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2622B1 - 공동 주택 외벽 케이블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공동 주택 외벽 케이블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2622B1
KR101982622B1 KR1020190013586A KR20190013586A KR101982622B1 KR 101982622 B1 KR101982622 B1 KR 101982622B1 KR 1020190013586 A KR1020190013586 A KR 1020190013586A KR 20190013586 A KR20190013586 A KR 20190013586A KR 101982622 B1 KR101982622 B1 KR 101982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pipe
bending pipe
vertical pip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3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석
Original Assignee
(주)이가에이씨엠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가에이씨엠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이가에이씨엠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90013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26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 주택 외벽 전기 케이블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공동주택의 벽면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체결구를 통해 고정되며 양측에는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끼움 결합홈이 형성되는 수직 고정판; 직각형상으로 절곡형성되고, 수평부가 공동주택의 벽면에 관통되며, 수직부의 하부에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양측에는 수직 고정판에 체결구를 통해 결합되는 날개부가 형성되는 상부 절곡배관; 상기 상부 절곡배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부에는 상기 결합홈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하부를 향할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경사부가 형성되고, 양측에는 수직 고정판에 체결구를 통해 결합되는 날개부가 형성되는 상부 수직배관; 상기 상부 수직배관의 하부에 배치되고, 하부 끝단의 내면 둘레에는 지지부가 돌출형성되며, 양측에는 수직 고정판에 체결구를 통해 결합되는 날개부가 형성되는 중앙 수직배관; 상기 중앙 수직배관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저면이 지지부에 지지되고, 내부에는 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완충공이 수용되는 중공형상의 완충 튜브; 상기 중앙 수직배관의 하부에 배치되면서 일부가 지면에 매설될 수 있도록 'ㄴ'자 형상으로 절곡되고, 수직부의 내면에는 간격을 두고 안내돌기가 형성되며, 수평부의 내면에는 둘레를 따라 배선 지지돌기가 형성되는 하부 절곡배관; 상기 상부 수직배관과 중앙 수직배관 및 상기 중앙 수직배관과 하부 절곡배관의 사이에 배치되고, 내부에는 고무, 스티로폼, 부직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완충부재가 장착되는 중공형상의 충격 완충구; 및 상기 상부 절곡배관, 상부 수직배관, 중앙 수직배관, 충격 완충구 및 외부로 노출되는 하부 절곡배관의 외면을 감싸고, 상기 수직 고정판의 끼움 결합홈과 대응하는 부분으로 끼움 결합을 위한 끼움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보호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동 주택 외벽 케이블 안전장치{CABLE PROTECTING UNIT OF AN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공동 주택 외벽 전기 케이블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에서 건물 내부로 인입되는 전기 케이블 또는 통신 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공동 주택 외벽 케이블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 발전된 전력은 지상의 수변전설비, 지중의 전기 맨홀을 거쳐 수요측에 공급된다.
