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2665B1 - 도색 현장에서 발생 되는 미세분진 및 먼지를 저감할 수 있는 스마트 형 외 벽면 도색장치 - Google Patents

도색 현장에서 발생 되는 미세분진 및 먼지를 저감할 수 있는 스마트 형 외 벽면 도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2665B1
KR101982665B1 KR1020190032644A KR20190032644A KR101982665B1 KR 101982665 B1 KR101982665 B1 KR 101982665B1 KR 1020190032644 A KR1020190032644 A KR 1020190032644A KR 20190032644 A KR20190032644 A KR 20190032644A KR 101982665 B1 KR101982665 B1 KR 101982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paint
painting
moving block
spr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2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9037A (ko
Inventor
이성원
Original Assignee
유지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지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지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2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2665B1/ko
Publication of KR20190039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9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 B05C1/06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by rubbing contact, e.g. by brushes, by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02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 B05C11/1015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responsive to a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 responsive to position or movement of the coating head relative to the targ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2Rollers ; Hand tools comprising coating rollers or coating endless belts
    • B05C17/0245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1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32Shielding elements, i.e. elements preventing overspray from reaching areas other than the object to be spray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4/0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8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spray h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 Spray Contro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건물의 외 벽면 도색 과정에서 발생 되는 미세 분진 및 먼지를 저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작업자의 피로도를 격감시킬 수 있으면서 효율적인 도색작업이 되도록 하는 도색 현장에서 발생 되는 미세분진 및 먼지를 저감 할 수 있는 스마트 형 외 벽면 도색장치에 관한 것으로,
샤클에 매달 수 있으며, 작업자가 착석 후 상체가 뒤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등받이(110)가 구비되며, 좌판(120)을 기준으로 좌, 우측에는 도색 작업에 필요한 각종 도구를 고정할 수 있도록 수직 지지대(130)가 각각 형성된 착석부(100)와, 상기 지지대(130)를 연결하여 고정되며, 제1이동블록(220)을 전, 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제1가이드레일(210)과, 상기 제1가이드레일(210)을 타고 이동을 하며, 제2가이드레일(230)이 고정되는 제1이동블록(220)과, 상기 제1이동블록(220)에 고정되며, 제2이동블록(240)을 좌, 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제2가이드레일(230)과, 상기 제2가이드레일(230)을 타고 이동을 하며, 도료가 분출되는 분출관(310) 및 비산방지커버(410)가 일체형으로 장착 고정되는 장착플레이트(241)가 일체형으로 고정된 제2이동블록(2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부(200)와, 도료가 자동으로 분출되는 분출관(310)과, 상기 분출관(310)의 끝단에 고정되어 도료의 분사량을 조절하며, 장착플레이트(241)의 중심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분사노즐(320)과, 도료가 분사노즐(320)을 통해 임의로 분사되는 것을 차단하는 메인밸브(330)와, 근접센서(350)의 신호를 받고 그 신호에 따라 도료를 분사시키며, 배터리 또는 외부전원의 인가에 따라 작동하는 전자밸브(340) 및 상기 전자밸브(340)와 신호 연결되어 벽면에 밀착된 경우에만 도료가 분사되도록 전자밸브(340)에 신호를 주고 전자밸브(340)가 개폐되어 도료가 분사되도록 하며, 배터리 또는 외부전원의 인가에 따라 작동하는 근접센서(3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분사부(300)와, 상기 장착플레이트(241)와 탈착 형으로 고정되며, 전면이 개방됨과 동시에 측면이 폐쇄된 다각형 박스 형상으로 구성되며, 하측에는 비산 되는 도료가 배기되는 배기홈(421)이 형성된 비산방지커버(420)와, 상기 배기홈(421)과 연결되어 비산 되는 도료를 최종 배기처리하도록 안내하는 배기관(4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기부(40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도색 현장에서 발생 되는 미세분진 및 먼지를 저감할 수 있는 스마트 형 외 벽면 도색장치{Smart type outer wall paint device that can reduce fine dust and dust generated in painting site}
본 발명은 도색 현장에서 발생 되는 미세분진 및 먼지를 저감 할 수 있는 스마트 형 외 벽면 도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콘크리트 건물의 외 벽면 도색 과정에서 발생 되는 미세 분진 및 먼지를 저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작업자의 피로도를 격감시킬 수 있으면서 효율적인 도색작업이 되도록 하는 도색 현장에서 발생 되는 미세분진 및 먼지를 저감 할 수 있는 스마트 형 외 벽면 도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달비계라 함은 매달린 외줄 달기 로프에 지지 되는 작업대를 이용하여 근로자가 작업할 수 있도록 제작된 것을 말하는 것으로 주로 고층건물의 도장, 견출, 청소, 보수, 검사 등의 작업에 사용되는 도구이다.
