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0846A - 렌즈의 초점 가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안경 - Google Patents

렌즈의 초점 가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0846A
KR20140050846A KR1020120117164A KR20120117164A KR20140050846A KR 20140050846 A KR20140050846 A KR 20140050846A KR 1020120117164 A KR1020120117164 A KR 1020120117164A KR 20120117164 A KR20120117164 A KR 20120117164A KR 20140050846 A KR20140050846 A KR 201400508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moving member
focus
semi
glas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7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0157B1 (ko
Inventor
신군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엠디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엠디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엠디피
Priority to KR1020120117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0157B1/ko
Publication of KR20140050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0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0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0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8Auxiliary lenses; Arrangements for varying focal length
    • G02C7/081Ophthalmic lenses with variable focal length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8Auxiliary lenses; Arrangements for varying focal length
    • G02C7/086Auxiliary lenses located directly on a main spectacle lens or in the immediate vicinity of main specta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2/00Generic opt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subgroups of G02C7/00
    • G02C2202/24Myopia progression preven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렌즈의 초점 가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안경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의 초점 가변 장치는 제 1 도수를 구비한 제 1 렌즈 및 제 2 도수를 구비한 제 2 렌즈가 전후로 정렬된 상태로 장착되는 장착 부재; 및 상기 제 1 렌즈 및 상기 제 2 렌즈를 상기 장착 부재 내에서 동시에 서로 접근하거나 또는 멀어지도록 제어하는 이동 제어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은 안경테; 각각이 제 1 도수를 구비한 제 1 렌즈 및 제 2 도수를 구비한 제 2 렌즈로 구성되는 우측 렌즈 및 좌측 렌즈; 상기 우측 렌즈의 초점을 가변시키기 위한 제 1 초점 가변 장치; 및 상기 좌측 렌즈의 초점을 가변시키기 위한 제 2 초점 가변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초점 가변 장치 및 상기 제 2 초점 가변 장치는 각각 상기 제 1 렌즈 및 상기 제 2 렌즈가 전후로 정렬된 상태로 장착되는 장착 부재; 및 상기 제 1 렌즈 및 상기 제 2 렌즈를 상기 장착 부재 내에서 동시에 서로 접근하거나 또는 멀어지도록 제어하는 이동 제어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렌즈의 초점 가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안경{A Device of Varying Focus of Lens, and Glasse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렌즈의 초점 가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안경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안경 등에 사용되는 렌즈로 상이한 돗수를 갖는 2개의 렌즈를 안경테 상부 또는 별도의 장착 부재에 제공하고, 이들 2개의 렌즈를 동시에 서로 접근하거나 또는 멀어지도록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의 눈의 시력에 맞추어 렌즈의 초점 조정이 언제든지 가능하고, 사용자의 시력 변화에 따른 렌즈 또는 안경의 교체가 불필요하며, 특히 고가인 선글래스, 3D 안경, 또는 구글의 스마트 안경(project glasses)과 같은 다양한 제품에 적용이 가능하고, 렌즈의 파손 등에 따른 렌즈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사용자가 현장에서 파손된 렌즈만을 직접 교체할 수 있으며, 제조 비용이 저렴하고 대량 생산이 가능한 렌즈의 초점 가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안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적으로 먼 곳에 있는 물체가 잘 보이지 않는 경우에는 오목렌즈를 구비한 근시용 안경을 사용하고, 가까이 있는 물체가 잘 보이지 않는 경우에는 볼록 렌즈를 구비한 원시용 안경이 사용된다.
상술한 근시용 안경 또는 원시용 안경은 모두 단초점 안경으로, 멀거나 가까운 거리를 보기 위해 도수를 넣은 단초점 오목 렌즈 또는 단초점 볼록 렌즈(이하 통칭하여 "단초점 렌즈"라 함)가 사용된다. 이러한 단초점 렌즈는 렌즈의 초점이 하나로 고정되어 있어 먼 거리 또는 가까운 거리의 사물을 보거나 작업할 때만 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근시용 안경의 사용자는 예를 들어 가까운 거리의 사물을 보는 경우 초점이 맞지 않아 불편을 겪고, 반면에 윈시용 안경의 사용자는 예를 들어 먼 거리의 사물을 보는 경우 초점이 맞지 않아 불편을 겪는다.
한편, 시간이 경과하면서 안경 사용자의 시력이 변화하여 근시 또는 원시가 더 심해지면, 사용자는 예를 들어 안경점을 방문하여 렌즈를 시력의 변화에 맞추어 교체하여야 한다.
