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1580B1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1580B1
KR101981580B1 KR1020130006496A KR20130006496A KR101981580B1 KR 101981580 B1 KR101981580 B1 KR 101981580B1 KR 1020130006496 A KR1020130006496 A KR 1020130006496A KR 20130006496 A KR20130006496 A KR 20130006496A KR 101981580 B1 KR101981580 B1 KR 101981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substrate
signal
display region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6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4708A (ko
Inventor
이성우
고상범
조수홍
이준엽
김수호
김문철
배현직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6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1580B1/ko
Publication of KR20140094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4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1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1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32Specific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36Fault-finding or characterising
    • G01R31/2843In-circuit-tes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6Details
    • G02F1/1309Repairing; Tes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8Terminal pa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영역과, 상기 표시영역 주변의 비표시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비표시영역에서 형성된 수신부 전극을 포함하는 제 1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의 표시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기판과 합착하는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표시소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이방성 도전 필름을 통해 상기 수신부 전극과 접촉하며 상기 수신부 전극을 덮는 신호 인가선을 포함하고, 상기 수신부 전극에 오토프로브 검사가 진행된 후 상기 신호 인가선이 상기 수신부 전극 상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 오토프로브 검사 공정에 의한 신호 배선부의 노출과 부식을 방지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디스플레이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이에 따라 기존에 한정된 범위 내에서 사용되던 디스플레이 패널이 여러 곳에서 사용되기 시작하면서 그 수요가 증가하게 되었다. 특히 근래에 들어 스마트폰과 타블렛 PC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소형 디스플레이 패널의 수요도 함께 증가하였다.
이러한 소형 디스플레이 패널은 모니터, TV와 같은 중, 대형 디스플레이 패널과 달리 기기의 형태를 얇고 가볍게 생산하기 위하여 별도의 구동 소자 및 기타 부품과 회로를 디스플레이 패널을 형성하는 기판, 또는 신호를 인가하는 신호 인가선에 직접 실장한다.
도 1은 소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의 경우 일반적으로 무게와 부피를 줄이기 위하여 중, 대형 액정표시장치와 같이 구동 기판을 연결하지 않고, 디스플레이 패널(1)의 한 기판상에 구동 소자(18)를 직접 실장하거나 신호 인가선(13)에 실장한다. 도 1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의 기판상에 구동 소자(18)가 실장된 것을 보여준다. 기판상에 실장된 구동 소자(18)는 신호 배선을 통하여 신호 수신부(17)와 연결된 신호 인가선(13)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받아 변조하고, 이를 표시 영역(10)의 표시 소자에 전송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에 화상을 구현하는 역할을 하는 구동 소자(18)를 디스플레이 패널(1)에 실장하는 공정에는 큰 비용이 들어간다. 특히, 불량 상태의 디스플레이 패널(1)에 구동 소자(18)를 실장한 경우, 구동 소자(18)의 실장 비용 뿐만 아니라 구동 소자(18) 또한 사용하지 못하게 되어 그 손실이 더욱 커지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구동 소자(18)에서 표시 영역(10)로 이어지는 한 부분에 위치한 신호 배선(15)의 면적을 확장함으로써 오토프로브 검사를 실시하기 위한 검사부를 형성한다.
도 2 및 도 3은 오토프로브 검사 장비와 이에 구성된 검침핀에 접촉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각 배선에 형성된 검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오토프로브 검사 장비는 검침핀(21)을 통하여 구동 소자(18)가 보내는 화상 신호 방식과 동일한 신호를 제 n 신호 배선(15)에 인가함으로써 구동 소자(18) 실장 공정 전에 디스플레이 패널(1)의 정상 동작 시험 여부를 검사한다. 이때, 구동 소자는 실장되지 않은 상태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 A의 위치에서, 비표시 영역(11)에 위치한 기판(5)에 형성된 제 1 내지 제 4 신호 배선(15-1, 15-2, 15-3, 15-4)은 보호막(27)에 의해 가려진다. 여기서, 오토프로브 검사가 진행되는 상기 제 2 및 제 4 신호 배선(15-2, 15-4)은 선 A의 위치에서 보호막(27)과 게이트 절연막(14)에 형성되는 콘택홀에 의하여 노출되고, 상기 콘택홀에 의하여 보호막(27)에 증착된 투명 전극(23)이 제 2 및 제 4 신호 배선(15-2, 15-4)과 연결된다.