달비계의 주요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 하측 방향으로 작업이 될 수 있도록 작업의자와 연결고정되는 작업용 로프(10)와,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구성되는 안전 로프(20), 실제 작업자가 앉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작업에 사용되는 물품을 걸어놓는 작업의자(30) 및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 작업자가 착용하는 엑스반도(50)와, 안전 로프(20)를 연결 고정시키는 구명줄(4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달비계(1)를 이용하여 건물의 외벽 도색 작업을 할 때는 작업자가 작업의자에 걸터앉은 상태에서 좌, 우 방향으로 이동을 하면서 작업을 하며, 현 위치에서의 작업이 완료되면, 샤클(60)에 연결 매듭된 작업용 로프를 느슨하게 하여 작업할 수 있는 구간만큼 하강한 후 또다시 좌, 우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작업을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색작업에 사용되는 도구는 에어 리스 스프레이 건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는 도료 분진에 의해 도색 작업시 상당한 제약이 뒤따르는바, 이로 인해 롤러를 이용하는 것이 보편화 되어 있다.
그런데 롤러를 이용할 때는 작업자가 손으로 계속 움직이면서 작업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당한 육체적인 고통을 감수하여야 했으며, 특히 공중에서 작업을 하기 때문에 작업도구의 낙하에 따른 안전사고의 발생까지 항상 염두 해 두고 작업을 해야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본원 출원인의 발명자가 2019년 1월 30일자로 개선된 특허를 출원(출원번호 제10-2019-0011781호)한 바 있으나, 공중에서 효율적인 작업을 위한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1. 특허출원 제10-2006-0058519호(발명의 명칭 : 샤클 조립체) 2. 특허출원 제10-2010-0092309호(발명의 명칭 : 달비계용 2중 안전 샤클 조립체) 3. 실용신안 출원 제20-2011-0011734호(고안의 명칭: 샤클 조립체) 4. 특허출원 제10-2013-0041827호(발명의 명칭 : 샤클)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일소키 위해 안출한 것으로, 콘크리트 건물의 외 벽면 도색 과정에서 발생 되는 미세 분진 및 먼지를 저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작업자의 피로도를 격감시킬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작업자의 손 사용을 최소화 하면서 효율적인 도색작업이 되도록 하는 도색 현장에서 발생 되는 미세분진 및 먼지를 저감 할 수 있는 스마트 형 외 벽면 도색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달비계를 이용한 건물 외벽 도색 작업시 작업자가 직접 롤러 붓을 작업자 중심에서 상, 하 또는 좌, 우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고 자동으로 움직이면서 도색이 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발명의 도색 현장에서 발생 되는 미세분진 및 먼지를 저감 할 수 있는 스마트 형 외 벽면 도색장치(S)는,
샤클에 매달 수 있으며, 작업자가 착석 후 상체가 뒤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등받이(110)가 구비되며, 좌판(120)을 기준으로 좌, 우측에는 도색 작업에 필요한 각종 도구를 고정할 수 있도록 수직 지지대(130)가 각각 형성된 착석부(100)와, 상기 지지대(130)를 연결하여 고정되며, 제1이동블록(220)을 전, 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제1가이드레일(210)과, 상기 제1가이드레일(210)을 타고 이동을 하며, 제2가이드레일(230)이 고정되는 제1이동블록(220)과, 상기 제1이동블록(220)에 고정되며, 제2이동블록(240)을 좌, 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제2가이드레일(230)과, 상기 제2가이드레일(230)을 타고 이동을 하며, 도료가 분출되는 분출관(310) 및 비산방지커버(410)가 일체형으로 장착 고정되는 장착플레이트(241)가 일체형으로 고정된 제2이동블록(2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부(200)와, 도료가 자동으로 분출되는 분출관(310)과, 상기 분출관(310)의 끝단에 고정되어 도료의 분사량을 조절하며, 장착플레이트(241)의 중심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분사노즐(320)과, 도료가 분사노즐(320)을 통해 임의로 분사되는 것을 차단하는 메인밸브(330)와, 근접센서(350)의 신호를 받고 그 신호에 따라 도료를 분사시키며, 배터리 또는 외부전원의 인가에 따라 작동하는 전자밸브(340) 및 상기 전자밸브(340)와 신호 연결되어 벽면에 밀착된 경우에만 도료가 분사되도록 전자밸브(340)에 신호를 주고 전자밸브(340)가 개폐되어 도료가 분사되도록 하며, 배터리 또는 외부전원의 인가에 따라 작동하는 근접센서(3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분사부(300)와, 상기 장착플레이트(241)와 탈착 형으로 고정되며, 