또한, 근시용 안경을 사용하던 사용자가 나이가 들어 노안이 생기면, 가까운 곳을 보기 위해 별도로 원시용 안경을 사용하여 하므로, 근시용 안경과 원시용 안경을 수시로 교체하여 사용하여야 하므로 상당히 불편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초점 렌즈를 구비한 안경(이하 "다초점 안경"이라 함)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다초점 안경에 사용되는 다초점 렌즈는 실제로는 이중 초점을 구비한 렌즈로, 구체적으로는 한 개의 렌즈가 먼 거리를 보기 위한 부분과 가까운 거리를 보기 위한 부분이 상이한 도수를 갖는 렌즈이다. 이러한 다초점 안경은 노안이 심하지 않은 사람은 사용할 수 없으며, 가까운 거리와 먼 거리만 잘 보이도록 만들어져 중간 거리가 잘 보이지 않는다는 단점을 여전히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누진 다초점 렌즈를 구비한 누진 다초점 안경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누진 다초점 렌즈는 초점이 다중으로 이루어져 있어 눈의 초점 위치에 따라 도수가 달라지는 렌즈로 구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원거리를 보는 부분과 근거리를 보는 부분이 중간에 단절되는 일이 없도록 만들어졌기 때문에, 사용자가 거리에 상관없이 잘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누진 다초점 안경은 주로 40대 이상의 초기 노안 환자가 사용할 경우 눈의 피로가 절감되는 효과를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누진 다초점 안경은 가격이 상당히 비싸고, 안경 착용 시 시야가 좁아지며, 사물을 볼 때 시선을 중심으로 두어야 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초점이 잘 맞지 않아 사용자가 어지럼증과 같은 불편함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개선된 다초점 안경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개선된 다초점 안경은 정경권 등에 의해 "초점이 자동 조절되는 다초점 안경"이라는 발명의 명칭으로 2008년 1월 23일자에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0-2008-0007030호로 출원되어, 2009년 12월 30일자로 등록된 대한민국 특허 제10-0935830호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초점이 자동 조절되는 다초점 안경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따른 다초점 안경의 압전소자의 두께 변화에 따른 렌즈의 초점거리 변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의 다초점 안경(100)은 액체렌즈(110), 압전소자(120), 제어부(130), 고정핀(140)을 포함한다. 압전소자(120)와 결합된 액체렌즈(110)는 안경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존재하며, 설명의 편의상 좌측에 한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액체렌즈(110)는 플라스틱과 같은 투명 재질의 고정된 틀에 액체를 넣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액체렌즈(110) 내에 사용되는 액체는 일반 렌즈에서처럼 액체 내에서 빛의 굴절 현상을 일으키기 위해 물, 기름, 액체 실리콘 등과 같이 공기와 굴절률이 다른 물질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또한, 압전소자(120)는 예를 들어 액체렌즈(110)의 상하에 각각 결합된다. 이러한 압전소자(120)는 압전기 현상을 나타내는 소자로, 압전소자(120)에 전압을 인가하면 인가되는 전압에 비례하는 외력이 가해지는 것과 같은 현상이 발생하도록 하여 압전소자(120)의 두께를 조절하는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압전소자(120)에 특정 전압을 인가하면 두께가 증가하고 반대로 인가하던 전압의 크기를 감소시키거나 반대 부호의 전압을 걸어주면 두께가 감소한다.
또한, 고정핀(140)은 액체렌즈(110)와 압전소자(120)의 고정을 위하여 액체렌즈(110)의 좌우측에 각각 결합된다. 결합된 고정핀(140)은 액체렌즈(110)의 형태가 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압전소자(120)의 두께가 변하게 될 때 고정핀(140)이 액체렌즈(110)와 압전소자(120)를 고정해 주면 압전소자(120)와 결합된 액체렌즈(110)의 크기가 일정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전압에 의해 압전소자(120)의 두께가 늘어나거나 줄어들 때, 액체렌즈(110)의 형태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30)는 압전소자(120)와 연결되어 안경테의 일측 또는 양측에 결합되며, 제어부(130)에서 압전소자(120)로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압전소자(120)의 두께를 팽창 또는 수축시킬 수 있다. 압전소자(120)의 두께 변화는 압전소자(120)와 결합된 액체렌즈(110)를 볼록하게 또는 오목하게 변형시켜 초점을 변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1b의 (a)와 같은 정상상태에서 사용자가 근거리에 있는 사물을 보기 위하여 제어부(130)를 동작시켜 특정 전압을 인가하면 도 1b의 (b)와 같이 고정핀(140)에 의하여 압전소자(130)와 결합된 액체렌즈(120)의 크기는 고정되어 있는 바, 압전소자(120)의 두께가 증가하면서 액체렌즈(120)에 압력이 증가하여 렌즈가 볼록하게 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렌즈의 초점거리는 짧아지고, 근거리에 있는 사물을 볼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가 원거리에 있는 사물을 보기 위하여 제어부(130)의 전압을 감소하거나 역전압을 인가하면 도 1b의 (c)와 같이, 압전소자(120)의 두께가 감소하면서 액체렌즈(110)에 압력이 감소하여 렌즈가 오목하게 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렌즈의 초점거리는 길어지고, 원거리에 있는 사물을 볼 수 있다.
상술한 종래 기술의 다초점 안경(100)은 액체렌즈(110) 및 압전소자(120)를 이용하여 액체렌즈(110)의 초점을 자유로이 변경시켜, 필요에 따라 적절한 초점을 맞춰 사용할 수 있고, 기존의 누진 다초점 안경에서 발생하는 어지러움 등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는 장점이 달성되지만, 여전히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는다.
1. 종래 기술에서는 플라스틱과 같은 투명 재질의 고정된 틀에 액체를 넣어 형성될 수 있는 액체렌즈(110)가 사용된다.
그러나, 액체렌즈(110) 내에 주입되는 액체는 그 자체의 무게(즉, 자중)로 인해 액체렌즈(110)의 두께 변화에 따라 하부가 두껍고 상부가 얇은 액체렌즈(110)를 형성한다. 그에 따라, 액체렌즈(110)의 렌즈 곡면이 왜곡되어 초점이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2. 또한, 액체의 무게로 인해 액체렌즈(110)의 두께 변화에 따라 액체렌즈(110)의 상부에 진공 또는 공기로 채워진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진공 또는 공기로 채워진 액체렌즈(110)의 상부와 액체로 채워진 액체렌즈(110)의 하부를 통해 각각 입사되는 광의 굴절률이 상이하여 물체의 상이 사용자의 눈에 정확히 맺혀지지 않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3. 종래 기술에 사용되는 액체렌즈(110)는 그 제조 자체가 상당히 어려울 뿐만 아니라, 고가의 액체렌즈(110) 및 압전소자(120)가 사용되어야 한다. 또한, 제어부(130)를 안경테에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요구된다.
