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0905B1 - 렌즈 이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경을 구비한 방독면 - Google Patents

렌즈 이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경을 구비한 방독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0905B1
KR101980905B1 KR1020170165466A KR20170165466A KR101980905B1 KR 101980905 B1 KR101980905 B1 KR 101980905B1 KR 1020170165466 A KR1020170165466 A KR 1020170165466A KR 20170165466 A KR20170165466 A KR 20170165466A KR 101980905 B1 KR101980905 B1 KR 101980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gear
rotation shaft
rotatio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5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다민
박성현
김건우
Original Assignee
송다민
박성현
김건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다민, 박성현, 김건우 filed Critical 송다민
Priority to KR1020170165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09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0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0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2Assembling eyepieces, lenses or vision-correction means in or on gas-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4Gas helm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5/00Gas separation
    • Y10S55/33Gas mask canis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렌즈 이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경을 구비한 방독면이 개시된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을 구비한 방독면은, 안면부, 안면부에 마련되고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정화시키는 정화부, 안면부에서 착용자의 호흡기와 대응하여 마련되는 배출부, 안면부에 마련되고 투명 재질로 마련되는 투시부, 투시부에 장착되고 제1 렌즈 및 제2 렌즈가 겹쳐지도록 마련되는 안경부, 및 안면부에 마련되고 제1 렌즈 및 제2 렌즈 중 하나 이상을 이동시키도록 마련되는 렌즈 이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렌즈 이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경을 구비한 방독면{APPARATUS FOR MOVING LENS AND GAS MASK WITH GLASSES OF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방독면과 관련된다.
일반적으로, 군대에서는 장병들에게 방독면 착용 시 사용할 수 있는 안경을 지급하고 있다. 그러나, 방독면을 착용하고 훈련을 하는 경우, 훈련 중 땀으로 인해 안경이 흘러내리거나 화생방 훈련 시에는 방독면용 안경을 따로 관리해줘야 하는 등의 불편이 있게 된다. 또한, 소방대원의 경우, 화재 현장에서 방독면을 착용할 때 안경을 착용하지 못해 안전 사고 위험이 있으며, 진화 작업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3300호(2002.02.04)
본 발명의 실시예는 렌즈를 이동시킬 수 있는 렌즈 이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경을 구비한 방독면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을 구비한 방독면은, 안면부; 상기 안면부에 마련되고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정화시키는 정화부; 상기 안면부에서 착용자의 호흡기와 대응하여 마련되는 배출부; 상기 안면부에 마련되고 투명 재질로 마련되는 투시부; 상기 투시부에 장착되고 제1 렌즈 및 제2 렌즈가 겹쳐지도록 마련되는 안경부; 및 상기 안면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 중 하나 이상을 이동시키도록 마련되는 렌즈 이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안경부는,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의 겹쳐지는 구간에 따라 도수가 조절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렌즈 이동부는,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 중 하나 이상을 수평 이동시켜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의 겹쳐지는 구간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렌즈 이동부는,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렌즈 이동부는,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 중 하나 이상을 수평 이동시켜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의 겹쳐지는 구간이 조절되도록 하고,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렌즈 이동부는, 상기 안면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장착되는 제1 회전축; 상기 제1 회전축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다이얼; 상기 제1 회전축의 타단에서 상기 제1 회전축과 결합되는 제1 좌우 이동용 기어; 상기 제1 회전축의 하부에서 상기 제1 회전축과 평행하게 마련되는 제2 회전축; 및 상기 제2 회전축의 타단에서 상기 제2 회전축과 결합되고, 상기 제1 좌우 이동용 기어와 맞물리도록 마련되는 제2 좌우 