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2684B1 - 도어용 안전커버 및 이를 구비한 안전도어 - Google Patents

도어용 안전커버 및 이를 구비한 안전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2684B1
KR101982684B1 KR1020180103647A KR20180103647A KR101982684B1 KR 101982684 B1 KR101982684 B1 KR 101982684B1 KR 1020180103647 A KR1020180103647 A KR 1020180103647A KR 20180103647 A KR20180103647 A KR 20180103647A KR 101982684 B1 KR101982684 B1 KR 101982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ember
door
cover
fixing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3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오메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오메이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오메이드
Priority to KR1020180103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26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06B7/367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by covering the gap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at the hinge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설주 상에 결합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로부터 일체로 절곡되어 문설주 상에서 돌출되고 내부에 고정홈이 형성된 돌출부재를 포함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로부터 상기 고정홈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제1커버부재와, 일 단부가 상기 제1커버부재로부터 복수개 연결되고 타 단부가 도어의 일 측면에 결합되는 제2커버부재와, 복수개의 상기 제2커버부재를 각각 연결하여 상기 제2커버부재의 길이가 변화하도록 연결하는 제3커버부재를 포함하는 차폐부;를 포함하는 도어용 안전커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도어용 안전커버 및 이를 구비한 안전도어{Corner Cover for Doors and Safety Do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도어용 안전커버 및 이를 구비한 안전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문설주 상에서 도어가 여닫히는 과정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도어용 안전커버 및 이를 구비한 안전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는 스틸이나 목재를 이용하여 공간과 또 다른 공간을 분할하여 독립적인 공간을 형성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스틸도어는 현관과 같은 출입문과 방범의 목적을 가지는 외부공간에 배치하고, 목재도어는 실내공간을 분할하도록 공간과 또 다른 공간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목재도어는 실 내공간의 벽체 사이에 문설주와 문지방이 결합된 문틀 사이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기능을 가지며, 미닫이문, 여닫이문 등이 대표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도어는 문설주와 도어가 경첩으로 결합되어 여닫는 구조를 가지는데, 이러한 실내용 여닫이 도어는 문설주와 도어 사이에서 도어가 열리면 틈이 생기고, 다시 도어가 닫히면 틈이 없어지기 때문에 이 틈에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끼는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문설주와 도어의 일 측 단부 사이에 도어용 안전커버를 구비하여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끼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고, 또한 도어용 안전커버를 통해서 빛이 새거나 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도어용 안전커버 및 이를 구비한 안전도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문설주 상에 결합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로부터 일체로 절곡되어 문설주 상에서 돌출되고 내부에 고정홈이 형성된 돌출부재를 포함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로부터 상기 고정홈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제1커버부재와, 일 단부가 상기 제1커버부재로부터 복수개 연결되고 타 단부가 도어의 일 측면에 결합되는 제2커버부재와, 복수개의 상기 제2커버부재를 각각 연결하여 상기 제2커버부재의 길이가 변화하도록 연결하는 제3커버부재를 포함하는 차폐부;를 포함하는 도어용 안전커버를 제공한다.
상기 연결부재와 제1커버부재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각 중심에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와 제1커버부재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각각의 양 단부에서 상기 제3커버부재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커버부재는 설정된 크기와 형상의 외형을 가지고, 상기 제3커버부재는 상기 차폐부의 길이가 가변될 때 절곡되면서 외형이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제3커버부재는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커버부재는 양 단부가 상기 제3커버부재와 결합되는 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양 면에 각각 서로 다른 극성을 갖도록 배치되는 자성체와, 상기 자성체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자성체를 보호하는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커버부재는 인접한 다른 제2커버부재와 서로 인력이 작용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돌출부재로부터 상기 결합부재와 대향하도록 연장되어 차폐부의 원위치 복원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문설주 상에 결합되는 제1고정부; 일 단부가 상기 제1고정부로부터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 단부로부터 내부를 연통하는 제1슬라이딩홈이 형성된 제1커버부재와, 상기 제1커버부재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며 내부에 제2슬라이딩홈이 형성된 제2커버부재와, 상기 제2커버부재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3커버부재를 포함하는 차폐부; 및 상기 제3커버부재의 일 단부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도어의 일 측면에 결합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하는 도어용 안전커버를 제공한다.