이중 지중에 매설된 케이블을 통해 지상의 수요측 건물(공동주택 건축물)에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 지중에 매설된 케이블을 지상측 건물의 외벽과 근접된 곳에서 지상으로 인출하여 상기 건물 외벽을 따라 입상시켜 인입부를 통해 옥내에 인입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건물 외벽에 대한 전기 케이블의 설치 구조상, 케이블이 외부로 노출되어 강풍 등에 의해 흔들림이 발생됨에 따라 단선이 발생될 수 있고, 눈과 비가 케이블의 피복을 통해 침투하여 누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0957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595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외부에서 건물 내부로 인입되는 전기 케이블 또는 통신 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동 주택 외벽 케이블 안전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동 주택 외벽 케이블 안전장치는 공동주택의 벽면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체결구를 통해 고정되며 양측에는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끼움 결합홈이 형성되는 수직 고정판; 직각형상으로 절곡형성되고, 수평부가 공동주택의 벽면에 관통되며, 수직부의 하부에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양측에는 수직 고정판에 체결구를 통해 결합되는 날개부가 형성되는 상부 절곡배관; 상기 상부 절곡배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부에는 상기 결합홈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하부를 향할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경사부가 형성되고, 양측에는 수직 고정판에 체결구를 통해 결합되는 날개부가 형성되는 상부 수직배관; 상기 상부 수직배관의 하부에 배치되고, 하부 끝단의 내면 둘레에는 지지부가 돌출형성되며, 양측에는 수직 고정판에 체결구를 통해 결합되는 날개부가 형성되는 중앙 수직배관; 상기 중앙 수직배관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저면이 지지부에 지지되고, 내부에는 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완충공이 수용되는 중공형상의 완충 튜브; 상기 중앙 수직배관의 하부에 배치되면서 일부가 지면에 매설될 수 있도록 'ㄴ'자 형상으로 절곡되고, 수직부의 내면에는 간격을 두고 안내돌기가 형성되며, 수평면의 내면에는 둘레를 따라 배선 지지돌기가 형성되는 하부 절곡배관; 상기 상부 수직배관과 중앙 수직배관 및 상기 중앙 수직배관과 하부 절곡배관의 사이에 배치되고, 내부에는 고무, 스티로폼, 부직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완충부재가 장착되는 중공형상의 충격 완충구; 및 상기 상부 절곡배관, 상부 수직배관, 중앙 수직배관, 충격 완충구 및 외부로 노출되는 하부 절곡배관의 외면을 감싸고, 상기 수직 고정판의 끼움 결합홈과 대응하는 부분으로 끼움 결합을 위한 끼움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보호커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절곡배관의 상부에 빗물이나 이물질을 외부로 안내하면서도 상부를 보호할 수 있도록 상부 보호수단이 장착되고, 상기 상부 보호수단은 상기 상부 절곡배관의 상부에 배치되고, 공동주택의 벽면에 고정되고 외면에는 끼움 결함홈이 형성되는 수직 결합판; 및 삼각형 형상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 결합판의 끼움 결합홈과 대응하는 내면에 끼움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끝단에는 상기 상부 절곡배관과 고정결합될 수 있도록 끝단 결합부가 돌출형성되는 상부 경사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경사구의 수용공간에는 일면이 공동주택의 벽면에 밀착되는 진동 감지센서가 장착되고, 상기 상부 절곡배관을 구성하는 수평부의 내면에는 상기 진동감지센서를 통한 작동신호전달시 팽창하여 케이블을 고정하는 에어백이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 주택 외벽 케이블 안전장치는 외부에서 건물 내부로 인입되는 전기 케이블 또는 통신 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강풍 등에 의한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으며, 눈과 비의 침투로 인한 누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 주택 외벽 케이블 안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 주택 외벽 케이블 안전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 주택 외벽 케이블 안전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4 및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 주택 외벽 케이블 안전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 주택 외벽 케이블 안전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저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 주택 외벽 케이블 안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 주택 외벽 케이블 안전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 주택 외벽 케이블 안전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 및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 주택 외벽 케이블 안전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원발명인 공동 주택 외벽 케이블 안전장치(10)는 수직 고정판(20), 상부 절곡배관(30), 상부 수직배관(40), 중앙 수직배관(50), 완충 튜브(60), 하부 절곡배관(70), 충격 완충구(80), 보호커버(9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공동 주택 외벽 케이블 안전장치(10)를 구성하는 상부 절곡배관(30), 상부 수직배관(40), 완충 튜브(50), 하부 절곡배관(60), 하부 절곡배관(70), 충격 완충구(80), 보호커버(9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원발명에서 상기 상부 절곡배관(30), 상부 수직배관(40), 완충 튜브(50), 하부 절곡배관(60), 하부 절곡배관(70), 충격 완충구(80), 보호커버(90)는 원활한 결합 및 조립을 위해 단면이 중공형상의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수직 고정판(20)은 공동주택의 벽면(B)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 고정판(20)은 소정의 크기와 폭을 가지며, 공동주택의 벽면(B)에 체결구를 통해 고정되고, 양측에는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끼움 결합홈(22)이 형성된다.