이동용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제2 회전축의 회전 시 상기 제2 회전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안경을 구비한 방독면은, 상기 제2 회전축의 외면에 상기 제2 회전축의 타단에서 상기 제2 회전축의 중심부까지 제1 회전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나사산; 및 상기 제2 회전축의 외면에 상기 제2 회전축의 중심부에서 상기 제2 회전축의 일단까지 상기 제1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회전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나사산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제2 회전축과 나사 결합되어 상기 제2 회전축의 회전 시 상기 제2 회전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안경을 구비한 방독면은, 상기 제1 렌즈에서 상기 제1 나사산과 나사 결합되는 제1 나사 결합부; 및 상기 제2 렌즈에서 상기 제2 나사산과 나사 결합되는 제2 나사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경을 구비한 방독면은, 상기 제1 회전축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1 상하 이동용 기어; 상기 제1 회전축의 하부에서 상기 제1 회전축과 수직하게 마련되며,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는 수직축; 상기 제2 회전축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수직축의 나사산과 나사 결합되는 수직축 고정부; 상기 수직축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상하 이동용 기어와 맞물리도록 마련되는 제2 상하 이동용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는 상기 수직축의 회전 시 상기 수직축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렌즈 이동부는, 상기 다이얼을 제1 방향으로 미는 경우, 상기 제1 상하 이동용 기어 및 상기 제2 상하 이동용 기어의 맞물림은 해제되고, 상기 제1 좌우 이동용 기어 및 상기 제2 좌우 이동용 기어가 맞물리도록 마련되며, 상기 다이얼을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당기는 경우, 상기 제1 좌우 이동용 기어 및 상기 제2 좌우 이동용 기어의 맞물림은 해제되고, 상기 제1 상하 이동용 기어 및 상기 제2 상하 이동용 기어가 맞물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제1 렌즈 및 제2 렌즈가 겹쳐지도록 마련되는 안경에 장착되는 렌즈 이동 장치로서, 상기 안경에 수평 방향으로 장착되는 제1 회전축; 상기 제1 회전축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다이얼; 상기 제1 회전축의 타단에서 상기 제1 회전축과 결합되는 제1 좌우 이동용 기어; 상기 제1 회전축의 하부에서 상기 제1 회전축과 평행하게 마련되는 제2 회전축; 및 상기 제2 회전축의 타단에서 상기 제2 회전축과 결합되고, 상기 제1 좌우 이동용 기어와 맞물리도록 마련되는 제2 좌우 이동용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제2 회전축의 회전 시 상기 제2 회전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개시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렌즈 및 제2 렌즈를 좌우로 이동시킴에 따라, 제1 렌즈 및 제2 렌즈의 겹치는 구간을 조절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안경부의 도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하나의 안경을 구비한 방독면을 서로 다른 눈 도수를 가진 사람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렌즈 및 제2 렌즈를 상하로 이동시킴에 따라, 착용자의 안면 크기 및 눈 높이에 따라 안경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을 구비한 방독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렌즈 및 제2 렌즈가 겹치도록 구성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을 구비한 방독면에서 렌즈 이동부가 제2 렌즈를 좌우 이동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을 구비한 방독면에서 렌즈 이동부가 제1 렌즈 및 제2 렌즈를 상하 이동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한편, 상측, 하측, 일측, 타측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으므로,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을 구비한 방독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안경을 구비한 방독면(100)은 안면부(102), 두건부(104), 정화부(106), 배출부(108), 투시부(110), 안경부(112), 및 렌즈 이동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안면부(102)는 착용자의 안면을 보호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안면부(102)는 착용자의 안면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안면부(102)는 착용자의 안면을 밀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두건부(104)는 착용자의 머리 부분을 보호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두건부(104)는 안면부(102)와 연결되며, 착용자의 머리 부분을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안경을 구비한 방독면(100)은 두건부(104) 없이 마련될 수도 있다.
정화부(106)는 안면부(102)에 마련될 수 있다. 정화부(106)는 외부 공기를 정화시키는 정화통을 포함할 수 있다. 정화부(106)는 안면부(102)의 양측에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배출부(108)는 안면부(102)에 마련될 수 있다. 배출부(108)는 안면부(102)에서 착용자의 호흡기(예를 들어, 입, 코 등) 부분에 대응하여 마련될 수 있다.
