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2936B1 - 급전 시스템 및 차량 - Google Patents

급전 시스템 및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2936B1
KR101982936B1 KR1020170143100A KR20170143100A KR101982936B1 KR 101982936 B1 KR101982936 B1 KR 101982936B1 KR 1020170143100 A KR1020170143100 A KR 1020170143100A KR 20170143100 A KR20170143100 A KR 20170143100A KR 101982936 B1 KR101982936 B1 KR 101982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power
vehicle
portable terminal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3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4437A (ko
Inventor
준 마에다
Original Assignee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54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4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H02J7/141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with a generator driven by a prime mover other than the motor of a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1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engine-driven generators, e.g. generators driven by combustion engines
    • B60L50/15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engine-driven generators, e.g. generators driven by combustion engines with additional electric power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5/00Arrangements for supplying energy stored within a vehicle to a power network, i.e. vehicle-to-grid [V2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60L58/13Maintaining the SoC within a determined ra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 B60W10/2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for electrical energy,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6Charger exchanging data with batte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H02J7/1438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in combination with power supplies for loads other than batte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2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6Driver interactions by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22Driver interactions by presence de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9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purpose of, or problem solved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groups B60W30/00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8Battery or charger load switching, e.g. concurrent charging and load supp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70Arrangements in the main station, i.e. central controll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2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 Y04S10/126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the energy generation units being or involving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i.e. power aggregation of EV or HEV, vehicle to grid arrangements [V2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03/00Hybrid electric vehicles, HEVS
    • Y10S903/902Prime movers comprising electrical and internal combustion motors
    • Y10S903/903Prime movers comprising electrical and internal combustion motors having energy storing means, e.g. battery, capacitor
    • Y10S903/93Conjoint control of different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Hybrid Electric Vehicl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차량(1)과, 급전 모드 제어기(302)를 포함하는 급전 시스템(2)이다. 상기 급전 시스템은, 상기 차량(1) 외부의 전기 부하(202)에 대하여, 제1 급전 모드 또는 제2 급전 모드에서 급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차량(1)의 상기 무선 통신 장치(130)는, 중계점(404, 406, 402, 204)을 경유하지 않고 휴대 단말기(300)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확립하는 제1 통신 방식을 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급전 모드 제어기(302)는,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휴대 단말기(300)에 대한 조작에 의한 상기 제1 급전 모드의 선택이 가능한 상태로 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휴대 단말기(300)에 대한 조작에 의한 상기 제1 급전 모드의 선택이 불가능한 상태로 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급전 시스템 및 차량 {FEED SYSTEM AND VEHICLE}
본 개시는,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여 차량으로부터 외부의 전기 부하로의 급전 동작을 행하는 급전 시스템 및 차량에 관한 것이다.
하이브리드 차량에 탑재된 축전 장치나 엔진을 사용하여 발전하는 발전 장치를 전원으로 하여, 차량 외부의 주택 등의 전기 부하에 전력을 공급(급전)하는 급전 시스템이 있다.
하이브리드 차량으로부터 차량 외부의 전기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 모드로서는, 예를 들어 엔진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축전 장치로부터 전기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 모드(이하, Electric Vehicle(EV) 급전 모드라고 기재함)와, 엔진을 동작시켜, 엔진을 사용하여 발전되는 전력을 전기 부하로 공급하는 급전 모드(이하, Hybrid Vehicle(HV) 급전 모드라고 기재함)를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15-122892호에는, 차량에 설치 가능한 급전 커넥터에 설치되는 스위치를 사용하여 HV 급전 모드 및 EV 급전 모드 중 어느 것을 선택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급전 시스템에 있어서, 엔진을 동작시키는 HV 급전 모드를 유저가 선택하는 경우, 유저는, 차량 부근의 상황이 엔진의 시동을 허가해도 되는 상황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장소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급전에 관한 각종 조작에 대하여, 일률적으로 유저가 차량 부근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장소에 있을 것을 필요로 하면, 유저는,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여 원격지에서 급전 상황을 확인하는 등의 조작을 행할 수 없어, 편리성이 높은 급전을 실시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본 개시는, 엔진을 동작시켜 급전하는 급전 모드를 갖는 급전 시스템에 있어서 편리성이 높은 급전을 실시할 수 있는 급전 시스템 및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제1 형태는, 급전 시스템이다. 상기 급전 시스템은, 제1 급전 모드와 제2 급전 모드 중 어느 모드에서 급전을 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급전 시스템은, 차량과, 급전 모드 제어기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은, 엔진과, 발전 장치와, 축전 장치와, 아울렛과,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발전 장치는, 상기 엔진의 동력에 의해 발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아울렛은, 상기 차량의 외부의 전기 부하에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중계점을 경유하지 않고 휴대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확립하는 제1 통신 방식과, 상기 중계점을 경유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확립하는 제2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로 무선 통신을 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급전 모드 제어기는, 상기 휴대 단말기와 상기 차량의 사이에서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휴대 단말기에 대한 조작에 의한 상기 제1 급전 모드의 선택이 가능한 상태로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급전 모드 제어기는, 상기 휴대 단말기와 상기 차량의 사이에서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휴대 단말기에 대한 조작에 의한 제1 급전 모드의 선택이 불가능한 상태로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급전 모드는, 상기 엔진의 작동을 허용한 상태에서 상기 발전 장치 및 상기 축전 장치 중 적어도 한쪽의 전력을 상기 전기 부하에 공급하는 모드이다. 상기 제2 급전 모드는, 상기 엔진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축전 장치의 전력을 상기 전기 부하에 공급하는 모드이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유저는,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경우에는, 차량으로부터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이 가능한 거리의 범위 내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를 사용함으로써 차 밖에서도 제1 급전 모드의 선택을 행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편리성이 높은 급전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중계점을 경유하지 않고 통신을 확립할 수 있는 거리는 차량에 가까운 거리이기 때문에, 유저는 차량 부근을 확인할 수 있는 상황에서 제1 급전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유저가 원격지에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이러한 경우에, 휴대 단말기에 대한 조작에 의한 제1 급전 모드의 선택이 불가능한 상태로 됨으로써, 원격지에서 제1 급전 모드가 선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급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급전 모드 제어기는, 상기 휴대 단말기와 상기 차량의 사이에서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2 급전 모드의 선택이 가능한 상태로 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를 사용함으로써 차 밖에서도 급전 모드의 선택을 행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편리성이 높은 급전을 행할 수 있다.
상기 급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급전 모드 제어기는, 상기 휴대 단말기와 상기 차량의 사이에서 상기 제2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2 급전 모드의 선택이 가능한 상태로 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제2 급전 모드에서의 급전 시에는, 엔진이 정지 상태로 되기 때문에, 유저가 차량 부근의 확인을 요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중계점을 경유함으로써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이 가능한 범위보다 원격지에서의 통신이 가능한 제2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경우에, 제2 급전 모드의 선택이 가능한 상태로 되도록 함으로써, 원격지에서 제2 급전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급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급전 모드 제어기는, 상기 휴대 단말기와 차량의 사이에서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급전 모드 및 상기 제2 급전 모드 중 어느 선택도 불가능한 상태로 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유저가 원격지에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이러한 경우에, 제1 급전 모드 및 제2 급전 모드의 선택이 불가능한 상태로 됨으로써, 원격지에서 제1 급전 모드 및 제2 급전 모드가 선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급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급전 모드 제어기는,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급전 모드의 선택 요구가 있는 경우에, 상기 휴대 단말기와 상기 차량의 사이에서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제1 급전 모드의 선택을 금지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유저가 원격지에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휴대 단말기로부터 제1 급전 모드의 선택 요구가 있는 경우라도 제1 급전 모드의 선택을 금지함으로써, 원격지에서 제1 급전 모드가 선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급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표시 장치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급전 모드의 선택 화면이 표시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급전 모드 제어기는, 상기 휴대 단말기와 상기 차량의 사이에서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기 선택 화면에 의한 상기 제1 급전 모드의 선택이 불가능한 상태로 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의 선택 화면에 의한 제1 급전 모드의 선택이 불가능한 상태로 되기 때문에,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제1 급전 모드를 선택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급전 시스템은, 상기 전기 부하로의 급전이 개시되고, 또한 상기 제1 통신 방식 및 상기 제2 통신 방식 중 어느 것의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대한 조작에 의한 상기 급전에 관한 미리 정해진 동작이 가능한 상태로 되도록 구성된 급전 제어기를 더 구비해도 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중계점을 경유하는 제2 통신 방식의 통신에 의해 원격지에서도 급전에 관한 미리 정해진 동작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성이 높은 급전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급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동작은, 상기 축전 장치의 충전 용량에 관한 정보를 통지하기 위한, 상기 충전 용량의 제1 역치를 변경하는 동작과, 상기 엔진의 연료의 잔량에 관한 정보를 통지하기 위한, 상기 연료의 잔량의 제2 역치를 변경하는 동작과, 상기 급전을 정지하는 동작 중 적어도 어느 것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중계점을 경유하는 제2 통신 방식의 통신에 의해 보다 원격지에서도 급전을 정지하기 위한, 충전 용량(SOC)의 제1 역치를 변경하는 동작과, 급전을 정지하기 위한, 연료의 잔량의 제2 역치를 변경하는 동작과, 급전을 정지하는 동작 중 적어도 어느 것을 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2 형태는, 차량이다. 상기 차량은, 엔진과, 발전 장치와, 축전 장치와, 아울렛과, 무선 통신 장치와, 전자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발전 장치는, 상기 엔진의 동력에 의해 발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아울렛은, 상기 차량의 외부의 전기 부하에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제1 통신 방식과 제2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로 무선 통신을 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통신 방식은, 중계점을 경유하지 않고 휴대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확립하는 통신 방식이다. 상기 제2 통신 방식은, 상기 중계점을 경유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확립하는 통신 방식이다. 상기 전자 제어 유닛은, 제1 급전 모드와 제2 급전 모드 중 어느 모드에서 급전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급전 모드는, 상기 엔진의 작동을 허용한 상태에서 상기 발전 장치 및 상기 축전 장치 중 적어도 한쪽의 전력을 상기 전기 부하에 공급하는 모드이다. 상기 제2 급전 모드는, 상기 엔진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축전 장치의 전력을 상기 전기 부하에 공급하는 모드이다. 상기 전자 제어 유닛은, 상기 휴대 단말기와 차량의 사이에서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경우에만, 휴대 단말기에 대한 조작에 의한 제1 급전 모드의 선택이 가능한 상태로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유저는,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경우에는, 차량으로부터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이 가능한 거리의 범위 내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를 사용함으로써 차 밖에서도 급전 모드의 선택을 행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편리성이 높은 급전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중계점을 경유하지 않고 통신을 확립할 수 있는 거리는 차량에 가까운 거리이기 때문에, 유저는 차량 부근을 확인할 수 있는 상황에서 제1 급전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엔진을 동작시켜 급전하는 급전 모드를 갖는 급전 시스템에 있어서 편리성이 높은 급전을 실시할 수 있는 급전 시스템 및 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특징, 이점, 기술적 및 산업적 의의는 첨부 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며,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급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급전 시스템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실내의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급전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의 유저의 동작과 차량 ECU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기에서 실행되는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하이브리드 차량에 탑재된 차량 ECU에서 실행되는, 급전 모드를 선택하는 제어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하이브리드 차량에 탑재된 차량 ECU에서 실행되는, 급전 개시 후의 제어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여 급전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의 유저의 동작과 차량 ECU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급전 개시 후에 휴대 단말기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SOC 정보를 통지하는 경우의 유저의 동작과 차량 ECU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급전 개시 후에 휴대 단말기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급전을 정지하는 경우의 유저의 동작과 차량 ECU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변형례에 있어서의 차량 ECU에서 실행되는, 급전 모드를 선택하는 제어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급전 시스템의 개요
도 1은, 급전 시스템(2)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급전 시스템(2)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터리(80)를 탑재하는 차량(1)과, 주택(200) 내의 가전 기기(202) 등의 전기 부하와, 휴대 단말기(300)(도 2 참조)와, 배터리(80)의 전력을 소정의 전력으로 변환하여 주택(200)에 공급하는 급전 장치(500)와, 차량(1)과 급전 장치(500)를 접속하는 접속 케이블(600)을 구비한다.