4. 액체렌즈(110), 압전소자(120), 및 제어부(130) 중 어느 하나라도 손상되거나 고장나는 경우, 액체렌즈(110), 압전소자(120), 및 제어부(130)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므로, 사용자의 비용 부담이 상당히 크다.
5. 상술한 1 내지 4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종래 기술의 다초점 안경은 상업적으로 구현하거나 또는 대량 생산하는 것이 매우 어렵거나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방안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특허 제10-0935830호 미국 특허 제8,203,502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안경 등에 사용되는 렌즈로 상이한 돗수를 갖는 2개의 렌즈를 안경테 상부 또는 별도의 장착 부재에 제공하고, 이들 2개의 렌즈를 동시에 서로 접근하거나 또는 멀어지도록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의 눈의 시력에 맞추어 렌즈의 초점 조정이 언제든지 가능하고, 사용자의 시력 변화에 따른 렌즈 또는 안경의 교체가 불필요하며, 특히 고가인 선글래스, 3D 안경, 또는 구글의 스마트 안경(project glasses)과 같은 다양한 제품에 적용이 가능하고, 렌즈의 파손 등에 따른 렌즈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사용자가 현장에서 파손된 렌즈만을 직접 교체할 수 있는 렌즈의 초점 가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안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따른 렌즈의 초점 가변 장치는 제 1 도수를 구비한 제 1 렌즈 및 제 2 도수를 구비한 제 2 렌즈가 전후로 정렬된 상태로 장착되는 장착 부재; 및 상기 제 1 렌즈 및 상기 제 2 렌즈를 상기 장착 부재 내에서 동시에 서로 접근하거나 또는 멀어지도록 제어하는 이동 제어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2 특징에 따른 안경은 안경테; 각각이 제 1 도수를 구비한 제 1 렌즈 및 제 2 도수를 구비한 제 2 렌즈로 구성되는 우측 렌즈 및 좌측 렌즈; 상기 우측 렌즈의 초점을 가변시키기 위한 제 1 초점 가변 장치; 및 상기 좌측 렌즈의 초점을 가변시키기 위한 제 2 초점 가변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초점 가변 장치 및 상기 제 2 초점 가변 장치는 각각 상기 제 1 렌즈 및 상기 제 2 렌즈가 전후로 정렬된 상태로 장착되는 장착 부재; 및 상기 제 1 렌즈 및 상기 제 2 렌즈를 상기 장착 부재 내에서 동시에 서로 접근하거나 또는 멀어지도록 제어하는 이동 제어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렌즈의 초점 가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안경을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달성된다.
1. 사용자의 눈의 시력에 맞추어 렌즈의 초점 조정이 언제든지 가능하다.
2. 사용자의 시력 변화에 따른 렌즈 또는 안경의 교체가 불필요하다.
3.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렌즈의 초점 가변 장치가 고가인 선글래스, 3D 안경, 또는 구글 스마트 안경과 같은 다양한 제품에 적용이 가능하여, 근시 또는 원시 시력을 가진 사용자도 선글래스, 3D 안경, 또는 구글의 스마트 안경의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렌즈의 초점 가변 장치는 안경 다리부에 보정기가 부착된 안경에도 적용이 가능하므로, 청력장애자 또는 청력이 나쁜 노인 사용자도 보청기를 사용하면서 동시에 자신의 시력에 맞도록 렌즈의 초점을 조정할 수 있다.
4. 렌즈의 파손 등에 따른 렌즈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사용자가 현장에서 파손된 렌즈만을 직접 교체할 수 있다.
5. 제조 비용이 저렴하고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장점은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가 동일한 구성요소를 표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히 이해될 수 있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초점이 자동 조절되는 다초점 안경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따른 다초점 안경의 압전소자의 두께 변화에 따른 렌즈의 초점거리 변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의 초점 가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안경의 실제 구현 사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의 초점 가변 장치의 분해 사진이다.
도 2c는 도 2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의 초점 가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도면이다.
도 2d는 도 2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의 초점 가변 장치의 결합 도면이다.