전면이 개방됨과 동시에 측면이 폐쇄된 다각형 박스 형상으로 구성되며, 하측에는 비산 되는 도료가 배기되는 배기홈(421)이 형성된 비산방지커버(420)와, 상기 배기홈(421)과 연결되어 비산 되는 도료를 최종 배기처리하도록 안내하는 배기관(4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기부(4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이동블록(220) 및 제2이동블록(240)의 일측에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제1이동블록(220) 및 제2이동블록(240)을 조작할 수 있도록 조작 손잡이(250)가 설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가이드레일(230)의 일측 끝단에는 제2이동블록(24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리미트 블록(231)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근접센서(350)는 비산방지커버(420)의 끝단 대칭 위치에서 하나 이상 설치고정되며, 설치된 근접센서 모두가 벽면에 근접된 상태일 때만 전자밸브(340)가 개폐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기부(400)에서 배기관(410)과 비산방지커버(420) 사이에는 비산 되는 도료를 강제 배기시킴으로써 도료의 비산을 차단할 수 있는 흡배기팬(430)이 설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산방지커버(420)의 전면에는 근접센서(350)가 안착고정되는 안착홈(4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산방지커버(420)의 내측 끝단에는 도료가 비산 되어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벽면에 도료가 도포되도록 하는 붓 또는 롤러 붓이 설치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이동블록(240)의 일측에는 전자밸브(340) 및 근접센서(350)와 신호 연결되어 자동으로 제2이동블록(240)이 왕복 작동될 수 있도록 자동화수단(500)이 설치고정되되, 상기 자동화 수단(500)은 볼 스크류 또는 에어 실린더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원 발명의 도색 현장에서 발생 되는 미세분진 및 먼지를 저감 할 수 있는 스마트 형 외 벽면 도색장치는 콘크리트 건물의 외 벽면 도색 과정에서 발생 되는 미세 분진 및 먼지를 저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자동화로 구성할 경우 작업자의 피로도를 격감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효율적인 도색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달비계의 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발췌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의 요부를 발췌한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의 요부 중 이동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의 요부 중 분사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의 요부 중 배기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 예를 도시한 결합사시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첨부된 각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도색 현장에서 발생 되는 미세분진 및 먼지를 저감할 수 있는 스마트 형 외 벽면 도색장치(S)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도색 현장에서 발생 되는 미세분진 및 먼지를 저감할 수 있는 스마트 형 외 벽면 도색장치(S)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작업자가 착석하는 착석부(100)와, 분사노즐(320)의 위치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부(200)와, 도료가 분사되는 분사부(300) 및 분사된 도료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배기부(40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착석부(100)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미도시)와 연결되어 샤클에 매달 수 있으며, 작업자가 착석 후 상체가 뒤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등받이(110)가 구비되며, 좌판(120)을 기준으로 좌, 우측에는 도색 작업에 필요한 각종 도구를 고정할 수 있도록 수직 지지대(130)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이동부(200)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130)를 연결하여 고정되는 제1가이드레일(210)이 구비되며, 상기 제1가이드레일(210)에는 제1이동블록(220)이 제1가이드레일(210)을 타고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 고정되어 분사노즐(320)의 위치를 전, 후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 된다.