차량(1)은, 배터리(80)와, 시트(101)와,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120)와, Direct Current(DC) 아울렛(110)을 포함한다. 차량(1)은, 엔진과, 엔진의 동력을 사용하여 발전 가능한 발전 장치와, 차량(1)의 외부의 전기 부하에 전력의 공급이 가능한 배터리(80)를 탑재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이면 된다. 차량(1)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배터리(80)는, 차량(1)을 구동하는 모터 제너레이터(도 2 참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이다.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120)는, 유저가 시트(101)에 착좌하였을 때 시인 가능한 위치에 설치된다.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120)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거나, 유저에 의한 소정의 조작을 접수하거나 한다. 또한,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120)는, 차량(1)으로부터 전기 부하로의 급전 시에 있어서는, 급전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DC 아울렛(110)은, 급전 시에는 배터리(8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DC 아울렛(110)은, 차량(1)의 외장의 소정의 위치(예를 들어, 차량(1)의 우측의 후륜 상방의 펜더 부분)에 설치된다. DC 아울렛(110)에는, 예를 들어 DC 아울렛(110)을 덮는 커버가 설치되어도 된다. DC 아울렛(110)은 아울렛의 일례이다.
접속 케이블(600)의 한쪽 단부에는, 급전 커넥터(610)가 설치된다. 급전 커넥터(610)는, DC 아울렛(110)에 설치 가능한 형상을 갖는다. DC 아울렛(110) 및 급전 커넥터(610)의 각각에는, 복수의 단자가 설치된다. 급전 커넥터(610)가 DC 아울렛(110)에 설치됨으로써, 급전 커넥터(610) 내의 단자와 DC 아울렛(110) 내의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접속 케이블(600)의 다른 쪽 단부는, 급전 장치(500)에 접속된다. 그 때문에, 급전 커넥터(610)가 DC 아울렛(110)에 접속된 상태에 있어서는, 급전 시에 배터리(80)와 급전 장치(500)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된다.
급전 장치(500)는, 주택(200) 내의 배전반(206)에 접속된다. 급전 장치(500)는, 급전 시에 배터리(80)의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고, 변환한 교류 전력을 배전반(206)에 공급한다. 배전반(206)은, 계통 전원으로부터의 교류 전력과, 급전 장치(500)로부터의 교류 전력 중 어느 한쪽을 선택하거나, 혹은 조합하거나 하여 가전 기기(202)에 전력을 공급한다. 배전반(206)은,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로부터의 제어 신호, 유저의 조작 혹은 급전 장치(500)로부터의 전력의 공급량 등에 따라, 가전 기기(202)에 공급되는 전력 중 계통 전원으로부터의 전력과 급전 장치(500)로부터의 전력의 비율을 조정한다.
예를 들어, 유저가 이하와 같은 조작을 행함으로써, 급전 장치(500)로부터 가전 기기(202)에 대하여 급전이 행해진다. 유저는, 우선, 급전 커넥터(610)를 차량(1)의 DC 아울렛(110)에 접속한다.
급전 커넥터(610)가 DC 아울렛(110)에 접속되면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120)에는, 급전 모드의 선택 화면이 표시된다. 선택 화면에는, 예를 들어 「EV 급전 모드」의 문자열이 표시된 직사각형 영역과, 「HV 급전 모드」의 문자열이 표시된 직사각형 영역이 표시된다. 직사각형 영역보다 하방에는, 각 급전 모드가 선택된 경우의 급전 가능 시간의 추정값이 표시된다.
유저가, 차량(1)의 실내로 이동하여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되는 직사각형 영역 중 소망하는 급전 모드에 대응하는 직사각형 영역에 대하여 터치 조작(예를 들어, 탭 조작 등)을 행하면, 선택된 직사각형 영역에 대응하는 급전 모드가 선택된다. 선택된 급전 모드에 따라 차량(1)이 제어된다.
EV 급전 모드는, 엔진(도 2 참조)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배터리(80)의 전력을 주택(200)에 공급하는 급전 모드이다. HV 급전 모드는, 엔진을 동작시켜, 엔진을 사용하여 발전하는 전력을 주택(200)에 공급하는 급전 모드이다.
유저는, 급전 모드를 선택한 후에, 급전 장치(500)의 급전 개시 스위치(도 2 참조)를 조작하여 급전을 개시한다. 그리고, 급전 장치(500)가 작동한다. 이에 의해, 배터리(80)의 직류 전력이 교류 전력으로 변환되고, 변환된 교류 전력이 주택(200)에 공급된다.
급전 시스템의 상세한 구성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하이브리드 차량에 탑재된 급전 시스템(2)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1)은, 엔진(10)과, 제1 MG(20)와, 제2 MG(30)와, 동력 분할 장치(40)와, 감속기(50)와, 구동륜(60)과, Power Control Unit(PCU)(70)과, 배터리(80)와, 시스템 메인 릴레이(이하, SMR이라고 기재함)(90)와, 급전 릴레이(100)와, DC 아울렛(110)과,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120)와, 무선 통신 장치(130)와, 차량 Electronic Control Unit(ECU)(140)과, 전류 센서(150)와, 전압 센서(160)와, 연료 잔량 센서(170)를 구비한다.
차량(1)은, 엔진(10) 및 제2 MG(30) 중 적어도 한쪽의 동력을 사용하여 주행한다. 차량(1)은, 엔진(10)의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제2 MG(30)의 동력을 사용하는 전기 자동차 주행(EV 주행)과, 엔진(10) 및 제2 MG(30)의 양쪽의 동력을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주행(HV 주행)의 사이에서 차량(1)의 주행 형태를 전환할 수 있다.
엔진(10)은, 가솔린 엔진 또는 디젤 엔진 등의 내연 기관이다. 엔진(10)은, 차량 ECU(14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차량(1)이 주행하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킨다. 엔진(10)에 있어서 발생한 동력은 동력 분할 장치(40)에 출력된다.
제1 MG(20), 제2 MG(30)의 각각은, 예를 들어 3상 교류 영구 자석형 동기 모터이다. 엔진(10)의 출력축, 제1 MG(20)의 회전축 및 제2 MG(30)의 회전축은, 동력 분할 장치(40)의 각 회전 요소에 각각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동력 분할 장치(40)는, 엔진(10)의 출력축, 제1 MG(20)의 회전축 및 제2 MG(30)의 회전축에 기계적으로 연결되고, 엔진(10), 제1 MG(20) 및 제2 MG(30)의 사이에서 토크를 전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동력 분할 장치(40)는, 유성 기어 기구이다. 유성 기어 기구는, 회전 요소로서 선 기어와, 링 기어와, 캐리어와, 피니언 기어를 포함한다. 외치 기어의 선 기어를 중심으로 하여, 복수의 피니언 기어의 각각이 선 기어와 맞물리도록 설치되고, 내치 기어의 링 기어가 복수의 피니언 기어의 각각과 맞물리도록 설치된다. 복수의 피니언 기어는, 캐리어에 의해 자전 가능하면서도 공전 가능하도록 보유 지지된다. 선 기어는, 제1 MG(20)의 회전축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캐리어는, 엔진(10)의 출력축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링 기어는, 제2 MG(30)의 회전축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동력 분할 장치(40)와 제2 MG(30)를 접속하는 회전축에는, 감속기(50)를 통하여 구동륜(60)이 연결된다.
배터리(80)는, 재충전이 가능하게 구성된 축전 장치이다. 배터리(80)는, 대표적으로는 니켈 수소 이차 전지 혹은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등의 이차 전지에 의해 구성된다. 축전 장치로서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등의 커패시터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SMR(90)은, 배터리(80)의 정극 단자 및 부극 단자의 각각에 접속된다. SMR(90)은, 또한 급전 릴레이(100)와 전력선(PL, NL)을 개재시켜 접속된다. 전력선(PL, NL)의 도중에 전력선이 분기되어 PCU(70)에 접속된다. SMR(90)의 접점이 개방되면, 배터리(80)와 급전 릴레이(100)의 사이가 전기적으로 차단 상태로 됨과 함께, 배터리(80)와 PCU(70)의 사이가 전기적으로 차단 상태로 된다. 한편, SMR(90)의 접점이 폐쇄되면, 배터리(80)와 급전 릴레이(100)의 사이가 전기적으로 도통 상태로 됨과 함께, 배터리(80)와 PCU(70)의 사이가 전기적으로 도통 상태로 된다. SMR(90)은, 차량 ECU(14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 중 어느 것으로 전환된다. SMR(90)은, 예를 들어 급전 시에 폐쇄 상태로 전환된다.
PCU(70)는, 배터리(80)에 축적된 직류 전력을 승압하고, 승압된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제1 MG(20) 및 제2 MG(30) 중 적어도 한쪽으로 변환된 교류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PCU(70)는, 제1 MG(20) 및 제2 MG(30) 중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 발전된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직류 전력을 충전에 적합한 전압으로 강압하여 배터리(80)에 공급한다.
제1 MG(20)는, 엔진(10)을 시동시킬 때에는 배터리(80)의 전력을 사용하여 엔진(10)의 출력축을 회전시키도록 PCU(70)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제1 MG(20)는, 엔진(10)의 시동 후에, 엔진(10)의 동력을 사용하여 발전하도록 PCU(70)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제1 MG(20)에 의해 발전된 교류 전력은, PCU(70)를 경유하여 배터리(80)(급전 릴레이(100)가 폐쇄 상태일 때에는 배터리(80) 및 DC 아울렛(110))에 공급되는 것 외에, PCU(70)를 경유하여 제2 MG(30)에 공급되는 경우도 있다.