투시부(110)는 안면부(102)에 마련될 수 있다. 투시부(110)는 안면부(102)에서 착용자의 눈 부분과 대응하여 마련될 수 있다. 투시부(110)는 착용자의 왼쪽 눈 및 오른쪽 눈과 각각 대응하도록 분리되어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왼쪽 눈 및 오른쪽 눈에 대응하는 부분이 연결되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투시부(110)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안경부(112)는 안면부(102) 내에서 투시부(110)와 대응하여 마련될 수 있다. 안경부(112)는 착용자의 왼쪽 눈 및 오른쪽 눈과 각각 대응하여 마련될 수 있다. 안경부(112)는 제1 렌즈 및 제2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렌즈 및 제2 렌즈는 상호 겹쳐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렌즈는 안면부(102) 내에서 고정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 렌즈는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렌즈가 좌우로 이동함에 따라 안경부(112)의 도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렌즈 및 제2 렌즈 모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렌즈 및 제2 렌즈는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렌즈 이동부(114)는 안면부(102)에 장착될 수 있다. 렌즈 이동부(114)는 안경부(112)의 제1 렌즈 및 제2 렌즈를 이동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렌즈 이동부(114)는 제1 렌즈 및 제2 렌즈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렌즈 이동부(114)는 제2 렌즈를 좌우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렌즈 및 제2 렌즈가 겹치도록 구성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안경부(112)는 제1 렌즈(121) 및 제2 렌즈(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렌즈(121) 및 제2 렌즈(123)는 평평한 면이 서로 마주 하도록 겹쳐져서 마련될 수 있다.
제1 렌즈(121)는 제1 볼록부(121a) 및 제1 오목부(12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볼록부(121a)는 제1 렌즈(121)의 일면(평평한 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기준 두께 이상의 두께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볼록부(121a)는 기 설정된 기준 두께 이상이면서 제1 렌즈(121)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가면서 두께가 점점 두꺼워지다가 점점 얇아지는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오목부(121b)는 제1 렌즈(121)의 일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기준 두께 미만의 두께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오목부(121b)는 기 설정된 기준 두께 미만이면서 제1 렌즈(121)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가면서 두께가 점점 얇아지다가 점점 두꺼워지는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렌즈(123)는 제2 볼록부(123a) 및 제2 오목부(12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볼록부(123a)는 제2 렌즈(123)의 일면(평평한 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기준 두께 이상의 두께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볼록부(123a)는 기 설정된 기준 두께 이상이면서 제2 렌즈(123)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가면서 두께가 점점 두꺼워지다가 점점 얇아지는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오목부(123b)는 제2 렌즈(123)의 일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기준 두께 미만의 두께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오목부(123b)는 기 설정된 기준 두께 미만이면서 제2 렌즈(123)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가면서 두께가 점점 얇아지다가 점점 두꺼워지는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렌즈(121)의 제1 볼록부(121a)는 제2 렌즈(123)의 제2 오목부(123b)와 대응하여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 렌즈(121)의 제1 오목부(121b)는 제2 렌즈(123)의 제2 볼록부(123a)와 대응하여 마련될 수 있다.
제1 렌즈(121) 및 제2 렌즈(123) 중 하나 이상을 좌우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 렌즈(121)와 제2 렌즈(123)의 겹쳐지는 구간을 변경하면, 도 2의 (a), (b),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안경부(112)의 도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2의 (a)와 같이 제1 렌즈(121)와 제2 렌즈(123)가 겹쳐지도록 하면 안경부(112)를 원시(Long-sightedness)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2의 (b)와 같이 제1 렌즈(121)와 제2 렌즈(123)가 겹쳐지도록 하면 안경부(112)를 정상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2의 (c)와 같이 제1 렌즈(121)와 제2 렌즈(123)가 겹쳐지도록 하면 안경부(112)를 근시(Short- sightedness)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제1 렌즈(121) 및 제2 렌즈(123) 중 하나 이상을 좌우로 이동시켜 착용자의 눈(50)의 홍채(51)와 대응되는 부분의 렌즈 전체 두께를 조절함에 따라, 안경부(112)의 도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을 구비한 방독면에서 렌즈 이동부가 제2 렌즈를 좌우 이동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을 구비한 방독면에서 렌즈 이동부가 제1 렌즈 및 제2 렌즈를 상하 이동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렌즈 이동부(114)는 제1 회전축(131), 제2 회전축(133), 제1 좌우 이동용 기어(135), 제2 좌우 이동용 기어(137), 제1 상하 이동용 기어(139), 수직축(141), 제2 상하 이동용 기어(143), 및 다이얼(14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축(131)은 안면부(102)에서 투시부(110)의 상단에 수평 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다. 