또한, 상기 제1이동블록(220)에는 제2가이드레일(230)이 설치 고정됨과 동시에 제2이동블록(240)이 제2가이드레일(230)을 타고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 고정되어 분사노즐(320)의 위치를 좌, 우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이동블록(240)에는 장착플레이트(241)가 일체형으로 고정되는 한편, 상기 장착플레이트(241)의 중심에는 도료가 분출되는 분출관(310)이 관통 고정됨과 동시에 그 분출관(310)의 외측에는 비산방지커버(410)가 장착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1이동블록(220) 및 제2이동블록(240)의 일측에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제1이동블록(220) 및 제2이동블록(240)을 조작할 수 있도록 조작 손잡이(250)가 설치 고정되며, 상기 제2가이드레일(230)의 일측 끝단에는 제2이동블록(24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리미트 블록(231)이 고정되어 제2이동블록(24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분사부(300)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도료가 자동으로 분출되는 분출관(310)이 구비되며, 상기 분출관(310)의 끝단에는 도료의 분사량을 조절하며, 장착플레이트(241)의 중심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분사노즐(320)이 연결 구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분출관의 일측에는 도료가 분사노즐(320)을 통해 임의로 분사되는 것을 차단하는 메인밸브(330)가 설치됨과 동시에 근접센서(350)의 신호를 받고 그 신호에 따라 도료를 분사시키며, 배터리 또는 외부전원의 인가에 따라 작동하는 전자밸브(340)가 구성되는 한편, 상기 전자밸브(340)와 신호 연결되어 벽면에 밀착된 경우에만 도료가 분사되도록 전자밸브(340)에 신호를 주고 전자밸브(340)가 개폐되어 도료가 분사되도록 하며, 배터리 또는 외부전원의 인가에 따라 작동하는 근접센서(350)가 구성된다.
작업자가 도색 작업을 할 때는 메인밸브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도색하고자 하는 벽면에 근접센서(350)를 근접시키게 되면, 근접센서(350)의 신호를 받은 전자밸브(340)가 개방되면서 도료가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가 이루어지는 것이며, 근접센서(350)를 벽면에서 이격시키게 되면 곧바로 전자밸브(340)가 차단되면서 도료의 분사 역시 차단 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근접센서(350)는 비산방지커버(420)의 끝단 대칭 위치에서 하나 이상 설치고정되며, 설치된 근접센서 모두가 벽면에 근접된 상태일 때만 전자밸브(340)가 개폐되도록 구성되는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근접센서(350)가 기울어진 상태에서는 전자밸브(340)가 개방되지 않도록 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비산방지커버(420)가 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도료의 분사를 차단할 수 있는 것이며, 아울러 도료의 분사에 따른 비산 도료의 확산까지 사전에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색 작업을 마친 후에는 메인밸브(330)를 닫아 작업자의 부주의에 따른 도료의 분사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배기부(400)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플레이트(241)와 탈착 형으로 고정되며, 전면이 개방됨과 동시에 측면이 폐쇄된 다각형 박스 형상으로 구성되며, 개방된 면을 통해 도색작업이 이루어지는 한편, 하측에는 비산 되는 도료가 배기 되는 배기홈(421)이 형성된 비산방지커버(420) 및 상기 배기홈(421)과 연결되어 비산 되는 도료를 최종 배기처리하도록 안내하는 배기관(41)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배기부(400)에서 배기관(410)과 비산방지커버(420) 사이에는 비산 되는 도료를 강제 배기시킴으로써 도료의 비산을 차단할 수 있는 흡배기팬(430)이 설치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비산방지커버(420)의 전면에는 근접센서(350)가 안착고정되는 안착홈(42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비산방지커버(420)의 내측 끝단에는 도료가 비산 되어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벽면에 도료가 도포되도록 하는 붓 또는 롤러 붓(440)이 설치고정되는바, 이는 도료의 재도포를 위한 측면도 있지만, 비산방지커버(420)의 내부를 완전 밀폐시켜 도료가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측면도 있다.