제2 MG(30)는, 배터리(80)로부터의 공급 전력 및 제1 MG(20)에 의한 발전 전력 중 적어도 한쪽을 사용하여 구동륜(60)을 구동한다. 또한, 제2 MG(30)는, 회생 제동 시에 발전하는 것도 가능하다.
급전 릴레이(100)는, DC 아울렛(110)에 접속된다. 그 때문에, 급전 릴레이(100)의 접점이 개방되면, DC 아울렛(110)과 SMR(90)의 사이가 전기적으로 차단 상태로 됨과 함께, DC 아울렛(110)과 PCU(70)의 사이가 전기적으로 차단 상태로 된다. 한편, 급전 릴레이(100)의 접점이 폐쇄되면, DC 아울렛(110)과 SMR(90)의 사이가 전기적으로 도통 상태로 됨과 함께, DC 아울렛(110)과 PCU(70)의 사이가 전기적으로 도통 상태로 된다. 급전 릴레이(100)는, 차량 ECU(14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 중 어느 것으로 전환된다. 급전 릴레이(100)는, 예를 들어 급전 시에 폐쇄 상태로 전환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MG(20)는, 발전 장치의 일례이다. 즉, HV 급전 모드에서의 급전 시에 있어서는, 엔진(10)의 동력을 사용하여 제1 MG(20)에 있어서 발전되는 발전 전력이 DC 아울렛(110)을 경유하여 차량(1)의 외부의 전기 부하에 공급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발전 전력에 추가하여 배터리(80)의 전력도 차량(1)의 외부의 전기 부하에 공급되어도 된다. 또한, EV 급전 모드에서의 급전 시에 있어서는, 배터리(80)의 전력만이 DC 아울렛(110)을 경유하여 차량(1)의 외부의 전기 부하에 공급된다.
전류 센서(150)는, 급전 릴레이(100)와 DC 아울렛(110)의 사이의 전력선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한다. 전류 센서(150)는, 검출 결과를 나타내는 신호를 차량 ECU(140)에 송신한다. 전압 센서(160)는, 급전 릴레이(100)와 DC 아울렛(110)의 사이의 전력선 사이의 전압을 검출한다. 전압 센서(160)는, 검출 결과를 나타내는 신호를 차량 ECU(140)에 송신한다. 연료 잔량 센서(170)는, 연료 탱크(도시하지 않음) 내의 연료의 잔량을 검출한다. 연료 잔량 센서(170)는, 검출 결과를 나타내는 신호를 차량 ECU(140)에 송신한다.
무선 통신 장치(130)는, 차량(1)의 외장, 차량(1)의 실내 혹은 무선 통신 장치(130)의 내부에 설치되는 안테나(도시하지 않음)를 경유하여, 차량(1)의 외부의 휴대 전화의 기지국 또는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다른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130)는, 유저가 소지하는 휴대 단말기(300), 차량(1)의 주변의 기지국(B)(406), 주택(200) 내의 액세스 포인트(204) 중 어느 것과도 통신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무선 통신 장치(130)는, 차량 ECU(14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복수의 통신 방식의 통신을 병행하여 확립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통신의 확립이란, 2 이상의 통신 기기 사이에 있어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상태로 되는 것을 말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130)는 제1 통신부(132)와 제2 통신부(134)를 포함한다.
제1 통신부(132)는, 제1 통신부(132)와 휴대 단말기(300)의 사이에서 중계점(예를 들어, 기지국(A)(404), 기지국(B)(406), 서버(402) 혹은 액세스 포인트(204) 등)을 경유하지 않고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 가능하게 구성된다. 제1 통신 방식은, 휴대 단말기(300)와 제1 통신부(132)의 사이에 있어서 직접적으로 신호의 수수가 가능한 무선 통신 방식이며, 예를 들어 Bluetooth(등록 상표) 등의 무선 통신 규격을 이용한 통신 방식이다. 제1 통신 방식은, 예를 들어 단일의 무선 통신 규격을 이용한 통신 방식이다.
제1 통신부(132)는, 예를 들어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의 확립이 가능한 거리의 범위 내에 휴대 단말기(300)가 위치하는 것을, 휴대 단말기(300)로부터 발하는 소정의 전파 등에 의해 검출하는 경우에 휴대 단말기(300)와의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을 확립할 수 있다.
제2 통신부(134)는, 제2 통신부(134)와 휴대 단말기(300)의 사이에서 중계점을 경유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제2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 가능하게 구성된다. 제2 통신 방식은, 예를 들어 IEEE802.11 등으로 대표되는 와이어리스 Local Area Network(LAN)나, 2G, 3G, 4G, 5G 등의 휴대 전화의 무선 통신 규격을 이용한, 중계점을 경유한 신호의 수수가 가능한 무선 통신 방식이다. 또한, 휴대 전화의 무선 통신 규격으로서는, 예를 들어 Long Term Evolution(LTE)이나, LTE-Advanced나,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WiMAX) 등을 포함한다. 또한, 제2 통신 방식으로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중계점을 경유하여 접속할 수 있으면 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와 중계점의 사이에서 이용되는 무선 통신 규격과, 제2 통신부(134)와 중계점의 사이에서 이용되는 무선 통신 규격은, 상이한 무선 통신 규격이어도 되고, 동일한 무선 통신 규격이어도 된다.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의 확립은, 제1 통신부(132)와 휴대 단말기(300)의 사이에서 직접 신호의 수수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행해진다. 그 때문에, 제1 통신 방식은, 중계점을 경유하는 제2 통신 방식보다 근거리에서의 통신이 가능한(즉, 제1 통신 방식은 통신 가능 거리가 짧은) 통신 방식이다.
또한, 도 2의 (A) 휴대 단말기(300)는, 차량(1)의 주변이며, 무선 통신 장치(130)와 제1 통신 방식으로 통신 가능한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도 2의 (B) 휴대 단말기(300)는, 주택(200)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도 2의 (C) 휴대 단말기(300)는, 무선 통신 장치(130)와 제1 통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없는 옥외이며, 또한 기지국(A)(404)과 통신 가능한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이어서, 무선 통신 장치(130)와 통신 가능한 휴대 단말기(3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휴대 단말기(3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휴대 단말기(300)는, 유저가 휴대 가능한 통신 단말기이며, 예를 들어 스마트폰이나 휴대 전화이다. 휴대 단말기(300)는, 제어기(302)와, 무선 통신 장치(304)와, 디스플레이(306)와, 터치 패널 등의 조작 장치(308)를 포함한다.
제어기(302)는, 모두 도시하지 않았지만, Central Processing Unit(CPU), 기억 장치인 메모리 및 입출력 버퍼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어기(302)는, 각종 센서 및 기기로부터의 신호, 그리고 메모리에 저장된 맵 및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기(300)가 원하는 작동 상태로 되도록 각종 기기를 제어한다.
휴대 단말기(300)의 제어기(302)는, 예를 들어 조작 장치(308)에 대한 유저의 조작에 따라, 소정의 정보를 휴대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306)에 표시하는 등의 소정의 동작을 행한다.
무선 통신 장치(304)는 제3 통신부(310)와 제4 통신부(312)를 포함한다. 제3 통신부(310)는, 제어기(302)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통신부(132)와의 사이에서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 가능하게 구성된다. 제4 통신부(312)는, 제어기(302)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제2 통신부(134)와의 사이에서 제2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 가능하게 구성된다. 제3 통신부(310) 및 제4 통신부(312)를 사용함으로써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의 확립과 제2 통신 방식의 통신의 확립을 병행하여 행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300)의 제어기(302)는, 유저의 조작에 의해 차량(1)에 대하여, 급전에 관한 정보의 표시, 각종 역치의 변경, 급전의 정지를 요구하고, 차량(1)으로부터 수신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306)에 표시할 수 있다.
도 2로 복귀하여, 차량 ECU(140)는 모두 도시하지 않았지만, Central Processing Unit(CPU), 기억 장치인 메모리 및 입출력 버퍼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차량 ECU(140)는, 각종 센서 및 기기로부터의 신호, 그리고 메모리에 저장된 맵 및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차량(1)이 원하는 작동 상태로 되도록 각종 기기를 제어한다. 또한, 각종 제어에 대해서는, 소프트웨어에 의한 처리에 한정되지 않고, 전용의 하드웨어(전자 회로)에 의해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차량 ECU(140)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120)와 접속되어 있고,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120)에 대한 터치 조작을 검출한다. 차량 ECU(140)는, 검출된 터치 조작에 따라 차량(1)에 탑재된 각종 기기를 제어함과 함께, 조작 혹은 제어에 대응한 정보를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120)에 표시시킨다.
급전 장치(500)는, 차량(1)의 외부이며, 또한 주택(200)의 주변에 설치된다. 급전 장치(500)는, 인버터(510)와, 급전 개시 스위치(542)와, 급전 정지 스위치(544)와, 급전 ECU(550)를 포함한다.
인버터(510)의 입력부는 접속 케이블(600)의 다른 쪽 단부에 접속된다. 인버터(510)의 출력부는, 주택(200)의 배전반(206)에 접속된다. 인버터(510)는, 급전 ECU(55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배터리(80)로부터의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고, 변환한 교류 전력을 주택(200)의 배전반(206)에 공급한다.
급전 개시 스위치(542)는, 유저가 급전을 개시하기 위해 조작하는 스위치이다. 급전 개시 스위치(542)는, 급전 ECU(550)에 접속된다. 급전 ECU(550)는, 급전 개시 스위치(542)가 조작된 경우에, 인버터(510)를 작동시킨다.
급전 정지 스위치(544)는, 유저가 급전을 정지하기 위해 조작하는 스위치이다. 급전 정지 스위치(544)는, 급전 ECU(550)에 접속된다. 급전 ECU(550)는, 급전 정지 스위치(544)가 조작된 경우에, 인버터(510)를 정지시킨다. 또한, 급전 ECU(550)는, 급전이 개시된 후에, 예를 들어 배터리(80)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정지된 경우에 인버터(510)를 정지시킨다.
급전 ECU(550)는, 모두 도시하지 않았지만, CPU, 기억 장치인 메모리 및 입출력 버퍼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급전 ECU(550)는, 각종 스위치로부터의 신호, 그리고 메모리 저장된 맵 및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인버터(510)를 제어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택(200)은, 도 1에 도시한 가전 기기(202)와, 배전반(206)에 추가하여, 액세스 포인트(204)를 더 구비한다. 액세스 포인트(204)는, 예를 들어 라우터 기능을 갖는 와이어리스 LAN의 액세스 포인트이며, 외부의 통신망(예를 들어, 인터넷)(400)에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다. 또한, 통신망(400)에는, 별도 서버(402)가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액세스 포인트(204)는, 도 2의 (B) 휴대 단말기(300)와 직접적인 접속이 가능하다.