제1 회전축(131)의 일단은 다이얼(145)과 결합될 수 있다. 제1 회전축(131)은 다이얼(145)을 회전시킴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1 회전축(131)은 수평 방향으로(즉,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회전축(131)은 착용자가 다이얼(143)을 안쪽으로 미는 경우, 다이얼(145)을 미는 방향(즉, 좌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1 회전축(131)은 착용자가 다이얼(145)을 바깥 쪽으로 잡아 당기는 경우, 다이얼(145)을 잡아 당기는 방향(즉, 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회전축(133)은 제1 회전축(131)의 하부에서 제1 회전축(131)과 평행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회전축(133)의 외주면에는 제1 나사산(133a) 및 제2 나사산(133b)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나사산(133a)은 제2 회전축(133)의 타단에서 제2 회전축(133)의 중심부까지 형성될 수 있다. 제1 나사산(133a)은 제1 회전 방향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나사산(133b)은 제2 회전축(133)의 중심부에서 제2 회전축(133)의 일단까지 형성될 수 있다. 제2 나사산(133b)은 제1 회전 방향과 반대인 제2 회전 방향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회전축(133)에서 제1 나사산(133a)이 형성된 부분에는 제1 렌즈(121)가 결합될 수 있다. 제1 렌즈(121)의 상단에는 제1 나사 결합부(15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나사 결합부(151)는 제1 나사산(133a)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제2 회전축(133)에서 제2 나사산(133b)이 형성된 부분에는 제2 렌즈(123)가 결합될 수 있다. 제2 렌즈(123)의 상단에는 제2 나사 결합부(153)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나사 결합부(153)는 제2 나사산(133b)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제1 렌즈(121) 및 제2 렌즈(123)는 적어도 일부가 겹쳐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서는 제2 렌즈(123)가 전방에 배치되고, 제1 렌즈(121)가 제2 렌즈(121)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여기서, 제1 나사산(133a)과 제2 나사산(133b)이 서로 다른 회전 방향을 가지고 마련되기 때문에, 제2 회전축(133)이 회전하는 경우, 제1 렌즈(121)와 제2 렌즈(123)는 제2 회전축(133)을 따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제2 회전축(133)의 일단에는 수직축 고정부(155)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좌우 이동용 기어(135)는 제1 회전축(131)의 타단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좌우 이동용 기어(135)는 제1 회전축(13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제2 좌우 이동용 기어(137)는 제2 회전축(133)의 타단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좌우 이동용 기어(137)는 제1 좌우 이동용 기어(135)와 맞물릴 수 있다. 이 경우, 제2 좌우 이동용 기어(137)는 제1 좌우 이동용 기어(135)의 회전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착용자가 다이얼(145)을 안쪽으로 미는 경우, 제1 좌우 이동용 기어(135)와 제2 좌우 이동용 기어(137)가 상호 맞물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상하 이동용 기어(139)는 제1 회전축(131)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상하 이동용 기어(139)는 제1 회전축(13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제1 상하 이동용 기어(139)는 제1 회전축(131)의 일단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수직축(141)은 제1 회전축(131)의 하부에서 제1 회전축(131)과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수직축(141)의 외주면에는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산(141a)이 형성될 수 있다. 수직축(141)은 제1 회전축(131)의 하부에서 제1 상하 이동용 기어(139)보다 제1 회전축(131)의 일단에 가깝도록 마련될 수 있다. 수직축(141)은 수직축 고정부(155)를 관통하며 마련될 수 있다. 수직축 고정부(155)는 수직축(141)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즉, 수직축 고정부(155)의 내면에는 나사산(141a)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수직축(141)의 하단에는 수직축(141)이 수직축 고정부(155)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판(157)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상하 이동용 기어(143)는 수직축(141)의 상단에서 수직축(141)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상하 이동용 기어(143)는 제1 상하 이동용 기어(139)와 맞물릴 수 있다. 이 경우, 제2 상하 이동용 기어(143)는 제1 상하 이동용 기어(139)의 회전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착용자가 다이얼(145)을 바깥 쪽으로 당기는 경우, 제1 상하 이동용 기어(139)와 제2 상하 이동용 기어(143)가 상호 맞물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상하 이동용 기어(139) 및 제2 상하 이동용 기어(143)는 회전축이 서로 수직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상하 이동용 기어(139) 및 제2 상하 이동용 기어(143)는 베벨 기어(Bebel Gear)가 사용될 수 있다.
