 제조 장치에 포함된 반응기의 배출구 쪽에 설치하며, 질소를 링챔버로 주입하여 분사부를 통해 분사하고, 배출구로 배출되는 수소 가스와 질소가 혼합되어 수소 농도를 희석함에 따라, 반응기의 배출 가스를 대기로 배출하여도 폭발이나 환경 문제에 안전한 효과가 있으며, 노즐 장치의 설치로 배출 가스의 재순환 장치가 필요하지 않아서 공간 활용과 탄소나노튜브섬유 제조에 대한 공정 개선이 용이한 효과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노즐 장치를 탄소나노튜브섬유 제조 장치에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노즐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노즐 장치와 브라켓의 단면도 및 링챔버 부분의 확대 단면 사시도.
도 4의 (A)와 (B)는 본 발명에 따른 노즐 장치의 링챔버와 노즐부 부분의 확대 단면도 및 다른 예시에 따른 노즐부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노즐 장치의 하부본체에 대한 링챔버와 주입구를 보여주는 단면 사시도.
도 6의 (C)와 (D)는 본 발명에 따른 노즐 장치의 하부본체에 대한 링챔버와 주입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및 다른 예시에 따른 주입구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노즐 장치의 분해 사시도.
본 발명은 탄소나노튜브섬유 제조에서 배출되는 수소 처리용 노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원통형 구조를 가지는 노즐 장치의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된 관통부를 형성하고, 그 노즐 장치에 관통부보다 큰 지름을 가지는 링 구조의 공간인 링챔버를 형성하며, 외부에서 링챔버로 이어지는 주입구를 형성하고, 링챔버에서 안쪽 하부 방향으로 각도를 가지는 분사부가 형성되어, 노즐 장치를 탄소나노튜브섬유 제조 장치에 포함된 반응기의 배출구 쪽에 설치하고, 주입구로 질소를 주입하여, 링챔버와 분사부를 거치면서 균일한 압력으로 질소를 분사하면, 배출구로 배출되는 수소 가스와 질소가 혼합되어 수소 농도의 희석으로, 배출구의 배출 가스를 대기로 배출하여도 폭발이나 환경 오염에도 안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노즐 장치(100)를 도2와 도3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노즐 장치(100)는 지름보다 길이(폭)가 작은 원통형 형상 또는 디스크 형상으로 형성하고, 지름 방향의 중앙은 길이(폭)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부(110)를 형성하며,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 장치(100)는 관통부(110)가 탄소나노튜브섬유 제조 장치(300)의 반응기(310)로 끼워지는데, 반응기(310)의 외주연(외부면)과 관통부(110)의 내부면은 5∼50㎜의 간격을 유지할 정도로 관통부(110)를 형성하며, 이렇게 노즐 장치(100)와 반응기(310)는 일정 거리로 이격되게 구성하여, 고온의 반응기(310)에서 노즐 장치(100)로의 열전달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하도록 한다.
또, 도3과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 장치(100)에는 내부가 빈 링 구조의 링챔버(120)를 구성하는데, 이 링챔버(120)는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관통부(110)보다 지름이 큰 링 구조를 가지며, 노즐 장치(100)의 외부 측면에서 링챔버(120)로 이어지는 주입구(121)를 하나 이상 형성한다.