가전 기기(202)는, 예를 들어 텔레비전이나 냉장고나 에어 컨디셔너 등의 전기 기기를 포함한다. 배전반(206)은, 차량(1)과 급전 장치(500)가 접속 케이블(600)에 의해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 혹은 차량(1)과 급전 장치(500)가 접속 케이블(600)에 의해 접속되어 있지만 급전 장치(500)가 작동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계통 전원(208)과 가전 기기(202)를 접속한다. 이때, 가전 기기(202)는, 계통 전원(208)으로부터 교류 전력에 의해 작동 가능하게 된다.
한편, 배전반(206)은, 차량(1)과 급전 장치(500)가 접속 케이블(600)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또한 급전 장치(500)가 작동하고 있는 경우에는, 급전 장치(500)와 가전 기기(202)를 접속한다. 이때, 가전 기기(202)는, 급전 장치(500)로부터의 교류 전력에 의해 작동 가능하게 된다.
배전반(206)에 있어서 가전 기기(202)와 접속되는 교류 전력의 공급원은,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에 의해 선택되어도 된다. 제어 장치는, 예를 들어 급전 장치(500)로부터 교류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계통 전원(208)을 공급원으로서 선택하고, 급전 장치(500)로부터 교류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급전 장치(500)을 공급원으로서 선택해도 된다.
휴대 단말기(300)와 무선 통신 장치(130)의 통신에 대하여
이하, 휴대 단말기(300)와 무선 통신 장치(130)의 사이에 있어서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유저가 행하는 동작 및 각종 기기에서 실행되는 동작의 일례를 설명한다.
제1 통신부(132)와 도 2의 (A) 휴대 단말기(300)의 사이에 있어서 최초로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을 확립하는 경우에는, 초기 설정이 행해진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300)에 대한 유저의 조작(예를 들어, Bluetooth의 기능을 유효로 하는 조작)에 의해, 휴대 단말기(300)를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 가능한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유저의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120)에 대한 조작에 의해, 제1 통신부(132)가 휴대 단말기(300)의 검색 대상으로 되도록 초기 설정 모드로 이행시킬 수 있다. 또한, 유저의 휴대 단말기(300)의 조작에 의해, 휴대 단말기(300)에 있어서, 이웃에 있는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이 가능한 기기를 디스플레이(306)에 표시시키는 검색 처리를 실행시킬 수 있다.
휴대 단말기(300)는, 제1 통신부(132)를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이 가능한 기기로서 인식하면, 제1 통신부(132)를 특정하는 정보(기기의 명칭 등)를 디스플레이(306)에 표시시킨다. 유저에 의해 제1 통신부(132)를 제1 통신 방식의 통신 대상으로서 선택하는 조작이 행해지면, 휴대 단말기(300)는, 제1 통신부(132)에 대하여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을 확립하는 요구를 송신한다. 제1 통신부(132)는, 휴대 단말기(300)로부터 요구를 수신하면, 휴대 단말기(300)와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허가하여,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을 확립한다. 이때, 휴대 단말기(300)와 제1 통신부(132)의 양쪽에 있어서 접속 이력과 접속처를 특정하는 정보가 기억되고, 다음회 이후에 자동적으로 실시되는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의 확립에 사용된다. 상술한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유저의 동작 및 각종 기기에 대한 초기 설정의 동작은 일례이며, 이들의 동작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통신부(132)는, 최초로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을 확립하는 경우에, 휴대 단말기(300)에 대하여, 고유의 패스워드의 입력을 요구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초기 설정 후에, 휴대 단말기(300)는, 제1 통신부(132)를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이 가능한 기기로서 인식하였을 때 통신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제1 통신부(132)와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을 확립하는 것으로 한다.
제2 통신부(134)와 도 2의 (B) 휴대 단말기(300)의 사이에 있어서 제2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되는 경우, 제2 통신부(134)와 휴대 단말기(300)는,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204)를 중계점으로 한 경로에서의 제2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된다.
이 경우, 제2 통신 방식의 통신의 확립은, 휴대 단말기(300)와 액세스 포인트(204)의 사이의 통신과, 액세스 포인트(204)와 제2 통신부(134)의 사이의 통신이 확립됨으로써 실현된다.
각 통신 기기(휴대 단말기(300) 혹은 제2 통신부(134))와 액세스 포인트(204)의 사이의 통신이, 예를 들어 와이어리스 LAN 등의 무선 통신 규격을 이용하여 확립되는 경우에는, 최초의 통신의 확립 시에 초기 설정이 행해진다. 또한, 초기 설정으로서는, 예를 들어 상술한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을 확립하는 경우의 초기 설정 상당의 동작이 행해진다. 그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각 통신 기기와 액세스 포인트(204)의 사이의 통신은, 서로 통신 가능한 범위 내에 있는 경우, 각 통신 기기에 의해 자동적으로 확립되는 것으로 한다.
제2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되는 경우, 예를 들어 통신처 및 통신원의 IP 어드레스나 MAC 어드레스 등의 수신처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호의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혹은, 제2 통신부(134)와 도 2의 (B) 휴대 단말기(300)의 사이에 있어서 제2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되는 경우, 제2 통신부(134)와 휴대 단말기(300)는,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204), 통신망(400) 및 기지국(B)(406)을 중계점으로 한 경로에서의 제2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된다.
이 경우, 제2 통신 방식의 통신의 확립은, 기지국(B)(406)과 제2 통신부(134)의 사이의 통신과, 휴대 단말기(300)와 액세스 포인트(204)의 통신이 확립됨으로써 실현된다.
기지국(B)(406)과 제2 통신부(134)의 사이의 통신은, 예를 들어 4G 등의 무선 통신 규격을 이용하여 확립된다. 이 경우, 제2 통신부(134)에 내장되는 Subscriber Identity Module(SIM)에 기억되는 계약자 정보가 기지국(B)(406)을 경유하여 휴대 전화 사업자의 서버에 송신된다. 송신된 계약자 정보와 서버에 보존되는 계약자 정보가 대조된다. 그리고, 계약자 정보가 일치하면, 통신망(400)을 경유한 통신처와의 데이터의 송수신이 허가된다. 이러한 일련의 대조 동작은, 기지국(B)(406)과 제2 통신부(134)의 사이에서 통신이 가능하게 되었을 때 자동적으로 행해진다.
이어서, 제2 통신부(134)와 도 2의 (C) 휴대 단말기(300)의 사이에 있어서 제2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되는 경우, 제2 통신부(134)와 휴대 단말기(300)는, 예를 들어 기지국(A)(404), 통신망(400) 및 액세스 포인트(204)를 중계점으로 한 경로에서의 제2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된다.
이 경우, 제2 통신 방식의 통신은, 기지국(A)(404)과 휴대 단말기(300)의 사이의 통신과, 액세스 포인트(204)와 제2 통신부(134)의 사이의 통신이 확립됨으로써 실현된다.
혹은, 제2 통신부(134)와 도 2의 (C) 휴대 단말기(300)의 사이에 있어서 제2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되는 경우, 제2 통신부(134)와 휴대 단말기(300)는, 기지국(B)(406), 통신망(400) 및 기지국(A)(404)을 중계점으로 한 경로에서의 제2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된다.
이 경우, 제2 통신 방식의 통신은, 기지국(A)(404)과 휴대 단말기(300)의 사이의 통신과, 기지국(B)(406)과 제2 통신부(134)의 사이의 통신이 확립됨으로써 실현된다. 기지국(A)(404)과 휴대 단말기(300)의 사이는, 예를 들어 4G 등의 무선 통신 규격을 이용하여 확립된다.
급전 모드의 선택에 대하여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차량(1)에 있어서, 급전 모드의 선택은, 예를 들어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120)를 사용하여 행할 수 있다. 그러나,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120)를 사용하여 급전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급전이 개시될 때까지 유저는 차량(1)의 실내와 실외를 출입하게 되어, 급전의 조작의 편리성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다. 이하,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120)를 사용하여 급전을 행하는 경우의 유저 및 차량 ECU(140)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실내의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120)를 사용하여 급전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의 유저의 동작과 차량 ECU(14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엔진(10)은, 예를 들어 정지 상태인 경우를 상정한다.
도 4의 (a-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저는, 차량(1)의 배터리(80)의 전력 및/또는 발전 장치인 제1 MG(20)에 의해 발생하는 발전 전력을 사용하여 주택(200)에 대하여 급전을 행하는 경우에는, 차량(1)의 실외(차 밖)에서 급전 커넥터(610)를 차량(1)의 DC 아울렛(110)에 설치한다.
도 4의 (b-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 ECU(140)는, 급전 커넥터(610)가 접속되었음을 인식한다. 그리고, 차량(1)의 실내의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120)에 선택 화면을 표시하고, 급전 모드의 선택 조작은 접수 가능 상태(조작 접수 가능 상태)로 된다.
도 4의 (a-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유저가, 차량(1)의 실내로 이동하여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120)를 조작하여, HV 급전 모드를 선택하는 조작을 행하는 경우를 상정한다. 이때, 도 4의 (b-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 ECU(140)는, 유저의 선택 조작을 접수하여 HV 급전 모드를 선택한다. 그 때문에, 차량 ECU(140)는, 도 4의 (b-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엔진(10)을 시동시키는 엔진 시동 제어를 실행한다.
도 4의 (a-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저가 다시 차량(1)의 실외로 이동하여 급전 장치(500)의 급전 개시 스위치(542)를 조작함으로써 도 4의 (b-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HV 급전 모드에서 급전이 개시된다.
이와 같이, 유저가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120)를 조작하여 급전을 개시하는 경우에는, 유저는 차량(1)의 실내와 실외를 출입하게 되어, 편리성이 높은 급전을 실시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엔진(10)을 동작시키는 HV 급전 모드를 유저가 선택하는 경우, 유저는, 차량(1) 부근의 상황이 엔진(10)의 시동을 허가해도 되는 상황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장소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급전에 관한 각종 조작에 대하여, 유저가 차량 부근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장소에 있는 것을 필요로 하면, 유저는,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300)를 사용하여 원격지에서 급전 상황을 확인하는 등의 조작을 행할 수 없어, 편리성이 높은 급전을 실시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급전 시스템(2)은, 휴대 단말기(300)와 차량(1)의 사이에서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경우에, 휴대 단말기(300)에 대한 조작에 의한 HV 급전 모드의 선택이 가능한 상태로 되고, 휴대 단말기(300)와 차량(1)의 사이에서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휴대 단말기(300)에 대한 조작에 의한 HV 급전 모드의 선택이 불가능한 상태로 되도록 구성된 급전 모드 제어기를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유저는,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경우에는, 차량(1)으로부터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이 가능한 거리의 범위 내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300)를 사용함으로써 차 밖에서도 HV 급전 모드의 선택을 행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편리성이 높은 급전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중계점을 경유하지 않고 통신을 확립할 수 있는 거리는 차량(1)에 가까운 거리이기 때문에, 유저는 차량(1)의 부근을 확인할 수 있는 상황에서 HV 급전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유저가 원격지에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이러한 경우에, 휴대 단말기(300)에 대한 조작에 의한 HV 급전 모드의 선택이 불가능한 상태로 됨으로써, 원격지에서 HV 급전 모드가 선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급전 모드 제어기」가 휴대 단말기(300)의 제어기(302)에 의해 실현되는 경우를 일례로서 설명한다.