한편, 상기 제2이동블록(240)의 일측에는 전자밸브(340) 및 근접센서(350)와 신호 연결되어 자동으로 제2이동블록(240)이 왕복 작동될 수 있도록 자동화수단(500)이 설치고정되되, 상기 자동화 수단(500)은 볼스크류 또는 에어 실린더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설치하여 작업자의 손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도색 작업이 용이하도록 할 수있으며, 상술 된 볼 스크류 또는 에어 실린더 이외에도 직선 왕복작동을 할 수 있는 장치라면 다양하게 채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원 발명의 도색 현장에서 발생 되는 미세분진 및 먼지를 저감 할 수 있는 스마트 형 외 벽면 도색장치(S)는 도 1에서는 선택된 한 방향에만 설치되어 있으나, 양쪽 모두에 설치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S: 스마트 형 외 벽면 도색장치
10: 작업용 로프 20: 안전로프
30: 작업의자 40:구명줄
50: 엑스반도 60:샤클
100: 착석부 110: 등받이
120: 좌판 130: 지지대
200: 이동부 210: 제1가이드레일
220: 제1이동블록 230: 제2가이드레일
231: 리미트 블록 240: 제2이동블록
241: 장착플레이트 250: 조작 손잡이
300: 분사부 310: 분출관
320: 분사노즐 330: 메인밸브
340: 전자밸브 350: 근접센서
400: 배기부 410: 배기관
420: 비산방지커버 421: 배기홈
422: 안착홈 430: 배기팬
440: 붓 또는 롤러 붓 500: 자동화 수단

Claims (8)

  1. 샤클에 매달 수 있으며, 작업자가 착석 후 상체가 뒤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등받이(110)가 구비되며, 좌판(120)을 기준으로 좌, 우측에는 도색 작업에 필요한 각종 도구를 고정할 수 있도록 수직 지지대(130)가 각각 형성된 착석부(100); 와,
    상기 지지대(130)를 연결하여 고정되며, 제1이동블록(220)을 전, 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제1가이드레일(210)과, 상기 제1가이드레일(210)을 타고 이동을 하며, 제2가이드레일(230)이 고정되는 제1이동블록(220)과, 상기 제1이동블록(220)에 고정되며, 제2이동블록(240)을 좌, 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제2가이드레일(230)과, 상기 제2가이드레일(230)을 타고 이동을 하며, 도료가 분출되는 분출관(310) 및 비산방지커버(410)가 일체형으로 장착 고정되는 장착플레이트(241)가 일체형으로 고정된 제2이동블록(2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부(200); 와,
    도료가 자동으로 분출되는 분출관(310) 및 상기 분출관(310)의 끝단에 고정되어 도료의 분사량을 조절하며, 장착플레이트(241)의 중심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분사노즐(320)과, 도료가 분사노즐(320)을 통해 임의로 분사되는 것을 차단하는 메인밸브(330)와, 근접센서(350)의 신호를 받고 그 신호에 따라 도료를 분사시키며, 배터리 또는 외부전원의 인가에 따라 작동하는 전자밸브(340) 및 상기 전자밸브(340)와 신호 연결되어 벽면에 밀착된 경우에만 도료가 분사되도록 전자밸브(340)에 신호를 주고 전자밸브(340)가 개폐되어 도료가 분사되도록 하며, 배터리 또는 외부전원의 인가에 따라 작동하는 근접센서(3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분사부(300); 와,