즉, 상기 수직 고정판(20)은 공동주택의 벽면(B)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상부 절곡배관(30), 상부 수직배관(40), 완충 튜브(50), 하부 절곡배관(60), 하부 절곡배관(70), 충격 완충구(80), 보호커버(90)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부 절곡배관(30)은 공동주택의 벽면(B)에 일부가 삽입장착되면서 수직 고정판(20)에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절곡배관(30)은 직각형상으로 절곡형성되고, 수평부(31)가 공동주택의 벽면(B)에 관통되며, 수직부(32)의 하부에는 결합홈(33)이 형성되고, 양측에는 수직 고정판(20)에 체결구를 통해 결합되는 날개부(34)가 형성된다.
즉, 상기 상부 절곡배관(30)은 수평부(31)와 수직부(32)가 "ㄱ"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32)의 하부에는 상부 수직배관(40)과 결합을 위한 결합홈(33)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32)의 양측에는 수직 고정판(20)과 결합되는 날개부(34)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상부 수직배관(40)은 상부 절곡배관(30)의 하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수직배관(40)은 상부에 상부 절곡배관(30)의 결합홈(33)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돌기(41)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하부를 향할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경사부(42)가 형성되고, 양측에는 수직 고정판(20)에 체결구를 통해 결합되는 날개부(43)가 형성된다.
즉, 상기 상부 수직배관(40)은 상부 절곡배관(30)의 하부에 배치되어 내부에 위치하는 케이블(C)을 중앙부분으로 안내하고, 양측에 형성되는 날개부(43)를 통해 수직 고정판(20)에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 수직배관(40)의 내부에 형성되는 경사부(42)는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중앙 수직배관(50)은 상부 수직배관(40)의 하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중앙 수직배관(50)은 하부 끝단의 내면 둘레에 지지부(51)가 돌출형성되며 양측에는 수직 고정판(20)에 체결구를 통해 결합되는 날개부(52)가 형성된다.
즉, 상기 중앙 수직배관(50)은 상부 수직배관(40)의 하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장착되는 지지부(51)를 통해 완충 튜브(60)를 지지하고, 양측에 배치되는 날개부(52)를 통해 수직 고정판(20)을 고정하게 된다.
상기 완충 튜브(60)는 중앙 수직배관(50)의 내부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완충 튜브(60)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되고, 내부에는 구 형상의 완충구(62)가 다수개수 장착된다.
즉, 상기 완충 튜브(60)는 중앙 수직배관(50)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지지부(51)에 지지되고, 내부에 수용되는 다수개의 완충공(62)을 통해 외부의 충격이 케이블(C)에 전달되는 방지하게 된다.
보충설명하면, 상기 완충 튜브(60)는 내부에 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완충공(62)을 통해 여러 방향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상기 하부 절곡배관(70)은 중앙 수직배관(50)의 하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절곡배관(70)은 일부가 지면에 매설될 수 있도록 "L"자 형상으로 절곡되고, 수직부(71)의 내면에는 간격을 두고 안내돌기(72)가 형성되며, 수평부(73)의 내면에 둘레에는 따라 배선 지지돌기(74)가 형성된다.
즉, 상기 하부 절곡배관(70)은 중앙 수직배관(50)을 통과하는 케이블(C)을 수직부(71)의 안내돌기(72)와 수평부(73)의 배선 지지돌기(74)를 통해 중앙으로 안내하면서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수평부(73)의 배선 지지돌기(74)는 케이블(C)을 중앙으로 안내함과 동시에 하부에 형성되는 습기 등의 물기에 의한 합선 등의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상기 충격 완충구(80)은 상부 수직배관(40)과 중앙 수직배관(50) 및 상기 중앙 수직배관(50)과 하부 절곡배관(70)의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충격 완충구(80)는 내부에 고무, 스티로폼, 부직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완충부재(82)가 장착된다.