다이얼(145)은 안면부(102)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다이얼(145)은 착용자가 회전 조작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착용자가 다이얼(145)을 안쪽으로 미는 경우, 제1 좌우 이동용 기어(135)와 제2 좌우 이동용 기어(137)가 상호 맞물리게 된다. 이때, 제1 상하 이동용 기어(139) 및 제2 상하 이동용 기어(143)의 맞물림은 해제되게 된다. 여기서, 착용자가 다이얼(145)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회전축(131) 및 제1 좌우 이동용 기어(135)가 회전하게 되고, 제1 좌우 이동용 기어(135)와 맞물린 제2 좌우 이동용 기어(137)가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제2 좌우 이동용 기어(137)의 회전에 따라 제2 회전축(133)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2 회전축(133)에 나사 결합된 제1 렌즈(121) 및 제2 렌즈(123)가 제2 회전축(133)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렌즈(121) 및 제2 렌즈(123)를 좌우로 이동시킴에 따라, 제1 렌즈(121) 및 제2 렌즈(123)의 겹치는 구간을 조절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안경부(112)의 도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하나의 안경을 구비한 방독면(100)을 서로 다른 눈 도수를 가진 사람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착용자가 다이얼(145)을 바깥 쪽으로 당기는 경우, 제1 좌우 이동용 기어(135)와 제2 좌우 이동용 기어(137)의 맞물림이 해제되고, 제1 상하 이동용 기어(139) 및 제2 상하 이동용 기어(143)가 상호 맞물리게 된다. 여기서, 착용자가 다이얼(145)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회전축(131) 및 제1 상하 이동용 기어(139)가 회전하게 되고, 제1 상하 이동용 기어(139)와 맞물린 제2 상하 이동용 기어(143)가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제2 상하 이동용 기어(143)의 회전에 따라 수직축(141)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수직축 고정부(155)가 수직축(141)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되며, 그로 인해 제2 회전축(133)에 결합된 제1 렌즈(121) 및 제2 렌즈(123)가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렌즈(121) 및 제2 렌즈(123)를 상하로 이동시킴에 따라, 착용자의 안면 크기 및 눈 높이에 따라 안경부(112)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안경을 구비한 방독면
102 : 안면부
104 : 두건부
106 : 정화부
108 : 배출부
110 : 투시부
112 : 안경부
114 : 렌즈 이동부
121 : 제1 렌즈
121a : 제1 볼록부
121b : 제1 오목부
123 : 제2 렌즈
123a : 제2 볼록부
123b : 제2 오목부
131 : 제1 회전축
133 : 제2 회전축
133a : 제1 나사산
133b : 제2 나사산
135 : 제1 좌우 이동용 기어
137 : 제2 좌우 이동용 기어
139 : 제1 상하 이동용 기어
141 : 수직축
141a : 나사산
143 : 제2 상하 이동용 기어
145 : 다이얼
151 : 제1 나사 결합부
153 : 제2 나사 결합부
155 : 수직축 고정부
157 : 이탈 방지판

Claims (10)

  1. 안경을 구비한 방독면으로서,
    안면부;
    상기 안면부에 마련되고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정화시키는 정화부;
    상기 안면부에서 착용자의 호흡기와 대응하여 마련되는 배출부;
    상기 안면부에 마련되고 투명 재질로 마련되는 투시부;
    상기 투시부에 장착되고 제1 렌즈 및 제2 렌즈가 겹쳐지도록 마련되는 안경부; 및
    상기 안면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 중 하나 이상을 이동시키도록 마련되는 렌즈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이동부는,
    상기 안면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장착되는 제1 회전축;
    상기 제1 회전축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다이얼;
    상기 제1 회전축의 타단에서 상기 제1 회전축과 결합되는 제1 좌우 이동용 기어;
    상기 제1 회전축의 하부에서 상기 제1 회전축과 평행하게 마련되는 제2 회전축; 및
    상기 제2 회전축의 타단에서 상기 제2 회전축과 결합되고, 상기 제1 좌우 이동용 기어와 맞물리도록 마련되는 제2 좌우 이동용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제2 회전축의 회전 시 상기 제2 회전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안경을 구비한 방독면은,
    상기 제1 회전축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1 상하 이동용 기어;
    상기 제1 회전축의 하부에서 상기 제1 회전축과 수직하게 마련되며,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는 수직축;
    상기 제2 회전축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수직축의 나사산과 나사 결합되는 수직축 고정부;