    상기 장착플레이트(241)와 탈착 형으로 고정되며, 전면이 개방됨과 동시에 측면이 폐쇄된 다각형 박스 형상으로 구성되며, 하측에는 비산 되는 도료가 배기 되는 배기홈(421)이 형성된 비산방지커버(420)와, 상기 배기홈(421)과 연결되어 비산 되는 도료를 최종 배기처리하도록 안내하는 배기관(4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기부(40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색 현장에서 발생 되는 미세분진 및 먼지를 저감할 수 있는 스마트 형 외 벽면 도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블록(220) 및 제2이동블록(240)의 일측에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제1이동블록(220) 및 제2이동블록(240)을 조작할 수 있도록 조작 손잡이(250)가 설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색 현장에서 발생 되는 미세분진 및 먼지를 저감할 수 있는 스마트 형 외 벽면 도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레일(230)의 일측 끝단에는 제2이동블록(24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리미트 블록(231)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색 현장에서 발생 되는 미세분진 및 먼지를 저감할 수 있는 스마트 형 외 벽면 도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센서(350)는 비산방지커버(420)의 끝단 대칭 위치에서 하나 이상 설치고정되며, 설치된 근접센서 모두가 벽면에 근접된 상태일 때만 전자밸브(340)가 개폐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색 현장에서 발생 되는 미세분진 및 먼지를 저감할 수 있는 스마트 형 외 벽면 도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400)에서 배기관(410)과 비산방지커버(420) 사이에는 비산 되는 도료를 강제 배기시킴으로써 도료의 비산을 차단할 수 있는 흡배기팬(430)이 설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색 현장에서 발생 되는 미세분진 및 먼지를 저감할 수 있는 스마트 형 외 벽면 도색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산방지커버(420)의 전면에는 근접센서(350)가 안착고정되는 안착홈(4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색 현장에서 발생 되는 미세분진 및 먼지를 저감할 수 있는 스마트 형 외 벽면 도색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산방지커버(420)의 내측 끝단에는 도료가 비산 되어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벽면에 도료가 도포되도록 하는 붓 또는 롤러 붓이 설치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색 현장에서 발생 되는 미세분진 및 먼지를 저감할 수 있는 스마트 형 외 벽면 도색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동블록(240)의 일측에는 전자밸브(340) 및 근접센서(350)와 신호 연결되어 자동으로 제2이동블록(240)이 왕복 작동될 수 있도록 자동화수단(500)이 설치고정되되, 상기 자동화 수단(500)은 볼 스크류 또는 에어 실린더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색 현장에서 발생 되는 미세분진 및 먼지를 저감할 수 있는 스마트 형 외 벽면 도색장치.