오토프로브 검사가 진행되지 않는 제 1 및 제 3 신호 배선(15-1, 15-3)은 데이터 배선과 같이 게이트 전극 형성 이후에 적층되는 배선을 나타낸 것으로 게이트 절연막(14) 상에 형성되어있다. 반면, 상기 보호막(27)과 게이트 절연막(14)의 콘택홀에서 투명 전극(23)과 연결된 제 2 및 제 4 신호 배선(15-2, 15-4)은 게이트 배선을 나타낸다.
이후에, 제 2 및 제 4 신호 배선(15-2, 15-4)과 연결된 투명 전극(23)에 오토프로브 검사 장비의 검침핀(21)을 접촉시켜 오토프로브 검사를 진행한다. 이와 같이 오토프로브 검사를 진행할 시, 오토프로브 검사 장비의 검침핀(21)은 장비의 구동 방법에 따라 각 신호 배선과 연결된 투명 전극(23)의 위치에 맞도록 배열하여 이에 접촉하게 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침핀(21)이 접촉하는 과정에서 투명 전극(23)이 손상될 수 있다. 이러한 손상을 나타낸 제 4 신호 배선(15-4)은 투명 전극(23)에 발생한 손상부(26)에 의하여 대기에 노출되고, 대기에 포함된 산화 물질에 의하여 부식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손상부(26)에 의해 지속적으로 부식되는 제 4 신호 배선(15-4)이 단선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대기에 노출된 신호 배선이 장시간 부식되어 단선되는 경우, 단선된 상태의 신호 배선은 표시 영역(10)으로 신호를 보내지 못하기 때문에 표시 영역에서 정상적인 화면의 표시가 불가능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신뢰도가 낮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인 정상적인 디스플레이 패널이 오토프로브 검사 중 검침핀에 의해 투명 전극에 발생한 손상부에 의해 신호 배선이 노출되고, 노출된 면을 통해 신호 배선이 대기 중의 산화 물질과 반응하여 발생하는 단선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표시영역과, 상기 표시영역 주변의 비표시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비표시영역에서 형성된 수신부 전극을 포함하는 제 1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의 표시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기판과 합착하는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표시소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이방성 도전 필름을 통해 상기 수신부 전극과 접촉하며 상기 수신부 전극을 덮는 신호 인가선을 포함하고, 상기 수신부 전극에 오토프로브 검사가 진행된 후 상기 신호 인가선이 상기 수신부 전극 상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수신부 전극은 상기 표시 영역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수신부 전극 상에는 상기 수신부 전극을 노출하는 콘택홀을 갖는 절연막이 형성되며, 상기 절연막에 형성된 상기 콘택홀을 통해 상기 수신부 전극과 접촉하는 투명 전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투명 전극은 인듐-틴-옥사이드(ITO)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표시영역과, 상기 표시영역 주변의 비표시영역을 포함하여 상기 비표시영역에서 형성된 수신부 전극을 포함하는 제 1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의 표시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기판과 합착하는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표시소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형성하는 단계와; 검침핀을 상기 수신부 전극에 접촉시켜 오토프로브 검사를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오토프로브 검사 단계 이후에, 상기 수신부 전극과 접촉하며 상기 수신부 전극을 덮는 신호 인가선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신호 인가선은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은 신호 인가선과 연결되는 신호 수신부가 오토프로브 검사 기능을 갖추도록 함으로써, 오토프로브 검사 공정에 의한 신호 배선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소형 가전기기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오토프로브 검사 장비와 이에 구성된 검침핀에 접촉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각 배선에 형성된 검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d와 도 6a 내지 도 6d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오토프로브 검사 장비의 검침핀이 접촉하는 신호 수신부의 제 1 수신부 전극을 검침핀 접촉 과정과 신호 인가선 연결 과정에 따라 나타낸 단면도와 평면도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신호 인가선(미도시)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표시 영역(105)과 그 주변의 비표시 영역(106)이 정의된 제 1, 2 기판(101, 102)과, 상기 제 1, 2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표시소자(미도시)와, 상기 제 1 기판(101)의 비표시 영역(106)에 위치하는 신호 배선(170)과 구동소자(189), 그리고 신호 인가선(미도시)과 연결되는 신호 수신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가 액정을 사용할 경우, 제 1 기판(101)의 표시 영역(105)에는 박막 트랜지스터가 구성되어 화소 전극, 게이트 전극과 데이터 라인 등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표시 영역(105)을 정의하는 제 2 기판(102)에는 컬러필터 층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제 1, 2 기판 중 어느 한 기판에는 공통 전극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기판(101)과 제 2 기판(102) 사이에는 상기 화소 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에 발생하는 전계로 인하여 두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액정층(미도시)이 구동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을 구현하게 된다.
