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2921B1 - 항아메바 효과를 가지는 콘택트렌즈용 보관용기 및 보존액 - Google Patents

항아메바 효과를 가지는 콘택트렌즈용 보관용기 및 보존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2921B1
KR101982921B1 KR1020170078950A KR20170078950A KR101982921B1 KR 101982921 B1 KR101982921 B1 KR 101982921B1 KR 1020170078950 A KR1020170078950 A KR 1020170078950A KR 20170078950 A KR20170078950 A KR 20170078950A KR 101982921 B1 KR101982921 B1 KR 101982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lens
storage container
contact
solu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0079A (ko
Inventor
김윤경
Original Assignee
김윤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경 filed Critical 김윤경
Priority to KR1020170078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2921B1/ko
Publication of KR20190000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005Contact lens ca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12/08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12/086Container, accessories or device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11D3/0078Compositions for cleaning contact lenses, spectacles or len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oxic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yeglass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에 무해한 것으로 알려진 옥(바람직하게는, 연옥)이 첨가된 콘택트렌즈와 보존액을 개발함으로써 콘택트렌즈에 의한 가시아메바 감염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항아메바 효과를 가지는 콘택트렌즈용 보관용기 및 보존액을 제시한다.

Description

항아메바 효과를 가지는 콘택트렌즈용 보관용기 및 보존액{A contact lens storage courage}
본 발명은 항아메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콘택트렌즈용 보관용기 및 보존액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옥이 포함된 보관용기와 보존액을 구현함으로써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에 의한 가시아메바 감염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항아메바 효과를 가지는 콘택트렌즈용 보관용기 및 보존액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가시아메바 각막염은 드물게 발생하는 질환이었으나, 전세계적으로 콘택트렌즈의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발생 빈도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가시아메바 각막염은 모든 종류의 콘택트렌즈 사용자에게 발생할 수 있으며, 심각한 통증을 동반할 뿐만 아니라 시력 상실을 초래할 수 있는 심각한 감염성 안질환으로 감염 초기에 적절한 진단과 효과적인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가시아메바에 의한 콘택트렌즈의 오염은 보관용기와 보존액 등의 부적절한 관리로 인해 소독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하게 되는데, 소독액으로 살충되지 않은 가시아메바가 보관용기 안에서 콘택트렌즈에 부착된 후 렌즈 착용시 각막에 침투하여 감염성 각막염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감염에 노출될 수 있는 콘택트렌즈의 반복적 착용은 가시아메바 각막염의 발생 빈도를 높일 수 있게 되므로, 이러한 감염 발생을 줄이기 위한 노력으로 살충 효과를 가지는 보관용기 및 보존액을 개발 제작하여 제품화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국외에서는 보관용기의 제품화 과정에서 자체적인 항균 효과를 가지게 하여 사용자의 안전성뿐 아니라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는데, 특히 은(Ag)은 광범위한 항균작용과 포유류의 세포에 독성이 적은 장점이 있기 때문에 은이 포함된 콘택트렌즈 보관용기의 효과가 보고된 바 있다.