즉, 상기 충격 완충구(80)는 상부 수직배관(40)과 중앙 수직배관(50) 및 상기 중앙 수직배관(50)과 하부 절곡배관(70)의 사이에 각각 장착되어, 외부의 충격이 케이블(C)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보호커버(90)는 " ㄷ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 고정판(20)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보호커버(90)는 상부 절곡배관(30), 상부 수직배관(40), 중앙 수직배관(50), 외부로 노출되는 하부 절곡배관(70), 충격 완충구(80)의 외면을 감싸고, 상기 수직 고정판(20)의 끼움 결합홈(22)과 대응하는 부분으로 고정을 위한 끼움 결합돌기(92)가 형성된다.
즉, 상기 보호커버(90)는 끼움 결합돌기(92)가 수직 고정판(20)의 끼움 결합홈(22)에 끼움 결합되면서 상기 상부 절곡배관(30), 상부 수직배관(40), 중앙 수직배관(50), 외부로 노출되는 하부 절곡배관(70), 충격 완충구(80)의 외면을 감싸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공동 주택 외벽 케이블 안전장치(10)는 도시된 도 4 및 5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도시된 도 4의 공동 주택 외벽 케이블 안전장치(10)는 상기 상부 절곡배관(30)의 상부에 상부 보호수단(100)이 장착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상부 보호수단(100)은 상부 절곡배관(30)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공동 주택 외벽 케이블 안전장치(10)의 내부로 빗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상부 보호수단(100)은 상기 상부 절곡배관(30)의 상부에 배치되고, 공동주택의 벽면(B)에 고정되며, 외면에는 끼움 결함홈(102)이 형성되는 수직 결합판(101) 및 삼각형 형상으로 내부에 수용공간(104)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 결합판(101)의 끼움 결합홈(102)과 대응하는 내면에 끼움 결합돌기(105)가 형성되고, 끝단에는 상기 상부 절곡배관(30)과 고정결합될 수 있도록 끝단 결합부(106)가 돌출형성되는 상부 경사구(103)로 구성된다.
즉, 상기 상부 보호수단(100)은 상부 절곡배관(30)의 상부에 공동주택의 벽면(B)에 수직 결합판(101)를 장착한 후 상기 수직 결합판(101)에 상부 경사구(103)를 장착하여, 상기 공동 주택 외벽 케이블 안전장치(10)의 내부로 빗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시된 도 5의 공동 주택 외벽 케이블 안전장치(10)는 상기 보호수단(100)과 상부 절곡배관(30)으로 진동 감지센서(110)와 에어백(120)가 더 장착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상부 경사구(103)의 수용공간(104)에 일면이 공동주택의 벽면(B)에 밀착되는 진동 감지센서(110)를 장착하고, 상기 상부 절곡배관(30)을 구성하는 수평부(31)의 내면에 상기 진동감지센서(110)를 통한 작동신호전달시 팽창하여 케이블(C)을 고정하는 에어백(120)을 장착한 것이다.