한편, 주입구(121)는 주입되는 입구와 토출되는 출구의 높이는 동일하고, 주입구(121)는 노즐 장치(100)의 지름에 대한 중심(원 중심)에 대해서 10∼90°의 각도를 형성하는데, 도5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입구(121)가 지름 방향의 중심(센터)에 대해 소정의 각도(β)를 형성하며, 주입구(121)를 둘 이상 형성할 경우에는 주입구(121)들의 원주 방향에 따른 간격을 동일하게 형성하고, 주입구(121)의 각도도 모두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노즐 장치(100)의 주입구(121)로는 가스(질소)가 주입되고, 가스는 링 구조의 링챔버(120)로 유입되어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후에 설명하는 분사부(132)에서 균일한 압력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링챔버(120) 안쪽 측면에서 바닥 쪽 하부로 특정 각도를 형성하면서 트인 노즐부(130)를 형성하는데, 도3과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부(130)는 균일부(131)를 포함하며, 노즐부(130)는 링챔버(120) 안쪽 측면 쪽에 링챔버(120)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면서 일정 폭으로 같은 높이를 유지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분사부(132)는 균일부(131) 끝에서 사선 방향 및 하단으로 이어지면서 소정의 각도(α)를 형성하는데, 분사부(132)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아랫면과 윗면 사이의 각도(측단면 각도)가 5∼12°를 형성하고, 분사부(132)의 윗쪽면의 내부 각도는 분사부(132)가 시작하는 수직 하부 방향에서 10∼80°를 형성하며, 이 노즐부(130)도 원주 방향을 따라 구성하므로, 링챔버(120)와 마찬가지로 링 구조를 가진다.
또한, 분사부(132)의 하단면은 내부면과 같은 각도를 가지도록 하부로 돌출된 배출가이드(140)를 형성한다.
그래서 주입구(121)로 특정 각도로 주입된 질소는 링 구조의 링챔버(120)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일정 압력을 유지하고, 링챔버(120)보다 단면이 더 작은 노즐부(130)의 균일부(131)와 분사부(132)를 거치면서 압축되었다가 분사되는데, 분사부(132)가 가지는 각도로 배출되면서 배출가이드(140)를 따라 중심부 쪽 방향(내측 방향)으로 배출된다.
또한, 이 노즐 장치(100)는 탄소나노튜브섬유 제조 장치(300)에 적용하기 위해서, 상하로 관통된 고정홀(150)을 다수 형성하며, 이 고정홀(150)은 링챔버(120)와 노즐부(130), 주입구(121)를 벗어난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노즐 장치(100)는 중앙에 상하로 관통된 관통부(110)와, 관통부(110)보다 큰 지름의 링 구조로 형성하는 링챔버(120), 외부면에서 링챔버(120)로 이어지는 주입구(121), 링챔버(120)에서 하단부로 이어지는 노즐부(130), 노즐부(130) 하단면에서 돌출되는 배출가이드(140)가 일체된 구조로 구성하며, 이 노즐 장치(100)는 알루미늄과 같은 비철 금속이나 비철 금속이 포함되도록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위와 같은 구조의 노즐 장치(100)는 일체된 구조로 제조하거나, 또는, 두 개 이상으로 분리된 상태로 제조하고 조립으로 일체된 구조를 가지면, 내부의 링챔버(120)와 노즐부(130) 형성에 대한 제조가 용이한 특징이 있으며, 노즐 장치(100)의 관통부(110) 쪽은 노즐부(130)에 의해서 상하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링챔버(120)의 바깥쪽 부분을 상하로 분리하면, 하부 쪽의 하부본체(100′), 그 하부본체(100′)의 상부의 상부본체(100″)로 구분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도3 및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챔버(120)의 내부 상부면과 일치하면서 링챔버(120)의 내부 바깥쪽 벽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하 분리되도록 하부본체(100′)와 상부본체(100″)로 분리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 이렇게 상하로 분리된 구조의 노즐 장치(100)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일체화할 수 있는데, 첫 번째로, 노즐 장치(100)에 상하로 관통된 별도의 결합홀(미도시)를 형성하여, 그 결합홀(미도시)로 볼트와 너트로 볼팅 결합하거나, 또는, 하부본체(100′)나 상부본체(100″) 중 하나는 관통된 홀(미도시)을 형성하고, 다른 하나는 수나사(미도시)를 형성하여, 홀(미도시)과 수나사(미도시)로의 볼팅을 통해서 노즐 장치(100)를 일체화하거나, 또는, 앞서 설명한 고정홀(150)에 의해서, 노즐 장치(100)의 일체화 조립과 뒤에 설명하는 브라켓(200)과 노즐 장치(100)의 결합을 동시에 할 수 있다.