이하, 도 5를 사용하여 휴대 단말기(300)의 제어기(302)에서 실행되는 제어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휴대 단말기(300)의 제어기(302)에서 실행되는 제어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 흐름도에 도시되는 처리는, 소정의 제어 주기(=단위 시간)마다 제어기(302)에서 실행되는 메인루틴(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호출되어 실행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텝(이하, 스텝을 「S」라고 기재함) 10에서, 제어기(302)는, 급전에 관한 조작을 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하, 간단히 애플리케이션이라고 기재함)을 기동하는 조작이 행해졌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제어기(302)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306)에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기 위한 아이콘 등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이 조작 장치(308)에 대하여 행해진 경우에는,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는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정한다.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는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정되는 경우(S10에서 "예"), 처리는 S20으로 이행된다.
S20에서, 제어기(302)는, 차량(1)과의 사이에서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제어기(302)는, 예를 들어 차량(1)과의 사이에서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되었을 때 제1 플래그를 온 상태로 하고, 차량(1)과의 사이의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이 해제되었을 때 제1 플래그를 오프 상태로 한다. 제어기(302)는, 제1 플래그의 상태에 기초하여 차량(1)과의 사이에서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차량(1)과의 사이에서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되었다고 판정되는 경우(S20에서 "예"), 처리는 S30으로 이행된다.
S30에서, 제어기(302)는, EV 급전 모드 및 HV 급전 모드의 어느 것도 선택을 허가한다. 제어기(302)는, 예를 들어 EV 급전 모드의 선택 허가 플래그와, HV 급전 모드의 선택 허가 플래그를 모두 온 상태로 한다.
S40에서, 제어기(302)는, 차량(1)과의 사이에서(구체적으로는, 제2 통신부(134)와 제4 통신부(312)의 사이에서) 제2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제어기(302)는, 예를 들어 차량(1)과의 사이에서 제2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되었을 때 제2 플래그를 온 상태로 하고, 차량(1)과의 사이의 제2 통신 방식의 통신이 해제되었을 때 제2 플래그를 오프 상태로 한다. 제어기(302)는, 제2 플래그의 상태에 기초하여 차량(1)과의 사이에서 제2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차량(1)과의 사이에서 제2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되었다고 판정되는 경우(S40에서 "예"), 처리는 S50으로 이행된다.
S50에서, 제어기(302)는, EV 급전 모드의 선택을 허가하고, HV 급전 모드의 선택을 불허가로 한다. 제어기(302)는, 예를 들어 EV 급전 모드의 선택 허가 플래그를 온 상태로 하고, HV 급전 모드의 선택 허가 플래그를 오프 상태로 한다.
S60에서, 제어기(302)는, EV 급전 모드 및 HV 급전 모드의 어느 것도 선택을 불허가로 한다. 제어기(302)는, 예를 들어 EV 급전 모드의 선택 허가 플래그와, HV 급전 모드의 선택 허가 플래그를 모두 오프 상태로 한다.
S70에서, 제어기(302)는, 선택 화면의 표시 처리를 실행한다. 제어기(302)는, 예를 들어 도 1의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120)에 있어서 표시된 급전 모드의 선택 화면과 마찬가지의 표시 구성의 선택 화면을 디스플레이(306)에 표시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제어기(302)는, HV 급전 모드의 선택 허가 플래그가 온 상태인 경우에는, 조작 장치(308)에 대한 조작에 의한 HV 급전 모드의 선택이 가능한 상태로 되도록 한다. 한편, 제어기(302)는, HV 급전 모드의 선택 허가 플래그가 오프 상태인 경우에는, 조작 장치(308)에 대한 조작에 의한 HV 급전 모드의 선택이 불가능한 상태로 되도록 한다.
제어기(302)는, 예를 들어 HV 급전 모드의 선택 허가 플래그가 온 상태인 경우에, 「HV 급전 모드」의 문자열이 표시된 직사각형 영역을 표시하고, 선택 조작을 접수 가능한 것으로 함으로써 HV 급전 모드의 선택이 가능한 상태로 해도 된다.
또한, 제어기(302)는, 예를 들어 HV 급전 모드의 선택 허가 플래그가 오프 상태인 경우에, 당해 직사각형 영역을 비표시로 함으로써 HV 급전 모드의 선택이 불가능한 상태로 해도 된다. 혹은, 제어기(302)는, 예를 들어 HV 급전 모드의 선택 허가 플래그가 오프 상태인 경우에, 당해 직사각형 영역의 표시 형태를 HV 급전 모드의 선택 허가 플래그가 온 상태인 경우와 상이한 표시 형태(예를 들어, 그레이 아웃시키는 등)로 하고, 선택 조작이 행해져도 접수하지 않음으로써 HV 급전 모드의 선택이 불가능한 상태로 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제어기(302)는, EV 급전 모드의 선택 허가 플래그가 온 상태인 경우에는, 조작 장치(308)에 대한 조작에 의한 EV 급전 모드의 선택이 가능한 상태로 되도록 한다. 한편, 제어기(302)는, EV 급전 모드의 선택 허가 플래그가 오프 상태인 경우에는, 조작 장치(308)에 대한 조작에 의한 EV 급전 모드의 선택이 불가능한 상태로 되도록 한다. 또한, EV 급전 모드의 선택이 가능한 상태로 하는 동작 및 EV 급전 모드의 선택이 불가능한 상태로 하는 동작에 대해서는, 상술한 HV 급전 모드의 경우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또한, 휴대 단말기(300)와 무선 통신 장치(130)의 사이에서 제1 통신 방식의 통신과 제2 통신 방식의 통신의 양쪽이 확립되어 있는 경우에는, 적어도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되어 있기 때문에(S20에서 "예"), 휴대 단말기(300)를 사용한 HV 급전 모드의 선택은 가능하게 된다.
이하, 도 6을 사용하여 차량 ECU(140)에서 실행되는 제어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1)에 탑재된 차량 ECU(140)에서 실행되는, 급전 모드를 선택하는 제어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 흐름도에 도시되는 처리는, 소정의 제어 주기(=단위 시간)마다 차량 ECU(140)에서 실행되는 메인루틴(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호출되어 실행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S100에서, 차량 ECU(140)는, DC 아울렛(110)에 급전 커넥터(610)가 접속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DC 아울렛(110)에 급전 커넥터(610)의 접속을 검출하는 센서 혹은 검출 회로를 설치하고, 차량 ECU(140)는, 이들 센서 혹은 검출 회로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급전 커넥터(610)가 DC 아울렛(110)에 접속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급전 커넥터(610)의 접속을 검출하는 센서 혹은 검출 회로는, 예를 들어 DC 아울렛(110)으로의 급전 커넥터(610)의 접속에 연동되어 온 상태로 되는 스위치여도 되고, 설치됨으로써 회로 저항의 변화에 의한 전압 변화를 검출하는 전압 센서여도 된다. DC 아울렛(110)에 급전 커넥터(610)가 접속되었다고 판정되는 경우(S100에서 "예"), 처리는 S102로 이행된다.
S102에서, 차량 ECU(140)는, 급전 모드의 선택 조작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차량 ECU(140)는, 예를 들어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된 어느 하나의 급전 모드의 문자열이 표시된 직사각형 영역에 대하여 터치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 급전 모드의 선택 조작이 있다고 판정한다. 혹은, 차량 ECU(140)는, 휴대 단말기(300)로부터 무선 통신 장치(130)를 경유하여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급전 모드의 선택 조작이 있다고 판정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300)에 있어서 EV 급전 모드와 HV 급전 모드 중 어느 것의 급전 모드를 선택하는 조작이 접수된 경우, 휴대 단말기(300)는, 선택된 급전 모드를 특정 가능한 정보를, 무선 통신 장치(130)를 경유하여 차량 ECU(140)에 송신한다. 차량 ECU(140)는, 당해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급전 모드의 선택 조작이 있다고 판정한다. 급전 모드의 선택 조작이 있다고 판정되는 경우(S102에서 "예"), 처리는 S106으로 이행된다.
S106에서, 차량 ECU(140)는, HV 급전 모드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HV 급전 모드가 선택되었다고 판정되는 경우(S106에서 "예"), 처리는 S108로 이행된다.
S108에서, 차량 ECU(140)는, HV 급전 모드에서 차량(1)의 제어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차량 ECU(140)는, 엔진 시동 제어를 실행하거나 하여 엔진(10)을 작동 상태로 한다.
한편, HV 급전 모드가 선택되지 않았다고 판정되는 경우(즉, EV 급전 모드가 선택되었다고 판정되는 경우)(S106에서 "아니오"), 처리는 S110으로 이행된다.
S110에서, 차량 ECU(140)는, EV 급전 모드에서 차량(1)의 제어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차량 ECU(140)는 엔진(10)을 정지 상태로 한다.
또한, S100에서, 급전 커넥터가 접속되지 않았다고 판정되는 경우(S100에서 "아니오"), 혹은 S102에서, 차량 ECU(140)는, 급전 모드의 선택 조작이 행해지고 않았다고 판정되는 경우에는(S102에서 "아니오"), 이 처리는 종료한다.
이어서, 급전이 개시된 후의 휴대 단말기(300)를 사용한 급전에 관한 조작의 일례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1)에 탑재된 차량 ECU(140)에서 실행되는, 급전 개시 후의 제어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 흐름도에 도시되는 처리는, 소정의 제어 주기(=단위 시간)마다 반복 실행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S200에서, 차량 ECU(140)는 급전이 개시된 후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차량 ECU(140)는, 예를 들어 급전 커넥터(610)가 접속된 상태이며, 또한 전류 센서(150)에 의해 검출되는 급전 전류가 급전 역치보다 큰 경우에, 급전이 개시된 후라고 판정해도 된다. 급전이 개시된 후라고 판정되는 경우(S200에서 "예"), 처리는 S208로 이행된다.