보충설명하면, 상기 진동 감지센서(110)와 에어백(120)은 수용공간(104)과 상부 절곡배관(30)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진동 감지센서(110)를 통한 설정값보다 강한 진동이 감지되면, 상기 상부 절곡배관(30)의 수용공간(104)에 장착되는 에어백(120)을 통해 케이블(C)을 고정하여 단락 등의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직 결합판(101)에는 진동 감지센서(110)가 공동주택의 벽면(B)에 밀착될 수 있도록 소정구간 센서 장착공(미도시)가 형성됨은 당연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공동 주택 외벽 케이블 안전장치의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동주택의 벽면(B)을 따라 인입되는 케이블의 위치를 고려하여, 소정의 크기와 폭을 가지며, 공동주택의 벽면(B)에 체결구를 통해 고정되고, 양측에는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끼움 결합홈(22)이 형성되는 수직 고정판(20)을 고정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직각형상으로 절곡형성되고, 수평부(31)가 공동주택의 벽면(B)에 관통되며, 수직부(32)의 하부에는 결합홈(33)이 형성되고, 양측에는 수직 고정판(20)에 체결구를 통해 결합되는 날개부(34)가 형성되는 상부 절곡배관(30)을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 절곡배관(30)의 하부에 상부 절곡배관(30)의 결합홈(33)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돌기(41)가 상부에 형성되며, 내부에는 하부를 향할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경사부(42)가 형성되고, 양측에는 수직 고정판(20)에 체결구를 통해 결합되는 날개부(43)가 형성되는 상부 수직배관(40)을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 배관(40)의 하부로 하부 끝단의 내면 둘레에 지지부(51)가 돌출형성되고 양측에는 수직 고정판(20)에 체결구를 통해 결합되는 날개부(52)가 형성되는 중앙 수직배관(50)을 장착한다.
이때, 상기 상부 수직배관(40)과 중앙 수직배관(50)의 사이로 내부에 고무, 스티로폼, 부직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완충부재(82)가 장착되는 충격 완충구(80)를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중앙 수직배관(50)의 내부에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되고, 내부에는 구 형상의 완충구(62)가 다수개수 장착되는 완충 튜브(60)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 수직배관(50)의 하부로 일부가 지면에 매설될 수 있도록 "L"자 형상으로 절곡되고, 수직부(71)의 내면에는 간격을 두고 안내돌기(72)가 형성되며, 수평부(73)의 내면에 둘레에는 따라 배선 지지돌기(74)가 형성되는 하부 절곡배관(70)을 장착한다.
이때, 상기 중앙 수직배관(50)과 하부 절곡배관(70)의 사이로 내부에 고무, 스티로폼, 부직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완충부재(82)가 장착되는 충격 완충구(80)를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 절곡배관(30), 상부 수직배관(40), 중앙 수직배관(50), 외부로 노출되는 하부 절곡배관(70), 충격 완충구(80)의 외면으로 " ㄷ "자 형상으로 수직 고정판(20)의 끼움 결합홈(22)과 대응하는 부분으로 고정을 위한 끼움 결합돌기(92)가 형성되는 보호커버(90)를 장착하면, 공동 주택 외벽 케이블 안전장치(10)의 조립은 완료된다.
그리고 상기 공동 주택 외벽 케이블 안전장치(10)를 구성하는 상부 절곡배관(30), 상부 수직배관(40), 완충 튜브(60), 하부 절곡배관(70), 충격 완충구(80)의 내부에 케이블(C)을 설치하면 된다.
여기서, 상기 공동 주택 외벽 케이블 안전장치(10)의 조립순서와 케이블(C)d의 설치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진행될 수 있음을 밝힌다.