KR1020190032644A 2019-03-22 2019-03-22 도색 현장에서 발생 되는 미세분진 및 먼지를 저감할 수 있는 스마트 형 외 벽면 도색장치 KR101982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644A KR101982665B1 (ko) 2019-03-22 2019-03-22 도색 현장에서 발생 되는 미세분진 및 먼지를 저감할 수 있는 스마트 형 외 벽면 도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644A KR101982665B1 (ko) 2019-03-22 2019-03-22 도색 현장에서 발생 되는 미세분진 및 먼지를 저감할 수 있는 스마트 형 외 벽면 도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9037A KR20190039037A (ko) 2019-04-10
KR101982665B1 true KR101982665B1 (ko) 2019-05-27

Family

ID=66163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2644A KR101982665B1 (ko) 2019-03-22 2019-03-22 도색 현장에서 발생 되는 미세분진 및 먼지를 저감할 수 있는 스마트 형 외 벽면 도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26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1397B1 (ko) * 2020-03-16 2020-09-29 김소중 비산먼지 방지 페인트 스프레이 도장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2961B1 (ko) * 2019-07-04 2019-11-08 김나영 분진 차단 기능을 가진 에이치빔 인출용 이형제 도포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1222B1 (ko) 2011-12-28 2013-07-02 주식회사 포스코 주조롤 폴리머 코팅장치
KR101548332B1 (ko) 2015-02-03 2015-08-28 유재준 페인트 분진 집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07861A (ja) * 1987-10-20 1989-04-25 Taisei Corp 建物外壁面の自動塗装装置
KR0127549B1 (ko) * 1995-08-30 1997-12-30 김태구 자동차의 휠 왁스도포장치
KR100600375B1 (ko) 2004-11-25 2006-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해동물의 표면냉각식 해동장치
KR100987524B1 (ko) 2009-02-12 2010-10-12 주식회사 퍼시스 서랍 잠금장치
KR20110011734U (ko) 2010-06-14 2011-12-21 임성균 블루투스 리모콘을 이용한 알람 시계 제어.
WO2012053290A1 (ja) 2010-10-18 2012-04-26 Jsr株式会社 液晶セル、液晶表示素子、液晶セルの製造方法及び位相差膜用光配向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1222B1 (ko) 2011-12-28 2013-07-02 주식회사 포스코 주조롤 폴리머 코팅장치
KR101548332B1 (ko) 2015-02-03 2015-08-28 유재준 페인트 분진 집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1397B1 (ko) * 2020-03-16 2020-09-29 김소중 비산먼지 방지 페인트 스프레이 도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9037A (ko) 2019-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2665B1 (ko) 도색 현장에서 발생 되는 미세분진 및 먼지를 저감할 수 있는 스마트 형 외 벽면 도색장치
JP5688074B2 (ja) 多用途壁面処理機
KR101097680B1 (ko) 방화문 자동 도장장치
JP2015518415A (ja) 塗装設備用ドライアイス洗浄手段
JPS59156340A (ja) 歯の掃除システム
JP5297300B2 (ja) ターンテーブル式噴射機
EP0631849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Reinigen von Oberflächen
KR20160047010A (ko) 좁은 벽면 및 모서리 외벽 도장장치
CN110539196A (zh) 智能化数控加工中心
DE4123020C2 (de) Bearbeitungsgerät zum Bearbeiten von feinwerktechnischen, insbesondere dentaltechnischen Werkstücken in einem von einem Gehäuse umgebenen Bearbeitungsraum
CN211303545U (zh) 一种化妆品玻璃瓶内壁喷涂装置
KR102094162B1 (ko) 석면 분진 제거용 분무장치
EP3290000B1 (de) Dentalfraesmaschine
CN111851660B (zh) 一种可旋转组合的淋浴装置
KR102357404B1 (ko) 스프레이 건용 도료 비산방지 장치 및 그 작업방법
JP3913648B2 (ja) 橋梁高欄部の作業用足場装置
KR101994194B1 (ko) 건물 벽면 도색용 방진 하우징
CN106962220A (zh) 一种肉牛清洗装置
CN106259265A (zh) 水稻的农药喷洒装置
CN105484477B (zh) 一种墙体阳角自动化处理装置
CN209578557U (zh) 一种焊枪喷油装置
KR200465301Y1 (ko) 바닥 도장기
CN213359287U (zh) 一种重力阻尼平衡的悬挂式喷涂机
CN220686638U (zh) 一种用于墙壁刷漆作业的粉刷辊装置
CN212418410U (zh) 一种便携式金属件的喷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