한편, 보존액의 경우 최근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하면서 살균효과를 가진 다목적용액(multipurpose contact lens care solutions)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여러 보고에서 다목적용액을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잠재적 감염 가능성을 제시한 바 있어, 이에 대한 사용자의 주의가 여전히 필요한 실정이다.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7-0049070호(발명의 명칭: 콘택트렌즈용 보관용기. 공개일자: 2017년 05월 10일)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443297호(고안의 명칭: 구조개선된 콘택트 렌즈용 보관용기. 공고일자: 2009년 02월 05일)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3-0026200호(발명의 명칭: 나란진을 보존제로 포함하는 콘택트렌즈용 다목적 용액 및 그 제조방법. 공개일자: 2013년 03월 13일)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5-0097305호(발명의 명칭: 나노 실버를 함유한 콘택트 렌즈 살균 용액 및 이의 제조방법. 공개일자: 2005년 10월 07일)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3-0093009호(발명의 명칭: 과산화물 콘택트 렌즈 관리 용액. 공개일자: 2013년 08월 21일)
본 발명은 인체에 무해한 것으로 알려진 연옥(nephrite)이 포함된 콘택트렌즈 보관용기와 보존액을 제작함으로써 항균기능뿐만 아니라 항아메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항아메바 효과를 가지는 콘택트렌즈용 보관용기 및 보존액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연옥이 포함된 콘택트렌즈 보관용기와 보존액을 구현함으로써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에 의한 가시아메바 감염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항아메바 효과를 가지는 콘택트렌즈용 보관용기 및 보존액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콘택트렌즈 보관용기를 제작할 때 연옥을 첨가하고 콘택트렌즈 보존액을 제조할 때는 연옥수를 배합함으로써 가시아메바의 증식 및 부착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항아메바 효과를 가지는 콘택트렌즈용 보관용기 및 보존액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효과를 입증하기 위하여 연옥이 첨가된 콘택트렌즈 보관용기의 항아메바 효과를 일반 콘택트렌즈 보관용기와 비교하였는데, 구체적으로는 5% 연옥을 첨가하여 제작된 콘택트렌즈 보관용기와 일반적인 콘택트렌즈 보관용기에서 가시아메바 증식정도를 비교하였고, 각각의 보관용기에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를 보관한 후 가시아메바의 부착 정도를 비교하였다. 또한, 1% 및 5% 연옥수를 포함한 보존액에 콘택트렌즈를 보관한 후 가시아메바의 부착 정도를 측정하여 일반적인 다목적관리용액에 단독으로 보관한 경우와 각각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본 발명의 보관용기와 보존액에서 항아메바 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일반적인 콘택트렌즈 보관용기에 비해 연옥이 포함된 본 발명의 콘택트렌즈 보관용기에서 가시아메바의 개체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ρ=0.02), 1,2 및 3세대 렌즈를 보관했을 경우에도 콘택트렌즈에 부착된 가시아메바의 수가 각각 유의하게 감소하였다(ρ=0.001, ρ=0.001, 및 ρ<0.001). 또한, 1% 및 5%의 연옥수를 포함한 본 발명의 보존액을 사용하였을 경우 일반적인 다목적관리용액에 비해 1세대 렌즈의 경우 콘택트렌즈에 부착된 가시아메바의 개체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각각 ρ=0.03 및 ρ=0.004), 2 및 3세대 렌즈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각각 ρ=0.59 및 ρ=3.612와 ρ=0.0450 및 ρ=0.462)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옥이 포함된 콘택트렌즈 보관용기와 연옥수가 배합된 보존액은 콘택트렌즈(예를 들어,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에 의한 가시아메바 감염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택트렌즈 보관용기와 일반적인 콘택트렌즈 보관용기에서의 가시아메바 수를 비교하여 그래프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렌즈 보관용기와 일반적인 콘택트렌즈 보관용기에서 가시아메바를 분주하여 배양한 결과를 위상차 현미경 이미지로 보여주고 있는 각 도면.
도 3은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본 발명의 보관용기와 일반적인 보관용기에 담겨진 콘택트렌즈에 부착된 가시아메바의 수를 그래프로 보여주고 있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연옥수가 포함된 보존액과 일반적인 다목적용액을 사용했을 때 콘택트렌즈에 부착된 가시아메바를 위상차 현미경 이미지로 보여주고 있는 각 도면.