    상기 수직축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상하 이동용 기어와 맞물리도록 마련되는 제2 상하 이동용 기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는 상기 수직축의 회전 시 상기 수직축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렌즈 이동부는,
    상기 다이얼을 제1 방향으로 미는 경우, 상기 제1 상하 이동용 기어 및 상기 제2 상하 이동용 기어의 맞물림은 해제되고, 상기 제1 좌우 이동용 기어 및 상기 제2 좌우 이동용 기어가 맞물리도록 마련되며,
    상기 다이얼을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당기는 경우, 상기 제1 좌우 이동용 기어 및 상기 제2 좌우 이동용 기어의 맞물림은 해제되고, 상기 제1 상하 이동용 기어 및 상기 제2 상하 이동용 기어가 맞물리도록 마련되는, 안경을 구비한 방독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경부는,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의 겹쳐지는 구간에 따라 도수가 조절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렌즈 이동부는,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 중 하나 이상을 수평 이동시켜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의 겹쳐지는 구간이 조절되도록 하는, 안경을 구비한 방독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렌즈 이동부는,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되는, 안경을 구비한 방독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렌즈 이동부는,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 중 하나 이상을 수평 이동시켜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의 겹쳐지는 구간이 조절되도록 하고,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되는, 안경을 구비한 방독면.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경을 구비한 방독면은,
    상기 제2 회전축의 외면에 상기 제2 회전축의 타단에서 상기 제2 회전축의 중심부까지 제1 회전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나사산; 및
    상기 제2 회전축의 외면에 상기 제2 회전축의 중심부에서 상기 제2 회전축의 일단까지 상기 제1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회전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나사산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제2 회전축과 나사 결합되어 상기 제2 회전축의 회전 시 상기 제2 회전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안경을 구비한 방독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안경을 구비한 방독면은,
    상기 제1 렌즈에서 상기 제1 나사산과 나사 결합되는 제1 나사 결합부; 및
    상기 제2 렌즈에서 상기 제2 나사산과 나사 결합되는 제2 나사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안경을 구비한 방독면.
  8. 삭제
  9. 삭제
  10. 제1 렌즈 및 제2 렌즈가 겹쳐지도록 마련되는 안경에 장착되는 렌즈 이동 장치로서,
    상기 안경에 수평 방향으로 장착되는 제1 회전축;
    상기 제1 회전축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다이얼;
    상기 제1 회전축의 타단에서 상기 제1 회전축과 결합되는 제1 좌우 이동용 기어;
    상기 제1 회전축의 하부에서 상기 제1 회전축과 평행하게 마련되는 제2 회전축;
    상기 제2 회전축의 타단에서 상기 제2 회전축과 결합되고, 상기 제1 좌우 이동용 기어와 맞물리도록 마련되는 제2 좌우 이동용 기어;
    상기 제1 회전축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1 상하 이동용 기어;
    상기 제1 회전축의 하부에서 상기 제1 회전축과 수직하게 마련되며,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는 수직축;
    상기 제2 회전축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수직축의 나사산과 나사 결합되는 수직축 고정부; 및
    상기 수직축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상하 이동용 기어와 맞물리도록 마련되는 제2 상하 이동용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제2 회전축의 회전 시 상기 제2 회전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는 상기 수직축의 회전 시 상기 수직축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다이얼을 제1 방향으로 미는 경우, 상기 제1 상하 이동용 기어 및 상기 제2 상하 이동용 기어의 맞물림은 해제되고, 상기 제1 좌우 이동용 기어 및 상기 제2 좌우 이동용 기어가 맞물리도록 마련되며,
    상기 다이얼을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당기는 경우, 상기 제1 좌우 이동용 기어 및 상기 제2 좌우 이동용 기어의 맞물림은 해제되고, 상기 제1 상하 이동용 기어 및 상기 제2 상하 이동용 기어가 맞물리도록 마련되는, 렌즈 이동 장치.