상기 차폐부는 도어가 열리는 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제1커버부재 내지 제3커버부재가 서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부재와 제2커버부재는 각각 상기 제2커버부재와 제3커버부재의 슬라이딩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용 안전커버는 도어의 개폐 동작에 따라서 상기 제1고정부 또는 제2고정부를 설정된 범위 내에서 수평 이동시키는 간격 조정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격 조정유닛은 상기 제1고정부 또는 제2고정부가 설정된 범위 내에서 수평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 상에서 상기 제1고정부 또는 제2고정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 및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청구항에 기재된 도어용 안전커버;를 포함하는 안전도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안전커버 및 이를 구비한 안전도어에 따르면, 도어가 개폐되는 과정에서 도어용 안전커버가 도어와 문설주 사이에 틈이 생기면서 신체 일부가 끼는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도어용 안전커버를 통하여 빛이 새거나 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조립이 간편하고 일반 도어에도 적용이 용이하여 호환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안전커버를 구비한 안전도어의 도어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도어용 안전커버를 구비한 안전도어의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도어용 안전커버를 구비한 안전도어의 차폐부를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도어용 안전커버를 구비한 안전도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안전커버를 구비한 안전도어의 도어가 닫힌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도어용 안전커버를 구비한 안전도어의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낸 도어용 안전커버를 구비한 안전도어의 제1고정부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안전커버를 구비한 안전도어의 도어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도어용 안전커버를 구비한 안전도어의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도어용 안전커버를 구비한 안전도어의 차폐부를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안전커버를 구비한 안전도어(1)는 도어(10)와, 고정부(110) 및 차폐부(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어용 안전커버(100)는 고정부(110)와 차폐부(120)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도어용 안전커버(1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며, 이러한 도어용 안전커버(100)를 설치한 도어(10)가 안전도어(1)에 해당한다.
도어용 안전커버(100)의 고정부(110)는 문설주(11) 상에 고정된다.
고정부(110)는 결합부재(111)와 돌출부재(112)를 포함한다. 결합부재(111)는 문설주(11) 상에 접착, 부착, 또는 패스너에 의해 결합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돌출부재(112)를 문설주(11) 상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돌출부재(112)는 결합부재(111)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돌출된다. 돌출부재(112) 내부에는 고정홈(113)이 형성되고, 돌출부재(112)의 일 측면은 고정홈(113)과 외부로 적어도 일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차폐부(120)는 고정홈(113)에 삽입되는 연결부재(121)와, 도어(10)와 문설주(11) 사이에 형성된 틈을 커버하는 제1커버부재(122), 제2커버부재(123), 커버부재(124)를 포함한다.
연결부재(121)는 고정홈(113) 내부에 설치되면서 고정홈(113)과 외부로 연통된 부분을 통해서 제1커버부재(122)와 결합되어 제1커버부재(122)를 돌출부재(112) 상에 고정시킨다. 따라서 연결부재(121)는 대략 'T'자 형상이거나, 'H'형상 또는 'L'자 형상으로 일부 절곡되어, 일부는 고정홈(113) 내부에 있고 일부는 고정홈(113) 외부에 배치된다. 연결부재(121)의 형상이나 고정홈(113)의 연통된 부분 형상에 따라서 연결부재(121)와 제1커버부재(122)는 각각의 중심에서 연결되거나, 또는 각각의 양 단부에서 연결될 수 있고, 또한 제3커버부재(124)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다.