신호 수신부(160)에는 각각의 신호 배선(170)이 연장되어 수신부 전극(171)이 형성된다. 이때, 각각의 수신부 전극(171)은 각각의 검침핀(195)에 대응한다. 이를 위해서 각각의 수신부 전극(171)은 검침핀(195)과의 접촉면 이상의 면적을 갖고, 상기 검침핀(195)이 수신부 전극(171)의 중앙에 닿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서는 오토프로브 검사부와 신호 수신부가 동일한 구성인 것으로써, 신호 수신부를 통해 오토프로브 검사를 진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a 내지 도 5d와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오토프로브 검사 장비의 검침핀이 접촉하는 신호 수신부의 제 1 수신부 전극을 검침핀 접촉 과정과 신호 인가선 연결 과정에 따라 나타낸 단면도와 평면도이다.
도 5a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구성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형성될 때,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형성 공정에서 수신부 전극(171)이 형성된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수신부 전극(171)은 보호막 및 게이트 절연막(185, 114)에 의해 가려지게 되나 콘택홀을 통하여 상기 보호막(185) 상에 증착된 투명 전극(190)과 연결된다. 여기서, 투명 전극(190)은 인듐-틴-옥사이드(ITO)와 같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이후에, 도 5b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택홀을 통하여 수신부 전극(171)과 연결된 투명 전극(190)에 오토프로브 검사 장비의 검침핀(195)을 접촉시켜 오토프로브 검사를 진행한다. 이와 같이 오토프로브 검사를 진행할 시, 오토프로브 검사 장비의 검침핀(195)은 장비의 구동 방법에 따라 신호 수신부(도 4의 160)를 구성하는 각각의 전극의 위치에 맞도록 배열하여 이에 접촉하게 된다.
도 5c 및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침핀(195)이 접촉하는 과정 및 접촉 후에 수신부 전극(171)에 형성된 투명 전극(190)이 손상될 수 있으며, 손상된 투명 전극(190)을 통해 수신부 전극(171)이 노출된다. 이와 같이 노출된 수신부 전극(171)이 대기에 노출되면 전극 부식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도 5d 및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수신부 전극(171)은 신호 인가선(180)과 이방성 도전 필름(20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합착된다. 이때,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200)은 가열, 또는 가압시 접착제 내부의 전도성 물질이 활성화하게 되고, 이에 의해 신호 인가선(180)과 수신부 전극(171)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신호 인가선(180)은 연성 인쇄 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따라서, 신호 수신부(160)를 형성하는 각각의 수신부 전극(171)은 검침핀(195)에 의한 투명 전극(190) 손상이 발생하더라도 이방성 도전 필름(200) 및 신호 인가선(180)에 의해 덮여진 상태가 되어 산화 물질을 차단함으로써 전극의 부식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즉, 수신부 전극(171)은 신호 인가선(180)과 부착됨으로써 오토프로브 검사 공정에서 손상된 투명 전극(190)에 의해 노출되어도 부식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구조는 오토프로브 검사 공정 중 발생하는 불량에 의해 신호 배선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신부 전극(171)은 표시 영역의 게이트 배선과 연결된 신호 배선을 예로 든 것으로, 상기 수신부 전극(171)이 데이터 배선에서 연장된 것이 아닐 경우 보호막(185)과 게이트 전극(114)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신호 수신부의 수신부 전극을 8개로 나타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밝히기 위한 것으로 신호 수신부의 수 및 이를 구성하는 수신부 전극의 수를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100 : 디스플레이 패널 101 : 제 1 기판
102 : 제 2 기판 105 : 표시 영역
160 : 신호 수신부 170 : 신호 배선
171 : 수신부 전극 180 : 신호 인가선
185 : 보호막 189 : 구동 소자
190 : 투명 전극 195 : 검침핀
200 : 접착제

Claims (6)

  1. 제1기판 및 제2기판으로 구성되고 표시영역 및 비표시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제1기판의 비표시영역에 배치되어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변조한 후 표시 영역에 공급하는 구동소자;
    상기 제1기판의 비표시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소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구동소자에 전송하며, 오토프로브 검사시 검사신호가 입력되는 전극; 및
    상기 전극상에 배치되어 이방성 도전 필름을 통해 상기 전극과 접촉하여 상기 전극에 영상 데이터를 인가하는 신호 인가선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전극을 노출하는 콘택홀; 및
    상기 콘택홀에 의해 노출되는 전극 위에 형성된 투명 전극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전극은 인듐-틴-옥사이드(ITO)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장치.