참고로, 하부본체(100′)와 상부본체(100″)로 분리된 노즐 장치(100)는, 가스켓이나 패킹 등이 추가되어, 주입구(121)로 주입되는 가스의 누출을 방지하며, 노즐 장치(100)에는 질소를 주입한다고 예시하였지만, 주입되는 가스는 질소만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수소의 농도를 희석하거나, 수소와 결합하면서 대기 중에서 수소를 안정화하고 배출되어도 환경 오염을 야기하지 않는 다른 가스(기체)를 적용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한 노즐 장치(100)를 탄소나노튜브섬유 제조 장치(300)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브라켓(200)을 더 구비하는데, 도1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라켓(200)은 파이프 구조의 연결구(210)와 그 연결구(210)의 양단에 수직으로 돌출된 플랜지(220)(230)를 일체된 구조이고, 브라켓(200)의 플랜지(220)에는 관통된 연결홀(221)을 형성하며, 연결구(210)의 내부 지름은 노즐 장치(100)의 관통부(110)와 대동소이하게 형성하고, 적어도 한쪽의 플랜지(220)에 형성된 연결홀(221)은 노즐 장치(100)의 고정홀(150)의 위치와 대응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노즐 장치(100)를 탄소나노튜브섬유 제조 장치(300)에 적용하는 것을 도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탄소나노튜브섬유 제조 장치(300)의 반응기(310)의 하단에 노즐 장치(100)를 설치하되, 반응기(310)의 배출구(312) 끝과의 거리가 10∼100㎜ 정도가 되도록, 반응기(310) 외주연에 노즐 장치(100)를 설치하여, 노즐 장치(100)에서 적정 각도로 분사되는 가스(질소)가 반응기(310)의 외벽을 따라 이동하면서 하부로 이동하면서 커튼 구조를 가지면서 배출가스와의 혼합이 효율적이도록 한다.
한편, 노즐 장치(100)는 브라켓(200)에 의해 반응기(310)에 설치하는데, 반응기(310)의 외부면에는 고온의 노(320)(furnace, 일반적으로는 전기로를 적용한다)가 배치되어 있고, 노(320)의 하부에 위치된 프레임(330)에 브라켓(200)과 결합된 노즐 장치(100)를 설치하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반응기(310) 외벽과 노즐 장치(100)의 관통부(110) 내부면과는 5∼50㎜의 간격을 유지하여, 반응기(310)에서의 열전달을 최소화한다.
이렇게 노즐 장치(100)는 탄소나노튜브섬유 제조 장치(300)에 설치하며, 반응기(310)의 유입구(311)로 액상 탄소 전구체와 촉매물질의 혼합액을 수송기체(수소)와 함께 투입하여, 탄소나노튜브 집합체를 합성하여 탄소나노튜브섬유를 제조하며, 배출구(312)로는 미반응 탄화수소, 수소 등이 배출되며, 노즐 장치(100)의 주입구(121)로 질소를 주입하면, 질소의 주입되는 각도에 의해서 링챔버(120) 내에서 회전하면서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고, 링챔버(120)와 노즐부(130)를 통해서 적절한 각도로 균일한 압력으로 링 형태로 분사되어, 반응기(310)의 하부를 타고 흐르다가, 반응기(310) 끝에서 원형의 질소 커튼을 형성하면서, 질소 가스가 배출되는 수소 가스와 혼합되는데, 질소 가스와 수소 가스의 혼합으로 수소 농도를 희석함에 따라, 대기 중에서 수소에 의한 폭발을 방지하여, 질소와 혼합된 배출가스는 공기 중에 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노즐 장치(100)는 반응기(310)의 배출구(312) 쪽에 설치되어, 질소의 주입으로 반응기(310) 끝에 질소 커튼을 형성하여, 배출가스가 외부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분사된 질소가 배출되는 배출가스와 혼합하고, 이 질소 가스의 혼합에 의해 수소가 폭발하지 않도록 수소의 농도를 희석하여 안정화함에 따라, 배출가스를 재처리하지 않고 대기 중으로 배출할 수 있으며, 질소와 혼합된 배출가스는 유해하거나 환경 오염을 야기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노즐 장치(100)는 탄소나노튜브섬유 제조 장치(300)에 적용되어, 반응기(310)의 배출구(312)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와 혼합되어 수소 농도를 희석하여 안정화된 상태로 만들어 대기로 배출함에 따라, 기존과 달리 별도의 재순환 장치나 기타 처리 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 반응기(310)에서 합성된 탄소나노튜브 집합체를 탄소나노튜브섬유로 생산하는 공정 개선이 용이한 특징이 있다.