도 5는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본 발명의 연옥수가 포함된 보존액과 일반적인 다목적용액을 사용했을 때 콘택트렌즈에 부착된 가시아메바의 수를 그래프로 보여주고 있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에서는 인체에 무해한 것으로 알려진 옥(바람직하게는, 연옥)이 첨가된 콘택트렌즈와 보존액을 개발함으로써 콘택트렌즈에 의한 가시아메바의 감염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항아메바 효과를 가지는 콘택트렌즈용 보관용기 및 보존액을 구현하고자 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콘택트렌즈 보관용기와 보존액을 제조할 때 옥을 사용하게 되는데, 바람직하게는 경옥(jadeite)와 연옥(nephrite)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구입이 비교적 용이하고 가공하기 쉽고 인체에 무해한 것으로 알려진 연옥을 주로 사용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콘택트렌즈 보관용기와 보존액은 연옥뿐만 아니라 모든 옥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렌즈 보관용기는 일반적으로 보관용기를 제조할 때 사용되는 폴리에틸렌 90~99중량%(바람직하게는, 95중량%)와 여기에 항아메바 효과를 구현하기 위한 연옥(nephrite) 1~10중량%(바람직하게는, 5중량%)를 배합하여 제조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렌즈 보존액은 일반적으로 제조된 보존액에 연옥수를 배합하여 제조된 것인데, 바람직하게는 연옥수는 나노 크기의 미세입자로 가공한 연옥분을 인산염완충식염수(phosphate buffer saline: PBS)에 100㎎/㎖ 농도로 준비하여 pH 7.2로 보정한 후 24시간 동안 보관하고, 이후 2,500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층액을 채취한 후 것이다. 이와 같이 제조된 연옥수 1% 또는 5%를 각각 희석하여 보존액을 제조할 때 사용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렌즈 보관용기와 보존액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한 실험에서 콘택트렌즈를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콘택트렌즈는 1세대(제품명: Air Optix®, Alcon, Fort Worth, Tx), 2세대(재품명: Acuvue Oasys®, Johnson&Johnson, Ireland) 및 3세대(제품명: Biofinity®, Cooper vision, Southampton, UK)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를 각각 구분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관용기와 보존액을 각각 대비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콘택트렌즈 보관용기와 다목적용액을 사용하였는데, 상기 보관용기는 전통적인 폴리에틸렌 재질로 제조된 것이고, 다목적용액은 Opti-Free Express®(Alcon, Fort Worth, Tx) 제품을 사용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콘택트렌즈 보관용기와 보존액을 사용할 때 가시아메바 각막염의 발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가시아메바 각막염의 가장 흔한 균종으로 Acanthamoeba castellaniA. Polyphaga가 보고되어 있지만, 국내에서는 A. lugdunensis가 콘택트렌즈 보관용액에서 가장 흔히 발견되는 균종이므로 이를 사용하였다. 콘택트렌즈 사용으로 인해 발생한 가시아메바 각막염 환자에서 배양된 A. lugdunensis를 이용하여 Riboprinting 및 18S rDNA sequence analyses 방법으로 균주를 확인한 후, 실온에서 peptone-yeast extract/glucose(PYG) 배지가 든 플라스크에서 배양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항아메바 효과를 구현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가시아메바 감염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콘택트렌즈 보관용기에 연옥을 첨가하였고, 또한 상기 보관용기에 콘택트렌즈를 보관할 때 사용하는 보존액을 제조할 때 연옥수를 배합하였다.
하기에서는 상기와 같이 연옥이 포함된 콘택트렌즈 보관용기와 보존액의 항아베마 효능을 입증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아래의 실시 예 1에서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실시 예 1}
연옥이 포함된 콘택트렌즈 보관용기와 일반적인 콘택트렌즈 보관용기에서 가시아메바 접종 후 증식 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균주 1×104/㎖가 포함된 PBS 용액 2㎖를 각 보관용기에 접종한 후,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배양시켰다. 배양 후 상층액을 제거하였으며, 보관용기에 부착된 가시아메바를 PBS 1㎖를 분주하여 떼어낸 후 혈구계산판(hematocytometer)을 이용하여 그 수를 측정하였다.
가시아메바가 콘택트렌즈에 부착되는 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보관용기에 1,2 및 3세대 콘택트렌즈를 위치시킨 후, 2㎖ PBS를 채워 넣고 1×104/㎖의 가시아메바를 분주하였다.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배양된 콘택트렌즈를 PBS로 세척한 뒤 각 콘택트렌즈를 위상차 현미경을 이용하여 16군데 촬영한 후 콘택트렌즈에 부착된 가시아메바의 수를 측정하였다.
본 발명의 연옥수를 포함한 보존액과 기존의(일반적인) 다목적용액의 항아메바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각각의 용액을 일반적인 보관용기에 2㎖씩 채운 후 각각의 보관용기에 1,2 및 3세대 콘택트렌즈를 넣고 1×104/㎖의 가시아메바를 분주하였다. 실온에서 6시간 동안 배양한 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콘택트렌즈에 부착된 가시아메바의 수를 비교하였다.