도 2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의 초점 가변 장치에 사용되는 2개의 렌즈의 이동 상태에 따른 렌즈의 초점 거리 변화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의 초점 가변 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구글의 스마트 안경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의 초점 가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안경의 실제 구현 사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의 초점 가변 장치의 분해 사진이며, 도 2c는 도 2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의 초점 가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도면이고, 도 2d는 도 2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의 초점 가변 장치의 결합 도면이다. 도 2c 및 도 2d에서는 장착 부재(202)가 생략되어 있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의 초점 가변 장치(200a)는 제 1 도수를 구비한 제 1 렌즈(210a) 및 제 2 도수를 구비한 제 2 렌즈(210b)가 전후로 정렬된 상태로 장착되는 장착 부재(202); 및 상기 제 1 렌즈(210a) 및 상기 제 2 렌즈(210b)를 상기 장착 부재(202) 내에서 동시에 서로 접근하거나 또는 멀어지도록 제어하는 이동 제어 부재(216)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200)은 안경테(201); 각각이 제 1 도수를 구비한 제 1 렌즈(210a) 및 제 2 도수를 구비한 제 2 렌즈(210b)로 구성되는 우측 렌즈(210R) 및 좌측 렌즈(210L); 상기 우측 렌즈(210R)의 초점을 가변시키기 위한 제 1 초점 가변 장치(200a); 및 상기 좌측 렌즈(210L)의 초점을 가변시키기 위한 제 2 초점 가변 장치(200b)(도 2a 참조)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초점 가변 장치(200a) 및 상기 제 2 초점 가변 장치(200b)는 각각 상기 제 1 렌즈(210a) 및 상기 제 2 렌즈(210b)가 전후로 정렬된 상태로 장착되는 장착 부재(202); 및 상기 제 1 렌즈(210a) 및 상기 제 2 렌즈(210b)를 상기 장착 부재(202) 내에서 동시에 서로 접근하거나 또는 멀어지도록 제어하는 이동 제어 부재(216)를 포함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의 초점 가변 장치(200a) 및 이를 구비한 안경(200)에서, 장착 부재(202)는 상기 안경테(201)의 일부로 구현되거나, 또는 안경테(201)에 부착되는 별도의 부재로 구현될 수 있다. 제 1 렌즈(210a) 및 제 2 렌즈(210b)는 사용자가 안경(200)의 무게로 인한 불편함을 줄이도록 플라스틱 재질, 구체적으로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 Methyl Methacrylate: PMMA), CR-39,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셀룰로즈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Cellulose Acetate Butylate), 및 셀룰로즈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Propionate)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의 초점 가변 장치(200a) 또는 렌즈의 제 1 초점 가변 장치(200a)는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도 2a에 도시된 제 1 초점 가변 장치(200a) 및 렌즈의 제 2 초점 가변 장치(200b)는 대칭으로 구현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하나의 렌즈의 초점 가변 장치(200a)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다시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의 초점 가변 장치(200a)에서는, 제 1 렌즈(210a)의 상부에는 제 1 나사홈(213a)이 형성된 제 1 반원통형 이동 부재(212a), 및 상기 제 1 반원통형 이동 부재(212a)와 이격되어 제공되는 제 1 반원통형 보조 이동 부재(214b)가 제공된다. 또한, 제 2 렌즈(210b)의 상부에는 상기 제 1 반원통형 보조 이동 부재(214b)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공되며, 상기 제 1 나사홈(213a)과 반대 방향의 제 2 나사홈(213b)이 형성된 제 2 반원통형 이동 부재(214a), 및 상기 제 1 반원통형 이동 부재(212a)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공되는 제 2 반원통형 보조 이동 부재(2124b)가 제공된다. 여기서, 제 1 반원통형 이동 부재(212a)와 제 2 반원통형 보조 이동 부재(212b)는 제 1 이동 부재(212)를 구성하고, 제 2 반원통형 이동 부재(214a)와 제 1 반원통형 보조 이동 부재(214b)는 제 2 이동 부재(214)를 구성한다(도 2d 참조).
상술한 도 2b 내지 도 2d에서는, 제 1 반원통형 보조 이동 부재(214b) 및 제 2 반원통형 보조 이동 부재(212b)의 내측면은 각각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장착 부재(202)는 상기 제 1 반원통형 이동 부재(212a) 및 상기 제 2 반원통형 보조 이동 부재(212b)(즉, 제 1 이동 부재(212))와 상기 제 2 반원통형 이동 부재(214a) 및 상기 제 1 반원통형 보조 이동 부재(214b)(즉, 제 2 이동 부재(214))가 정렬된 상태로 삽입되는 중공부(hollow portion: 204)와 상기 제 1 이동 부재(212) 및 제 2 이동 부재(214)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슬릿(206)을 구비한다.
또한, 이동 제어 부재(216)는 상기 제 1 나사홈(213a)에 대응되는 제 1 나사산(217a) 및 상기 제 2 나사홈(213b)에 대응되는 제 2 나사산(217b)이 형성된 몸체부(216a); 및 상기 몸체부(216)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노브(knob: 218)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216a)와 상기 회전 노브(218)의 사이에는 상기 장착 부재(202)의 중공부(204)로부터 상기 이동 부재(216)가 분리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걸림 부재(219)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동 제어 부재(216)는 몸체부(216a)의 제 1 나사산(217a) 및 제 2 나사산(217b)이 각각 제 1 반원통형 이동 부재(212a)의 제 1 나사홈(213a) 및 제 2 반원통형 이동 부재(214a)의 제 2 나사홈(213b)에 각각 맞물린 상태로 제 1 이동 부재(212) 및 제 2 이동 부재(214)와 결합되어 중공부(204) 내로 억지 끼워맞춤(interference fit) 방식으로 삽입된다. 이를 위해, 장착 부재(202)는 플라스틱, 폴리우레탄, 또는 금속 재질로 구현되고, 제 1 이동 부재(212) 및 제 2 이동 부재(214)는 각각 플라스틱 재질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이동 제어 부재(216)의 회전 노브(218)를 회전시키면, 제 1 나사홈(213a)에 맞물린 제 1 나사산(217a) 및 제 2 나사홈(213b)에 맞물린 제 2 나사산(217b)에 의해 상기 제 1 렌즈(210a) 및 상기 제 2 렌즈(210b)가 장착 부재(202)의 중공부(204) 내에서 동시에 서로 접근하거나 또는 멀어지도록 이동한다. 이러한 제 1 렌즈(210a) 및 제 2 렌즈(210b)의 상대 이동에 따라, 제 1 렌즈(210a)의 제1 도수와 제 2 렌즈(210b)의 제 2 도수의 중첩 상태가 변경되어 초점을 가변시킬 수 있다.