  4. 표시영역 및 비표시영역을 포함하는 제1기판 및 제2기판, 상기 제1기판의 비표시영역에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영상 데이터가 입력되는 전극, 상기 비표시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전극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변조하여 상기 표시영역에 공급하는 구동소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형성하는 단계;
    검침핀을 상기 전극에 접촉시켜 오토프로브 검사를 진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전극 위에 상기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신호 인가선을 이방성 도전필름에 의해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인가선은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위에 상기 전극을 노출시키는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노출된 전극 위에 투명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KR1020130006496A 2013-01-21 2013-01-21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981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6496A KR101981580B1 (ko) 2013-01-21 2013-01-21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6496A KR101981580B1 (ko) 2013-01-21 2013-01-21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4708A KR20140094708A (ko) 2014-07-31
KR101981580B1 true KR101981580B1 (ko) 2019-05-24

Family

ID=51740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6496A KR101981580B1 (ko) 2013-01-21 2013-01-21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15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92111B (zh) * 2016-10-20 2019-08-20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及液晶显示面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2354A (ja) * 2003-08-08 2005-03-10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パネル、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5179A (ko) * 2004-10-21 2006-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2354A (ja) * 2003-08-08 2005-03-10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パネル、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4708A (ko) 2014-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6493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770439B1 (ko) 플렉시블 회로기판 및 이것을 사용한 표시장치
CN101999095B (zh) 有源矩阵基板、显示装置、有源矩阵基板的检查方法和显示装置的检查方法
US9076362B2 (en) Display substr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motherboard for the same
CN107195249A (zh) 显示装置
WO2013145692A1 (ja) 表示装置、電子機器及びタッチパネル
US925706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first and second grounding route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KR20080003226A (ko) 액정표시소자
EP3220192B1 (en) Display device
TWI405989B (zh) 液晶顯示裝置之自動驗證設備及方法
KR20140014615A (ko) 플라스틱패널 및 이를 이용한 평판표시장치
KR20050044183A (ko) 액정표시소자 및 구동회로와의 본딩상태 검사방법
KR100991367B1 (ko) 표시장치용 검사 모듈
KR102241720B1 (ko) 표시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198158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026928B1 (ko) 액정표시장치의 어레이 테스트 패드 설계 및 제조방법
KR101621560B1 (ko) 액정표시장치 테스트 패턴
KR20140061815A (ko) 액정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
US8373838B2 (en) Display apparatus
KR101682363B1 (ko) 평판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10071271A (ko) 구동아이씨칩 테스트장비
KR20060035179A (ko)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102196180B1 (ko) 표시장치
KR20100019273A (ko) 표시패널과 연결기판 간의 접속 상태를 테스트하는 방법 및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101174774B1 (ko) 평판 표시장치의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