KR1020170165466A 2017-12-04 2017-12-04 렌즈 이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경을 구비한 방독면 KR101980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466A KR101980905B1 (ko) 2017-12-04 2017-12-04 렌즈 이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경을 구비한 방독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466A KR101980905B1 (ko) 2017-12-04 2017-12-04 렌즈 이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경을 구비한 방독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0905B1 true KR101980905B1 (ko) 2019-05-22

Family

ID=66679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5466A KR101980905B1 (ko) 2017-12-04 2017-12-04 렌즈 이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경을 구비한 방독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090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300Y1 (ko) 2001-10-24 2002-02-04 신석균 초미니 비상용 간이 안경타입 방독면
KR200369371Y1 (ko) * 2004-09-22 2004-12-04 김영남 방독면용 탈착식 안경조립체
US20070091257A1 (en) * 2005-03-21 2007-04-26 Gofxta, Inc. Adjustable focus eyeglasses
US20130081615A1 (en) * 2011-07-15 2013-04-0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Replacement lens cartridge
KR20140050846A (ko) * 2012-10-22 2014-04-30 주식회사 케이엠디피 렌즈의 초점 가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안경
WO2014124707A1 (en) * 2013-02-15 2014-08-21 Adlens Limited Variable-power lens
JP2015052772A (ja) * 2013-08-06 2015-03-19 孝郎 林 視力矯正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300Y1 (ko) 2001-10-24 2002-02-04 신석균 초미니 비상용 간이 안경타입 방독면
KR200369371Y1 (ko) * 2004-09-22 2004-12-04 김영남 방독면용 탈착식 안경조립체
US20070091257A1 (en) * 2005-03-21 2007-04-26 Gofxta, Inc. Adjustable focus eyeglasses
US20130081615A1 (en) * 2011-07-15 2013-04-0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Replacement lens cartridge
KR20140050846A (ko) * 2012-10-22 2014-04-30 주식회사 케이엠디피 렌즈의 초점 가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안경
WO2014124707A1 (en) * 2013-02-15 2014-08-21 Adlens Limited Variable-power lens
JP2015052772A (ja) * 2013-08-06 2015-03-19 孝郎 林 視力矯正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59424B (zh) 用菲涅尔镜片调节屈光度的头戴式虚拟现实光学系统
US6036315A (en) Optically superior decentered over-the-counter sunglasses
US20070046888A1 (en) Multiview eyeglasses
JPS6470048A (en) Protection spectacles equipped with removable nose piece and correction glasses
US20050206841A1 (en) Goggle lens
US20150033430A1 (en) Face protector for welder
US10437076B2 (en) Pair of goggles with replaceable lenses
US3533686A (en) Eye protective goggles with removable and rotatable half lenses
US20070132943A1 (en) Multipart Sunglasses
CN205581421U (zh) 用菲涅尔镜片调节屈光度的头戴式虚拟现实光学系统
KR101980905B1 (ko) 렌즈 이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경을 구비한 방독면
JP2009539127A5 (ko)
US2388713A (en) Adjustable lens mount for gas masks
GB2236196A (en) Spectacle frame for mounting attachments
CN206757219U (zh) 用于治疗弱视和复视并提高集中力的利用透镜的眼镜
CN205360296U (zh) 防护面罩
US20090021689A1 (en) Invertible eyewear
CA2516672A1 (en) Corrective eye-glasses
CN208847988U (zh) 调节眼镜
US20080170202A1 (en) Safety lens with a dioptric effect
US8764186B2 (en) Protective eyewear systems and methods for vision enhancements
KR200435376Y1 (ko) 안경테의 렌즈 고정장치
CN204637472U (zh) 水面作战护目镜
CN203217196U (zh) 遮阳近视眼镜
JP2007117204A (ja) 複視患者用片眼半遮蔽眼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