한편, 회전 노브(216)는 외측 표면에 눈금(scale: 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눈금은 예를 들어 회전 노브(216)의 회전량 및 회전 방향에 따라 사용자의 시력에 대응되는 도수(디옵터)(예를 들어, -8 디옵터에서 +6 디옵터)로 표시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자신의 시력을 정확히 알 수 있다.
도 2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의 초점 가변 장치에 사용되는 2개의 렌즈의 이동 상태에 따른 렌즈의 초점 거리 변화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e를 도 2a 내지 도 2d와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의 초점 가변 장치에 사용되는 제 1 렌즈(210a)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장착 부재(202)의 후방 좌측(BL)에서 우측(BR) 방향을 따라 예를 들어 제 1 오목렌즈면(concave surface: ccs1)과 제 1 볼록렌즈면(convex surface: cvs1)이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제 1 렌즈면(LS1)을 갖는다. 또한, 제 2 렌즈(210b)는 장착 부재(202)의 전방 좌측(FL)에서 우측(FR) 방향을 따라 예를 들어 제 2 볼록렌즈면(cvs2)과 제 2 오목렌즈면(ccs2)이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제 2 렌즈면(LS2)을 갖는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제 1 렌즈(210a)가 장착 부재(202)의 후방 좌측(BL)에서 우측(BR) 방향을 따라 제 1 볼록렌즈면(cvs1)과 제 1 오목렌즈면(ccs1)이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제 1 렌즈면(LS1)을 가지며, 제 2 렌즈(210b)가 장착 부재(202)의 전방 좌측(FL)에서 우측(FR) 방향을 따라 제 2 오목렌즈면(ccs2)과 제 2 볼록렌즈면(cvs2)이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제 2 렌즈면(LS2)을 가질 수도 있다는 것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e에 도시된 (a)의 경우, 예를 들어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이동 부재(212) 및 제 2 이동 부재(214)가 정렬된 상태로 제 1 렌즈(210a) 및 제 2 렌즈(210b)는 도수의 중첩 결과 도수가 없는 상태(즉, 무도수 상태)를 유지한다.
도 2e에 도시된 (b)의 경우, 제 1 렌즈(210a) 및 제 2 렌즈(210b)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그에 따른 도수의 중첩 결과 근시용 오목 렌즈로 초점이 변경된다.
또한, 도 2e에 도시된 (c)의 경우, 제 1 렌즈(210a) 및 제 2 렌즈(210b)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그에 따른 도수의 중첩 결과 원시용 볼록 렌즈로 초점이 변경된다.
상술한 도 2e의 실시예에서는 (a), (b), 및 (c)의 3가지 경우만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지만, 사용자는 자신의 시력에 따라 제 1 렌즈(210a) 및 제 2 렌즈(210b)가 (a)와 (b)의 중간 상태의 음의 디옵터(negative diopter)를 갖는 근시용 오목렌즈의 초점 또는 (a)와 (c)의 중간 상태의 양의 디옵터(positive diopter)를 갖는 원시용 오목렌즈의 초점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렌즈의 초점 가변 장치(200a)가 일반적인 안경(200)에 적용되는 것으로 예시적으로 기술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의 초점 가변 장치(200a)는 예를 들어 다양한 방식으로 안경(200)에 적용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안경(200)의 사용자가 짝눈(mismatched eyes)인 경우, 도 2a에 도시된 제 1 초점 가변 장치(200a) 및 제 2 초점 가변 장치(200b)를 이용하여 좌측 눈의 시력 및 우측 눈의 시력에 맞도록 각각이 제 1 및 제 2 렌즈(210a,210b)로 구성되는 우측 렌즈(210R) 및 좌측 렌즈(210L)의 초점을 개별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선글래스용 렌즈의 경우 통상적으로 도수를 갖지 않으므로, 근시 또는 원시 시력을 가진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착용할 수 없다. 또한, 사용자의 기력에 맞는 다양한 도수를 갖는 선글래스용 렌즈를 구비한 선글래스의 경우 선글래스 공급자의 입장에서는 다양한 도수를 갖는 선글래스용 렌즈를 제조 및 생산하여야 하므로 선글래스의 제조 비용이 상당히 증가한다. 그에 따라, 근시 또는 원시 시력을 가진 사용자는 자신의 시력에 맞는 선글래스를 구입하기 위해 상당히 높은 비용을 지불하여야 한다. 특히, 사용자의 시력 변화에 따라 선글래스의 교체가 요구되므로, 근시 또는 원시 시력을 가진 사람들은 선글래스를 극히 드물게 사용하거나 실질적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의 초점 가변 장치(200a)를 선글래스에 적용하는 경우, 제 1 및 제 2 렌즈(210a,210b)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가 차광 성분을 포함하도록 하면 종래 선글래스와 같이 사용자의 시력에 맞추어 초점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선글래스 공급자도 특정한 도수를 갖는 선글래스용 렌즈만을 제조하면 되므로 제조 비용 부담이 훨씬 더 경감된다, 따라서, 근시 또는 원시 시력을 가진 사람들도 합리적인 가격으로 선글래스를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력 변화에 따른 선글래스 교체가 불필요하므로 지속적인 추가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3D 안경의 경우 근시 또는 원시 시력을 가진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사용할 수 없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의 초점 가변 장치(200a)는 3D 안경에도 적용될 수 있으므로 3D 안경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3D 안경은 서로 직교하는 제 1 및 제 2 편광을 투과시키는 제 1 및 제 2 편광 필름이 코팅되거나 또는 착탈식 제 1 및 제 2 편광 필름이 부착된 좌측 렌즈 및 우측 렌즈를 구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렌즈의 초점 가변 장치(200a)를 사용하는 경우, 도 2a에 도시된 우측 렌즈(210R)를 구성하는 제 1 및 제 2 렌즈(210a,210b) 중 어느 하나 및 좌측 렌즈(210L)를 구성하는 제 1 및 제 2 렌즈(210a,210b) 중 어느 하나에 각각 서로 직교하는 제 1 및 제 2 편광을 투과시키는 편광 필름을 코팅시키거나 또는 착탈식 편광 필름을 부착시켜 3D 안경을 구현하면, 도 2a에 도시된 렌즈의 제 1 및 제 2 초점 가변 장치(200a,200b)에 의해 3D 안경의 우측 렌즈(210R) 및 