한편, 통계 처리는 SPSS for Windows(SPSS Inc, Chicago, IL)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가시아메바의 개체수를 t 검정방법 및 ANOVA with the Scheffe test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유의도(ρ값) 0.05 미만인 경우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상기와 같은 실험결과, 구체적으로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결과를 살펴보면 5중량%의 연옥이 포함된 콘택트렌즈 보관용기(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95중량%와 연옥 5중량%를 배합하여 만들어진 콘택트렌즈 보관용기)에서 일반적인 콘택트렌즈 보관용기보다 가시아메바의 수가 유의하게 더 감소(ρ=0.02)하였다.
또한, 도 2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의 콘택트렌즈 보관용기에 1,2 및 3세대 콘택트렌즈를 위치시킨 다음 가시아메바를 분주하여 배양한 결과, 일반적인 콘택트렌즈 보관용기(도 2의 A~C)보다 본 발명의 5중량% 연옥이 포함된 콘택트렌즈 보관용기(도 2의 D~F)에서 콘택트렌즈에 부착된 가시아메바의 수가 낮게 측정(각각 ρ=0.001, ρ=0.001 및 ρ<0.001)되었다.
그리고, 도 4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존액과 종래의(일반적인) 다목적용액을 각각 처리한 콘택트렌즈 중에서 1세대 콘택트렌즈의 경우 1% 및 5% 연옥수를 포함한 보존액에서 종래의 다목적용액을 처리한 경우보다 콘택트렌즈에 부착된 가시아메바의 수가 각각 유의하게 낮은 수준으로 측정(도 4의 A~C, 각각 ρ=0.03 및 ρ=0.004)되었으며, 2세대(각각 ρ=0.59 및 ρ=3.612) 및 3세대(각각 ρ=0.450 및 ρ=0.462) 콘택트렌즈에서는 역옥수의 포함 여부에 관계없이 부착된 가시아메바의 수가 적었고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상기의 실험(즉, 실시 예 1)을 통해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항아메바 효과를 가지는 콘택트렌즈 보관용기와 보존액은, 바람직하게는 연옥을 콘택트렌즈 보관용기에 일정 농도로 균질하게 섞어서 제작하고 또한 연옥수 배합하여 콘택트렌즈 보존액을 제조함으로써 가시아메바의 증식 정도가 감소되었을 뿐만 아니라 콘택트렌즈 보관용기 내에 1,2 및 3세대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 모두에서 부착된 가시아메바의 수가 감소되었다. 또한, 콘택트렌즈 관련 감염성 각막염의 기전은 균이 콘택트렌즈에 부착되는 과정을 전제로 하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한다면 콘택트렌즈에 부착된 균의 개체수가 감소되었기 때문에 콘택트렌즈 부착으로 인한 가시아메바 각막염의 가능성을 현저히 낮춰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옥(바람직하게는, 연옥)이 포함된 보관용기와 보존액을 구현함으로써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에 의한 가시아메바 감염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기술구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지만,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는 보관용기와 보존액은 가시아메바 감염을 예방할 뿐만 아니라 콘택트 렌즈 착용시에 발생하는 질병, 예를 들어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에도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항아메바 효과를 가지는 콘택트렌즈용 보관용기에 있어서,
    상기 보관용기는 폴리에틸렌 90~99중량%와 옥 1~10중량%를 배합하여 제조하되, 상기 보관용기는 콘택트렌즈에 의한 가시아메바 각막염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아메바 효과를 가지는 콘택트렌즈용 보관용기.
  2. 삭제
  3. 항아메바 효과를 가지는 콘택트렌즈용 보존액에 있어서,
    상기 보존액를 제조할 때 연옥수를 배합하되, 상기 연옥수는 나노 크기의 미세입자로 가공한 연옥분을 인산염완충식염수에 100㎎/㎖ 농도로 준비하여 pH 7.2로 보정하여 만들어지며, 상기 보존액은 콘택트렌즈에 의한 가시아메바 각막염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아메바 효과를 가지는 콘택트렌즈용 보존액.