S208에서, 차량 ECU(140)는, 배터리(80)의 충전 용량(SOC) 정보를 통지하는 통지 역치의 변경 요구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애플리케이션의 기동 중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306)에는, 급전이 개시되면, 급전에 관한 미리 정해진 동작을 행하기 위한 설정 화면이 표시된다. 미리 정해진 동작은, 예를 들어 배터리(80)의 SOC에 관한 정보(이하, SOC 정보라고 기재함)를 통지하기 위한, 축전 장치의 SOC의 제1 역치를 변경하는 동작과, SOC의 통지를 요구하는 동작과, 급전을 정지하는 동작 중 적어도 어느 것을 포함한다. 설정 화면에는, 예를 들어 SOC 정보를 통지하는 SOC의 통지 역치의 변경 요구, SOC 정보의 통지 요구 및 급전의 정지 요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한 메뉴가 표시된다. 유저의 조작 장치(308)에 대한 조작에 의해 각종 요구가 선택되면, 선택된 요구를 나타내는 정보가 무선 통신 장치(130)에 송신된다.
차량 ECU(140)는,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300)로부터 변경 요구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 통지 역치의 변경 요구가 있다고 판정한다. 혹은, 차량 ECU(140)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120)에 대한 통지 역치의 변경 조작을 접수한 경우에 통지 역치의 변경 요구가 있다고 판정해도 된다. 통지 역치의 변경 요구가 있다고 판정되는 경우(S208에서 "예"), 처리는 S210으로 이행된다.
S210에서, 차량 ECU(140)는 통지 역치를 갱신한다. 차량 ECU(140)는, 예를 들어 새로운 통지 역치로서 유저에 의해 휴대 단말기(300)에 입력된 값을 휴대 단말기(300)로부터 취득하고, 취득된 값을 새로운 통지 역치로서 갱신해도 된다. 혹은, 유저에 의해 휴대 단말기(300)에 입력된 통지 역치를 감소시키는 지시에 따라 현재값에서 미리 정해진 값을 감산한 값을 새로운 통지 역치로서 갱신해도 된다. 혹은, 유저로부터의 통지 역치를 증가시키는 지시에 따라 현재값에 미리 정해진 값을 가산한 값을 새로운 통지 역치로서 갱신해도 된다.
S212에서, 차량 ECU(140)는, SOC 정보의 통지 요구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차량 ECU(140)는,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300)로부터 통지 요구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SOC 정보의 통지 요구가 있다고 판정한다. 혹은, 차량 ECU(140)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120)에 있어서 SOC 정보의 통지 요구를 나타내는 소정의 조작을 접수한 경우에 SOC 정보의 통지 요구가 있다고 판정해도 된다. SOC 정보의 통지 요구가 있다고 판정되는 경우(S212에서 "예"), 처리는 S214로 이행된다.
S214에서, 차량 ECU(140)는, SOC 정보의 통지 처리를 행한다. SOC 정보는, 배터리(80)의 SOC의 현재값을 포함한다. 차량 ECU(140)는, 예를 들어 배터리(80)의 전류, 전압 및 온도에 기초하여 배터리(80)의 SOC의 추정값을 현재값으로서 산출한다. 또한, SOC의 추정은 주지의 방법(예를 들어, Open Circuit Voltage(OCV) 추정법이나 전류 적산법 등)을 사용하면 되며, 그 상세한 설명은 행하지 않는다. 차량 ECU(140)는, 예를 들어 SOC의 현재값을 소정의 시간 간격마다 산출한다.
차량 ECU(140)는,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300)에 대하여 SOC 정보를 송신함과 함께,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120)에 SOC 정보를 표시한다. 휴대 단말기(300)는, 수신한 SOC 정보를 디스플레이(306) 등의 표시 장치에 표시함으로써 SOC 정보를 유저에게 통지한다. 또한, 차량 ECU(140)는, 휴대 단말기(300)로부터 통지 요구를 받은 경우에는, 휴대 단말기(300)에 대하여 SOC 정보를 송신하여, 휴대 단말기(300)에 있어서만 SOC 정보를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표시하는 SOC 정보로서는, 배터리(80)의 SOC의 현재값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현재의 통지 역치를 포함하도록 해도 되고, SOC의 상한값이나 하한값을 포함하도록 해도 되고, 혹은 상한값과의 차분이나 하한값과의 차분을 포함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통지 방법으로서는, 음성에 의한 것이어도 된다.
SOC 정보의 통지 요구가 없다고 판정되는 경우(S212에서 "아니오"), 처리는 S216으로 이행된다. S216에서, 차량 ECU(140)는, 배터리(80)의 SOC가 통지 역치보다 큰지 여부를 판정한다. 배터리(80)의 SOC가 통지 역치보다 크다고 판정되는 경우(S216에서 "예"), 처리는 S218로 이행된다. 한편, 배터리(80)의 SOC가 통지 역치 이하라고 판정되는 경우(S216에서 "아니오"), 처리는 S214로 이행되어, SOC 정보가 통지된다.
S218에서, 차량 ECU(140)는, 급전 정지 요구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유저가 휴대 단말기(300)에 대하여 급전 정지 요구의 조작(예를 들어, 화면 상의 소정의 버튼 화상에 대하여 행하는 터치 조작 등)을 행하면 휴대 단말기(300)는 급전 정지 요구가 있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차량 ECU(140)에 송신한다. 차량 ECU(140)는, 휴대 단말기(300)로부터 급전 정지 요구가 있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급전 정지 요구가 있다고 판정한다. 혹은, 차량 ECU(140)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120)를 사용한 급전 정지 조작을 접수한 경우에 급전 정지 요구가 있다고 판정한다. 급전 정지 요구가 있다고 판정되는 경우(S218에서 "예"), 처리는 S220으로 이행된다. S220에서, 차량 ECU(140)는 급전 정지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차량 ECU(140)는, 예를 들어 SMR(90) 및 급전 릴레이(100)를 차단 상태로 하는 제어 처리를 급전 정지 처리로서 실행한다. 또한, 급전 정지 요구가 없다고 판정되는 경우(S218에서 "아니오"), 차량 ECU(140)는, 이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과 같은 구조 및 흐름도에 기초하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1)의 동작에 대하여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휴대 단말기(300)를 사용한 급전 모드의 선택 동작에 대하여
도 8은, 휴대 단말기(300)를 사용하여 급전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의 유저의 동작과 차량 ECU(14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휴대 단말기(300)를 휴대한 유저가 차량(1)에 근접함으로써 휴대 단말기(300)와 제1 통신부(132)의 거리가,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의 확립이 가능한 범위 내로 되면, 도 8의 (d-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300)와 제1 통신부(132)의 사이에서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이 자동적으로 확립된다.
도 8의 (c-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1)의 배터리(80)의 전력을 사용하여 주택(200)에 대하여 급전을 행하는 경우, 유저는 차량(1)의 실외에서 급전 커넥터(610)를 차량(1)의 DC 아울렛(110)에 설치한다.
도 8의 (d-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 ECU(140)는, 급전 커넥터(610)가 접속되었음을 인식하면(S100에서 "예"), 급전 모드의 선택 조작이 접수 가능 상태로 된다(S102).
유저가 휴대 단말기(300)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의 기동 조작을 행하면(S10에서 "예"), 차량(1)과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되어 있기 때문에(S20에서 "예"), EV 급전 모드 및 HV 급전 모드의 양쪽의 선택 허가 플래그가 온된다. 그 때문에, EV 급전 모드 및 HV 급전 모드의 양쪽의 선택이 가능한 상태에서 급전 모드의 선택 화면이 표시된다(S70).
도 8의 (c-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저가 휴대 단말기(300)를 조작함으로써 HV 급전 모드의 선택 조작이 행해지면, 선택된 급전 모드의 정보가 제1 통신부(132)에 송신된다. 차량 ECU(140)는, 급전 모드의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급전 모드의 선택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정한다(S102에서 "예"). 그리고, 도 8의 (d-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신한 급전 모드의 정보에 기초하여 HV 급전 모드의 선택 조작이 접수된다(S106에서 "예"). 그 때문에, HV 급전 모드에서 차량(1)의 제어가 개시된다(S108). 즉, 차량 ECU(140)는, 도 8의 (d-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엔진 시동 제어를 실행한다.
도 8의 (c-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저가 차 밖에서 급전 장치(500)의 급전 개시 스위치(542)를 조작함으로써 도 8의 (d-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전이 개시된다.
이와 같이, 휴대 단말기(300)를 사용하여 급전에 관한 조작을 행함으로써, 유저는, 급전 커넥터(610)를 차량(1)의 DC 아울렛(110)에 설치하는 조작을 개시하고 나서 차량(1)의 실내에 들어가지 않고 급전을 개시할 수 있다.
또한, 유저가 휴대 단말기(300)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의 기동 조작을 행하였을 때(S10에서 "예"),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이 성립되지 않은 경우(S20에서 "아니오"), 적어도 HV 급전 모드의 선택이 불허가로 되기 때문에(S50 또는 S60), HV 급전 모드의 선택이 불가능한 상태에서 급전 모드의 선택 화면이 표시된다(S70).
휴대 단말기(300)를 사용하여 급전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통지하는 동작에 대하여
이어서, 급전이 개시된 후에 휴대 단말기(300)를 사용하여 급전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통지하는 동작에 대하여 도 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9는, 급전이 개시된 후에 휴대 단말기(30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SOC의 정보를 통지하는 경우의 유저의 동작과 차량 ECU(14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휴대 단말기(300)를 휴대한 유저가 주택(200) 내로 이동 혹은 주택(200)에 근접함으로써 휴대 단말기(300)와 액세스 포인트(204)의 사이에서 통신이 가능한 거리로 되면, 이 양자 간의 통신이 자동적으로 확립된다.
또한, 제2 통신부(134)와 액세스 포인트(204)의 거리가, 제2 통신 방식의 통신의 확립이 가능한 범위 내로 되면, 이 양자 간의 통신이 자동적으로 확립된다. 이에 의해, 도 9의 (f-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통신부(134)와 액세스 포인트(204)의 사이에서 제2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된다.
예를 들어, 도 9의 (f-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전이 개시된 후에 있어서는(S200에서 "예"), 통지 역치의 변경 요구가 있는지 여부(S208), SOC 정보의 통지 요구가 있는지 여부(S212), SOC가 통지 역치보다 큰지 여부(S216), 및 급전 정지 요구가 있는지 여부(S218)가 순차적으로 판정된다.
도 9의 (e-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저가 휴대 단말기(300)에 대하여 배터리(80)의 SOC 정보의 통지를 요구하는 조작을 행하는 경우, 차량 ECU(140)는, SOC 정보의 통지 요구가 있다고 판정한다(S212에서 "예"). 도 9의 (f-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 ECU(140)는, SOC 정보의 통지 요구를 접수하면 배터리(80)의 SOC의 현재값을 취득한다. 그리고, 도 9의 (f-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 ECU(140)는, 취득된 SOC의 현재값을 포함하는 SOC 정보를 휴대 단말기(300)에 송신한다(S214).