좌측 렌즈(210L)의 초점을 개별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으므로 근시 또는 원시 시력을 가진 사람들도 3D 안경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선글래스 및 3D 안경의 구체적인 구성은 제 1 및 제 2 초점 가변 장치(200a,200b)가 사용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2a에 도시된 안경(200)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의 초점 가변 장치(200a)는 안경(200) 이외의 다양한 장치 및 기술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2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의 초점 가변 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구글의 스마트 안경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스마트 안경은 예를 들어 2011년 5월 25일자에 "Wearable heads-up display with integrated finger-tracking input sensor"라는 발명의 명칭으로 미국 특허출원 제13/115,430호로 출원되어, 2012년 6월 19일자로 등록된 구글사(Google, Inc.)의 미국 등록 특허 제8,203,502호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도 2f를 참조하면, 구글의 스마트 안경(200)은 헤드업 디스플레이(HD)(도 2f의 상부 도면) 상에 또는 하나의 렌즈(210a) 상의 헤드업 디스플레이(HD) 부분(도 2f의 하부 도면)에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보여주는 장치이다.
그러나, 정상 시력을 가진 사용자는 헤드업 디스플레이(HD) 또는 하나의 렌즈(210a) 상의 헤드업 디스플레이(HD) 부분에 나타난 정보를 보는데 문제가 없지만, 근시 또는 원시 시력을 가진 사용자는 상기 정보를 선명하게 인식하기 어렵다.
이 경우, 하나의 렌즈(210a) 대신 본 발명의 렌즈의 초점 가변 장치(200a)를 구글의 스마트 안경(200)의 장착 부재(202)에 적용하는 경우, 도 2a 내지 도 2e를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렌즈(210a,210b)의 이동에 따른 초점 조정이 가능하므로 근시 또는 원시 시력을 가진 사용자도 구글의 스마트 안경(200)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선명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의 초점 가변 장치(200a)는 안경 다리부의 끝단에 보청기(미도시)가 장착된 안경(200)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청력장애자 또는 청력이 나쁜 노인 사용자도 보청기를 사용하면서 동시에 자신의 시력에 맞도록 렌즈의 초점을 조정할 수 있다.
다양한 변형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본 명세서에 기술되고 예시된 구성 및 방법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거나 첨부 도면에 도시된 모든 사항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의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따라서만 정해져야 한다.
100: 다초점 안경 110: 액체렌즈 120: 압전소자 130: 제어부
140: 고정핀 200; 안경/스마트 안경 200a,200b: 초점 가변 장치
201: 안경테 202: 장착 부재 204: 중공부 206:가이드 슬릿
210a,210b,210R,210L: 렌즈 212,214: 이동 부재
212a,214a: 반원통형 이동 부재 212b,214b: 반원통형 보조 이동 부재
213a,213b: 나사홈 216: 이동 제어 부재 216a: 몸체부
217a,217b: 나사산 218: 회전 노브 219: 걸림 부재

Claims (16)

  1. 렌즈의 초점 가변 장치에 있어서,
    제 1 도수를 구비한 제 1 렌즈 및 제 2 도수를 구비한 제 2 렌즈가 전후로 정렬된 상태로 장착되는 장착 부재; 및
    상기 제 1 렌즈 및 상기 제 2 렌즈를 상기 장착 부재 내에서 동시에 서로 접근하거나 또는 멀어지도록 제어하는 이동 제어 부재
    를 포함하는 렌즈의 초점 가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렌즈 및 상기 제 2 렌즈의 상부에는 제 1 이동 부재 및 상기 제 1 이동 부재와 이격되어 제공되는 제 2 이동 부재가 제공되고,
    상기 장착 부재는 상기 제 1 이동 부재 및 상기 제 2 이동 부재가 삽입되는 중공부, 및 상기 제 1 이동 부재 및 상기 제 2 이동 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슬릿을 구비하며,
    상기 이동 제어 부재는 상기 제 1 이동 부재 및 상기 제 2 이동 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중공부 내로 억지 끼워맞춤(interference fit) 방식으로 삽입되는
    렌즈의 초점 가변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렌즈 및 상기 제 2 렌즈는 각각 플라스틱 재질로 구현되고,
    상기 장착 부재는 플라스틱 재질, 폴리우레탄 재질, 및 금속 재질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되며,
    상기 제 1 이동 부재 및 상기 제 2 이동 부재는 각각 플라스틱 재질로 구현되는
    렌즈의 초점 가변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 부재는 상기 제 1 렌즈의 상부에 제공되며, 제 1 나사홈이 형성된 제 1 반원통형 이동 부재, 및 상기 제 1 반원통형 이동 부재와 이격되어 제공되는 제 1 반원통형 보조 이동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이동 부재는 상기 제 2 렌즈의 상부에 상기 제 1 반원통형 보조 이동 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공되며, 상기 제 1 나사홈과 반대 방향의 제 2 나사홈이 형성된 제 2 반원통형 이동 부재, 및 상기 제 1 반원통형 이동 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공되는 제 2 반원통형 보조 이동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이동 제어 부재는 상기 제 1 나사홈에 대응되는 제 1 나사산 및 상기 제 2 나사홈에 대응되는 제 2 나사산이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노브를 구비하는
    렌즈의 초점 가변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제어 부재는 상기 몸체부와 상기 회전 노브의 사이에 상기 중공부로부터 상기 이동 부재가 분리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걸림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는 렌즈의 초점 가변 장치.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노브의 외측 표면에는 상기 회전 노브의 회전량 및 회전 방향에 따라 사용자의 시력에 대응되는 도수를 나타내는 눈금(scale)을 구비하는 렌즈의 초점 가변 장치.