제2커버부재(123)와 제3커버부재(124)는 각각 복수개씩 마련되어 서로를 연결하면서 도어(10)와 문설주(11) 사이에 형성된 틈을 커버한다. 먼저 제2커버부재(123)는 제1커버부재(122)로부터 제3커버부재(124)로 연결되고, 복수개의 제2커버부재(123)는 양 단부에서 각각 제3커버부재(124)가 서로 인접한 다른 제2커버부재(123)를 교번으로 연결한다. 이때 제2커버부재(123)는 일정 형상을 가지는 플레이트 형상이고, 제3커버부재(124)는 보통 'U'자 형상을 가지고 있지만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져 양 단부를 잡아당기면 'I'자 형상으로 펴지기도 한다. 따라서 제2커버부재(123)와 제3커버부재(124)가 모두 연결된 상태에서 양 단부의 제2커버부재(123)를 잡아당기면 제3커버부재(124)가 펴지면서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커버부재(123) 보다는 제3커버부재(124)의 재질이 더 연질(軟質)의 성격을 갖는다. 이에 제3커버부재(124)는 탄성 복원력을 갖는 우레탄 또는 합성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차폐부(120)는 고정부(110)로부터 도어(10)가 열리면서 펼쳐지기 때문에 도어(10)와 문설주(11) 사이에 틈을 커버할 수 있어 이러한 틈에 사용자 신체가 끼면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커버부재(123)는 커버 플레이트(123a)와, 자성체(123b)와 보호층(123c)을 포함한다.
커버 플레이트(123a)는 양 단부가 제3커버부재(124)와 연결된다.
커버 플레이트(123a)의 양 면에는 각각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자성체(123b)가 배치된다. 물론 하나의 커버 플레이트 양 면에는 서로 같은 극성을 갖는 자성체가 배치되고, 하나의 커버 플레이트와 인접한 다른 하나의 커버플레이트 양 면에는 하나의 커버 플레이트에 구비된 자성체와 다른 극성을 갖는 자성체가 구비되어 하나의 커버 플레이트와 다른 하나의 커버 플레이트가 인력을 갖도록 할 수도 있다.
이렇게 제2커버부재(123)가 서로 인접한 제2커버부재들끼리 서로 인력이 작용하면, 도어(10)가 개폐되는 과정에서 차폐부(120)의 복원이 용이해진다. 다시 말해, 도 2와 같이 차폐부(120)의 길이기 길어졌다가 다시 도 1의 상태로 차폐부(120) 길이가 줄어들면서 본래의 차폐부(120) 구조로 복원되는 것을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각각의 제2커버부재(123) 중에서 모든 제2커버부재에 자성체가 구비되지 않고, 중간 영역에 있는 서로 마주한 제2커버부재들에만 자성체가 구비되거나, 또는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된 제2커버부재들에만 자성체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써, 하나의 커버 플레이트 상에서 양 면에 전체적으로 자성체가 구비될 수도 있고, 설정된 간격으로 자성체가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3커버부재가 U자 형으로 연결된 부분에서 인접한 영역에만 자성체가 구비될 수 있고, 또한 제3커버부재가 U자 형으로 연결된 부분에서 먼 영역에만 자성체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써, 일정 영역에는 인력이 작용하고, 또 다른 일정 영역에서는 척력이 작용하여 비정상적으로 인력이 작용하면서 차폐부가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제2커버부재는 자성체의 상면에 보호층이 마련될 수 있다. 보호층은 인력에 의해 인접한 자성체가 서로 접촉하거나 마찰하면서 발생하는 소음을 줄여주고, 자성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도어용 안전커버를 구비한 안전도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어용 안전커버(100)는 고정부(110) 상에 가이드부(114)가 구비된다.
가이드부(114)는 돌출부재(112)로부터 연장되고, 도어(10)가 닫힌 상태의 차폐부(120)를 중심으로 결합부재(111)와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가이드부(114)의 단부에는 도어(10)가 열린 상태의 차폐부(120)가 펼쳐진 방향을 고려하여 일정 부분이 외측으로 휘어진 보조영역(115)이 마련된다. 보조영역(115)은 도어(10)가 닫히면서 펼쳐진 차폐부(120)의 길이가 줄어들 때 일부 차폐부(120)의 외측면과 접촉하여 차폐부(120)가 비정상적으로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자성체(123b)끼리 인력이 작용하도록 접히는 것을 안내한다.