100: 노즐 장치 100′: 하부본체 100˝: 상부본체
110: 관통부 120: 링챔버 121: 주입구
130: 노즐부 131: 균일부 132: 분사부
140: 배출가이드 150: 고정홀
200: 브라켓 210: 연결구
130: 노즐부 131: 균일부 132: 분사부
220: 플랜지 221: 연결홀 230: 플랜지
300: 탄소나노튜브섬유 제조 장치 310: 반응기
311: 유입구 312: 배출구 320: 노
330: 프레임

Claims (4)

  1. 탄소나노튜브섬유 제조 장치의 반응기의 끝에 위치되어 반응기로 배출되는 수소 처리용 원통형 구조의 노즐 장치를 구성하되,
    노즐 장치의 중앙에는 관통된 관통부를 형성하고, 노즐 장치에는 관통부보다 지름이 큰 링 구조의 공간을 가지는 링챔버를 형성하며, 외부에서 링챔버로 이어지는 주입구를 형성하고, 링챔버에서 안쪽 하부 방향으로의 각도를 가지는 분사부가 형성되어,
    노즐 장치가 반응기의 배출구 쪽에 설치되어, 주입구로 질소를 주입하여, 링챔버와 분사부를 거치면서 분사되어 배출되는 수소 가스의 농도를 희석하여 안정성을 높이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섬유 제조에서 배출되는 수소 처리용 노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노즐 장치의 주입구는 노즐 장치 중심 방향에 대해서 10∼90°의 각도를 형성하고, 다수의 주입구는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된 간격이 동일하며,
    노즐부는 균일부와 분사부로 구성하되, 균일부는 링챔버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면서 일정 폭으로 같은 높이를 유지하도록 형성하고, 분사부는 균일부 끝에서 사선 방향 및 하단으로 이어지면서 끝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단면으로 형성하며, 분사부는 아랫면과 윗면 사이의 각도는 5∼12°로 형성하고, 분사부의 윗면의 내부 각도는 분사부가 시작하는 수직 하부 방향에서 10∼80°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섬유 제조에서 배출되는 수소 처리용 노즐 장치.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노즐 장치는 반응기와 결합되어, 반응기의 외부면과 관통부의 내부면은 5∼50㎜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하고,
    분사부의 하단면은 내부면과 같은 각도를 가지도록 하부로 돌출된 배출가이드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섬유 제조에서 배출되는 수소 처리용 노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노즐 장치는 브라켓에 의해서, 배출구의 끝과 10∼100㎜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반응기의 외부면에 설치되되,
    브라켓은 파이프 형태의 연결구와 그 연결구 양단으로 돌출된 플랜지가 일체된 구조를 가지며,
    노즐 장치는 링챔버 내부의 상부면 및 그 바깥 방향을 기준으로 상하로 분리되고, 노즐 장치는 상하로 관통된 고정홀에 의해 일체됨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섬유 제조에서 배출되는 수소 처리용 노즐 장치.