  7. 안경에 있어서,
    안경테;
    각각이 제 1 도수를 구비한 제 1 렌즈 및 제 2 도수를 구비한 제 2 렌즈로 구성되는 우측 렌즈 및 좌측 렌즈;
    상기 우측 렌즈의 초점을 가변시키기 위한 제 1 초점 가변 장치; 및
    상기 좌측 렌즈의 초점을 가변시키기 위한 제 2 초점 가변 장치
    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초점 가변 장치 및 상기 제 2 초점 가변 장치는 각각
    상기 제 1 렌즈 및 상기 제 2 렌즈가 전후로 정렬된 상태로 장착되는 장착 부재; 및
    상기 제 1 렌즈 및 상기 제 2 렌즈를 상기 장착 부재 내에서 동시에 서로 접근하거나 또는 멀어지도록 제어하는 이동 제어 부재
    를 포함하는 안경.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부재는 상기 안경테의 일부로 구현되거나, 또는 상기 안경테에 부착되는 별도의 부재로 구현되는 안경.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렌즈 및 상기 제 2 렌즈의 상부에는 제 1 이동 부재 및 상기 제 1 이동 부재와 이격되어 제공되는 제 2 이동 부재가 제공되고,
    상기 장착 부재는 상기 제 1 이동 부재 및 상기 제 2 이동 부재가 삽입되는 중공부, 및 상기 제 1 이동 부재 및 상기 제 2 이동 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슬릿을 구비하며,
    상기 이동 제어 부재는 상기 제 1 이동 부재 및 상기 제 2 이동 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중공부 내로 억지 끼워맞춤(interference fit) 방식으로 삽입되는
    안경.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렌즈 및 상기 제 2 렌즈는 각각 플라스틱 재질로 구현되고,
    상기 장착 부재는 플라스틱 재질, 폴리우레탄 재질, 및 금속 재질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되며,
    상기 제 1 이동 부재 및 상기 제 2 이동 부재는 각각 플라스틱 재질로 구현되는
    안경.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 부재는 상기 제 1 렌즈의 상부에 제공되며, 제 1 나사홈이 형성된 제 1 반원통형 이동 부재, 및 상기 제 1 반원통형 이동 부재와 이격되어 제공되는 제 1 반원통형 보조 이동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이동 부재는 상기 제 2 렌즈의 상부에 상기 제 1 반원통형 보조 이동 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공되며, 상기 제 1 나사홈과 반대 방향의 제 2 나사홈이 형성된 제 2 반원통형 이동 부재, 및 상기 제 1 반원통형 이동 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공되는 제 2 반원통형 보조 이동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이동 제어 부재는 상기 제 1 나사홈에 대응되는 제 1 나사산 및 상기 제 2 나사홈에 대응되는 제 2 나사산이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노브를 구비하는
    안경.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제어 부재는 상기 몸체부와 상기 회전 노브의 사이에 상기 중공부로부터 상기 이동 부재가 분리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걸림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는 안경.
  13.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노브의 외측 표면에는 상기 회전 노브의 회전량 및 회전 방향에 따라 사용자의 시력에 대응되는 도수를 나타내는 눈금(scale)을 구비하는 안경.
  14. 선글래스에 있어서,
    선글래스 테;
    각각이 제 1 도수를 구비한 제 1 렌즈 및 제 2 도수를 구비한 제 2 렌즈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렌즈 및 상기 제 2 렌즈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가 차광 성분을 포함하는 우측 렌즈 및 좌측 렌즈;
    상기 우측 렌즈의 초점을 가변시키기 위한 제 1 초점 가변 장치; 및
    상기 좌측 렌즈의 초점을 가변시키기 위한 제 2 초점 가변 장치
    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초점 가변 장치 및 상기 제 2 초점 가변 장치는 각각
    상기 제 1 렌즈 및 상기 제 2 렌즈가 전후로 정렬된 상태로 장착되는 장착 부재; 및
    상기 제 1 렌즈 및 상기 제 2 렌즈를 상기 장착 부재 내에서 동시에 서로 접근하거나 또는 멀어지도록 제어하는 이동 제어 부재
    를 포함하는 선글래스.