그리고 가이드부(114)는 도어(10)가 닫힌 상태에서 차폐부(120)가 외부에 노출되면서 심미적으로 지저분하게 보일 수 있는 부분을 커버하고, 차폐부(120)가 외력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기능을 수반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안전커버를 구비한 안전도어의 도어가 닫힌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나타낸 도어용 안전커버를 구비한 안전도어의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안전커버를 구비한 안전도어(2)는 앞서 제1실시예에서 접철 방식으로 차폐부(120)가 작동하는 방식과 달리 슬라이딩 방식으로 작동한다.
먼저, 제2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안전커버(200)는 제1고정부(210)와 차폐부(220) 및 제2고정부(230)를 포함한다.
제1고정부(210)는 문설주(11) 상에 고정되며, 차폐부(220)의 일 단부를 힌지 결합시켜, 도어(10)가 개폐하는 과정에서 차폐부(220)의 일 단부가 회전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어(10)가 닫힌 상태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부(210)와 차폐부(220)와 제2고정부(230)가 일렬로 배치되지만, 도어(10)가 열린 상태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부(220)가 사선 방향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이러한 힌지 구조의 결합이 필요로 한다.
차폐부(220)는 제1커버부재(221)와 제2커버부재(222) 및 제3커버부재(223)를 포함한다.
제1커버부재(221)는 제1고정부(210)로부터 일 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다. 제1커버부재(221)의 내부에는 타 단부 방향으로 개구된 제1슬라이딩홈(221a)이 형성된다. 제1슬라이딩홈(221a)에는 제2커버부재(222)가 수용된다. 제1커버부재(221)는 차폐부(220)의 전체적인 외형을 형성하고, 도어(10)가 닫힌 상태에서는 제1커버부재(221) 내부에 제2커버부재(222)와 제3커버부재(223)를 모두 수용하게 된다.
제2커버부재(222)의 일 단부 외측에는 제1커버부재(221)의 타 단부 내측으로부터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1커버부재(221)와 제2커버부재(222) 사이에는 제1커버부재(221)로부터 제2커버부재(222)가 설정된 거리를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224)가 구비된다. 따라서 제1커버부재(221)로부터 제2커버부재(222)가 완전히 분리되지 않도록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제2커버부재(222)의 내부에는 제3커버부재(223)를 수용하도록 타 단부 방향으로 개구된 제2슬라이딩홈(222a)이 형성된다.
제3커버부재(223)는 제2커버부재(222)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며, 마찬가지로 제2커버부재(222)의 타 단부에서 제3커버부재(223)의 일 단부가 완전히 분리되지 않도록 스토퍼(224)가 구비된다. 제3커버부재(223)의 타 단부는 제2고정부(230)와 연결된다.
제2고정부(230)는 도어(10)의 일 측면에 결합되며, 제3커버부재(223)의 타 단부와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도어(10)가 열리면서 차폐부(220)를 각도가 변경되는 것에 대응하여 제3커버부재(223)가 제2고정부(230)로부터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도어용 안전커버(200)의 차폐부(220)가 제1커버부재(221) 내지 제3커버부재(223)로 3단에 걸쳐 작동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며, 2단 또는 4단 이상의 복수단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차폐부(220)가 슬라이딩 구조로 이루어지면, 도어(10)가 개폐되는 과정에서 소음의 발생이 줄어들고, 도어와 문설주 사이의 틈을 확실하게 커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어(10)가 닫힌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용 안전커버(200)의 부피가 적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와 문설주 사이의 틈이 보이지 않게 평면으로 차폐할 수 있어 심미적으로도 안정적이고 심플한 표현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게다가 빛 샘이나 소음의 차단도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낸 도어용 안전커버를 구비한 안전도어의 제1고정부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어용 안전커버(200)는 간격 조정유닛(240)을 포함한다.