휴대 단말기(300)는, 도 9의 (e-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장치(130)로부터 SOC 정보를 수신하고, 도 9의 (e-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306)에 수신한 SOC 정보를 표시한다.
한편, 차량 ECU(140)는, 급전 정지 요구가 없는 경우에는(S218에서 "아니오"), 도 9의 (f-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전을 계속한다.
휴대 단말기(300)를 사용하여 급전을 정지하는 동작에 대하여
이어서, 급전이 개시된 후에 휴대 단말기(300)를 사용하여 급전을 정지하는 동작에 대하여 도 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0은, 급전이 개시된 후에 휴대 단말기(30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급전을 정지하는 경우의 유저의 동작과 차량 ECU(14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9의 (f-1)과 마찬가지로, 도 10의 (h-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되는 경우를 상정한다.
예를 들어, 도 10의 (h-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전이 개시된 후에 있어서는(S200에서 "예"), 전술한 바와 같이, 통지 역치의 변경 요구가 있는지 여부(S208), SOC 정보의 통지 요구가 있는지 여부(S212), SOC가 통지 역치보다 큰지 여부(S216), 및 급전 정지 요구가 있는지 여부(S218)가 순차적으로 판정된다.
차량 ECU(1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시간 간격마다 배터리(80)의 SOC의 현재값을 산출하고 있다. 도 10의 (h-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산출된 배터리(80)의 SOC의 현재값이 통지 역치보다 저하된 경우에는(S216에서 "아니오"), 도 10의 (h-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 ECU(140)는, 산출된 SOC 정보를 휴대 단말기(300)에 송신한다(S214).
휴대 단말기(300)는, 도 10의 (g-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장치(130)로부터 SOC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도 10의 (g-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306)에 수신한 SOC 정보를 표시한다.
도 10의 (g-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저는 표시된 SOC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기(300)에 대하여 급전 정지 요구 조작을 행하면, 도 10의 (h-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 ECU(140)는 급전 정지 요구를 접수한다(S218에서 "예"). 그 때문에, 차량 ECU(140)는 급전 정지 처리를 실행한다(S220). 즉, 차량 ECU(140)는, 급전 릴레이(100)나 SMR(90)이 차단 상태로 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도 10의 (h-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전을 정지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급전 시스템(2)에 따르면, 유저는,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경우에는, 차량(1)으로부터 제1 통신 방식의 무선 통신이 가능한 거리의 범위 내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300)를 사용함으로써 차 밖에서도 HV 급전 모드 및 EV 급전 모드의 선택을 행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편리성이 높은 급전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중계점을 경유하지 않고 통신을 확립할 수 있는 거리는 차량(1)에 가까운 거리이기 때문에, 유저는 차량(1)의 부근을 확인할 수 있는 상황에서 HV 급전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유저가 원격지에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이러한 경우에, 휴대 단말기(300)에 대한 조작에 의한 HV 급전 모드의 선택이 불가능한 상태로 됨으로써, 원격지에서 HV 급전 모드가 선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엔진을 동작시켜 급전하는 급전 모드를 갖는 급전 시스템에 있어서 편리성이 높은 급전을 실시할 수 있는 급전 시스템 및 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300)와 차량(1)의 사이에서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경우, 및/또는, 휴대 단말기(300)와 차량(1)의 사이에서 제2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경우, 휴대 단말기(300)는, EV 급전 모드의 선택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그 때문에, 휴대 단말기(300)를 사용함으로써 차 밖에서도 EV 급전 모드의 선택을 행할 수 있다. 특히, 제2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경우보다 원거리의 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원격지에서 EV 급전 모드의 선택이 가능하게 된다. 그 때문에, 편리성이 높은 급전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300)와 차량(1)의 사이에서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경우, 휴대 단말기(300)의 선택 화면에 의한 HV 급전 모드의 선택이 불가능한 상태로 되기 때문에, 휴대 단말기(300)에 있어서 HV 급전 모드를 선택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주택(200)으로의 급전이 개시되고, 또한 제1 통신 방식 및 상기 제2 통신 방식 중 어느 것의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경우에는, 휴대 단말기(300)에 대한 조작에 의한, 급전에 관한 미리 정해진 동작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그 때문에, 중계점을 경유하는 제2 통신 방식의 통신에 의해 원격지에서도 급전에 관한 미리 정해진 동작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성이 높은 급전을 실시할 수 있다.
이하, 변형례에 대하여 기재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으로서는, Bluetooth를 이용한 통신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으로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중계점을 경유하지 않고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면 되며, Bluetooth의 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은, 예를 들어 Wi-Fi Direct(등록 상표)나 적외선을 이용한 통신이어도 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의 확립 및 제2 통신 방식의 통신의 확립이 자동적으로 행해지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지만, 유저에 의한 수동 조작에 의해 확립되어도 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휴대 단말기(300)와 차량(1)의 사이에서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경우라도, 제2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경우에는, 휴대 단말기(300)를 사용하여 EV 급전 모드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서 설명하였지만, 특히 이러한 동작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300)와 차량(1)의 사이에서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HV 급전 모드 및 EV 급전 모드의 어느 선택도 불가능한 상태로 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HV 급전 모드는, 엔진(10)을 상시 작동 상태로 하는 급전 모드인 것으로서 설명하였지만, 엔진(10)의 작동을 허용한 상태에서 엔진을 사용한 발전 전력 및 배터리(80)의 전력 중 적어도 어느 것을 차량(1)의 외부의 전기 부하에 공급하는 전력 공급 형태라면, 특히 엔진(10)을 상시 작동 상태로 하는 전력 공급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HV 급전 모드는, 배터리(80)의 SOC가 역치로 될 때까지는, 배터리(80)의 전력을 외부의 전기 부하에 공급하고, 배터리(80)의 SOC가 역치보다 저하되었을 때 엔진(10)을 작동 상태로 하여, 엔진(10)을 사용하여 발전되는 전력을 외부의 전기 부하에 공급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배터리(80)의 SOC가 제1 역치 이하로 되면 SOC 정보를 휴대 단말기(300)에 송신함으로써 SOC 정보를 유저에게 통지하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지만, 예를 들어 연료 잔량 센서(170)에 의해 검출되는 엔진(10)의 연료의 잔량이 제2 역치 이하로 되면 연료의 잔량에 관한 정보를 휴대 단말기(300)에 송신해도 된다. 연료의 잔량에 관한 정보는, 연료의 잔량, 잔량의 하한값, 잔량과 하한값의 차에 기초하는 HV 급전 모드에서의 급전 가능 시간 등을 포함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제2 역치는, 휴대 단말기(300)의 조작에 의해 변경 가능한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이 가능한 거리의 범위 내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300)를 사용한 HV 급전 모드의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지만, 차량 ECU(140)는, 예를 들어 차량(1)의 시스템 정지 시 등의 주행 불가 상태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130)가 출력하는 전파의 강도를 약화시키는 등의 조정을 행하고,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이 가능한 거리의 범위를 차량(1) 부근의 상황이 확인 가능한 범위(예를 들어, 차량(1)을 시인 가능한 범위 혹은 차량(1) 부근으로 단시간에 이동 가능한 범위)로 설정해 두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소비 전력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유저가 휴대 단말기(300)를 사용하여 HV 급전 모드의 선택을 차량(1)에 요구하는 경우, 유저는 차량(1) 부근의 상황이 확인 가능한 범위 내로 이동하게 된다. 그 때문에, 유저에게 차량(1) 부근의 상황을 확인시킬 수 있다.
또한, 차량 ECU(140)는, 배터리(80)의 SOC가 하한값으로 되는 경우, 혹은 연료의 잔량이 하한값으로 되는 경우에 SMR(90)이나 급전 릴레이(100)를 차단함으로써 급전을 정지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유저의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120)의 조작 혹은 휴대 단말기(300)의 조작에 의해 배터리(80)의 하한값을 변경 가능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휴대 단말기(300)의 제어기(302)를 「급전 모드 제어기」의 일례로서 설명하였지만, 예를 들어 차량 ECU(140)에 의해 「급전 모드 제어기」를 실현해도 된다.
이 경우, 차량 ECU(140)는,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300)와 차량(1)의 사이에서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경우에만, HV 급전 모드의 선택이 가능한 상태로 되도록 구성된다. 차량 ECU(140)는,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300)로부터 HV 급전 모드의 선택 요구가 있는 경우에, 휴대 단말기(300)와 차량(1)의 사이에서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HV 급전 모드의 선택을 금지한다.
이와 같이 하면, 편리성이 높은 급전을 행할 수 있음과 함께, 원격지에서 HV 급전 모드가 선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하에, 도 11을 사용하여 이 변형례에 관한 급전 시스템(2)의 차량 ECU에서 실행되는 제어 처리의 일례를 설명한다.
또한, 도 11의 흐름도에 있어서, 도 6의 흐름도와 동일한 처리에 대해서는 동일한 스텝 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그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S102에서, 급전 모드의 선택 조작이 있다고 판정되는 경우(S102에서 "예"), S104에서, 차량 ECU(140)는, 급전 모드의 선택 조작이 터치 조작에 의한 것인지, 혹은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의 확립 중에 있어서의 휴대 단말기(300)에 대한 조작에 의한 것인지, 혹은 그 조작들에 의한 것이 아닌지를 판정한다. 급전 모드의 선택 조작이 터치 조작에 의한 것이라고 판정되는 경우, 혹은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의 확립 중에 있어서의 휴대 단말기(300)에 대한 조작에 의한 것이라고 판정되는 경우, 처리는 S106으로 이행된다. 그 조작들에 의한 것이 아닌 경우(S104에서 "아니오"), 이 처리는 종료한다.
이러한 처리에 의해,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S104), HV 급전 모드를 선택하는 처리로 이행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HV 급전 모드의 선택이 금지된다. 그리고,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경우에만 HV 급전 모드를 선택 처리로 이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휴대 단말기(300)의 제어기(302)에 의해 「급전 모드 제어기」를 실현하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지만,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300)와 차량(1)의 사이에서 제2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된 경우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300)와 차량(1)으로 송수신되는 데이터가 통신망(400)에 접속되는 서버(402)를 경유하는 경우에는, 서버(402)에 의해 「급전 모드 제어기」가 실현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서버(402)는, 휴대 단말기(300)와 차량(1)의 사이에서 제2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되어 있고, 또한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300)로부터 HV 급전 모드의 선택이 요구될 때에는, 차량(1)에 대하여 HV 급전 모드의 선택 요구를 행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300)와 차량(1)의 사이에서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된 경우에는, 휴대 단말기(300) 및 차량(1)의 각각 혹은 적어도 한쪽이 휴대 단말기(300)와 차량(1)의 사이에서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서버(402)에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서버(402)는, 당해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기(300)와 차량(1)의 사이에서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상기한 변형례는, 그 전부 또는 일부를 적절히 조합하여 실시해도 된다. 금회 개시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와 균등의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될 것이 의도된다.