또한, 상기 상부 절곡배관(30), 상부 수직배관(40), 하부 절곡배관(60), 하부 절곡배관(70), 충격 완충구(80)에 형성되는 날개부는 보호커버(90)를 고려하여 짧게 형성되거나 또는 이중 고정구조 등으로 변경하여 고정될 수 있음을 밝힌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공동 주택 외벽 케이블 안전장치
20 : 수직 고정판 22 : 끼움 결합홈
30 : 상부 절곡배관 31 : 수평부
32 : 수직부 33 : 결합홈
34 : 날개부 40 : 상부 수직배관
41 : 결합돌기 42 : 경사부
43 : 날개부 50 : 중앙 수직배관
51 : 지지부 52 : 날개부
60 : 완충 튜브 62 : 완충공
70 : 하부 절곡배관 71 : 수직부
72 : 안내돌기 73 : 수평부
74 : 배선 지지돌기 80 : 충격 완충구
82 : 완충부재 90 : 보호커버
100 : 상부 보호수단 101 : 수직 결합판
102 : 끼움 결합홈 103 : 상부 경사구
104 : 수용공간 105 : 끼움 결합돌기
106 : 끝단 결합부 110 : 진동 감지센서
120 : 에어백 B : 벽면
C : 케이블

Claims (3)

  1. 공동주택의 벽면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체결구를 통해 고정되며 양측에는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끼움 결합홈(22)이 형성되는 수직 고정판(20);
    직각형상으로 절곡형성되고, 수평부(31)가 공동주택의 벽면(B)에 관통되며, 수직부(32)의 하부에는 결합홈(33)이 형성되며, 양측에는 수직 고정판(20)에 체결구를 통해 결합되는 날개부(34)가 형성되는 상부 절곡배관(30);
    상기 상부 절곡배관(3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부에는 상기 결합홈(33)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돌기(41)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하부를 향할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경사부(42)가 형성되고, 양측에는 수직 고정판(20)에 체결구를 통해 결합되는 날개부(43)가 형성되는 상부 수직배관(40);
    상기 상부 수직배관(40)의 하부에 배치되고, 하부 끝단의 내면 둘레에는 지지부(51)가 돌출형성되며, 양측에는 수직 고정판(20)에 체결구를 통해 결합되는 날개부(52)가 형성되는 중앙 수직배관(50);
    상기 중앙 수직배관(50)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저면이 지지부(51)에 지지되고, 내부에는 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완충공(62)이 수용되는 중공형상의 완충 튜브(60);
    상기 중앙 수직배관(50)의 하부에 배치되면서 일부가 지면에 매설될 수 있도록 'ㄴ'자 형상으로 절곡되고, 수직부(71)의 내면에는 간격을 두고 안내돌기(72)가 형성되며, 수평부(73)의 내면에는 둘레를 따라 배선 지지돌기(74)가 형성되는 하부 절곡배관(70);
    상기 상부 수직배관(40)과 중앙 수직배관(50) 및 상기 중앙 수직배관(50)과 하부 절곡배관(70)의 사이에 배치되고, 내부에는 고무, 스티로폼, 부직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완충부재(82)가 장착되는 중공형상의 충격 완충구(80); 및
    상기 상부 절곡배관(30), 상부 수직배관(40), 중앙 수직배관(50), 충격 완충구(60) 및 외부로 노출되는 하부 절곡배관(70)의 외면을 감싸고, 상기 수직 고정판(20)의 끼움 결합홈(22)과 대응하는 부분으로 끼움 결합을 위한 끼움 결합돌기(92)가 형성되는 보호커버(90);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절곡배관(30)의 상부에 빗물이나 이물질을 외부로 안내하면서도 상부를 보호할 수 있도록 상부 보호수단(100)이 장착되되,
    상기 상부 보호수단(100)은,
    상기 상부 절곡배관(30)의 상부에 배치되고, 공동주택의 벽면(B)에 고정되고 외면에는 끼움 결함홈(102)이 형성되는 수직 결합판(101); 및
    삼각형 형상으로 내부에 수용공간(104)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 결합판(101)의 끼움 결합홈(102)과 대응하는 내면에 끼움 결합돌기(105)가 형성되고, 끝단에는 상기 상부 절곡배관(30)과 고정결합될 수 있도록 끝단 결합부(106)가 돌출형성되는 상부 경사구(10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주택 외벽 케이블 안전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경사구(103)의 수용공간(104)에는 일면이 공동주택의 벽면(B)에 밀착되는 진동 감지센서(110)가 장착되고,
    상기 상부 절곡배관(30)을 구성하는 수평부(31)의 내면에는 상기 진동감지센서(110)를 통한 작동신호전달시 팽창하여 케이블(C)을 고정하는 에어백(120)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주택 외벽 케이블 안전장치.