간격 조정유닛(240)은 제1고정부(210) 또는 제2고정부(230)가 설정된 범위 내에서 탄력적으로 수평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차폐부(220)에 발생하는 인장응력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도어(10)가 개방되는 각도에 따라서 차폐부(220)의 부족한 길이 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간격 조정유닛(240)이 문설주(11)에 설치되어 제1고정부(210)의 수평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며, 물론 도어(10)와 제2고정부(230) 사이에도 설치될 수 있다.
간격 조정유닛(240)은 문설주(11) 내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241)과, 가이드레일(241) 상에서 제1고정부(210)가 원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242)를 포함한다.
가이드레일(241)은 제1고정부(210)를 문설주(11) 상의 설정된 위치에 고정시키고, 동시에 제1고정부(210)가 설정된 범위 내에서 수평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물론 가이드레일(241)이 설치된 부분은 문설주(11) 상에서 가이드 레일(241)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별도의 커버(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탄성부(242)는 도어(10)가 닫힌 상태에서 제1고정부(210)가 설정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탄성 복원력을 제공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어(10)가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제1고정부(210)가 가이드 레일(241)을 이용하여 이동하지 않도록 설계되고, 도어(10)가 필요 이상의 회전이 이루어지거나 차폐부에 필요 이상의 인장응력이 제공될 때 간격 조정유닛(240)이 탄력적으로 작동하여 이들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도어용 안전커버를 구비한 안전도어는 전기한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에서 설명한 도어용 안전커버(100, 200)가 도어(10)와 문설주(11) 사이에 경첩(13)에 의해 설치된 것을 나타내며, 이러한 도어용 안전커버를 구비한 도어는 모두 도어용 안전커버를 구비한 안전도어(1, 2)에 해당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 2 : 안전도어
100, 200 : 도어용 안전커버
110 : 고정부
120, 220 : 차폐부
210 : 제1고정부
230 : 제2고정부
240 : 간격 조정유닛

Claims (13)

  1. 문설주 상에 결합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로부터 일체로 절곡되어 문설주 상에서 돌출되고 내부에 고정홈이 형성된 돌출부재를 포함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로부터 상기 고정홈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제1커버부재와, 일 단부가 상기 제1커버부재로부터 복수개 연결되고 타 단부가 도어의 일 측면에 결합되는 제2커버부재와, 복수개의 상기 제2커버부재를 각각 연결하여 상기 제2커버부재의 길이가 변화하도록 연결하는 제3커버부재를 포함하는 차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커버부재는 설정된 크기와 형상의 외형을 가지고, 상기 제3커버부재는 상기 차폐부의 길이가 가변될 때 절곡되면서 외형이 변형되며, 양 단부가 상기 제3커버부재와 결합되는 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양 면에 각각 서로 다른 극성을 갖도록 배치되는 자성체와, 상기 자성체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자성체를 보호하는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커버부재는 인접한 다른 제2커버부재와 서로 인력이 작용하는 도어용 안전커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와 제1커버부재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각 중심에서 연결되는 도어용 안전커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와 제1커버부재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각각의 양 단부에서 상기 제3커버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도어용 안전커버.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커버부재는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도어용 안전커버.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돌출부재로부터 상기 결합부재와 대향하도록 연장되어 차폐부의 원위치 복원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도어용 안전커버.
  8. 문설주 상에 결합되는 제1고정부;
    일 단부가 상기 제1고정부로부터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 단부로부터 내부를 연통하는 제1슬라이딩홈이 형성된 제1커버부재와, 상기 제1커버부재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며 내부에 제2슬라이딩홈이 형성된 제2커버부재와, 상기 제2커버부재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3커버부재를 포함하는 차폐부;
    상기 제3커버부재의 일 단부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도어의 일 측면에 결합되는 제2고정부 및
    도어의 개폐 동작에 따라서 상기 제1고정부 또는 제2고정부를 설정된 범위 내에서 수평 이동시키는 간격 조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차폐부는 도어가 열리는 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제1커버부재 내지 제3커버부재가 서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도어용 안전커버.
  9. 삭제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부재와 제2커버부재는 각각 상기 제2커버부재와 제3커버부재의 슬라이딩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구비되는 도어용 안전커버.