KR1020180034821A 2018-03-27 2018-03-27 탄소나노튜브섬유 제조에서 배출되는 수소 처리용 노즐 장치 KR101984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821A KR101984226B1 (ko) 2018-03-27 2018-03-27 탄소나노튜브섬유 제조에서 배출되는 수소 처리용 노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821A KR101984226B1 (ko) 2018-03-27 2018-03-27 탄소나노튜브섬유 제조에서 배출되는 수소 처리용 노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4226B1 true KR101984226B1 (ko) 2019-05-30

Family

ID=66675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4821A KR101984226B1 (ko) 2018-03-27 2018-03-27 탄소나노튜브섬유 제조에서 배출되는 수소 처리용 노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42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65158A (zh) * 2021-01-14 2022-08-30 深圳市大成精密设备股份有限公司 气幕机构及测量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030B1 (ko) * 2007-09-19 2009-12-21 세메스 주식회사 탄소나노튜브 제조장치 및 그 방법
KR101143845B1 (ko) * 2009-11-19 2012-05-04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탄소나노튜브 합성용 촉매 제조 장치
KR20160146300A (ko) * 2015-06-12 2016-12-21 주식회사 엘지화학 탄소나노튜브섬유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탄소나노튜브섬유 제조방법
JP6078095B2 (ja) * 2010-07-19 2017-02-08 シェブロン ユー.エス.エ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水素化処理のための複相接触及び分配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030B1 (ko) * 2007-09-19 2009-12-21 세메스 주식회사 탄소나노튜브 제조장치 및 그 방법
KR101143845B1 (ko) * 2009-11-19 2012-05-04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탄소나노튜브 합성용 촉매 제조 장치
JP6078095B2 (ja) * 2010-07-19 2017-02-08 シェブロン ユー.エス.エ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水素化処理のための複相接触及び分配装置
KR20160146300A (ko) * 2015-06-12 2016-12-21 주식회사 엘지화학 탄소나노튜브섬유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탄소나노튜브섬유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65158A (zh) * 2021-01-14 2022-08-30 深圳市大成精密设备股份有限公司 气幕机构及测量装置
CN114965158B (zh) * 2021-01-14 2023-12-08 深圳市大成精密设备股份有限公司 气幕机构及测量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9044B1 (ko) 반응기 및 상기 반응기를 이용한 알킬화 공정
CN1197643C (zh) 减少反应剂物流混合过程中副产物数量的方法
KR101984226B1 (ko) 탄소나노튜브섬유 제조에서 배출되는 수소 처리용 노즐 장치
US20170095787A1 (en) Microwave plasma torch
DE60125092T2 (de) Vorrichtung mit Sicherheitseigenschaften für industrielle Verfahren bei erhöhter Temperatur
CN103573351A (zh) 用于后处理排气的混合装置
PL1639296T3 (pl) Współosiowy układ wtryskowy rofa
CN1216681C (zh) 连续制备有机单-或多异氰酸酯的方法和装置
KR101431452B1 (ko) 가열 방식의 스크러버 시스템
KR101594310B1 (ko) 원격 플라즈마 소스 블록
US20040201142A1 (en) Injection lance for uniformly injecting a steam/ammonia mixture into a fossil fuel combustion stream
KR100727861B1 (ko) 난분해성 가스용 플라즈마 반응기
CN105065093A (zh) 一种scr系统及其混合器
CN103159231B (zh) 一种尿素热解反应器
GB2061744A (en) Gas-mixing device
CN103172085B (zh) 一种尿素热解反应中引导气流的方法
KR101755031B1 (ko) 가스 분사 장치
US8795414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y of solids in a carrier gas to a gas stream
CN210252185U (zh) 苯酐气相萘进料器
CN103224457A (zh) 一种连续制备氨基甲酰氯的方法及其装置
EP3692770B1 (en) A nozzle for conveying a plasma stream for plasma abatment and related method
IT8323486A1 (it) Bruciatore per nerofumo
CN115069101B (zh) 气液混合器
KR100933030B1 (ko) 탄소나노튜브 제조장치 및 그 방법
CN218250278U (zh) 一种连续化反应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