KR1020190013586A 2019-02-01 2019-02-01 공동 주택 외벽 케이블 안전장치 KR101982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586A KR101982622B1 (ko) 2019-02-01 2019-02-01 공동 주택 외벽 케이블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586A KR101982622B1 (ko) 2019-02-01 2019-02-01 공동 주택 외벽 케이블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2622B1 true KR101982622B1 (ko) 2019-05-27

Family

ID=66679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3586A KR101982622B1 (ko) 2019-02-01 2019-02-01 공동 주택 외벽 케이블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26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9539B1 (ko) * 2021-07-26 2022-01-12 (주)하늘천 공동주택 전기의 변압기에 연결되는 옥외전선 누전 차단 시스템
KR102540761B1 (ko) * 2022-12-27 2023-06-07 주식회사 원기업 지중 배전선로의 접지시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5958A (ko) 1998-02-03 2001-01-15 요트.게.아. 롤페즈 부호화된 비디오 시퀀스의 스위칭 방법 및 장치
KR100709571B1 (ko) 2007-01-15 2007-04-20 동양컨설턴트주식회사 공동 주택 외벽 전기 케이블 안전장치
KR101151291B1 (ko) * 2012-03-14 2012-06-01 김대우 전기케이블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5958A (ko) 1998-02-03 2001-01-15 요트.게.아. 롤페즈 부호화된 비디오 시퀀스의 스위칭 방법 및 장치
KR100709571B1 (ko) 2007-01-15 2007-04-20 동양컨설턴트주식회사 공동 주택 외벽 전기 케이블 안전장치
KR101151291B1 (ko) * 2012-03-14 2012-06-01 김대우 전기케이블 안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9539B1 (ko) * 2021-07-26 2022-01-12 (주)하늘천 공동주택 전기의 변압기에 연결되는 옥외전선 누전 차단 시스템
KR102540761B1 (ko) * 2022-12-27 2023-06-07 주식회사 원기업 지중 배전선로의 접지시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2622B1 (ko) 공동 주택 외벽 케이블 안전장치
KR100709571B1 (ko) 공동 주택 외벽 전기 케이블 안전장치
KR100909263B1 (ko) 지중배전선의 인입출 배전안내형 접속함
KR102109580B1 (ko) 전산볼트용 내진 커플러
KR101835595B1 (ko) 송배전용 지중 인입케이블 입상관 보호구조
KR102606515B1 (ko) 공동주택 전기의 배선 케이블 이상유무 감지 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1007070B1 (ko) 공동주택 전기 배선용 전선이음장치
KR101805831B1 (ko) 공동주택단지 내 지중 전력 케이블 진동방지장치
KR101835591B1 (ko) 송배전용 지중배선설비의 방수구조
KR102613691B1 (ko) 공동주택 전기의 전선 보호 장치 설치방법
KR102512263B1 (ko) 송전철탑의 낙뢰 방지 시스템 및 그 설치방법
KR101998135B1 (ko) 건축물 배관 고정을 위한 고정기구
KR101789200B1 (ko) 내진국사형 원격제어반
KR102153395B1 (ko) 지중 배전선로와 배전반 간 배전선로 연결구조
KR101142002B1 (ko) 공기압 포설용 광케이블의 방수 구조
KR102091183B1 (ko) 지중 배전케이블의 누수방지 커넥터
KR200343986Y1 (ko) 콘센트 커버장치
KR102028898B1 (ko)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
KR102656968B1 (ko) 빅데이터를 이용한 배전선로 사고 예방 시스템
KR102636918B1 (ko)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한 건축물의 전기와 통신과 소방 설비 보호시스템
KR200409223Y1 (ko) 광센서 선형 화재감지기 연결장치
KR102656000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배선 배관 시스템
KR102631216B1 (ko)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건축물의 전기와 통신과 소방통합관리 시스템
CN219198645U (zh) 隧道的接触网和视频组件的集成装置
KR102656949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통합 안전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