  11. 삭제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정유닛은,
    상기 제1고정부 또는 제2고정부가 설정된 범위 내에서 수평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 상에서 상기 제1고정부 또는 제2고정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도어용 안전커버.
  13. 도어; 및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8에 기재된 도어용 안전커버;
    를 포함하는 안전도어.
KR1020180103647A 2018-08-31 2018-08-31 도어용 안전커버 및 이를 구비한 안전도어 KR101982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647A KR101982684B1 (ko) 2018-08-31 2018-08-31 도어용 안전커버 및 이를 구비한 안전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647A KR101982684B1 (ko) 2018-08-31 2018-08-31 도어용 안전커버 및 이를 구비한 안전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2684B1 true KR101982684B1 (ko) 2019-05-28

Family

ID=66656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3647A KR101982684B1 (ko) 2018-08-31 2018-08-31 도어용 안전커버 및 이를 구비한 안전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26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1878B1 (ko) * 2021-04-29 2021-12-21 정태영 안전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9692Y1 (ko) * 2004-09-14 2004-12-16 정장훈 출입문 안전장치
KR100824370B1 (ko) * 2006-10-10 2008-04-25 노승현 문짝용 다단식 손끼임 방지기구
KR20150113757A (ko) * 2014-03-31 2015-10-08 정도영 여닫이문용 안전보호대
KR200479978Y1 (ko) * 2014-04-01 2016-03-29 주식회사 아이손 도어 및 문틀 사이의 틈새를 커버하는 틈새 커버
JP2016223157A (ja) * 2015-05-29 2016-12-28 セイキ販売株式会社 巻取式スクリーン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9692Y1 (ko) * 2004-09-14 2004-12-16 정장훈 출입문 안전장치
KR100824370B1 (ko) * 2006-10-10 2008-04-25 노승현 문짝용 다단식 손끼임 방지기구
KR20150113757A (ko) * 2014-03-31 2015-10-08 정도영 여닫이문용 안전보호대
KR200479978Y1 (ko) * 2014-04-01 2016-03-29 주식회사 아이손 도어 및 문틀 사이의 틈새를 커버하는 틈새 커버
JP2016223157A (ja) * 2015-05-29 2016-12-28 セイキ販売株式会社 巻取式スクリーン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1878B1 (ko) * 2021-04-29 2021-12-21 정태영 안전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5284B1 (ko) 출입문의 손 끼임 방지장치
KR100634390B1 (ko) 유리문용 손보호구
KR101982684B1 (ko) 도어용 안전커버 및 이를 구비한 안전도어
KR20190041628A (ko) 미닫이 도어용 완충 장치
KR102602235B1 (ko) 완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KR20220019507A (ko) 도어 폴딩형 손낌방지장치
KR101995239B1 (ko) 강화유리문의 손끼임 방지장치
KR102005842B1 (ko) 도어용 손낌 방지장치
KR20140105916A (ko) 여닫이문의 완충장치
KR20110052625A (ko) 도어 어셈블리
KR101212248B1 (ko) 손 끼임에 의한 부상 방지기능을 갖는 문짝과 문틀 또는 창과 창틀
KR102116766B1 (ko) 슬라이드식 도어를 갖는 장롱의 듀얼 댐핑 스토퍼
JP2016008382A (ja) 開閉体緩衝装置
KR102038854B1 (ko) 보호경첩
WO2010035322A1 (ja)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装置
KR102027831B1 (ko) 기밀성을 갖는 창호
KR102048626B1 (ko) 반자동 연동형 도어 시스템
KR20220076705A (ko) 출입문의 손끼임 방지장치
CN211874263U (zh) 一种具有密封性能的双开门
JP5130133B2 (ja) 折戸構造
KR20140044496A (ko) 미닫이 창호
KR100579473B1 (ko) 건축용 도어 방음구조
KR102085310B1 (ko) 축회전방식 여닫이도어의 도어모서리 간섭방지를 겸한 문틀 커버장치
JP7101514B2 (ja) 引戸
KR102161415B1 (ko) 슬라이딩 창호용 풍지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