  15. 3D 안경에 있어서,
    안경테;
    각각이 제 1 도수를 구비한 제 1 렌즈 및 제 2 도수를 구비한 제 2 렌즈로 구성되는 우측 렌즈 및 좌측 렌즈;
    상기 우측 렌즈의 초점을 가변시키기 위한 제 1 초점 가변 장치; 및
    상기 좌측 렌즈의 초점을 가변시키기 위한 제 2 초점 가변 장치
    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초점 가변 장치 및 상기 제 2 초점 가변 장치는 각각
    상기 제 1 렌즈 및 상기 제 2 렌즈가 전후로 정렬된 상태로 장착되는 장착 부재; 및
    상기 제 1 렌즈 및 상기 제 2 렌즈를 상기 장착 부재 내에서 동시에 서로 접근하거나 또는 멀어지도록 제어하는 이동 제어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우측 렌즈를 구성하는 상기 제 1 및 제 2 렌즈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좌측 렌즈를 구성하는 상기 제 1 및 제 2 렌즈 중 어느 하나에는 각각 서로 직교하는 제 1 및 제 2 편광을 투과시키는 제 1 및 제2 편광 필름이 코팅되거나 또는 착탈식 제 1 및 제 2 편광 필름이 부착되는
    3D 안경.
  16. 제 1항 기재의 렌즈의 초점 가변 장치를 구비한 구글 스마트 안경.
KR1020120117164A 2012-10-22 2012-10-22 렌즈의 초점 가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안경 KR101420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164A KR101420157B1 (ko) 2012-10-22 2012-10-22 렌즈의 초점 가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164A KR101420157B1 (ko) 2012-10-22 2012-10-22 렌즈의 초점 가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안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0846A true KR20140050846A (ko) 2014-04-30
KR101420157B1 KR101420157B1 (ko) 2014-07-17

Family

ID=50655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7164A KR101420157B1 (ko) 2012-10-22 2012-10-22 렌즈의 초점 가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015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27093A1 (en) * 2014-08-22 2016-02-25 Eyejusters Ltd Adjustable power lens and eyeglasses frame
KR101980905B1 (ko) * 2017-12-04 2019-05-22 송다민 렌즈 이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경을 구비한 방독면
CN112684571A (zh) * 2021-01-19 2021-04-20 江苏睿世力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眼镜的变焦驱动装置及智能眼镜
CN113376867A (zh) * 2021-06-11 2021-09-10 福建好视丽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调节镜片度数的智能眼镜
CN113504661A (zh) * 2021-08-12 2021-10-15 佛山华永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眼镜的变焦驱动机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3775A (ja) * 1994-07-26 1996-02-16 Kazuhiro Fukagawa 自動焦点調節機能付眼鏡レンズならびにフレーム
US7325922B2 (en) * 2005-03-21 2008-02-05 Quexta, Inc Adjustable focus eyeglasses
KR20110135580A (ko) * 2010-06-11 2011-12-19 김바다 가변초점 안경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27093A1 (en) * 2014-08-22 2016-02-25 Eyejusters Ltd Adjustable power lens and eyeglasses frame
US10302967B2 (en) 2014-08-22 2019-05-28 Eyejusters Ltd. Adjustable power lens and eyeglasses frame
KR101980905B1 (ko) * 2017-12-04 2019-05-22 송다민 렌즈 이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경을 구비한 방독면
CN112684571A (zh) * 2021-01-19 2021-04-20 江苏睿世力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眼镜的变焦驱动装置及智能眼镜
CN113376867A (zh) * 2021-06-11 2021-09-10 福建好视丽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调节镜片度数的智能眼镜
CN113504661A (zh) * 2021-08-12 2021-10-15 佛山华永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眼镜的变焦驱动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0157B1 (ko) 2014-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29246B2 (en) Attachable/detachable covering lens
US7372646B2 (en) Adjustable focus lens system
US8721070B2 (en) Translating multifocal eyeglass lenses
US7604349B2 (en) Static progressive surface region in optical communication with a dynamic optic
AU2007258383B2 (en) Static progressive surface region in optical communication with a dynamic optic
CN104808342A (zh) 呈现三维场景的可穿戴虚拟现实头盔的光学镜片结构
KR101420157B1 (ko) 렌즈의 초점 가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안경
CN105759424A (zh) 用菲涅尔镜片调节屈光度的头戴式虚拟现实光学系统
CN204575972U (zh) 一种呈现三维场景的可穿戴虚拟现实头盔的光学镜片结构
US20120038882A1 (en) Static Progressive Surface Region In Optical Communication With A Dynamic Optic
JP2011203705A (ja) 眼鏡レンズ及びその設計方法
CN203981981U (zh) 可用于近视者佩戴的头戴式3d显示器及其所使用的近视眼镜框
CN115598861A (zh) 具有动态聚焦控制的眼科透镜
TW201617690A (zh) 用於智慧型眼用佩戴品之處方鏡片
KR100935830B1 (ko) 초점이 자동 조절되는 다초점 안경
CN105353519A (zh) 3d眼镜片
KR100797546B1 (ko) 쓰루더 렌즈 타입 의료용 루페장치
CN208672937U (zh) 一种视力矫正装置
CN205157888U (zh) 3d眼镜片
CN204086591U (zh) 度数可调的屏幕镜
CN221101162U (zh) 一种vr/mr眼镜
WO2022210772A1 (ja) 眼鏡及び眼鏡フレーム並びに位置調整機構
CN207268813U (zh) 一种方便更换镜片的弹簧眼镜夹片
US20150241716A1 (en) Protective lens for people with presbyopia
CN104216036A (zh) 度数可调的屏幕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