  4. 삭제
KR1020170078950A 2017-06-22 2017-06-22 항아메바 효과를 가지는 콘택트렌즈용 보관용기 및 보존액 KR101982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950A KR101982921B1 (ko) 2017-06-22 2017-06-22 항아메바 효과를 가지는 콘택트렌즈용 보관용기 및 보존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950A KR101982921B1 (ko) 2017-06-22 2017-06-22 항아메바 효과를 가지는 콘택트렌즈용 보관용기 및 보존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079A KR20190000079A (ko) 2019-01-02
KR101982921B1 true KR101982921B1 (ko) 2019-08-28

Family

ID=65021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950A KR101982921B1 (ko) 2017-06-22 2017-06-22 항아메바 효과를 가지는 콘택트렌즈용 보관용기 및 보존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292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3805Y1 (ko) * 2004-10-28 2005-01-21 양원동 나노 실버와 향이 함유된 콘텍트 렌즈 보관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1094B1 (en) * 1993-09-18 1997-07-07 Daeil Mining Industry Co Synthetic resin and manufacturing method containing silica
KR20050097305A (ko) 2004-04-01 2005-10-07 (주)벨모아 나노 실버를 함유한 콘택트 렌즈 살균 용액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43297Y1 (ko) 2007-10-25 2009-02-05 김준 구조개선된 콘택트 렌즈용 보관용기
US8932646B2 (en) 2010-06-18 2015-01-13 Bausch & Lomb Incorporated Peroxide contact lens care solution
KR20130026200A (ko) 2011-09-05 2013-03-13 (주) 베스콘 나린진을 보존제로 포함하는 콘택트렌즈용 다목적 용액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49070A (ko) 2015-10-28 2017-05-10 주식회사 매직콘 콘택트렌즈용 보관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3805Y1 (ko) * 2004-10-28 2005-01-21 양원동 나노 실버와 향이 함유된 콘텍트 렌즈 보관함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안과학회지. 2017.05. 2017년 제58권 제5호(제509면 내지 제515면)*
동의생리병리학회지 제18권 6호(1622~1627), 2004(2004.12.2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079A (ko) 2019-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24078A (en) Aqueous ophthalmic formulations and methods for preserving same
JP4276139B2 (ja) 眼科用組成物における低分子量アミノアルコールの使用
JP5411897B2 (ja) 自己保存型水性医薬組成物
ES2374607T3 (es) Composiciones oftálmicas con un tensioactivo anfótero y ácido hialurónico.
US3639576A (en) Resterilizing contact lens solution
JPH10503603A (ja) コンタクトレンズ処置用の生理的食塩水
NZ201967A (en) Ophthalmic composition for disinfecting and preserving contact lenses
JP2007530685A (ja) 亜鉛含有保存剤組成物及びその使用方法
AU2008254858A1 (en) Phospholipid compositions for contact lens care and preservation of pharmaceutical compositions
JPH11249087A (ja) コンタクトレンズ用液剤
EP2653155A1 (en) Ophthalmic composition for contact lens
CN1938053A (zh) 眼用组合物中作为抗菌剂的烷基胺
EP1603396B1 (en) Antimicrobial compositions containing ethanolamine buffer and biguanide disinfectant
TW200520795A (en) Use of a cationic polysaccharide to enhance biocidal efficacies
JP2021130007A (ja) コンタクトレンズケア用組成物
JP6066237B2 (ja) 抗菌性眼科用コンタクトレンズ
KR101982921B1 (ko) 항아메바 효과를 가지는 콘택트렌즈용 보관용기 및 보존액
JPWO2007088783A1 (ja) ソフトコンタクトレンズ用点眼・装着液
KR101726029B1 (ko) 알콕실화된 천연 왁스를 갖는 안과용 조성물
US20070142321A1 (en) Method for preventing growth of bacteria on contact lenses with eye drops
EP2717690B1 (en) Ophthalmic compositions
CN108310442B (zh) 眼科用组合物
WO1997036487A1 (en) Disinfectant solutions containing polyhexamethylene biguanides
TW201138865A (en) Dry-coated tablet for cleaning contact lens and formulation for contact lens cleaning containing the tablet, and method of cleaning contact lens
JP4817621B2 (ja) コンタクトレンズケア方法及び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