Claims (9)

  1. 제1 급전 모드와 제2 급전 모드 중 어느 모드에서 급전을 행하도록 구성된, 급전 시스템(2)이며.
    차량(1)과, 급전 모드 제어기(302)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1)은, 엔진(10)과, 발전 장치(20)와, 축전 장치(80)와, 아울렛(110)과, 무선 통신 장치(130)를 포함하고, 상기 발전 장치(20)는, 상기 엔진(10)의 동력에 의해 발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아울렛(110)은, 상기 차량(1)의 외부의 전기 부하(202)에 접속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무선 통신 장치(130)는 제1 통신 방식과 제2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로 무선 통신을 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통신 방식은 중계점(404, 406, 402, 204)을 경유하지 않고 휴대 단말기(300)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확립하는 통신 방식이고, 상기 제2 통신 방식은 상기 중계점(404, 406, 402, 204)을 경유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300)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확립하는 통신 방식이고,
    상기 급전 모드 제어기(302)는, 상기 휴대 단말기(300)와 상기 차량(1)의 사이에서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휴대 단말기(300)에 대한 조작에 의한 상기 제1 급전 모드의 선택이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급전 모드 제어기(302)는, 상기 휴대 단말기(300)와 상기 차량(1)의 사이에서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휴대 단말기(300)에 대한 조작에 의한 상기 제1 급전 모드의 선택이 불가능으로 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급전 모드는, 상기 엔진(10)의 작동이 허용될 때 상기 발전 장치(20) 및 상기 축전 장치(80) 중 적어도 한쪽의 전력을 상기 전기 부하(202)에 공급하는 모드이고, 상기 제2 급전 모드는, 상기 엔진(10)을 정지시킬 때 상기 축전 장치(80)의 전력을 상기 전기 부하(202)에 공급하는 모드인, 급전 시스템(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 모드 제어기(302)는, 상기 휴대 단말기(300)와 상기 차량(1)의 사이에서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2 급전 모드의 선택이 가능한 상태로 되도록 구성되는, 급전 시스템(2).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 모드 제어기(302)는, 상기 휴대 단말기(300)와 상기 차량(1)의 사이에서 상기 제2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2 급전 모드의 선택이 가능한 상태로 되도록 구성되는, 급전 시스템(2).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 모드 제어기(302)는, 상기 휴대 단말기(300)와 상기 차량(1)의 사이에서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급전 모드 및 상기 제2 급전 모드의 어느 선택도 불가능한 상태로 되도록 구성되는, 급전 시스템(2).
  5. 제1항, 제2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 모드 제어기(302)는, 상기 휴대 단말기(300)로부터 상기 제1 급전 모드의 선택 요구가 있는 경우에, 상기 휴대 단말기(300)와 상기 차량(1)의 사이에서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제1 급전 모드의 선택을 금지하도록 구성되는, 급전 시스템(2).
  6. 제1항, 제2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300)는 표시 장치(306)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장치(306)는, 상기 제1 급전 모드 및 상기 제2 급전 모드의 선택 화면이 표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급전 모드 제어기(302)는, 상기 휴대 단말기(300)와 상기 차량(1)의 사이에서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300)의 상기 선택 화면에 의한 상기 제1 급전 모드의 선택이 불가능한 상태로 되도록 구성되는, 급전 시스템(2).
  7. 제1항, 제2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부하(202)로의 급전이 개시되고, 또한 상기 제1 통신 방식 및 상기 제2 통신 방식 중 어느 것의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300)에 대한 조작에 의한 상기 급전에 관한 미리 정해진 동작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급전 제어기를 더 구비하는, 급전 시스템(2).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동작은, 충전 용량의 제1 역치를 변경하는 동작과, 엔진(10)의 연료의 잔량의 제2 역치를 변경하는 동작과, 상기 급전을 정지하는 동작 중 적어도 어느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역치는, 상기 축전 장치(80)의 상기 충전 용량에 관한 정보를 통지하기 위한 역치이고,
    상기 제2 역치는, 상기 연료의 잔량에 관한 정보를 통지하기 위한 역치인, 급전 시스템(2).
  9. 차량(1)이며,
    엔진(10);
    상기 엔진(10)의 동력에 의해 발전하도록 구성된 발전 장치(20);
    축전 장치(80);
    상기 차량(1)의 외부의 전기 부하(202)에 접속되도록 구성된 아울렛(110);
    제1 통신 방식과 제2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로 무선 통신을 행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장치(130);
    제1 급전 모드와 제2 급전 모드 중 어느 모드에서 급전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전자 제어 유닛(14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통신 방식은 중계점(404, 406, 402, 204)을 경유하지 않고 휴대 단말기(300)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확립하는 통신 방식이고, 상기 제2 통신 방식은 상기 중계점(404, 406, 402, 204)을 경유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300)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확립하는 통신 방식이고;
    상기 제1 급전 모드는, 상기 엔진(10)의 작동이 허용될 때 상기 발전 장치(20) 및 상기 축전 장치(80) 중 적어도 한쪽의 전력을 상기 전기 부하(202)에 공급하는 모드이고, 상기 제2 급전 모드는, 상기 엔진(10)을 정지시켰을 때 상기 축전 장치(80)의 전력을 상기 전기 부하(202)에 공급하는 모드이고,
    상기 전자 제어 유닛(140)은, 상기 휴대 단말기(300)와 상기 차량(1)의 사이에서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경우에만, 상기 휴대 단말기(300)에 대한 조작에 의한 상기 제1 급전 모드의 선택이 가능한 상태로 되도록 구성되는, 차량(1).
KR1020170143100A 2016-11-15 2017-10-31 급전 시스템 및 차량 KR1019829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22299 2016-11-15
JP2016222299A JP6477670B2 (ja) 2016-11-15 2016-11-15 給電システムおよび車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4437A KR20180054437A (ko) 2018-05-24
KR101982936B1 true KR101982936B1 (ko) 2019-05-27

Family

ID=60262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3100A KR101982936B1 (ko) 2016-11-15 2017-10-31 급전 시스템 및 차량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384555B2 (ko)
EP (1) EP3321121B1 (ko)
JP (1) JP6477670B2 (ko)
KR (1) KR101982936B1 (ko)
CN (1) CN108075553B (ko)
BR (1) BR102017023381B1 (ko)
RU (1) RU2670277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28940B2 (en) * 2017-03-16 2019-06-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cure idle for a vehicle generator
CN112154087B (zh) * 2018-05-22 2024-03-08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电动车辆及电动车辆控制方法
KR20210023056A (ko) * 2019-08-21 2021-03-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차량의 전원관리 장치 및 그 방법
JP7380272B2 (ja) * 2020-02-04 2023-11-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
JPWO2022014655A1 (ko) * 2020-07-14 2022-01-20
JP2022183655A (ja) * 2021-05-31 2022-12-13 マツダ株式会社 電動自動車の制御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37219A (ja) 2014-08-08 2016-03-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3923A (en) * 1989-11-30 1992-04-14 Marathon Letourneau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propelling and retarding off-road haulers
KR100438185B1 (ko) * 1999-12-06 2004-07-02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무선통신 기지국을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장치
JP4140552B2 (ja) * 2004-04-28 2008-08-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用電源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自動車
WO2006121761A2 (en) * 2005-05-05 2006-11-16 Afs Trinity Power Corporation Plug-in hybrid vehicle with fast energy storage
US20070282495A1 (en) 2006-05-11 2007-12-06 University Of Delaware System and method for assessing vehicle to grid (v2g) integration
JP5173276B2 (ja) * 2007-06-22 2013-04-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源システム、電源システムの電力供給制御方法及びその電力供給制御プログラム
US20100017045A1 (en) * 2007-11-30 2010-01-21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Electrical demand response using energy storage in vehicles and buildings
CN201252421Y (zh) * 2008-06-19 2009-06-03 科泰电源设备(上海)有限公司 通信基站电源自动切换装置
JP4798305B2 (ja) * 2009-06-10 2011-10-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動車両の電源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CN101710727B (zh) * 2009-11-05 2012-07-04 杨益平 机动交通工具的电源及电子设备的控制方法及控制系统
JP5170482B2 (ja) * 2011-08-30 2013-03-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と外部との間での充電/給電システムにおける動作モードの識別方法、及び同識別方法によって同システムの動作モードを識別する識別装置
US9627911B2 (en) * 2012-03-21 2017-04-18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Electric-motor vehicle, power equipment, and power supply system including limiting discharging after the power storage device is externally charged
KR20150021553A (ko) * 2012-08-31 2015-03-02 도요타 지도샤(주) 차량 및 차량의 제어 방법
KR101776709B1 (ko) * 2013-08-13 2017-09-08 한화지상방산 주식회사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JP2015122892A (ja) * 2013-12-24 2015-07-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動車両の給電システム
JP6338464B2 (ja) * 2014-06-11 2018-06-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制御仕様変更システム及び車両
KR102266660B1 (ko) * 2015-01-20 2021-06-21 인포뱅크 주식회사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37219A (ja) 2014-08-08 2016-03-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21121B1 (en) 2021-07-28
CN108075553B (zh) 2020-10-13
KR20180054437A (ko) 2018-05-24
EP3321121A3 (en) 2018-09-05
US20180141456A1 (en) 2018-05-24
CN108075553A (zh) 2018-05-25
JP2018082536A (ja) 2018-05-24
RU2670277C1 (ru) 2018-10-22
EP3321121A2 (en) 2018-05-16
US10384555B2 (en) 2019-08-20
BR102017023381A2 (pt) 2018-06-26
JP6477670B2 (ja) 2019-03-06
BR102017023381B1 (pt) 2023-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2936B1 (ko) 급전 시스템 및 차량
US10710467B2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method, and server used for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method
US9884618B2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vehicle
CN104816642B (zh) 便携式电气化车辆能量传递装置和方法
US9013062B2 (en) Vehicle, control method for vehicle, and power reception facilities
US11292350B2 (en) Vehicle and charging system
KR101845647B1 (ko) 차량용 전력 관리 장치
US11292358B2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vehicle
JP5776482B2 (ja) 電動車両
JP2013038996A (ja) 車両用充電装置、充電線通信システム
JP6635012B2 (ja) 車両
JP2016010246A (ja) 電気自動車用充放電装置、電気自動車用充放電システム及び電気自動車用充放電システムの運転方法
CN113364827B (zh) 信息通知设备、信息通知系统、信息通知方法和车辆
JP5994718B2 (ja) 車両および電力供給システム
JP5696640B2 (ja) 車両および外部電源装置
US20240067009A1 (en) Power management system and power management method
JP2014185560A (ja) 車両制御装置
JP2021027687A (ja) 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